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822Y1 -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베란다의세대간 칸막이 구조 - Google Patents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베란다의세대간 칸막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822Y1
KR200448822Y1 KR2020070021015U KR20070021015U KR200448822Y1 KR 200448822 Y1 KR200448822 Y1 KR 200448822Y1 KR 2020070021015 U KR2020070021015 U KR 2020070021015U KR 20070021015 U KR20070021015 U KR 20070021015U KR 200448822 Y1 KR200448822 Y1 KR 2004488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late
partition
partition plate
verand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10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6732U (ko
Inventor
이효정
Original Assignee
우진내외장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진내외장건설(주) filed Critical 우진내외장건설(주)
Priority to KR20200700210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822Y1/ko
Publication of KR200900067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7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8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8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48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separate framed panels without intermediary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61Details of connection of sheet panels to frame or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 베란다를 세대간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을 손쉽고 안정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프레임의 일측에 경사면을 형성한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 프레임은 칸막이판이 삽착되었을 때 상기 칸막이판의 단부가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판과, 상기 걸림판의 일측 양끝단부에 형성되며 삽착된 칸막이판을 지지하는 지지편이 구비된 외측판과, 다른 일측에 상기 외측판 보다 짧으며, 내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경사면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면의 단부에 상기 칸막이판을 지지하는 지지편이 형성되고, 상기 다른 단부에 이하 마감프레임을 체결하기 위한 결속턱이 형성되어 있는 내측판이 일체로 형성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구비된 외측판의 길이와 동일하게 구비되며 일단부에 상기 외측판에 형성된 지지편과 대응되도록 지지편을 형성하였으며, 중앙에 상기 메인프레임에 구비된 결속턱에 걸리도록 결속편이 구비된 결속판이 일체로 형성된 마감프레임이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는 칸막이판의 상하좌우 각 단부에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프레임과 마감프레임이 한쌍으로된 상/하측프레임과 측 면프레임, 연결프레임을 형성하도록 적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 상기 상태에서 칸막이판의 단부는 걸림판에 의해 소정의 길이만큼 삽착되도록 하고, 외측판에 구비된 지지편에 의해 지지되도록하여 상기 칸막이판를 상기 메인프레임에 삽착시키는 단계; 상기 마감프레임의 결속판을 메인프레임의 경사면에 밀착시켜 상기 경사면과 동일한 각도를 유지한 후 상기 마감프레임을 메인프레임에 가압하여 상기 경사면을 따라 전진시켜 상기 메인프레임에 마감프레임을 체결하여 칸막이판의 일단에 측면프레임을 형성하는단계; 상기 상태에서 상기 칸막이판의 하부에 하측프레임을 체결하는 단계; 상기 상태에서 상기 칸막이판의 상부에 연결프레임을 체결하여 설치하고자하는 공간의 높이와 동일하게 상기 칸막이의 높이를 맞추는 단계; 상기 상태에서 상기 최종 칸막이판의 상부에 상측프레임을 체결하는 단계; 상기 상태에서 상기 칸막이판의 다른 일측에 측면프레임을 체결하는 단계를 통하여 세대간 칸막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세대간 칸막이, 메인프레임, 경사면, 마감프레임

Description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 구조{Veranda generation for partitioning}
도 1은 종래의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의 설치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메인프레임 110 : 걸림판
120 : 외측판 130 : 내측판
131 : 경사면 300 : 마감프레임
본 고안은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베란다의 세대 간 칸막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 베란다를 세대간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을 손쉽고 안정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프레임의 일측에 경사면을 형성한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베란다에는 콘크리트벽체가 아닌 간이칸막이와 같은 비내력식 칸막이를 설치하여 베란다를 세대간으로 분할하게 되고, 화재가 발생하거나 외부인이 침입하는 것과 같이 비상사태가 발생하였을 때에 세대간에 설치된 간이 칸막이를 파괴하여 인접하는 세대로 대피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베란다에 설치되는 종래의 베란다칸막이는 철재판넬의 내부에 스티로폼이 충진된 것을 주로 설치하였으나, 방화성과 방음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시공을 실시할 때에 벽의 위치를 선정하여 런너와 스터드를 설치하기가 용이치못하고, 표면보드를 부착하고 마감처리를 실시하여야 하는 등 시공과정이 복잡하며, 시공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다소나마 해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는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 20-384807호 "베란다 세대간 칸막이"가 알려져 있다.
이는 직육면체로 된 하니컴(13)의 양면에 짚라이트석고보드를 부착하여 양측 단면에 마감재(16)를 설치하되, 일측의 마감재(16)에는 연결홈(15a)을 형성하여 칸막이를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서, 한 쌍의 칸막이를 구비하여 일측 마감재(16)에 형 성된 연결홈(15a)을 서로 결합시키고 타측의 마감재에는 몰딩재(17)를 결합시키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칸막이를 형성하는 하니컴과 짚라이트석고보드의 상면과 하면이 외부로 노출되고 짚라이트석고보드의 외면하측이 바닥과 접촉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밀폐기능을 부가하지 않으면 수분(습기)이 하니컴과 짚라이트석고보드의 내부로 침투하여, 하니컴과 짚라이트석고보드가 손상되거나 재질이 변경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양측 단면에 결합된 몰딩재 만을 벽체에 고정시키므로 결속(고정)력이 떨어져 쉽게 흔들리거나 고정상태가 해제되어 칸막이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하니컴과 짚라이트석고보드가 하나의 판으로 되어 있으므로 중간은 지지력이 약하여 깨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 베란다를 세대간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을 손쉽고 안정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프레임의 일측에 경사면을 형성한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프레임을 이용하여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 설 치함으로써 설치시간의 단축 및 이에 따른 고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세대간 칸막이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 프레임은 칸막이판이 삽착되었을 때 상기 칸막이판의 단부가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판과, 상기 걸림판의 일측 양끝단부에 형성되며 삽착된 칸막이판을 지지하는 지지편이 구비된 외측판과, 다른 일측에 상기 외측판 보다 짧으며, 내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경사면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면의 단부에 상기 칸막이판을 지지하는 지지편이 형성되고, 상기 다른 단부에 이하 마감프레임을 체결하기 위한 결속턱이 형성되어 있는 내측판이 일체로 형성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구비된 외측판의 길이와 동일하게 구비되며 일단부에 상기 외측판에 형성된 지지편과 대응되도록 지지편을 형성하였으며, 중앙에 상기 메인프레임에 구비된 결속턱에 걸리도록 결속편이 구비된 결속판이 일체로 형성된 마감프레임이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는 칸막이판의 상하좌우 각 단부에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프레임과 마감프레임이 한쌍으로된 상/하측프레임과 측면프레임, 연결프레임을 형성하도록 적정한 길이로 절단하 는 단계;
상기 상태에서 칸막이판의 단부는 걸림판에 의해 소정의 길이만큼 삽착되도록 하고, 외측판에 구비된 지지편에 의해 지지되도록하여 상기 칸막이판를 상기 메인프레임에 삽착시키는 단계
상기 마감프레임의 결속판을 메인프레임의 경사면에 밀착시켜 상기 경사면과 동일한 각도를 유지한 후 상기 마감프레임을 메인프레임에 가압하여 상기 경사면을 따라 전진시켜 상기 메인프레임에 마감프레임을 체결하여 칸막이판의 일단에 측면프레임을 형성하는단계;
상기 상태에서 상기 칸막이판의 하부에 하측프레임을 체결하는 단계;
상기 상태에서 상기 칸막이판의 상부에 연결프레임을 체결하여 설치하고자하는 공간의 높이와 동일하게 상기 칸막이의 높이를 맞추는 단계;
상기 상태에서 상기 최종 칸막이판의 상부에 상측프레임을 체결하는 단계;
상기 상태에서 상기 칸막이판의 다른 일측에 측면프레임을 체결하는 단계를 통하여 세대간 칸막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출원인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앞서 본 실시예들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크게 칸막이판(1)이 삽착되는 메인프레임(100)과 마감프레임(300) 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
상기 칸막이판(1)이 삽착되었을 때 상기 칸막이판(1)의 단부가 걸리도록 걸림판(11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걸림판(110)의 일측에는 양끝단부에 삽착된 칸막이판(1)을 지지하는 지지편(121)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판(120)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다른 일측에는 상기 외측판(120) 보다 짧으며, 내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경사면(131)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면(131)의 단부에는 상기 칸막이판(1)을 지지하는 지지편(133)이 형성되고, 상기 다른 단부에는 이후 설명할 마감프레임(300)을 체결하기 위한 결속턱(135)이 형성되어 있는 내측판(13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내측판(130)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131)은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마감프레임(300)을 체결할 때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후 체결과정을 설명할 때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마감프레임(300)은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구비된 외측판(120)의 길이와 동일하게 결속판(310)을 구비하되, 상기 결속판(310)의 일단부에 상기 외측판(120)에 형성된 지지편(121)과 대응되도록 지지편(311)을 형성하였으며, 상기 결속판(310)의 중앙에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구비된 결속턱(135)에 걸리도록 결속편(313)을 형성하였 다.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마감프레임(300)을 체결하면 소정의 삽착부(500)가 형성되는데, 상기 삽착부(500)에는 칸막이판(1)이 삽착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100)과 마감프레임(300)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칸막이판(1)의 상하, 좌우, 및 중앙에 위치하여 상기 칸막이판(1)을 연결하여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를 구성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결합관계 및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의 설치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칸막이판(1)의 상하좌우 각 단부에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프레임(100)과 마감프레임(300)이 한쌍으로된 상/하측프레임(10,20)과 측면프레임(30), 연결프레임(40)을 형성하도록 적정한 길이로 절단한다.
즉, 상기 메인프레임(100)과 마감프레임(300)을 체결함으로써 얻어지는 프레임의 설치장소에 따라 상/하측프레임(10,20)과 측면프레임(30), 연결프레임(40)이되는 것이다.
상기 상태에서 상기 칸막이판(1)를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삽착시킨다.
이때 상기 칸막이판(1)의 단부는 걸림판(110)에 의해 소정의 길이만큼 삽착 되며, 외측판(120)에 구비된 지지편(121)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상태에서 상기 마감프레임(300)을 메인프레임(100)에 체결한다.
이때 상기 마감프레임(300)의 결속판(310)을 메인프레임(100)의 경사면(131)에 밀착시켜 상기 경사면(131)과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상태에서 상기 마감프레임(300)을 메인프레임(100)에 가압하면 상기 경사면(131)을 따라 전진하며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마감프레임(300)을 체결된다.
상기 과정을 통하여 칸막이판(1)의 일단에 측면프레임(30)을 형성한다.
상기 상태에서 상기 칸막이판(1)의 하부에 하측프레임(20)을 체결한다.
상기 상태에서 상기 칸막이판(1)의 상부에 연결프레임(40)을 체결하여 설치하고자하는 공간의 높이와 동일하게 상기 칸막이의 높이를 맞춘다.
상기 상태에서 상기 최종 칸막이판(1)의 상부에 상측프레임(10)을 체결한다.
상기 상태에서 상기 칸막이판(1)의 다른 일측에 측면프레임(30)을 체결하여 세대간 칸막이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세대간 칸막이를 베란다에 설치하여 세대간으로 구분하여 시공을 마무리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본 고안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고안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 베란다를 세대간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손쉽고 안정되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고안 세대간 칸막이 구조는 상기 프레임을 이용하여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 설치함으로써 설치시간의 단축 및 이에 따른 고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1. 칸막이판이 삽착되었을 때 상기 칸막이판의 단부가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판과, 상기 걸림판의 일측 양끝단부에 형성되며 삽착된 칸막이판을 지지하는 지지편이 구비된 외측판과, 다른 일측에 상기 외측판 보다 짧으며, 내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경사면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면의 단부에 상기 칸막이판을 지지하는 지지편이 형성되고, 상기 다른 단부에 이하 마감프레임을 체결하기 위한 결속턱이 형성되어 있는 내측판이 일체로 형성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구비된 외측판의 길이와 동일하게 구비되며 일단부에 상기 외측판에 형성된 지지편과 대응되도록 지지편을 형성하였으며, 중앙에 상기 메인프레임에 구비된 결속턱에 걸리도록 결속편이 구비된 결속판이 일체로 형성된 마감프레임이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 프레임
  2. 칸막이판의 상하좌우 각 단부에 체결하기 위하여 메인프레임과 마감프레임이 한쌍으로된 상/하측프레임과 측면프레임, 연결프레임을 형성하도록 적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
    상기 칸막이판의 단부는 걸림판에 의해 소정의 길이만큼 삽착되도록 하고, 외측판에 구비된 지지편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여 상기 칸막이판을 상기 메인프레임에 삽착시키는 단계;
    상기 마감프레임의 결속판을 메인프레임의 경사면에 밀착시켜 상기 경사면과 동일한 각도를 유지한 후 상기 마감프레임을 메인프레임에 가압하여 상기 경사면을 따라 전진시켜 상기 메인프레임에 마감프레임을 체결하여 칸막이판의 일단에 측면프레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태에서 상기 칸막이판의 하부에 하측프레임을 체결하는 단계;
    상기 상태에서 상기 칸막이판의 상부에 연결프레임을 체결하여 설치하고자하는 공간의 높이와 동일하게 상기 칸막이의 높이를 맞추는 단계;
    상기 상태에서 상기 최종 칸막이판의 상부에 상측프레임을 체결하는 단계;
    상기 상태에서 상기 칸막이판의 다른 일측에 측면프레임을 체결하는 단계를 통하여 세대간 칸막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
KR2020070021015U 2007-12-31 2007-12-31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베란다의세대간 칸막이 구조 KR2004488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1015U KR200448822Y1 (ko) 2007-12-31 2007-12-31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베란다의세대간 칸막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1015U KR200448822Y1 (ko) 2007-12-31 2007-12-31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베란다의세대간 칸막이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732U KR20090006732U (ko) 2009-07-03
KR200448822Y1 true KR200448822Y1 (ko) 2010-05-25

Family

ID=41331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1015U KR200448822Y1 (ko) 2007-12-31 2007-12-31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베란다의세대간 칸막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82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076Y1 (ko) * 2013-03-18 2014-11-05 윤장노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
KR200476038Y1 (ko) * 2014-07-28 2015-01-22 윤장노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250A (ko) * 2002-08-30 2004-03-09 주식회사 퍼시스 칸막이 프레임의 연결장치
KR100501772B1 (ko) 2004-11-26 2005-07-18 김광일 공동주택 앵커 체결식 칸막이 설치구조
KR20070006392A (ko) * 2005-07-08 2007-01-11 진성산업 주식회사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250A (ko) * 2002-08-30 2004-03-09 주식회사 퍼시스 칸막이 프레임의 연결장치
KR100501772B1 (ko) 2004-11-26 2005-07-18 김광일 공동주택 앵커 체결식 칸막이 설치구조
KR20070006392A (ko) * 2005-07-08 2007-01-11 진성산업 주식회사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732U (ko) 2009-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3546B1 (ko) 목재벽돌조립체
JPH11514414A (ja) 壁パネルおよび接合構造
US9340976B2 (en) Suspended ceiling
KR101055367B1 (ko) 와이어식 피난구가 구비된 벽체 구조물
KR200448822Y1 (ko)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베란다의세대간 칸막이 구조
KR100665812B1 (ko)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
KR200464063Y1 (ko)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
KR200411849Y1 (ko) 베란다의 분할조립형 세대간 칸막이
KR20100002839U (ko) 베란다의 분할조립형 세대간 칸막이
KR200476038Y1 (ko)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
KR100874427B1 (ko) 건축물 내부 바닥구조
KR200469986Y1 (ko) 조립식화장실의 칸막이용 걸레받이
KR200458953Y1 (ko) 조립식 경량칸막이
KR102190323B1 (ko) 건식벽체용 고 차음 스터드
KR200384807Y1 (ko) 베란다 세대간 칸막이
KR200396322Y1 (ko)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
KR100990560B1 (ko)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
KR101007895B1 (ko)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
KR100600798B1 (ko) 건축물 내부벽체 다용구 구조
KR101083760B1 (ko) 흡음패널이 결합된 벽체구조물
KR100794556B1 (ko) 건축물 내부 벽체구조
KR100501772B1 (ko) 공동주택 앵커 체결식 칸막이 설치구조
KR20230032264A (ko) 실내장식용 패널 설치대
KR100763978B1 (ko) 베란다의 분할조립형 세대간 칸막이
KR100497939B1 (ko) 소형 주택 내부 조립식 벽걸이 옷장 개량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