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7117B1 -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87117B1 KR101487117B1 KR20137016155A KR20137016155A KR101487117B1 KR 101487117 B1 KR101487117 B1 KR 101487117B1 KR 20137016155 A KR20137016155 A KR 20137016155A KR 20137016155 A KR20137016155 A KR 20137016155A KR 101487117 B1 KR101487117 B1 KR 1014871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vator car
- elevator
- mounting bracket
- entrance
- beam moun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은, 엘리베이터칸 프레임과,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에 지지되고, 엘리베이터칸 출입구가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칸실과, 엘리베이터칸 출입구의 위쪽에 배치되고, 행거레일이 마련되어 있는 빔과, 행거레일을 따라서 이동되고, 엘리베이터칸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칸 도어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칸실은 엘리베이터칸 출입구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수벽과, 엘리베이터칸 출입구의 상부에 배치되고, 양단부가 수벽에 체결되어 있는 출입구 상판을 가지고 있다. 수벽과 출입구 상판과의 체결부에는 빔 장착 브래킷이 장착되어 있다. 빔은 빔 장착 브래킷을 통하여 엘리베이터칸실에 장착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에 관한 것이고, 특히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행거레일(hanger rail)이 마련된 빔(beam)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에서는, 엘리베이터칸실을 지지하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에 장착암을 통하여 빔이 장착되어 있다. 빔에는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행거레일이 마련되어 있다. 장착암과 엘리베이터칸 프레임과의 사이에는 보강용의 로드(rod)가 비스듬하게 연결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 다른 종래의 엘리베이터칸에서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을 이용하지 않고, 엘리베이터칸실의 외면에 보강재가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엘리베이터칸실의 한 쌍의 측벽의 외면에 한 쌍의 측벽 보강재가 마련되고, 엘리베이터칸실의 천장의 외면에 천장 보강재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측벽 보강재와 천장 보강재와의 사이에는 한 쌍의 브래킷(bracket)이 체결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칸 도어 장치의 빔은 브래킷, 출입구 프레임 및 천장에 체결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에 나타낸 종래의 엘리베이터칸 구조에서는, 빔을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에 장착하기 위해서 로드나 장착암 등의 부재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부품 점수가 많아진다. 또, 빔이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칸실에 마련된 엘리베이터칸 출입구의 중심과 빔의 중심을 맞추는 센터링(centering, 중심맞춤) 등의 설치 조정에 시간이 걸린다.
한편, 특허문헌 2에 나타낸 종래의 엘리베이터칸 구조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을 이용하지 않는 간략한 구조이기 때문에, 소형 엘리베이터밖에 적용할 수 없다. 또, 엘리베이터칸상에 방진고무를 통하여 엘리베이터칸실을 지지하는 구조는 아니기 때문에, 승차감이 나빠진다. 또한, 이 구조에 의해서도, 엘리베이터칸 출입구의 중심과 빔의 중심을 맞추는 센터링 등의 설치 조정에 시간이 걸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승차감의 악화를 피하면서, 간단한 구성에 의해, 빔의 설치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은, 엘리베이터칸 프레임과,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에 지지되고, 엘리베이터칸 출입구가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칸실과, 엘리베이터칸 출입구의 위쪽에 배치되고, 행거레일이 마련되어 있는 빔과, 행거레일을 따라서 이동되고, 엘리베이터칸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칸 도어를 구비하며, 엘리베이터칸실은 엘리베이터칸 출입구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수벽(袖壁, wing wall)과, 엘리베이터칸 출입구의 상부에 배치되고, 양단부가 수벽에 체결되어 있는 출입구 상판을 가지고 있고, 수벽과 출입구 상판과의 체결부에는 빔 장착 브래킷이 장착되어 있으며, 빔은 빔 장착 브래킷을 통하여 엘리베이터칸실에 장착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은, 엘리베이터칸 프레임과,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에 지지되고, 엘리베이터칸 출입구가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칸실과, 엘리베이터칸 출입구의 위쪽에 배치되고, 행거레일이 마련되어 있는 빔과, 행거레일을 따라서 이동되고, 엘리베이터칸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칸 도어를 구비하며, 엘리베이터칸실의 천장상에는 빔 장착 브래킷이 장착되어 있고, 빔은 빔 장착 브래킷을 통하여 엘리베이터칸실에 장착되어 있으며, 빔 장착 브래킷은 천장의 전방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엘리베이터칸실의 폭방향 전체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은, 엘리베이터칸실이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고, 엘리베이터칸실에 장착된 빔 장착 브래킷에 빔이 장착되어 있으므로, 승차감의 악화를 피하면서, 간단한 구성에 의해, 빔의 설치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실 전방면 상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칸실 전방면 상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칸실 전방면 상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실 전방면 상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엘리베이터칸실 전방면 상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엘리베이터칸실 전방면 상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실 전방면 상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엘리베이터칸실 전방면 상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빔 장착 브래킷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X-X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실 전방면 상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엘리베이터칸실 전방면 상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엘리베이터칸실 전방면 상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실 전방면 상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실 전방면 상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6은 실시형태 1 ~ 6의 엘리베이터칸 구조가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칸실 전방면 상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칸실 전방면 상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실 전방면 상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엘리베이터칸실 전방면 상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엘리베이터칸실 전방면 상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실 전방면 상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엘리베이터칸실 전방면 상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빔 장착 브래킷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X-X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실 전방면 상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엘리베이터칸실 전방면 상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엘리베이터칸실 전방면 상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실 전방면 상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실 전방면 상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6은 실시형태 1 ~ 6의 엘리베이터칸 구조가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실 전방면 상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칸실 전방면 상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칸실 전방면 상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은 엘리베이터칸 프레임(도시생략)과,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에 지지되고, 엘리베이터칸 출입구(1a)가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칸실(1)과, 엘리베이터칸실(1)의 엘리베이터칸 출입구(1a)의 위쪽에 배치되고, 행거레일(2a)이 마련되어 있는 빔(2)과, 행거레일(2a)을 따라서 이동되고, 엘리베이터칸 출입구(1a)를 개폐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칸 도어(3)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칸실(1)은 엘리베이터칸 출입구(1a)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수벽(4)과, 엘리베이터칸 출입구(1a)의 상부에 배치되고, 양단부가 수벽에 체결되어 있는 출입구 상판(5)과, 엘리베이터칸 출입구(1a)에 대향하는 후벽(도시생략)과, 좌우 한 쌍의 측벽(도시생략)과, 천장(캐노피(canopy))(6)을 가지고 있다.
수벽(4)과 출입구 상판(5)과의 체결부에는 한 쌍의 빔 장착 브래킷(7)이 장착되어 있다. 각 빔 장착 브래킷(7)은 복수의 체결구(볼트·너트)에 의해 수벽(4)과 출입구 상판(5)과의 체결부에 함께 고정되어 있다. 빔(2)은 빔 장착 브래킷(7)에 장착되어 있다. 즉, 빔(2)은 빔 장착 브래킷(7)을 통하여 엘리베이터칸실(1)에 장착되어 있다.
각 엘리베이터칸 도어(3)는 엘리베이터칸 출입구(1a)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8)과,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8)의 상부에 고정된 도어행거(9)를 가지고 있다. 도어행거(9)에는 행거레일(2a)상을 전동(轉動)하는 복수의 행거롤러(10)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도어패널(8)은 도어행거(9)를 통하여 행거레일(2a)로부터 매달려 있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에서는, 수벽(4)과 출입구 상판(5)과의 체결부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칸실(1)에 장착된 빔 장착 브래킷(7)에 빔(2)이 장착되어 있으므로, 적은 부품으로, 간단한 구성에 의해, 빔(2)을 엘리베이터칸실(1)에 장착할 수 있어, 경량화 및 비용 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수벽(4)의 측면을 기준으로 하여 엘리베이터칸실(1)에 빔(2)을 장착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칸 출입구(1a)의 중심과 빔(2)의 중심을 맞추는 센터링 등의 설치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설치 작업의 절력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칸 도어(3)와 엘리베이터칸실(1)과의 틈새 조정을 간이화하거나, 주행시의 맞물림 장치(도시생략)의 클리어런스(clearance) 관리 등의 수고를 생략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빔(2)이 엘리베이터칸실(1)의 전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천장 높이가 높은 경우에도, 엘리베이터칸 도어(3)의 높이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품종의 삭감 및 재료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또한, 엘리베이터칸실(1)이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칸 프레임과 엘리베이터칸실(1)과의 사이에 방진고무 등의 방진재를 개재시킬 수 있어, 승차감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실 전방면 상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엘리베이터칸실 전방면 상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도 4의 엘리베이터칸실 전방면 상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빔 장착 브래킷(7)의 상단부에는 천장(6)에 체결된 천장 체결부(7a)가 마련되어 있다. 즉, 실시형태 2의 빔 장착 브래킷(7)은 수벽(4)과 출입구 상판(5)과의 체결부에 더하여, 천장(6)에도 체결되어 있다. 천장 체결부(7a)는 천장(6)과 출입구 상판(5)과의 체결부에 함께 고정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에서는, 예를 들면 창이 부착된 도어 등, 중량이 큰 엘리베이터칸 도어(3)를 이용하는 경우에, 빔 장착 브래킷(7)에 걸리는 모멘트를 낮출 수 있어, 빔(2)이 넘어지는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실 전방면 상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도 7의 엘리베이터칸실 전방면 상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에서, 수벽(4)과 출입구 상판(5)과의 체결부에는 한 쌍의 빔 장착 브래킷(11)이 장착되어 있다. 빔(2)은 빔 장착 브래킷(11)에 장착되어 있다. 즉, 빔(2)은 빔 장착 브래킷(11)을 통하여 엘리베이터칸실(1)에 장착되어 있다.
도 9는 도 7의 빔 장착 브래킷(11)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X-X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빔 장착 브래킷(11)은 엘리베이터칸실(1)에 장착된 엘리베이터칸실 장착부재(12)와, 빔(2)의 상부에 장착된 상측 빔 장착부재(13)와, 빔(2)의 하부에 장착된 하측 빔 장착부재(14)로 분할되어 있다.
각 엘리베이터칸실 장착부재(12)는 복수의 체결구(볼트·너트)에 의해, 수벽(4)과 출입구 상판(5)과의 체결부에 함께 고정되어 있음과 아울러, 출입구 상판(5)과 천장(6)과의 체결부에 함께 고정되어 있다.
상측 빔 장착부재(13) 및 하측 빔 장착부재(14)는 엘리베이터칸실 장착부재(12)에 대해서 위치 조정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실 장착부재(12)에 대한 빔 장착부재(13, 14)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빔(2)의 상하방향의 위치, 엘리베이터칸실(1)의 깊이방향의 빔(2)의 위치 및 빔(2)이 넘어짐 방향의 장착 각도가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측 빔 장착부재(13)와 엘리베이터칸실 장착부재(12)의 상단부와의 사이에, 빔(2)의 상하방향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상하방향 조정기구(15)가 마련되어 있다. 빔(2)에는 빔 장착 브래킷(11)에 빔(2)을 체결하는 볼트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슬롯(slot)이 마련되어 있다.
또, 하측 빔 장착부재(14)와 엘리베이터칸실 장착부재(12)와의 사이에는, 엘리베이터칸실(1)의 깊이방향(전후방향)의 빔(2)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전후방향조정기구(16)가 마련되어 있다. 빔 장착부재(13, 14)에는 엘리베이터칸실 장착부재(12)에 빔 장착부재(13, 14)를 체결하는 볼트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슬롯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측 빔 장착부재(13)와 엘리베이터칸실 장착부재(12)와의 사이에는 빔(2)이 넘어짐 방향의 장착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넘어짐 방향 조정기구(17)가 마련되어 있다. 조정기구(15 ~ 17)로서는, 잭-업(jack-up) 볼트를 가지는 잭-업 기구를 이용할 수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에서는, 예를 들면, 빔(2)의 장착시에 센터링을 실시한 후에, 엘리베이터칸 도어(3)를 매단 단계에서, 엘리베이터칸 도어(3)의 중량에 의해 빔(2)이 약간 넘어져 버렸을 경우에, 넘어짐 방향 조정기구(17)를 조작함으로써 빔(2)의 장착 각도를 정밀도 좋게 재조정할 수 있다. 또, 상하방향이나 전후방향으로도 빔(2)의 장착 위치를 정밀도 좋게 재조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3에서는, 빔 장착 브래킷(11)을 천장(6)에도 체결했지만,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수벽(4)과 출입구 상판(5)과의 체결부에만 체결해도 된다.
실시형태 4.
다음으로,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실 전방면 상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2는 도 11의 엘리베이터칸실 전방면 상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3은 도 11의 엘리베이터칸실 전방면 상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천장(6)상에는 빔 장착 브래킷(21)이 장착되어 있다. 빔(2)은 빔 장착 브래킷(21)을 통하여 엘리베이터칸실(1)에 장착되어 있다.
빔 장착 브래킷(21)은 천장(6)의 전방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엘리베이터칸실(1)의 폭방향(도 11의 좌우방향) 전체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다. 또, 빔 장착 브래킷(21)은 천장(6)에 장착된 수평부(21a)와, 수평부(21a)로부터 수직 위쪽으로 돌출한 벽 모양의 수직부(21b)를 가지고 있다. 수평부(21a)는 복수의 체결구에 의해 천장(6)에 체결되어 있다. 빔(2)은 복수의 체결구에 의해 수직부(21b)에 체결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에서는, 천장(6)의 전방 가장자리부의 전체에 걸쳐 빔 장착 브래킷(21)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보수원이 천장(6)상에서 공구류를 떨어뜨렸을 경우에 공구류가 천장(6)상에서 승강로 내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천장(6)상에는 피트(pit)로의 공구류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천장(6)상의 스페이스를 둘러싸도록 낙하 방지 펜스(fence)가 마련되지만, 실시형태 4에서는 빔 장착 브래킷(21)에 낙하 방지 펜스의 일부를 겸하게 할 수 있어,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 빔 장착 브래킷(21)에 의해서만 빔(2)이 엘리베이터칸실(1)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적은 부품으로, 간단한 구성에 의해, 빔(2)을 엘리베이터칸실(1)에 장착할 수 있어, 경량화 및 비용 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빔 장착 브래킷(21)이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이 아니라 천장(6)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천장(6)과 엘리베이터칸 출입구(1a)의 중심을 정확하게 위치 결정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 출입구(1a)의 중심과 빔(2)의 중심을 맞추는 센터링 등의 설치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설치 작업의 절력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또한, 엘리베이터칸실(1)이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칸 프레임과 엘리베이터칸실(1)과의 사이에 방진고무 등의 방진재를 개재시킬 수 있어, 승차감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4의 빔 장착 브래킷(21)을 수벽(4)과 출입구 상판(5)과의 체결부에도 체결해도 된다.
또, 실시형태 4의 빔 장착 브래킷(21)을, 실시형태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칸실 장착부재와 빔 장착부재로 분할하고, 엘리베이터칸실 장착부재에 대한 빔 장착부재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빔의 상하방향의 위치, 엘리베이터칸실의 깊이방향의 빔의 위치 및 빔이 넘어짐 방향의 장착 각도를 조정 가능하게 해도 된다.
실시형태 5.
다음으로,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실 전방면 상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에서, 빔 장착 브래킷(21)에는 빔(2)의 연직 아래쪽으로의 하중을 받는 빔 받이부(21c)가 마련되어 있다. 빔 받이부(21c)는 수직부(21b)의 중간부를 절곡하여 형성된 수평인 부분이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4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에서는, 빔(2)의 장착시에, 빔(2)을 수직부(21b)에 체결하기 전이라도, 빔(2)의 중량을 빔 받이부(21c)가 받도록 할 수 있으므로,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빔 장착 브래킷(21)에는 압축방향으로 하중이 걸리므로, 빔(2)의 아래쪽으로의 변위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빔 받이부(21c)는 휨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빔(2)이 맞물리는 구조 또는 걸리는 구조라도 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서는, 예를 들면, 빔(2) 및 빔 장착 브래킷(21) 중 어느 한쪽에 각진 구멍을 마련하고, 이 각진 구멍에 삽입되는 금속판의 입상부(立上部, raised portion)를 다른 쪽에 마련하는 구조를 들 수 있다.
실시형태 6.
다음으로,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실 전방면 상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에서, 천장(6)과 빔 장착 브래킷(21)과의 사이에는, 빔 장착 브래킷(21)의 상하방향의 위치를 조정하는 복수의 조정용 라이너(adjusting liner)(22)가 개재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4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에서는, 천장(6)과 빔 장착 브래킷(21)과의 사이에 조정용 라이너(22)를 마련했으므로, 빔(2)보다도 경량인 빔 장착 브래킷(21)의 상하방향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정하는 것에 의해, 빔(2)의 상하방향의 위치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빔(2)이 넘어짐 방향의 각도 조정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이 경우, 빔(2)의 전후방향의 위치는 빔 장착 브래킷(21)을 천장(6)에 체결하는 볼트가 관통하는 구멍을 슬롯으로 하는 것에 의해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빔(2)의 좌우방향의 위치는 천장(6)과 엘리베이터칸 출입구(1a)의 중심과의 센터링을 정확하게 하는 것에 의해 조정이 불필요하다.
또한, 실시형태 5에 나타낸 빔 장착 브래킷(21)과 천장(6)과의 사이에 조정용 라이너(22)를 개재시켜도 된다.
여기서, 도 16은 실시형태 1 ~ 6의 엘리베이터칸 구조가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31) 내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32) 및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33)이 마련되어 있다. 균형추 가이드 레일(33)의 상단부에는 리턴쉬브 지지부재(34)가 장착되어 있다. 리턴쉬브 지지부재(34)에는 제1 및 제2 리턴쉬브(35, 36)가 장착되어 있다.
승강로(31) 내에는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32)을 따라서 승강되는 엘리베이터칸(37)과, 균형추 가이드 레일(33)을 따라서 승강되는 균형추(38)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37)의 하부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39)가 마련되어 있다. 균형추(38)의 상부에는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40)가 마련되어 있다.
승강로(31) 내의 엘리베이터칸(37) 및 균형추(38)의 승강 영역 외에는, 엘리베이터칸(37) 및 균형추(38)를 승강시키는 권상기(41)가 마련되어 있다. 권상기(41)는 구동쉬브(42)와, 구동쉬브(42)를 회전시키는 권상기 모터와, 구동쉬브(42)의 회전을 제동하는 권상기 브레이크를 가지고 있다. 또, 권상기(41)는 승강로(31)의 저부에 설치된 지지대(43)상에 지지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32)의 상단부에는 단부 지지부재(44)가 고정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37) 및 균형추(38)는 현가수단(45)에 의해 승강로(31) 내에 매달려 있다. 현가수단(45)으로서는 복수 개의 로프 또는 복수 개의 벨트가 이용되고 있다.
현가수단(45)은 단부 지지부재(44)에 접속된 제1 단부와, 리턴쉬브 지지부재(34)에 접속된 제2 단부를 가지고 있다. 또, 현가수단(45)은 제1 단부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39), 제1 리턴쉬브(35), 구동쉬브(42), 제2 리턴쉬브(36) 및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40)의 순서대로 감겨져 있다.
또한, 도 16에서는, 2:1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냈지만, 로핑 방식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1:1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장치 전체의 레이아웃도 도 16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권상기(41)는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해도 된다.
또한, 도 16에서는 기계실을 가지지 않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냈지만, 기계실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장치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더욱이 또한, 실시형태 1 ~ 6에서는, 2매 도어 중앙 열림식의 도어장치를 나타냈지만, 엘리베이터칸 도어(3)의 매수는 2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또, 한쪽 열림식의 도어 장치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Claims (6)
- 엘리베이터칸 프레임과,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에 지지되고, 엘리베이터칸 출입구가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칸실과,
상기 엘리베이터칸 출입구의 위쪽에 배치되고, 행거레일(hanger rail)이 마련되어 있는 빔과,
상기 행거레일을 따라서 이동되고, 상기 엘리베이터칸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칸 도어를 구비하며,
상기 엘리베이터칸실은 상기 엘리베이터칸 출입구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수벽(袖壁, wing wall)과, 상기 엘리베이터칸 출입구의 상부에 배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수벽에 체결되어 있는 출입구 상판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수벽과 상기 출입구 상판과의 체결부에는 빔 장착 브래킷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빔 장착 브래킷은, 복수의 체결구에 의해 상기 수벽과 상기 출입구 상판과의 체결부에 함께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빔은 상기 빔 장착 브래킷을 통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칸실에 장착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빔 장착 브래킷은 상기 엘리베이터칸실의 천장에도 체결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빔 장착 브래킷은 상기 엘리베이터칸실에 장착된 엘리베이터칸실 장착부재와, 상기 빔에 장착된 빔 장착부재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빔 장착부재는 상기 엘리베이터칸실 장착부재에 대해서 위치 조정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엘리베이터칸실 장착부재에 대한 상기 빔 장착부재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빔의 상하방향의 위치, 상기 엘리베이터칸실의 깊이방향의 상기 빔의 위치 및 상기 빔이 넘어짐 방향의 장착 각도가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 엘리베이터칸 프레임과,
상기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에 지지되고, 엘리베이터칸 출입구가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칸실과,
상기 엘리베이터칸 출입구의 위쪽에 배치되고, 행거레일이 마련되어 있는 빔과,
상기 행거레일을 따라서 이동되고, 상기 엘리베이터칸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칸 도어를 구비하며,
상기 엘리베이터칸실의 천장 상에는 빔 장착 브래킷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빔은 상기 빔 장착 브래킷을 통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칸실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빔 장착 브래킷은 상기 천장의 전방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상기 엘리베이터칸실의 폭방향 전체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고,
상기 천장과 상기 빔 장착 브래킷과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빔 장착 브래킷의 상하방향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용 라이너(adjusting liner)를 더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빔 장착 브래킷에는 상기 빔의 연직 아래쪽으로의 하중을 받는 빔 받이부가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10/070794 WO2012070098A1 (ja) | 2010-11-22 | 2010-11-22 | エレベータのかご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22643A KR20130122643A (ko) | 2013-11-07 |
KR101487117B1 true KR101487117B1 (ko) | 2015-01-28 |
Family
ID=46145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7016155A KR101487117B1 (ko) | 2010-11-22 | 2010-11-22 |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2) | EP3279129B1 (ko) |
JP (1) | JP5539536B2 (ko) |
KR (1) | KR101487117B1 (ko) |
CN (1) | CN103221624B (ko) |
WO (1) | WO201207009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088627A (ja) * | 2014-10-29 | 2016-05-23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ドアのリニューアル方法 |
WO2016088248A1 (ja) * | 2014-12-05 | 2016-06-09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のパネル |
CN110997546B (zh) * | 2017-08-21 | 2021-08-03 | 三菱电机株式会社 | 电梯用轿厢架装置 |
WO2021124544A1 (ja) * | 2019-12-20 | 2021-06-24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乗りかご、エレベーター及び固定ブラケット |
CN115258886B (zh) * | 2022-08-22 | 2024-01-09 | 上海华美电梯装饰有限公司 | 一种电梯用安装板及其生产工艺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29370A (ja) * | 1993-05-21 | 1994-11-29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エレベーター用かご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925867A (en) * | 1931-11-21 | 1933-09-05 | Westinghouse Elec Elevator Co | Elevator guide-rail supporting device |
US2572196A (en) * | 1947-10-01 | 1951-10-23 | Watson Elevator Company | Elevator door operating mechanism |
US4149615A (en) * | 1977-09-15 | 1979-04-17 | Westinghouse Electric Corp. | Apparatus for mounting an elevator door operator |
JPS5849334Y2 (ja) | 1978-05-30 | 1983-11-10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タかごのドア装置 |
JPS58151183U (ja) * | 1982-04-06 | 1983-10-11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タかごのドア−装置 |
JPH0237817Y2 (ko) * | 1985-10-16 | 1990-10-12 | ||
US5612518A (en) * | 1994-04-08 | 1997-03-18 | Otis Elevator Company | Linear induction motor door drive assembly for elevators |
US5797471A (en) * | 1996-07-19 | 1998-08-25 | Montgomery Kone Inc. | Linear door drive operator |
WO1998006920A1 (de) * | 1996-08-13 | 1998-02-19 | Inventio Ag | Träger für türantriebe von aufzügen |
DE19745129A1 (de) * | 1997-10-13 | 1999-04-22 | Hydraulik Liftsysteme Walter M | Kabine für einen Aufzug |
US6082499A (en) * | 1998-08-05 | 2000-07-04 | Vertisys International, Inc. | Wrap-around elevator door |
US6446762B1 (en) * | 1999-12-16 | 2002-09-10 | Otis Elevator Company | Elevator machine support frame mounted to hoistway wall |
JP2002211859A (ja) * | 2000-12-22 | 2002-07-31 | Inventio Ag | ドアサスペンションアセンブリ |
JP2009249155A (ja) * | 2008-04-10 | 2009-10-29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エレベータの戸開閉装置 |
CN101780912A (zh) * | 2010-02-05 | 2010-07-21 | 苏州易升电梯部件有限公司 | 电梯开门机 |
-
2010
- 2010-11-22 CN CN201080070265.9A patent/CN103221624B/zh active Active
- 2010-11-22 WO PCT/JP2010/070794 patent/WO2012070098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11-22 KR KR20137016155A patent/KR10148711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11-22 JP JP2012545544A patent/JP5539536B2/ja active Active
- 2010-11-22 EP EP17191675.2A patent/EP3279129B1/en active Active
- 2010-11-22 EP EP10860111.3A patent/EP264481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29370A (ja) * | 1993-05-21 | 1994-11-29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エレベーター用かご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22643A (ko) | 2013-11-07 |
JPWO2012070098A1 (ja) | 2014-05-19 |
JP5539536B2 (ja) | 2014-07-02 |
EP3279129A1 (en) | 2018-02-07 |
CN103221624B (zh) | 2015-06-03 |
EP2644811A1 (en) | 2013-10-02 |
EP3279129B1 (en) | 2021-10-27 |
CN103221624A (zh) | 2013-07-24 |
EP2644811A4 (en) | 2018-01-10 |
EP2644811B1 (en) | 2018-11-07 |
WO2012070098A1 (ja) | 2012-05-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303454B1 (en) | Integrated elevator installation hoist tool | |
KR101226976B1 (ko) | 엘리베이터 기계 지지체 | |
AU781697B2 (en) | Cable elevator | |
EP2844600B1 (en) | Method of installing a machine in an elevator system | |
KR101487117B1 (ko) |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 |
CN107522064B (zh) | 电梯 | |
KR101225035B1 (ko) | 엘리베이터 기계 지지체에 지지된 제어 전자기기를 포함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 |
EP1602614A1 (en) | Elevator equipment | |
JP6693373B2 (ja) | エレベータ | |
KR20180086214A (ko) |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기계 장착 구조체 | |
CN108698792B (zh) | 电梯装置 | |
JPWO2006048928A1 (ja) |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 |
CN110294392B (zh) | 轿厢门机的安装结构、安装方法及主连接支架、辅连接支架 | |
EP1329411A1 (en) | Elevator device | |
JP7107129B2 (ja) | エレベーターの敷居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ーの敷居の交換方法 | |
WO2021124544A1 (ja) | 乗りかご、エレベーター及び固定ブラケット | |
KR101437800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CN108928722B (zh) | 电梯轿厢门机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及支架组件 | |
JP2012197148A (ja) | エレベータのかご | |
JP2008037548A (ja) | エレベータのかご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