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3563B1 - 건축물 입구용 텔레스코픽 도어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 입구용 텔레스코픽 도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3563B1
KR101183563B1 KR1020110007431A KR20110007431A KR101183563B1 KR 101183563 B1 KR101183563 B1 KR 101183563B1 KR 1020110007431 A KR1020110007431 A KR 1020110007431A KR 20110007431 A KR20110007431 A KR 20110007431A KR 101183563 B1 KR101183563 B1 KR 101183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door
telescopic
building entrance
ent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7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6159A (ko
Inventor
정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10007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3563B1/ko
Publication of KR20120086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6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입구용 텔레스코픽 도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각 도어 프레임의 전면과 상면이 수직 절곡된 구조로 형성하여 도어 프레임이 용이하게 겹쳐질 수 있고, 유지 보수비용이 작고 보수가 간단한 건축물 입구용 텔레스코픽 도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도어 프레임이 용이하게 겹쳐지거나 펼쳐질 수 있으면서 간단한 구성으로 작동이 용이하여 고장 발생빈도를 감소시켰으며, 유지 보수가 신속하고 쉽다는 장점이 있고, 작동 소음이 작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건축물 입구용 텔레스코픽 도어장치{TELESCOPIC DOOR APPARATUS FOR ENTRANCE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 입구용 텔레스코픽 도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각 도어 프레임의 전면과 상면이 수직 절곡된 구조로 형성하여 도어 프레임이 용이하게 겹쳐질 수 있고, 유지 보수비용이 작고 보수가 간단한 건축물 입구용 텔레스코픽 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종래의 캔버스 도어는 각종 출입구 게이트 및 대문류, 공장 출입문, 전동차류의 도어 등에 사용되어 출입구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캔버스 도어는 공장 등에서 큰 면적의 도어를 모터의 동작에 의해 단일의 작업자가 신속하게 개폐할 수 있어 최근에는 그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캔버스 도어는 공장 등의 입구 면적이 큰 경우에 사용되는 바, 각 도어프레임의 두께가 상당히 두꺼운 편이고, 그러한 도어 프레임은 다수개가 두께방향으로 겹쳐져서 입구를 폐쇄하거나 개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전체 도어장치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도어 프레임은 그 도어 프레임을 가이드하기 위한 다수개의 가이드 레일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었으며, 도어 프레임간의 겹침 오류로 인해 도어 프레임이 틀어질 수 있고, 그로인해 도어 프레임이 손상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의 스크린 도어장치나 트랩도어 장치는 입구부 개방시 도어 프레임이 용이하게 겹쳐지지 못하는 구조라는 문제가 있었으며, 그로인해 유지 보수비용과 시간이 더 많이 투입되어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고, 작동 소음이 크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각 도어 프레임의 전면과 상면이 수직 절곡된 구조로 형성하여 도어 프레임이 용이하게 겹쳐질 수 있고, 유지 보수비용이 작고 보수가 간단한 건축물 입구용 텔레스코픽 도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정거리 이격되게 입구부의 양측면에 입설되며, 도어 프레임의 양단이 결합되어 가이드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수직으로 위치되면서 승강 될 수 있게 구성되고, 절첩시 상호 포개질 수 있게 “┏”자 형상으로 절곡된 다수개의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프레임의 최상단에 배치된 상부 입체트러스에 연결되면서 일단이 와이어 드럼에 권취되어 상하로 승하강되는 승강용 와이어와; 상기 승강용 와이어로 연결되고, 도어 프레임의 최하단에 장착되어 상승시 도어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그 상면에 절첩시키는 하부 입체트러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입구용 텔레스코픽 도어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어 프레임은 상승시 하부의 도어 프레임이 그 상부의 다른 도어 프레임의 내부로 포개지게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입구용 텔레스코픽 도어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어 프레임은 상부에 포개지는 도어 프레임의 내측벽 하단에 하부 돌기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외측벽 상단에는 상부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도어 프레임이 펼쳐질 때에는 각 도어 프레임이 순차적으로 상부의 도어 프레임에 매달려 고정되고, 도어 프레임이 절첩될 때에는 각 도어 프레임이 순차적으로 포개지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입구용 텔레스코픽 도어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어 프레임은 그 양단에 상기 가이드레일을 감싸는 “ㄷ”자형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입구용 텔레스코픽 도어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어 프레임에 형성된 결합홈은 그 내벽이나 외벽 소정부에 롤러가 장착되며, 롤러는 가이드레일에 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입구용 텔레스코픽 도어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레일은 마찰 내구성을 보강하기 위한 마찰판이 그 외표면에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입구용 텔레스코픽 도어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입구용 텔레스코픽 도어장치는 도어 프레임이 용이하게 겹쳐지거나 펼쳐질 수 있으면서 간단한 구성으로 작동이 용이하여 고장 발생빈도를 감소시켰으며, 유지 보수가 신속하고 쉽다는 장점이 있고, 작동 소음이 작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입구용 텔레스코픽 도어장치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입구용 텔레스코픽 도어장치의 평면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입구용 텔레스코픽 도어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입구용 텔레스코픽 도어장치에 포함된 하부트러스의 롤링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입구용 텔레스코픽 도어장치에 포함된 중간 트러스 또는 상부 트러스의 롤링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입구용 텔레스코픽 도어장치에 포함된 도어 프레임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입구용 텔레스코픽 도어장치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입구용 텔레스코픽 도어장치의 평면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입구용 텔레스코픽 도어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입구용 텔레스코픽 도어장치(2)는 각 도어 프레임의 전면과 상면이 수직 절곡된 구조로 형성하여 도어 프레임이 용이하게 겹쳐질 수 있고, 유지 보수비용이 작고 보수가 간단한 도어장치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입구용 텔레스코픽 도어장치(2)는 일정거리 이격되게 입구부의 양측면에 입설되며, 다수개의 도어 프레임(14)의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가이드되는 가이드레일(6,8)이 포함되는 바, 상기 가이드레일(6, 8)은 각각 서로 다른 위치에 구분되게 설치된 도어 프레임(14)을 가이드하기 위해 중앙 가이드 레일(8)과 측방 가이드레일(6)로 구분할 수도 있겠으나, 그 구조나 기능이 동일하므로 별도의 구분없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입구용 텔레스코픽 도어장치(2)는 상기 가이드레일(6,8)에 수직으로 위치되면서 승강될 수 있게 구성되고, 절첩시 상호 포개질 수 있게 “┏”자 형상으로 절곡된 다수개의 도어프레임(14)이 포함되는 바, 그 도어프레임(14)은 건축물 입구부의 상단에 절첩된 상태로 수용되다가 입구부를 폐쇄하고자 할 때, 수직으로 펼쳐져서 건축물 입구부를 폐쇄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도어 프레임(14)은 상승시 하부의 도어 프레임(14)이 그 상부의 다른 도어 프레임(14)의 내부로 포개지게 절첩되게 구성되어져 있다. 따라서, 다수의 상기 도어 프레임(14)이 순차적으로 포개져 입구부 상단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건축물의 입구부가 개방된 상태가 되며, 반면에 다수의 상기 도어 프레임(14)이 순차적으로 펼쳐지면 건축물 입구부가 폐쇄된 상태가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입구용 텔레스코픽 도어장치(2)는 상기 도어프레임(14)의 최상단에 배치된 상부 입체트러스(10)에 연결되면서 일단이 와이어 드럼(5)에 권취되어 상하로 승하강되는 승강용 와이어(16)와; 상기 승강용 와이어(16)로 연결되고, 도어 프레임(14)의 최하단에 장착되어 상승시 도어 프레임(14)을 순차적으로 그 상면에 절첩시키는 하부 입체트러스(12)를 포함한다.
즉, 상기 상부 입체트러스(10)는 상기 가이드레일(6)이 형성된 측방의 입체트러스(미도시)의 상단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져 있으며, 다수개의 도어 프레임(14)중 최상단의 도어 프레임(14)은 그 상부 입체트러스(10)에 고정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상부 입체트러스(10)에는 일정간격으로 상부롤러(22)가 장착되어져 있으며, 상기 하부 입체트러스(12)에는 일정간격으로 하부롤러(20)가 장착되어져 있고, 상기 승강용 와이어(16)는 그 일단이 와이어 드럼(5)에 연결되어져 있으면서 그 타단이 상기 상부롤러(22)와 하부롤러(20)를 지그재그로 연결한 상태에서 하부 입체트러스(12)의 고정부(18)에 고정되어져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4)가 작동하여 와이어 드럼(5)에 승강용 와이어(16)가 권취되면 승강용 와이어(16)의 하단이 하부 입체트러스(12)의 고정부(18)에 고정되어져 있으므로, 하부 입체트러스(12)가 상단에 순차적으로 펼쳐진 도어 프레임(14)들을 밀어올림으로 인해, 각각 포개지면서 상방으로 이동되게 한다.
도 3에는 상단에 포개진 도어 프레임(14)과, 건축물 입구부를 폐쇄할 수 있게 펼쳐진 도어 프레임(14)의 상태가 각각 도시되어져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입구용 텔레스코픽 도어장치에 포함된 하부트러스의 롤링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입구용 텔레스코픽 도어장치에 포함된 중간 트러스 또는 상부 트러스의 롤링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입구용 텔레스코픽 도어장치에 포함된 도어 프레임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입구용 텔레스코픽 도어장치(2)는 건축물의 입구부 좌우에 각각 입설되게 설치된 가이드레일(6, 8)에 대해 상기 도어 프레임(14)이 끼워진 상태로 구성되는 바, 가이드레일(6, 8)에 대해 도어 프레임(14)의 양단이 각각 끼워짐으로써 도어 프레임(14)은 상하로만 이동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도어 프레임(14)은 그 양단이 각각 좌우측에 설치된 가이드레일(6,8)에 끼워져 있으므로 도어프레임(14)은 전후방으로 이탈될 수 없으며, 그 가이드레일(6,8)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하로만 이동된다.
이를 위해, 상기 도어 프레임(14)은 그 좌우측면에 각각 상기 가이드레일(6.8)을 감싸는 “ㄷ”자형 결합홈(13)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도어 프레임(14)에 형성된 결합홈(13)은 그 내벽이나 외벽 소정부에 롤러(32,36,42,44)가 장착되며, 롤러(32,36,42,44)는 가이드레일(6,8)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롤러(32,36,42,44)는 그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하였으나, 상기 도어 프레임(14)의 소정부에 장착되되 상기 가이드레일(6,8)의 외표면에 밀착되어 원활하게 도어 프레임(14)을 가이드레일(6,8)에 대해 이동시킨다는 면에서 서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롤러이다.
미설명부호 30은 제 1 롤러부를 나타낸 것이며, 미설명부호 40은 제 2 롤러부를 나타낸 것이고, 그 구분은 상기 도어 프레임(14)이 중간부에 펼쳐지는 것인지, 상부측에 펼쳐지는 것인지에 따른 차이이나 대동소이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미설명부호 34는 롤러축을 나타낸다.
한편,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레일(6,8)은 마찰 내구성을 보강하기 위한 마찰판(38)이 그 외표면에 더 부착되어져 있는 바, 마찰판(38)은 내마모성이 높은 재질이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입구용 텔레스코픽 도어장치(2)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도어 프레임(14)은 상부에 포개지는 도어 프레임(예컨대, 14a)의 내측벽 하단에 하부 돌기(50)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외측벽 상단에는 상부 돌기(52)가 형성됨으로써 도어 프레임(14a, 14b)이 펼쳐질 때에는 각 도어 프레임(예컨대, 14b)이 순차적으로 상부의 도어 프레임(14a)에 매달려 고정되고, 도어 프레임(14)이 절첩될 때에는 각 도어 프레임(14a, 14b)이 순차적으로 포개지게 된다.
물론, 이때의 모든 도어 프레임(14a, 14b)은 그 양측단이 가이드레일(6,8)에 끼워져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어져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돌기(50) 또는 상부돌기(52)중 어느 하나 또는 전부의 표면에 완충부재(54)를 부착하여 상기 하부돌기(50) 또는 상부돌기(52)가 접촉할 때의 소음이나 진동을 완충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입구용 텔레스코픽 도어장치(2)는 도어 프레임(14)이 용이하게 겹쳐지거나 펼쳐질 수 있으면서 간단한 구성으로 작동이 용이하여 고장 발생빈도를 감소시켰으며, 유지 보수가 신속하고 쉽고, 작동 소음이 작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입구용 텔레스코픽 도어장치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6,8:가이드레일, 10:상부 입체트러스,
12:하부 입체트러스, 14:도어프레임,
16:승강와이어, 50:하부돌기,
52:상부돌기.

Claims (6)

  1. 일정거리 이격되게 입구부의 양측면에 입설되며, 도어 프레임의 양단이 결합되어 가이드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수직으로 위치되면서 승강 될 수 있게 구성되고, 절첩시 상호 포개질 수 있게 “┏”자 형상으로 절곡된 다수개의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프레임의 최상단에 배치된 상부 입체트러스에 연결되면서 일단이 와이어 드럼에 권취되어 상하로 승하강되는 승강용 와이어와;
    상기 승강용 와이어로 연결되고, 도어 프레임의 최하단에 장착되어 상승시 도어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그 상면에 절첩시키는 하부 입체트러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입구용 텔레스코픽 도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은 상승시 하부의 도어 프레임이 그 상부의 다른 도어 프레임의 내부로 포개지게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입구용 텔레스코픽 도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은 상부에 포개지는 도어 프레임의 내측벽 하단에 하부 돌기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외측벽 상단에는 상부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도어 프레임이 펼쳐질 때에는 각 도어 프레임이 순차적으로 상부의 도어 프레임에 매달려 고정되고, 도어 프레임이 절첩될 때에는 각 도어 프레임이 순차적으로 포개지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입구용 텔레스코픽 도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은 그 양단에 상기 가이드레일을 감싸는 “ㄷ”자형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입구용 텔레스코픽 도어장치.
  5. 제 1항 또는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에 형성된 결합홈은 그 내벽이나 외벽 소정부에 롤러가 장착되며, 롤러는 가이드레일에 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입구용 텔레스코픽 도어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마찰 내구성을 보강하기 위한 마찰판이 그 외표면에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입구용 텔레스코픽 도어장치.
KR1020110007431A 2011-01-25 2011-01-25 건축물 입구용 텔레스코픽 도어장치 KR101183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431A KR101183563B1 (ko) 2011-01-25 2011-01-25 건축물 입구용 텔레스코픽 도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431A KR101183563B1 (ko) 2011-01-25 2011-01-25 건축물 입구용 텔레스코픽 도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159A KR20120086159A (ko) 2012-08-02
KR101183563B1 true KR101183563B1 (ko) 2012-09-17

Family

ID=46872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7431A KR101183563B1 (ko) 2011-01-25 2011-01-25 건축물 입구용 텔레스코픽 도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35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521B1 (ko) * 2019-03-25 2020-02-12 주식회사 티디아이 분할된 다수의 도어패널을 갖는 슬라이드 도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검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3751A (ja) 1999-04-16 2000-10-31 St Kikaku:Kk 鉛直方向折り畳式雨戸
JP2007068913A (ja) 2005-09-09 2007-03-22 Kayaba System Machinery Kk スライド式防火シャッタ
JP2008127966A (ja) 2006-11-24 2008-06-05 Aisin Keikinzoku Co Ltd 建築物の開口部装置
JP2008156988A (ja) 2006-12-26 2008-07-10 Tachikawa Blind Mfg Co Ltd 間仕切り装置の開閉駆動装置及びヒンジ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3751A (ja) 1999-04-16 2000-10-31 St Kikaku:Kk 鉛直方向折り畳式雨戸
JP2007068913A (ja) 2005-09-09 2007-03-22 Kayaba System Machinery Kk スライド式防火シャッタ
JP2008127966A (ja) 2006-11-24 2008-06-05 Aisin Keikinzoku Co Ltd 建築物の開口部装置
JP2008156988A (ja) 2006-12-26 2008-07-10 Tachikawa Blind Mfg Co Ltd 間仕切り装置の開閉駆動装置及びヒンジ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159A (ko) 201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112012021385B1 (pt) guia para um portão de elevação, quadro para um portão de elevação, portão de elevação e processo para fechar um vão em um portão de elevação
US8151858B2 (en) Garage screen door system
KR101183563B1 (ko) 건축물 입구용 텔레스코픽 도어장치
KR101260020B1 (ko) 건축물 입구용 절첩 도어장치
CN206955404U (zh) 电梯多功能防护门
EP3328776B1 (en) Cabin door for an elevator
JP2011144007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101354202B1 (ko) 엘리베이터용 다단 도어 장치
KR102153038B1 (ko) 레일 미노출 구조를 갖는 창호
KR101202285B1 (ko) 지하철 차고지용 자동 절첩식 폴드-슬라이딩 도어
KR200458942Y1 (ko) 적층 도어 패널 가이드 조립체
KR101144075B1 (ko)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US20190390515A1 (en) Dock door screen assembly
JP6340312B2 (ja) シャッター装置におけるスラットガイド機構
WO2018173224A1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JP6469439B2 (ja) ホーム柵
JP2015048599A (ja) シートシャッタ
KR20130129031A (ko) 연동 게이트
CN202689841U (zh) 联动门
JP7152237B2 (ja) 開閉装置
JP6404744B2 (ja) 引き戸式ドア装置
CN209704389U (zh) 无地坎的门及其立体车库
KR20230115679A (ko) 인터락 오버헤드 도어 장치
EP1748136A1 (en) Guide system for sectional doors
US2700420A (en) Garage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