KR100912491B1 - Psd 조립체 모듈 - Google Patents

Psd 조립체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2491B1
KR100912491B1 KR1020080039407A KR20080039407A KR100912491B1 KR 100912491 B1 KR100912491 B1 KR 100912491B1 KR 1020080039407 A KR1020080039407 A KR 1020080039407A KR 20080039407 A KR20080039407 A KR 20080039407A KR 100912491 B1 KR100912491 B1 KR 100912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vertical
coupled
psd
assembl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9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유에이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유에이엔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유에이엔아이
Priority to KR1020080039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2491B1/ko
Priority to CN200810183151XA priority patent/CN101571027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사각 기둥 형상의 수평 지지대, 상기 수평 지지대의 하측에 위치되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사각 기둥 형상의 엔진 지지대, 상기 엔진 지지대의 하측에 위치되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ㄷ자형 보강 잔넬 및 상기 엔진 지지대에 의하여 지지되며 PSD의 가동 도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가 내장된 헤더 박스, 상기 헤더 박스 양측에 상측부가 결합되어 측면 지지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수직 지지부 및 상기 한 쌍의 수직 지지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는, PSD 조립체 모듈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이 가벼우면서도 강한 지지 강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모듈, PSD, 지지부, 골격, 구동부

Description

PSD 조립체 모듈 {Platform Screen Door Assembly Module}
본 발명은 PSD(Platform Screen Door)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PSD 조립체 모듈의 지지 강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골격을 갖는 PSD 조립체에 대한 것이다.
플랫폼 스크린 도어(Platform Screen Door: 이하 PSD라 칭함)는 지하철 차량의 출입구와 승강장 끝단을 연결하는 안전 자동문으로서, 지하철의 운행과 관련하여 승객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지하철 승강장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PSD는 종래에 스크린 도어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품을 지하철 역사로 운반하여 개별 부품을 현장에서 조립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개별 부품이 지하철 역사로 운반되는 경우, 모터카를 이용하거나 인력을 이용하여 지상 역사부터 지하까지 운반하게 된다. 이 때, 모터 카를 이용하여 PSD의 부품들을 운반하는 것은, PSD의 조립에 설치되는 부품의 개수가 많아 다량으로 적재하는 것이 어렵고 이를 포장하는데도 많은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지하철 역사의 작업 현장에서 PSD 조립을 위하여 다수의 부품이 개봉될 경우 공사 현장이 복잡하여 부품이 누락되거나 조립 공정이 복잡하게 된다.
또한, 지하철 역사에 설치되는 PSD를 개별적으로 조립하는 경우에는 적재 및 시공시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지하철이 운행하는 시간대인 낮시간동안에는 작업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짧은 작업시간으로 인하여 공사기간이 장기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현장에서 조립되는 형태의 PSD를 모듈화하여 일체로 형성된 모듈 PSD 조립체를 현장에서 간단하게 조립함으로서 PSD의 조립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방식이 제안되어 왔다.
이 때, 현장 조립 방식으로 조립되는 PSD 혹은 PSD 조립체 모듈이 지하철 승강장에 설치될 경우 지하철 내부에서 발생하는 풍압을 견디도록 강한 지지 강성을 가지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모듈화된 PSD는 PSD가 설치되는 지하 공간에 의한 하중 및 자체 중량에 의한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높은 지지 강성을 갖도록 형성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H빔을 수평보로 사용하여 PSD를 지지하도록 하였다. 보다 상세히, PSD의 가동 도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가 위치되는 PSD의 상부측에에 H빔을 횡방향으로 설치하여 전체 PSD를 지지하도록 하고, 상기 H빔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수직 지지대를 설치하여 PSD의 골격을 구성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H빔을 이용하여 PSD를 지지하는 것은 H빔의 중량이 무거워 지하철 역사에 설치된 PSD가 자체 중량에 의하여 쳐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자체 중량이 무거워 PSD 자체가 쳐지는 경우 전체적인 PSD의 구조가 틀어지기 때문에 도어의 작동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지하철 내부 역사에 균열이 발생하는 등 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PSD를 제공함에 있어 중량이 가벼우면서도 전체적인 크기가 작게 형성되면서도, 지지 강성이 좋도록 형성된 모듈화된 PSD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가벼운 중량을 갖도록 이루어지면서도 지지 강성이 높은 PSD 조립체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PSD 조립체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형성된 부품으로 구성된 PSD 조립체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PSD 조립체 모듈을 지하철 역사에 설치할 때, PSD 조립체 모듈 간의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강한 지지 강성을 갖는 PSD 조립체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은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사각 기둥 형상의 상측 지지부, 상기 상측 지지부의 하측에 위치되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사각 기둥 형상의 엔진 지지부, 상기 엔진 지지부의 하측에 위치되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ㄷ자형 보강 잔넬 및 상기 엔진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며 PSD의 가동 도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가 내장된 헤더 박스; 상기 헤더 박스 양측에 상측부가 결합되어 측면 지지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수직 포스트; 및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는, PSD 조립체 모듈이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은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사각 기둥 형상의 수평 지지대, 상기 수평 지지대의 하측에 위치되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사각 기둥 형상의 엔진 지지대, 상기 엔진 지지대의 하측에 위치되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ㄷ자형 보강 잔넬 및 상기 엔진 지지대에 의하여 지지되며 PSD의 가동 도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가 내장된 헤더 박스; 상기 헤더 박스 양측에 상측부가 결합되어 상기 헤더 박스를 지지하는 한 쌍의 수직 지지부; 및 상기 한 쌍의 수직 지지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는, PSD 조립체 모듈이 제공된다.
이 때, 상기 수평 지지대의 단부를 보강하기 위한 제 1 보강재, 상기 엔진 지지대의 단부를 보강하기 위한 제 2 보강재 및 상기 ㄷ자형 보강 잔넬의 단부를 보강하기 위한 제 3 보강재를 구비한 단부 플레이트가 상기 수평 지지대, 상기 엔진 지지대 및 상기 ㄷ자형 보강 잔넬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직 포스트는 상기 단부 플레이트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헤더 박스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직 지지부는 상기 단부 플레이트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헤더 박스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직 지지부는 하측단부에 베이스 연결 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연결 플레이트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직 지지부는 상기 수평 지지대에 상측부가 결합되고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ㄷ자형 잔넬 및 상기 ㄷ자형 잔넬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PSD 조립체의 측면을 형성하는 연결판을 구비하는 수직 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절개 홀은 다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절개 홀은 상기 ㄷ자형 잔넬의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알루미늄 압출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 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알루미늄 압출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수직 지지부의 일측이 끼움 결합가능하도록 수용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사각 기둥 형상의 수평 지지대,상기 수평 지지대 양 단부에 상측부가 결합되어 상기 수평 지지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수직 지지부 및 상기 한 쌍의 수직 지지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는, PSD 조립체 모듈이 제공된다.
이 때, 상기 수평 지지대는 상기 PSD 조립체의 구동부가 내장된 헤더 박스 내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수평 지지대의 단부에는 보강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평 지지대의 하측에 위치되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사각 기둥 형상의 엔진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엔진 지지대의 단부에는 보강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엔진 지지대의 하측에 위치되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ㄷ자형 보강 잔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측 지지부 및 상기 엔진 지지부는 복수 개의 수직 지지부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평 지지대 및 상기 엔진 지지대는 복수 개의 수직 지지부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평 지지대의 단부를 보강하기 위한 제 1 보강재, 상기 엔진 지지대의 단부를 보강하기 위한 제 2 보강재 및 를 상기 ㄷ자형 보강 잔넬의 단부를 보강하기 위한 제 3 보강재를 구비한 단부 플레이트가 상기 수평 지지대, 상기 엔진 지지대 및 상기 ㄷ자형 보강 잔넬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직 포스트는 상기 단부 플레이트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헤더 박스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직 지지부는 상기 단부 플레이트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헤더 박스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직 지지부는 상기 단부 플레이트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수평 지지대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직 지지부는 하측단부에 베이스 연결 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연결 플레이트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직 지지부는 상기 수평 지지대에 상측부가 결합되는 ㄷ자형 잔넬 및 상기 ㄷ자형 잔넬의 선단부에 형성된 연결판을 구비한 수직 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절개 홀은 다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절개 홀은 상기 ㄷ자형 잔넬의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알루미늄 압출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알루미늄 압출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수직 지지부의 일측이 끼움 결합가능하도록 수용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각 단면을 갖는 수평 지지대를 구비함으로써 가벼우면서도 강한 지지 강도를 갖는 PSD 조립체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동 도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가 내장된 헤더 박스 내부에 수평 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음으로서 헤더 박스 전체의 크기가 작게 형성될 수 있어, 전체적인 PSD 조립체의 크기가 콤팩트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헤더 박스 내부에 수평 지지대, 엔진 지지대 및 ㄷ자형 보강 잔넬이 일체로 형성됨으로서 헤더 박스의 지지 강도가 강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헤더 박스가 일체로 조립된 후 측면 지지부로 형성되는 수직 지지부 및 베이스 프레임과 조립될 수 있으며, 이 때, 수직 지지부 및 베이스 프레임 간의 결합이 용이하므로, 전체적으로 PSD 조립체 모듈의 조립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이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PSD 조립체 모듈이 구성요소 별로 분해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의 골격을 이루는 수평 지지대, 수직 포스트 및 베이스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이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PSD 조립체 모듈이 구성요소 별로 분해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의 골격을 이루는 수평 지지대, 수직 포스트 및 베이스 프레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헤더 박스(100)와 수직 지지부(200) 및 도어턱(300) 사이에는 두개의 중간 기둥(60)이 설치된다. 상기 중간 기둥(60) 사이에는 헤더 박스(100) 내부에 위치된 구동부에 의하여 가동되는 가동 도어(40)가 설치된다. 상기 가동 도어(40)의 양측에는 고정 도어(20) 및 비상 도어(30)가 설치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10)은 상기 헤더 박스(100)가 모듈화된 조립체로 제공된다. 이 때 상기 모듈화된 헤더 박스(100) 내부에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사각 형상의 수평 지지대(130)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10)은 이와 같은 수평 지지대(130)가 헤더 박스(100) 내부에서 전체적인 PSD 조립체의 틀어짐 및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10)의 상기 모듈화되어 제공되는 헤더 박스(100)의 양 측단에는 수직 지지부(200)가 결합된다. 상기 수직 지지부(200)는 PSD 조립체 모듈(10)의 양 측부를 형성한다.
상기 수직 지지부(200)는 PSD 조립체 모듈이 지하철 역사에 설치될 때 인접한 PSD 조립체와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한쌍으로 형성되도록 서로 대응하는 한쌍의 수직 포스트가 상호 결합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수직 지지부(200)는 PSD 조립체 모듈이 지하철 역사에 설치될 때 인접한 PSD 조립체와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서로 대응하는 한쌍의 수직 포스트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수직 지지부(200)의 수직 포스트 하측단에는 베이스 연결 플레이트(도 9의 230)가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 연결 플레이트는 도어턱(300)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 때, 수직 지지부(200)의 베이스 연결 플레이트는 하기하는 도어턱(300)의 베이스 프레임(320)에 끼움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베이스 프레임(320)은 알루미늄 압출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10)의 하부 골격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320) 상에는 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플로어(310)가 배치된다. 플로어(310)는 PSD 조립체가 설치된 상태에서 이용자들이 지나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며,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베이스 프레임(32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어턱 보강재(350)는 도어턱(300)의 하측부에 위치되어 도어턱(300)을 보강하기 위한 보조 부재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10)은 상기 수직 지지부(200)의 베이스 연결 플레이트(도 9의 230)가 베이스 프레임(320)에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수직 지지부(200)와 베이스 프레임(320)이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가동 도어(40)는 지하철의 역사에 PSD 조립체 모듈이 설치되었을 때, 출입구를 형성하는 도어로서, 헤더 박스(100), 수직 지지부(200) 및 도어턱(300)이 결합되고 중간 기둥(60)이 설치된 상태에서 헤더 박스(100) 및 도어턱(300)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가동 도어(40)의 배면 하측부에는 베어링 가이드(42)가 설치된다.
상기 가동 도어(40)의 양 측면 공간에는 고정 도어(20) 및 비상 도어(3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이, 도 3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헤더 박스(100) 내에 설치되는 사각 형상의 수평 지지대(130)와 수평 지지대(130) 양단에 결합되는 수직 지지부(200) 및 상기 수직 지지부(200)의 하측단에 결합되는 베이스 프레임(320)이 형성하는 사각 틀을 기본 골격으로 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각 형상의 수평 지지대(130)는 양단부가 보강재를 구비한 단부 플레이트(160)에 의하여 보강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평 지지대(130)는 양 단부가 보강재에 의하여 보강되기 때문에 강한 지지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단부 플레이트(160)에는 후술하는 엔진 지지부 및 하단 지지대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엔진 지지부 및 하단 지지대가 상기 수평 지지대와 함께 연결되어 헤더 박스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의 헤더 박스는 강한 지지 강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부 플레이트(160)에는 후술하는 엔진 지지대 및 하단 지지대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엔진 지지대 및 하단 지지대가 상기 수평 지지대와 함께 연결되어 헤더 박스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의 헤더 박스는 강한 지지 강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직 지지부(200)의 하측단에 연결되는 베이스 프레임(320)은 알루미늄 압출재로 형성될 수 있어 상기 헤더 박스(100)가 복수의 지지부에 의하여 뒤틀림을 방지하도록 보강되는 것과 비교할 때, 가벼운 하부 골격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에서는 모듈의 상측에 형성되는 헤더 박스는 내부에 복수 개의 보강재를 이용한 지지부 설치하고, 이를 상호 연결하여 헤더 박스 자체가 강한 지지 강성을 갖도록 하는 한편, 바닥을 형성하는 베이스 프레임이 상대적으로 가벼운 알루미늄 재료로 압출 성형되어 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무게를 가볍게 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이 수직 지지부에 간단한 방법으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듈의 전체 구성이 가볍고 콤팩트하면서도 지지 강성이 높고, 조립이 간단히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를 도면을 참조하여 개별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의 헤더 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헤더 박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헤더 박스의 구성요소중 일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헤더 박스 측면을 구성하는 단부 플레이트(160)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A-A'의 단면도로서, 조립된 상태의 헤더 박스의 단면도이다. 도 8은 헤더 박스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부를 교체하거나 설치하도록 헤더 박스 전면 커버를 오픈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의 헤더 박스는 사각 형 봉재 형상으로 이루어진 수평 지지대(130), 가동 도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 조립체(180), 상기 수평 지지대(130)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 조립체(180)를 지지하는 엔진 지지대(12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엔진 지지대(120)는 복수의 수직 지지대(140)에 의하여 수평 지지대(130)에 연결된다.
상기 엔진 지지대(120)의 하측에는 ㄷ자형 잔넬로 이루어진 하단 지지대(190)가 구비된다. 상기 수평 지지대(130), 엔진 지지대(120) 및 하단 지지대(190)는 양 단부가 단부 플레이트(160)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수평 지지대(130)는 본 발명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의 주요 지지대로서 횡방향 틀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는 종래의 PSD 조립체에서 H빔을 이용하여 구성하던 수평보를 대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채용한 것으로 이와 같은 사각 형상 단면의 구조체를 통하여 종래의 H빔과 비교할 때 가벼우면서도 강한 지지 강성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수평 지지대(130)는 상측부가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부 커버(170)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수평 지지대(130)의 양 단부에는 단부 플레이트(160)가 결합된다.
이 때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수평 지지대(130)와 단부 플레이트(160)의 연결은 단부 플레이트(160)의 상측부에 형성된 보강재(164)가 수평 지지대(13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보강재(164)는 수평 지지대(130)의 지지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짧은 길이의 H빔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이와 같은 H빔으로 구성된 보강재(164)의 수평 지지대(130)에 대한 결합은 상부 커버(170)를 수평 지지대(130)에 결합할 때, 체결 부재(270)가 보강재(164)에 동시에 결합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지지대(130)의 하측에는 헤더 박스(100)의 배면을 형성하는 배면판(124)이 구비된다. 상기 배면판(124)의 내측면에는 사각 형상 단면을 갖는 봉재 형상의 엔진 지지대(12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엔진 지지대(120)는 선단부가 하측으로 절곡된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수직 지지대(140)에 의하여 상기 수평 지지대(130)에 결합된다. 엔진 지지대(120)가 수직 지지대(140)에 의하여 수평 지지대(130)에 결합된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수평 지지대(130)와 결합된 엔진 지지대(120)의 하측에는 ㄷ자형 잔넬로 이루어진 하단 지지대(190)가 앞서 설명한 단부 플레이트(160)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단부 플레이트(160)는 헤더 박스(100)의 양 측면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헤더 박스(100) 내부에는 수평 지지대(130), 엔진 지지대(120) 및 하단 지지대(190)로 이루어진 3개의 지지 부재에 의하여 강성으로 지지된다.
이 때, 도 6을 참조하면, 단부 플레이트(160)는 상기 수평 지지대(130), 엔진 지지대(120) 및 하단 지지대(190)를 각각 보강하기 위한 3개의 보강재(164, 166, 168)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평 지지대(130), 엔진 지지대(120) 및 하단 지지대(190)는 보다 견고하게 지지 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단부 플레이트(160)의 측판 상측부에는 수평 지지대(130)의 하측에 전선 통로(163)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전선 통로(163)는, 헤더 박스(100)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부 조립체(180)로부터 연장되는 전선 등이 통과될 수 있도록 측판(162)에 형성된 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선 통로(163)로 마련되는 홀의 위치 및 형태는 전선 등의 통과 위치 및 그 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구동부 조립체(180)는 엔진 지지대(120)에 접하는 엔진 지지판(181)과, 상기 엔진 지지판(181)에 설치된 모터 조립체(182), 구동 레일(184), 엔진 잠금 장치 조립체(186) 및 도어 행거 조립체(188)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는 PSD 조립체 모듈에 설치되는 가동 도어를 구동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 때,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 조립체(180)는 엔진 지지판(181)이 다수개의 체결 부재(185)에 의하여 엔진 지지대(120)의 체결홈(122) 및 수직 지지대의 체결홈(142)에 결합됨으로서 헤더 박스 내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엔진 지지대(120)가 구동부 조립체(180)를 배면측에서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구동부 조립체(180)가 뒤틀리지 않게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 조립체(180)의 전면에는 복수개의 전방 지지대(150)가 설치된다. 상기 전방 지지대(150)는 수직부(152) 및 후방 연장부(154)로 형성되며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수직부(152) 및 후방 연장부(154)에 형성된 다수개의 체결공(미도시)을 통하여 체결부재(156)가 수직 지지대(140)와 조립된다. 수직 지지대(140)는 수평 지지대(130)와 엔진 지지대(120)를 결합하여, 격자 구조를 구성함으로써 견고한 헤더 박스(100) 내부를 구성하게 된다. 이를 통해 구동부 조립체가 지하철 내부의 내풍압 혹은 지진 등과 같은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안전하게 작동가능하도록 보호될 수 있다. 전방 지지대(150)는 헤더 박스(100) 내부 하단 지지대(190)와 연결되어 구동부 조립체(180)를 전방에서 보호하고 고정 도어 및 비상 도어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전방 지지대(150)와 수직 지지대(140)가 전후방에서 구동부 조립체(180)를 둘러싸도록 형성됨으로써 헤더 박스(100) 내부에 설치된 구동부 조립체(180)가 견고하게 고정되며, 또한 지하철 내부의 내풍압 혹은 지진 등과 같은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안전하게 작동가능하도록 보호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엔진 지지판(181)에 설치된 구동부 조립체(180)를 헤더 박스(100) 내부로부터 분리하는 것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지지대(140)의 전방면에 설치된 유압 실린더(112)에 연결된 헤더 박스 전면 커버(110)를 상측으로 개방한 후, 전방 지지대(150)를 분리하고, 그 후 구동부 조립체(180)를 엔진 지지 대(120)로부터 분리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의 헤더 박스는 이와 같이 헤더 박스 내부의 엔진 지지대로부터 구동부 조립체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구동부 조립체의 교체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의 헤더 박스 내부에 설치되는 전방 지지대 및 수직 지지대는 4개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었으나, 이와 같이 헤더 박스 내부에 설치되는 전방 및 수직 지지대의 개수 및 설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가능할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의 수직 지지부(200) 및 상기 수직 지지부(200)에 연결되는 베이스 프레임(320)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의 수직 지지부(200) 및 상기 수직 지지부(200)에 연결되는 베이스 프레임(320)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에 사용되는 수직 지지부(200) 한쌍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에 사용되는 수직 지지부(200) 한쌍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10에서 D-D'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의 수직 지지부(200)는 수직 포스트(210) 및 상기 수직 포스트(210)의 하측단에 형성된 베이스 연결 플레이트(230)로 형성된다.
상기 수직 포스트(210)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ㄷ자형 단면을 갖는 잔넬(211) 및 상기 ㄷ자형 잔넬(211)의 양 선단부에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연결판(213)으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ㄷ자형 잔넬(211)의 모서리부에는 복수개의 절개 홀(2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개홀(212)과 마주보는 연결판(213)의 위치에는 결합홀(2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ㄷ자형 잔넬(211) 및 연결판(213)의 상측부에는 전선 통로(2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수직 포스트의 연결판(2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의 측면 벽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PSD 조립체 모듈이 지하철 역사에 설치될 경우 나란히 배치되는 PSD 조립체 모듈의 연결판(213)은 이웃하는 PSD 조립체의 측면 벽으로 형성되는 연결판과 접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의 수직 지지부(200)는 한쌍의 수직 포스트(210)의 연결판(213)이 서로 접하여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PSD 조립체 모듈의 수직 포스트의 연결판(213)은, 조립되어 설치시 이웃하는 연결판과 인접하여 결합홀(220)이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이 때, 서로 접하는 결합홀(220)에 나사와 같은 체결 부재(270)를 이용하여 양측의 연결판(213)을 결합시킴으로써 한쌍의 수직 포스트(210)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도 1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수직 포스트(210)를 결합 시키는 체결 부재(270)는 수직 포스트(210)의 내측에 위치되며 수직 포스트(2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이는 체결 부재(270)가 위치되는 수직포스트(210)의 연결판에 결합홀(220)을 형성할 때, 이를 둘러싼 ㄷ자형 잔넬(211)에 절개홀(212)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결합홀(220)을 위치시켰기 때문이다.
한편,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수직 포스트(210)의 하측단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베이스 연결 플레이트(230)가 마련된다. 상기 베이스 연결 플레이트(230)는 수직 지지부(200)를 베이스 프레임(320)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베이스 연결 플레이트(230)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결합홀(232) 및 돌기부(233)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개의 결합홀(232)은 베이스 연결 플레이트(230)가 베이스 프레임(320)에 결합되었을 때 후술하는 베이스 프레임(320)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홀(327)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기부(233)는 수직 포스트(210)가 베이스 프레임(320)에 결합되었을 때, 수직 포스트(210)와 베이스 프레임(320)이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베이스 연결 플레이트(230)가 베이스 프레임(320)으로 더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돌출된 스토퍼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한편, 도 10 및 도 11을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이 현장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호 결합된 한쌍의 수직 포스트(210)에는 프레임 전방 커버(240)와 프레임 후방 커버(250)가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 전방 커버(240)와 프레임 후방 커버(250)는 최종적으로 설치되는 PSD 조립체의 외관을 이룬다.
이 때, 프레임 전방 커버(240)는 나사와 같은 체결 부재(242)에 의하여 수직 포스트(2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전방 커버(240)의 전면에는 강화 유리(260)가 마련되어 외측 미관을 수려하게 한다.
이 때, 상기 강화 유리(260)의 상측에는 상측 덮개(262)를 위치시켜 필요에 따라 덮개가 열릴 수 있도록 함으로서 외부로부터 수직 지지부(200)의 내측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의 베이스 프레임의 단면도로서, 도 9에서 B-B'의 단면도이다. 도 13는 베이스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의 베이스 프레임(320)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베이스 프레임(320)은 내부가 빈 공간부(332)가 마련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332) 하측에는 후술하는 수직 지지부(200)의 베이스 연결 플레이트(2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수용부(3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334)는 하측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수용부(334) 하측 양 단부는 바닥부 전면(322)과 바닥부 후면(323)이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후술하는 판재 형상의 베이스 연결 플레이트(2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상면의 일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요홈부(324)가 형성된다. 상기 요홈부(324)는 중간 기둥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부, 고정 도어 및 비상 도어를 베이스 상면에 고성하기 위한 구성부이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프레임(320)의 후방 단부에는 후방측으로 개방된 레일 가이드부(326)가 형성된다. 상기 레일 가이드부(326)는 가동 도어의 후방측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 바퀴를 가이드 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한편, 도 13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 프레임(320)의 양 단부 측에는 수직 지지부(200)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홀(327) 및 베이스 프레임(320)을 바닥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가 결합되는 결합홀(325)이 복수개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 베이스 프레임(320)의 형성은 가공이 용이한 알루미늄과 같은 재료의 압출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알루미늄과 같은 가벼운 재료를 사용하면, 전체 하중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PSD 조립체 모듈의 하측 부분의 무게가 경감되기 때문에 하측 부분의 무게로 인한 모듈 전체의 비틀림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도 14는 수직 지지부(200)와 베이스 프레임(320)이 결합되는 상태도이다. 보다 상세히, 수직 지지부(200)의 하측단에 형성된 베이스 연결 플레이트(230)는 베이스 프레임(320)의 단부에 형성된 수용부(334)에 끼움 결합된다. 이와 같이 끼워진 베이스 연결 플레이트(230)는 베이스 프레임(320)의 단부에 돌기부(233)가 접할 때까지 끼워진다.
이와 같이 베이스 연결 플레이트(230)가 베이스 프레임(320)에 끼워진 상태에서 베이스 프레임(320)의 결합홀(327)은 베이스 연결 플레이트(230)의 결합 홀(232), 및 베이스 프레임(320)의 공간부(332)에 삽입되는 고정 보강판(328)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체결부재(344)를 삽입하여 베이스 프레임(320)과 베이스 연결 플레이트(23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 때, 고정 보강판(328)은 연결 플레이트(230)가 베이스 프레임(320)에 연결될 때, 연성 재질인 베이스 프레임(320)을 보강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견고함을 증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이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간단한 방법으로 베이스 프레임(320)과 수직 지지부(200)를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의 조립 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헤더 박스(100) 조립체를 조립한다. 이 때, 도 4를 참조하여, 헤더 박스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수평 지지대(130)를 수직 지지부(200)에 연결하고, 수평 지지대(130)와 연결된 수직 지지부(200)에 엔진 지지대(120)를 일체로 연결한다.
그 후, 엔진 지지대(120)에 구동부 조립체(180)를 연결하고 전방 지지대(150)를 연결한 후 헤더 박스(100)의 측면을 형성하는 단부 플레이트(160)를 수평 지지대(130)와 엔진 지지대(120)에 연결한다.
그 후, 단부 플레이트(160)에 하단 지지대(190)를 연결하고, 헤더 박스(100)의 전면 커버(110)를 헤더 박스 전면에 부착함으로써 헤더 박스(100)의 조립을 완성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이와 같은 헤더 박스(100)의 조립과 별개로 베이스 프레임(320)과 수직 지지대(140)를 결합시킨다.
이 때 베이스 프레임(320)과 수직 지지대(140)의 결합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직 지지대(140)의 베이스 연결 플레이트(도 9의 230)를 베이스 프레임(320) 측면에 끼움 결합시키고 체결부재를 체결함으로써 간단하게 달성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조립된 헤더 박스(100) 조립체를 매단 후 상기 헤더 박스(100) 조립체에 베이스 프레임(320)과 수직 지지대(140)를 결합함으로서 골격 프레임을 완성한다.
그 후 베이스 프레임(320)에 플로어(310)를 설치한다. 상기 플로어(310)가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320)에 중간 기둥(60)을 플로어(310) 및 헤더 박스(100) 사이에 설치한다. 그 후 고정 도어(20), 가동 도어(40) 및 비상 도어(30)로 형성되는 창호를 모듈 조립체에 설치한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1유닛에 해당하는 PSD 조립체 모듈(10)의 조립이 완성될 수 있다.
도 15에는 이상과 같은 구성 및 조립 공정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10)을 상부 골조(400)와 연결함으로서 설치 위치에 설치하기 위한 구성도가 도시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이 설치 위치에 설치된 상태에서 수직 지지부(20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7은 수직 지지부(200) 및 헤더 박스(100) 내의 수평 지지대(130), 엔진 지지대(120) 및 하단 지지대(190)가 인접한 PSD 조립체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에서는 도면의 간략화를 위하여 수직 지지부(200)와 수평 지지대(130), 엔진 지지대 (120) 및 하단 지지대(190) 만을 도시하였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10)을 설치 위치에 설치하는 것은, 예를 들어, 지하철 승강장의 단부와 같은 PSD 조립체의 설치 위치(2)에 PSD 조립체 설치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고, 앵커(4)를 설치하여 PSD 조립체(10)의 위치를 고정시킨 후, 상부 골조(400)를 연결함으로써 달성된다.
이 때, 상부 골조(400)는 PSD 조립체의 상측 양단부에 결합되는 수직 보강부(410), 상기 수직 보강부(410)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가로 보강부(42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다수개의 가로 보강부(420)는 중앙의 수직 연결부(430)에 의하여 상호 나란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로 보강부(420)의 양단에는 연결편(422)이 마련된다. 상기 연결편(422)은 수직 보강부(410)에 형성된 대응하는 연결편(416)과 체결부재(424)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수직 보강부(410) 상단부에는 고정편(411)이 위치되고, 상기 고정편(411)에는 결합홀(412)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홀(412)에는 앵커(414)가 체결되며, 이를 통해 가로 보강부(420) 및 수직 보강부(410)가 천장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이와 같이 설치 장소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이 수직 지지부(200)가 앵커(334)에 의하여 바닥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바닥에 위치고정되는 앵커(334)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서 PSD 조립체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발생되는 미세한 높낮이의 공차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이 이웃하는 PSD 조립체와 연결되는 경우, 내부적으로는 복수개의 체결 부재(270)에 의하여 PSD 조립체 모듈의 기본 골격을 형성하는 사각 형상의 수평 지지대(130), 엔진 지지대(120) 및 하단 지지대(190)가 단부 플레이트(160)에 의해서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단부 플레이트(160)가 수직 포스트(210)에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외부적으로는 한쌍의 수직 포스트(210)가 복수 개의 체결 부재(270)에 의하여 견고하게 상호 연결되고, 연결 부위에서 상호 대칭 구조를 이룸으로써 균형잡힌 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설치 장소에 설치된 복수 개의 PSD 조립체 모듈이 복수 개의 모듈 전체가 마치 일체를 이룬 것처럼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PSD 구조체에 비하여 가볍고 콤팩트하면서도 강한 지지 강성을 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을 구성요소 별로 분해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의 골격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의 헤더 박스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헤더 박스의 구성 요소 일부가 조립된 상태도,
도 6은 도 4의 헤더 박스에 사용되는 단부 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7은 도 2에서 A-A'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의 헤더 박스 내부에 구동부 조립체를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의 수직 포스트와 베이스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에서 C의 확대도로서, 수직 포스트와 베이스 프레임이 결합되는 상태도,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의 수직 포스트 및 이를 둘러싸는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9의 B-B'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의 베이스 프레임의 단면도,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의 베이스 프레임의 평면도,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의 수직 포스트가 결합된 상태에서 도 12의 D-D' 부분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이 천장 연결부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의 수직 포스트가 바닥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D 조립체 모듈의 수직 포스트가 바닥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PSD 조립체 20 고정문
30 비상문 60 중간 기둥
100 헤더 박스 120 엔진 지지대
130 수평 지지대 140 수직 지지대
150 전방 지지대 160 단부 플레이트
180 구동부 조립체 190 하단 지지대
200 수직 지지부 210 수직 포스트
240 프레임 전방 커버 250 프레임 후방 커버
260 강화 유리 300 도어턱
310 플로어 320 베이스 프레임
350 도어턱 보강재 400 상부 골조
410 수직 보강부 420 가로 보강부
430 수직 연결부

Claims (28)

  1.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사각 기둥 형상의 수평 지지대, 상기 수평 지지대의 하측에 위치되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사각 기둥 형상의 엔진 지지대, 상기 엔진 지지대의 하측에 위치되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ㄷ자형 보강 잔넬 및 상기 엔진 지지대에 의하여 지지되며 PSD의 가동 도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가 내장된 헤더 박스;
    상기 헤더 박스 양측에 상측부가 결합되어 상기 헤더 박스를 지지하는 한 쌍의 수직 지지부;
    상기 한 쌍의 수직 지지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는, PSD 조립체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지지대의 단부를 보강하기 위한 제 1 보강재, 상기 엔진 지지대의 단부를 보강하기 위한 제 2 보강재 및 상기 ㄷ자형 보강 잔넬의 단부를 보강하기 위한 제 3 보강재를 구비한 단부 플레이트가 상기 수평 지지대, 상기 엔진 지지대 및 상기 ㄷ자형 보강 잔넬의 단부에 결합되는, PSD 조립체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플레이트가 상기 헤더 박스의 측면을 형성하는, PSD 조립체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부는 상기 단부 플레이트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헤더 박스와 결합되는, PSD 조립체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부는 하측단부에 베이스 연결 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연결 플레이트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는, PSD 조립체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부는,
    상기 수평 지지대에 상측부가 결합되고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ㄷ자형 잔넬 및 상기 ㄷ자형 잔넬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PSD 조립체의 측면을 형성하는 연결판으로 이루어진 수직 포스트를 포함하는, PSD 조립체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ㄷ자형 잔넬에는 절개 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판에는 상기 절개 홀과 마주보는 위치에 체결 부재가 결합되는 체결 홀이 형성된, PSD 조립체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 홀은 다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절개 홀은 상기 ㄷ자형 잔넬의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PSD 조립체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알루미늄 압출재로 형성되는, PSD 조립체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수직 지지부의 일측이 끼움 결합가능하도록 수용홀이 형성된, PSD 조립체 모듈.
  11.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사각 기둥 형상의 수평 지지대;
    상기 수평 지지대 양 단부에 상측부가 결합되어 상기 수평 지지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수직 지지부;
    상기 한 쌍의 수직 지지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수평 지지대의 하측에 위치되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사각 기둥 형상의 엔진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 지지대 및 상기 엔진 지지대는 복수 개의 수직 지지대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되는, PSD 조립체 모듈.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지지대는 상기 PSD 조립체의 구동부가 내장된 헤더 박스 내부에 위치되는, PSD 조립체 모듈.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지지대의 단부에는 보강재가 형성되어 있는, PSD 조립체 모듈.
  14. 삭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지지대의 단부에는 보강재가 형성되어 있는, PSD 조립체 모듈.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지지대의 하측에 위치되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ㄷ자형 보강 잔넬을 더 포함하는, PSD 조립체 모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ㄷ자형 보강 잔넬의 단부에는 보강재가 형성되는, PSD 조립체 모듈.
  18. 삭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지지대의 단부를 보강하기 위한 제 1 보강재, 상기 엔진 지지대의 단부를 보강하기 위한 제 2 보강재 및 를 상기 ㄷ자형 보강 잔넬의 단부를 보강하기 위한 제 3 보강재를 구비한 단부 플레이트가 상기 수평 지지대, 상기 엔진 지지대 및 상기 ㄷ자형 보강 잔넬의 단부에 결합되는, PSD 조립체 모듈.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플레이트는 상기 PSD 조립체의 구동부가 내장된 헤더 박스의 측면을 형성하는, PSD 조립체 모듈.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부는 상기 단부 플레이트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헤더 박스와 결합되는, PSD 조립체 모듈.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부는 상기 단부 플레이트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수평 지지대와 결합되는, PSD 조립체 모듈.
  2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부는 하측단부에 베이스 연결 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연결 플레이트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는, PSD 조립체 모듈.
  2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부는 상기 수평 지지대에 상측부가 결합되는 ㄷ자형 잔넬 및 상기 ㄷ자형 잔넬의 선단부에 형성된 연결판으로 이루어진 수직 포스트를 포함하는, PSD 조립체 모듈.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ㄷ자형 잔넬에는 절개 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판에는 상기 절개 홀과 마주보는 위치에 체결 부재가 결합되는 체결 홀이 형성된, PSD 조립체 모듈.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 홀은 다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절개 홀은 상기 ㄷ자형 잔넬의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PSD 조립체 모듈.
  2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알루미늄 압출재로 형성되는, PSD 조립체 모듈.
  2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수직 지지부의 일측이 끼움 결합가능하도록 수용홀이 형성된, PSD 조립체 모듈.
KR1020080039407A 2008-04-28 2008-04-28 Psd 조립체 모듈 KR100912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407A KR100912491B1 (ko) 2008-04-28 2008-04-28 Psd 조립체 모듈
CN200810183151XA CN101571027B (zh) 2008-04-28 2008-12-12 模块化站台屏蔽门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407A KR100912491B1 (ko) 2008-04-28 2008-04-28 Psd 조립체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2491B1 true KR100912491B1 (ko) 2009-08-17

Family

ID=41209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9407A KR100912491B1 (ko) 2008-04-28 2008-04-28 Psd 조립체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12491B1 (ko)
CN (1) CN101571027B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349B1 (ko) 2010-11-23 2012-11-14 주식회사 보성알앤디 모듈 및 세미모듈형 다기능성 플랫폼 스크린 도어용 프레임 유니트
KR101201358B1 (ko) 2011-01-28 2012-11-20 주식회사 보성알앤디 다기능성 psd 조립체 모듈
KR200464709Y1 (ko) 2010-11-09 2013-01-15 주식회사 보성알앤디 매립형 광고판을 가지는 스크린도어 모듈
KR200464708Y1 (ko) 2011-05-04 2013-01-16 주식회사 보성알앤디 Psd 조립체 모듈의 프레임 연결 구조
KR101263564B1 (ko) 2011-05-16 2013-05-13 주식회사 보성알앤디 Psd 조립체 모듈용 보강프레임
KR101263570B1 (ko) 2011-05-04 2013-05-15 주식회사 보성알앤디 Psd 조립체 모듈에 사용되는 수직프레임 커버 구조
KR101530063B1 (ko) * 2015-02-09 2015-06-22 신성에스앤티 주식회사 지하철 플렛폼 스크린도어의 헤드박스
KR102046459B1 (ko) * 2019-06-03 2019-11-20 신판주 스크린도어의 프레임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플랫폼 스크린 도어
KR102640764B1 (ko) * 2023-02-23 2024-02-27 (주)알에스테크 철도 차량용 도어 및 psd 구동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204B1 (ko) * 2013-03-22 2014-02-06 김현상 실석쇠
JP6968494B2 (ja) * 2017-03-15 2021-11-17 三菱電機株式会社 可動ホーム柵
DE102017220244A1 (de) * 2017-11-14 2019-05-16 Geze Gmbh Modulare Antriebsvorrichtung
FR3075244B1 (fr) * 2017-12-20 2022-11-04 Faiveley Transp Tours Dispositif et procede de calage d'un seuil de porte paliere
CN108487828A (zh) * 2018-01-23 2018-09-04 罗弟容 多功能屏蔽门
CN108561041B (zh) * 2018-04-03 2020-04-17 宣城市创道智能技术开发有限责任公司 一种轨道交通用屏蔽门
CN109138751B (zh) * 2018-09-14 2024-02-20 浙江创嘉机电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屏蔽门导向装置
CN110356420A (zh) * 2019-07-26 2019-10-22 宁波中车时代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模块化站台门
CN110359820B (zh) * 2019-07-26 2021-08-31 宁波中车时代传感技术有限公司 一种一体式站台门顶箱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524Y1 (ko) * 2005-08-31 2005-11-17 (주) 아원기연 승강장 안전장치 조립체
KR200421710Y1 (ko) 2006-04-20 2006-07-14 (주) 아원기연 스크린 도어 수직 지주 장치
KR100768791B1 (ko) 2006-09-11 2007-10-19 삼중테크 주식회사 지상 승강장용 플랫폼스크린도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5630A (en) * 1996-01-25 2000-11-14 Friedman; Harold S. Sliding elevator-door assembly and method of installation
CN2404777Y (zh) * 1999-11-26 2000-11-08 方大集团股份有限公司 地铁站台屏蔽门顶盒
CN2416219Y (zh) * 2000-04-11 2001-01-24 方大集团股份有限公司 屏蔽门单元框架结构
KR100711963B1 (ko) * 2007-01-15 2007-05-02 서윤산업(주) 모듈화된 psd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524Y1 (ko) * 2005-08-31 2005-11-17 (주) 아원기연 승강장 안전장치 조립체
KR200421710Y1 (ko) 2006-04-20 2006-07-14 (주) 아원기연 스크린 도어 수직 지주 장치
KR100768791B1 (ko) 2006-09-11 2007-10-19 삼중테크 주식회사 지상 승강장용 플랫폼스크린도어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709Y1 (ko) 2010-11-09 2013-01-15 주식회사 보성알앤디 매립형 광고판을 가지는 스크린도어 모듈
KR101201349B1 (ko) 2010-11-23 2012-11-14 주식회사 보성알앤디 모듈 및 세미모듈형 다기능성 플랫폼 스크린 도어용 프레임 유니트
KR101201358B1 (ko) 2011-01-28 2012-11-20 주식회사 보성알앤디 다기능성 psd 조립체 모듈
KR200464708Y1 (ko) 2011-05-04 2013-01-16 주식회사 보성알앤디 Psd 조립체 모듈의 프레임 연결 구조
KR101263570B1 (ko) 2011-05-04 2013-05-15 주식회사 보성알앤디 Psd 조립체 모듈에 사용되는 수직프레임 커버 구조
KR101263564B1 (ko) 2011-05-16 2013-05-13 주식회사 보성알앤디 Psd 조립체 모듈용 보강프레임
KR101530063B1 (ko) * 2015-02-09 2015-06-22 신성에스앤티 주식회사 지하철 플렛폼 스크린도어의 헤드박스
KR102046459B1 (ko) * 2019-06-03 2019-11-20 신판주 스크린도어의 프레임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플랫폼 스크린 도어
KR102640764B1 (ko) * 2023-02-23 2024-02-27 (주)알에스테크 철도 차량용 도어 및 psd 구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71027B (zh) 2012-07-18
CN101571027A (zh) 200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2491B1 (ko) Psd 조립체 모듈
KR101030093B1 (ko) 투명 방음벽
KR101734580B1 (ko) 자동차용 센터필러 패널
JP5730415B2 (ja) 鉄道車両
KR101267050B1 (ko) 방음터널 대체용 방음벽
EA027653B1 (ru) Рама для кабины пассажирского или грузового лифта, кабина лифта и пассажирский или грузовой лифт
CN114876919B (zh) 伸缩侧壁组件及伸缩轿厢
KR100913340B1 (ko) 투명방음판넬의 투명판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벽
CN210887683U (zh) 具有大跨度洞口的装配式墙体框架
KR102345446B1 (ko) 슬라이드 결합 방식을 가지는 친환경 경량 패널 어셈블리 및 이의 시공방법
CN104512482A (zh) 车身构造
JP5199945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KR102475534B1 (ko) 하중저감 기능을 갖는 분리형 방음벽
KR101352774B1 (ko) 조립식 터널용 방음벽
KR200470324Y1 (ko) 레일식 와이드뷰 투명방음벽
KR100979552B1 (ko) 방음벽용 방음판 체결장치
JP5063210B2 (ja) 建物
KR100935010B1 (ko) 강성이 향상된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창호
KR101201358B1 (ko) 다기능성 psd 조립체 모듈
KR102401650B1 (ko) 조립구조로 이루어진 파티션 연결구
KR102046459B1 (ko) 스크린도어의 프레임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플랫폼 스크린 도어
KR100854392B1 (ko) 전동차의 알루미늄 단부 골조의 구조
CN213596829U (zh) 一种声屏障检修安全门
KR102412712B1 (ko) 방음벽의 하중변화에 따른 하중 분리 보강형 유지보수 투명 방음판
CN210562829U (zh) 具有小跨度洞口的装配式墙体框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