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1650B1 - 조립구조로 이루어진 파티션 연결구 - Google Patents

조립구조로 이루어진 파티션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1650B1
KR102401650B1 KR1020210078883A KR20210078883A KR102401650B1 KR 102401650 B1 KR102401650 B1 KR 102401650B1 KR 1020210078883 A KR1020210078883 A KR 1020210078883A KR 20210078883 A KR20210078883 A KR 20210078883A KR 102401650 B1 KR102401650 B1 KR 102401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panel
channel bar
partition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나
Priority to KR1020210078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16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61Details of connection of sheet panels to frame or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되는 복수의 패널이 연결되어 구성되는 파티션의 패널을 연결하는 파티션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 연결구는 채널바와 캡으로 구성되되, 상기 채널바는, 상기 패널의 단부가 맞닿는 장방형의 채널바바디와, 상기 채널바바디의 하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패널의 단부 후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제1커버부와, 상기 채널바바디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캡과 끼워질 수 있도록 내측을 향하도록 돌출된 한쌍의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채널바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캡바디와, 상기 캡바디의 중앙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돌기부가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캡바디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패널의 단부 전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제2커버부를 포함하여, 상기 채널바의 측면에 패널을 삽입하고 상기 돌기부를 상기 결합부에 끼워넣어 상기 캡을 상기 채널바의 상부에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패널을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구조로 이루어진 파티션 연결구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조립구조로 이루어진 파티션 연결구{PREFABRICATED CONNECTIONS OF PARTITION}
본 발명은 연속되는 복수의 패널이 연결되어 구성되는 파티션의 패널을 연결하는 파티션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 연결구는 채널바와 캡으로 구성되되, 상기 채널바는, 상기 패널의 단부가 맞닿는 장방형의 채널바바디와, 상기 채널바바디의 하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패널의 단부 후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제1커버부와, 상기 채널바바디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캡과 끼워질 수 있도록 내측을 향하도록 돌출된 한쌍의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채널바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캡바디와, 상기 캡바디의 중앙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돌기부가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캡바디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패널의 단부 전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제2커버부를 포함하여, 상기 채널바의 측면에 패널을 삽입하고 상기 돌기부를 상기 결합부에 끼워넣어 상기 캡을 상기 채널바의 상부에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패널을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구조로 이루어진 파티션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현재 건물 내부 또는 건물 외부의 미관을 고려하여 다양한 재질의 패널을 연결하여 형성하는 파티션을 구축하여 사용하기 위하여 프레임 및 하중지지 고정용 보강자재와 다양한 파티션 패널 고정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건물의 외벽에 유리로 이루어진 패널을 연결하여 유리벽을 형성하거나, 건물 내부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어 공간을 간접적으로 분리하거나, 천장과 맞닿는 높이로 형성하여 공간을 완전히 구분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파티션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공유오피스와 같이 한 공간을 나누어서 사용하고, 사용기간이 끝나면 공간의 재분배가 가능하도록 하려면 쉽게 설치하고 해체할 수 있는 파티션이 필요하다.
이러한 공간을 나누는 파티션을 설치하기 위해서, 각 패널 사이에 실링제를 충전하거나, 패널의 양측을 연결구 사이에 끼운 후 볼트나 체결구를 삽입하여 이중으로 고정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간극을 최소화하고 설치 공정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파티션 연결구가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파티션 연결은 복잡한 설치구조로 인해 숙련자만이 작업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유리벽 구조체의 경우 유지 보수에 문제점이 있다.
파티션을 천장높이까지 높게 형성하고자 할 때, 패널의 높이가 건물의 바닥에서 천장까지의 높이와 동일하므로, 패널을 교체하거나 수리하고자 할 때 파티션 연결구를 해제하여 분리해내야 하기 때문에, 일렬로 연결된 패널의 경우 일측에서부터 유지 보수가 필요한 패널이 연결된 곳까지 연속적으로 모두 분리해내야 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복잡한 체결 구조로 인해 파티션의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고, 한번 사용된 파티션 연결구나 패널은 체결을 위해 구멍을 뚫거나 볼트를 삽입하여 재사용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이 설치, 해체 및 재설치에 드는 비용이 많았다.
국내공개실용신안 제20-2016-0000181호(유리벽 구조체용 씰링 결합구 및 이를 이용한 유리벽 구조체) 국내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3115호 (파티션 연결용 프레임 조립구조 및 그구조에 사용되는 조립용부재)
본 발명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진 파티션 연결구는 패널을 연결하여 고정하는 파티션을 설치함에 있어서, 볼트결합이나 용접과 같은 직접적인 결합 없이 패널을 고정하여 시공이 간편하고 패널의 재활용이 가능한 파티션 연결구를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진 파티션 연결구는 일반적으로 파티션은 연속적으로 여러개의 패널을 연결하므로 그 중 어느 하나의 보수가 필요할 때, 보수가 필요한 패널과 연결된 파티션 연결구만을 분리해낼 수 있도록 구성하여 유지보수가 간편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연속되는 복수의 패널이 연결되어 구성되는 파티션의 패널을 연결하는 파티션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 연결구는 채널바와 캡으로 구성되되, 상기 채널바는, 상기 패널의 단부가 맞닿는 장방형의 채널바바디와, 상기 채널바바디의 하부에서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패널의 단부 후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커버부와, 상기 채널바바디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캡과 끼워질 수 있도록 내측을 향하도록 돌출된 한 쌍의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채널바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캡바디와, 상기 캡바디의 중앙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돌기부가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캡바디의 양 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패널의 단부 전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2커버부를 포함하여, 상기 채널바의 양 측면에 패널을 삽입하고 상기 돌기부를 상기 결합부에 끼워넣어 상기 캡을 상기 채널바의 상부에 결합하는 것으로 패널을 연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캡바디의 상단에서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결합바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바 중 어느 하나에 내측으로 파인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의 단부가 일측은 상기 결합부의 결합홈에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결합바의 단면에 접촉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채널바의 상단부에 상기 캡을 씌워 상기 제1커버부 및 제2커버부에 의해 상기 패널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채널바의 하부 또는 상기 캡의 상부에 상기 채널바 및 캡을 추가로 결합하여, 상기 제1커버부 및 제2커버부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패널을 수직으로 연결하여, 상기 패널을 수직으로 교차하거나, 파티션의 코너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진 파티션 연결구는 끼워맞춰서 조립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파티션 시공시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이 적어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진 파티션 연결구는 채널바와 캡이 분리되어 패널에 보수가 필요한 경우에 패널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더라도 특정 위치에서 채널바와 캡만을 쉽게 분리하여 보수가 필요한 패널만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진 파티션 연결구는 벽체와 연결구 사이에 볼트결합이나 접착제, 용접 등과 같은 직접적인 결합이 없어 파티션 연결구와 벽체를 분리한 후 다시 조립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 연결구의 채널바와 캡의 분리 및 조립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채널바가 고정된 상태에서 채널바에 패널이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채널바에 패널이 삽입된 상태에서 캡을 채널바의 상부에 끼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채널바의 양측에 패널이 삽입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채널바의 양측에 패널이 삽입된 상태에서 캡을 채널바의 상부에 끼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파티션 연결구를 이용하여 패널을 수직으로 연결하여 파티션의 코너를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파티션 연결구를 이용하여 패널을 수직으로 연결하여 세개의 패널을 'T'형태로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파티션 연결구를 이용하여 패널을 수직으로 연결하여 네개의 패널을 '+'형태로 교차하여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파티션 연결구를 이용하여 패널을 고정한 후, 피스로 고정하고, 피스가 고정된 부분에 고무가스캣을 삽입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연속되는 복수의 패널(10)이 연결되어 구성되는 파티션의 패널을 연결하는 파티션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상기 파티션 연결구는 채널바(100)와 캡(20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채널바(100)와 캡(200)은 길이재로써, 도 1 또는 도 2에 표현된 바와 같이,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어 설치하고자 하는 높이에 따라 상기 채널바와 캡의 길이를 자유롭게 선정할 수 있다.
상기 채널바(100)는, 상기 패널(10)의 단부가 맞닿도록 형성되는 장방형의 채널바바디(110)와, 상기 채널바바디(110)의 하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패널(10)의 단부 후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제1커버부(120)와, 상기 채널바바디(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캡(200)과 끼워질 수 있도록 내측을 향하도록 돌출된 한쌍의 돌기부(13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캡(200)은 상기 채널바(10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캡바디(210)와, 상기 캡바디(210)의 중앙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돌기부(130)가 결합되는 결합부(220)와, 상기 캡바디(210)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패널(10)의 단부 전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제2커버부(230)로 구성되어, 상기 채널바(100)의 측면에 패널(10)을 삽입하고 상기 돌기부(130)를 상기 결합부(220)에 끼워넣어 상기 캡(200)을 상기 채널바(100)의 상부에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패널(10)을 고정할 수 있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채널바(100)와 상기 캡(200)이 결합되면, 제1커버부 및 제2커버부에 의해 측면에 패널(10)을 삽입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커버부(120) 및 상기 채널바바디(110)와 상기 패널(10)이 맞닿도록 위치한 후, 상기 채널바(100)의 상부에 상기 캡(200)이 삽입되어 상기 패널(10)을 고정할 수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채널바(100)는 내부가 빈 장방형의 상기 채널바바디(110)의 측면에 상기 제1커버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채널바바디(110)의 상부에 상기 캡(200)이 조립될 수 있도록 돌기부(130)가 형성된다.
이러한 채널바(100)는 상기 채널바의 정면이 파티션을 설치하고자하는 지면 또는 천장을 향하도록 세워져서 설치되며, 상기 돌기부(130)가 파티션의 정면 또는 후면을 향하도록 한다.
상기 돌기부(130)가 정면 또는 후면을 향하도록 설치되면, 상기 제1커버부(120)에 상기 패널(10)을 삽입한다.
이때, 상기 패널(10)은 상기 제1커버부(120)와 상기 채널바바디(110)에 각각 접촉하도록 삽입한다.
도 2는 양측에 상기 제1커버부(120)가 형성되는 채널바와 캡이 조립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채널바(100)는 연결하고자하는 상기 패널(10)의 가로 폭에 맞춰 다수 개를 설치하며, 상기 패널(10)의 양 측면에 상기 채널바의 채널바바디(110)가 맞닿을 수 있도록 간격을 정한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채널바 일측에 상기 패널(10)을 삽입하여, 상기 패널(10)의 측면은 상기 채널바의 채널바바디(110)에, 상기 패널(10)의 측면 후방은 상기 제1커버부(120)에 접촉하도록 위치한다.
도 3과 같이 상기 채널바와 패널이 결합한 후,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채널바의 돌기부(130)에 상기 캡(200)을 삽입하여 상기 캡(200)의 제2커버부(230)가 상기 제1커버부(120)와 대응되도록 위치하여, 상기 패널(10)의 측면 전방을 덮도록 한다.
상기 캡(200)은 결합부(220)를 구비하여 상기 돌기부(130)와 끼워맞춤 된다.
상기 결합부(220)는 상기 캡바디(220)의 중앙 상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결합바(221)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바(221)중 어느 하나에 내측으로 파인 결합홈(222)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222)은 내측으로 돌출된 상기 돌기부(130)가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220)에 상기 돌기부(130)가 끼워지면 도 1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돌기부(130)가 상기 결합홈(222)에 접촉하고, 상기 결합홈(222)이 내측으로 파여있어 상기 돌기부(130)가 상기 결합홈(222)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끼워맞춤되어 상기 캡(200)이 상기 채널바(100)와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돌기부(13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돌기부(130)의 일측이 상기 결합홈(222)에 접촉하고, 다른 돌기부(130)는 상기 결함홈(222)이 형성되지 않는 결합바(221)에 접촉한다.
이와 같이, 상기 캡(200)과 상기 채널바(100)가 끼워맞춤 조립되면, 상기 제1커버부 및 제2커버부가 상기 패널을 감싸 고정할 수 있는 형태가 된다.
상기 패널(10)의 양측면을 두 개의 제1,2커버부(120,230)와 채널바바디(110) 및 캡바디(210)로 감싸 상기 패널(10)의 전, 후, 좌, 우 4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것으로 상기 패널(10)을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채널바(100)를 공간 내 파티션의 길이에 맞추어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는 작업이 선행되면, 고정된 상기 채널바(100)에 상기 패널(10)과 캡(200)을 차례로 삽입하여 조립하는 것만으로 건물 내부의 공간을 분할하는 파티션을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널바(100)를 이용한 파티션을 설치할 때, 상기 채널바(100)를 중심으로 상기 패널(10)을 양쪽으로 연결하여 상기 패널(10)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긴 파티션을 설치할 수 있도록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제1커버부(120)를 상기 채널바바디(110)의 양측면에 구비한다.
따라서, 한 개의 상기 채널바(100)의 양측에 각각 패널(10)을 연결할 수 있고, 이러한 상기 채널바(100)를 연속적으로 설치하면, 좌우로 상기 패널(10)을 연속적으로 연결해 파티션의 길이를 원하는 만큼 연장할 수 있다.
이 때,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채널바(100)에 형성되는 상기 제1커버부(120)와 대응되도록 상기 캡(200)의 제2커버부(230)가 상기 캡바디(210)의 양측에 형성되도록 한다.
이렇게 상기 제1커버부(120) 및 제2커버부(230)가 양측에 구비된 경우에도 도 5와 같이 상기 채널바(100)의 양측에 패널(10)을 삽입하고,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캡(200)을 상기 채널바(100)에 삽입하여 고정하여 파티션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커버부(120) 및 제2커버부(230)가 일측에 형성되는 형태는 파티션을 설치하는 시작점이나 끝점에 사용하고, 상기 채널바(100)와 캡(200)을 이용하여 상기 패널(10)을 연속적으로 연결할 때는 상기 제1커버부(120) 및 제2커버부(230)가 양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패널(10)을 이어붙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널바(100)와 캡(200)을 다수 개 연결하여, 수직으로 꺾이는 코너형태를 가지는 파티션이나, 수직으로 교차하는 '+'자 형태를 가지는 파티션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채널바(100)의 일측에만 제1커버부(120)가 형성되어 있을 때, 상기 제1커버부(120)가 형성되지 않은 채널바바디(100)의 타측에 수직으로 다른 채널바(100`)를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측면에 연결되는 채널바(100`)에 상기 제1커버부(120`)가 일측에만 형성되어 있을 경우,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두 개의 패널(10)을 수직으로 연결하여 'ㄱ'형태의 코너 파티션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파티션을 설치할 때 원하는 공간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ㄱ'형태로 막아서, 각각의 파티션을 직각으로 연결하는 것 보다 더욱 효율적으로 공간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와 같이 측면에 연결되는 채널바(100`)가 상기 제1커버부(120`)를 양측으로 구비하면,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세개의 패널(10)을 연결하여 'T'형태의 파티션을 형성하여, 파티션의 분기점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채널바(100)에 양측에 제1커버부(120)를 구비하고, 상기 채널바(100)의 상부 및 상기 캡(200)의 상부에 각각 채널바(100`, 100``)를 연결하고, 상기 채널바(100`,100``)는 일측에 제1커버부(120)를 구비하여,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네개의 패널(10)을 연결하여 '+'형태로 교차하는 파티션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단순히 좌, 우로 연속적으로 패널(10)을 연결하는 것과 더불어, 다양한 형태의 상기 채널바(100)와 캡(200)을 조합하여 수직으로 연결되는 다양한 형태의 파티션 분기점을 형성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파티션을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널바(100)와 캡(200)을 이용한 고정을 보조하기 위하여, 상기 채널바(100) 및 캡(200)과 패널(10)을 피스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도시된 상기 채널바(100)와 캡(200)에 형성된 홈(G)은 상기 채널바와 캡을 이용하여 상기 패널을 고정한 뒤 피스를 쉽게 삽입하기 위한 가이드역할을 하기위해 구비된다.
상기 홈(G)을 이용하여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채널바에 패널을 삽입한 후, 상기 채널바의 상부에 캡을 끼워넣고 상기 홈(G)에 피스(P)를 삽입하여 상기 패널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홈(G)은 상기 채널바(100)와 캡(200)에 모두 형성되어, 상기 패널(10)을 고정한 후, 상기 패널의 전면과 후면에서 피스를 삽입하여 고정한다.
이에 추가로, 상기 홈(G)에 피스를 삽입하여 고정한 후, 상기 채널바(100) 및 캡(20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가스캣(G`)을 상기 홈(G)이 형성되는 공간에 끼워넣어 외부로 피스가 노출되지 않고 상기 패널(10)이 끼워진 패널 고정부를 보호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패널(10)에 직접 피스가 삽입되므로, 상기 패널(10)이 유리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패널(10)의 양측에 알루미늄 파트를 연결하여, 상기 패널(10)에 피스를 삽입할 때, 피스가 알루미늄 파트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패널(10)의 유리부에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스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파티션을 연결함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지만, 파티션과 파티션을 견고하게 연결하고자 할 때의 추가적인 고정수단이다.
또한, 상기 채널바(100)에 상기 패널(10)을 연결할 때, 상기 채널바(100)를 고정한 뒤에 상기 패널(10)을 전면 혹은 측면에 삽입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패널을 위에서 아래로 삽입하거나, 패널의 상부 및 측면에 결합하는 기존의 파티션 연결구와 달리 파티션의 높이가 천장에 맞게 형성될 수 있어, 완전히 분리되는 독립적인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진 파티션 연결구는 두 파트로 나누어져 끼워맞춰서 조립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기존의 파티션보다 시공시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이 적어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진 파티션 연결구는 패널이 연결되어있는 상태에서도 채널바(100)와 캡(200)을 쉽게 분리할 수 있어 보수가 필요한 경우에 패널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더라도 특정 위치에서 채널바와 캡을 분리하여 보수가 필요한 패널만을 분리할 수 있어, 유지 보수 비용이 획기적으로 감소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진 파티션 연결구는 패널과 연결구 사이에 볼트결합이나 접착제, 용접 등과 같은 직접적인 결합이 없고, 상기 파티션 연결구만으로 연결하거나, 추가로 피스를 삽입하는 정도이므로 파티션 연결구 및 패널에 큰 변형이 일어나지 않아 파티션 연결구와 패널을 분리한 후 다시 조립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10 : 패널
100 : 채널바 110 : 채널바바디 120 : 제1커버부
130 : 돌기부
200 : 캡 210 : 캡바디
220 : 결합부 221 : 결합바 222 : 결합홈
230 : 제2커버부
G : 홈 P : 피스 G` : 가스캣

Claims (5)

  1. 연속되는 복수의 패널(10)이 연결되어 구성되는 파티션의 패널을 연결하는 파티션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 연결구는 채널바(100)와 캡(200)으로 구성되되,
    상기 채널바(100)는, 상기 패널(10)의 단부가 맞닿는 장방형의 채널바바디(110)와, 상기 채널바바디(110)의 하부에서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패널(10)의 단부 후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커버부(120)와, 상기 채널바바디(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캡(200)과 끼워질 수 있도록 내측을 향하도록 돌출된 한 쌍의 돌기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캡(200)은, 상기 채널바(10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캡바디(210)와, 상기 캡바디(210)의 중앙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돌기부(130)가 결합되는 결합부(220)와, 상기 캡바디(210)의 양 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패널(10)의 단부 전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2커버부(230)를 포함하여,
    상기 채널바(100)의 양 측면에 패널(10)을 삽입하고 상기 돌기부(130)를 상기 결합부(220)에 끼워넣어 상기 캡(200)을 상기 채널바(100)의 상부에 결합하는 것으로 패널을 연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결합부(220)는 상기 캡바디(210)의 상단에서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결합바(221)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바(221) 중 어느 하나에 내측으로 파인 결합홈(222)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130)의 단부가 일측은 상기 결합부(220)의 결합홈(222)에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결합바(221)의 단면에 접촉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채널바(100)의 상단부에 상기 캡(200)을 씌워 상기 제1커버부(120) 및 제2커버부(230)에 의해 상기 패널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구조로 이루어진 파티션 연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바(100)의 하부 또는 상기 캡(200)의 상부에 상기 채널바 및 캡을 추가로 결합하여,
    상기 제1커버부(120) 및 제2커버부(230)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패널(10)을 수직으로 연결하여, 상기 패널(10)을 수직으로 교차하거나, 파티션의 코너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구조로 이루어진 파티션 연결구.


KR1020210078883A 2021-06-17 2021-06-17 조립구조로 이루어진 파티션 연결구 KR102401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883A KR102401650B1 (ko) 2021-06-17 2021-06-17 조립구조로 이루어진 파티션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883A KR102401650B1 (ko) 2021-06-17 2021-06-17 조립구조로 이루어진 파티션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1650B1 true KR102401650B1 (ko) 2022-05-25

Family

ID=81797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883A KR102401650B1 (ko) 2021-06-17 2021-06-17 조립구조로 이루어진 파티션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165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137Y1 (ko) * 2002-07-11 2002-10-25 주식회사 삼우이엠씨 건물용 칸막이 패널의 지주구조
KR20110003115U (ko) 2009-09-21 2011-03-29 노성열 파티션 연결용 프레임 조립구조 및 그구조에 사용되는 조립용부재
KR200464063Y1 (ko) * 2010-07-24 2012-12-07 윤장노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
KR20160000181U (ko) 2015-12-28 2016-01-18 김태우 유리벽 구조체용 씰링 결합구 및 이를 이용한 유리벽 구조체
KR101711559B1 (ko) * 2016-05-20 2017-03-06 주식회사 엑사이엔씨 칸막이 판넬 코너 연결용 고정 프레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137Y1 (ko) * 2002-07-11 2002-10-25 주식회사 삼우이엠씨 건물용 칸막이 패널의 지주구조
KR20110003115U (ko) 2009-09-21 2011-03-29 노성열 파티션 연결용 프레임 조립구조 및 그구조에 사용되는 조립용부재
KR200464063Y1 (ko) * 2010-07-24 2012-12-07 윤장노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
KR20160000181U (ko) 2015-12-28 2016-01-18 김태우 유리벽 구조체용 씰링 결합구 및 이를 이용한 유리벽 구조체
KR101711559B1 (ko) * 2016-05-20 2017-03-06 주식회사 엑사이엔씨 칸막이 판넬 코너 연결용 고정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3400B1 (ko) 방음패널용 프레임 연결장치를 이용한 터널형 방음벽
US3386216A (en) Partitioning elements, in particular for the erection of dismantlable and removable partitioning
US10738457B1 (en) Screen support assembly with wide lateral support efficiency
US10316508B1 (en) Screen support assembly with wide lateral support efficiency
US7418805B2 (en) Modular framing system and a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KR20130004037U (ko) 후크 분리형 투명 방음판
KR101030093B1 (ko) 투명 방음벽
US20200002940A1 (en) Prefabricated booth
KR102401650B1 (ko) 조립구조로 이루어진 파티션 연결구
KR101010046B1 (ko) 지붕패널 고정프레임
KR100812621B1 (ko) 휀스용 프레임 조립체
KR102433263B1 (ko) 그리드 쉘 구조물의 노드 조인트
KR20090126609A (ko) 파티션용 기둥조립체
KR101419264B1 (ko) 경사 방향 결합용 방음판을 갖는 방음벽
KR20180067881A (ko) 지오데식 돔 하우스 연결 구조체
KR101847105B1 (ko) 강콘크리트 합성 부재용 철골조립체와 영구거푸집 패널의 고정 구조
CN110541503A (zh) 预制装配式框架结构墙体
EP1039059A3 (en) Curtain wall element
KR102162471B1 (ko) 기둥부의 강성 및 설치 편의성이 향상된 개방형 정류장 부스
JP2007177574A (ja) 耐震壁及び耐震補強方法
RU2292429C2 (ru) Сетчатая оболочка
KR102162472B1 (ko) 측면 벽체부의 설치가 용이한 개방형 정류장 부스
CN204726953U (zh) 集装箱模块及具有其的集装箱模块化建筑
KR20200090272A (ko) 블럭식 모듈 조립 주택
KR102477109B1 (ko) 교체형 방음패널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