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2839U - 베란다의 분할조립형 세대간 칸막이 - Google Patents

베란다의 분할조립형 세대간 칸막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2839U
KR20100002839U KR2020080011930U KR20080011930U KR20100002839U KR 20100002839 U KR20100002839 U KR 20100002839U KR 2020080011930 U KR2020080011930 U KR 2020080011930U KR 20080011930 U KR20080011930 U KR 20080011930U KR 20100002839 U KR20100002839 U KR 201000028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frame
veranda
intermediate connection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19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장노
Original Assignee
윤장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장노 filed Critical 윤장노
Priority to KR20200800119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2839U/ko
Publication of KR201000028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83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04B2/721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5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floor and the ceiling being achieved without any restraining forces acting in the plane of the part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61Details of connection of sheet panels to frame or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사각형상으로 조립되어 베란다에 칸막이틀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칸막이틀의 내부에는 칸막이판의 사면(상하좌우)에 후레임(장전후레임과 결속후레임)을 조립하여 형성한 한 쌍의 상측분할칸막이와 하측분할칸막이를 중간에 중간접속후레임을 개입시켜 상하로 설치하여 베란다칸막이를 형성하되, 상기 상측분할칸막이를 형성하는 칸막이판의 하단과 하측분할칸막이를 형성하는 칸막이판의 상단을 칸막이판중간접속H형후레임으로 직접 접속하여 베란다칸막이를 형성한 베란다의 분할조립형 세대간 칸막이에 관한 것으로서,
상측분할칸막이를 형성하는 칸막이판의 하단과 하측분할칸막이를 형성하는 칸막이판의 상단을 칸막이판중간접속H형후레임으로 직접 접속하여 연결하여 줌으로써, 조립되는 부품 수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용이하게 조립하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중량을 줄여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베란다칸막이. 칸막이틀. 칸막이판. 장전후레임. 결속후레임. H형중간접속후레임. 칸막이판중간접속H형후레임. 충진재.

Description

베란다의 분할조립형 세대간 칸막이{Veranda generation for partitioning}
본 발명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 베란다를 세대간으로 구획(구분)하기 위하여 베란다에 설치되는 베란다의 분할조립형 세대간 칸막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직사각형상으로 조립되어 베란다에 칸막이틀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칸막이틀의 내부에는 칸막이판의 사면(상하좌우)에 후레임(장전후레임과 결속후레임)을 조립하여 형성한 한 쌍의 상측분할칸막이와 하측분할칸막이를 중간에 중간접속후레임을 개입시켜 상하로 설치하여 베란다칸막이를 형성하되, 상기 상측분할칸막이를 형성하는 칸막이판의 하단과 하측분할칸막이를 형성하는 칸막이판의 상단을 칸막이판중간접속H형후레임으로 직접 접속하여 베란다칸막이를 형성하도록 된 베란다의 분할조립형 세대간 칸막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본인에 의해 선출원 되어 실용신안등록 제20-0411849호로 선등록 된 '베란다의 분할조립형 세대간 칸막이'를 개선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베란다에는 콘크리트벽체가 아닌 간이칸막이와 같은 비내력식 칸막이를 설치하여 베란다를 세대간으로 분할하게 된다.
화재가 발생하거나 외부인(도둑)이 침입하는 것과 같이 비상사태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세대간에 설치된 간이 칸막이를 파괴하여 인접하는 세대로 대피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베란다에 설치되는 종래의 베란다칸막이는 철재판넬의 내부에 스티로폼이 충진된 것을 주로 설치하였으나, 방화성과 방음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시공을 할 때에 벽의 위치를 선정하여 런너와 스터드를 설치하기가 용이치 못하고, 표면보드를 부착하고 마감처리 하여야 하는 등 시공과정이 복잡하며, 시공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다소나마 해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는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 20-384807호 "베란다 세대간 칸막이"가 알려져 있다.
이는 직육면체로 된 하니컴의 양면에 칸막이를 부착하여 양측 단면에 마감재를 설치하되, 일측의 마감재에는 연결홈을 형성하여 칸막이를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서, 한 쌍의 칸막이를 구비하여 일측 마감재에 형성된 연결홈을 서로 결합시키고 타측의 마감재에는 몰딩재를 결합시키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칸막이를 형성하는 하니컴과 짚라이트석고보드의 상면과 하면이 외부로 노출되고 짚라이트석고보드의 외면 하측이 바닥과 접촉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밀폐기능을 부가하지 않으면 수분(습기)이 하니컴과 짚라이트석고보드의 내부로 침투하여, 하니컴과 짚라이트석고보드가 손상되거나 깨지거나 재질이 변경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양측 단면에 결합된 몰딩재 만을 벽체에 고정시키므로 결속(고정)력이 떨어져 쉽게 흔들리거나 고정상태가 해제되어 칸막이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하니컴과 짚라이트석고보드가 하나의 판으로 되어 있으므로 중간은 지지력이 약하여 깨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무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인은 도 1a 및 도 1b에 예시된 바와 같은 실용신안등록 제20-0411849호로 선등록된 '베란다의 분할조립형 세대간 칸막이'를 제안하였다.
분할조립형 세대간 칸막이를 형성하는 베란다칸막이(10)는 베란다에 설치되는 칸막이틀의 내부에 설치(장전)되는 상측베란다분할칸막이(10-1)와 하측베란다분할칸막이(10-2) 및 H형중간접속후레임(40)으로 형성하였고, 상측베란다분할칸막이(10-1)와 하측베란다분할칸막이(10-2)의 사이(중간)를 H형중간접속후레임(40)으로 상하 연결하여 형성하였다.
상기 상측베란다분할칸막이(10-1)와 하측베란다분할칸막이(10-2)는, 칸막이판(14)의 상하좌우 단부에 상/하측후레임(11)(12)과 측면후레임(13)을 설치하되, 상/하측후레임(11)(12)과 측면후레임(13)은 장전후레임(20)에 결속후레임(30)을 결합하여 상/하측후레임(11)(12)과 측면후레임(13)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종래의 베란다칸막이(10)는, 상측베란다분할칸막이(10-1)의 하측후레임(12)과 하측베란다분할칸막이(10-2)의 상측후레임(11)을 H형중간접속후레임(40)으로 상하 연결하므로, 칸막이판(14)의 상하좌우 단부에 장전후레임(20)과 결속후레임(30)을 결합하여 상측베란다분할칸막이(10-1)와 하측베란다분할칸막이(10-2)를 완성해 주어야만 H형중간접속후레임(40)에 의해 설치가 가능 하다.
특히, 상측베란다분할칸막이(10-1)에는 하측후레임(12)을 필연적으로 구비하고 하측베란다분할칸막이(10-2)에는 상측후레임(11)을 필연적으로 구비하여야 하므로 부품이 많이 소요되어 제조원가를 상승시키게 되고, 부품을 조립하여야 하므로 작업성(작업능률)도 떨어지며, 조립을 완료하게 되면 중량이 무거워 용이하게 다룰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H형중간접속후레임(40)은 상측베란다분할칸막이(10-1)의 하측후레임(12)과 하측베란다분할칸막이(10-2)의 상측후레임(11)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측수납실과 하측수납실을 크게 형성하여야 하고, 더불어 H형중간접속후레임(40)도 크게 성형하여야 하므로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직사각형상으로 조립되어 베란다에 칸막이틀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칸막이틀의 내부에는 칸막이판의 사면(상하좌우)에 후레임(장전후레임과 결속후레임)을 조립하여 형성한 한 쌍의 상측분할칸막이와 하측분할칸막이를 중간에 중간접속후레임을 개입시켜 상하로 설치하여 베란다칸막이를 형성하되, 상기 상측분할칸막이를 형성하는 칸막이판의 하단과 하측분할칸막이를 형성하는 칸막이판의 상단을 칸막이판중간접속H형후레임으로 직접 접속하여 베란다칸막이를 형성하도록 된 베란다의 분할조립형 세대간 칸막이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측분할칸막이를 형성하는 칸막이판의 하단과 하측분할칸막이를 형성하는 칸막이판의 상단을 칸막이판중간접속H형후레임으로 직접 접속하여 연결하여 줌으로써, 조립되는 부품 수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용이하게 조립하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중량을 줄여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된 베란다의 분할조립형 세대간 칸막이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직사각형상으로 조립되어 베란다에 칸막이틀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칸막이틀의 내부에는 칸막이판의 사면(상하좌우)에 장전후레임과 결속후레임을 각각 조립하여 형성한 한 쌍의 상측분할칸막이와 하측분할칸막이를 형성하며, 상측분할칸막이와 하측분할칸막이의 중간에 중간접속후레임을 개입시켜 베란다칸막이를 형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상측분할칸막이를 형성하는 칸막이판의 하단과 하측분할칸막이를 형성하는 칸막이판의 상단을 칸막이판중간접속H형후레임으로 직접 접속하여 형성한 베란다칸막이(1-1)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베란다의 분할조립형 세대간 칸막이는,
직사각형상으로 조립되어 베란다에 칸막이틀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칸막이 틀의 내부에는 칸막이판의 사면(상하좌우)에 후레임(장전후레임과 결속후레임)을 조립하여 형성한 한 쌍의 상측분할칸막이와 하측분할칸막이를 중간에 중간접속후레임을 개입시켜 상하로 설치하여 베란다칸막이를 형성하되, 상기 상측분할칸막이를 형성하는 칸막이판의 하단과 하측분할칸막이를 형성하는 칸막이판의 상단을 칸막이판중간접속H형후레임으로 직접 접속하여 베란다칸막이를 형성한 것으로서,
상측분할칸막이를 형성하는 칸막이판의 하단과 하측분할칸막이를 형성하는 칸막이판의 상단을 칸막이판중간접속H형후레임으로 직접 접속하여 연결하여 줌으로써, 조립되는 부품 수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용이하게 조립하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중량을 줄여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5는 베란다칸막이(1-1)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베란다칸막이(1-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베란다칸막이(1-1)를 결합시킨 상태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베란다칸막이(1-1)를 칸막이틀(2)의 내부에 설치한 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베란다칸막이(1-1)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본 고안에 따른 베란다칸막이(1-1)는 상측분할칸막이(10-1)와 하측분할칸막 이(10-2)의 중간을 칸막이판중간접속H형후레임(50)으로 직접 접속하여 형성하였다.
상기 상측분할칸막이(10-1)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칸막이판(14)의 상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에는 일정한 길이로 재단한 장전후레임(20)과 결속후레임(30)을 각각 조립하여 상측후레임(11)과 양측의 측면후레임(13)을 각각 형성하여 형성하였다.
또 하측분할칸막이(10-2)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칸막이판(14)의 밑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에는 일정한 길이로 재단한 장전후레임(20)과 결속후레임(30)을 각각 조립하여 하측후레임(12)과 양측의 측면후레임(13)을 각각 형성하여 형성하였다.
상기 상측후레임(11)과 하측후레임(12) 및 양측의 측면후레임(13)을 각각 형성하는 장전후레임(20)과 결속후레임(30)은 도 1a 및도 1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인에 의해 선출원 되어 실용신안등록 제20-0411849호로 선등록된 '베란다의 분할조립형 세대간 칸막이'의 장전후레임(20)과 결속후레임(30)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하여 조립하는 것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 성형되는 상측분할칸막이(10-1)와 하측분할칸막이(10-2)의 중간을 직접 접속하여 연결하는 칸막이판중간접속H형후레임(50)은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후레임틀(51)을 길이가 길고 내부가 공간으로 된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하였고, 상기 후레임틀(51)의 상면과 밑면에는 단턱(52)에 의해 내측지지면(53)을 표면보다 낮게 형성하였고, 상면 및 밑면에 형성된 각 내측지지면(53)의 중앙에는 칸 막이상측장전실(55)과 칸막이하측장전실(56)을 각각 형성하였다.
특히, 후레임틀(51)의 폭을 차후에 설명되는 분할조립형세대간칸막이(1)를 형성하는 칸막이틀(2) 즉, 칸막이상측후레임(3)과 칸막이하측후레임(4) 및 칸막이측면후레임(5)의 폭 보다 작거나 또는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여 조립되는 분할조립형세대간칸막이(1)의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하였고, 후레임틀(51)의 내부에는 충진재(57)로서 실리콘, 연질합성수지 및 고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충진하므로 칸막이판(14)의 지지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칸막이판중간접속H형후레임(50)을 이용하여 상측분할칸막이(10-1)와 하측분할칸막이(10-2)를 직접 접속하여 베란다칸막이(1-1)를 형성하였는데, 칸막이판중간접속H형후레임(50)의 칸막이상측장전실(55)에는 상측분할칸막이(10-1)를 형성하는 칸막이판(14)의 하단을 직접 삽입하고, 칸막이하측장전실(56)에는 하측분할칸막이(10-2)를 형성하는 칸막이판(14)의 상단을 직접 삽입하여, 베란다칸막이(1-1)의 조립을 완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조립 완성된 베란다칸막이(1-1)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분할조립형세대간칸막이(1)를 형성하는 칸막이틀(2)의 내측에 조립 설치된다.
상기 칸막이틀(2)은 칸막이상측후레임(3)과 칸막이하측후레임(4) 및 칸막이측면후레임(5)을 조립하여 형성하고, 상기와 같이 조립 형성된 칸막이틀(2)의 내측에 본 고안에 따른 베란다칸막이(1-1)를 조립하여 설치함으로써 분할조립형세대간칸막이(1)의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칸막이틀(2)을 형성하는 칸막이 상측후레임(3)과 칸막이하측후레임(4) 및 칸막이측면후레임(5)의 장착홈에 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재와 같은 탄성재질로 된 패드를 끼운 상태에서 본 고안에 따른 베란다칸막이(1-1)를 결합시켜 줌으로서 분할조립형세대간칸막이(1)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조립된 분할조립형세대간칸막이(1)는 베란다에 세워 설치하고, 칸막이틀(2)을 형성하는 각 칸막이상측후레임(3)과 칸막이하측후레임(4) 및 칸막이측면후레임(5)의 외측단부와 베란다(바닥과 측면과 천장)가 맞 닫는 모서리부분에 실리콘 등을 주사시켜 줌으로서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베란다에 설치되는 분할조립형세대간칸막이(1)는, 본 고안에 따른 베란다칸막이(1-1)가 칸막이틀(2)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본 고안에 따른 베란다칸막이(1-1)을 강하게 밀어주게 되면 베라다칸막이(1-1)가 칸막이틀(2)의 장전홈에서 이탈되면서 분리되므로 베란다를 통하여 용이하게 이동(탈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탈(분리)된 본 고안에 따른 베란다칸막이(1-1)를 칸막이틀(2)의 내부에 삽입하여 조립시켜 줌으로서 재차 설치를 완료하게 되며, 이와 같이 재차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 예에 대하여만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보 고안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베란다의 분할조립형 세대간 칸막이를 보인 사시도와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베란다의 분할조립형 세대간 칸막이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베란다의 분할조립형 세대간 칸막이를 결합시킨 상태의 사시도 및 단면도.
고 5는 본 고안에 따른 베란다의 분할조립형 세대간 칸막이의 설치 상태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분할조립형세대간칸막이 1-1. 10: 베란다칸막이
2: 칸막이틀 3: 칸막이상측후레임 4: 칸막이하측후레임
5: 칸막이측면후레임 11: 상측후레임 12: 하측후레임
13: 측면후레임 14: 칸막이판 20: 장전후레임
30: 결속후레임 40: H형중간접속후레임
50: 칸막이판중간접속H형후레임 57: 충진재

Claims (5)

  1. 직사각형상으로 조립되어 베란다에 칸막이틀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칸막이틀의 내부에는 칸막이판의 사면(상하좌우)에 장전후레임과 결속후레임을 각각 조립하여 형성한 한 쌍의 상측분할칸막이와 하측분할칸막이를 형성하며, 상측분할칸막이와 하측분할칸막이의 중간에 중간접속후레임을 개입시켜 베란다칸막이를 형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베란다칸막이는, 상측분할칸막이를 형성하는 칸막이판의 하단과 하측분할칸막이를 형성하는 칸막이판의 상단을 칸막이판중간접속H형후레임으로 직접 접속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란다의 분할조립형 세대간 칸막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측분할칸막이와 하측분할칸막이의 중간을 직접 접속하여 연결하는 칸막이판중간접속H형후레임은;
    길이가 길고 내부가 공간으로 된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후레임틀과,
    상기 후레임틀의 상면과 밑면에 형성되고 단턱에 의해 표면보다 낮게 형성된 내측지지면과;
    상면과 밑면의 내측지지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측분할칸막이와 하측분할칸막이의 칸막이판이 각각 삽입되는 칸막이상측장전실 및 칸막이하측장전실;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란다의 분할조립형 세대간 칸막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칸막이판중간접속H형후레임의 후레임틀은;
    칸막이틀의 폭과 동일하거나 또는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란다의 분할조립형 세대간 칸막이.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칸막이판중간접속H형후레임의 후레임틀은;
    후레임틀의 상면 및 밑면에 형성된 각 내측지지면에 충진재를 충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란다의 분할조립형 세대간 칸막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칸막이판중간접속H형후레임을 형성하는 후레임틀의 내측지지면에 충진되는 충진재는; 실리콘 ,연질합성수지, 고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란다의 분할조립형 세대간 칸막이.
KR2020080011930U 2008-09-02 2008-09-02 베란다의 분할조립형 세대간 칸막이 KR2010000283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930U KR20100002839U (ko) 2008-09-02 2008-09-02 베란다의 분할조립형 세대간 칸막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930U KR20100002839U (ko) 2008-09-02 2008-09-02 베란다의 분할조립형 세대간 칸막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839U true KR20100002839U (ko) 2010-03-11

Family

ID=44198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1930U KR20100002839U (ko) 2008-09-02 2008-09-02 베란다의 분할조립형 세대간 칸막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2839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076Y1 (ko) * 2013-03-18 2014-11-05 윤장노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
KR200476038Y1 (ko) * 2014-07-28 2015-01-22 윤장노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
CN105604218A (zh) * 2016-01-21 2016-05-25 上海富春建业科技股份有限公司 预应力轻质集成墙及其制作方法
KR102211223B1 (ko) * 2020-10-27 2021-02-02 이병열 의류 수납용 컨테이너 박스 및 의류 판매 사원의 긍정적 사고방식 마케팅 교육을 위한 역량 강화 시스템을 포함하는 의류 매장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076Y1 (ko) * 2013-03-18 2014-11-05 윤장노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
KR200476038Y1 (ko) * 2014-07-28 2015-01-22 윤장노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
CN105604218A (zh) * 2016-01-21 2016-05-25 上海富春建业科技股份有限公司 预应力轻质集成墙及其制作方法
KR102211223B1 (ko) * 2020-10-27 2021-02-02 이병열 의류 수납용 컨테이너 박스 및 의류 판매 사원의 긍정적 사고방식 마케팅 교육을 위한 역량 강화 시스템을 포함하는 의류 매장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02839U (ko) 베란다의 분할조립형 세대간 칸막이
KR100665812B1 (ko)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
KR101385558B1 (ko) 하프 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
KR102085965B1 (ko) 시공성 및 방수성이 향상된 방음터널 및 그 시공방법
KR200411849Y1 (ko) 베란다의 분할조립형 세대간 칸막이
KR200464063Y1 (ko)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
KR200469986Y1 (ko) 조립식화장실의 칸막이용 걸레받이
KR200396322Y1 (ko)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
KR101318158B1 (ko) 방진 레벨링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마루시스템
JP2018105014A (ja) 建物
KR100990560B1 (ko)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
KR20020036557A (ko) 실내설치용 조립식 간이벽
KR200448822Y1 (ko)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베란다의세대간 칸막이 구조
JPS63502762A (ja) 家屋
KR200163845Y1 (ko) 칸막이용 골조
KR100765178B1 (ko) 건축용 바닥시공재
CN110629873A (zh) 轻钢装配建筑及其基于bim的施工方法
KR100763978B1 (ko) 베란다의 분할조립형 세대간 칸막이
KR102551776B1 (ko) 각관들을 바탕으로 내진설계가 가능한 구조물 및 그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20180122091A (ko) 단열재가 포함된 조립식 목재 패널 구조체
KR102306611B1 (ko) 자동조절 내진벽
CN213115121U (zh) 一种快装非承重外围护墙
JP2005290930A (ja) 建物内装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5438416B2 (ja) 出窓ユニット
RU2176299C1 (ru) Деревометаллическая панел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528

Effective date: 2011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