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1866B1 - 주방용 가구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방용 가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1866B1
KR100221866B1 KR1019970025759A KR19970025759A KR100221866B1 KR 100221866 B1 KR100221866 B1 KR 100221866B1 KR 1019970025759 A KR1019970025759 A KR 1019970025759A KR 19970025759 A KR19970025759 A KR 19970025759A KR 100221866 B1 KR100221866 B1 KR 100221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member
furniture system
kitchen furniture
cross
tub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5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0269A (ko
Inventor
랑거 오토
부디 요한
하버를 토마스
하이찡거 로베르트
마싸네츠 클라우스
노이만 레네
Original Assignee
로타 쿨레만
불트하우프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퀴헨시스테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타 쿨레만, 불트하우프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퀴헨시스테메 filed Critical 로타 쿨레만
Publication of KR980000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0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1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1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2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 A47B88/4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at cabinet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02Joints between panels and corner po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0Joints for furniture tubing
    • F16B12/42Joints for furniture tubing connecting furniture tubing to non-tubular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 F16B12/48Non-metal leg conn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46Rod end to transverse side of mem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46Rod end to transverse side of member
    • Y10T403/4602Corner joint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 요소에 의해 서로 연결된 관들 그리고/또는 단면부들을 가진 자기 지지 하부구조로 이루어진 주방가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관한 연결부재는 관으로 그 자체가 형성되는 성형부 그리고/또는 최소한 하나가 측면으로 돌출한 돌출부가 있는 중공단면이 연결부재의 전 길이를 통하여 형성되고 연결부재 자체는 하부구조에서 어떤 부분에서 관들 그리고/또는 단면부를 대신하는 수직 요소로 통합된다.

Description

주방용 가구 시스템
제1~3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따른 하부구조의 다른 예의 사시도.
제4~7도는 사시도에서 다양한 기본 모듈(module)을 나타낸 도면.
제8~35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시스템의 연결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제36~39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시스템의 조립판들의 다른예의 평면도 또는 횡단면도.
제40~4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시스템의 다른 예들을 따르는 부분적으로 첨부된 요소의 다양한 형태의 조립판의 사시도.
제45~49도는 기본적으로 다른 설계를 가진 연결부재의 실시예에 대한 횡단면도.
제50~57도는 하부구조에 작업표면 정착물의 부분들을 통한 다른 횡단면도 또는 평면도.
제58~65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시스템의 하부구조에 사용되는 다양한 하부 패널(panel)의 변형예.
제66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하부 패널 프레임의 평면도.
제67~69도는 제66도의 바닥 프레임을 위한 다른 연결부분들을 나타낸 도면.
제70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시스템의 용도를 위한 격자하부도.
제71, 72도는 가구 시스템과 그에 적합한 상황에서 사용을 위해 있는 빼어내는 안전구를 구비한 하부 패널의 부적 절단 평면도.
제73, 7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다양한 하부/측면 부분의 결합도.
제75, 76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시스템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제77, 80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시스템에서 다양하게 맞추어진 상황하에서 나타난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주방용 가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방가구의 분야에서 지난 수십년동안 맞춤식 주방(fitted kitchen)이 기준이 되어왔다. 이러한 것들은 주방설계를 공간에 맞추는 주방 가구 시설들이다. 그러나, 맞춤식 주방에서 함께 고정설치된 주방가구는 그 이동성에 문제가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고, 이는 한편으로 주방내에 주방가구의 원하는 재배치와 재조정이라는 문제에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더욱 종종 일어나는 문제점들은 다른 집으로 이사를 가는 경우에 발생한다, 즉 다른 집에서는 주방의 배치를 새롭게 설치하여야 할 필요가 일반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이다.
맞춤식 주방이 도입되기 전에도, 이미 보관용 찬장, 캐비넷등과 같은 그러한 개개의 가구로부터 주방을 설치하는 것은 알려져 왔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가구는 서로 크기와 모양에 있어 조화를 이루지 못했던 재래식 가구였다.
최근에는 최초로 이동성 있는 주방을 만들기 위한 노력이 행해져 왔었다. 이와 관련하여 소위 "슈트케이스 키친(suitcase kitchen)"을 들수 있다. 여기에는 찬장과 세척기, 세탁기, 스토브와 같은 그러한 기능적인 물품들이 유닛별로 운반하는 통합된 플립핸들(flip-handle)을 지니고 롤러(roller)로 이동할 수 있는 슈트케이스 하우징(suitcase housing)의 형태로 통합된다.
반면에 선반과 사무용 가구의 분야에의 가구시스템은 연결부재로 서로 연결되는 관(tube)들이 있는 자기 지지 하부구조(self-supporting basic framework)를 구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다음, 기능에 따라 선반 보드(shelf boards), 측면 패널(side panels), 벽면 패널(wall panels), 플랩(flaps), 서랍들과 같은 것이 설치되고 벽부재는 또한 부동으로 가구의 일부분들을 지지한다.
하부구조를 형성하는 관들의 연결은 본질적으로 구형태의 문손잡이에 의해 되는데 관들은 끝단에 있는 나사에 의해 나사 조임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좋은 디자인을 지니고 동시에 이동성이 있으며 모든 기능을 포함하고 주방가구에 유연하고 다양한 설계를 가능하게 하는 자기 지지 하부구조(self-supporting basic framework)를 가진 가구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메인 청구항에 나타난 특징을 가진 본 발명의 가구 시스템에 의하여 해결된다. 따라서 하부구조의 연결부재는 관으로 설계되어진 자체의 각각의 성형부와 그리고/또는 최소한 측면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있는 실제로 폐색된 중공 단면이 연결부재의 전길이 위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 연결부재들 자체는 그들의 길이위로 그들이 서로 연결되는 단면부와 그리고/또는 관들을 대신하는 수직 구성 부재(vertical construction elements)로서 하부구조안에 통합된다. 표준화된 부품으로 구성된 자기 지지 하부구조에서, 모든 기능은 돌출부로 형상된 연결부재들을 사용해서 통합되어진다. 그래서 선반부재들, 측면 패널(side panel), 문들, 플랩들, 부속품과 서랍들이 별다른 문제없이 통합되어질 수 있다. 큰 지지 용량 때문에 심지어 중량이 큰 부속품들도 통합될 수 있다. 연결 부재의 설계는 기술적 관점에서 모듈(module)구성 성분 시스템을 유리하게 할 뿐만 아니라 관으로부터 형성된 하부구조의 연결 그리고/또는 연결 돌출부를 갖는 실제적으로 폐색된 중공 단면에 의한 중요한 설계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들은 주된 청구항으로부터 뒤따르는 종속 청구항에서 나탄난다.
따라서 하부구조의 수직부재는 연결부재의 중동단면속으로 연장된 관 그리고/또는 단면부들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관들 그리고/또는 단면부들은 연결부재의 전 길이에 걸쳐 연장될 수 있고 그래서 연결부재는 말하자면 중공단면속으로 슬리브(sleeve)처럼 밀려들어간다.
유리하게도, 중공단면들은 연결부재에 전 길이에 걸쳐 연장되지 않으나, 단부에서 확실한 고정, 예를들면, 클램핑, 스크류잉등이 연결부재에서 가능한 정도로만 밀어지는데, 이러한 방법으로 재질과 중량이 실제적으로 절감된다.
기초골격의 삽입된 플레이트(plate), 프레임(frame) 뿐만 아니라 수평 관 그리고/또는 단면부들이 연결부재의 돌출부에 고정될 수 있다.
연결부재가 단면적에서 비대칭인 비말의 형태를 가진다면 특별한 디자인 설계이다. 하지만 이 형태는 끝단(edge)이 예를들어 표면을 깨끗하게 하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들지는 않게 형성되었기 때문에 또한 매우 좋은 기능성을 허한다.
이 연결부재는 서로 연결되어지는 관의 형태에 적합한 각 경우에 둥글고 다각형의 공동 단면을 가져도 된다.
연결부재에서 돌출부의 일측에서 리세스(recess)가 벽요소들, 바닥들, 프에임들, 관들 또는 판들과 같은 그러한 구성요소에서 바로 받아들이도록 규정될 수 있다.
외측에, 장식, 예를들어 가구에 부가적인 디자인 특징을 주기 위해 조각하고(또는) 무늬를 날염하는 것이 이용될 수 있다.
구성요소와 부속픔들을 조립시키도록 하면서 구멍(bore hole), 나선 구멍(screw borehole), 리세스 그리고/또는 홈들과 같은 표준화된 것을 구비한 연결부재에 조립판을 연결한다면 특히 바람직하다. 그래서 이 조립판들은 특정영역에서 가구시스템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구성요소들을 활용할 수 있는 일련의 조립 가능성들을 내포한다.
여기서 특히 가구 시스템을 위한 구성요소의 형태의 다양한 변화를 이용하는 것이 제한된다. 가구 시스템의 재배치는 이 조립판들의 다기능성 덕택에 물론 단순화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재는 또한 다수의 부분들로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그 자체로서 연결부재가 드라플릿(droplet)형태를 가질수도 있고, 그것은 나사 연결용 나사로 외측에서부터 안으로 조이면서 씌우기 위해서 외측에서 고정되는 조일수 있는 스크린(clampable screen)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조립하기 편한 설계는 일단 스크린이 제거될 때 주어진 외측으로부터 나사 용량으로서 구비된다.
그러나 연결부재는 그 전 길이위로 연장된 리세스를 갖는 중공단면과 두 부분을 연결 고착시키기 위한 대응하는 돌출부를 갖는 이 중공단면에 연결될 수 있는 돌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에서 제3도는 주방용 가구(10)를 위한 하부구조(12)의 구조를 다른 예로 나타낸 것이다. 제1,2도에서 작업판(14)은 하부구조(12)위에 놓여진다. 하부구조(12)는 수직방향을 가지고 동일한 수직 관들(18)이 있는 연결부재(16)로 구성된다. 연결 부재들(16)은 그 자체로 관으로 형성된 모양부로 구성되고 측면으로 돌출된 돌출부(20)가 연결부재(16)의 전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 돌출부(20)에서 수평 버팀목들이 장방형 관(22)들로 형성되어 고정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는 가구 시스템의 하부구조는 연결부재(16)에 의하여 함께 연결된 관 시스템으로 만들어진다. 연결부재(16)와 보통관(18,22)들은 예를들어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같은 금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나무 또는 플라스틱(plastic)이라도 좋다.
제1에서 3도에서 보여준 하부구조는 각 경우 다리가 4개인데 이 경우에 롤러(roller)가 다리에 공급되어 질수 있다.
관(22)의 수평 경로를 걸쳐서 두 개의 하부레벨(bottom level)이 정해진다.
관(18,20) 대신에, 여기서는 미도시, 예를 들어 금속판 또는 나무판이 연결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제1도에서는 기구가 나중에 설치되는 바와 같이 기능성 요소가 있는 단일의 블록을 나타내지만, 제2도에서는 두 개의 블록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두 개의 기구들은 나중에 서로 옆에 놓일수도 있다. 수평한 장방형의 관들은 장방형 관들로 이루어져 있는 중앙의 수직 지지프레임(24)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제2도에서 보여지듯이 프레임은 벤딩(bending) 또는 비슷한 것을 방지하기 위해 로프 또는 로드(rod,25) 같은 그러한 부동 보조기구를 가진 후방 패널 지역에서 재강화될 수 있다. 제3도에서의 실시예는 큰 하나의 단일 블록을 보여주고 있는데 그 블록안에 두 개의 기능 칸막이들이 서로 위로 배치된다.
여기서 수평으로 연장된 장방형 관(22)에 의하여 형성된 상, 하부의 지지 레벨에 더하여 다른 중앙 지지 레벨이 상응하는 장방형 관(22)에 의하여 형성되고, 이들은 연결부재(16)에 높이에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는 방법으로 고정되어질 수 있다.
하부구조(12)에서 보듯이, 원형절단면을 가진 관들로 형성된 간(18)들은 필요한 안정성(stability)을 위해 상응하는 연결 또는 구조적 안정 요소에 의하여 보장되는 정도로 적절한 연결부재(16)내로 오직 삽입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하부구조가 자기 지지적이고 자기 강화적인 것이고 여기서 항상 사용되는 주방용 가구를 위한 측면부를 통하여 얻어지는 안정성은 아닌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에서는 필요한 측면부재의 설계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
그래서 스스로 지지하고 스스로 강화하는 하부구조(12)에 어떤 기능적 유닛을 맞추는 것이 가능하다.
제4도에서 제7도는 기능적인 구성부분을 상응하게 현실화시킨 예들을 들어준다. 여기에 있는 제4도와 제5도의 주방가구에서 두 개의 블록(block)은 제2도의 선행 실시예에 따라 하부구조(12)를 기본적으로 포함하는 각 경우를 보여준다.
하지만 여기서 각 경우에 다른 부가적인 수평 레벨이 서랍(26)을 맞추기 위하여 포함되어진다. 보다 낮은 부분에서 더 큰 서랍(28)들이 위치하게 된다. 각 경우에 지지판(14)은 제4도와 제5도의 실시예 들에서와는 다른 모양의 싱크(sink) 즉 통합 싱크(sink)를 가진 웨 유닛(wet unit, 30)이다. 웨 유닛(30)의 후방에서 스트립(strip, 32)들은 웨 유닛(30)상에서 모서리 멈춤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놓여진다. 그래서 웨 유닛의 뒤에서 떨어지는 물건 또는 액체를 막아주게 된다.
제4a도는 통합 싱크가 후면에서 계단형 어깨부(33)를 가진 넓은 영역의 우묵한 곳(31)에 위치하는 웨 유닛(30)을 보여준다.
제6도는 서랍면(28)과 더 좁은 서랍면(26)이 프에임(12)안에서 형태를 이루는 예비적 유닛의 일예를 보여준다.
홀딩 레벨(36)은 좁은 서랍면(26)위에서 형성된다.
작업판(14)은 하부구조(12)에 놓인다. 여기서 예비적 유닛은 롤러(roller, 34)로 이동하면서 지지된다.
제7도에서 "큰"단일 블록이 나타나 있고, 서로의 상부에 맞추어져 있는 두 개의 기구는 하부구조(12)내에 형성되어 있고, 여기서 단일 블록은 서로의 상부에 위치한 두 개의 문(38, 40)을 갖고 있다. 상부에서는 냉장고가 문(40)을 통해 여기에서 보여지는 실시예로 합쳐진다.
덮개판(42)은 위에 높이고 측벽(44)들은 양측면의 연결부재(16)에 연결된다.
제7b도는 여기서 낮은 하나의 블록(block)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여기서 좁은 당김수단(26)은 판(14)밑에 위치되어진다.
하부에서 단일 블록은 개방된 디자인을 가지고, 하부 레벨이 삽입 격자(158)에 의하여 규정되고, 파선은 부가적인 중앙 선반(37)으로서 설치되어질 수 있는 판을 표시한다.
제8도는 연결부재(16)의 단면을 보여준다. 그것은 관형 중공단면과 플래그 같은 돌출부(2)로 구성되고, 비대칭 드라플릿 모양에 상응하는 횡단면의 전체 모양은 제11도에서도 볼 수 있다.
여기서 보이는 실시예에서 연결부재는 예를들면 알루미늄단면으로 만들어진다.
그것도 철, 플라스틱 등과 같은 다른 물질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보이는 단면 레벨에서 관(18)은 연결부재(16)에 비틀리지 않은 방식으로 연결부재(16)에 연결된다. 여기서 보이는 연결부재(16)의 실시예에서 하나의 가구내부에 정렬된 연결부재의 일측에 리세스(recess)를 둔다. 이 리세스(recess)에서 조립판(50)은 코 같은 돌출부를(52) 거쳐 연결부재의 대응하는 홈에서 나사로 죄어서 부가적으로 결합된다. 요구에 의하여 조립판은 구멍(borehole)들, 나사 구멍(screw borehole)들, 그리고 따라서 나사로 죄어질 수 있는 측벽(44)을 수용하는 홈을 지니다. 조립판(50)의 더욱 상세한 구성과 기능이 아래에서 정확하게 기술될 것이다.
제8도에 따른 실시예에서 측벽(44)은 조립판(50)의 리세스(recess)와 돌출부(20) 사이에서 맞추어 지고 여기서는 상세히 나타나지 않은 나사 연결로 연결된다.
제9도에서는 연결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가 보여지는데 여기 연결부재에서는 오직 비교적 작은 리세스만이 측면부재(44)를 직접 수용하기 위하여 존재하며, 이 실시예에서 조립판은 구비되지 않는다.
연결부재의 더 나은 선택적인 실시예를 제10도에서 볼 수 있다. 하지만, 여기서, 연결부재(16)는 어떤 리세스(recess)도 지니지 않아서 측면부재(44)는 연결부재(16)의 외부에 나사로 조여진다. 이방식으로, 쇼울더(shoulder, 46)가 생성된다. 제8도에 따른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측면부재(44)는 연결부재(16)와 플러쉬(flush)를 형성하지 않는다. 쇼울더(46)는 동시에 문버팀쇠(a door stop)로 작용한다.
제1도에서 10도에 따른 실시예와 제31도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횡단면이 비대칭 드라플릿 형태를 가진 연결부재(16)는 제11도에서 볼 수 있고, 제12도에서 제25도에서는 그것들이 관 그리고/또는 실질적으로 폐색된 중공단면과 돌출부로 구성된 보통의 특징을 공유하는 모양의 버전(version)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형태는 기본적으로 다르다. 그래서 제11에서, 17도, 제19, 20 그리고 22도에서 보듯이 중공단면은 내부의 횡단면이 원형인 윤곽을 지닐 수 있다. 하지만 이 내부 윤곽 또한 다각형이 될 수 있다. 제22와 23도에서 내부윤곽이 4각형인 것이 각 경우에 보여지고 한편 제24와 25도에서 내부윤곽이 8각형으로 보인다. 다각형인 내부 윤곽들을 가진 관(18), 하부구조(12)에서 자세히 나타나지 않은, 들은 또한 자연스럽게 다각형의 디자인이고 그 모양에 적합하다. 특별히 다각형을 형성하는 것은 조정과 다음에 연결되는 측면을 위한 어떤 브라켓의 고정을 단순화시킨다. 제11도에서 25도까지에서 보이는 관 기하학에서 리세스(recess)는 측벽(44) 어느 하나가 직접적으로 또는 조립판(50)을 받아들이는 부분에서만 보여진다.
하지만 이러한 리세스(recess)의 위치와 설계는 여기 보이는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실시예에도 역시 적용된다.
제26도와 27도에서 연결부재(16)는 제11도에 관한 것과 기본적 형태가 일치하는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세로 홈 장식부(56)(제26도에서) 또는 (58)(제27도에서)은 가구로부터 외측으로 향하여 놓여있는 돌출부(20)의 표면에 제공된다. 이러한 방법에서, 측단면은 더욱 바람직한 디자인으로 제공된다. 제28도의 한 단면(17)은 두 개의 리세스(recess)를 줌으로써 제14도에 따르는 단면(16)의 모양에서 유래된 것임을 보여준다. 연결부재(17)는 예를들면 한 주방가구 또는 기본 모듈(module)의 중심기둥이 현실화되는 중심부분을 형성한다. 더 나아가(기본 모듈 같은 그러한) 요소들은 연결부재(17)를 사용하여 맞추어질 수도 있다. 상응하는 리세스(recess)에 있어서 여기에 상세히 나타나지 않은 조립판(50)은 예를들면 수평 관 연결, 벽 부분들이 맞추어지는 각 경우에 삽입될 수 있다.
제29도에서 연결부재(16')는 두 개의 돌출부(20, 20')가 서로 직각으로 연결부재속에서 형체를 이뤄진다. 이 연결부재는 후면 하부구조 영역에서 모서리 연결로서 쓰일 수 있다. 상응하는 리세스(20, 21')에 있어서 뒤의 벽과 측벽은 장착될 수 있다.
제30도에서 34도까지는 여기서 상세히 나타내지 않은 관 고정 방식이 다른 연결부재(16)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준다. 제30도에 따르는 실시예에서 관(18)은 맞춤, 접착제로 붙여서 또는 다른 풀어지거나 안풀어지는 연결로 연결부재에 연결된다. 제31도에서 연결부재는 연결부재의 중공단면이 관 클램프로 형성되어서 여기서 관을 클램핑하거나 휠 지지대(18)가 상응하는 클램프 스크류 연결에 의해 행해지면서 보여진다.
제32도에서 두 개의 클램핑 스크류들은 클램프 되는 대응되는 삽입관(18)을 나사조임하는 연결부재에서 파선으로 나타난다.
제33도와 34도에서 여기서 상세히 나타내지 않은 관(18)의 또다른 선택적인 맞춤이 연결부재 16에서 보여진다. 여기서 상응하는 돌파부(breakthrough, 60)가 연결부재(16)에 제공된다. 제33b도에서 보여지는 맞추어 지기 위한 관(18)도 직경적으로 서로 반대되는 2개의 위치에서돌파부(breakthrough, 62, 64)를 지닌다.
제33a도에서 보여지는 판 스프링(66)은 연결부재(16)의 돌파부(breakthrough, 60)와 관(18)을 고정시키기 위해 관(18)의 돌파부(62, 64)를 통해서 밀어넣어진다. 판 스프링을 고정시키기 위해서 높이가 다른 돌출부(68, 70)들은 예를들면 용접된 너트(nut)들과 돌출부(70) 보다 덜 높은 돌출부(68)로 이루어진다.
돌출부(68)은 관(18)에서 비교적 더 높은 돌파부(62)를 통해서 밀려질 수 있다. 돌출부(70)는 연결부재(16)의 리세스(recess, 60)내에서 맞추어진다.
판스링(66)의 길이는 조립된 위치에서 그것이 관(18)의 리세스(64)내에서 돌출부(68)앞에 위치한 텅(tongue)과 함께 놓이는 방법으로 치수가 정해진다. 한편 돌출부(70)는 연결부재(16)의 리세스(60)에서 놓인다. 이러한 방법으로 관은 연결부재(16)에서 축상으로 방사상으로 단단하게 잠긴다. 이 돌출부는 돌파부(60)에 적용해서 클램핑 셋트로 조이는 것이 쓰인다. 제35a도에서 또한 연결부재의 또다른 실시예가 보여진다. 여기서 연결부재(16)는 가구 외측으로부터 나사조임을 허용하는 나사구멍들을 가진다. 외부로부터 나사를 조인 후에, 스크린(72)은 나사로 연결하는 지역에서 맞추어질 수 있고 스프링 홈 연결 또는 스클릭연결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연결부재(16)의 돌출부(20)는 여기서 자세히 나타나지 않은 측벽에서 상응하는 리세스를 가진다. 이것은 대응하는 지지표면(73)에 의해 지지되고 파선을 지점에서 나사로 조여진다. 스크린과 지지표면(73)이 다르게 형성되기 때문에 측벽의 상이한 두께가 스크린(72)을 교체함으로서 여기에서 보상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35b도와 제35c도에서 연결부재(16)의 실시예들이 보여진다. 이러한 두 개의 연결부재들은 각 경우에 파이프 장착부(pipe mount)를 지닌다. 이러한 파이프 장착부에서 3개의 홈(204)이 원주에 걸쳐 균일하게 퍼져 파여있다. 양 연결부재(16)는 또한 여기서는 상세히 나타내지 않은 덮개 뚜껑을 장착하는데 제공되는 구멍(206)을 지닌다.
게다가, 양 연결부재(16)는 하부 패널(panel)을 고정하는데 제공되는 코너 연결기를 수용하기 위한 중공의 챔버(208)로 이루어진다. 제35b도에 의한 실시예에서 돌출부(210)는 배면벽을 장착하는데 제공되는 돌출부가 연결부재상에서 일체로 형성된다.
연결부재(16)의 제35c도에 의한 실시예에서 홈(212)은 전방걸림부(214)가 삽입되는 곳에서 리세스 되어진다. 제35c도에 의한 실시예에서 측면 패널(216)은 대응하는 곳에 삽입되진다. 제36도에서 제39도까지 조립판(50)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게된다. 제36도에서 조립판(50)의 횡단면도와 평면도가 보여진다. 반면, 제37도에서 제39도에서는 조립판의 횡단면도만 보여주고 있다. 제36도에 따른 조립판(50)은 제8도의 것과 일치한다. 위에서 봤을 때 일련의 미리 뚫은 구멍들과 나사 구멍(screw borehole, 74)들은 표준적인 부속품을 수용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측면에서, 돌출부(52)는 조립판(50)에 제공되고 조립판(50)은 가구의 내측방향에서 압력하중 또는 기능 스트립(strip)내에 고정된 힌지의 외측으로 향한 힘을 적용하는 측벽에 의한 변형을 증가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조절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돌출부(52)는 연결부재(16)(제8도 참조)에서 대응하는 리세스를 두어서 맞물려 들어간다. 모든 것에서 연결부재(16)에서 대응하는 리세스를 갖는 돌출부(52)의 형태로 유지하면서 맞물린 덕택에 측면 나사연결의 크기는 더 적게 선택될 수 있다.
제37도에서 보이는 조립판(50)에서 돌출부(52)는 다른 장소에 위치한다.
더 나아가 리세스(78)에 놓이며, 삽입되는 측벽들중에 측벽의 공차와 다른 측벽 두께를 보상하기 위해(여기서는 상세히 나타내지 않는) 삽입되어지는 고무 립(rubber lips)또는 비슷한 스페이서(spacer)들이 리세스(76)에서 제공된다. 하지만 원칙적으로 다른 측면 두께도 다른 리세스(78)에 의해서 현실화된다.
또 다른 조립판의 실시예가 제38도에서 나타난다, 여기서 리세스는(80)으로 언급되고 이들 리세스는 무게를 줄이는데 제공된다. 최종적으로 제39도는 두 개의 원추형 가이드(82, 84)와 실부(sea. 88)를 갖는 통합 멈춤 레일(stop rail, 86)을 지닌 조립판(5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실부(88)는 선택적이고 원한다면 빠질 수도 있다.
제39b, 39c, 39d도에 따른 실시예들에서 제39도에 따른 여러 변형예가 보여진다.
제39도에 따른 변형예에서, 조립판은 대각지지 표면(79)을 지니는데 이는 리세스(78)에 의하여 대응하는 조립 스크류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을 줄이고 측벽의 두께를 조절하게 한다.
제39c도에 따르는 실시예에서 멈춤레일(86)은 조립한(50)에서 고정된 위치에 형성된다. 하지만 제39d도에서 멈춤레일(86')은 U자 모양의 고무 스트립(87)으로 덮어있다.
제40도에서 일련의 다른 기능의 부속품들을 가진 조립판이 보여진다. 조립판(50)은 일련의 구멍(bore hole, 74)을 지닌다. 더군다나 절단부 또는 리세스(90), (92)가 존재한다. 적당한 위치에 놓인 힌지 축받이대(hinge pedestal, 94)도 제40도에서 보여진다. (96)과 (98)로 다른 칸막이 하부 지지대들은 표준적으로 만들어서 보여진다. 레일(100)도 리세스(90)내에서 맞추어지는 칸막이 하부 지지대를 나타내서 그것에 삽입될 수 있다. (102)는 나사로 조립판에 연결될 수 있는지지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104)는 나사연결로 조립판에 연결될 수 있는 하부 패널을 위한 프레임을 보여준다. 조립판은 다른 부속품들 구성성분 그리고 기능적인 부품을 위한 다양하게 변화되어 장착할 가능성을 준다. 조립판(50)은, 여기서는 돌파부(75)로 언급되는, 프레임(104)를 수용하며 지지되어질 수 있다. 브레이크(75)는 또한 보다 긴 모양으로 형성되어질 수 있고, 이는 재료의 절감을 도모하고 따라서 비용과 무게를 줄인다.
제41도에서 다른 전형적인 맞춤 상황이 나타나는데 하부구조내의 두 개의 조립판(50)이 상세히 보여진다. 측면부재(44)는 두 개의 조립판(50) 사이에 있다. 게다가 뒤의 조립판(50)에서 단면으로만 보이는 배면벽(106)은 대응하는 홈에 끼워진다. 측면과 내부로 보통의 서랍가이드(108)가 조립판(50)에서 대응하게 있는 나사 구멍(screw borehole)이 있는 지점속으로 나사와 죄어진다.
제42도에서 배면의 조립판(50)의 또 다른 실시예가 보여지는데, 여기서는 통합된 멈춤레일(stop rail, 110)을 니니고 있고 배면벽(106)은 그 속으로 나사로 죄어 진다.
제43도에 따르는 실시예에서, 조립판(50)은 배면벽(106)에 나사로 죄는 멈춤레일(110)을 지니고 게다가 중간 벽에 삽입되는 홈(112)을 지닌다. 여기에 상세히 나타나지는 않지만, 삽입할 수 있는 중간벽과 배면벽(106)으로 분리된 칸막이가 주방가구에서 형성된다.
제44도에서는 제43도에 관한 것과 일치하는 배면 조립판을(50)을 가지나, 제거할 수 있는 착탈가능한 클램핑 스트립(clamping strip, 114)은 조립판에 덧붙여 형성된 멈춤레일(116)과 같이 작용하는 리세스(112)로 삽입되고 배면벽(120)에 붙이기 위한 두 개의 고무 실부(seal, 118)는 주방가구 내에서 제거될 수 있다.
제44b도에 따르는 실시예에서, 부가적인 장착판이 제공되지 않는 배면벽(106)의 장착이 보여진다. 제35b도의 실시예에 의한 연결부재(16)는 대응하는 배면벽(106)이 나사로 조이는 한 부분에서 돌출부(210)를 가지고 맞추어진다.
제44c도를 따르는 실시예에서 배면벽(106)은 낮은 하부 패널(220)에 나사로 조여서 그것이 뒤로 수직하게 선다. 제44d도에 따르는 실시예에서 위의 하부 패널(22)이 홈(226)이 리세스 되지는 곳 밑에 위치한 부분(224)과 함께 위치해진다. 이 홈(226)에서 배면벽(206)의 구부러진 부분이 약간의 마디(burl, 228)가 제공되는 곳으로 끼워진다. 이는 배면벽 장착의 가능성을 나타낸다. 배면벽(106)을 안정적으로 장착하기 위하여 서로 결합된 것이 제44b, 44c와 44d도에서 나타난다.
제45도에서 49도까지에서는 연결부재(51)의 다른 종류의 구성을 보여준다.
연결부재(51)는 여기서 두부분으로 조립되고 중공단면(122)과 돌출부(124)로 구성되고 성형 리세스가 중공단면에 제공되고 여기서 돌출부의 대응 성형 돌출부(126)는 파선으로 나타난 나사 연결부의 수단에 의하여 삽입, 고정되어질 수 있다.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립판은 돌출부(126)에 맞추어질 수 있다, 그러나 측벽자체만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돌출부는 조립판으로서 자체로 설계될 수 있다.
제46도에서 중공단면(122)은 성형 리세스를 갖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여기서, 대응하는 성형 조절 덮개(128)가 맞추어진다.
제47도에서 두 개의 돌출부에서 두 개는 코너 연결부(130)에 대하여 서로 직각으로 정렬되고 중공단면에 삽입된다. 측벽(44)나 배면벽(106)은 이 두 개의 돌출부에 맞추어진다.
제48도에서 힌지 축받이대(hinge pedestal, 132)를 나타내거나 모두 다른 기능적 부품이 나사연결된채, 종래 설계된 힌지는 문요소의 축이 되는 베어링을 위해 밀어질 수 있는 돌출부(120)는 조립판으로 형성되서 보여진다.
제49도에서 서로 직각으로 있는 두 개의 돌출부를 가진 돌출부분(130)이 다시 보여진다. 제45도에서 49도까지를 따르는 연결부재를 사용하고 수정할 가능성은 연결부재(51) 또는 (16)의 앞에서 기술한 것을 참조할 수 있다.
제50도에서 제57도에 의해, 하부구조(12) 위의 작업판(14)과 여기서 하부구조(12)의 수직관(18)이 장착되는 것이 보여진다.
원칙적으로 작업판(14)은 나무, 돌, 유리, 화강암, 금속판의 디자인 또는 적당한 플라스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작업판은 대응하는 구멍(borehole)과 관(18)의 끝단에 걸쳐 밀려지는 슬리브(sleeve, 134)를 지닌다.
예를들어 강철각 단면(136)은 관사이에서 맞추어질 수 있고 이는 제50도에서 파선으로 나타난다. 여기서, 대응하는 리세스는 또한 작업판(14)에서 구비된다.
예를들면, 강철각단면을 수용하기 위함이다.
제51도에서 조립이 평면도로 나타나는데 파선으로 나타난 것은 실제로 보이지 않는 윤곽이다. 제53도에서 작업판(14)은 대응하는 날카로운 금속판으로 만들어진다.
제54도에서 예를들어 투시도는 어떻게 장착브라켓(136)이 관(18)에 연결되는지 보여준다. 여기서 장착 브라켓(136)은 연결된 슬리브(138)와 용접되고 예를들어 용접점(410)에 의해 재료 연결로 관(18)의 끝단이 용접된다. 그러나 용접연결을 대신하여 접착제, 프레스맞춤, 나사연결과 같은 것이 제공될 수 도있다.
제55도에서 다른 접촉 가능성이 장착 브라켓대신에 나타난다.
예를들어 대응하는 브라켓은(136)은 중량을 줄이기 위해 리세스(recess)를 여기서 지닌다. 그러나 선반받이 대신에 정방형관 또는 파이프가 쓰일 수 있다.
제56과 57도에서 작업판(14)은 위에서 기술한 방법으로 관(18)에 높이는 각 경우를 나타낸다. 하지만 작업판(14)은 관(1)의 영역에서 충분한 두께로 돌파부(breakthrough)를 가져서 어뎁터(adapter)로 형성된 관 부분(138)이 삽입될 수 있다. 관 부분(138)의 확장된 상부에서 또 다른 관이 삽입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여기에서 벽부분, 패널과 같은 것이 지지된다. 관부분(138) 대신에 제56도에서 보이는 닫힌 캡(cap, 140 또는 141)을 끼울 수 있다. 제57도에서 관 부분(138)이 조립된 위치에서 보여진다. 예를들어 파워 납(power lead, 142)이 (여기서 자세히 나타나지 않는 배면벽에 위치한 조명에 동력을 공급하고 관(18)과 연결관으로 형성된 관부분(138)을 통해서 전력이 흐른다.
제57b와 제57c도에서 작업판(14)을 장착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가 보여진다. 작업판(14)의 모서리에 대응하는 리세스(recess)에서 모서리 부재(230)가 삽입되어지는데 이를 어뎁터로 불리워진다. 이 어뎁터(230)는 제57c도에서 위에서 본 것이다. 어뎁터(230)는 관(18)에 맞추어 질 수 있는 슬리브(sleeve, 232)를 지닌다. 판이 놓여진 후에 관(18)은 슬리브(232)의 깃형단부에 접한다. 위에서 기술했듯이 관부분(138)은 위의 작업판(14)속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58도에서 제65도까지 하부패널판들과 지지레벨(144)들이 보여진다. 제58도의 단층판과 제59도의 다층판 또는 벌집모양의 조립이 보여진다.
예를들어 하부패널판은 합판 같은 목재, 또는 판지, 알루미늄 폼(aluminiun foam), 벌집모양의 것, 강철,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또는 다른 넓은 영역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59도에서 벌집모양의 조립은 벌집모양의 것이 종이 판지 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부 재질은 알루미늄 박판, 강철 박판, 스테인레스 스틸 박판 또는 나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60a도에서 단면 하부패널(144)은 단일 또는 복수부분의 설계에서 알루미늄 단면으로 이루어진 것이 나타난다. 복수부분의 설계에서 단면들은 함께 잘려지거나 서로 밀어져 진다.
제60b도에서 따라서 단면 하부 패널(144)은 상응하는 적용되는 모서리 연결관(234)에 의해 매달려질 수 있다. 예를들어 모서리 연결관(234)의 자유 아암은 단면 하부패널에 장착하기 위하여 제35b 또는 35c도에 따른 연결부재(16)의 장착구멍(208)내로 삽입될 수 있다.
제61도에 의한 하부 패널판(144)의 실시예에서 하부 패널판(144)은 원주의 모서리 단면(146)을 구비한다. 이 단면은 프레임으로 형성되어질 수 있고, 나사로 하부패널(144)에 연결될 수 있다. 제62도에서 보이는 실시예에서 하부패널(144)은 에지판으로부터 형성되고 강화하기 위해 측면을 에지화하고 원주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나타나지 않는 방법으로 에지화된(edging) 모서리는 강화시키기 위해 용접된다. 하부패널(144)의 밑면 중심에 부가적으로 날개판(146)은 용접 또는 접착제로 붙여서 하부 패널에 연결될 수 있다. 하부패널(144)의 높은 안전성을 위해서, 첨가하는 단면들은 하부패널에 세로방향 그리고/또는 옆으로 장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단면(148)은 게다가 제63도에 따르는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기술한 에징(edging)내에서 삽입되진다. 제64도와 65도에 따르는 실시예에서, 전체의 하부 패널은 하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지지표면(144)은 그 자체로 하부패널을 형성한다.
지지표면(144)은 에지화되거나 제공된 날개판에 위치해 있을 수 있다.
부가적이 강화를 위하여 또 다른 단면이 제65도에서 보이듯이 프레임에 장착되거나 또는 하부 패널의 지지표면은 이미 제62도에 의해 설명됐듯이 대응하는 강화물(146)을 지닐 수 있다.
제61b, 61c와 61d도에서 하부패널판(144)의 장착예가 보여진다. 제61b도에 따르는 실시예에서 예로들어 칸막이 하부 지지대(147)가 제40도에 (75)에 의해 알수 있듯이 기능적 스트립(50)의 돌파부에서 맞추어진다. 제61c도에 따르는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강판으로 만들어진 하부판(144)은 최소한 부분적으로 가장자리영역에서 구부려져서 연결 날개판(145)이 여기서 상세히 나타나지 않는 조립판(50)과 같이 나사로 조일 수 있도록 형성한다.
마침내 제61d도에서 예를들어 강판으로 이루어진 하부패널판(144)은 강판의 에지(145)를 아래로 구부려서 조립판(50)에 연결된다.
하부 패널판(144)는 자연스럽게 다른 재질이 될 수 있다.
제66도에서 하부패널프레임(150)은 제65도에 따르는 실시예를 따라서 위에 본 것이다. 하부패널프레임은 서로 플어질 수 있거나 풀어지지 않는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67, 68과 69도에서 하부 패널틀(150)의 단면을 위한 모서리 연결기들은 152, 154, 156으로 보여진다. 이것들은 프레스로 맞추거나 나사로 조여서 하부패널 단면들과 함께 연결된다. 제69도에서 보이는 개개의 단면 버팀목을 대응 밀링(milling)해서 모서리 연결은 시각적으로 감추어진다.
즉 앞에서 본 하부패널은 어느 접합도 없이 형성된다. 모서리 연결기는 연결부재(16)나 조립판(50)상에 장착될 수 있다.
제70도에서 격자 프레임 하부패널(158)은 매우 단순한 실시예에서 삽입되고 연결부재(16)의 대응하는 홈에 고정된 것이 보인다. 이러한 격자는 예를들어 소위 지지 레벨로서 즉 작업판 하부의 저장 표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72도에서 하부패널은 대응하는 모서리 단면에서 리세스(16)를 지닌 위에서 보여진 것이다. 이러한 리세스들은 제71도에서 나타난 만들어진 버전(version)에서 조립판(50)에 의해 형성된 돌출부와 접촉해서 하부패널(144)로부터 우연하게 밀리는 것에 대한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조립판(50)이 없는 대응하는 실시예는 제71a도에서 보여진다.
바닥패널들은 미리 제조한 조립품들인 제73a, b와 c도와 제74a, b와 c도에서 측면과 배면벽의 요소들은 그것들이 통합된 구성요소로서의 하부구조(12)로 삽입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제74도를 따르는 실시예에서, 부재들은 단순한 나사연결 또는 스팟 용접으로 몇 개의 부분으로 같이 결합되진다.
제75도에서 통합된 측면부분(162)이 두 개의 연결부재(16)와 측면부분(44)을 하나로 통합하는 것이 보인다. 이 측면부분(44)은 여기서 중량을 줄이기 위해 중공 챔버 알루미늄 단면으로 형성된다.
제76도에 따르는 실시예에서 제75도의 통합된 조립품(162)은 거기서 덧붙여 조립판(50)이 삽입될 수 있는 홈(164)이 제공되는 것이 보인다.
제77도에서 제80도에서, 제8도에 따르는 실시예가 다시 취해지는데, 주방 찬장 전면 판(16)의 상이한 배열로 보여진다.
제77도에서 주방 찬장 전면 판은 연결부재(16)의 중공단면의 중심선 뒤에 위치된다. 연결부재(16)와 전면판 사이의 틈이 있을 수 있다. 제78에서 실시예는 주방전면판이 연결부재(16)의 중공단면의 중심선 앞에 있는 것이 보여진다. 주방전면판(166)과 연결부재(16)의 틈은 여기서도 있다.
제79도에 따르는 실시에에서 제77도를 따르는 배열이 탄성적인 재질 또는 브러쉬로 만든 스윕 실(sweep seal)로서 맞추어진다. 이것은 연결부재의 홈에서 장착되고 고정된다. 먼지, 그라임(grime), 해충 또는 비슷한 것으로부터 주방가구 내부영역을 밀봉한다.
제80a도에 따르는 실시예에서 실(seal, 170)은 조립판(50)의 홈속으로 접착제로 붙이거나 지탱하는 탄성재질 또는 브러쉬로 된 멈춤 실(stop seal)로서 형성된다.
제80b와 80c도에서 연결부재(16)는 관(18)에 의해 각 경우에 경계를 접하는 것이 보여진다. 낮은 부분에서 이것들은 다리부분이고 제7b도에서 보이듯이 윗부분은 관이다.
제7b도에 따르는 실시예에 따르는 설계와 대조적으로 바닥패널(240)은 연결부재(16)의 대응하는 스릿(slits)으로 삽입되어진다.
제80c도에서 편심기(eccentric, 250)은 파선으로 나타나서 홀더로 통합되고 간단히 장착된다.
원칙적으로 관계되는 유닛의 모든 전면영역, 측면 그리고 지지레벨 그리고 삽입된 바닥 패널은 유독가스, 흙, 먼지 또는 심지어 해충이 주방 찬장 속으로 효과적으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봉인되지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가구 시스템의 개개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미리 결정된 수의 조립품에 의해 특정고객요구에 따라 주방가구를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분명하게 한다. 가구 시스템에 의해 완성된 기능적인 유닛은 조립되서 "stand-alone" 가구의 형태로 쓰일 수 있다.

Claims (12)

  1. 연결부재(connecting element)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관들 그리고/또는 단면부를 가진 자기 지지 하부구조로 이루어지는 주방용 가구 시스템에 있어서, 연결부재들은 관들 그리고/또는 실질적으로 폐색된 중공형 단면부로 자체 형성된 성형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여기서 최소한 하나의 측면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연결부재의 전길이 위로 연장 형성되고, 연결부재 자체는 하부구조내의 일부에서 관들 그리고/또는 단면부를 대체하는 수직 요소로 통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가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하부구조의 수직 요소들은 관들 그리고/또는 연결 부재의 중공형 단면부내로 연장된 단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가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관들 그리고/또는 연결부재내로 연장된 단면부가 연결부재의 전길이 위로 연장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가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하부구조의 판, 프레임등 뿐만 아니라 수평관과 단면부가 연결부재의 돌출부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가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연결부재는 그 횡단면이 비대치 드라플릿(droplet) 모양 또는 이의 변형된 모양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가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연결부재는 서로 연결되는 관들의 형태에 각 경우에 적합한 둥글거나 다각형의 중공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가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연결부재는 벽 요소와 같은 구성요소를 같은 높이로 장착하기 위한 리세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가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예를들어 외측으로 돌출된 표면으로 조각 그리고/또는 날염하는 등의 장식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가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장착되어질 구성요소와 부속품의 수용에 제공되는 구멍, 나사구멍, 리세스 그리고/또는 홈들을 지니는 연결부재에 조립판이 연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가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연결부재가 복수개의 부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가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연결부재는 전체적으로 드라플릿 모양을 갖고 나사 연결의 나사를 감추기 위하여 외측으로부터 클램프되어지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가구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연결부재는 잔 길이에 걸쳐 연장된 성형 리세스를 갖는 중공형 단면부와 두 개의 부분을 성형 잠금 연결하기 위한 대응하는 성형 돌출부를 갖는 돌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가구 시스템.
KR1019970025759A 1996-06-20 1997-06-19 주방용 가구 시스템 KR1002218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24673.3 1996-06-20
DE19624673A DE19624673C1 (de) 1996-06-20 1996-06-20 Möbelsystem, insbesondere Küchenmöbelsystem
EP97108219.3 1997-05-21
EP97108219A EP0813832B1 (de) 1996-06-20 1997-05-21 Möbelsystem, insbesondere Küchenmöbelsystem
DE97108219.3 1997-05-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269A KR980000269A (ko) 1998-03-30
KR100221866B1 true KR100221866B1 (ko) 1999-09-15

Family

ID=7797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5759A KR100221866B1 (ko) 1996-06-20 1997-06-19 주방용 가구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813832B1 (ko)
KR (1) KR100221866B1 (ko)
AT (1) ATE271809T1 (ko)
DE (2) DE19624673C1 (ko)
ES (1) ES2224195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425B1 (ko) 2006-08-24 2007-07-0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전자기기용 지지대 및 식품저장고 및 전자기기에 설치되는프레임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38964A1 (de) * 1997-09-05 1999-03-11 Bulthaup Gmbh & Co Spüle mit Spülbecken und Einhängebehälter
DE10011446B4 (de) * 2000-03-10 2006-12-28 Stefan Singer Möbelsystem
DE10116098C2 (de) * 2000-03-30 2003-12-24 Rieber Gmbh & Co Kg Küchensystem
DE10061778A1 (de) * 2000-12-12 2002-07-11 Aeg Hausgeraete Gmbh Kühl- und/oder Gefriergerät für den Haushalt
ES2837409T3 (es) 2016-12-12 2021-06-30 Ibk Project Srl Kit para proporcionar cocinas modulares
DE102020126727A1 (de) 2020-10-12 2022-04-14 Westermann Kg Aus vertikal und horizontal verlaufenden Profilteilen gebildetes Möbel, Einschubteil für ein aus Profilteilen gebildetes Möbel sowie Schublade für ein Möbel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9907A (en) * 1883-01-02 Corner for picture-frames
US3851601A (en) * 1973-02-09 1974-12-03 J Davis Display case stand
US4637324A (en) * 1981-08-27 1987-01-20 Janson Richard W Furniture assembly and assembly device
JPS63169158U (ko) * 1987-04-27 1988-11-02
US4864795A (en) * 1987-05-22 1989-09-12 Uni Corp. Structural framework system and clamp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425B1 (ko) 2006-08-24 2007-07-0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전자기기용 지지대 및 식품저장고 및 전자기기에 설치되는프레임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711800D1 (de) 2004-09-02
ATE271809T1 (de) 2004-08-15
EP0813832B1 (de) 2004-07-28
KR980000269A (ko) 1998-03-30
EP0813832A2 (de) 1997-12-29
DE19624673C1 (de) 1997-07-24
EP0813832A3 (de) 2002-01-02
ES2224195T3 (es) 2005-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L129955A (en) Modular cabinet
KR100221866B1 (ko) 주방용 가구 시스템
CN110984504A (zh) 一种免焊接的装饰墙板结构及安装方法
US3429631A (en) Home-assembled furniture kit
CA2915184C (en) Spa cabinet attachment
US6000874A (en) Furniture system, in particular a kitchen furniture system
CA1234408A (en) Showcase
CN100552348C (zh) 调节轨
KR20080057962A (ko) 조립식 가구 시스템
US5816003A (en) Clean-room wall
RU2270301C2 (ru) Перегородка каркасная и профили для нее
JP3911281B2 (ja) 可動コマ用バネと、そのバネを使用したレール用可動コマと、その可動コマを使用した物品取付け用スライド材及びそれを使用した物品取付け構造
US20180295987A1 (en) Spacer assembly
US3284968A (en) Cantilever panel partition construction and bracket arm support assembly
KR100624842B1 (ko) 유골함 안치 유니트 및 그에 사용되는 유골함 케이스
GB2342567A (en) Liner for storage furniture
KR200191073Y1 (ko) 가구용 고정구조
US20240076864A1 (en) Sanitary furniture to be hung on the wall
KR960001280Y1 (ko) 조립식 관물함
WO1993001369A1 (en) Clean-room wall
JP2615775B2 (ja) 中空パネルの取付け構造
JPS6326501Y2 (ko)
JPH0813824A (ja) 壁パネルの補強構造
JPS6112857Y2 (ko)
RU40862U1 (ru) Экран под душевой поддон (вариа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