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0798B1 - 건축물 내부벽체 다용구 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 내부벽체 다용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0798B1
KR100600798B1 KR1020050125438A KR20050125438A KR100600798B1 KR 100600798 B1 KR100600798 B1 KR 100600798B1 KR 1020050125438 A KR1020050125438 A KR 1020050125438A KR 20050125438 A KR20050125438 A KR 20050125438A KR 100600798 B1 KR100600798 B1 KR 100600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ied
wall
box body
groove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5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주)이안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안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이안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50125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07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0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0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folding of the cabine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83Details of furniture, e.g. tables or shelves, associated with the 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 건축물 또는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의 내부벽체 다용구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거실의 내부벽체에 매설박스체를 설치하고 덮개를 설치하여 평상시는 적재함으로 이용할 수 있고 매설박스체에 힌지걸이대를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옷걸이로 사용할 수 있는 건축물 내부벽체 다용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즉, 건축물의 내실 내부벽체에 있어서,
내부벽체(110)에 직사각형 형태로 매설홈(A)이 형성되고, 매설홈(A)의 바닥에 다수개가 길이방향으로 매설되는 한편,
원통형 형태로, 상부 중앙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형홈(129)이 형성되어 힌지 걸이대(150)가 결합되는 매설체(128);
내부벽체(110)의 매설홈(A)에 삽입설치되는 한편,
디귿자 단면 형태로, 단면 폭의 양끝에 길이방향으로 사각돌부(121)가 외측으로 돌출되고, 사각돌부(121)의 내부에 칸막이부(122)가 형성되어 가이드홈부가 형성되며, 길이방향 양측 모서리에 각각 볼트홀(123)이 형성되고, 매설체(128)가 매설된 상부위치에 위치되도록 매설홀(125)이 형성된 매설박스체(120);
매설박스체(120)의 길이방향 양측에 체결볼트(138)로 체결되는 한편,
사각 판재로, 모서리에 다른 볼트홀(131)이 형성되고, 매설박스(120)의 사각돌출부(121)가 형성된 위치에 돌출부(132)가 돌출된 측면판(130);
매설박스체(120)의 칸막이부(122)가 형성된 가이드홈부에 개폐가능하도록 삽 입되는 한편,
일측면에 사각 형태로 손잡이홈(142)이 형성되고, 폭 방향 양측에 각각 원형돌기(144)가 돌출되도록 형성된 2개 1조의 덮개판(140);
매설박스체(120)의 내부 매설홀(125)을 관통하여 매설체(128)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편,
강봉체(152)가
Figure 112005074182540-pat00001
형상으로 형성되고, 강봉체(152)에 체결홀(156)이 형성되며, 강봉체(152)가 절곡된 절곡 하부에 원형판(154)이 용접되고 그 원형판(154)의 하부에 볼트부(155)가 형성되어 회전가능한 힌지걸이대(150);가 제시된다.
건축물, 공동주택, 거실, 매설박스체

Description

건축물 내부벽체 다용구 구조{UTILITY BOX STRUCTURE OF INDOOR WALL FOR BUILDING}
도 1은 종래 건축물 내부벽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 건축물 내부벽체 다용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건축물 내부벽체 다용구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건축물 내부벽체 다용구가 설치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건축물 내부벽체 다용구의 덮개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 건축물 내부벽체 다용구의 덮개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내실 110: 내부벽체
120: 매설박스체 130: 측면판
140: 덮개판 150: 힌지걸이대
160: 중간연결대
본 발명은 일반 건축물 또는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의 내부벽체 다용구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거실의 내부벽체에 매설박스체를 설치하고 덮개를 설치하여 평상시는 적재함으로 이용할 수 있고 매설박스체에 힌지걸이대를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옷걸이로 사용할 수 있는 건축물 내부벽체 다용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또는 공동주택은 콘크리트 벽체, 천장 슬래브, 바닥 슬래브 등에 의해 공간 구획이 되고, 이러한 공간 구획이 완료된 내실에는 출입문, 창호 시스템 등 다양한 시설이 설치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1은 종래 건축물 내부벽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건축물의 내실(10)에는 콘크리트 벽체(12)가 형성되어 공간을 구획하게 된다.
또한, 내실(10)에는 행거 또는 이동가능한 옷걸이가 위치된다.
한편, 대부분의 콘크리트 벽체(12)에는 콘크리트 못 또는 옷걸이 부재 등이 설치되어 내부벽체가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부연 하자면, 각각의 사무실 또는 내실에는 행거 등이 설치되어 옷을 걸고 있지만, 내부벽체를 활용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내용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거실의 내부벽체에 매설박스체를 설치하고 덮개를 설치하여 평상시는 작은 크기 또는 부피를 가지는 물건을 적재시키는 적재함으로 이용할 수 있고 매설박스체에 힌지걸이대를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옷걸이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건축물 내부벽체 다용구 구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실 내부벽체에 있어서,
내부벽체에 직사각형 형태로 매설홈이 형성되고 매설홈의 바닥에 다수개가 길이방향으로 매설되는 매설체;
내부벽체의 매설홈에 삽입설치되는 매설박스체;
매설박스체의 길이방향 양측에 체결볼트로 체결되는 측면판;
매설박스체의 칸막이부가 형성된 가이드홈부에 개폐가능하도록 삽입되는 2개 1조의 덮개판;
매설박스체의 내부 매설홀을 관통하여 매설체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힌지걸이대;로 구성된 건축물 내부벽체 다용구 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건축물 내부벽체 다용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건축물 내부벽체 다용구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건축물 내부벽체 다용구가 설치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건축물 내부벽체 다용구의 덮개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 건축물 내부벽체 다용구의 덮개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건축물에는 내부공간을 구회하는 내실(100)의 내부벽체(110)에 직사각형 형 태로 매설홈(A)이 형성되는 한편, 그 매설홈(A)에 다용구(200)가 설치되어 평상시는 적재함으로, 편의에 따라 옷걸이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내부벽체(110)의 이용성을 확대시킨 것을 그 요지로 한다.
내부벽체(110)에는 매설홈(A)이 형성되고, 매설홈(A)의 바닥에는 다수개의 매설체(128)가 길이방향으로 매설되며, 매설홈(A)의 내부에는 매설박스체(120)와 측면판(130), 덮개(140)가 설치된다.
즉, 내부벽체(100)에는 매설홈(A)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매설박스체(120)는, 디귿자 단면 형태로, 단면 폭의 양끝에 길이방향으로 사각돌부(121)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사각돌부(121)의 내부에 칸막이부(122)가 형성되어 가이드홈부가 형성되며, 길이방향 양측 모서리에 각각 볼트홀(123)이 형성된다.
즉, 매설박스체(120)는 폭 방향 양측에 돌출되는 사각돌출부(121)가 형성되고 그 사각돌출부(121)의 내부에 형성된 칸막이부(122)로 인해 가이드홈부가 형성되며, 그 가이드홈부에 덮개판(140) 2개가 삽입되어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매설박스체(120)의 길이방향 양측에 형성된 볼트홀(123)에 측면판(130)이 체결볼트(138)로 체결되고, 매설홈(A)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매설박스체(120)의 하단에는 다수개의 매설홀(125)이 형성된다.
부연 하자면, 매설박스체(120)에는, 매설홀(125)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그 매설홀(125)의 하부에 원통형의 매설체(128)가 위치되거나 혹은 관통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매설체(128)는, 원통형 형태로, 상부 중앙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형홈(129)이 형성되어 힌지 걸이대(150)가 결합된다.
측면판(130)은, 사각 판재로, 모서리에 다른 볼트홀(131)이 형성되고, 매설박스(120)의 사각돌출부(121)가 형성된 위치와 같은 위치에 측면판(130)에는 돌출부(132)가 돌출되며, 측면판(130)은 매설박스체(120)의 길이방향 양측에 체결볼트(138)로 체결되어 전방이 오픈되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
매설박스체(120)의 칸막이부(122)가 형성된 양측에 덮개판(140)이 설치되는 한편, 2개 1조의 판재로, 일측에 사각홈이 내부로 형성된 손잡이홈(142)이 위치되고, 폭 방향 양측의 좌,우에 각각 원형돌기(144)가 돌출된다.
즉, 덮개판(140)은, 매설박스(120)의 가이드홈부에 삽입되어 양측으로 개폐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길이방향 일측면 손잡이홈(142)이 형성되어 그 손잡이홈(142)을 밀고 당겨 덮개판(140)이 개폐되며, 이때 덮개판(140)의 폭 방향 양측에 원형돌기(144)가 가이드홈부에서 슬라이딩가능하여 개폐가 용이하게 된다.
매설박스체(120)에는 내부 매설홀(125)에 힌지걸이대(150)가 볼트결합되는 한편, 힌지걸이대(150)는 강봉체(152)가 절곡된 형태로, 강봉체(152)에 체결홀(156)이 형성되고, 강봉체(152)가 절곡된 절곡 하부에 원형판(154)이 용접되고 그 원형판(154)의 하부에 볼트부(155)가 형성된다.
부연 하자면, 힌지걸이대(150)는, 강봉체(152)가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한편, 즉 강봉체(152)가 디귿자 형태로 절곡된 전방 상,하부에 각각 하부로 수직하 게 절곡되는 형상(
Figure 112005074182540-pat00002
)을 하고, 각각의 강봉체(152)에 형성된 체결홀(156)에 중간 연결대(160)가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며, 강봉체(152)의 하부 볼트부(155)가 매설체(128)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중간연결대(160)는, 수평한 강봉이 이용되고,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볼트부(162)(162')가 형성된 부재로, 2개의 힌지걸이대(150)의 사이에 체결되어 힌지걸이대(150)의 유동을 최소화하게 된다.
즉, 중간연결대(160)는, 일측 볼트부(162)의 길이가 타측 볼트부(16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중간연결대(160)가 힌지걸이대(150)에 체결됨으로 다수개의 옷걸이대로 사용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내부벽체(110)를 시공하기 위해 거푸집을 설치한 내측에 다용구(200)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재, 즉 매설박스체(120), 매설체(128), 측면판(130), 덮개판(140), 힌지걸이대(150)를 결합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면 다용구(200)가 내부벽체(110)에 설치되게 된다.
이때, 매설박스체(120)의 내측에 입설되는 힌지걸이대(150)의 원형판(154)이 매설박스체(120)의 매설홀(125)의 상면에 밀착되고 하부로 위치되는 매설체(128)와 체결되게 된다.
또한, 매설박스체(120)에는 길이방향 양측면에 각각 측면판(130)을 체결볼트 (138)로 체결하여 고정하게 된다.
한편, 내부벽체(110)가 시공된 후 다용구(200)를 내부벽체(110)에 설치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먼저, 내부벽체(110)에 매설홈(A)을 형성한 뒤, 매설홈(A)의 바닥면에 원통형상의 매설체(128)를 매설하게 되고, 체결볼트(138)에 의해 측면판(130)을 체결하게 된다.
내부벽체(110)에는 매설체(128)가 삽입되고, 매설홈(A)에는 상,하부에 각각 ㄷ자 형태로 홈부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매설체(128)에 힌지걸이대(150)를 체결하게 된다.
힌지걸이대(150)는,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매설박스체(120)의 내부에 삽입하여 체결하기에 높이가 높은 관계로, 도시된 힌지걸이대(150)와 차이를 가지도록 제작한 전체 높이를 적게 한 제품이 사용될 수 있어 힌지걸이대(150)와 매설박스체(120)를 삽입하게 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도면에는 미도시하였지만, 매설박스체(120)를 내부벽체(110)에 삽입설치하기 위해서는 매설홈(A)을 넓게 형성하여야 하고, 매설박스체(120)를 삽입설치하며 매설박스체(120)의 상부면에는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마감하게 된다.
본원에서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내부벽체(110)를 시공하기 전 거푸집 내부에 매설박스체(120)가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지만 전체적인 설명을 하기 위해 내부벽체(110)의 시공 후 매설박스체(120)가 시공되는 상태도 설명하였다.
특히, 내부벽체(110)에 매설된 다용구(200)에는, 예를들면 좌측에 옷걸이가 형성되고, 우측에 적재함이 형성되는 바, 필요에 따라 다용구(200)를 옷걸이와 적재함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효과를 하기에 설명한다.
본 발명의 건축물 내부벽체 다용구 구조는, 그 구조상, 거실의 내부벽체에 매설박스체를 설치하고 덮개를 설치하여 평상시는 작은 크기 또는 부피를 가지는 물건을 적재시키는 적재함으로 이용할 수 있고 매설박스체에 힌지걸이대를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옷걸이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1. 건축물의 내실 내부벽체 있어서,
    내부벽체(110)에 직사각형 형태로 매설홈(A)이 형성되고, 매설홈(A)의 바닥에 다수개가 길이방향으로 매설되는 매설체(128)는 원통형 형태로, 상부 중앙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형홈(129)이 형성되어 힌지 걸이대(150)가 결합되며,
    내부벽체(110)의 매설홈(A)에 삽입설치되는 매설박스체(120)는 디귿자 단면 형태로, 단면 폭의 양끝에 길이방향으로 사각돌부(121)가 외측으로 돌출되고, 사각돌부(121)의 내부에 칸막이부(122)가 형성되어 가이드홈부가 형성되며, 길이방향 양측 모서리에 각각 볼트홀(123)이 형성되고, 매설체(128)가 매설된 상부위치에 위치되도록 매설홀(125)이 형성되며,
    매설박스체(120)의 길이방향 양측에 체결볼트(138)로 체결되는 측면판(130)은 매설박스(120)의 사각돌출부(121)가 형성된 위치에 돌출부(132)가 돌출되며,
    매설박스체(120)의 칸막이부(122)가 형성된 가이드홈부에 개폐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덮개판(140)은 2개 1조로, 일측면에 사각 형태로 손잡이홈(142)이 형성되고, 폭 방향 양측에 각각 원형돌기(144)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매설박스체(120)의 내부 매설홀(125)을 관통하여 매설체(128)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힌지걸이대(150)는 강봉체(152)가
    Figure 112006034752179-pat00003
    형상으로 형성되고, 강봉체(152)에 체결홀(156)이 형성되며, 강봉체(152)가 절곡된 절곡 하부에 원형판(154)이 용접되고 그 원형판(154)의 하부에 볼트부(155)가 형성되며, 체결홀(156)에 수평한 강봉으로 제작되고 길이방향 양측에 볼트부(162)(162')가 형성된 중간연결대(160)가 체결되어 옷걸이대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내부벽체 다용구 구조.
  2. 삭제
KR1020050125438A 2005-12-19 2005-12-19 건축물 내부벽체 다용구 구조 KR100600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438A KR100600798B1 (ko) 2005-12-19 2005-12-19 건축물 내부벽체 다용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438A KR100600798B1 (ko) 2005-12-19 2005-12-19 건축물 내부벽체 다용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0798B1 true KR100600798B1 (ko) 2006-07-19

Family

ID=37184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5438A KR100600798B1 (ko) 2005-12-19 2005-12-19 건축물 내부벽체 다용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07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2318B1 (ko) 2016-09-19 2017-05-04 이백화 인테리어 벽체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2318B1 (ko) 2016-09-19 2017-05-04 이백화 인테리어 벽체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00142A1 (en) Modular blow molded shed with connectors
BE1016917A3 (nl) Inrichting voor het modulair opbouwen van een constructie met wanden.
KR100600798B1 (ko) 건축물 내부벽체 다용구 구조
CA1068465A (en) Prefabricated structures for buildings
KR200448822Y1 (ko)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베란다의세대간 칸막이 구조
JP4092311B2 (ja) 建物
JP3346685B2 (ja) 浴室ユニット
EP0725191A1 (en) Partition wall assembly
KR101424604B1 (ko) 벽체 가구 시스템
JP7151341B2 (ja) 収納棚の配線構造
KR100497939B1 (ko) 소형 주택 내부 조립식 벽걸이 옷장 개량 구조
KR200411849Y1 (ko) 베란다의 분할조립형 세대간 칸막이
RU10193U1 (ru) Садовый домик
JP7155828B2 (ja) 収納システム
KR102665158B1 (ko) 피난기능을 겸비한 공동주택용 확장형 조립식 발코니
JP7155829B2 (ja) 仕切板
RU216468U1 (ru) Многоэтажное здание
JP6190147B2 (ja) 収納用間仕切壁
JP5389330B2 (ja) 収納構造
JP2000300358A (ja) 組立式押入
KR200376588Y1 (ko) 건축용 화장실 다용도 거치대 설치구조
AU2001100261A4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building formwork
JP4290973B2 (ja) 収納棚
JPH04105135U (ja) 地下室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組立式地下室
JPS6355272A (ja) 大型トイレ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