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8649B1 - 지하철 스크린도어용 비상도어 - Google Patents

지하철 스크린도어용 비상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8649B1
KR100808649B1 KR1020070010208A KR20070010208A KR100808649B1 KR 100808649 B1 KR100808649 B1 KR 100808649B1 KR 1020070010208 A KR1020070010208 A KR 1020070010208A KR 20070010208 A KR20070010208 A KR 20070010208A KR 100808649 B1 KR100808649 B1 KR 100808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mergency
emergency door
platform
sub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0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혜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유에이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유에이엔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유에이엔아이
Priority to KR1020070010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86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8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8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with movable arms situated in the plane of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느 한 방향에 힌지축을 두고 약 90°정도로 개폐되는 비상도어로 인해 비상시 플랫폼으로 이동하는 승객의 동선을 방해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하철 스크린도어용 비상도어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자동 슬라이딩 되는 자동도어를 내측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자동도어 보다 플랫폼 방향으로 전진 배치되며, 안측으로는 손잡이가 형성되고 중앙부위에는 브라켓이 돌출 형성된 비상도어;와, 내측으로 슬라이딩 되는 자동도어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자동도어와 비상도어 사이의 공간 상의 바닥에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회동봉; 및 상기 일측 단부는 상기 회동봉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비상문의 브라켓에 힌지 결합되는 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암은 플랫폼으로 이동하는 사람의 동선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비상도어가 미닫이 형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중앙부위가 상기 선로방향으로 둥굴게 만곡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하철, 스크린, 비상문, 미닫이, 여닫이

Description

지하철 스크린도어용 비상도어{An emergency door device of platform screen door for subway}
도 1a는 종래의 지하철 스크린도어의 자동도어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b는 종래의 지하철 스크린도의의 비상도어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스크린도어의 자동도어 개폐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스크린도어용 비상도어 개폐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프레임 3: 자동도어
5: 비상도어 5a: 손잡이
7: 힌지축 9: 종래의 스크린도어
10: 프레임 11: 보조프레임
20: 자동도어 30: 비상도어
31: 손잡이 32: 브라켓
40: 지지부 41: 회동봉
50: 암 100: 본 발명의 비상도어를 포함하는 스크린도어
200: 선로
본 발명은 어느 한 방향에 힌지축을 두고 약 90°정도로 개폐되는 비상도어로 인해 비상시 플랫폼으로 이동하는 승객의 동선을 방해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하철 스크린도어용 비상도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상도어와 자동도어의 사이에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비상도어를 전진 배치시키며, 비상도어와 자동도어 사이의 공간에 회전봉을 삽입하고, 회전봉과 비상도어는 암을 통해 연결시키되, 암의 중앙부위를 선로방향으로 둥굴게 만곡시켜 비상도어가 미닫이 형식으로 개폐될 수 있게 한 구조의 지하철 스크린도어용 비상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의 플랫폼에는 사람이 선로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크린도어를 설치한다.
이러한 스크린도어는 선로 상의 먼지가 플랫폼 상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광고의 게재하여 홍보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또한 상기 스크린도어는 자동문과 비상문이 함께 구성되어 비상시 비상문을 열고 지하철 내의 승객이 대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스크린도어는 비상문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밀도 당기는 여닫이 형식으로 되어 있어, 플랫폼으로 이동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동선을 방해함은 물 론 비상문에 부딪히는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항시적으로 존재하는 문제점 있었다.
이하에서는 종래의 지하철 스크린도어용 비상문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종래의 지하철 스크린도어의 자동도어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b는 종래의 지하철 스크린도의의 비상도어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도어(5)는 비상시 지하철의 자동도어(3)가 스크린도어(9) 상에서 이탈되어 정지하였을 때 수동으로 개폐되는 구조이다.
아울러 상기 자동도어(3)는 지하철이 정지하면 지하철의 도어와 동시 개방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자동도어(3)는 비상도어(5)의 내측으로 공간으로 슬라이딩 되는 구조이다.
한편 지하철이 운행 중 비상시에는 지하철의 도어가 스크린도어(9)의 자동도어(3)에 이탈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에는 비상도어(5)를 통해 승객이 내릴 수 있게 구성된다.
종래의 비상도어(5) 구조는 지하철의 프레임(1)에 비상도어(5)가 힌지축(7)을 중심으로 고정되어 있어, 손잡이(5a)를 잡고 선로()방향에서 플랫폼의 방향으로 밀어 비상도어(5)를 개방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어느 한 방향에 힌지축(7)을 두고 약 90°정도로 개폐되는 구 조이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플랫폼으로 이동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동선을 방해함은 물론 비상문에 부딪히는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상시 플랫폼으로 이동하는 승객의 동선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지하철 스크린도어용 비상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들은,
자동도어와, 상기 자동도어를 내측으로 유도하며, 비상 시 선로 방향에서 플랫폼 방향으로 밀어서 강제 개방되는 비상도어로 구성된 지하철 스크린 도어에 있어서,
자동 슬라이딩 되는 자동도어를 내측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자동도어 보다 플랫폼 방향으로 전진 배치되며, 안측으로는 손잡이가 형성되고 중앙부위에는 브라켓이 돌출 형성된 비상도어;와, 내측으로 슬라이딩 되는 자동도어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자동도어와 비상도어 사이의 공간 상의 바닥에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회동봉; 및 상기 일측 단부는 상기 회동봉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비상문의 브라켓에 힌지 결합되는 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암은 플랫폼으로 이동하는 사람의 동선 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비상도어가 미닫이 형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중앙부위가 상기 선로방향으로 둥굴게 만곡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스크린도어용 비상도어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에서 암은 적어도 1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스크린도어용 비상도어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스크린도어의 자동도어 개폐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스크린도어용 비상도어 개폐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상시 플랫폼으로 이동하는 승객의 동선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지하철 스크린도어용 비상도어(3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앞서 지하철 스크린도어(100)는 자동도어(20)와, 상기 자동도어(20)를 내측으로 유도하며, 비상 시 선로 방향에서 플랫폼 방향으로 밀어서 강제 개방되는 수동식 비상도어(30)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비상도어(30)는 자동도어(20)의 양측에 배치되며, 프레임(10)을 사이에 두고 비상도어(30)와 자동도어(20)가 연속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지하철 스크린도어용 비상도어(30)는 크게 4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비상도어(30)와, 지지부(40)와, 회동봉(41)과, 암(50)으로 구성된다.
상기 비상도어(30)는 자동 슬라이딩 되는 자동도어(20)를 내측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자동도어(20) 보다 플랫폼 방향으로 전진 배치되며, 안측으로는 손잡이(31)가 형성되고 중앙부위에는 브라켓(32)이 돌출 형성된 구조이다.
이 때 비상도어(30)와 자동도어(20)의 사이의 갭은 보조프레임(11)을 통해 밀폐되어, 선로(200) 상의 미세 먼지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40)는 내측으로 슬라이딩 되는 자동도어(20)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자동도어(20)와 비상도어(30) 사이의 공간 상의 바닥에 고정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회동봉(41)은 지지부(40)에 회전가능하게 수직으로 힌지 결합되는 구조이다. 때문에 상기 회동봉(41)은 지지부(40)를 통해 안정적으로 직립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아울러 상기 암(50)의 일측 단부는 상기 회동봉(41)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비상도어(30)의 브라켓에 힌지 결합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암(50)은 비상도어(30)를 안정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나의 회동봉(41)에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비상도어(30)의 브라켓(32) 역시 상기 암(50)의 개수에 대응하여 다수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암(50)은 플랫폼으로 이동하는 사람의 동선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비상도어(30)가 미닫이 형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중앙부위가 상기 선로방향으로 둥굴게 만곡되어 있는 구성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암은 "
Figure 112007009659550-pat00001
" 형상을 취한다.
따라서 비상도어(30)를 개방할 경우에는 손잡이(31)를 잡고, 플랫폼 방향으로 밀면, 상기 암(50)의 만곡에 의해 프레임(10)을 감싸면서 미딛이 방식으로 비상도어(30)가 자연스럽게 이동되는 구조이다.
때문에 미닫이 형식의 비상도어(30)의 개폐로 하여 플랫폼으로 이동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동선을 확보함은 물론 비상문에 부딪히는 안전사고의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하철 스크린도어용 비상도어에 따르면, 비상도어를 미닫이 형식으로 하여 플랫폼으로 이동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동선을 확보함은 물론 비상문에 부딪히는 안전사고의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2)

  1. 자동도어와, 상기 자동도어를 내측으로 유도하며, 비상 시 선로 방향에서 플랫폼 방향으로 밀어서 강제 개방되는 비상도어로 구성된 지하철 스크린도어에 있어서,
    자동 슬라이딩 되는 자동도어를 내측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자동도어 보다 플랫폼 방향으로 전진 배치되며, 안측으로는 손잡이가 형성되고 중앙부위에는 브라켓이 돌출 형성된 비상도어;
    내측으로 슬라이딩 되는 자동도어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자동도어와 비상도어 사이의 공간 상의 바닥에 고정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회동봉; 및
    상기 일측 단부는 상기 회동봉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비상문의 브라켓에 힌지 결합되는 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암은 플랫폼으로 이동하는 사람의 동선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비상도어가 미닫이 형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중앙부위가 상기 선로방향으로 둥굴게 만곡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스크린도어용 비상도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적어도 1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스크린도어용 비상 도어.
KR1020070010208A 2007-01-31 2007-01-31 지하철 스크린도어용 비상도어 KR100808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208A KR100808649B1 (ko) 2007-01-31 2007-01-31 지하철 스크린도어용 비상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208A KR100808649B1 (ko) 2007-01-31 2007-01-31 지하철 스크린도어용 비상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8649B1 true KR100808649B1 (ko) 2008-02-29

Family

ID=39383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0208A KR100808649B1 (ko) 2007-01-31 2007-01-31 지하철 스크린도어용 비상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86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8543B1 (ko) 2017-08-29 2017-12-12 대주이엔티 주식회사 스크린 도어 시스템에 구비된 미닫이 도어의 여닫이식 보조비상 도어
KR102228877B1 (ko) 2019-12-17 2021-03-1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가동문 양측에 비상문이 설치되는 스크린도어 및 그 비상문 개방 방법
KR102525742B1 (ko) 2022-09-16 2023-04-26 (주)동우자동도어 슬라이딩 비상도어 개폐 감지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6927U (ko) * 1999-02-10 2000-09-25 정몽규 볼 스터드를 이용한 스윙암 도어의 연결암 구조
KR200401524Y1 (ko) 2005-08-31 2005-11-17 (주) 아원기연 승강장 안전장치 조립체
JP2006283318A (ja) 2005-03-31 2006-10-19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自動車のスイングドア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6927U (ko) * 1999-02-10 2000-09-25 정몽규 볼 스터드를 이용한 스윙암 도어의 연결암 구조
JP2006283318A (ja) 2005-03-31 2006-10-19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自動車のスイングドア装置
KR200401524Y1 (ko) 2005-08-31 2005-11-17 (주) 아원기연 승강장 안전장치 조립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8543B1 (ko) 2017-08-29 2017-12-12 대주이엔티 주식회사 스크린 도어 시스템에 구비된 미닫이 도어의 여닫이식 보조비상 도어
KR102228877B1 (ko) 2019-12-17 2021-03-1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가동문 양측에 비상문이 설치되는 스크린도어 및 그 비상문 개방 방법
KR102525742B1 (ko) 2022-09-16 2023-04-26 (주)동우자동도어 슬라이딩 비상도어 개폐 감지시스템
KR102582252B1 (ko) 2022-09-16 2023-09-25 (주)동우자동도어 슬라이딩 비상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비상도어 개폐 감지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43985Y2 (ja) 建設機械用重装備車輌の運転室前面窓装置
GB2291636A (en) Vehicle gap bridge
CN205532008U (zh) 能够隐藏窗扇的窗户
KR100808649B1 (ko) 지하철 스크린도어용 비상도어
JP6126824B2 (ja) 鉄道車両、および、鉄道車両用プラグドア、押さえ装置
CN208915164U (zh) 一种地铁站台与列车间隙防护机构
RU201449U1 (ru) Рельсов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 подвижной частью пола в дверном проёме
CN109291936A (zh) 一种地铁站台与列车间隙防护机构
US2141298A (en) Vehicle door construction
EP2325424A2 (en) Mechanism for closing and opening a swinging-sliding door leaf
EP2910447A1 (en) Railroad vehicle and plug door for railroad vehicle
JP2012171402A (ja) 車両用非常出入口
JP2008231849A (ja) 引き戸及び引き戸を備えた車両
JP2001107393A (ja) 建設機械の前リンク式スライドドア装置
KR100964427B1 (ko) 도어개폐장치
JP3032400U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H10153039A (ja) 折りたたみ戸
JP4211730B2 (ja) エレベータの敷居隙間遮蔽装置
GB2572145A (en) A vehicle sliding door
CN209024008U (zh) 一种内置控制箱的层门结构
JP6833603B2 (ja) エレベーターにおける挟まれ防止装置
US2114743A (en) Sliding door
JP3379859B2 (ja) エレベータ用敷居間隙遮蔽装置
JP2023005271A (ja) 車両側部構造
KR20230148604A (ko) 경사를 이용한 문의 자동 닫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3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