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1271B1 -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용 장치, 이탈방지장치가 설치된 도어 실 및 이탈방지장치가 설치된 승강장 도어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용 장치, 이탈방지장치가 설치된 도어 실 및 이탈방지장치가 설치된 승강장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1271B1
KR100931271B1 KR1020070068613A KR20070068613A KR100931271B1 KR 100931271 B1 KR100931271 B1 KR 100931271B1 KR 1020070068613 A KR1020070068613 A KR 1020070068613A KR 20070068613 A KR20070068613 A KR 20070068613A KR 100931271 B1 KR100931271 B1 KR 100931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ing door
locking device
door
elevator
elevator la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8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1119A (ko
Inventor
오현영
최경돈
Original Assignee
최경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02101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3127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최경돈 filed Critical 최경돈
Priority to JP2009551954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10520132A/ja
Priority to PCT/KR2008/001186 priority patent/WO2008108556A1/en
Priority to US12/528,099 priority patent/US20100031579A1/en
Priority to EP08723224A priority patent/EP2132077A4/en
Publication of KR20080081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1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1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1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45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1Details of door s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실(sill)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요홈에 설치되는 잠금장치와 승강장 도어의 하부 측벽에 설치되어 폐쇄시에 잠금장치에 결합되어 승강장 도어가 엘리베이터 승강로로 밀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가 개시된다.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도어 실, 잠금장치, 걸림장치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용 장치, 이탈방지장치가 설치된 도어 실 및 이탈방지장치가 설치된 승강장 도어{locking device, elevator door and sill therewith}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출입구에 설치된 시설물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걸림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승강장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도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가 폐쇄될 때 승강장 도어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승강장 도어에 설치된 걸림장치, 걸림장치에 결합되는 도어 실(sill)에 설치되는 잠금장치로 이루어지는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이러한 이탈방지장치가 설치된 도어 실 및 승강장 도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출입구에 설치된 시설물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에는 두개의 패널 형상의 승강장 도어(10), (11)가 설치되어 사람이 타는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상, 하 이동되는 승강로를 개폐한다. 승강장 도어(10), (11)는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도착 후 정지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도어가 개폐될 때 함께 개폐되고,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이동되거나 다른 층에 정지 중인 경우에 승강장 도어(10), (11)가 폐쇄되어 승강장 출입구로부터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승강로에 사람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승강장 도어(10), (11)의 상부에는 승강장 도어(10), (11)에 설치된 휠이 내부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움직이도록 하는 승강장 도어 구동부(1)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며, 길이방향을 따라서 요홈(21)이 형성된 실(Sill)(20)이 설치된다. 실은 통상적으로 알루미늄 재질의 레일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승강장 도어(10), (11)의 하단부에는 가이드 슈(30)가 설치된다. 가이드 슈(30)는 승강장 도어(10), (11)의 하부에 부착되는 금속판과 금속판의 하부를 감싸는 합성수지재의 패킷(31)으로 이루어진다. 패킷(31)은 실(20)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요홈(21)을 따라서 이동됨으로써 승강장 도어(10), (11)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며, 승강장 도어(10), (11)에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하여 승강장 도어(10), (11)가 승강로 쪽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장치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요홈(21) 내에서 승강장 도어(10), (11)의 원활한 개폐를 위하여 또는 요홈(21)내의 이물질 등에 의하여 패킷(31)이 요홈(21) 내에 충분히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안전장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승강장 출입구 쪽에서 승강로 쪽으로 승강장 도어(10), (11)에 충격을 가하면 패킷(31)이 요홈(21)으로부터 이탈되게 되고 승강장 도어(10), (11)가 승강로 쪽으로 밀려 이탈되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상은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승강장 도어에 대한 문제점에 기술하였으나, 이러한 문제점은 승강장 도어가 설치된 지하철 역사에서도 똑같이 존재한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은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에서도 마찬가지로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 설치되는 승강장 도어에 개폐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서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승강장 도어가 밀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장치와 걸림장치와 결합되는 잠금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길이방향으로 요홈이 형성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개폐되는 승강장 도어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 도어의 하부에 설치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승강장 도어의 이동시에 상기 요홈을 따라서 이동하는 로드를 포함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길이방향으로 요홈이 형성되며, 길이방향의 중앙의 요홈 내에 양단에 개구부를 갖는 삽입부들이 형성된 한 몸체로 이루어진 잠금장치가 설치된 실(sill)을 따라서 이동되어 개폐되는 승강장 도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밀림방지용 걸림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하부 내측면에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폐쇄방향으로 돌출연장되어 상기 잠금장치의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잠금장치가 설치된 실을 따라 이동되며, 폐쇄시에 상기 잠금장치에 결합되는 걸림장치가 설치되어 승강로 쪽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밀림이 방지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되 실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요홈의 길이방향의 중앙에 설치되며, 양단에 개구부를 갖는 삽입부들이 내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하부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연장 설치되되 상기 승강장 도어가 폐쇄될 때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후크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에 설치되는 잠금장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도어 실에 설치되는 걸림장치로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밀림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측단면 또는 측단면 인접부위에 결합되는 도어 결합부와 상기 도어 결합부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장치의 후크와 결합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장치는 상기 도어 실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에 설치되는 걸림장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도어 실에 설치되는 잠금장치로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밀림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림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측단면 또는 측단면 인접부위에 결합되는 도어 결합부와 상기 도어 결합부에 설치되는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도어 실에 결합되며 상기 후크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두 개의 승강장 도어들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승강장 출입구가 개폐되고, 각각의 승강장 도어에 후크가 형성된 걸림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걸림장치들과 결합되어 승강장 도어가 밀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도어 실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출입구 폐쇄시에 상기 두 개의 승강장 도어의 접촉면들이 접촉되는 위치의 실의 위치에 설치되며, 양 단부에 개구부들을 갖으며 개구부들이 연결되어 관통된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양단 개구부들에 상기 두 개의 승강장 도어에 설치된 걸림장치의 후크가 각각 삽입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의 승강장 도어(11)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것으로 두 개의 승강장 도어 중의 하나를 도시한 것이다.또한, 승강장 도어(11)의 아래에는 승강장 도어(11)의 개폐되는 방향으로 실(Sill)(20)이 설치되고, 실(20)에는 길이방향으로 승강장 도어(11)의 하단부의 가이드 슈(30)의 패킷(31)이 삽입되는 요홈(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요홈(21)은 요(凹)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홈을 형성하는 바닥면(23)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의 개구부(22)가 형성된다.
또한, 승강장 도어(11)의 하부에는 걸림장치(40)가 설치된다. 걸림장치(40)는 승강장 도어(11)의 하부에 설치된 힌지축(44)과 힌지축(44)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된 로드(41)와 로드(41) 단부에 설치된 회전축(42)에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된 롤러(43)로 이루어진다. 로드(41) 단부에 설치된 롤러(43)는 로드(41)를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향하게 하고, 요홈(21)의 바닥면(23)을 따라서 걸림장치(40)가 이동될 때, 롤러(43)가 회전됨으로써 마찰 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바닥면(23)의 개구부(22)는 승강장 도어(11)가 폐쇄될 때 걸림장치(40)의 롤러(43)가 개구부(22)를 관통하여 바닥면(23)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또한, 바닥면의 개구부(22)는 다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걸림장치(40) 또한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걸림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승강장 도어(11)가 폐쇄된 상태에서 걸림장치(40)의 롤러(43)는 요홈의 바닥면(23)의 개구부(22)를 관통하여 수직 하향되도록 바닥면(23)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승강장 도어(11)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로드(41)는 연직상태를 이루고, 로드(41)의 단부의 롤러(43)는 개구부(22)를 관통하여 하부에 위치하게 되어 승강장 도어(11)에 이동방향과 수직방향의 힘이 작용하게 되면 로드(41)가 요홈(23)의 측벽에 지지되어 밀리지 않게 되므로 승강장 도어(11)가 밀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승강장 도어(11)가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여 점차 개방됨에 따라서 로드(41)는 개구부(22)의 단부와 접촉하게 되고, 롤러(43)를 a 방향으로 계속 이동시키게 되면, 결국 롤러(43)는 개구부(22)를 이탈하게 되어 바닥면(23)의 상측과 접촉하며 이동하게 된다. 승강장 도어(11)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위의 반대과정을 거쳐 걸림장치(40)가 이동하게 되어 결국 롤러(43)가 개구부(22)를 관통하여 바닥면의 직하부를 향하게 된다. 이런 현상은 승강장 도어(10)에서도 마찬 가지로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승강장 도어(10), (11)가 폐쇄된 상태에서 롤러(43)가 개구부 내를 관통하게 되면 걸림장치(40)의 로드(41)가 요홈(21)에 위치하게 되고, 승강장 도어(10), (11)에 수직인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 로드(41)가 요홈(21)의 측벽에 지지되므로 승강장 도어(10), (11)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승강장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도 사시도이다.
도 4, 도 5에서 엘리베이터 승강장 출입구는 두 개의 승강장 도어(10), (11)에 의하여 개폐되고, 승강장 도어(10), (11)는 길이방향으로 요홈이 형성된 실(20)을 따라서 개폐된다. 승강장 도어(10), (11)가 폐쇄될 때 두 개의 승강장 도어(10), (11)가 접촉되는 위치의 직 하부의 실(20)의 위치에는 잠금장치(50)가 설치되고, 승강장 도어(10), (11)의 폐쇄될 때 접촉되는 접촉면에 인접되는 하부의 내측면에는 제2 실시예의 걸림장치(32), (33)가 설치된다.
설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에서 두 개의 승강장도어가 폐쇄될 때 승강장 도어가 접촉되는 면을 접촉면, 접촉면과 반대되는 면을 측단면, 승강로 쪽의 넓은 측면을 내측면, 승강장 쪽의 넓은 측면을 외측면으로 정의한다.
제2실시예의 걸림장치(32)는 승강장 도어(10)의 하부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결합부(32')와, 결합부(32')로부터 하향 연장부분에 설치되는 가이드 슈 패킷(32")과, 결합부(32')로부터 승강장 도어(10)의 폐쇄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후크(34)로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승강장 도어(11)에 결합되는 걸림장치(33)도 결합부(33')와 결합부(33')로부터 하향 연장부분에 설치되는 가이드 슈 패킷(33")과, 결합부(33')로부터 승강장 도어(11)의 폐쇄방향으로 판상으로 연장 돌출되는 후크(35)로 이루어진다.
잠금장치(50)는 실(20)의 중앙에 설치되며, 좌, 우 측에는 후크(34), (35)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51), (52)가 형성된다. 이때 삽입부(51), (52)는 양단부에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형성되거나 또는 하나의 몸체에 양단의 개구부가 관통되는 관통공으로 이루어져 삽입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승강장 도어(10), (11)의 걸림장치(32), (33)의 결합부(32'), (33')의 하부로 연장되는 부분에는 가이드 슈 패킷(32"), (33")이 요홈(21)에 삽입되어 승강장 도어(10), (11)가 가이드 되도록 하며, 승강장 도어(10), (11)가 닫혔을 때 걸림장치(32), (33)의 후크(34), (35)는 잠금장치(50)의 삽입부(51), (52)에 삽입되어 잠기게 된다. 즉, 후크(34), (35)는 잠금장치(50)의 좌, 우 측 양단의 개구부로부터 잠금장치(5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잠기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승강장 도어(10), (11)에 수직방향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걸림장치(32), (33)의 후크(34), (35)가 삽입부(51), (52)의 외부로 빠져 나올 수 없기 때문에 승강장 도어(10), (11)가 수직으로 밀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삭제
삭제
또한 승강장 도어(10), (11)가 열릴 때는 후크(34), (35)가 잠금장치(50)의 삽입부(51), (52)로부터 자연스럽게 빠짐으로써 무리 없이 열리게 된다.
도 4,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승강장 도어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을 개폐하는 도어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으나, 도 4, 도 5의 실시예는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개폐하는 도어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지하철 역사의 승강장을 개폐하는 승강장 도어 등에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적용범위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도 5의 제2실시예의 걸림장치(32), (33)에서는 결합부(32'), (33')의 하부에 가이드 슈 패킷(32"), (33")이 설치되어 있으며, 결합부(32'), (33')로부터 후크(34), (35)가 승강장 도어의 폐쇄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나, 제3실시예의 걸림장치는 가이드 슈가 설치되지 않고 후크만 형성된 것이다. 가이드 슈의 패킷은 마모성 재질로 이루어진 소모품으로 정기적으로 교환할 필요가 있으나, 제3실시예의 걸림장치는 가이드 슈가 형성되지 않고 승강장 도어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결합부로부터 연설되어 도 4, 도 5에 도시된 잠금장치의 삽입부가 형성하는 공간에 삽입되는 후크(34), (35)를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승강로를 형성하는 내벽(2)과 케이지가 이동하는 실제 공간 사이에는 전선등이 통과하거나 케이지가 급격하게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등이 설치될 수 있도록 30 ~ 40 mm 정도 이격되어 있으며, 실(20)과 내벽(2) 사이에는 d = 20 ~ 35 mm 만큼 이격되어 있다.
제 4 실시예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출입구 쪽의 내벽(2) 또는 출입구의 마감재(3)의 내측에 잠금장치(61)가 설치된다. 또한, 잠금장치(61)에 결합되는 걸림장치(62)는 승강장 도어(10), (11)의 측단면(12), (13)에 승강장 도어(10), (11)가 닫힐 때, 잠금장치(61)에 삽입되어 케이지 승강로에 승강장 도어(10), (11)가 밀리지 않도록 하는 절곡된 후크로 이루어진다. 이때, 잠금장치(61)와 걸림장치(62)는 복수개 설치된다.
잠금장치(61)는 양단부가 내벽(2)(출입구 모서리의 마감재(3)를 포함한다)에 고정되며, 중심이 내벽과 걸림장치(62)의 후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틈새를 갖으며, 걸림장치(62)는 일단이 승강장 도어(10), (11)의 측단면(12), (13)에 고정되어 승강장 도어(10), (11)가 닫힐 때 잠금장치(61)의 이격되는 틈새에 삽입되는 잠금장치를 갖는 'ㄷ' 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장 도어(10), (11)가 닫힐 때, 걸림장치(62)의 후크는 잠금장치(61)와 내벽(2)이 형성하는 틈새에 삽입되어 승강장 도어(11)가 케이지 승강로 쪽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승강장 도어(11)가 열릴 때는 걸림장치(62)가 잠금장치(61)와 내벽(2) 틈새로부터 자연스럽게 빠져 나옴으로써 승강장 도어(10), (11)가 열릴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4실시예의 잠금장치(61)가 내벽(2) 또는 마감재(3)에 설치되지만 제5실시예에서 잠금장치(68)는 실(20)에 설치된다.
실(20)은 알루미늄 재질등의 금속재질로 형성된 레일로서 제5 실시예의 잠금장치(68)를 용접 또는 나사 결합에 의하여 부착시키기 용이하기 때문에 제4실시예 보다 기존에 사용중인 엘리베이터 시설물에 보완적으로 잠금장치를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다.
걸림장치(69)는 승강장 도어(10), (11)가 닫힐 때, 잠금장치(68)에 삽입되는 후크를 구비하며, 승강장 도어(10), (11)의 측단면에 설치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제6실시예에서 잠금장치(70)는 승강장 도어(10), (11)의 측단면에 설치된다. 잠금장치(70)는 승강장 도어(11)의 측단면에 결합되는 결합부(71)와, 결합부(71)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내벽(2)과 평행으로 형성된 수평부(74)와 수평부(74)로부터 내벽(2)에 수직으로 절곡되며, 개구되어 걸림장치(80)의 후크가 삽입되는 삽입부(73)가 형성된 수직부(72)로 이루어진다.
또한, 걸림장치(80)는 실(20)에 용접 또는 나사결합에 의하여 결합되는 실 결합부(81)와, 실 결합부(81)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돌출편(82)과 돌출편(82)의 일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승강장 도어(11)의 폐쇄시에 승강장 도어(11)의 잠금장치(70)의 삽입부(73)에 삽입되는 후크(83)로 이루어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제7실시예의 잠금장치(90)는 "ㄱ"자 형상으로 승강장 도어(11)의 측단면 또는 측단면에 인접된 내측면에 결합되며, 일측이 내벽(2)으로 돌출되되 돌출부위에 개구부(91)가 형성된다.
또한, 걸림장치(100)는 내벽(2) 또는 마감재(3)에 부착되는 부착판(101)과 부착판(101)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편(102)과 돌출편(102)으로 돌출되어 승강장 도어(11)가 폐쇄될 때에 개구부(91)에 삽입되는 후크(103)로 이루어진다.
상기 목적과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두개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승강장 도어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 밀림방지장치에 의하여 승강장 도어가 밀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Claims (24)

  1. 길이방향의 요홈이 형성된 실(sill)을 따라 개폐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 도어의 내측면 하부에 설치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승강장 도어의 이동시에 상기 요홈을 따라서 이동하는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요홈의 바닥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의 일단부는 상기 승강장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일단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2. 삭제
  3. 길이방향으로 요홈이 형성되며, 길이방향의 중앙의 요홈 내에 양단에 개구부를 갖는 삽입부들이 형성된 한 몸체로 이루어진 잠금장치가 설치된 실(sill)을 따라서 이동되어 개폐되는 승강장 도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밀림방지용 걸림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하부 내측면에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폐쇄방향으로 돌출연장되어 상기 잠금장치의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밀림방지용 걸림장치.
  4. 삭제
  5. 잠금장치가 설치된 실을 따라 이동되며, 폐쇄시에 상기 잠금장치에 결합되는 걸림장치가 설치되어 승강로 쪽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밀림이 방지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되 실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요홈의 길이방향의 중앙에 설치되며, 양단에 개구부를 갖는 삽입부들이 내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하부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연장 설치되되 상기 승강장 도어가 폐쇄될 때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후크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걸림장치는 상기 결합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요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슈 패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7. 청구항 5에서, 상기 삽입부들은 연결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8. 삭제
  9.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에 설치되는 잠금장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도어 실에 설치되는 걸림장치로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밀림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림장치는 상기 잠금장치에 삽입되는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후크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폐쇄시에 상기 후크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측단면 또는 측단면 인접부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도어의 밀림방지장치.
  10.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에 설치되는 걸림장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도어 실에 설치되는 잠금장치로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밀림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림장치는 상기 잠금장치에 삽입되는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후크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걸림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폐쇄시에 상기 후크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측단면 또는 측단면 인접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도어의 밀림방지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두 개의 승강장 도어들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승강장 출입구가 개폐되고, 각각의 승강장 도어에 후크가 형성된 걸림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걸림장치들과 결합되어 승강장 도어가 밀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도어 실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출입구 폐쇄시에 상기 두 개의 승강장 도어의 접촉면들이 접촉되는 위치의 실의 위치에 설치되며, 양 단부에 개구부들을 갖으며 개구부들이 연결되어 관통된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양단 개구부들에 상기 두 개의 승강장 도어에 설치된 걸림장치의 후크가 각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도어 실.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도어 실에는 길이방향으로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요홈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도어 실.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070068613A 2007-03-03 2007-07-09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용 장치, 이탈방지장치가 설치된 도어 실 및 이탈방지장치가 설치된 승강장 도어 KR100931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551954A JP2010520132A (ja) 2007-03-03 2008-02-29 スライドドアの押圧保護装置、ロック装置及びスクリーンドアシステム
PCT/KR2008/001186 WO2008108556A1 (en) 2007-03-03 2008-02-29 Protecting device for pushing of sliding door, locking device and screen door system therewith
US12/528,099 US20100031579A1 (en) 2007-03-03 2008-02-29 Protecting Device for Pushing of Sliding Door, Locking Device and Screen Door System
EP08723224A EP2132077A4 (en) 2007-03-03 2008-02-29 PROTECTIVE DEVICE FOR PUSHING A SLIDING DOOR, LATCHING DEVICE AND CORRESPONDING SCREEN HOLDE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1219 2007-03-03
KR20070021219 2007-03-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1119A KR20080081119A (ko) 2008-09-08
KR100931271B1 true KR100931271B1 (ko) 2009-12-11

Family

ID=40021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8613A KR100931271B1 (ko) 2007-03-03 2007-07-09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용 장치, 이탈방지장치가 설치된 도어 실 및 이탈방지장치가 설치된 승강장 도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31271B1 (ko)
CN (1) CN10162693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747B1 (ko) * 2008-09-30 2009-08-31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의 도어 이탈방지장치
WO2012008043A1 (ja) * 2010-07-16 2012-01-1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ES2768749T3 (es) * 2015-03-19 2020-06-23 Wittur Holding Gmbh Puerta de ascensor que tiene dos paneles de puerta corredera
EP3147250A1 (en) * 2015-09-14 2017-03-2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oor system
CN105775972A (zh) * 2016-05-17 2016-07-20 韦伯电梯有限公司 一种防电梯层门脱落的锁钩结构
CN106219371A (zh) * 2016-08-31 2016-12-14 张家港市通达电梯装璜有限公司 一种电梯地坎
IT201900012801A1 (it) * 2019-07-24 2021-01-24 Sarfo S R L Parete di banchina
KR102434859B1 (ko) 2021-05-24 2022-08-22 한국아이씨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승강도어 안전관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6410A (ja) * 1998-05-29 1999-12-07 Chikura Kogyo Kk 自動ドアのこじ開け防止装置
JP2003012258A (ja) * 2001-07-05 2003-01-1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乗場の引き戸装置
KR20060084156A (ko) * 2005-01-19 2006-07-24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승장도어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6410A (ja) * 1998-05-29 1999-12-07 Chikura Kogyo Kk 自動ドアのこじ開け防止装置
JP2003012258A (ja) * 2001-07-05 2003-01-1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乗場の引き戸装置
KR20060084156A (ko) * 2005-01-19 2006-07-24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승장도어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1119A (ko) 2008-09-08
CN101626934A (zh) 201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1271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용 장치, 이탈방지장치가 설치된 도어 실 및 이탈방지장치가 설치된 승강장 도어
KR100791107B1 (ko) 스크린 도어 밀림 방지장치, 밀림 방지장치와 결합되는가이드 레일 및 밀림 방지장치가 설치된 스크린 도어
KR101220495B1 (ko) 승장 도어 잠금 장치
KR20010027076A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도어 슈 및 도어 실 이탈방지구조
KR101774542B1 (ko) 건축물 출입구용 미닫이형 도어 유니트
KR20080086071A (ko) 엘리베이터의 해치도어 이탈방지 안전장치
KR100873165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용 이탈방지장치, 잠금부재가 설치된 가이드 레일 및 걸림부재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KR100892146B1 (ko) 스크린 도어 밀림방지 장치, 스크린 도어 실을 형성하는가이드 레일 및 스크린 도어 시스템
KR100995018B1 (ko) 스크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잠금장치 및 스크린 도어장치
RU2309110C2 (ru) Направляющая для дверного полотна с выталкивателем
KR200395153Y1 (ko) 방화가 되는 일방향 개폐 엘리베이터 홀도어장치
KR200457792Y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2184683B1 (ko) 인터록 어셈블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시스템
KR101021961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0896418B1 (ko) 잠금장치 및 잠금장치가 설치된 가이드 레일
KR20090067706A (ko) 이탈방지장치, 이탈방지장치가 설치된 슬라이딩 도어 및잠금장치가 설치된 가이드 레일
KR101285591B1 (ko) 승강 도어
KR100898000B1 (ko)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측 출입문 이탈 방지장치
JPS63112389A (ja) エレベ−タ−の防煙装置
KR102421796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JP6798969B2 (ja) エレベーター
GB2495527A (en) Elevator door guide rail
KR20240034501A (ko) 승장 도어 이탈 방지 장치
KR101764740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문 조립체의 상부 이탈방지구조
KR100975900B1 (ko) 밀림방지장치 및 밀림방지장치가 설치된 스크린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00419

Effective date: 20110429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10526

Effective date: 2011102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