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8390B1 - 탈착식 베이 파티션용 포스트바 - Google Patents

탈착식 베이 파티션용 포스트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8390B1
KR102108390B1 KR1020190162971A KR20190162971A KR102108390B1 KR 102108390 B1 KR102108390 B1 KR 102108390B1 KR 1020190162971 A KR1020190162971 A KR 1020190162971A KR 20190162971 A KR20190162971 A KR 20190162971A KR 102108390 B1 KR102108390 B1 KR 102108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bar
bar body
post
assembly
fron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2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우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우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우이엔지
Priority to KR1020190162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3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5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 E04B2/745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with wallboards attached to the outer faces of the posts, parallel to the part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04B2/78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61Details of connection of sheet panels to frame or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판넬이 고정되는 결합부가 임의적으로 탈착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보수 및 교체시에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양측단부에 벽판넬의 외측단부가 각각 끼움결속되는 결속부들이 각각 구비된 포스트바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탈착식 베이 파티션용 포스트바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들은, 상기 포스트바본체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포스트바본체의 전면 일측단부에서 내측으로 파여지면서 형성되는 '홈'을 가지는 고정결속부재와; 상기 포스트바본체에서 상기 고정결속부재에 대칭되는 전면 타측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포스트바본체의 전면과 사이간격을 가지는 절곡요부가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바본체의 전면과 사이간격을 통해 상기 벽판넬이 끼움결속되는 '요부'를 구성하는 '┛'형상의 조립절곡편과, 상기 조립절곡편의 단부에서 절곡되면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포스트바본체의 전면서 면접촉하도록 된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종단에서 상기 포스트바본체측 방향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포스트바본체의 전면에서 내측으로 파여지면서 형성된 고정홈에 끼움결속되는 고정편을 각각 가지어 상기 포스트바본체의 전면에서 탈부착되도록 된 조립결속부재;들로 이루어지는 탈착식 베이 파티션용 포스트바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탈착식 베이 파티션용 포스트바{Post bar for removable bay partition}
본 발명은, 병원, 반도체 공정실 및 기타 나노 공정을 요하는 공정실 등과 같이 외부에 대하여 폐쇄되어 실내를 청정하게 하도록 된 청정실에서 베이간의 분리시에 설치되는 베이 파티션용 포스트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판넬이 고정되는 결합부가 임의적으로 탈착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보수 및 교체시에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된 탈착식 베이 파티션용 포스트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정실은 병원, 반도체 공정실 및 기타 나노 공정을 요하는 공정실 등에 시설된다.
이러한 청정실에는 청정에 관련된 필터팬 유니트가 장치되어 있으며, 필터팬 유니트는 지지장치 또는 나사등에 의해서 천정 등에 지지되어 설치된다.
한편, 청정실은 천정뿐만 아니라, 공간을 외부로 부터 구획분리하여 폐쇄하도록 된 칸막이가 시설된다.
이와 같은, 칸막이는, 바닥에 대하여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격자' 형태로 배치되는 수직프레임 및 수평프레임들과; 상기 수직프레임 및 상기 수평프레임들의 내측공간에 고정되는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는 벽판넬;들이 각각 조립되어 시설된다.
상기에서 벽판넬은, 아크릴을 재질로 하며 '투명성'을 가지는 아크릴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칸막이에서 상기 수직프레임 및 수평프레임들은, 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양측단부에 상기 아크릴판의 외측단부들이 각각 끼움결합되어 결속고정되는 결속홈들이 구비되고 길이방향으로 사출성형되는 '사출물'로 이루어지는 베이 칸막이 포스트바들로 형성될 수 있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5-0009219호(명칭: 청정실의 베이 파티션용 포스트바/2005.02.01.)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포스트바의 일측에는 아크릴판이 고정되는 홈이 구성되고, 그 반대편에도 아크릴판을 고정시키는 홈이 구성되며, 측면 중앙부분의 양측면에 고정시키기위한 가이드홈이 구성된 포스트바와, 포스트바 간에 연결되는 부분의 양측면에 가이드홈에 대응하여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유도되도록 일자로 각각 2개의 돌기가 "ㄱ"자형으로 형성된 각각의 양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돌기 사이에 나사가 관통하는 나사관통구멍이 "ㄱ"자형의 각각의 양면에 형성되어 나사관통구멍을 통해 숫나사를 삽입하고 숫나사가 포스트바의 가이드홈에 고정됨으로써, 포스트바 간을 고정시키는 브라켓으로 구성된 포스트바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10-0010735호(명칭: 클린룸 패널의 조립구조/2010.10.20.)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칸막이 패널들을 조립하여 클린룸을 형성하는 조립식 클린룸의 패널 조립구조에 있어서, 한쪽 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반대쪽 변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벽체를 이루는 사각형상의 패널과; 바닥에 접지되어 상기 패널의 하부 변을 밀착 지지하며, 바닥 접지면에서부터 외부면 사이에 완만하게 오목한 곡면을 형성하는 외측 만곡부가 형성되고, 바닥 접지면에서부터 내부면 사이에 완만하게 오목한 곡면을 형성하는 내측 만곡부가 형성되는 패널베이스와; 상기 패널 상부의 내부면과 외부면에 각각 고정되어, 클린룸의 내부 천장판과 외부 천장판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천장판 지지부재와; 상기 두 개 패널의 측변이 서로 만나는 코너부분에 구비되어 두 패널을 연결하는 코너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클린룸 패널의 조립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4-0005729호(명칭: 청정실 구획용 칸막이 지주/2004.03.04.)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캡이 일체로 형성된 본체의 내부에 격실이 대각방향으로 대향 위치에 구획되고, 중앙에 기초볼트 삽입홈이 형성되었으며, 본체의 양 측벽에 T-볼트 체결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칸막이 지주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3-0136922호(명칭: 조립식 칸막이 시스템/2013.11.12.)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바닥면을 따라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어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며, 좌우 양측면에 티볼트(T-Bolt)체결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수직지주; 상기 수직지주 사이의 공간에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이격되어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하 양측면에 티볼트(T-Bolt)체결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수평프레임; 상기 수직지주와 상기 수평프레임으로 짜여지는 격자 구조의 빈 공간을 채우는 사각 판재 형상의 아크릴판; "ㄱ"자 앵글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수직지주와 상기 수평프레임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에 장착되며, 상기 수직지주와 상기 수평프레임 각각의 티볼트(T-Bolt)체결홈에 삽입된 티볼트에 너트를 체결하여 상기 수직지주와 상기 수평프레임을 하나로 연결하는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칸막이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5-0009219호(2005.02.01.)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10-0010735호(2010.10.20.)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4-0005729호(2004.03.04.)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3-0136922호(2013.11.12.)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베이 파티션을 구성하는 포스트바들은, 벽판넬을 결속하는 결속부위가 포스트바본체에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벽판넬의 교체 및 보수작업시에 전체 포스트바조립물을 분리한 후, 각각의 벽판넬들을 일일이 재결합하는 과정을 통해 작업을 수행하여야 함에 따라,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벽판넬이 고정되는 결합부가 임의적으로 탈착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보수 및 교체시에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된 탈착식 베이 파티션용 포스트바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탈착식 베이 파티션용 포스트바는, 양측단부에 벽판넬의 외측단부가 각각 끼움결속되는 결속부들이 각각 구비된 포스트바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탈착식 베이 파티션용 포스트바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들은, 상기 포스트바본체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포스트바본체의 전면 일측단부에서 내측으로 파여지면서 형성되는 '홈'을 가지는 고정결속부재와; 상기 포스트바본체에서 상기 고정결속부재에 대칭되는 전면 타측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포스트바본체의 전면과 사이간격을 가지는 절곡요부가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바본체의 전면과 사이간격을 통해 상기 벽판넬이 끼움결속되는 '요부'를 구성하는 '┛'형상의 조립절곡편과, 상기 조립절곡편의 단부에서 절곡되면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포스트바본체의 전면서 면접촉하도록 된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종단에서 상기 포스트바본체측 방향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포스트바본체의 전면에서 내측으로 파여지면서 형성된 고정홈에 끼움결속되는 고정편을 각각 가지어 상기 포스트바본체의 전면에서 탈부착되도록 된 조립결속부재;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립결속부재의 상기 절곡편과 상기 포스트바본체에서 전면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면에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조립결속부재를 상기 포스트바본체의 전면으로 지지하는 지지하중을 인가하여 상기 조립결속부재가 무단으로 상기 포스트바본체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탈착식 베이 파티션용 포스트바는, 바닥에 대하여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각각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어 '격자'형상으로 설치되는 포스트바본체에서 각각의 고정결속부재와 조립결속부재들에 벽판넬의 외측단부를 각각 끼움결속하여 조립함으로써, 청정실을 구획하는 칸막이를 형성하도록 됨은 물론, 특히, 조립결속부재의 탈부착을 통해 보수 및 교체하고자 하는 벽판넬이 고정된 선택된 위치의 포스트바본체들에서 간편한 분리작업을 통해 선택된 벽판넬을 분리하여 보수 및 교체한 후, 재결합하도록 됨에 따라,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칸막이를 구성하는 전체 포스트바들을 각각 분리하지 않고도, 보수 및 교체하고자 하는 벽판넬만을 임의로 분리할 수 있어, 작업품질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탈착식 베이 파티션용 포스트바가 적용되는 청정실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탈착식 베이 파티션용 포스트바가 적용되는 칸막이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탈착식 베이 파티션용 포스트바를 보인 개략 분리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탈착식 베이 파티션용 포스트바를 보인 개략 결합 예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탈착식 베이 파티션용 포스트바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탈착식 베이 파티션용 포스트바를 구성하는 조립결속부재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탈착식 베이 파티션용 포스트바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탈착식 베이 파티션용 포스트바(1)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탈착식 베이 파티션용 포스트바(1)는, 도 1 및 도 2에서 표현된 바와 같이, 병원, 반도체 공정실 및 기타 나노 공정을 요하는 공정실 등과 같이 외부에 대하여 폐쇄되어 실내를 청정하게 하도록 된 청정실에서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칸막이(10)를 형성하는 것에 적용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탈착식 베이 파티션용 포스트바(1)는, 양측단부에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는 벽판넬(11)의 외측단부들이 각각 끼움결속되는 결속부들이 각각 구비된 포스트바본체(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다수의 상기 포스트바본체(2)들이 각각 바닥에 대하여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각각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길이를 가지도록 시설되어 '격자'형상의 관통공들을 형성하도록 되고; 상기 포스트바본체(2)들을 통해 형성되는 상기 관통공을 상기 벽판넬(11)이 폐쇄하도록 삽입 결속되면서 공간을 구획하여 청정실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에서 포스트바본체(2)들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대하여 수직상 길이를 가지면서 직립되게 시설되는 수직포스트바(12)와; 상기 수직포스트바(12) 상에서 수직상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결합되는 수평포스트바(13);들을 각각 구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직포스트바(12)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수평포스트바(13)의 크기 보다 크게 형성되어 바닥면에 대하여 내구성을 가지면서 시설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각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탈착식 베이 파티션용 포스트바(1)에서, 상기 결속부들은, 상기 포스트바본체(2)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포스트바본체(2)의 전면 일측단부에서 내측으로 파여지면서 형성되는 '홈'을 가지는 고정결속부재(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고정결속부재(3)의 '홈'을 통해 상기 벽판넬(11)의 외측단부가 삽입수용되면서 끼움결속된다.
상기 고정결속부재(3)의 '홈'의 폭은, 상기 벽판넬(11)의 두께와 맞춤되는 크기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결속부재(3)의 '홈'에 상기 벽판넬911)이 억지끼움결속되어 기밀성을 구현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고정결속부재(3)는, 상기 포스트바본체(2)의 전면에서 전면측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종단이 상기 포스트바본체(2)의 전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가지도록 절곡형성된 'ㄴ' 형상으로 가지는 '고정절곡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고정결속부재(3)는, 상기 포스트바본체(2)와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탈착식 베이 파티션용 포스트바(1)에서, 상기 결속부들은, 상기 포스트바본체(2)에서 상기 고정결속부재(3)에 대칭되는 전면 타측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포스트바본체(2)의 전면과 사이간격을 가지는 절곡요부(41)가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바본체(2)의 전면과 사이간격을 통해 상기 벽판넬(11)이 끼움결속되는 '요부'를 구성하는 '┛'형상의 조립절곡편(42)과, 상기 조립절곡편(42)의 단부에서 절곡되면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포스트바본체(2)의 전면서 면접촉하도록 된 지지편(43)과, 상기 지지편(43)의 종단에서 상기 포스트바본체(2)측 방향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포스트바본체(2)의 전면에서 내측으로 파여지면서 형성된 고정홈(21)에 끼움결속되는 고정편(44)을 각각 가지어 상기 포스트바본체(2)의 전면에서 탈부착되도록 된 조립결속부재(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포스트바본체(2)의 전면에서 상기 조립결속부재(4)를 결속조립하여 상기 포스트바본체(2)의 전면과 상기 조립절곡편(42)의 사이에 상기 벽판넬(11)이 끼움결속되는 '요부'를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조립결속부재(4)의 조립절곡편(42)에 상기 벽판넬(11)이 끼움결속되어 고정된다.
한편, 상기 포스트바본체(2)의 전면에 형성된 상기 고정홈(21)에 상기 고정편(44)이 끼움결속되면서 상기 지지편(43)이 상기 고정편(44)에 의해 형성된 탄성지지력을 통해 상기 포스트바본체(2)의 전면에 밀착지지되면서 상기 조립절곡편(42)이 상기 포스트바본체(2)의 전면측 방향으로 탄성가압된다.
이에 따라, 상기 벽판넬(11)의 고정이 확고히 유지된다.
상기에서 지지편(43)에는, 내측으로 파여진 '∧' 형상의 탄지홈(45)이 형성되어, 지지편(43)의 양측단에 대한 탄성압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조립절곡편(42)에 삽입되면서 고정되는 상기 벽판넬(11)에 의해 상기 조립절곡편(42)이 전면측 방향으로 가압될 때, 상기 탄지홈(45)을 통해 상기 조립절곡편(42)을 상기 벽판넬(11)측 방향으로 탄성지지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에서 고정홈(21)의 내측면은, 상기 고정결속부재(3)를 형성하는 상기 '고정절곡편'의 측단면과 맞춤되면서 일치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절곡편'의 측단면이 상기 조립결속부재(4)의 상기 고정편(44)의 일측단면이 면접촉하면서 지지되는 '지지면(22)'을 형성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정편(44)이 상기 지지면(22)과 면적을 가지면서 면접촉하면서 지지되어, 상기 조립결속부재(4)가 상기 고정편(44)을 중심으로 무단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무단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상기 지지면(22)은, 상기 포스트바본체(2)에서 전면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조립결속부재(4)의 상기 조립절곡편(42)의 일측단부면과 상기 지지편(43)의 길이로 이루어지는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이격되는 '평행한 방향성'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탈착식 베이 파티션용 포스트바(1)는, 바닥에 대하여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각각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어 '격자'형상으로 설치되는 상기 포스트바본체(2)들에서 각각의 상기 고정결속부재(3)와 상기 조립결속부재(4)들에 상기 벽판넬(11)의 외측단부를 각각 끼움결속하여 조립함으로써, 청정실을 구획하는 상기 칸막이(10)를 형성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포스트바본체(2)에 대한 상기 조립결속부재(4)의 탈부착을 통해 보수 및 교체하고자 하는 상기 벽판넬(11)이 고정된 선택된 위치의 상기 포스트바본체(2)들에서 간편한 분리작업을 통해 선택된 상기 벽판넬(11)을 분리하여 보수 및 교체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칸막이(10)를 구성하는 전체 포스트바(1)들을 각각 분리하지 않고도, 보수 및 교체하고자 하는 상기 벽판넬(11)만을 임의로 분리할 수 있어, 작업품질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탈착식 베이 파티션용 포스트바(1)는, 상기 조립결속부재(4)의 상기 조립절곡편(42)과 상기 포스트바본체(2)에서 전면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상기 지지면(22)에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조립결속부재(4)를 상기 포스트바본체(2)의 전면으로 지지하는 지지하중을 인가하여 상기 조립결속부재(4)가 무단으로 상기 포스트바본체(2)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지지부재(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지지부재(5)를 통해 상기 포스트바본체(2)에 대하여 상기 조립결속부재(4)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포스트바본체(2)에 대한 상기 조립결속부재(4)의 고정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지지부재(5)는, 상기 포스트바본체(2)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지지면(22)과 상기 조립절곡편(42)의 사이공간을 폐쇄하는 전면판(51)과; 상기 전면판(51)의 양측부에서 상기 포스트바본체(2)측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연장형성되어 각각의 외측면이 상기 지지면(22)과 상기 조립절곡편(42)의 일측단부면에 각각 탄성지지하도록 된 탄성편(52);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전면판(51)을 통해 상기 포스트바본체(2)의 전면에 형성되는 '요홈부"를 편평하게 마감처리하게 되며, 상기 탄성편(52)들을 통해 상기 지지부재(5)가 무단으로 상기 포스트바본체(2)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조립절곡편(42)을 탄성지지하여 상기 벽판넬(11)을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하게 된다.
상기에서 각각의 탄성편(52)들과 상기 조립절곡편(42)과 상기 지지면(22)에는, 서로 걸림결속되는 '걸림돌부'들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5)가 상기 포스트바본체(2)의 전면측 방향으로 무단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탈착식 베이 파티션용 포스트바(1)를 구성하는 상기 조립결속부재(4)와 상기 지지부재(5)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으로, 상기 지지부재(5)는, 상기 조립결속부재(4)의 상기 조립절곡편(42)의 일측단에서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재(5)는, 상기 조립결속부재(4)의 일측단에서 외측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연장형성되되, 종단에 상기 탄성편(52)과 상기 '걸림돌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탄성지지편(46)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탄성지지편(46)은, 상기 포스트바본체(2)의 전면측 방향으로 만곡되어 구조적 탄성력을 형성하도록 된 '탄성만곡부(47)'를 구비하여, 상기 조립결속부재(4)를 더욱 안정적으로 탄성지지하도록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립결속부재(4)는, 상기 포스트바본체(2)에 대하여 상기 고정편(44)을 통해 일측부위가 끼움결속되어 고정되며, 상기 고정편(44)과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상기 탄성지지편(46)을 통해 지지되어, '1지점의 고정점'과 '1지점의 지지점'을 각각 구현하게 되어, 상기 포스트바본체(2)와의 결합구조에 있어, 구조적 안정성을 구현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포스트바 10 : 칸막이
11 : 벽판넬 12 : 수직포스트바
13 : 수평포스트바 2 : 포스트바본체
21 : 고정홈 22 : 지지면
3 : 고정결속부재 4 : 조립결속부재
41 : 절곡요부 42 : 조립절곡편
43 : 지지편 44 : 고정편
45 : 탄지홈 46 : 탄성지지편
47 : 탄성만곡부 5 : 지지부재
51 : 전면판 52 : 탄성편

Claims (2)

  1. 양측단부에 벽판넬의 외측단부가 각각 끼움결속되는 결속부들이 각각 구비된 포스트바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탈착식 베이 파티션용 포스트바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들은,
    상기 포스트바본체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포스트바본체의 전면 일측단부에서 내측으로 파여지면서 형성되는 '홈'을 가지는 고정결속부재와;
    상기 포스트바본체에서 상기 고정결속부재에 대칭되는 전면 타측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포스트바본체의 전면과 사이간격을 가지는 절곡요부가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바본체의 전면과 사이간격을 통해 상기 벽판넬이 끼움결속되는 '요부'를 구성하는 '┛'형상의 조립절곡편과, 상기 조립절곡편의 단부에서 절곡되면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포스트바본체의 전면서 면접촉하도록 된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종단에서 상기 포스트바본체측 방향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포스트바본체의 전면에서 내측으로 파여지면서 형성된 고정홈에 끼움결속되는 고정편을 각각 가지어 상기 포스트바본체의 전면에서 탈부착되도록 된 조립결속부재;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베이 파티션용 포스트바.
  2. 삭제
KR1020190162971A 2019-12-09 2019-12-09 탈착식 베이 파티션용 포스트바 KR102108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971A KR102108390B1 (ko) 2019-12-09 2019-12-09 탈착식 베이 파티션용 포스트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971A KR102108390B1 (ko) 2019-12-09 2019-12-09 탈착식 베이 파티션용 포스트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8390B1 true KR102108390B1 (ko) 2020-05-07

Family

ID=70733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2971A KR102108390B1 (ko) 2019-12-09 2019-12-09 탈착식 베이 파티션용 포스트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39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137Y1 (ko) * 2002-07-11 2002-10-25 주식회사 삼우이엠씨 건물용 칸막이 패널의 지주구조
KR200365947Y1 (ko) * 2004-07-29 2004-10-28 주식회사 신우산업 샌드위치 패널의 죠인트 몰드
KR20050009219A (ko) 2003-07-17 2005-01-24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화합물, 고분자 화합물, 레지스트 재료 및 패턴 형성 방법
KR20060088352A (ko) * 2005-02-01 2006-08-04 주식회사 태우이엔지 청정실의 베이 파티션용 포스트바
KR20100010735U (ko) 2009-04-23 2010-11-02 허용 개량 장신용 체인
KR20120000814U (ko) * 2010-07-24 2012-02-06 윤장노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
KR20130136922A (ko) 2012-06-05 2013-12-13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마스크 데이터 생성 방법
KR101813094B1 (ko) * 2017-03-21 2017-12-28 김영원 커튼 월 폴딩 도어 프레임 구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137Y1 (ko) * 2002-07-11 2002-10-25 주식회사 삼우이엠씨 건물용 칸막이 패널의 지주구조
KR20050009219A (ko) 2003-07-17 2005-01-24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화합물, 고분자 화합물, 레지스트 재료 및 패턴 형성 방법
KR200365947Y1 (ko) * 2004-07-29 2004-10-28 주식회사 신우산업 샌드위치 패널의 죠인트 몰드
KR20060088352A (ko) * 2005-02-01 2006-08-04 주식회사 태우이엔지 청정실의 베이 파티션용 포스트바
KR20100010735U (ko) 2009-04-23 2010-11-02 허용 개량 장신용 체인
KR20120000814U (ko) * 2010-07-24 2012-02-06 윤장노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
KR20130136922A (ko) 2012-06-05 2013-12-13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마스크 데이터 생성 방법
KR101813094B1 (ko) * 2017-03-21 2017-12-28 김영원 커튼 월 폴딩 도어 프레임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6686B1 (ko) 건축용 외장패널의 설치를 위한 브래킷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외장패널 조립체
CN1230094A (zh) 电气机柜的抗震辅架
US9271424B2 (en) Base or mounting frame for an electrical enclosure or a rack
KR200476249Y1 (ko) 진열대 조립용 연결구
KR102051776B1 (ko) 조립식 파티션
US20140044474A1 (en) Mounting frame for an electrical enclosure or a rack
KR20220032919A (ko) 천장소음 차단을 위한 흡음재 거치형 우물천장 구조시스템
KR102108390B1 (ko) 탈착식 베이 파티션용 포스트바
CN205597578U (zh) 一种便于组装的床架结构
KR100935630B1 (ko) 클린룸용 프로파일
KR20110027249A (ko) 클린룸용 대기류 파티션
KR101404424B1 (ko) D.i.y 조립식 창고
KR100841213B1 (ko) 납골안치단
KR101102368B1 (ko) 조립식 책상 결합구조
KR20090092078A (ko) 블록부재를 사용한 패널구조체
KR20200135017A (ko) 학습용 부스
MXPA06008766A (es) Estanteria en voladizo para cobertizo de utilidad.
KR200469986Y1 (ko) 조립식화장실의 칸막이용 걸레받이
RU78610U1 (ru) Сейсмостойкий шкаф для низковольтной аппаратуры
KR200459168Y1 (ko) 칸막이용 높낮이조절형 걸레받이
KR200467343Y1 (ko) 조립식 칸막이용 판넬 받침대
KR20100100909A (ko) 칸막이 장치
KR101216322B1 (ko)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드레일 결속지지대
JP5190643B2 (ja) ガラスパネルの取付け構造
JP5176207B2 (ja) ガラスパネルにおけるガラスの取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