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280Y1 - 조립식 관물함 - Google Patents

조립식 관물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280Y1
KR960001280Y1 KR2019930002602U KR930002602U KR960001280Y1 KR 960001280 Y1 KR960001280 Y1 KR 960001280Y1 KR 2019930002602 U KR2019930002602 U KR 2019930002602U KR 930002602 U KR930002602 U KR 930002602U KR 960001280 Y1 KR960001280 Y1 KR 9600012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anel
hole
assembly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26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0076U (ko
Inventor
김희일
Original Assignee
김회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회일 filed Critical 김회일
Priority to KR20199300026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1280Y1/ko
Publication of KR9400200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00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2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2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A47B47/0033Cor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76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cabinets or furniture, the hinge having two or mor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06B3/367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립식 관물함
제 1 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분리사시도.
제 3 도 (a), (b), (c)는 본 고안의 연결구 사시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도어결합부 단면도.
제 5도 (a)는 본 고안의 배면판 결합상태 발췌단면도, (b)는 연결구 결합상태 단면도.
제 6 도는 본 고안 받침대 구조를 보인 결합 단면도.
제 7 도는 본 고안의 조립일예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판넬 11 : 돌부
12 : 말음부 13 : 구멍
2 : 배면판 22 : 절곡부
3 : 프레임 24 : 결합편
3 : 프레임 31 : 단턱
32 : 절곡편 33 : 구멍
34 : 고정편 35 : 장공
36 : 장공 4A : L형 연결구
4B : T형 연결구 4C : +형 연결구
41 : 몸체 42 : 구멍
43 : 결합봉 44 : 돌테홈
45 : 받침조립구 46 : 돌테
47 : 홈 49 : 발
5 : 도어
본 고안은 조립식 관물함에 관한 것으로, 상하측 벽을 구성하는 동일 구성의 판넬과 전면판넬(도어등) 또는 후면 판넬(배면판)의 유무와 구조변겨에 관계없이 하나 도는 그 이상으로 상하 좌우조립연결 설치될 수 있으며, 내부에 프레임의 조립결합으로 칸막이 또는 걸이대등을 설치 다양한 기능을 갖도록 한 것에 주안점을 둔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으로는 앵글과 판넬 등을 이용한 것이 고작이며 이는 미적 요소와 기능성에서 낙후된 것이며, 또한 하나의 관물함을 함체형으로 기형시켜 놓은 것을 상하좌우 적층 연결하는 것이 있으나, 이 역시 크기가 형상모양에 한정적 요소로의 단점과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양측에 원통형 말음부와 그 내측으로 일정간격의 구멍이 천공되고, 그 상하로 상호 엇방향의 절곡편을 가지는 판넬과, 소정 크기 면적의 판넬 사면에 상기 말음부가 내재되는 절곡부와 일정간격으로 구멍이 천공된 결합편이 수직되게 한 배면 판넬과 L형, T형, +형 또는 -형 연결구 및 도어 또는 칸막이 등을 조립하기 위한 프레임 등으로 조립 연결되게 한 것으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도어의 탈부착 또는 배면판의 탈부착 및 이 조립함체의 상하좌우의 연결구성도 가능케하여 다양한 배치 및 설치 형태를 가지게 조립 가능케 한 것이다.
이하에서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양측에는 선후단 내측으로 돌부(11)를 가지게 프레싱한 원통형 말음부(12)와 그 내측에 일정간격의 구멍(13)이 천공되고, 그 상하로 상호 엇 방향의 절곡편(14)를 가지는 판넬(1)과 소정 크기 면적의 판넬 사면에 상기 말음부(12)가 내재되는 절곡부(22)와 이 절곡부 선단이 상기 판넬면과 수직되게하여 일정간격으로 구멍(23)이 천공된 일정높이의 결합편(24)을 가지는 배면판넬(2)과 일정간격의 구멍(33)을 천공하여 상기 판넬(1)의 구멍(13)에 조립 고정되는 고정편(34) 후방으로 단턱(31)을 가지게 채널형으로 절곡형성된 적어도 한쌍 이상의 프레임(3)과 상기 판넬(1) 간을 조립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4)로 조립구성되게 한 것이다.
이 때 프레임(3)의 어느 하나는 역시 구멍(33)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 천공된 고정편(34)의 상하에 내향 절곡편(32)을 두어 도어(5)와의 힌지 결합을 이루게 하며, 다른 하나는 내측면에 장공(36)을 형성 자물쇠의 잠김구멍으로 하며, 또는 배면에 상하 일정간격의 횡방향으로 장공(35)을 천공하여 배면판(2)측에도 조립 설치하여 선반 등의 칸막이 설치를 가능케 한다.
또한, 연결구(4)는 제 3 도에서와 같이 L형 연구(4A), T형 연결구(4B), +형 연결구(4C)등의 구성을 가지며, 이의 구성은 공히 분기부인 몸체(41) 중앙에 구멍(42)을 가지며, 이 몸체의 측면으로 적어도 1개 이상의 일정길이의 결합봉(43)을 갖되 하부 둘레에 돌테홈(44)을 가지게 구성한다.
그리고, 조립설치된 관물함의 저면으로는 연결구(4)의 결합봉(43)이 돌출되게 결합하여 제 6 도에서와 같이 받침조립구(45)를 설치할 수도 있는데, 이의 구성은 상기 결합봉(43)이 삽입되어 록킹되는 결합돌테(46)를 갖는 홈(47)이 형성하되 이 받침조립구(45)의 저면에는 높이 조절가능한 볼트부(48)를 갖는 발(49)이 나합된 구성이다.
물론, 홈의 저부로 공지의 롤러 장치를 두어 쉽게 이동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37은 도어댐퍼이고, 51은 도어의 여닫음시 소음을 줄이기 위한 흡음재이다.
이상과 같은 조립구성품으로 형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서 1개의 관물함으로 조립된 사시도이고, 제 2 도는 분리 사시도로써, 사방의 면을 판넬(1)을 이용하여 L형 연결구(4A)로써 각각의 모서리부에서 나무망치를 이용 원통형 말음부(12)의 내로 삽입결합시킨다.
따라서, 연결구(4A)의 결합봉(43)이 삽입되면서 돌부(11)를 타고 넘어 철판재질의 자체탄성과 함께 탄력적으로 안전하게 결합된다.
이때 연결구(4A)의 구멍(42)은 관물함 상호간 또는 벽면 등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며, 한편 판넬의 완전 조립 전에 배면판(2)을 배면에 가결합시킨 상태로 사면을 같은 방식으로 조립한후, 볼트 너트를 이용 상기 일치되는 구멍(13, 23)을 통하여 조립케 한다.
이후, 프레임(3)을 양츨판넬(1) 전방에 위치시켜 프레임(3)의 구멍(33)과 판넬(1)의 구멍(13)을 일치시킨 상태로 역시 볼트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되 일측 프레임(3)의 상하 절곡편(32)으로는 기제작된 도어(5)를 힌지 결합한 상태이다.
한편, 제 7 도에서와 같이 연결구(4)로는 L형 연결구(4A), T형 연결구(4B) 및 +형 연결구(4C) 등을 이용 관물함 끼리 연결로 소망에 따라 다양한 설치양태를 갖게 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도어(5) 및 배면판(2)의 필요없이 선반이나 책장으로 활용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제 6 도에서와 같이 조립설치된 저부로는 받침조립구(45)를 조립하여 지면의 수평 편차에 대한 발의 회전으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판넬(1) 및 배면판(2) 등은 그 크기에 한정되지 않고 조립하여 캐비닛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 않은 레일장치 등을 부설하여 서랍식으로 착탈되게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조립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은 판넬과 연결구 및 필요에 따라 도어, 배면판 또는 서랍등을 가변착탈하여 다양한 형상 구성으로 설치 장소에 따라 용도에 따라 다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조립구성하여 얻는 다양한 물품에 비하여 그 구성부품이 매우 간단하여 비교적 간단한 설비로 대량 보급되어 그 단가저렴한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6)

  1. 양측에서는 선후단 내측으로 돌부(11)를 가지는 원통형 말음부(12)와 그 내측에 일정간격의 구멍(13)이 천공되고 상하로는 상호 엇 방향의 절곡편(14)을 가지는 판넬(1)과, 판넬 사면에 상기 말음부가 내재되는 절곡부(22)와 이 절곡선단이 상기 판넬면과 수직되게 하여 일정 간격으로 구멍(23)을 천공한 일정 높이의 결합편(24)을 가지는 배면판넬(2)과, 일정간격의 구멍(33)을 천공한 고정편(34)의 후방으로 단턱(31)을 가지게 채널형으로 절곡 형성하되 배면에 일정 간격으로 칸막이 설치용 장공(35)은 횡설한 적어도 한쌍 이상의 프레임(3)과, 상기 판넬(1) 간의 조립을 위한 연결구(4) 및 받침조립구(45)로 조립구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관물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일측 프레임(3)은 고정편(34)의 상하로 도어 힌지 결합용 절곡편(32)을 가지고 다른 프레임의 채널 내면에 도어 록킹용 장공(36)을 천공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관물함.
  3.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구(4)는 중앙에 구멍(42)을 가지는 몸체(41)의 직각되는 2방향으로 하부 둘레에 돌테홈(44)을 갖는 결합봉43)이 돌설한 L형 연결구(4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관물함.
  4.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구(4)는 중앙에 구멍(42)을 가지는 몸체(41)의 3방향으로 하부 둘레에 돌테홈(44)을 갖는 결합봉(43)이 돌설한 T형 연결구(4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관물함.
  5.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구(4)는 중앙에 구멍(42)을 가지는 몸체(41)의 4방향으로 하부둘레에 돌테홈(44)을 갖는 결합봉(43)이 돌설한 +형 연결구(4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관물함.
  6. 제 1 항에 있어서, 받침조립구(45)는 연결구(4)의 결합봉(43)이 강제 삽입결합되는 상부 내주연에 돌테(46)를 가지는 홈(47)을 가지며. 저부에 높이 조절되는 발(49)이 나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관물함.
KR2019930002602U 1993-02-24 1993-02-24 조립식 관물함 KR9600012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2602U KR960001280Y1 (ko) 1993-02-24 1993-02-24 조립식 관물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2602U KR960001280Y1 (ko) 1993-02-24 1993-02-24 조립식 관물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0076U KR940020076U (ko) 1994-09-15
KR960001280Y1 true KR960001280Y1 (ko) 1996-02-12

Family

ID=19351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2602U KR960001280Y1 (ko) 1993-02-24 1993-02-24 조립식 관물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12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262B1 (ko) * 2009-03-05 2009-10-09 (주)코지텍 조립식 가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262B1 (ko) * 2009-03-05 2009-10-09 (주)코지텍 조립식 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0076U (ko) 1994-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3950A (en) Control cabinet with rack and mounting plate
US5345737A (en) System of modular building elements for display fixtures
US6123400A (en) Switching cabinet
US5618091A (en) Drawer assembly
US5378057A (en) Metal case
US4993205A (en) Open office system partition panel assembly
KR20110042260A (ko) 서랍
US4461519A (en) Cupboard with metal framed side walls
US5570941A (en) Supporting rail fitting or assembly for drawer
US3570200A (en) Partition panel structures
US3429631A (en) Home-assembled furniture kit
US7350885B2 (en) Drawer
KR960001280Y1 (ko) 조립식 관물함
CA1234408A (en) Showcase
JPH0746174Y2 (ja) 連結机
US4447096A (en) Cabinet assembly system
JPS6112858Y2 (ko)
KR100365553B1 (ko) 조립식 장롱 및 그의 시공방법
KR0136443Y1 (ko) 조립식 붙박이장
SU1625501A1 (ru) Комнатный турник
KR20210015285A (ko) 시스템 선반
US5325904A (en) Partitioning system
GB2052956A (en) Frame constructions
JPS6112857Y2 (ko)
JPS634594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0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