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1349B1 - 모듈 및 세미모듈형 다기능성 플랫폼 스크린 도어용 프레임 유니트 - Google Patents

모듈 및 세미모듈형 다기능성 플랫폼 스크린 도어용 프레임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1349B1
KR101201349B1 KR1020100117126A KR20100117126A KR101201349B1 KR 101201349 B1 KR101201349 B1 KR 101201349B1 KR 1020100117126 A KR1020100117126 A KR 1020100117126A KR 20100117126 A KR20100117126 A KR 20100117126A KR 101201349 B1 KR101201349 B1 KR 101201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rizontal
vertical
modular
vertic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7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5399A (ko
Inventor
배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성알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성알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성알앤디
Priority to KR1020100117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1349B1/ko
Publication of KR20120055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5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1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1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12Metal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 및 세미모듈형 다기능성 플랫폼 스크린 도어용 프레임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공장에서의 모듈화 조립을 통한 이송뿐만 아니라, 모듈화이송이 불가능한 현장에서의 직접적인 조립이 가능할 수 있는 세미모듈 타입의 프레임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모듈 및 세미모듈형 다기능성 플랫폼 스크린 도어용 프레임 유니트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수평프레임 및 일측이 상기 수직프레임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수평프레임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을 연결시키는 연결프레임을 구비하는 플랫폼 스크린 도어의 프레임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과 연결프레임의 대향하는 면들 중 어느 일면에 형성된 가이드핀과 다른 일면에 형성된 위치정렬홈을 구비하여서, 상기 가이드핀이 위치정렬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프레임과 연결프레임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핀과 위치정렬홈에 의하여 상기 수평프레임 측으로부터 연결프레임을 통해 수직프레임에 전달되는 하중이 분산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듈 및 세미모듈형 다기능성 플랫폼 스크린 도어용 프레임 유니트{Platform Screen Door frame unit for module type and semi-module type}
본 발명은 모듈 및 세미모듈 타입의 시공이 가능한 플랫폼 스크린 도어용 프레임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작업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으며 하중 분산에 의한 제품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스크린 도어의 프레임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플랫폼 스크린 도어용 프레임 유니트는 공장에서 조립을 완료한 후 현장으로 이송하여 직접 설치가 가능한 모듈타입임과 동시에, 현장에서도 조립 및 시공이 가능할 뿐 아니라 현장에서의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켜 세미모듈 타입 조립 및 시공도 가능한 다기능성 플랫폼 스크린 도어용 프레임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플랫폼 스크린 도어(Platform Screen Door: 이하 PSD라 칭함)는 지하철 차량의 출입구와 승강장 끝단을 연결하는 안전 자동문으로서, 지하철의 운행과 관련하여 승객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지하철 승강장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PSD는 종래에 스크린 도어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품을 지하철 역사로 운반하여 개별 부품을 현장에서 조립 후 형성되기 때문에, 오픈된 공간이 아닌 지하도의 특수한 작업환경 때문에 각 스크린 도어를 구성하는 부품별 모듈화 및 이러한 부품들 간의 조립작업성이 더욱 편리할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제품개발의 요구에 부응한 일례에 관한 일부 구성이 도 1에 잘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등록특허 제10-0912491호에 개시된 발명의 전제척인 골격을 형성하는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과 연결프레임의 분리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PSD의 프레임 유니트는, 수직프레임(200), 그 수직프레임(200)에 결합되는 연결프레임(160) 및 상기 연결프레임(16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수직프레임(200)에 연결되는 수평프레임(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PSD의 프레임 유니트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수직프레임(200)과 수평프레임(130)과 연결프레임(160)은, 각각 볼트로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수평프레임(130) 측으로부터 연결프레임(160)을 통해 수직프레임(200)에 전달되는 하중이 각 볼트에 집중됨으로써 응력집중에 의한 부품의 휘어짐 또는 튀틀림이 발생하여 제품을 오랫동안 사용하지 못하고 자주 수리 또는 교체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을 초래한다.
또한, 현장에서 각 부품별 조립작업시에 종래기술에는 상기 수직프레임(200)과 연결프레임(160) 간의 결합을 가이드하기 위한 수단 및 연결프레임(160)과 수평프레임(130) 간의 결합을 가이드하기 위한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부품별 조립작업의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프레임 유니트는 대부분이 공장에서 모듈로 조립을 완료한 후에, 일체화된 모듈을 현장으로 이송하여 설치하는 타입이었다. 다만, 이러한 모듈형 프레임 유니트의 경우에는 장소 및 공간 특징에 따라 조립 모듈이 현장으로의 이송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적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공장에서의 일체형 조립 모듈 타입임과 동시에, 경우에 따라 조립 모듈 형태로 현장으로 이송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개별 부품으로 이송된 후, 현장에서 조립이 가능한 세미 모듈 타입의 프레임 유니트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세미 모듈 타입의 프레임 유니트의 경우에는 현장에서의 조립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것이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일반적인 경우에는 공장에서 일체형 모듈 타입으로 조립이 된 후 현장으로 이송되어 설치되면서, 모듈형태로 이송이 불가능한 현장에서는 개별 부품으로 이송된 후 조립 및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져 세미모듈 타입으로의 적용이 가능한 다기능성 플랫폼 스크린 도어용 프레임 유니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부품별 조립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수평프레임 측으로부터 수직프레임에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모듈 및 세미모듈형 다기능성 플랫폼 스크린 도어용 프레임 유니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모듈 및 세미모듈형 다기능성 플랫폼 스크린 도어용 프레임 유니트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수평프레임 및 일측이 상기 수직프레임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수평프레임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을 연결시키는 연결프레임을 구비하는 플랫폼 스크린 도어의 프레임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과 연결프레임의 대향하는 면들 중 어느 일면에 형성된 가이드핀과 다른 일면에 형성된 위치정렬홈을 구비하여서, 상기 가이드핀이 위치정렬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프레임과 연결프레임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핀과 위치정렬홈에 의하여 상기 수평프레임 측으로부터 연결프레임을 통해 수직프레임에 전달되는 하중이 분산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핀과 위치정렬홈은, 상기 수직프레임에 전달되는 하중의 분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프레임의 상기 수평프레임과의 결합을 위한 연결측 리브와 상기 수평프레임의 연결프레임과의 결합을 위한 수평측 리브는, 상하방향의 축선을 따라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결측 리브의 상면에 상기 수평측 리브의 하면이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연결프레임과 수평프레임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프레임은, 상기 수평측 리브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상기 연결측 리브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형성시키는 복수의 보강리브들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모듈 및 세미모듈형 다기능성 플랫폼 스크린 도어용 프레임 유니트는, 일반적인 경우에는 공장에서 일체형 모듈 타입으로 조립이 된 후 현장으로 이송되어 설치되면서, 모듈형태로 이송이 불가능한 현장에서는 개별 부품으로 이송된 후 조립 및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세미모듈 타입의 플랫폼 스크린 도어용 프레임 유니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듈화 조립 및 현장 조립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직프레임과 연결프레임이 서로 볼트에 의해 결합되기 이전에 가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하도 현장에서의 작업자의 조립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과 수평프레임 측으로부터 수직프레임에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킴으로써 제품을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플랫폼 스크린 도어의 전제척인 골격을 형성하는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과 연결프레임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 도어의 프레임 유니트의 채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Ⅳ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구성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 및 세미모듈형 다기능성 플랫폼 스크린 도어용 프레임 유니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 및 세미모듈형 다기능성 플랫폼 스크린 도어용 프레임 유니트의 채용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Ⅳ부분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구성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모듈 및 세미모듈형 다기능성 플랫폼 스크린 도어(Platform Screen Door: 이하 PSD라 칭함)의 프레임 유니트는, 도 1에 도시된 플랫폼 스크린 도어(1)의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수직프레임(10)과 수평프레임(14)과 연결프레임(12)과 가이드핀(10a)과 위치정렬홈(12a)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프레임(10)은, 상기 PSD(1)의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수평프레임(14)은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프레임(12)을 통해 상기 수직프레임(10)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프레임(12)은, 일측이 상기 수직프레임(10)에 결합되고 타측이 수평프레임(14)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수직프레임(10)과 수평프레임(14)을 서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도 3 및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10)과 연결프레임(12) 간의 조립작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가이드핀(10a)과 위치정렬홈(12a)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핀(10a)은, 상기 수직프레임(10)에 마련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0)의 연결프레임(12)과 대향하는 일면 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위치정렬홈(12a)은 연결프레임(12) 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핀(10a)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가이드핀(10a)과 위치정렬홈(12a)을 구비하는 본 발명은, 상기 수직프레임(10)과 연결프레임(12)이 서로 볼트(B)에 의해 결합되기 이전에 가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하도 현장 및 모듈화되어 이송이 불가능한 현장에서의 작업자의 조립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주요 특징 중의 하나는 모듈화되어 이송이 불가능한 현장에서의 작업자들의 조립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결합 구조에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현장에서 수직프레임(10)과 연결프레임(12)을 결합시키는 경우에 종래에는 각 프레임 간의 결합을 위한 가이드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최소한 두 명의 작업자들이 각각 수직프레임(10)과 연결프레임(12)을 잡아 두어야 하는 불편함이 초래되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먼저 수직프레임(10)의 가이드핀(10a)을 연결프레임(12)의 위치정렬홈(12a)에 삽입시켜 두고, 다음으로 수직프레임(10)과 연결프레임(12)을 서로 볼트(B)에 의해 결합시키는 과정이 수행되기 때문에 한 명의 작업자에 의해서도 원활한 조립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핀(10a)과 위치정렬홈(12a)을 구비하는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장점을 도출함은 물론 상기 수평프레임(14) 측으로부터 수직프레임(10)에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장점을 가진다.
즉, 종래기술에 의하면 수직프레임(도1 참조;200)과 연결프레임(도1 참조;160)이 볼트로 결합된 이후에는 상기 수평프레임(도1 참조;130)으로부터 수직프레임에 전달되는 하중 및 모멘트가 상기 볼트 측에 집중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볼트 측으로 응력이 집중되면, 수직프레임과 연결프레임과 볼트 간의 부품별 공차에 의하여 그 결합력 및 지지력이 약화됨에 따라 수직프레임이 수평프레임을 견고히 지탱하지 못하고 휘어지거나 뒤틀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수평프레임(14) 측으로부터 수직프레임(10)에 전달되는 하중 및 모멘트를, 상기 수직프레임(10)과 연결프레임(12)을 결합시키는 볼트(B) 이외에 가이드핀(10a) 측에 분산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제품을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도출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핀(10a)과 위치정렬홈(12a)에 의한 하중 분산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핀(10a)과 위치정렬홈(12a)이 각각 상기 수직프레임(10)과 연결프레임(12)의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제, 상기 연결프레임(12)과 수평프레임(14) 간의 결합을 위한 구성 및 이로 인해 도출되는 장점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PSD의 프레임 유니트는, 상기 연결프레임(12)과 수평프레임(14) 간의 결합을 위하여, 각각 연결측 리브(12b)와 수평측 리브(14a)와 보강리브(14b)들을 구비한다.
상기 연결측 리브(12b)는 상기 연결프레임(12)의 상측에 마련되고, 상기 수평측 리브(14a)는 상기 수평프레임(14)에 마련되는 것으로,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의 축선을 따라 위치된 상태에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상기 수평프레임(14)의 수평측 리브(14a)를 연결프레임(12)의 연결측 리브(12b)의 상면에 올려 놓은 이후에 볼트(B)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수평프레임(14)과 연결프레임(12) 간의 조립작업성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본 실시예는 상기 수평프레임(14)에, 상기 연결측 리브(12b)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그 연결측 리브(12b)를 수용하는 수용홈(14c)을 형성시키는 복수의 보강리브(14b)들가 구비됨으로써, 작업자가 더욱 편리하게 각 부품을 조립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종래기술에 의하면 수평프레임(도1 참조;130))과의 결합을 이루는 연결프레임(도1 참조;130))의 양측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프레임과 수평프레임 간의 볼트 결합을 위한 위치정렬이 그리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 5의 점선과 실선으로 도시된 조립과정으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상기 수평측 리브(14a)와 보강리브(14b)들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홈(14c)에 상기 연결측 리브(12b)를 위치시켜 놓음에 의해 상기 연결프레임(12)과 수평프레임(14)이 위치정렬이 이루어지게 되고, 그 다음에 연결프레임(12)과 수평프레임(14) 간의 볼트(B) 결합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현장에서의 조립작업의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6a,16b는 상기 수평프레임(14)과 연결프레임(12)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부품들을 폐쇄시키기 위한 헤드 커버이고, 18은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10)의 하측을 연결시키는 하부캡이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플랫폼 스크린 도어 10:수직프레임
10a:가이드핀 12:연결프레임
12a:위치정렬홈 12b:연결측 리브
14:수평프레임 14a:수평측 리브
14b:보강리브 14c:수용홈
B:볼트

Claims (4)

  1.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수평프레임 및 일측이 상기 수직프레임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수평프레임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을 연결시키는 연결프레임을 구비하는 플랫폼 스크린 도어의 프레임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10)과 연결프레임(12)의 대향하는 면들 중 어느 일면에 형성된 가이드핀(10a)과 다른 일면에 형성된 위치정렬홈(12a)을 구비하여서, 상기 가이드핀(10a)이 위치정렬홈(12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프레임(10)과 연결프레임(12)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핀(10a)과 위치정렬홈(12a)에 의하여 상기 수평프레임(14) 측으로부터 연결프레임(12)을 통해 수직프레임(10)에 전달되는 하중이 분산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결프레임(12)의 상기 수평프레임(14)과의 결합을 위한 연결측 리브(12b)와 상기 수평프레임(14)의 연결프레임(12)과의 결합을 위한 수평측 리브(14a)는, 상하방향의 축선을 따라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결측 리브(12b)의 상면에 상기 수평측 리브(14a)의 하면이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연결프레임(12)과 수평프레임(14)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및 세미모듈형 다기능성 플랫폼 스크린 도어용 프레임 유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핀(10a)과 위치정렬홈(12a)은, 상기 수직프레임(10)에 전달되는 하중의 분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및 세미모듈형 다기능성 플랫폼 스크린 도어용 프레임 유니트.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14)은, 상기 수평측 리브(14a)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상기 연결측 리브(12b)를 수용하는 수용홈(14c)을 형성시키는 복수의 보강리브(14b)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및 세미모듈형 다기능성 플랫폼 스크린 도어용 프레임 유니트.
KR1020100117126A 2010-11-23 2010-11-23 모듈 및 세미모듈형 다기능성 플랫폼 스크린 도어용 프레임 유니트 KR101201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126A KR101201349B1 (ko) 2010-11-23 2010-11-23 모듈 및 세미모듈형 다기능성 플랫폼 스크린 도어용 프레임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126A KR101201349B1 (ko) 2010-11-23 2010-11-23 모듈 및 세미모듈형 다기능성 플랫폼 스크린 도어용 프레임 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399A KR20120055399A (ko) 2012-05-31
KR101201349B1 true KR101201349B1 (ko) 2012-11-14

Family

ID=46270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7126A KR101201349B1 (ko) 2010-11-23 2010-11-23 모듈 및 세미모듈형 다기능성 플랫폼 스크린 도어용 프레임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134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158Y1 (ko) 2003-03-20 2003-06-28 주식회사 진성기업 개인사물함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의 결합구조
KR100912491B1 (ko) 2008-04-28 2009-08-17 주식회사 디유에이엔아이 Psd 조립체 모듈
KR101029152B1 (ko) 2010-09-15 2011-04-13 주식회사 엑사이엔씨 칸막이 패널 프레임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158Y1 (ko) 2003-03-20 2003-06-28 주식회사 진성기업 개인사물함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의 결합구조
KR100912491B1 (ko) 2008-04-28 2009-08-17 주식회사 디유에이엔아이 Psd 조립체 모듈
KR101029152B1 (ko) 2010-09-15 2011-04-13 주식회사 엑사이엔씨 칸막이 패널 프레임의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399A (ko) 201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7477B2 (en) Sliced assembly type contai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384706B1 (ko) 철골보 접합부
CN203728411U (zh) 内爬式塔机承重梁安装装置及内爬式塔机
CN204081078U (zh) 连接组件及模块化建筑
KR101872687B1 (ko) 무개공 외부코너 브라켓
CN103993659B (zh) 一种楼面结构模块及其拼装方法
KR101031299B1 (ko) 모듈러 건축물의 일체 거동을 위한 단위유닛모듈의 접합구조 및 그 방법
KR101201349B1 (ko) 모듈 및 세미모듈형 다기능성 플랫폼 스크린 도어용 프레임 유니트
KR101672469B1 (ko) 브래킷을 이용한 모듈러 시스템 접합구조, 이에 의한 모듈러 시스템 시공방법 및 모듈러 시스템
KR101507936B1 (ko) 지게차 이송용 거푸집 지그
CN105358414A (zh) 具有保险元件的架空式输送装置
CN103420256A (zh) 电梯轿厢上扶手装置和电梯轿厢上扶手设置方法
JP7072407B2 (ja) 移動式クレーン用車両フレームおよび移動式クレーン
CN218060703U (zh) 一种装配式混凝土梁柱节点
CN109811643A (zh) 钢锚梁结构及其安装方法
KR101201358B1 (ko) 다기능성 psd 조립체 모듈
US20060104741A1 (en) Bolted fastener for joining components
KR200455930Y1 (ko) 통신장비 캐비닛 결합용 브라켓
CN112942596A (zh) 装配式模块化钢框架模块间连接节点及连接方法
CN216973828U (zh) 一种模块化组合墙板
KR101824790B1 (ko) 콘크리트 보강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내진 강화 콘크리트 보강 제진 댐핑 시스템
CN212953805U (zh) 一种装配式建筑pc预制构件的吊装工具
KR102699254B1 (ko) 주택 모듈러 유닛의 결합 구조 및 시공 방법
CN209891045U (zh) 钢锚梁结构
CN215670136U (zh) 装配式模块化钢框架模块间连接节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