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1776B1 - 조립식 파티션 - Google Patents
조립식 파티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51776B1 KR102051776B1 KR1020190063618A KR20190063618A KR102051776B1 KR 102051776 B1 KR102051776 B1 KR 102051776B1 KR 1020190063618 A KR1020190063618 A KR 1020190063618A KR 20190063618 A KR20190063618 A KR 20190063618A KR 102051776 B1 KR102051776 B1 KR 1020517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rtition
- locking
- connector
- hole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2472 Canis lupus famili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742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with separate framed panels without intermediary support posts
- E04B2/7425—Details of connection of pan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002/7418—Accessories supported on the free upper edge, e.g. auxiliary panels, noise abat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조립식 파티션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조립식 파티션은, 파티션 본체(100); 및 파티션 본체의 일측부에 마련되어 파티션 본체와 다른 파티션 본체를 연결시키는 버튼식 탈부착부(200)를 포함하며, 버튼식 탈부착부(200)는, 사용자의 푸시 동작에 따라 파티션 본체(100)의 평면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락킹 바디(220)를 포함하여, 락킹 바디(220)의 상하 이동에 따라 파티션 본체를 다른 파티션 본체와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어진 공간을 복수의 공간으로 분할함과 아울러 버튼식의 단순 조작으로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한 조립식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티션(Partition)이란 주어진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공간을 분할하는 판재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최근에는 사무용 가구에 파티션이 설치되는 것은 보편화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파티션은 단순한 칸막이 기능을 떠나 방문하는 고객과 상담을 할 경우, 고객과 상담자만의 아늑한 전용공간을 연출하여 기업의 이미지를 향상시킨다. 또한 파티션은 방음효과로 인해 업무능력을 향상시키므로 근무환경을 보다 쾌적하게 하기 위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사무용 가구배치를 변경했을 경우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상호 연결이 가능한 구조방식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파티션은 규격, 재질, 설계유형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용도 및 업무특성 등에 따라 하나의 파티션을 단일 설치하거나 또는 여러 개의 파티션을 복합 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예컨대, L형 구조는 코너부분이나 책상 측면을 마감하는 경우 사용되고, T형 구조는 전체공간에서 부서와 부서, 개인과 개인의 독립공간을 구성하는 경우 사용되며, 십자형 구조는 중심 공간에서 다양한 작업공간을 확장하는 구성으로 공간을 보다 세분화하여 독립공간을 구성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한편, 파티션과 파티션 사이를 결합하여 복합 파티션을 설치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이 쓰이고 있는데, 대체적으로 볼트와 너트 또는 클램프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한다. 이러한 체결수단의 조임력과 시공자의 시공성 등에 따라 파티션과 파티션의 결합의 견고성에 상당한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이는 제품의 품질과 공사기간에도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전술한 파티션의 상호 연결구조방식은 일반적으로 파티션의 상단과 하단에 연결 브라켓을 이용하여 연결을 이루는 상하단 연결구조방식과, 파티션의 측면 전체가 연결봉이나 평단면상 장구형의 수지판과 같은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연결을 이루는 측면연결 구조방식이 있다.
종래의 파티션은 파티션을 연결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많아 제품의 생산원가가 많이 들게 될 뿐만 아니라, 파티션과 파티션 또는 파티션과 연결 프레임 사이의 각 모서리부를 플라스틱으로 성형한 고정봉들을 통해 일일이 연결시켜야 하므로 파티션의 설치 및 분해 작업이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별도의 공구나 도구 없이도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한 조립식 파티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예에 따라서는 버튼식의 단순 조작으로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조립식 파티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실시예에 따라서는 버튼식의 단순 조작으로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다양한 연결을 위한 소요 부품수를 최소화하는 조립식 파티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실시예에 따라서는 버튼식의 단순 조작으로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미감이 향상되고 경량화된 조립식 파티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립식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 파티션 본체(100); 및 상기 파티션 본체의 일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파티션 본체와 다른 파티션 본체를 연결시키는 버튼식 탈부착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식 탈부착부(200)는, 사용자의 푸시 동작에 따라 파티션 본체(100)의 평면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락킹 바디(220)를 포함하여, 상기 락킹 바디(22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파티션 본체를 다른 파티션 본체와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튼식 탈부착부(200)는, 상기 파티션 본체의 일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락킹 바디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210) 및 상기 락킹 바디(220)의 상하 이동에 따라 락킹시키거나 락킹을 해제하여 상기 파티션 본체를 다른 파티션 본체와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하는 커넥터부(230)를 포함하여, 상기 탄성체(210)는, 상기 락킹 바디(220)를 수직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파티션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락킹 바디(220)를 승강시키며, 상기 커넥터부(230)는 일측부가 상기 락킹 바디(220)에 체결되도록 마련되고 타측부는 상기 파티션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다른 파티션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락킹 바디(210)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커넥터부(230)를 상기 락킹 바디(220)에 락킹시키거나 락킹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락킹 바디(220)에는, 제1 홀(221) 및 상기 제1 홀(221)에서 상기 락킹 바디(220)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홀(221)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2 홀(222)이 마련되고, 상기 커넥터부(230)는, 상기 제1 홀(221) 및 상기 제2 홀(222)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 이동되는 커넥터 바디(231); 상기 커넥터 바디의 양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연결 로드(233); 및 상기 한 쌍의 연결 로드의 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제1 홀에 걸려 락킹되거나 상기 제2 홀을 통해 락킹이 해제되는 스토퍼 헤드(234)를 포함하여, 상기 락킹 시 상기 커넥터부(230)의 스토퍼 헤드(234)는 상기 제1 홀(221)에 걸려 락킹되고, 상기 제2 홀(222)을 통해 락킹이 해제되어, 상기 커넥터부(230)를 상기 락킹 바디(220)에 락킹시키거나 락킹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락킹 바디(220)에는, 제1 홀(221) 및 상기 제1 홀(221)에서 상기 락킹 바디(220)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홀(221)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2 홀(222)이 마련되고, 상기 커넥터부(230)는, 상기 제1 홀(221) 및 상기 제2 홀(222)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 이동되는 커넥터 바디(231); 상기 커넥터 바디의 양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연결 로드(233); 및 상기 한 쌍의 연결 로드의 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제1 홀에 걸려 락킹되거나 상기 제2 홀을 통해 락킹이 해제되는 스토퍼 헤드(234)를 포함하여, 상기 락킹 시 상기 커넥터부(230)의 스토퍼 헤드(234)는 상기 제1 홀(221)에 걸려 락킹되고, 상기 제2 홀(222)을 통해 락킹이 해제되어, 상기 커넥터부(230)를 상기 락킹 바디(220)에 락킹시키거나 락킹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락킹 바디(220)에는, 상기 파티션 본체(100)의 세로 연결 바디(132)의 최상단부로 노출되게 마련되어 사용자의 푸시 영역으로 제공되는 버튼 헤드(224)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튼식 탈부착부(200)는, 상기 파티션 본체(100)의 일측부를 관통되도록 상기 락킹 바디(220)에 결합되어 상기 락킹 바디(220)의 하강은 가능하되 최대 상승을 제한시키는 고정핀(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티션 본체(100)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가로 프레임(110); 상기 한 쌍의 가로 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세로 프레임(120); 및 상기 한 쌍의 가로 프레임의 단부와 상기 한 쌍의 세로 프레임의 단부가 서로 근접되는 영역에 결합되는 복수의 코너 연결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식 탈부착부(200)는 상기 복수의 코너 연결부(130)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코너 연결부(130)는, 가로 프레임에 일단부가 배치되는 가로 연결 바디(131); 상기 가로 연결 바디의 타단부에 절곡 마련되어 세로 프레임에 일단부가 배치되는 세로 연결 바디(132); 및 상기 가로 연결 바디 및 상기 세로 연결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가로 연결 바디와 상기 세로 연결 바디에 결합되는 결합바(133)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식 탈부착부(200)는 상기 세로 연결 바디(132)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 세로 연결 바디(132)에는, 락킹 바디(220) 및 상기 락킹 바디를 지지하는 탄성체(210)가 수용되는 수용홈(132a), 상기 수용홈과 연통되며 커넥터부의 돌출 바디가 결합되는 제1 결합홀(132b) 및 상기 수용홈과 연통되며 상기 버튼식 탈부착부의 고정핀이 일측부가 삽입되어 상기 락킹 바디에 결합되는 제2 결합홀(132c)이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티션 본체와 상기 다른 파티션 본체를 일직선을 제외한 방향으로 연결시키는 코너 커넥터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식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 파티션 본체(100); 상기 파티션 본체(100)의 상측부에 결합되는 연장 플레이트부(170); 및 상기 파티션 본체의 일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파티션 본체와 다른 파티션 본체를 연결시키는 버튼식 탈부착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식 탈부착부(200)는, 사용자의 푸시 동작에 따라 파티션 본체(100)의 평면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락킹 바디(220)를 포함하여, 상기 락킹 바디(220)의 전후 이동에 따라 상기 파티션 본체를 다른 파티션 본체와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파티션을 연결시키는 버튼식 탈부착부의 특징적 구조에 의해 버튼식의 단순 조작에 의해 공구 없이 쉽게 설치 및 분리할 수 있는 조립식 파티션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버튼식의 단순 조작으로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조립식 파티션으로, 특징적인 버튼식 탈부착부의 락킹 바디 및 커넥터부의 구성을 통해 파티션 본체와 다른 파티션 본체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여, 버튼식의 단순 조작으로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다양한 연결을 위한 소요 부품 수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버튼식의 단순 조작으로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조립식 파티션으로, 특징적인 버튼식 탈부착부와 특징적인 코너 커넥터부에 의해 L형, T형, X형 등 다양한 형태로 파티션 본체와 다른 파티션 본체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여, 버튼식의 단순 조작으로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다양한 연결을 위한 소요 부품 수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나아가, 실시예에 따라서는 버튼식의 단순 조작으로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조립식 파티션으로, 파티션의 엣지면을 알루미늄 압출로 마련하여 고급스런 미감을 살림으로써 유사 가격으로 타사의 스크린보다 세련된 느낌으로 연출할 수 있고, 알루미늄의 차가운 메탈릭한 느낌과 천(fabric)의 포근함을 조화롭게 배치하여 구성한 것이 가능하여, 버튼식의 단순 조작으로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미감이 향상되고 경량화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파티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한 쌍의 마감 플레이트와 하나의 코너 연결부와 연장 플레이트부가 파티션 본체로부터 분리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파티션 본체에서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과 프레임 마감부와 코너 마감부와 연장 플레이트의 지지 바디와 체결바가 추가적으로 분리된 것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코너 연결부에 코너 마감부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락킹 바디의 영역을 확대 도시한 것으로서 마감 바디와 마감 플레이트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고정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세로 프레임에 프레임 마감부가 결합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좌측 지지 다리의 영역을 확대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10은 파티션 본체와 상기 다른 파티션 본체를 일직선을 제외한 방향으로 연결시키는 코너 커넥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코너 커넥터부에 의해 한 쌍의 파티션이 연결되고 그 중 하나의 파티션이 연장 플레이트부를 갖는 파티션에 연결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코너 커넥터부가 파티션 본체로부터 분리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한 쌍의 마감 플레이트와 하나의 코너 연결부와 연장 플레이트부가 파티션 본체로부터 분리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파티션 본체에서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과 프레임 마감부와 코너 마감부와 연장 플레이트의 지지 바디와 체결바가 추가적으로 분리된 것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코너 연결부에 코너 마감부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락킹 바디의 영역을 확대 도시한 것으로서 마감 바디와 마감 플레이트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고정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세로 프레임에 프레임 마감부가 결합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좌측 지지 다리의 영역을 확대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10은 파티션 본체와 상기 다른 파티션 본체를 일직선을 제외한 방향으로 연결시키는 코너 커넥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코너 커넥터부에 의해 한 쌍의 파티션이 연결되고 그 중 하나의 파티션이 연장 플레이트부를 갖는 파티션에 연결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코너 커넥터부가 파티션 본체로부터 분리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조립식 파티션(1)은 파티션 본체(100)와, 종래 파티션과 차별화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파티션 본체의 일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파티션 본체와 다른 파티션 본체를 연결시키는 버튼식 탈부착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버튼식 탈부착부(200)는, 한 쌍의 파티션을 평행하게 연결하는 경우 사용자의 푸시 동작에 따라 파티션 본체(100)의 평면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락킹 바디(220), 상기 락킹 바디(220)의 상하 이동에 따라 락킹시키거나 락킹을 해제하여 상기 파티션 본체를 다른 파티션 본체와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하는 커넥터부(230)를 포함하며, 파티션 본체를 일직선을 제외한 방향 즉 평행하게 연결하는 것을 제외한 방식으로 연결하는 경우, 예컨대, L형, T형, X형 형태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버튼식 탈부착부(200)는 커넥터부(230)를 포함하지 않고, 사용자의 푸시 동작에 따라 파티션 본체(100)의 평면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락킹 바디(220), 상기 락킹 바디(220)의 상하 이동에 따라 락킹시키거나 락킹을 해제하여 상기 파티션 본체를 다른 파티션 본체와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하는 코너 커넥터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파티션 본체들이 다양한 형태 즉, 평행 연결, L형 연결, T형 연결, X형 연결 등의 복합적인 형태로 연결되어 다양한 형태의 파티션 공간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버튼식 탈부착부(200)는 상술한 커넥터부(230) 및 코너 커넥터부(300)를 동시에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있어, 버튼식 탈부착부(200)는 커넥터부(230) 및 코너 커넥터부(30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이를 통해. 복수의 파티션 연결시키는 버튼식 탈부착부의 특징적 구조에 의해 버튼식의 단순 조작에 의해 공구 없이 쉽게 설치 및 분리할 수 있는 조립식 파티션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파티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한 쌍의 마감 플레이트와 하나의 코너 연결부와 연장 플레이트부가 파티션 본체로부터 분리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파티션 본체에서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과 프레임 마감부와 코너 마감부와 연장 플레이트의 지지 바디와 체결바가 추가적으로 분리된 것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코너 연결부에 코너 마감부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락킹 바디의 영역을 확대 도시한 것으로서 마감 바디와 마감 플레이트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고정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세로 프레임에 프레임 마감부가 결합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특징적인 버튼식 탈부착부(200) 및 코너 커넥터부(300)를 중심으로, 결합구조 및 이에 따른 기능의 특징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조립식 파티션(1)은, 파티션 본체(100)와, 종래 파티션과 차별화되는 상기 파티션 본체의 일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파티션 본체와 다른 파티션 본체를 연결시키는 버튼식 탈부착부(2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파티션(1)은, 파티션 본체(100)와, 파티션 본체(100)의 일측부에 마련되어 파티션 본체(100)와 다른 파티션 본체(100)를 연결시키는 버튼식 탈부착부(200)와, 파티션 본체(100)와 상기 다른 파티션 본체(100)를 일직선을 제외한 방향으로 연결시키는 코너 커넥터부(30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파티션 본체(100)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가로 프레임(110)과, 한 쌍의 가로 프레임(110)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세로 프레임(120)과, 한 쌍의 가로 프레임(110)의 단부와 한 쌍의 세로 프레임(120)의 단부가 서로 근접되는 영역에 결합되는 복수의 코너 연결부(130)와, 한 쌍의 가로 프레임(110)과 한 쌍의 세로 프레임에 각각 결합되는 프레임 마감부(140)와, 코너 연결부(130)에 결합되는 코너 마감부(150)를 구비한다.
파티션 본체(100)의 한 쌍의 가로 프레임(11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 연결부(130)에 마련된 결합바(133)가 삽입 결합되는 제1 결합홀(111)과, 프레임 마감부(140)가 결합되는 제1 안착홈(112)이 마련된다.
파티션 본체(100)의 한 쌍의 세로 프레임(12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연결 바디(132)에 마련된 결합바(133)가 삽입 결합되는 제2 결합홀(121)과, 프레임 마감부(140)가 결합되는 제2 안착홈(122)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가로 프레임(110)과 한 쌍의 세로 프레임(120)은 플라스틱 압출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파티션 본체(100)의 코너 연결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가로 프레임(110)과 세로 프레임(120)을 연결함과 아울러 버튼식 탈부착부(200)의 결합 장소로 제공될 수 있다(도 5 참조).
본 실시예에서 코너 연결부(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프레임(110)에 일단부가 배치되는 가로 연결 바디(131)와, 가로 연결 바디(131)의 타단부에 절곡 마련되어 세로 프레임(120)에 일단부가 배치되는 세로 연결 바디(132)와, 가로 연결 바디(131) 및 세로 연결 바디(132)에 마련되어 가로 프레임(110)과 세로 프레임(120)에 결합되는 결합바(133)와, 가로 연결 바디(131) 및 세로 연결 바디(132)에 마련되어 마감 바디(141)를 끼워 맞춤 결합시키는 한 쌍의 지지편(134)을 포함한다.
코너 연결부(130)의 가로 연결 바디(131)와 세로 연결 바디(132)는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코너 연결부(130)의 가로 연결 바디(131)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너트(131a)가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상하부로 적층되는 가로 연결 바디(131)에 마련된 체결 너트(131a)에 볼트 등을 체결함으로써 파티션을 상하부로 쉽게 적층할 수 있고, 가로 연결 바디(131)의 상부에 연장 플레이트부(170)를 탈착 결합할 수 있다.
코너 연결부(130)의 세로 연결 바디(132)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탄성체(210)) 및 탄성체(210)에 탄성 지지되는 락킹 바디(220)가 수용되는 수용홈(132a)과, 수용홈(132a)과 연통되며 커넥터부(230)의 돌출 바디가 결합되는 제1 결합홀(132b)과, 수용홈(132a)과 연통되며 고정핀(240)의 일측부가 삽입되어 락킹 바디(220)에 결합되는 제2 연통홀(132c)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결합홀(132b)과 제2 결합홀(132c)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파티션 본체(100)의 프레임 마감부(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프레임(110)과 세로 프레임(12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 마감부(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프레임(110)과 세로 프레임(120)에 각각 끼워 맞춤 결합되는 마감 바디(141)와, 마감 바디(141)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마감 바디 플랜지(142)와, 마감 플랜지(142)에 끼워 맞춤 결합되는 마감캡(14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마감 바디(141)는 가로 연결 바디(131)와 세로 연결 바디(132)에 나사나 피스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 마감부(140)는 알루미늄 압출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고, 가로 프레임(110)과 세로 프레임(120)이 플라스틱 압출 방식으로 마련됨과 아울러 가로 프레임(110)과 가로 연결 바디(131) 및 세로 프레임(120)과 세로 연결 바디(132)에 각각 겹치게 마련될 수 있어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파티션 본체(100)의 코너 마감부(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 연결부(130)에 결합되는 코너 마감 바디(151)와, 코너 마감 바디(151)에 마련되어 마감 바디(141)에 삽입되는 지지바(15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바(152)는 스위치 바디(230)의 외벽 즉, 도 6의 (d)에 도시된 스위치 바디(230)의 상부 외벽을 지지할 수 있고, 이때 스위치 바디(230)의 하부에는 락킹 바디(220)의 상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파티션 본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가로 프레임(110)과 한 쌍의 세로 프레임(120)에 결합되는 한 쌍의 마감 플레이트(160)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플레이트부(170)와, 코너 연결부(130)의 체결 너트(131a)에 나사 결합(도 9 참고)되는 지지 다리(180)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연결 바디(131)와 세로 연결 바디(132)에 마련되는 복수의 피스 결합홀(190)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연장 플레이트(1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바디(171)와, 지지 바디(171)의 하부에 마련되어 가로 연결 바디(131)에 마련된 체결 너트(131a)에 탈착 결합되는 체결바(172)와, 한 쌍의 지지 바디(171)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스크린 형태의 연장 플레이트(173)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는 가로 프레임(110)에 프레임 마감부(140)에 의해 결합되는 천 부재(미도시)와, 가로 프레임(110)의 하부에 결합되는 허니컴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마감 플레이트(160)는 자석이 부착되는 금속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버튼식 탈부착부(200)는, 파티션 본체(100)의 일측부에 마련되어 파티션 본체(100)와 다른 파티션 본체(100)를 버튼식으로, 즉, 사용자의 푸시 동작에 따라 서로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기본적으로 버튼식 탈부착부(200)는, 사용자의 푸시 동작에 따라 파티션 본체(100)의 평면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락킹 바디(220) 및 락킹 바디(220)의 상하 이동에 따라 락킹시키거나 락킹을 해제하여 파티션 본체를 다른 파티션 본체와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하는 커넥터부(2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버튼식 탈부착부(200)는, 상기 파티션 본체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탄성체(210)를 더 포함하여, 상기 탄성체(210)는 상기 락킹 바디(220)와 수직으로 상기 락킹 바디(220)의 일측부가 지지되도록 상기 파티션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락킹 바디(220)를 승강시키며, 상기 커넥터부(230)는 일측부가 상기 락킹 바디(220)에 체결되도록 마련되고 타측부는 상기 파티션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다른 파티션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락킹 바디(220)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커넥터부(230)를 상기 락킹 바디(220)에 락킹시키거나 락킹을 해제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버튼식 탈부착부(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연결 바디(132)의 수용홈(132a)에 마련되는 탄성체(210)와, 탄성체(210)의 상단부에 하부가 지지되도록 수용홈(132a)에 마련되어 승강(상승 또는 하강)되는 락킹 바디(220)와, 세로 연결 바디(132)의 제1 결합홀(132b)에 일측부가 삽입되어 락킹 바디(220)에 걸림 지지되는 커넥터부(230)와, 제1 2 결합홀(132c)을 통해 락킹 바디(220)에 결합되어 상기 락킹 바디(220)의 하강은 가능하되 최대 상승을 제한시키는 고정핀(240)을 포함한다.
버튼식 탈부착부(200) 탄성체(2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132a)의 바닥부에 저면부가 접촉되도록 마련되어 락킹 바디(220)를 탄성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체(210)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
버튼식 탈부착부(200)의 락킹 바디(220)는, 사용자의 푸시력에 의해 세로 연결 바디(132)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되어 스토퍼 헤드(234)를 락킹하거나 그 락킹을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락킹 바디(220)에는, 도 7의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홀(221)과, 제1 홀(221)에서 연장되며 제1 홀(221)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2 홀(222)이 마련된다.
상기 커넥터부(230)는, 상기 제1 홀(221) 및 상기 제2 홀(222)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 이동되는 커넥터 바디(241), 상기 커넥터 바디의 양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연결 로드(243); 및 상기 한 쌍의 연결 로드의 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제2 홀에 걸려 락킹되거나 상기 제1 홀을 통해 락킹이 해제되는 상기 스토퍼 헤드(244)와, 제1 결합홀(132b)이 마련된 영역의 세로 연결 바디(132)에 끼워 맞춤 결합되는 보스 부재(23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락킹 시 상기 커넥터부(230)의 스토퍼 헤드(244)는 상기 제1 홀(221)에 걸려 락킹되고, 상기 제2 홀(222)을 통해 락킹이 해제되어, 상기 커넥터부(230)를 상기 락킹 바디(220)에 락킹시키거나 락킹을 해제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인접되는 파티션이 움직이지 않도록 서로 위치고정 시 즉, 락킹 시 커넥터부(230)의 스토퍼 헤드(24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홀(221)에 걸려 락킹된다
이 상태에서 락킹을 해제시키기 위해, 도 5 상태에서 코너 마감부(150)를 분리한 후 버튼 헤드(224)를 탄성체(210)의 방향으로 밀면, 락킹 바디(220)가 하강되면서 스토퍼 헤드(234)는 제2 홀(222)에 위치되어 커넥터부(230)를 락킹 바디(220)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그 락킹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락킹 바디(22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지지부(223)가 마련되고, 여기에는 탄성체(210)의 상단부가 지지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락킹 바디(220)의 최상단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헤드(224)가 마련되고, 이 버튼 헤드(224)는 세로 연결 바디(132)의 최상단부로 노출되게 마련되어 사용자의 푸시 영역으로 제공될 수 있다.
버튼식 탈부착부(200)의 커넥터부(2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 바디(220)에 걸려지거나(락킹) 그 걸림이 해제되도록 마련되어 서로 인접하는 파티션을 위치 고정시키거나 그 고정을 해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부(2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코너 연결부(130) 중 2개의 코너 연결부(130)에만 마련될 수도 있다.
버튼식 탈부착부(200)의 고정핀(2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연결 바디(132)의 제2 결합홀(132c)에 삽입되어 락킹 바디(220)의 스프링 지지부(223)의 상면부를 지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 예에서 고정핀(240)은 락킹 바디(220)의 하강은 가능하되 그 최대 상승을 제한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고정핀(240)의 확장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홈(241)이 마련될 수 있고, 이 절개홈(241)을 통해 고정핀(240)을 락킹 바디(220)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파티션 본체의 일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파티션 본체와 다른 파티션 본체를 연결시키는 버튼식 탈부착부(200)의 구성 및 커넥터부(230)의 락킹 및 락킹 해제를 통해 한 쌍의 파티션을 서로 평행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부(230)는, 후술하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파티션을 서로 평행하지 않게 연결하는 경우 파티션의 연결에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파티션을 L형, T형, X형 등으로 평행한 형태를 제외한 형태를 구성하기 위해 파티션 본체들을 연결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코너 커넥터부(300)가 사용되어 코너 커넥터(330)가 상기 커넥터부(230)의 락킹 및 락킹해제를 통한 파티션간 결합의 기능적 구조를 대체하여, 버튼식 탈부착부(200)는 커넥터부(230)를 포함하지 않고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파티션 본체들이 다양한 형태 즉, 평행연결, L형연결, T형연결, X형연결 등의 복합적인 형태로 연결되어 다양한 형태의 파티션 공간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버튼식 탈부착부(200)는 커넥터부(230) 및 후술하는 코너 커넥터부(300)를 동시에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파티션 본체(100)는, 선택적으로 상기 한 쌍의 가로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세로 프레임에 결합되는 한 쌍의 마감 플레이트(160) 및 상기 한 쌍의 가로 프레임에 결합되는 천 부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구조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술한 구조를 통해, 파티션 본체(100)는, 한 쌍의 가로 프레임(110)과 한 쌍의 세로 프레임(120)에 결합되는 한 쌍의 마감 플레이트(160)와, 가로 프레임(110)에 프레임 마감부(140)에 의해 결합되는 천 부재와, 가로 프레임(110)의 하부에 결합되는 허니컴 부재를 포함하는 다양한 구조 및 형태를 제작될 수 있다.
버튼식의 단순 조작으로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조립식 파티션으로, 상술한 실시예의 엣지면을 형성하는 알루미늄 재질의 프레임 마감부(140)과 가로 프레임(110)에 프레임 마감부(140)에 의해 결합되는 천 부재의 결합에 의하여 파티션의 엣지면을 알루미늄 압출로 마련하여 고급스런 미감을 살림으로써 유사 가격으로 타사의 스크린보다 세련된 느낌으로 연출할 수 있고, 알루미늄의 차가운 메탈릭한 느낌과 천(fabric)의 포근함을 조화롭게 배치하여 구성한 것이 가능하여, 버튼식의 단순 조작으로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미감이 향상되고 경량화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지지 다리가 코너 연결부에 결합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도 9에서와 같이 코너 연결부(130)가 하단 모서리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체결 너트(131a)에 지지 다리(19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도 10은 파티션 본체와 상기 다른 파티션 본체를 일직선을 제외한 방향으로 연결시키는 코너 커넥터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코너 커넥터부에 의해 한 쌍의 파티션이 연결되고 그 중 하나의 파티션이 연장 플레이트부를 갖는 파티션에 연결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코너 커넥터부가 파티션 본체로부터 분리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파티션을 L형, T형, X형 등으로 평행한 형태를 제외한 형태를 구성하기 위해 파티션 본체들을 연결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실시예의 커넥터부(230)의 락킹 및 락킹해제를 통한 파티션간 결합의 기능을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코너 커넥터부(300)가 수행하며, 특징적인 코너 커넥터부(300) 또는 이를 구성하는 코너 커넥터(330)가 상기 커넥터부(230)의 락킹 및 락킹해제를 통한 파티션간 결합의 기능적 구조를 대체한다. 이에 따라, 버튼식 탈부착부(200)는 커넥터부(230)를 포함하지 않고 코너 커넥터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파티션 본체들이 다양한 형태 즉, 평행연결, L형 연결, T형 연결, X형 연결 등의 복합적인 형태로 연결되어 다양한 형태의 파티션 공간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버튼식 탈부착부(200)는 상술한 커넥터부(230) 및 코너 커넥터부(300)를 동시에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있어, 버튼식 탈부착부(200)는 커넥터부(230) 및 코너 커넥터부(30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코너 커넥터부(3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티션 본체(100)와 다른 파티션 본체(100)를 평행 즉, 일직선을 제외한 방향으로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여, 즉, 파티션을 L형, T형, X형 등의 파티션 본체가 평행하게 배치되는 형태를 제외한 형태를 구성하기 위해 파티션 본체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실시예에서 코너 커넥터부(3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직선을 제외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파티션 본체(100)와 다른 파티션 본체(100)에 근접되게 배치되는 코너 프레임(310)과, 코너 프레임(310)의 상측부와 하측부에 결합되는 코너 바디(320)와, 코너 바디(320)에 일측부가 결합되고 타측부는 파티션 본체(100)와 다른 파티션 본체(100)에 결합되는 복수의 코너 커넥터(330)와, 코너 바디(320)에 탈착 결합되는 코너캡(3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코너 커넥터부(300)의 코너 바디(320)에는,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절개부(321)가 마련되고, 이 복수의 절개부(321)는 등 간격으로 4개가 마련될 수 있다.
코너 커넥터부(300)의 복수의 코너 커넥터(3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절개부(321)에 걸림 지지되는 확장부(331a)가 마련된 복수의 코너 커넥터 바디(331)와, 복수의 코너 커넥터 바디(331)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코너 커넥터 돌출바디(332)와, 코너 커넥터 돌출바디(332)의 일측부에 마련되며 코너 커넥터 돌출바디(332)보다 작은 직경으로 마련되는 코너 커넥터 연결로드(333)와, 코너 커넥터 연결로드(333)의 단부에 마련되어 파티션 본체(100) 또는 다른 파티션 본체(100)에 결합되며 코너 커넥터 연결로드(333)보다 큰 직경을 갖는 코너 스토퍼헤드(33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코너 스토퍼헤드(334)는, 락킹 바디(220)에 결합되어 그 걸림이 해제되거나 락킹되며 이러한 작동 원리는 전술한 커넥터부(230)의 스토퍼 헤드(244)와 동일한 구조로 적용되어, 도 1 내지 도 9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락킹 바디(220)에 락킹 또는 락킹해제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파티션을 서로 평행하지 않게 연결하는 경우 코너 커넥터부(300)의 코너 커넥터(330)가 커넥터부(230)의 기능 내지 결합구조를 대체하여, 파티션 내지 파티션 본체를 결합한다.
코너 커넥터부(300)의 코너캡(34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 바디(320)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각 실시예의 구성 및 이들의 조합의 작용 및 효과를 통하여, 복수의 파티션을 연결시키는 버튼식 탈부착부의 특징적 구조에 의해 버튼식의 단순 조작에 의해 공구 없이 쉽게 설치 및 분리할 수 있는 조립식 파티션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가지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버튼식의 단순 조작으로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조립식 파티션으로, 특징적인 버튼식 탈부착부(200)의 스위치 바디(230) 및 커넥터부(230)의 구성을 통해 파티션 본체와 다른 파티션 본체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여, 버튼식의 단순 조작으로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다양한 연결을 위한 소요 부품 수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버튼식의 단순 조작으로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조립식 파티션으로, 특징적인 버튼식 탈부착부(200)와 특징적인 코너 커넥터부(300)에 의해 L형, T형, X형 등 다양한 형태로 파티션 본체와 다른 파티션 본체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여, 버튼식의 단순 조작으로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다양한 연결을 위한 소요 부품 수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음과 아울러, 실시예에 따라서는 버튼식의 단순 조작으로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조립식 파티션으로, 파티션의 엣지면을 알루미늄 압출로 마련하여 고급스런 미감을 살림으로써 유사 가격으로 타사의 스크린보다 세련된 느낌으로 연출할 수 있고, 알루미늄의 차가운 메탈릭한 느낌과 천(fabric)의 포근함을 조화롭게 배치하여 구성한 것이 가능하여, 버튼식의 단순 조작으로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미감이 향상되고 경량화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구성임이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다른 조합들이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본 발명은 여기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러한 다른 조합들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통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 : 조립식 파티션
100 : 파티션 본체 110 : 가로 프레임
111 : 제1 결합홀 112 : 제1 안착홈
120 : 세로 프레임 121 : 제2 결합홀
122 : 제2 안착홈 130 : 코너 연결부
131 : 가로 연결 바디 131a : 체결 너트
132 : 세로 연결 바디 132a : 수용홈
132b : 제1 결합홀 132c : 제2 결합홀
133 : 결합바 134 : 지지편
140 : 프레임 마감부 141 : 마감 바디
142 : 마감 바디 플랜지 143 : 마감캡
150 : 코너 마감부 151 : 코너 마감 바디
152 : 지지바 160 : 마감 플레이트
170 : 연장 플레이트부 171 : 지지 바디
172 : 체결바 173 : 연장 플레이트
180 : 지지 다리 190 : 피스 결합홀
200 : 버튼식 탈부착부 210 : 탄성체
220 : 락킹 바디 221 : 제1 홀
222 : 제2 홀 223 : 스프링 지지부
224 : 버튼 헤드 230 : 커넥터부
231 : 커넥터 바디 232 : 돌출 바디
233 : 연결 로드 234 : 스토퍼 헤드
235 : 보스 부재 240 : 고정핀
241 : 절개홈 300 : 코너 커넥터부
310 : 코너 프레임 320 : 코너 바디
321 : 절개부 330 : 코너 커넥터
331 : 코너 커넥터 바디 331a : 확장부
332 : 코너 커넥터 돌출바디 333 : 코너 커넥터 연결로드
334 : 코너 스토퍼헤드 340 : 코너캡
100 : 파티션 본체 110 : 가로 프레임
111 : 제1 결합홀 112 : 제1 안착홈
120 : 세로 프레임 121 : 제2 결합홀
122 : 제2 안착홈 130 : 코너 연결부
131 : 가로 연결 바디 131a : 체결 너트
132 : 세로 연결 바디 132a : 수용홈
132b : 제1 결합홀 132c : 제2 결합홀
133 : 결합바 134 : 지지편
140 : 프레임 마감부 141 : 마감 바디
142 : 마감 바디 플랜지 143 : 마감캡
150 : 코너 마감부 151 : 코너 마감 바디
152 : 지지바 160 : 마감 플레이트
170 : 연장 플레이트부 171 : 지지 바디
172 : 체결바 173 : 연장 플레이트
180 : 지지 다리 190 : 피스 결합홀
200 : 버튼식 탈부착부 210 : 탄성체
220 : 락킹 바디 221 : 제1 홀
222 : 제2 홀 223 : 스프링 지지부
224 : 버튼 헤드 230 : 커넥터부
231 : 커넥터 바디 232 : 돌출 바디
233 : 연결 로드 234 : 스토퍼 헤드
235 : 보스 부재 240 : 고정핀
241 : 절개홈 300 : 코너 커넥터부
310 : 코너 프레임 320 : 코너 바디
321 : 절개부 330 : 코너 커넥터
331 : 코너 커넥터 바디 331a : 확장부
332 : 코너 커넥터 돌출바디 333 : 코너 커넥터 연결로드
334 : 코너 스토퍼헤드 340 : 코너캡
Claims (10)
- 삭제
- 삭제
- 파티션 본체(100); 및
상기 파티션 본체의 일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파티션 본체와 다른 파티션 본체를 연결시키는 버튼식 탈부착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식 탈부착부(200)는, 사용자의 푸시 동작에 따라 파티션 본체(100)의 평면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락킹 바디(220)를 포함하여, 상기 락킹 바디(22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파티션 본체를 다른 파티션 본체와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하고,
상기 버튼식 탈부착부(200)는, 상기 파티션 본체의 일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락킹 바디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210) 및 상기 락킹 바디(220)의 상하 이동에 따라 락킹시키거나 락킹을 해제하여 상기 파티션 본체를 다른 파티션 본체와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하는 커넥터부(230)를 포함하여,
상기 탄성체(210)는, 상기 락킹 바디(220)를 수직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파티션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락킹 바디(220)를 승강시키며,
상기 커넥터부(230)는 일측부가 상기 락킹 바디(220)에 체결되도록 마련되고 타측부는 상기 파티션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다른 파티션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락킹 바디(220)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커넥터부(230)를 상기 락킹 바디(220)에 락킹시키거나 락킹을 해제시키고,
상기 락킹 바디(220)에는,
제1 홀(221) 및 상기 제1 홀(221)에서 상기 락킹 바디(220)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홀(221)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2 홀(222)이 마련되고,
상기 커넥터부(230)는,
상기 제1 홀(221) 및 상기 제2 홀(222)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 이동되는 커넥터 바디(231);
상기 커넥터 바디의 양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연결 로드(233); 및
상기 한 쌍의 연결 로드의 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제1 홀에 걸려 락킹되거나 상기 제2 홀을 통해 락킹이 해제되는 스토퍼 헤드(234)를 포함하여,
상기 락킹 시 상기 커넥터부(230)의 스토퍼 헤드(234)는 상기 제1 홀(221)에 걸려 락킹되고, 상기 제2 홀(222)을 통해 락킹이 해제되어, 상기 커넥터부(230)를 상기 락킹 바디(220)에 락킹시키거나 락킹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티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락킹 바디(220)에는,
상기 파티션 본체(100)의 세로 연결 바디(132)의 최상단부로 노출되게 마련되어 사용자의 푸시 영역으로 제공되는 버튼 헤드(224)가 마련되는 조립식 파티션.
- 파티션 본체(100); 및
상기 파티션 본체의 일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파티션 본체와 다른 파티션 본체를 연결시키는 버튼식 탈부착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식 탈부착부(200)는, 사용자의 푸시 동작에 따라 파티션 본체(100)의 평면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락킹 바디(220)를 포함하여, 상기 락킹 바디(22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파티션 본체를 다른 파티션 본체와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하고,
상기 버튼식 탈부착부(200)는, 상기 파티션 본체의 일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락킹 바디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210) 및 상기 락킹 바디(220)의 상하 이동에 따라 락킹시키거나 락킹을 해제하여 상기 파티션 본체를 다른 파티션 본체와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하는 커넥터부(230)를 포함하여,
상기 탄성체(210)는, 상기 락킹 바디(220)를 수직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파티션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락킹 바디(220)를 승강시키며,
상기 커넥터부(230)는 일측부가 상기 락킹 바디(220)에 체결되도록 마련되고 타측부는 상기 파티션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다른 파티션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락킹 바디(220)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커넥터부(230)를 상기 락킹 바디(220)에 락킹시키거나 락킹을 해제시키고,
상기 버튼식 탈부착부(200)는,
상기 파티션 본체(100)의 일측부를 관통되도록 상기 락킹 바디(220)에 결합되어 상기 락킹 바디(220)의 하강은 가능하되 최대 상승을 제한시키는 고정핀(240)을 더 포함하는 조립식 파티션.
-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 본체(100)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가로 프레임(110);
상기 한 쌍의 가로 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세로 프레임(120); 및
상기 한 쌍의 가로 프레임의 단부와 상기 한 쌍의 세로 프레임의 단부가 서로 근접되는 영역에 결합되는 복수의 코너 연결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식 탈부착부(200)는 상기 복수의 코너 연결부(130)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티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코너 연결부(130)는,
가로 프레임에 일단부가 배치되는 가로 연결 바디(131);
상기 가로 연결 바디의 타단부에 절곡 마련되어 세로 프레임에 일단부가 배치되는 세로 연결 바디(132); 및
상기 가로 연결 바디 및 상기 세로 연결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가로 연결 바디와 상기 세로 연결 바디에 결합되는 결합바(133)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식 탈부착부(200)는 상기 세로 연결 바디(132)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티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세로 연결 바디(132)에는, 락킹 바디(220) 및 상기 락킹 바디를 지지하는 탄성체(210)가 수용되는 수용홈(132a), 상기 수용홈과 연통되며 커넥터부의 돌출 바디가 결합되는 제1 결합홀(132b) 및 상기 수용홈과 연통되며 상기 버튼식 탈부착부의 고정핀이 일측부가 삽입되어 상기 락킹 바디에 결합되는 제2 결합홀(132c)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티션.
-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 본체와 상기 다른 파티션 본체를 일직선을 제외한 방향으로 연결시키는 코너 커넥터부(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티션. -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 본체(100)의 상측부에 결합되는 연장 플레이트부(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티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3618A KR102051776B1 (ko) | 2019-05-30 | 2019-05-30 | 조립식 파티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3618A KR102051776B1 (ko) | 2019-05-30 | 2019-05-30 | 조립식 파티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51776B1 true KR102051776B1 (ko) | 2020-01-08 |
Family
ID=69154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63618A KR102051776B1 (ko) | 2019-05-30 | 2019-05-30 | 조립식 파티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51776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1949B1 (ko) | 2020-02-05 | 2020-06-04 | 주식회사 제니시스 | 수납식 홀더가 구비된 파티션 |
KR102247472B1 (ko) * | 2020-12-04 | 2021-04-30 | 진영민 | 칸막이용 모서리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oa 칸막이 |
KR102370991B1 (ko) * | 2021-12-28 | 2022-03-07 | (주)베스툴 | 파티션 및 그의 조립방법 |
KR102468890B1 (ko) * | 2022-05-18 | 2022-11-21 | 주식회사 세계로 | 분리핀을 구비한 파티션 연결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파티션 |
KR102680281B1 (ko) * | 2023-10-23 | 2024-07-01 | (주)선명테크 | 클립식 핀결합에 기인한 직결식 간편 설치형 라이트 파티션 |
KR102694913B1 (ko) * | 2023-10-23 | 2024-08-13 | (주)선명테크 | 다방향 체결구조의 포스트를 갖춘 간편 시공형 라이트 파티션 |
KR102694918B1 (ko) * | 2023-10-23 | 2024-08-13 | (주)선명테크 | 조립 체결성이 향상된 라이트 파티션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5151B1 (ko) | 2008-08-28 | 2010-01-06 | 정형택 | 조립과 분리가 용이한 기능을 갖는 파티션 패널 결합체 |
KR100990691B1 (ko) * | 2010-03-26 | 2010-10-29 | 주식회사 울타리 | 칸막이 시스템 |
KR20160109022A (ko) * | 2015-03-09 | 2016-09-21 | 주식회사 코아스 | 파티션의 적층 연결장치 |
KR20170135487A (ko) * | 2016-05-31 | 2017-12-08 | 주식회사 울타리 | 파티션 연결장치 |
KR101894873B1 (ko) * | 2017-12-12 | 2018-09-05 | (주)코아스 |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의 확장장치 |
-
2019
- 2019-05-30 KR KR1020190063618A patent/KR10205177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5151B1 (ko) | 2008-08-28 | 2010-01-06 | 정형택 | 조립과 분리가 용이한 기능을 갖는 파티션 패널 결합체 |
KR100990691B1 (ko) * | 2010-03-26 | 2010-10-29 | 주식회사 울타리 | 칸막이 시스템 |
KR20160109022A (ko) * | 2015-03-09 | 2016-09-21 | 주식회사 코아스 | 파티션의 적층 연결장치 |
KR20170135487A (ko) * | 2016-05-31 | 2017-12-08 | 주식회사 울타리 | 파티션 연결장치 |
KR101894873B1 (ko) * | 2017-12-12 | 2018-09-05 | (주)코아스 |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의 확장장치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1949B1 (ko) | 2020-02-05 | 2020-06-04 | 주식회사 제니시스 | 수납식 홀더가 구비된 파티션 |
KR102247472B1 (ko) * | 2020-12-04 | 2021-04-30 | 진영민 | 칸막이용 모서리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oa 칸막이 |
KR102370991B1 (ko) * | 2021-12-28 | 2022-03-07 | (주)베스툴 | 파티션 및 그의 조립방법 |
KR102468890B1 (ko) * | 2022-05-18 | 2022-11-21 | 주식회사 세계로 | 분리핀을 구비한 파티션 연결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파티션 |
KR102680281B1 (ko) * | 2023-10-23 | 2024-07-01 | (주)선명테크 | 클립식 핀결합에 기인한 직결식 간편 설치형 라이트 파티션 |
KR102694913B1 (ko) * | 2023-10-23 | 2024-08-13 | (주)선명테크 | 다방향 체결구조의 포스트를 갖춘 간편 시공형 라이트 파티션 |
KR102694918B1 (ko) * | 2023-10-23 | 2024-08-13 | (주)선명테크 | 조립 체결성이 향상된 라이트 파티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51776B1 (ko) | 조립식 파티션 | |
KR102019201B1 (ko) | 조립식 파티션 | |
KR101174115B1 (ko) | 조립식 파티션 | |
JP2006280797A (ja) | デスクシステム | |
JP4968777B2 (ja) | サイドパネル付き机 | |
KR101359491B1 (ko) | 조립식 가구 시스템 | |
KR101232840B1 (ko) | 행거형 정보 표시장치 | |
KR100221866B1 (ko) | 주방용 가구 시스템 | |
US1714909A (en) | Composite cabinet | |
JP5288604B2 (ja) | システムキッチン | |
JP5214874B2 (ja) | パネル状物取付構造 | |
KR101108698B1 (ko) | 파티션의 연결장치 | |
JP3696460B2 (ja) | 机装置 | |
JP4362611B2 (ja) | 移動間仕切り壁 | |
JP2011139961A (ja) | 机 | |
JP7507029B2 (ja) | キッチンユニット | |
JP4745644B2 (ja) | 間仕切装置 | |
JP2010236356A (ja) | 間仕切装置 | |
CN106352228A (zh) | 一种型材及使用该型材制作的框体 | |
KR102311969B1 (ko) | 상판의 상/하면 교체조립이 가능한 독립 작업공간형 조립식 책상 | |
JP4773806B2 (ja) | 机 | |
JP7570888B2 (ja) | 什器システム | |
CN214381888U (zh) | 型材机架 | |
JP6122615B2 (ja) | 壁パネルユニット | |
JP5643392B2 (ja) | 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