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063Y1 -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063Y1
KR200464063Y1 KR2020100007782U KR20100007782U KR200464063Y1 KR 200464063 Y1 KR200464063 Y1 KR 200464063Y1 KR 2020100007782 U KR2020100007782 U KR 2020100007782U KR 20100007782 U KR20100007782 U KR 20100007782U KR 200464063 Y1 KR200464063 Y1 KR 2004640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late
partition
main support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77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814U (ko
Inventor
윤장노
Original Assignee
윤장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장노 filed Critical 윤장노
Priority to KR20201000077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063Y1/ko
Publication of KR201200008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8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0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0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48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separate framed panels without intermediary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61Details of connection of sheet panels to frame or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메인지지프레임에 보조결속프레임을 결착하되, 상기 메인지지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 중에서 어느 일면과 보조결속프레임의 일면에는 결착수단을 대응되게 형성하여 메인지지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에서 보조결속프레임을 결착시킬 수 있고, 메인지지프레임의 밑면(외면)에는 칸막이판조립실을 형성하고 결착되는 메인지지프레임과 보조결속프레임과의 사이에서 상면(내면)에 칸막이조립실이 형성되도록 된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이다.
본 고안은, 메인지지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에서 보조결속프레임을 결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조결속프레임을 결착시킬 수 있는 공간을 크게 확보하고, 칸막이판의 간섭도 받지 않고 보조결속프레임에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하여, 보조결속프레임을 메인지지프레임의 전면 또는 배면에 용이하게 결착시킬 수 있다.
또 본 고안은, 메인지지프레임의 밑면(외면)에는 칸막이판조립실을 형성하고, 결착되는 메인지지프레임과 보조결속프레임과의 사이에서 상면(내면)에 칸막이조립실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본 고안의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을 사각틀을 형성하는 상하좌우 프레임으로 사용하고, 칸막이판을 상측칸막이판과 하측칸막이판으로 분할하였을 경우에는 본 고안의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을 상기 상측칸막이판과 하측칸막이판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분할지지프레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따라서 종래와 같이 중간분할지지프레임을 별도로 성형(제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고 제조비용도 완전히 배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A Frame for Generation Partitioning of Veranda}
본 고안은 세대간 칸막이를 설치할 때에 칸막이판을 지지하는 지지틀을 조립하기 위한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메인지지프레임에 보조결속프레임을 결착하되, 상기 메인지지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 중에서 어느 일면과 보조결속프레임의 일면에는 결착수단을 대응되게 형성하여 메인지지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에서 보조결속프레임을 결착시킬 수 있도록 된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베란다에는 콘크리트벽체가 아닌 간이칸막이와 같은 비내력식 칸막이를 설치하여 베란다를 세대간으로 분할하게 되고, 화재가 발생하거나 외부인(도둑)이 침입하는 것과 같이 비상사태가 발생하였을 때에 세대간에 설치된 간이 칸막이를 파괴하여 인접하는 세대로 대피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베란다에 설치되는 베란다칸막이에는 칸막이판을 지지하기 위하여 프레임을 사각틀의 형상으로 조립하여 베란다칸막이용 지지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베란다칸막이용 지지틀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프레임이 국내의 실용신안등록 제20-448822호와 실용신안등록 제20-411849호 및 특허등록 제10-665812호에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이 제시되어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20-448822호에 제시된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은, 메인프레임에 마감프레임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어 결합하도록 된 것이다.
상기 메인프레임은, 칸막이판이 삽착되었을 때 상기 칸막이판의 단부가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판과, 상기 걸림판의 일측 양끝단부에 형성되며 삽착된 칸막이판을 지지하는 지지편이 구비된 외측판과, 다른 일측에 상기 외측판 보다 짧으며, 내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경사면이 구비되며, 상기 경사면의 단부에 상기 칸막이판을 지지하는 지지편이 형성되고, 상기 다른 단부에 이하 마감프레임을 체결하기 위한 결속턱이 형성되어 있는 내측판이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또 마감프레임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구비된 외측판의 길이와 동일하게 구비되며 일단부에 상기 외측판에 형성된 지지편과 대응되도록 지지편을 형성하였으며, 중앙에 상기 메인프레임에 구비된 결속턱에 걸리도록 결속편이 구비된 결속판이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실용신안등록 제20-411849호의 '베란다의 분할 조립형 세대간 칸막이'에 제시된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과, 특허등록 제10-665812호의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에 제시된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은 장전후레임에 결속후레임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어 결합하도록 된 것이다.
상기 장전후레임은, 길이가 긴 외면판의 양측에 길이가 길고 짧은 외측판과 내측판을 일체로 형성하되, 외면판의 외면 양측에 돌편을 형성하고, 외측판의 내면 중앙과 선단에는 지지편을 나란하게 형성하고 내측판의 내면 선단에는 결속턱을 형성하며, 외면판의 내면에는 결속편을 형성하여 내부를 칸막이판이 수납되는 수납실과 결속후레임이 장전되는 결속실로 분할 형성한 것이다.
상기 결속후레임, 길이가 긴 결속지지판의 일단에는 결속판을 단턱부에 의해 단층지도록 형성하고, 결속지지판의 타단 내면에는 지지편을 형성하며, 결속판의 외면에는 결속턱을 장전후레임의 결속턱에 걸리도록 형성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형성된 종래의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단점으로 지적된다.
첫째, 종래의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들은, 베란다칸막이의 사각틀을 형성하는 상단프레임과 하단프레임 및 측면프레임으로만 사용할 수 있고, 사각틀의 내부에 설치되는 칸막이판을 상측칸막이판과 하측칸막이판으로 분할하여 설치할 경우에 상기 상측칸막이판과 하측칸막이판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분할지지프레임으로 사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고, 상기 상측칸막이판과 하측칸막이판과의 사이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중간분할지지프레임을 생산(제조)하여 설치하여야 하며, 이와 같이 별도의 중간분할지지프레임을 생산(제조)하게 되므로 생산가 및 베란다칸막이의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된다.
둘째, 종래의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들은, 메인프레임(장전후레임)에 마감프레임(결속후레임)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어 결합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메인프레임(장전후레임)에 마감프레임(결속후레임)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없다는 것이다.
즉, 칸막이판의 사면(상하좌우) 단부에 적정한 길이로 재단된 메인프레임(장전후레임)을 결합하고, 상기 칸막이판의 사면(상하좌우) 단부에 결합된 메인프레임(장전후레임)에 마감프레임(결속후레임)을 결합할 때에 마감프레임(결속후레임)을 칸막이판에 연접시킨 상태에서 메인프레임(장전후레임)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어 장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마감프레임(결속후레임)을 칸막이판에 연접시킨 상태에서 메인프레임(장전후레임)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어 장전시키므로 마감프레임(결속후레임)을 밀어 줄 수 있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고, 따라서 마감프레임(결속후레임)에 강한 힘을 가할 수 없으므로 메인프레임(장전후레임)에 마감프레임(결속후레임)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없게 된다.
특히, 마감프레임(결속후레임)을 메인프레임(장전후레임)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칸막이판에 연접되어 있는 마감프레임(결속후레임)을 망치와 같은 기구를 사용하여 타격을 가할 경우에는 칸막이판을 손상시킬 염려가 있고, 칸막이판이 유리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된 경우에는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유리 또는 합성수지로 된 칸막이판이 깨지는 현상도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개선한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메인지지프레임에 보조결속프레임을 결착하되, 상기 메인지지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 중에서 어느 일면과 보조결속프레임의 일면에는 결착수단을 대응되게 형성하여 메인지지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에서 보조결속프레임을 결착시킬 수 있고, 메인지지프레임의 밑면(외면)에는 칸막이판조립실을 형성하고 결착되는 메인지지프레임과 보조결속프레임과의 사이에서 상면(내면)에 칸막이조립실이 형성되도록 된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메인지지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에서 보조결속프레임을 결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조결속프레임을 결착시킬 수 있는 공간을 크게 확보하고, 칸막이판의 간섭도 받지 않고 보조결속프레임에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하여, 보조결속프레임을 메인지지프레임의 전면 또는 배면에 용이하게 결착시킬 수 있도록 된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메인지지프레임의 밑면(외면)에는 칸막이판조립실을 형성하고, 결착되는 메인지지프레임과 보조결속프레임과의 사이에서 상면(내면)에 칸막이조립실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본 고안의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을 사각틀을 형성하는 상하좌우 프레임으로 사용하고, 칸막이판을 상측칸막이판과 하측칸막이판으로 분할하였을 경우에는 본 고안의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을 상기 상측칸막이판과 하측칸막이판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분할지지프레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따라서 종래와 같이 중간분할지지프레임을 별도로 성형(제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고 제조비용도 완전히 배제할 수 있도록 된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메인지지프레임에 보조결속프레임을 결착하되, 메인지지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 중에서 어느 일면과 보조결속프레임의 일면에는 결착수단을 대응되게 형성하여 메인지지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에서 보조결속프레임을 결착시키고, 상기 메인지지프레임의 밑면(외면)에는 칸막이판조립실을 형성하고, 결착되는 메인지지프레임과 보조결속프레임과의 사이에서 상면(내면)에 칸막이조립실이 형성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메인지지프레임은,
측판의 상단과 하단에 단폭상판과 밑판을 나란하게 형성하되,
상기 단폭상판의 단부에는 수직지지판과 수평받침판으로 되는 L형지지판을 일체로 형성한 것과;
상기 밑판의 중앙부에는 칸막이판조립실을 형성한 것과;
상기 수평받침판의 중간부와 칸막이판조립실과의 사이에는 중간지지판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밑판에서 칸막이판조립실의 전방과 중간지지판과의 사이에는 고정지지블록을 일체로 형성하여, 수평받침판과 고정지지블록의 상면과의 사이에 보조결속프레임의 결착수단을 결합시킬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한 것과;
상기 고정지지블록을 형성하는 외측판은 중간의 단턱을 기준으로 상측을 당접면으로 형성한 것과;
상기 수평받침판의 밑면 선단 및 고정지지블록상판과 당접면이 만나는 모서리에는 결착수단으로서 결착돌편을 서로 마주보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100)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본 고안에 따른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은,
메인지지프레임에 보조결속프레임을 결착하되, 상기 메인지지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 중에서 어느 일면과 보조결속프레임의 일면에는 결착수단을 대응되게 형성하여 메인지지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에서 보조결속프레임을 결착시킬 수 있고, 메인지지프레임의 밑면(외면)에는 칸막이판조립실을 형성하고 결착되는 메인지지프레임과 보조결속프레임과의 사이에서 상면(내면)에 칸막이조립실이 형성되도록 된 것이다.
본 고안은, 메인지지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에서 보조결속프레임을 결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조결속프레임을 결착시킬 수 있는 공간을 크게 확보하고, 칸막이판의 간섭도 받지 않고 보조결속프레임에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하여, 보조결속프레임을 메인지지프레임의 전면 또는 배면에 용이하게 결착시킬 수 있다.
또 본 고안은, 메인지지프레임의 밑면(외면)에는 칸막이판조립실을 형성하고, 결착되는 메인지지프레임과 보조결속프레임과의 사이에서 상면(내면)에 칸막이조립실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본 고안의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을 사각틀을 형성하는 상하좌우 프레임으로 사용하고, 칸막이판을 상측칸막이판과 하측칸막이판으로 분할하였을 경우에는 본 고안의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을 상기 상측칸막이판과 하측칸막이판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분할지지프레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따라서 종래와 같이 중간분할지지프레임을 별도로 성형(제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고 제조비용도 완전히 배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을 이용하여 세대간 칸막이를 조립하는 상태를 보인 조립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도 1 내지 도 3에 예시된 본 고안에 따른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을 이용하여 조립되는 세대간 칸막이를 베란다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예시된 본 고안에 따른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을 이용하여 조립되는 세대간 칸막이를 베란다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100)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100)을 이용하여 조립되는 세대간 칸막이(1)의 조립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도 1 내지 도 3에 예시된 본 고안에 따른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100)을 이용하여 조립된 세대간 칸막이(1)를 베란다(200)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100)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예시된 본 고안에 따른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100)을 이용하여 조립된 세대간 칸막이(1)를 베란다(200)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1)는 도 1 및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메인지지프레임(100-1)과 보조결속프레임(100-2)을 크게 분할하여 형성하였다.
도 1에 예시된 본 고안에 따른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1)에서 메인지지프레임(100-1)과 보조결속프레임(100-2)은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1)은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측판(110)의 상단과 하단에는 단폭상판(112)과 밑판(113)을 나란하게 형성하되, 상기 단폭상판(112)의 단부에는 수직지지판(116)과 수평받침판(117)으로 되는 L형지지판(115)을 일체로 형성하였고, 상기 밑판(113)의 중앙부에는 조립실상판(131)과 한 쌍의 조립실측판(132)(133)으로 되는 칸막이판조립실(130)을 형성하였고, 상기 측판(110)의 상단 즉, 측판(110)과 단폭상판(112)이 서로 만나는 모서리에는 돌출편(114)을 형성하였다.
상기 수평받침판(117)의 중간부와 칸막이판조립실(130)을 형성하는 조립실상판(131)과의 사이에는 중간지지판(118)을 일체로 형성하였고, 상기 밑판(113)에서 칸막이판조립실(130)의 전방에는 고정지지블록상판(123)과 외측판(121)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지지블록(120)을 일체로 형성하되 외측판(121)은 중간의 단턱(124)을 기준으로 상측에 당접면(125)을 형성하였으며, 상기 수평받침판(117)의 밑면 선단 및 고정지지블록상판(123)과 당접면(125)이 만나는 모서리에는 결착수단으로서 결착돌편(140)을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하였다.
또 상기 보조결속프레임(100-2)은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보조프레임측판(150)을 메인지지프레임(100-1)을 형성하는 단턱(124)의 상측에 당접시켜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고, 상기 보조프레임측판(150)의 일면 상측부에는 지지블록(151)을 일체로 형성하여 지지블록(151)이 메인지지프레임(100-1)의 수평받침판(117) 위에 얹혀져 지지블록(151)과 수직지지판(116)과의 사이에 칸막이판설치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였고, 상기 지지블록(151)의 하측에는 결착수단으로서 한 쌍의 결착돌편(160)을 이격 형성하여 메인지지프레임(100-1)의 결착돌편(140)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보조프레임측판(150)의 상단에는 돌출편(152)을 형성하였다.
도 5 및 도 6에 예시된 본 고안에 따른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1)에서 메인지지프레임(100-1)과 보조결속프레임(100-2)은 도 1 내지 도 4b에 예시된 본 고안에 따른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1)의 메인지지프레임(100-1) 및 보조결속프레임(100-2)과 동일하게 형성하였다.
다만 메인지지프레임(100-1) 및 보조결속프레임(100-2)에서, 상기 측판(110)의 상단에 형성되는 돌출편(114)과, 보조프레임측판(150)의 상단에 형성되는 돌출편(152)을 제거(생략)하였다.
이하,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에 따른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100)의 사용 상태 즉, 본 고안에 따른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100)을 이용하여 세대간 칸막이(1)를 조립(제조) 상태를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100)은 도 2 내지 도 4b 및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세대간 칸막이(1)를 조립 생산할 때에 칸막이판(2)의 사면(상하좌우)에 조립 설치되는 상단프레임(5)과 하단프레임(6) 및 한 쌍의 측면프레임(7)(8)으로 사용되어 사각틀을 형성하게 된다.
특히, 상기 칸막이판(2)이 상측칸막이판(2-1)과 하측칸막이판(2-2)으로 분할될 경우에는 상측칸막이판(2-1)과 하측칸막이판(2-2)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분할지지프레임(9)으로도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세대간 칸막이(1)의 상단프레임(5)과 하단프레임(6) 및 한 쌍의 측면프레임(7)(8) 그리고 중간분할지지프레임(9)으로 사용되는 본 고안에 따른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100)은 메인지지프레임(100-1)에 보조결속프레임(100-2)을 조립하게 된다.
세대간 칸막이(1)의 상단프레임(5)과 하단프레임(6) 및 한 쌍의 측면프레임(7)(8)으로 사용되는 본 고안에 따른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100)의 메인지지프레임(100-1)과 보조결속프레임(100-2)은 다음과 같이 조립한다.
메인지지프레임(100-1)을 칸막이판(2)의 일면(전면 또는 후면)에서 사면(상하좌우) 단부에 설치시키되, 칸막이판(2)의 단면이 수평받침판(117)에 접촉되고 단부의 일측면 가장자리가 수직지지판(116)과 접촉되도록 설치하고, 칸막이판(2)의 상하좌우의 단면에 설치되는 각 메인지지프레임(100-1)에는 칸막이판(2)의 타면(배면 또는 전면)에서 고정지지블록(120)의 외면 상측부에 보조결속프레임(100-2)을 결합한다.
칸막이판(2)의 단면이 설치되는 수평받침판(117)에는 보조결속프레임(100-2)의 지지블록(151)을 얹혀 놓은 상태에서 보조결속프레임(100-2)의 보조프레임측판(150)을 메인지지프레임(100-1)측으로 밀어 주게 되면, 수평받침판(117)에 얹혀진 지지블록(151)은 수직지지판(116)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보조프레임측판(150)의 하측부에 형성된 한 쌍의 결착돌편(160)은 수평받침판(117)과 고정지지블록상판(123)의 선단에 형성된 결착돌부(140)와 결합되어 결착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보조프레임측판(150)의 하측부에 형성된 각 결착돌편(160)이 수평받침판(117)과 고정지지블록상판(123)의 선단에 형성된 결착돌부(140)와 결합되어 결착되면, 수평받침판(117)에 얹혀져 있는 칸막이판(2)은 가장자리가 메인지지프레임(100-1)의 수직지지판(116)과 보조결속프레임(100-2)의 지지블록(151)에 의해 억류되어 고정되고, 보조결속프레임(100-2)을 형성하는 보조프레임측판(150)의 하단이 단턱(124)에 얹혀진 상태에서 당접면(125)과 밀접하게 당접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100)을 이용하여 칸막이판(2)이 상측칸막이판(2-1)과 하측칸막이판(2-2)으로 분할된 세대간칸막이(1)를 생산할 때에는, 본 고안에 따른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100)을 상단프레임(5)과 하단프레임(6) 및 한 쌍의 측면프레임(7)(8)으로 사용하고,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100)을 상측칸막이판(2-1)과 하측칸막이판(2-2)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분할지지프레임(9)으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상측칸막이판(2-1)과 하측칸막이판(2-2)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분할지지프레임(9)으로 사용되는 본 고안에 따른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100)은, 메인지지프레임(100-1)에 형성된 칸막이판조립실(130)에 상측칸막이판(2-1)의 하단(또는 하측칸막이판(2-2)의 상단)을 끼워 결합시키고, 수평받침판(110)에는 상측칸막이판(2-1)의 상단(또는 하측칸막이판(2-2)의 하단)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보조결속프레임(100-2)을 결합시켜 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측칸막이판(2-1)과 하측칸막이판(2-2)과의 사이에 중간분할지지프레임(9)용으로 사용되는 메인지지프레임(100-1)에 보조결속프레임(100-2)을 결합시키는 과정은 상단프레임(5)과 하단프레임(6) 및 한 쌍의 측면프레임(7)(8)으로 사용되는 메인지지프레임(100-1)에 보조결속프레임(100-2)을 결합시키는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므로, 이에 따른 중간분할지지프레임(9)용으로 사용되는 메인지지프레임(100-1)와 보조결속프레임(100-2)의 결합 상태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하고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세대간 칸막이 2: 칸막이판 5: 상단프레임
6: 하단프레임 7.8: 측면프레임
100: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 100-1: 메인지지프레임
100-2: 보조결속프레임 117: 수평받침판 120: 고정지지블록
130: 칸막이판조립실 150: 보조프레임측판 151: 지지블록

Claims (4)

  1. 삭제
  2. 메인지지프레임에 보조결속프레임을 결착하되, 메인지지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 중에서 어느 일면과 보조결속프레임의 일면에는 결착수단을 대응되게 형성하여 메인지지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에서 보조결속프레임을 결착시키고, 상기 메인지지프레임의 밑면(외면)에는 칸막이판조립실을 형성하고, 결착되는 메인지지프레임과 보조결속프레임과의 사이에서 상면(내면)에 칸막이조립실이 형성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메인지지프레임은,
    측판의 상단과 하단에 단폭상판과 밑판을 나란하게 형성하되,
    상기 단폭상판의 단부에는 수직지지판과 수평받침판으로 되는 L형지지판을 일체로 형성한 것과;
    상기 밑판의 중앙부에는 칸막이판조립실을 형성한 것과;
    상기 수평받침판의 중간부와 칸막이판조립실과의 사이에는 중간지지판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밑판에서 칸막이판조립실의 전방과 중간지지판과의 사이에는 고정지지블록을 일체로 형성하여, 수평받침판과 고정지지블록의 상면과의 사이에 보조결속프레임의 결착수단을 결합시킬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한 것과;
    상기 고정지지블록을 형성하는 외측판은 중간의 단턱을 기준으로 상측을 당접면으로 형성한 것과;
    상기 수평받침판의 밑면 선단 및 고정지지블록상판과 당접면이 만나는 모서리에는 결착수단으로서 결착돌편을 서로 마주보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
  3. 메인지지프레임에 보조결속프레임을 결착하되, 메인지지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 중에서 어느 일면과 보조결속프레임의 일면에는 결착수단을 대응되게 형성하여 메인지지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에서 보조결속프레임을 결착시키고, 상기 메인지지프레임의 밑면(외면)에는 칸막이판조립실을 형성하고, 결착되는 메인지지프레임과 보조결속프레임과의 사이에서 상면(내면)에 칸막이조립실이 형성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보조결속프레임은;
    보조프레임측판을 메인지지프레임의 단턱에 얹혀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과;
    상기 보조프레임측판의 일면 상측부에는 지지블록을 일체로 형성하여 메인지지프레임의 수평받침판에 얹혀져 지지블록과 수직지지판과의 사이에 칸막이판을 설치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것과;
    상기 지지블록의 하측에는 결착수단으로서 한 쌍의 결착돌편을 이격 형성하여 메인지지프레임의 결착돌편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3에 있어서, 메인지지프레임과 보조결속프레임은;
    메인지지프레임을 형성하는 측판의 상단과 보조결속프레임을 형성하는 보조프레임측판의 상단에는 돌출편을 각각 대향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
KR2020100007782U 2010-07-24 2010-07-24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 KR2004640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782U KR200464063Y1 (ko) 2010-07-24 2010-07-24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782U KR200464063Y1 (ko) 2010-07-24 2010-07-24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814U KR20120000814U (ko) 2012-02-06
KR200464063Y1 true KR200464063Y1 (ko) 2012-12-07

Family

ID=45843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7782U KR200464063Y1 (ko) 2010-07-24 2010-07-24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0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1650B1 (ko) * 2021-06-17 2022-05-25 주식회사 예나 조립구조로 이루어진 파티션 연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8390B1 (ko) * 2019-12-09 2020-05-07 주식회사 태우이엔지 탈착식 베이 파티션용 포스트바
KR102488126B1 (ko) * 2021-12-02 2023-01-12 정세정 발코니칸막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3340Y1 (ko) * 1998-12-24 2002-03-09 김윤석 패널 고정장치
KR200396322Y1 (ko) 2005-07-08 2005-09-20 진성산업 주식회사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3340Y1 (ko) * 1998-12-24 2002-03-09 김윤석 패널 고정장치
KR200396322Y1 (ko) 2005-07-08 2005-09-20 진성산업 주식회사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1650B1 (ko) * 2021-06-17 2022-05-25 주식회사 예나 조립구조로 이루어진 파티션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814U (ko) 2012-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5280B1 (ko) 인테리어용 조립식 벽체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벽체의 시공 방법
KR200464063Y1 (ko)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
CN110761452A (zh) 一种龙骨扣合墙面板的装配式墙体及其安装方法
KR101407544B1 (ko) 평잇기용 마감패널
KR100665812B1 (ko)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
KR101005163B1 (ko) 조립식 방음판
KR20130131153A (ko) 천정재 고정 시스템
KR20100002839U (ko) 베란다의 분할조립형 세대간 칸막이
KR200475076Y1 (ko)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
KR200476038Y1 (ko)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
KR200411849Y1 (ko) 베란다의 분할조립형 세대간 칸막이
KR200448822Y1 (ko)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베란다의세대간 칸막이 구조
KR200458953Y1 (ko) 조립식 경량칸막이
KR200466999Y1 (ko) 조립식화장실용 판재 고정지지구
KR200396322Y1 (ko)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
KR100734175B1 (ko) 목조주택 및 이 목조주택의 시공방법
JP2010180694A (ja) 枠材および枠材の取付構造
KR100617964B1 (ko) 방습용 및 아트용 벽체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블록 조립체
KR101180365B1 (ko) 복층 구조의 실내 칸막이용 칸막이프레임 및 그 시공방법
KR100630845B1 (ko) 통나무집의 시공방법
CN211313203U (zh) 一种锁扣地板
KR100763978B1 (ko) 베란다의 분할조립형 세대간 칸막이
KR101340144B1 (ko) 사물함 조립구조
KR20200090272A (ko) 블럭식 모듈 조립 주택
KR101127636B1 (ko) 건물 창호용 창틀의 프레임 조인트 마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