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5847B1 -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가이드 구조 - Google Patents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가이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5847B1
KR102145847B1 KR1020190058415A KR20190058415A KR102145847B1 KR 102145847 B1 KR102145847 B1 KR 102145847B1 KR 1020190058415 A KR1020190058415 A KR 1020190058415A KR 20190058415 A KR20190058415 A KR 20190058415A KR 102145847 B1 KR102145847 B1 KR 102145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uide
roller
fixed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민영승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민영승강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민영승강기
Priority to KR1020190058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58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1Details of door s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3Details of do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1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vertic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65Details, e.g. sliding or roll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1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vertic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2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vertic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가이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좌우측 단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가이드레일 및 C형관을 타고 상하 이동하는 종래 고정형 가이드슈를 대체하여 롤러 형태로 이루어진 롤러슈를 적용하여 승강 이동의 안정성 향상과 소음 감소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 도어(10,20)의 좌우측 각 단부에 고정되고 회전축에 축설되어 회전 가능하게 된 롤러슈를 갖춘 제1가이드롤러(30); 상기 도어(10,20)의 좌우측 각 단부에서 소정 거리 이격 설치되고 수직 방향으로 입설된 가이드레일(6); 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10,20)의 상하 이동시 상기 제1가이드롤러(30)가 상기 가이드레일(6)을 타고 승하강 가능하게 되는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가이드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가이드 구조{GUIDE STRUCTURE OF THE DOOR FOR ELEVATING AND RETRACTING ELEVATOR}
본 발명은 주로 화물 운반용으로 사용되는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가이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좌우측 단부 및 무게추에 고정된 상태에서 가이드레일 및 C형관을 타고 상하 이동하는 종래 고정형 가이드슈를 대체하여 롤러 형태로 이루어진 롤러슈를 적용하여 승강 이동의 안정성 향상과 소음 감소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가이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건물의 내부에 형성되는 승강로를 따라 소정 규격의 승강카가 전원 동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여 탑승객이나 화물 등의 층간 이동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주로 화물 운반용 또는 주차장치의 차량 운반으로 사용되는 엘리베이터는 하나의 도어 또는 두개의 도어가 상/하로 분리되게 구비되어 도어를 상/하 이동시켜 개폐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 기술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8666호(특허문헌 1)의 등록특허공보 도 3을 참조하면, 엘리베이터용 도어(300)의 양 측면에 가이드슈(600)가 설치되고, C형관에는 가이드레일(700)이 상하 방향으로 수직 설치되며, 가이드레일(700)의 돌기가 가이드슈(600)의 홈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개폐를 위해 도어(30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가이드슈(600)가 가이드레일(70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여 도어의 안정적인 개폐를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C형관에서 가이드레일(700)이 설치된 면의 반대편 양쪽 단부에는 무게추의 가이드슈가 삽입되고, 도어의 승하강 이동시 연동하는 무게추의 가이드슈가 C형관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가이드레일 및 C형관에 각각 도어의 가이드슈 및 무게추의 가이드슈가 내삽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하는데, 이러한 도어 구조는 도어의 승하강시 마찰에 의해 소음이 심하게 발생할 뿐 아니라 합성수지 재질의 가이드슈 홈 내면이 쉽게 마모됨에 따라 도어의 승하강 이동시 흔들림 또는 진동에 의해 불안정한 구동이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8666호 (2009.3.13. 공고)
상기의 종래 기술이 내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좌우측 단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가이드레일 및 C형관을 타고 상하 이동하는 종래 고정형 가이드슈를 대체하여 롤러 형태로 이루어진 롤러슈가 적용된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가이드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가이드 구조는,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 도어의 좌우측 각 단부에 고정되고 회전축에 축설되어 회전 가능하게 된 롤러슈를 갖춘 제1가이드롤러; 상기 도어의 좌우측 각 단부에서 소정 거리 이격 설치되고 수직 방향으로 입설된 가이드레일; 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상하 이동시 상기 제1가이드롤러가 상기 가이드레일을 타고 승하강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판형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드롤러는, 상기 도어의 좌우측 각 단부에 접하여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서 측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플랜지와, 양쪽 단부가 한 쌍의 상기 플랜지에 축설된 회전축과, 한 쌍의 상기 플랜지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에 구비된 원통형 롤러슈와, 상기 롤러슈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판형 돌출부가 내삽되게 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가이드 구조는, 상하 가이드레일이 고정되고 수직 방향으로 입설된 C형관; 와이어를 매개로 상기 도어와 연결되고 상기 도어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는 무게추; 상기 무게추에 고정되고 회전축에 축설되어 회전 가능하게 된 롤러슈를 갖춘 제2가이드롤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게추의 상하 이동시 상기 제2가이드롤러가 상기 C형관을 타고 승하강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C형관은 상기 가이드레일이 고정된 면의 반대 측에 형성된 2개의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가이드롤러는, 상기 무게추의 상하 단부에 각각 고정되는 수평플레이트와, 상기 수평플레이트에서 직각으로 연장된 수직플레이트와, 일측 단부가 상기 수직플레이트에 축설된 2개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원통형 롤러슈와, 상기 한 쌍의 롤러슈 각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C형관의 각 단부가 내삽되게 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가이드 구조에 따르면, 도어의 좌우측 및 무게추에 각각 구비된 상태에서 가이드레일 및 C형관을 타고 상하 이동하는 고정형 가이드슈를 대체하여 롤러 형태로 이루어진 롤러슈를 적용하였기 때문에 도어의 승강 이동시 안정성이 향상되고, 마찰에 의한 소음이 현저히 감소할 뿐 아니라 마모가 최소화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 선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B'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 중 제1가이드롤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 중 제2가이드롤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제1가이드롤러의 변형 예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1의 'C-C' 선의 단면도.
도 8은 도 7의 관점에서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구조를 예시하고 이에 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된 형태만으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는 예시된 형태의 통상적인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까지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반면,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선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B'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 중 제1가이드롤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 중 제2가이드롤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는, 모터(1), 와이어(2), 무게추(3), C형관(4), 가이드레일(6), 다수의 도어(10,2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모터(1)가 작동하면 와이어(1)가 당겨지거나 풀리면서 도어(10,20)를 상하 이동시키면서 도어(10,20)가 개폐되고, 이러한 개폐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와이어(2)에 연결된 무게추(3)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무게의 평형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2)는 도르레에 감겨있기 때문에 도어(10,20)가 상승하면 무게추(3)는 하강하고, 반대로 도어(10,20)가 하강하면 무게추(3)는 상승한다.
또한, 다수의 도어(10,20)가 상승할 때, 상부 도어(20)가 정지한 상태에서 먼저 하부 도어(10)가 상승하고, 이후 하부 도어(10)가 일정 구간 상승한 다음 상부 도어(20)가 함께 상승하는데, 이러한 도어의 개폐구조는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 도어의 일반적인 구조이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가이드 구조는, 상기 도어(10,20)의 좌우측 각 단부에 고정되고 회전축(34)에 축설되어 회전 가능하게 된 롤러슈(35)를 갖춘 제1가이드롤러(30)와, 상기 도어(10,20)의 좌우측 각 단부에서 소정 거리 이격 설치되고 수직 방향으로 입설된 가이드레일(6); 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10.20)의 상하 이동시 상기 제1가이드롤러(30)가 상기 가이드레일(6)을 타고 승하강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가이드레일(6)은 판형 돌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롤러(30)는, 상기 도어(10,20)의 좌우측 각 단부에 접하여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32)와, 상기 고정플레이트(32)에서 측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플랜지(33)와, 양쪽 단부가 한 쌍의 상기 플랜지(33)에 축설된 회전축(34)과, 한 쌍의 상기 플랜지(33)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34)에 구비된 원통형 롤러슈(35)와, 상기 롤러슈(35)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6)의 판형 돌출부가 내삽되게 하는 가이드홈(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32)에는 체결공(31)이 형성되어 볼트나 나사를 통해서 고정플레이트(32)를 도어(10,20)의 좌우측 각 단부에 고정할 수 있고, 또는 체결공(31)을 배제하고 용접 등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 고정식 도어슈를 대체하여 롤러 슈를 적용했기 때문에 도어(10,20)의 승강 이동시 안정성이 향상되고, 마찰에 의한 소음이 현저히 감소할 뿐 아니라 마모가 최소화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면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1가이드롤러(30)는, 상기 도어(10,20)의 좌우측 각 단부에서 상측과 하측 각 2개소에 구비될 수 있으나, 필요한 경우 좌우측 각 단부에 1개씩 적용할 수도 있고, 필요한 경우 더 많은 수량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 제1가이드롤러(30)는 하부 도어(10)와 상부 도어(20) 2단으로 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1개의 도어만으로 이루어지거나 3단 이상으로 형성된 각 도어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가이드 구조는, 상하 가이드레일(6)이 고정되고 수직 방향으로 입설된 C형관(4)과, 상기 와이어(2)를 매개로 상기 도어(10,20)와 연결되고 상기 도어(10,20)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는 무게추(3)와, 상기 무게추(3)에 고정되고 회전축(44)에 축설되어 회전 가능하게 된 롤러슈(45)를 갖춘 제2가이드롤러(40); 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무게추(3)의 상하 이동시 상기 제2가이드롤러(40)가 상기 C형관(4)을 타고 승하강하게 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C형관(4)은 상기 가이드레일(6)이 고정된 면의 반대 측에 2개의 단부(5)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2가이드롤러(40)는, 상기 무게추(3)의 상하 단부에 각각 고정되는 수평플레이트(42)와, 상기 수평플레이트(42)에서 직각으로 연장된 수직플레이트(43)와, 일측 단부가 상기 수직플레이트(43)에 축설된 2개의 회전축(44)과, 상기 회전축(44)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원통형 롤러슈(45)와, 상기 한 쌍의 롤러슈(45) 각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C형관(4)의 각 단부(5)가 내삽되게 하는 가이드홈(4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무게추가 C형관을 타고 승하강할 때 롤러슈(45)에 단부(5)가 내삽된 상태에서 롤러슈(45)가 회전하기 때문에 무게추(3)의 승강 이동시 안정성이 향상되고, 마찰에 의한 소음이 현저히 감소할 뿐 아니라 마모가 최소화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제1가이드롤러의 변형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과 같이 제1가이드롤러(30)가 설치되기 위해서 도어(10,20)의 좌우측 단부와 가이드레일(6) 사이에 충분한 거리가 필요하며, 이는 종래 슈를 설치하는 것보다 큰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가급적 도어(10,20)의 좌우측 단부와 가이드레일(6) 사이의 거리를 줄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 6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플레이트(32)에는 상기 롤러슈(35)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구멍(37)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적어도 고정플레이트(32)의 두께만큼 도어(10,20)의 단부와 가이드레일(6) 사이의 간격을 좁힐 수 있다.
상기 구멍(37)은, 도 6의 (a)와 같이 1개만 형성하거나 또는 2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C-C' 선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관점에서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상기 도어(10,20)의 면적이 큰 경우 도어(10,20)의 이동시 진동을 감소시키면서 안정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도어(10,20)의 중앙 부분을 지지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7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부 도어(20)의 내면에는 하부 도어(10)의 상승시 하부 도어(10)의 전면에 접한 상태로 회전하여 하부 도어(10)의 전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롤러(1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도어(20)의 중앙 부분을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도어(10,20)의 문틀 상측에 브라켓(7)을 고정한 다음, 상기 브라켓(7)에도 상기 상부 도어(20)의 상승시 상부 도어(20)의 전면과 접한 상태로 회전하여 상부 도어(20)의 전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롤러(2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도 8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하부 도어(10)가 상승하는 동안 하부 도어(10)의 전면 중앙이 제1지지롤러(11)와 접하면서 상승하고, 또한 상부 도어(20)가 상승하는 동안 상부 도어(20)의 전면 중앙이 제2지지롤러(21)와 접하면서 상승하기 때문에 각 도어(10,20)의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고, 안정적은 개폐가 가능하다.
이상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보인 한정된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시 예들의 구성요소 일부를 변경, 혼합하는 등,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고, 그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 : 모터 2 : 와이어 3 : 무게추
4 : C형관 5 : 단부 6 : 가이드레일 7 : 브라켓
10 : 하부 도어 11 : 제1지지롤러
20 : 상부 도어 21 : 제2지지롤러
30 : 제1가이드롤러 31 : 체결공 32 : 고정플레이트
33 : 플랜지 34 : 회전축 35 : 롤러슈
36 : 가이드홈 37 : 구멍
40 : 제2가이드롤러 41 : 체결공 42 : 수평플레이트
43 : 수직플레이트 44 : 회전축 45 : 롤러슈
46 : 가이드홈

Claims (8)

  1.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 도어의 좌우측 각 단부에 고정되고 회전축에 축설되어 회전 가능하게 된 롤러슈를 갖춘 제1가이드롤러;
    상기 도어의 좌우측 각 단부에서 소정 거리 이격 설치되고 수직 방향으로 입설된 가이드레일; 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상하 이동시 상기 제1가이드롤러가 상기 가이드레일을 타고 승하강 가능하게 되되,
    상하 가이드레일이 고정되고 수직 방향으로 입설된 C형관;
    와이어를 매개로 상기 도어와 연결되고 상기 도어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는 무게추;
    상기 무게추에 고정되고 회전축에 축설되어 회전 가능하게 된 롤러슈를 갖춘 제2가이드롤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게추의 상하 이동시 상기 제2가이드롤러가 상기 C형관을 타고 승하강 가능하게 된 것이며,
    상기 C형관은 상기 가이드레일이 고정된 면의 반대 측에 형성된 2개의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가이드롤러는, 상기 무게추의 상하 단부에 각각 고정되는 수평플레이트와, 상기 수평플레이트에서 직각으로 연장된 수직플레이트와, 일측 단부가 상기 수직플레이트에 축설된 2개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원통형 롤러슈와, 상기 한 쌍의 롤러슈 각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C형관의 각 단부가 내삽되게 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가이드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판형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드롤러는, 상기 도어의 좌우측 각 단부에 접하여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서 측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플랜지와, 양쪽 단부가 한 쌍의 상기 플랜지에 축설된 회전축과, 한 쌍의 상기 플랜지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에 구비된 원통형 롤러슈와, 상기 롤러슈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판형 돌출부가 내삽되게 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가이드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에는 상기 롤러슈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가이드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롤러는, 상기 도어의 좌우측 각 단부에서 상측과 하측 각 2개소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가이드 구조.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부 도어 및 하부 도어를 포함하고, 상부 도어 및 하부 도어는 각 도어 상승시 상호 중첩되며, 상기 상부 도어의 내면에는 상기 하부 도어의 상승시 하부 도어의 전면에 접한 상태로 회전하여 하부 도어의 전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롤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가이드 구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문틀 상측에 브라켓이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상부 도어의 상승시 상부 도어의 전면과 접한 상태로 회전하여 상부 도어의 전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롤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가이드 구조.
KR1020190058415A 2019-05-17 2019-05-17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가이드 구조 KR102145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415A KR102145847B1 (ko) 2019-05-17 2019-05-17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가이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415A KR102145847B1 (ko) 2019-05-17 2019-05-17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가이드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5847B1 true KR102145847B1 (ko) 2020-08-19

Family

ID=72291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415A KR102145847B1 (ko) 2019-05-17 2019-05-17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가이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584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3261U (ko) * 1975-09-22 1977-03-28
JPH0678375U (ja) * 1993-04-13 1994-11-04 良忠 越原 工事用昇降装置に関連する扉装置
KR19980021801U (ko) * 1996-10-23 1998-07-15 이종수 상하 개폐식 승강기 도어의 웨이트 취부 구조
KR100888666B1 (ko) 2008-07-17 2009-03-13 주식회사 세명엘리베이터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의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3261U (ko) * 1975-09-22 1977-03-28
JPH0678375U (ja) * 1993-04-13 1994-11-04 良忠 越原 工事用昇降装置に関連する扉装置
KR19980021801U (ko) * 1996-10-23 1998-07-15 이종수 상하 개폐식 승강기 도어의 웨이트 취부 구조
KR100888666B1 (ko) 2008-07-17 2009-03-13 주식회사 세명엘리베이터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의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3631B2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US8863907B2 (en) Elevator with roller-pinion drive
FI125326B (fi) Hissin ovijärjestely
US9725281B2 (en) Elevator roller guide
KR102270800B1 (ko) 엘리베이터용 처짐 방지시스템
JP2012166947A (ja) 床高さ調節機構付きエレベーター
CN112173921A (zh) 用于限制电梯行进线缆中的摆动的装置
US9561937B2 (en) Counterweight arrangement for an elevator and an elevator
KR101487117B1 (ko)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KR102145847B1 (ko)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가이드 구조
KR20060003086A (ko) 승강기 장치
KR101995036B1 (ko) 엘리베이터용 처짐 및 편심방지 시스템
US10850945B2 (en) Traction geared machine for elevator
AU2004291360B2 (en) Elevator suspension arrangement
CN110546098B (zh) 电梯装置
US20070045053A1 (en) Elevator apparatus
JP2011144007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US3447637A (en) Elevator system
KR102116356B1 (ko)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US20120318618A1 (en) Elevator having a counterweight
KR102574403B1 (ko)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US10689229B2 (en) Elevator system suspension member termination
CN112188989A (zh) 电梯的轿厢门装置
KR101533557B1 (ko) 상/하개폐식 엘리베이터의 승강장도어개폐장치
KR10075286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