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5329A -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45329A KR20130045329A KR1020137001118A KR20137001118A KR20130045329A KR 20130045329 A KR20130045329 A KR 20130045329A KR 1020137001118 A KR1020137001118 A KR 1020137001118A KR 20137001118 A KR20137001118 A KR 20137001118A KR 20130045329 A KR20130045329 A KR 2013004532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panel
- door
- panel
- guide groove
- eleva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문턱과 승강 엘리베이터칸과의 틈새를 넓히지 않고, 도어의 주행저항에 관한 문제점을 회피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를 제공한다.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1)는,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되며, 엘리베이터칸 실로의 승강구(7)를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패널(3a, 3b)과, 이 도어패널의 아래쪽에 마련되어 이 도어패널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연장하는 문턱(5)을 포함한다. 도어패널의 하면에는 슬라이드 방향으로 연장하는 안내홈(29)이 형성되어 있다. 문턱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부재(27)가 위쪽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안내부재는, 대응하는 안내홈에 삽입되어 있으며 도어패널이 슬라이드할 때에, 상대적으로 보아 안내부재는, 대응하는 안내홈에 따라서 이동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도어의 도어패널은, 그 위쪽에 배치된 레일에 매달려 있다. 도어패널의 바닥에는 다리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다리부는 도어패널의 아래쪽에 배치된 문턱 상면의 홈에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도어패널은 그 위아래가 지지되어 개폐방향으로 안내된다.
그러나, 도어패널에 의해서 개폐되는 영역은 승객의 이동 경로이므로, 문턱의 상면에 홈이 있으면, 흙이나 먼지 등의 미세한 쓰레기가 그 홈에 들어가 퇴적될 뿐만 아니라, 작은 돌 등의 비교적 큰 쓰레기가 홈에 채워지기도 한다. 이것은, 도어패널이 개폐될 때, 다리부와 홈 등과의 접촉에 의한 주행저항에 기인한 개폐 구동 로스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으며, 각 부분의 경년변화(經年變化)를 가져오는 하나의 요인이 된다. 또한, 홈 위에 있는 비교적 큰 쓰레기가 승객에게 밟힘으로써, 홈에 쓰레기가 고착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문제에 관한 것으로서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문헌에 기재된 것이 있다. 먼저, 특허 문헌 1에는, 승강 엘리베이터칸과 승강장의 문턱과의 사이에 틈새를 마련하여, 도어의 다리부를 이러한 틈새를 통해 문턱의 아래쪽까지 돌아 들어가게 하고, 문턱의 하면에 형성된 안내홈과 위 다리부를 맞물림시키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문턱 상면의 안내홈에 맞물림체를 상하이동 가능하게 마련해 두고, 도어패널이 개폐방향으로 이동할 때, 도어패널의 하단부가 맞물림체를 위쪽으로 잡아 올리면서 이동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도어패널의 하단부가 맞물림체를 통하여 지지되고, 또한, 개폐 동작 중, 도어패널이 위쪽에 없는 범위의 홈의 부분은, 맞물림체에 의해 막혀 있음으로써, 홈으로의 이물의 혼입이 방지되고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에는, 문턱에 있어서 그 상면으로부터 하면으로 빠지는 관통 틈새를 마련하며, 도어의 다리부를 이러한 틈새를 통해 문턱의 하부까지 연장하고 문턱의 하면에 형성된 안내부와 다리부를 맞물림시키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앞서 설명한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구성에서는, 도어의 다리부가, 엘리베이터칸과 문턱과의 틈새를 빠져나갈 필요가 있기 때문에, 승강 엘리베이터칸과 문턱과의 사이에 매우 큰 틈새를 확보해야 한다고 하는 새로운 문제를 발생시킨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구성에서는, 도어패널이 맞물림체를 잡아 올리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안내홈에 쓰레기 등이 채워지는 사태에 기인할 것까지도 없이, 결국은, 주행저항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맞물림체의 상면 높이가 문턱의 상면 높이와 맞추어지지 않은 부위에서는, 승객의 발이 걸려 넘어지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에 개시된 구성에서는, 문턱의 관통 틈새에 쓰레기 등이 채워질 우려는 여전히 있어, 앞서 설명한 이물이 채워지는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은 기대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위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문턱과 승강 엘리베이터칸과의 틈새를 넓히지 않고, 도어의 주행저항에 관한 문제점을 회피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앞서 설명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는,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되며, 엘리베이터칸 실(室)로의 승강구를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패널과, 이 도어패널의 아래쪽에 배치되며 이 도어패널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연장하는 문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패널의 하면에는, 슬라이드 방향으로 연장하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문턱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부재가 위쪽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고, 상기 안내부재는 대응하는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패널이 슬라이드할 때에 상대적으로 보아 상기 안내부재는 대응하는 상기 안내홈에 따라서 이동한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에 의하면, 문턱과 승강 엘리베이터칸과의 틈새를 넓히지 않고, 도어의 주행저항에 관한 문제점을 회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의 정면 및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어패널의 전폐(全閉)상태 및 전개(全開)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하나의 도어패널에 작용하는 주요 힘의 균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안내부재 근방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패널 서포트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어패널의 전폐(全閉)상태 및 전개(全開)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하나의 도어패널에 작용하는 주요 힘의 균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안내부재 근방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패널 서포트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대응부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의 정면 및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어패널의 전폐(全閉)상태 및 전개(全開)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우 한 쌍의) 도어패널(3a, 3b)과, 문턱(5)을 구비하고 있다. 좌우 한 쌍의 도어패널(3a, 3b)은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되며, 엘리베이터칸 실(室)로의 승강구(7)를 개폐 하는 것이다. 문턱(5)은 도어패널(3a, 3b)의 아래쪽에 마련되며, 도어패널(3a, 3b)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도어패널(3a, 3b) 각각의 상단에는, 행거(9)가 마련되어 있다. 승강구(7) 위쪽 가장자리부에는 길이방향(수평방향)으로 배치된 빔(11)이 마련되어 있다. 빔(11)에는 레일(13)이 길이방향(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행거(9) 각각에는, 복수의 행거롤러(15)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행거롤러(15)가 레일(13)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행거(9)의 수평이동, 즉 도어패널(3a, 3b)의 개폐이동이 안내된다.
또한, 행거(9) 각각에는, 복수의 업 스러트스 롤러(17, upthrust roller)가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업 스러트스 롤러(17)는, 행거롤러(15)가 대응하는 레일(13)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빔(11)에는 또한, 한 쌍의 풀리(19a, 19b)가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풀리(19a, 19b)는, 서로 떨어져 마련되어 있으며, 이들 사이에는, 무단상(無端狀)을 이루는 벨트 등과 같은 주회(周回)부재(21)가 감아 걸려져 장력이 가해진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주회부재(21)에는, 한 쌍의 연결구(23a, 23b, 連結具)가 마련되어 있다. 한쪽의 연결구(23a)의 상단은 주회부재(21) 중 윗쪽을 주행하는 부분에 연결되며, 하단은 한쪽의 도어패널(3a)에 연결되어 있다. 다른쪽의 연결구(23b)는 주회부재(21) 중 아래쪽을 주행하는 부분에 연결되며, 하단은 다른쪽의 도어패널(3b)에 연결되어 있다.
모터(25)에 의해서 주회부재(21)가 구동되면, 한 쌍의 연결구(23a, 23b)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고, 그것에 의해서 좌우 한 쌍의 도어패널(3a, 3b)도 또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즉 승강구(7)에 대해서 개폐동작이 이루어진다.
도어패널(3a, 3b)은, 이들 상측에서 레일(13)에 의해 안내될 뿐만 아니라, 이들 하측에서 문턱(5)에 의해서도 안내된다. 문턱(5)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의(최소라도 도어패널과 동수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안내부재(27)가 위쪽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하여 마련되어 있다.
한편, 도어패널(3a, 3b)의 하부에는, 이들 안내부재(27)를 수용하는 안내홈(29)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관해서는, 먼저, 도어패널(3a, 3b)은 각각 도어패널의 닫음동작방향의 후단면(31a, 31b)에, 안내홈 연장부재(33a, 33b)를 가지고 있다. 안내홈 연장부재(33a, 33b)는 후단면(31a, 31b)에서 도어패널의 닫음동작방향에 관한 후방을 향해서 돌출하고 있다. 그리고, 안내홈(29)은 도어패널(3a, 3b) 각각의 하면에 형성된 홈과, 그 홈에 연속하도록 하여 대응하는 안내홈 연장부재(33a, 33b)의 하면에 형성된 홈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즉, 안내홈(29)은, 그 대부분은, 도어패널(3a, 3b)의 하면의 홈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일부분은, 안내홈 연장부재(33a, 33b)의 하면의 홈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안내홈(29)은, 도어패널(3a, 3b)의 하면의 홈이 안내홈 연장부재(33a, 33b)의 하면의 홈에 의해서 연장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안내홈 연장부재(33a, 33b)의 크기는, 도어패널(3a, 3b)이 전폐(全閉)되었을 때에도 안내부재(27)가 수용되는 홈연장범위를 최소한 추가할 수 있는 정도이면 좋다.
안내부재(27)는 각각, 대응하는 안내홈(29) 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도어패널(3a, 3b)이 개폐 동작할 때에는, 안내부재(27)와 안내홈(29)과의 상대관계로 보면, 안내부재(27)가 안내홈(29)을 따라서 이동하는 상태가 발생한다.
안내부재(27)는 각각, 도 2로부터 알 수 있듯이, 문턱(5)의 상면에 있어서, 대응하는 도어패널(3a, 3b)의 전폐시부터 전개(全開)시에 걸쳐서 안내홈(29)을 구비한 부분(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어패널 또는 안내홈 연장부재)으로 덮여지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안내부재(27)는 각각, 문턱(5)의 상면에 있어서, 승강구(7)의 외측 즉, 승객의 통행경로 외의 부분에 마련되어 있다. 환언하면, 안내부재(27)는 각각, 도 2에 있어서 해칭영역으로 나타낸 도어포켓영역(35) 내에 마련되어 있으며, 특히, 도어포켓영역(35) 내의 승강구측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안내부재(27)의 배치를 실현하기 위하여, 안내홈 연장부재(33a, 33b)는, 도어패널(3a, 3b)의 전폐시에도, 도어포켓영역(35) 내로부터 나오지 않도록 도어포켓영역(35) 내의 승강구측의 단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도어패널(3a, 3b)은, 그 하측에는 안내부재(27)에 의한 지지·안내를 받는다. 또한, 이 때문에, 문턱(5)에 있어서의 승강구 부분의 상면에는 도어패널(3a, 3b)을 지지·안내하기 위한 홈은 가지지 않았다.
다음으로, 도어패널이 그 하단부에서 지지를 받는 의의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종래의 도어장치에 있어서는, 문턱 상면에 홈이 마련되며, 도어패널 하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한 다리부가 그 홈에 삽입되고 또한 홈 내면에 접촉하고 있었다. 이 접촉이 의미하는 기능은, 도어패널의 수평방향 이동에 관한 도어패널 하단부의 안내, 승객 승강방향에 관한 도어패널의 경사의 억제, 그리고 전폐시에 있어서 승객 승강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졌을 때의 도어패널의 벗어남 방지의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도어패널의 개폐에 있어서, 도어패널에 작용하는 힘을 이론적으로 명확하게 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기능의 실현에 필요한 구조를 명확하게 한다. 모터(25)에 구동력이 발생하여 도어패널(3a, 3b)이 개폐될 때, 하나의 도어패널에 작용하는 주요한 힘의 균형은, 도 3에 도시된 X축방향·Y축방향·Z축방향·XY평면상의 회전각θ방향·ZY평면상의 회전각ω방향으로 개별적으로 기술할 수 있다.
즉, 각 방향의 순서로 하기의 운동 방정식(1)~(5)로 나타난다.
단, i= x, y, z로 한 것의 각 기호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i:도어패널 중심(G)의 i축방향 위치
θ:도어패널 중심(G) 회전의 z축 회전 각도
ω:도어패널 중심(G) 회전의 x축 회전 각도
M:행거롤러나 행거를 포함한 도어패널 하나의 총 중량
Jiy:도어패널의 중심(G) 회전에 있어서의 i축 관성 이너셔(inertia)
Fm:도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벨트 전달 구동력
Fui:도어패널과 안내기구의 접촉에 의한 i축방향의 마찰력
Fhi:행거롤러(5)와 레일(4)의 접촉에 의한 i축방향 마찰력
di:행거롤러(5)와 도어패널 중심(G)의 i축방향 거리
L1:연결부(9)와 레일(4)의 수직방향 거리
L2:레일(4)과 도어패널 중심(G)의 수직방향 거리
L3:안내기구(12)와 도어패널 중심(G)의 수직방향 거리
K:행거롤러의 등가 회전 스프링 강성
g:중력가속도
도어패널(3a)의 개폐에 있어서, 모터(25)의 구동력에 의해 발생하는 벨트 전달력 Fm은, 식 (1)의 X축방향과 식 (4)의 회전각θ방향으로만 작용한다. 통상의 개폐시에 발생하는 동적인 힘은, 상기 벨트 전달력 Fm뿐이며, 그 이외는 시간경과에 의해 변화하지 않는 정적인 힘이 작용한다. 따라서, 각 축방향의 가속도는, 변화하지 않게 되며, 즉,
이 된다. 이 상태를 바꾸어 말하면, Y축방향에 대해서는, 도어패널 중량을 행거롤러(15)와 레일(13)과의 접촉부에서 지지하고 있는 상태이며, Z축방향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접촉부에 작용하는 힘 Fhz와, 도어패널(3a)의 하단부에 작용하는 힘 Fuz가 균형을 맞춤으로써 정지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식 (5)로부터, 회전각ω방향에서는 행거롤러(15)와 도어패널 중심(G)과의 사이에서, z축방향으로 거리 dz의 어긋남이 있을 때, 도어패널의 총중량과 상기 거리 dz에 의해 발생하는 모멘트에 저항하는 힘으로서 도어패널 하단부에 있어서 Z축방향으로 항력 Fuz를 작용시킬 수 있으면 좋은 것이 된다.
하나의 도어패널의 하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안내부재(27)를 설치하기만 하면, 앞서 설명한 z축방향의 힘 Fuz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거리 dz가 영이 되도록 도어패널을 조정하여 장착하면, 즉, 행거롤러(15)와 도어패널 중심(G)과의 위치를 일치시키면, 앞서 설명한 하단부에 작용되는 Z축방향의 힘 Fuz는 불필요해진다.
또한, X축방향, 회전각θ방향에 있어서는, 안내부재(27)에 의한 X축방향의 마찰력이 작용하지만, 안내부재(27)를 복수 설치해도, 식(1)·(4)에 있어서의 마찰력 Fux의 항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것과 같은 의미이다. 즉, 안내부재(27)를 하나로 하는 것에 의한 영향은, 단순한 마찰의 대소의 문제로 치환된다.
앞서 설명한 도어 개폐시에 작용하는 운동 방정식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지견에 근거하여, 지금까지와 같이 문턱 상면에 오목홈을 마련하지 않고, 앞서 설명한 세 가지의 기능을 만족하는 구조로서의 관점에서, 본 실시형태의 구성을 더 설명한다.
도어패널(3a, 3b)의 개폐 이동의 안내는, 도어패널(3a, 3b)의 상단부측에서는, 행거롤러(15)가 레일(13)을 따름으로써 행해지고, 하단부측에서는 안내부재(27)가 도어패널(3a, 3b)의 안내홈(29)과 접촉함으로써 행해지는 것이다. 여기서, 레일(13)과 행거롤러(15)의 접촉부(도어패널의 총중량을 지지)와 도어패널(3a, 3b)의 중심(G)과의 승객 승강방향에 있어서의 거리가 클 때, 도어패널(3a, 3b)에는 승객 승강방향에 관하여 경사지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의 거리가 영이 되도록 조정할 수 있으면, 상단부측의 안내만 있으면 하단부측의 안내가 없어도 도어패널(3a, 3b)이 승객 승강방향으로 경사지지 않고 개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거리가 영이 되도록 행거롤러(15)를 레일(13)에 조정하여 매달면 좋으며, 승객 승강방향의 도어패널(3a, 3b)의 경사방지를 실현할 수 있다.
업 스러트스 롤러(17)는, 통상 개폐시나 전개폐(全開閉)시에 승객의 승강방향이나 개폐방향으로 외력이 주어지는 것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행거롤러(15)와 레일(13)과의 접촉점 어긋남, 즉 도어패널 벗어남이 생기지 않도록 레일(13)의 아래쪽에 마련된다. 다만, 업 스러트스 롤러(17)와 레일(13)이 상시 접촉하고 있으면, 도어패널 개폐시에 있어서의 주행 저항 로스가 증대하기 때문에, 통상의 개폐시에는 레일(13)에 누르지 않게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어 벗어남 방지의 기계적인 대책으로서 행거(9)에 도시하지 않은 플레이트를 레일(13)의 윗쪽 혹은 아래쪽을 덮는 형태로 고정해 두면, 일정 이상의 도어패널 경사가 생겼을 경우에는, 그 플레이트와 레일이 접촉함으로써 벗어남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레이트는, 행거(9)에 있어서의 행거롤러(15)를 피한 부위에 마련할 수 있으며, 통상시에는 레일에 접촉하지 않도록 마련하면 좋다.
문턱(5)은, 승객이 통행하는 영역에 있어서, 쓰레기나 먼지 등의 이물의 혼입이 발생하지 않도록, 도어패널 지지용의 오목홈을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문턱(5)에 있어서의 승객 승강영역은, 이물 혼입 방지 및 통행성 향상의 관점에서, 평탄한 형상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볼록 형상으로 해도 이물의 혼입 방지 효과가 확보된다. 다만, 볼록 형상의 경우에는, 승객이 통행시에 걸려 넘어지지 않도록, 볼록부의 높이는 매우 낮게 하고, 또한 문턱과 바닥면과의 높이가 급격하게 변화하지 않도록 매끄러운 곡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일(13) 및 행거롤러(15)의 접촉부와 도어패널 중심(G)이 승객 승강방향에 관해서 일치하도록, 도어패널(3a, 3b)을 레일(13)에 매달면,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안내부재(27)가 안내홈(29)과 접촉하고 있지 않는 상태를 정상적으로 얻을 수도 있다. 그 한편으로, 도어패널(3a, 3b)에 승객 승강방향의 힘이 작용했을 경우에는, 안내홈(29)과 안내부재(27)가 맞닿게 됨으로써, 도어패널(3a, 3b)에 대한 수평방향으로의 안내의 기능을 확보하면서 도어패널(3a, 3b)의 승객 승강방향으로의 과도의 경사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는, 당초부터 안내홈(29)과 안내부재(27)가 맞닿는 형태로 도어패널(3a, 3b)를 매달도록 실시하는 형태도 포함된다.
안내부재(27)는, 적어도 그 상단이 수지 또는 브러쉬로 구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일례로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안내부재(27)는, 문턱(5) 상면에 장착된 금속부(27a)와, 금속부(27a)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안내홈(29)을 획정(劃定)하는 측면과 접촉할 수 있는 고무 등의 수지부(27b)를 구비한다. 또한, 안내부재(27)는 도어패널 1개에 대해, 1개 이상 설치함으로써, 도어패널(3a, 3b)의 개폐방향의 안내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1)는, 패널 서포트 장치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대해, 도 5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예로서 2 개의 타입의 패널 서포트 장치(135, 235)에 관한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개요를 설명하면, 패널 서포트 장치(135, 235)는, 승객 승강방향의 힘에 대해서 전폐시의 하나 이상의 도어패널을 지지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도어패널이 전폐했을 때, 하나의 도어패널을 그 대면체(對面體)에 연결하는(한 쌍의 도어패널을 서로 연결하는) 것에 의해 승객의 승강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에 대한 강성을 높일 수 있다. 패널 서포트 장치(135, 235)는, 전폐시, 서포트 포지션에 위치하는 서포트부재(137, 237)를 포함하고 있다. 서포트 포지션에서는, 서포트부재(137, 237)가, 도어패널의 닫음동작방향의 전단(前端)하부와, 전단하부와 맞대어져 있는 대면체와의 쌍방(雙方)에 대해서, 승객 승강방향에서 보아 겹쳐져 있다. 또한, 패널 서포트 장치(135, 235)는, 서포트부재(137, 237)를 서포트 포지션과 비서포트 포지션과의 사이에서 구동하는 구동기구(139, 239)를 포함하고 있다. 구동기구(139, 239)는 도어패널과 그 대면체에 나누어져 마련되는 적어도 한 쌍의 마그넷을 포함하고 있으며, 서포트부재(137, 237)는 이들 마그넷의 자력에 의해서 구동된다.
구체적으로, 도 5의 지면 좌측의 흡인식의 패널 서포트 장치(135)에 대해서 설명한다. 패널 서포트 장치(135)는, 서포트부재(137)와 구동기구(139)를 구비한다. 구동기구(139)는, 적어도 한 쌍의 이극성(異極性)의 마그넷(141, 143)과, 스프링(145)을 포함하고 있다. N자극 및 S자극의 한쪽인 마그넷(141)은, 한쪽의 도어패널(3a)에 있어서의 닫음동작방향의 전단하부에 고정되어 있다. 도어패널(3a)에 대해서 대면체가 되는 도어패널(3b)의 닫음동작방향의 전단하부에는, N자극 및 S자극의 다른쪽인 마그넷(143)이, 스프링(145)을 통하여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서포트부재(137)는, 상하 한 쌍 마련되어 있으며 이들 한 쌍의 서포트부재(137)는 마그넷(143)의 상부 및 하부에 장착되어 있다. 스프링(145)은, 한 쌍의 서포트부재(137)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으며, 마그넷(143) 및 한 쌍의 서포트부재(137)를 한쪽의 도어패널(3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도어패널(3a, 3b)이 전폐 이외 상태에서는, 서포트부재(137)는 비서포트 포지션에 있으며, 즉, 스프링(145)에 의한 탄성력을 받아 승객 승강방향에서 보아 도어패널(3b)로부터는 튀어나오지 않는 위치에 있다. 이것에 대해, 도어패널(3a, 3b)이 전폐상태가 되면, 마그넷(141, 143)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서로 당기는 자력에 의해서, 마그넷(143)이 스프링(145)에 저항하여 마그넷(141)에 가까워진다. 이것에 의해서, 서포트부재(137)는 도어패널(3a) 쪽으로 이동하여, 즉, 서포트 포지션을 취한다. 서포트 포지션에서는, 서포트부재(137)가 도어패널(3a, 3b)의 쌍방에 대해서, 승객 승강방향에서 보아 겹쳐지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포트부재(137)가 도어패널(3b)의 단면(端面)에 마련된 통과구멍을 통하여 반대측의 도어패널(3a)에 찔러 넣어진다. 그 결과, 도어패널(3a, 3b) 끼리가 서포트부재(137)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승객 승강방향의 충격력에 대한 강성이 향상된다.
또한 다른 형태로서, 도 5의 지면 우측의 반발식의 패널 서포트 장치(235)에 대해서 설명한다. 패널 서포트 장치(235)는, 서포트부재(237)와 구동기구(239)를 구비한다. 구동기구(239)는, 적어도 한 쌍의 동극성(同極性)의 마그넷(241, 243)을 포함하고 있다. N자극 및 S자극의 한쪽인 마그넷(241)은, 한쪽의 도어패널(3a)에 있어서의 닫음동작방향의 전단하부에 고정되어 있다. 도어패널(3a)에 대해서 대면체가 되는 도어패널(3b)의 닫음동작방향의 전단하부에는, 마그넷(241)과 동극성의 마그넷(243)이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있다. 마그넷(243)은, 회동가능하게 도어패널(3b)에 장착된 서포트부재(237)의 하단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도어패널(3a, 3b)이 전폐 이외 상태에서는, 서포트부재(237)는, 비서포트 포지션에 있으며, 즉, 마그넷(243)의 자중에 의해, 승객 승강방향에서 보아 연직방향으로 연장하며, 도어패널(3b)로부터 튀어나오지 않는 자세를 취한다. 이것에 대해, 도어패널(3a, 3b)이 전폐상태가 되면, 마그넷(241, 243)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서로 반발하는 자력에 의해서, 마그넷(243) 및 서포트부재(237)의 하단이 도어패널(3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이러한 서포트부재(237)의 하단의 이동은, 서포트부재(237)의 회전을 의미하고, 서포트부재(237)의 상단은, 도어패널(3b)의 단면(端面)에 마련된 통과구멍을 통해 반대측의 도어패널(3a)로 찔러 넣어져, 즉, 서포트부재(237)는, 서포트 포지션을 취한다. 그 결과, 도어패널(3a, 3b) 끼리가 서포트부재(237)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승객 승강방향의 충격력에 대한 강성이 향상된다.
또한, 도어패널(3a, 3b)이 전폐상태로부터 열림동작을 시작하면, 마그넷(241, 243) 사이의 반발력이 감소하며, 서포트부재(237)는 마그넷(243)의 자중의 작용을 받아, 원래의 비서포트 포지션으로 회전하여 돌아온다. 이때, 마그넷(243)의 자중에 의한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해, 또한, 정지시의 충격을 경감시키기 위해, 도어패널(3b)의 적소에, 스토퍼(247)를 마련해 두면 바람직하다. 스토퍼(247)는 충격 흡수재나,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어패널을 안내하는 안내홈은, 문턱이 아니라 도어패널의 하면에 마련되며 중력방향인 아래쪽 방향으로 개구한 홈이므로, 자중의 작용으로 홈에 쓰레기가 쌓이기 어려워지며, 쓰레기 쌓임에 의한 도어 주행저항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안내홈에 맞물림되는 것은, 문턱의 상면으로 돌출한 안내부재이기 때문에, 문턱과 승강 엘리베이터칸과의 틈새에는, 도어패널의 안내를 행하는 부재를 삽입 통과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문턱과 승강 엘리베이터칸과의 틈새를 넓히지 않고, 도어의 주행저항에 관한 문제점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안내부재는, 문턱의 상면에 있어서, 도어패널의 전폐시부터 전개시에 걸쳐서 안내홈을 구비한 부분에 덮여지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쓰레기 쌓임을 억제할 수 있도록 아래쪽 방향 개구홈을 채용해도, 승객이 걸려 넘어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회피하면서 도어의 안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자연현상에 있어서의 이물의 혼입뿐만 아니라, 승객이 통행하는 것에 의해 작은 돌 등의 비교적 큰 이물을 홈에 밀어 넣어질 가능성에 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력방향과는 역방향으로 개구하는 문턱 상면의 홈 자체를 배제함으로써, 문턱으로의 이물의 혼입이라는 현상 자체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안내부재는, 문턱의 상면에 있어서, 승강구의 외측의 부분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승강구를 크게 취할 수도 있다.
또한, 도어패널은, 도어패널의 닫음동작방향의 후단면에, 안내홈 연장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안내홈 연장부재는, 그 후단면에 있어서 닫음동작방향 후방으로 돌출하고 있으며, 안내홈 연장부재의 하면에는, 안내홈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홈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필요한 길이를 가지기 위해서 연장하는 안내홈을 확보할 때에, 기존의 도어패널을 활용하기 쉽고, 또한 도어패널의 중량 증가를 억제하면서, 앞서 설명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안내부재의 적어도 상단은 수지 또는 브러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쓰레기의 제거 촉진 효과와 도어패널 개폐시의 소음 저감 효과라는 2개의 효과를 동시에 가질 수 있다. 즉, 안내홈에 이물이 혼입해도, 안내부재에 쓰레기가 충돌함으로써 쓰레기가 밀려 나와, 중력에 의한 홈 밖으로의 배출 작용도 얻을 수 있는 것이므로, 쓰레기의 제거를 현저하게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도어패널 개폐에 수반하여 안내부재가 안내홈 안을 상대이동할 때, 상기와 같이 안내부재가 쓰레기를 쓸어 낼 때의, 안내부재와 쓰레기와의 접촉에 의해 생길 수 있는 소음은 물론, 안내부재가 직접 안내홈 내면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생길 수 있는 소음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패널 서포트 장치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쓰레기 쌓임에 의한 도어 주행저항의 증가를 억제하며, 또한 승객이 걸려 넘어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회피하는 목적으로부터 승강시에 승객이 통행하는 영역의 외에 안내부재를 마련하는 구성을 채용하면서, 그 안내부재로부터 먼 도어패널의 전단하부에 있어서 승객 승강방향의 지지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주행저항의 증가저감 및 걸려넘어짐 회피라는 쌍방의 효과를 얻으면서, 게다가 전폐시 도어패널에 관한 승객 승강방향의 강도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패널 서포트 장치의 서포트부재는, 마그넷의 자력에 의해서 구동되므로, 도어패널의 개폐동작을 활용하여 전폐시 도어패널에 관한 승객 승강방향의 지지상태를 자동적으로 출현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행거롤러 및 레일의 접촉부와, 도어패널의 중심을 승객 승강방향에 관해서 일치시켜 두면, 정상상태에서는, 안내부재와 안내홈과의 비접촉 상태를 확보할 수 있어 도어패널 개폐시에 주행저항을 보다 낮게 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참조해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기본적 기술사상 및 교시에 근거하여 통상의 기술자라면, 여러 가지의 개선 및 개량 형태를 채득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앞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안내홈은 도어패널에 안내홈 연장부재를 부가하는 것에 의해서 연장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 형태에는 한정되지 않고, 도어패널 전체의 가로폭을 길게 하거나, 도어패널을 당초부터 필요한 부분만큼 가로폭을 길게 제작하거나 해도 된다.
패널 서포트 장치의 구동기구를, 마그넷에 의해서 구성하는 형태를 예시했지만, 마그넷으로서는 영구자석에 한정하지 않고, 전자석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또한 구동기구는, 자력을 이용하는 형태에는 한정되지 않고, 끌어들이거나 밀어떼어 놓거나 하는 힘을 발생시키는 수단이면, 마그넷 이외의 수단으로 구성해도 된다.
앞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좌우 한 쌍의 도어패널을 구비하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 이상의 도어패널에 의해서 승강구가 개폐되는 형태이면 된다. 따라서, 도어패널에 대한 대면체는, 좌우 한쌍의 도어패널을 구비하는 구성에서는, 한쪽의 도어패널에 대한 다른쪽의 도어패널을 의미하게 되며, 하나의 도어패널에 의해서 승강구가 개폐되는 구성에서는, 승강구의 일측부를 획정하는 부동의 기둥부분이나 벽부분을 의미하기도 할 것이다. 또한, 하나의 도어패널의 형태는, 패널면적이 일정한 통상의 도어패널이어도 되고, 개폐과정에서 패널면적이 변화하는 신축가능(telescopic)한 도어패널이어도 된다.
1 :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3 a, 3 b: 도어패널
5 : 문턱 7 : 승강구
13 : 레일 15 : 행거롤러
27 : 안내부재 29 : 안내홈
31a, 31b : 후단면 33a, 33b : 안내홈 연장부재
135, 235 : 패널 서포트 장치 137, 237 : 서포트부재
139, 239 : 구동기구 141, 143 : 마그넷
241, 243 : 마그넷
5 : 문턱 7 : 승강구
13 : 레일 15 : 행거롤러
27 : 안내부재 29 : 안내홈
31a, 31b : 후단면 33a, 33b : 안내홈 연장부재
135, 235 : 패널 서포트 장치 137, 237 : 서포트부재
139, 239 : 구동기구 141, 143 : 마그넷
241, 243 : 마그넷
Claims (8)
-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되며, 엘리베이터칸 실(室)로의 승강구를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패널과, 이 도어패널의 아래쪽에 마련되며 이 도어패널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연장하는 문턱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로서,
상기 도어패널의 하면에는 슬라이드 방향으로 연장하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문턱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부재가 위쪽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고,
상기 안내부재는 대응하는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패널이 슬라이드할 때에, 상대적으로 보아 상기 안내부재는 대응하는 상기 안내홈에 따라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문턱의 상면에 있어서, 상기 도어패널의 전폐(全閉)시부터 전개(全開)시에 걸쳐서 상기 안내홈을 구비한 부분으로 덮여지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문턱의 상면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의 외측의 부분에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패널은, 이 도어패널의 닫음동작방향의 후단면에 안내홈 연장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안내홈 연장부재는, 상기 후단면에 있어서 닫음동작방향 후방으로 돌출하고 있고,
상기 안내홈 연장부재의 하면에는, 상기 안내홈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홈이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의 적어도 상단은, 수지 또는 브러쉬로 구성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 청구항 2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승객 승강방향의 힘에 대해서 전폐시의 상기 도어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서포트 장치를 더 구비하며,
상기 패널 서포트 장치는, 전폐시 서포트 포지션에 위치하는 서포트부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서포트 포지션에서는, 상기 서포트부재가 상기 도어패널의 닫음동작방향의 전단하부와, 이 전단하부와 맞대어져 있는 대면체와의 쌍방에 대해서, 승객 승강방향에서 보아 겹쳐져 있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패널 서포트 장치는, 상기 서포트부재를 상기 서포트 포지션과 비서포트 포지션과의 사이에서 구동하는 구동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도어패널과 상기 대면체에 나누어 마련되는 적어도 한 쌍의 마그넷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서포트부재는, 상기 마그넷의 자력에 의해서 구동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패널의 위쪽에는, 이 도어패널을 매달아 지지하는 복수의 행거롤러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행거롤러는, 상기 도어패널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연장하는 레일에 의해서 안내되고,
상기 복수의 행거롤러 및 상기 레일의 접촉부와, 상기 도어패널의 중심과는, 승객 승강방향에 관하여 일치하고 있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10/062064 WO2012008043A1 (ja) | 2010-07-16 | 2010-07-16 |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5329A true KR20130045329A (ko) | 2013-05-03 |
Family
ID=45469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01118A KR20130045329A (ko) | 2010-07-16 | 2010-07-16 |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1) | EP2594521A1 (ko) |
JP (1) | JPWO2012008043A1 (ko) |
KR (1) | KR20130045329A (ko) |
CN (1) | CN103003185A (ko) |
WO (1) | WO201200804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836228B2 (ja) * | 2012-09-03 | 2015-12-24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エレベータ用ドア装置 |
CN103466417A (zh) * | 2013-09-24 | 2013-12-25 | 苏州市伦琴工业设计有限公司 | 升降电梯 |
CN104803264A (zh) * | 2015-04-29 | 2015-07-29 | 韦伯电梯有限公司 | 一种电梯门与地坎间的清洁装置 |
US11148907B2 (en) * | 2019-02-14 | 2021-10-19 | Otis Elevator Company | Elevator entryway with magnetic guidance for controlling door panel motion |
CN112960525B (zh) * | 2021-04-22 | 2022-03-15 | 美嘉智选电梯有限公司 | 一种电梯的层门地坎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121480Y1 (ko) * | 1975-04-18 | 1976-06-04 | ||
JPS57131984U (ko) * | 1981-02-10 | 1982-08-17 | ||
JPS6080672A (ja) | 1983-10-11 | 1985-05-08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エレベ−タ−ドア案内装置 |
JPH02229382A (ja) * | 1989-03-02 | 1990-09-12 | Nishi Seisakusho:Kk | 引き戸の案内装置 |
JPH02255488A (ja) * | 1989-03-30 | 1990-10-16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エレベータドアの案内装置 |
JPH09268834A (ja) * | 1996-03-27 | 1997-10-14 | Tostem Corp | 上吊り引戸 |
JPH10203764A (ja) | 1997-01-23 | 1998-08-04 | Otis Elevator Co | エレベーターの敷居構造 |
KR100931271B1 (ko) * | 2007-03-03 | 2009-12-11 | 최경돈 |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용 장치, 이탈방지장치가 설치된 도어 실 및 이탈방지장치가 설치된 승강장 도어 |
JP4644721B2 (ja) | 2008-03-31 | 2011-03-02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エレベーター出入口装置 |
-
2010
- 2010-07-16 WO PCT/JP2010/062064 patent/WO201200804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07-16 KR KR1020137001118A patent/KR2013004532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0-07-16 EP EP10854726.6A patent/EP2594521A1/en not_active Withdrawn
- 2010-07-16 JP JP2012524384A patent/JPWO2012008043A1/ja active Pending
- 2010-07-16 CN CN2010800680325A patent/CN103003185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3003185A (zh) | 2013-03-27 |
JPWO2012008043A1 (ja) | 2013-09-05 |
EP2594521A1 (en) | 2013-05-22 |
WO2012008043A1 (ja) | 2012-01-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045329A (ko) |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 |
US20030033754A1 (en) | Elevator door sill assembly | |
JP6013559B1 (ja) |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 |
JP2009242039A (ja) | 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その出入口装置 | |
JP6030209B1 (ja) | エレベータ装置 | |
JP6525925B2 (ja) | エレベータードアのドアシュー | |
KR100867847B1 (ko) | 차량의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스톱퍼 | |
JP6229943B2 (ja) | エレベータのドア開閉装置 | |
RU2424175C2 (ru) | Конструкция двери лифта | |
CN1953928A (zh) | 电梯吊舱门和登陆门的底部导向装置 | |
JP2008013314A (ja) | エレベータの敷居隙間閉塞装置 | |
JP2015171941A (ja) | エレベータのドア開閉装置 | |
JP2005145610A (ja) | エレベータのエプロン装置 | |
JP5836228B2 (ja) | エレベータ用ドア装置 | |
JP2005138922A (ja) |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 |
JP6026633B1 (ja) | エレベータ装置 | |
JP5721594B2 (ja) |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 |
JP5149040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KR20150015055A (ko) |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 | |
KR102682651B1 (ko) | 엘리베이터 승강장문 이탈방지장치 | |
JP2019127359A (ja) | エレベータ | |
KR102145847B1 (ko) |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가이드 구조 | |
JP2015157674A (ja) | エレベータ装置 | |
JP6301436B1 (ja) |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 |
JP2009166970A (ja) | エレベータの戸ガイド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