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542B1 - 건축물 출입구용 미닫이형 도어 유니트 - Google Patents

건축물 출입구용 미닫이형 도어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542B1
KR101774542B1 KR1020160179694A KR20160179694A KR101774542B1 KR 101774542 B1 KR101774542 B1 KR 101774542B1 KR 1020160179694 A KR1020160179694 A KR 1020160179694A KR 20160179694 A KR20160179694 A KR 20160179694A KR 101774542 B1 KR101774542 B1 KR 101774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door
wall
along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9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현기
Original Assignee
노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현기 filed Critical 노현기
Priority to KR1020160179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5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52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미닫이형 도어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형 도어 유니트는, 출입구의 상방 영역에 상기 출입구의 개폐방향을 따라 상기 건축물의 벽체에 마련되는 주행 레일; 상기 주행 레일을 따라 구름 운동하는 복수의 롤러를 지지하며, 상기 주행 레일을 따라 왕복이동하여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본체; 상기 주행 레일과 나란하게 상기 도어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건축물의 벽체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하는 도어 레일; 상기 도어 레일의 이동 경로를 따라 상기 벽체에 결합되는 벽체 레일; 및 상기 벽체 레일과 상기 도어 레일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 레일이 상기 벽체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물 출입구용 미닫이형 도어 유니트{SLIDING DOOR UNIT}
본 발명은, 건축물 출입구용 미닫이형 도어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본체의 중간부 영역과 건축물의 벽체 사이에 다중의 레일을 구비하여, 출입구를 개폐하며 도어 본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건축물 출입구용 미닫이형 도어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대형 공장과 같이 출입구가 큰 건축물은 공장 내로의 물품의 반입 및 반출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출입구에 미닫이형 도어를 설치한다.
종래의 공장 건축물의 경우, 미닫이형 도어는 벽체와 함께 건축물의 한 구성을 이루므로, 대부분 금속재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미닫이형 도어는 출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할 때 안정적으로 건축물에 지지되는 것이 요구된다.
즉, 건축물의 벽체에는 미닫이형 도어의 개폐방향을 따라 상부 레일을 설치하고, 미닫이형 도어의 상부에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롤러를 마련하여, 미닫이형 도어의 상부를 지지한다. 또한, 건축물의 바닥면에는 상부 레일과 평행하게 레일홈이 형성된 바닥 레일을 설치하고, 미닫이형 도어의 하부에는 레일홈에 수용되어 바닥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활차를 마련하여, 미닫이형 도어의 하부를 지지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미닫이형 도어는 도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바닥에 레일을 시공해야 하며, 이에 레일홈 사이에 이물질이 유입하며 적체되어 활차의 주행 경로를 막아 작업자가 레일홈을 수시로 청소해야 하므로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이동 중에 레일홈에 걸려 넘어지는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331401호(발명의 명칭: 비닐하우스 문짝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미닫이 출입문, 공고일: 2013.11.20.)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어 본체의 상부와 하부를 제외한 중간부 영역과 건축물의 벽체 사이에 다중의 레일을 구비함으로써, 바닥에 도어 본체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바닥 레일의 설치가 불필요하며, 도어 본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고,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건축물 출입구용 미닫이형 도어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미닫이형 도어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의 상방 영역에 상기 출입구의 개폐방향을 따라 상기 건축물의 벽체에 마련되는 주행 레일; 상기 주행 레일을 따라 구름 운동하는 복수의 롤러를 지지하며, 상기 주행 레일을 따라 왕복이동하여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본체; 상기 주행 레일과 나란하게 상기 도어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건축물의 벽체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하는 도어 레일; 상기 도어 레일의 이동 경로를 따라 상기 벽체에 결합되는 벽체 레일; 및 상기 벽체 레일과 상기 도어 레일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 레일이 상기 벽체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미닫이형 도어 유니트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벽체 레일과 결합되는 제1가이드 레일; 및 상기 제1가이드 레일과 상기 도어 레일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가이드 레일 및 상기 도어 레일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가이드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 레일과 상기 도어 레일 사이에 마련되어, 구름 운동하는 복수의 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벽체 레일에 마련되어, 상기 출입구의 완전 개방시 상기 가이드 레일 및 상기 도어 레일이 상기 벽체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본체는 상호 이격 또는 접근하여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상기 도어 본체 중 어느 하나에는 자력을 발생하는 자석부재가 마련되고, 한 쌍의 상기 도어 본체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자석부재의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부착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 본체의 상부와 하부를 제외한 중간부 영역과 건축물의 벽체 사이에 다중의 레일을 구비함으로써, 바닥에 도어 본체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바닥 레일의 설치가 불필요하며, 도어 본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고,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형 도어 유니트가 출입구를 완전 개방한 상태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형 도어 유니트가 출입구를 폐쇄한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1에서 도어 레일과 가이드 레일과 본체 레일의 결합사시도,
도 5는 도 4의 종단면도,
도 6은 도 2에서 도어 레일과 가이드 레일과 본체 레일의 결합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한 쌍의 도어 본체가 상호 이격 및 접근하며 건축물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하나의 도어 본체가 좌우로 왕복이동하며 건축물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곳에도 적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 둔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형 도어 유니트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형 도어 유니트(10)는 주행 레일(11), 도어 본체(21), 도어 레일(31), 벽체 레일(41), 가이드 레일(51)을 포함한다.
주행 레일(11)은 출입구(5) 전체 폭보다 큰 길이를 가진다. 주행 레일(11)은 건축물의 출입구(5)의 상방 영역에 출입구(5)의 개폐방향을 따라 건축물의 벽체(3)에 마련된다. 주행 레일(11)에는 도어 본체(21)의 상부에 마련된 복수의 롤러(23)가 구름 운동하며 왕복이동하는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도어 본체(21)는 사각형의 판 형상을 가지며,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도어 본체(21)는 주행 레일(11)을 따라 왕복이동하며 상호 이격 또는 접근하여, 출입구(5)를 개폐한다. 한 쌍의 도어 본체(21)는 상호 접근할 때, 건축물의 출입구(5)를 완전 폐쇄하는 크기를 가진다.
각 도어 본체(21)의 상부에는 주행 레일(11)을 따라 구름 운동하는 복수의 롤러(23)를 지지하는 롤러 브래킷(25)이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롤러(23)는 롤러 브래킷(25)에 의해 간격을 두고 주행 레일(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도어 레일(31)은 도어 본체(21)의 상부 및 하부를 제외한 도어 본체(21)의 중간부 영역에 마련된다. 도어 레일(31)은 도어 본체(21)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주행 레일(11)과 나란하게 도어 본체(21)에 결합된다. 도어 레일(31)은 건축물의 벽체(3)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 예컨대, 벽체 레일(41)을 따라 이동한다. 도어 레일(31)에는 도어 본체(21)의 배면에 형성된 결합부(미도시)와 체결 수단(미도시)에 의해 결합되는 결합공(33)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도어 레일(31)은 도어 본체(2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도어 레일(31)은 도어 본체(21)가 출입구(5)를 완전 개방할 때, 후술할 스토퍼(45)에 의해 벽체 레일(41)을 따라 더 이상 이동하지 않게 된다.
벽체 레일(41)은 도어 본체(21)의 폭보다 큰 길이를 가지며, 도어 레일(31)의 이동 경로를 따라 건축물의 벽체(3)에 결합된다. 벽체 레일(41)은 도어 본체(21)를 향해 벽체 레일(41)의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43)를 형성하며, 벽체(3)에 매입된다. 여기서, 벽체 레일(41)은 도어 본체(21)의 폭과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출입구(5)의 반대편 측에 위치하는 벽체 레일(41)의 단부와 인접한 영역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닫이형 도어 유니트(10)가 출입구(5)를 완전 개방했을 때, 가이드 레일(51) 및 도어 레일(31)이 출입구(5)의 반대편 측으로 벽체 레일(41)을 따라 더 이상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한 쌍의 스토퍼(45)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벽체 레일(41)에는 벽체 레일(41)의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43) 둘레에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이탈방지 가이드(47)가 마련되어 있다. 이탈방지 가이드(47)는 벽체 레일(41)에 수용된 가이드 레일(51)이 도어 본체(21)를 향해 벽체 레일(4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 레일(51)은 벽체 레일(41)과 도어 레일(31) 사이에 마련되어, 도어 레일(31)이 벽체 레일(4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가이드 레일(51)은 제1가이드 레일(53)과 제2가이드 레일(61)을 포함한다.
제1가이드 레일(53)은 벽체 레일(41)에 수용된다. 제1가이드 레일(53)은 벽체 레일(41)에 체결 수단(미도시)에 의해 결합되며, 이에 제1가이드 레일(53)은 벽체 레일(41)과 견고하게 결합된다.
또한, 도어 본체(21)를 향하는 제1가이드 레일(53)의 일측에는, 제1가이드 레일(53)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개구(55)를 형성하며, 내측에는 제2가이드 레일(61)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 결합되는 제1수용부(57)가 형성되어 있다.
제2가이드 레일(61)은 제1가이드 레일(53)과 도어 레일(31) 사이에 마련되어,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가이드 레일(53)의 제1수용부(57)에 마련되어, 제1가이드 레일(53) 및 도어 레일(31)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한다. 제2가이드 레일(61)은 벽체 레일(41)의 이탈 방지 가이드(47)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며, 제1가이드 레일(53)에 수용된다.
도어 본체(21)를 향하는 제2가이드 레일(61)의 일측에는, 제2가이드 레일(6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개구(63)가 형성되며, 제2가이드 레일(61)의 내측에는 도어 레일(31)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 결합되는 제2수용부(65)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가이드 레일(61)은 제1가이드 레일(53)과 도어 레일(31)에 구속되지 않고, 제1가이드 레일(53)과 도어 레일(31)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므로, 제2가이드 레일(61)은 도어 레일(31)과 더불어 도어 본체(21)의 이동 거리를 확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2가이드 레일(61)은, 도어 본체(21)가 출입구(5)를 완전 개방할 때 벽체 레일(41)에 형성된 스토퍼(45)에 의해 벽체 레일(41)을 따라 더 이상 이동하지 않게 된다.
또한, 제2가이드 레일(61)과 도어 레일(31) 사이에는 슬라이딩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름 운동하는 복수의 볼(67)이 간격을 두고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형 도어 유니트(10)는 자석부재(71)와 부착부재(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석부재(71)는 한 쌍의 도어 본체(21)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자력을 발생한다. 이러한 자석부재(71)는 한 쌍의 도어 본체(21)가 상호 연접하는 측면의 일 영역에 마련된다. 여기서, 자석의 자력은 일반 성인이 외력을 가했을 때 인력을 상실할 수 있는 자력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착부재(75)는 한 쌍의 도어 본체(21)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자석부재(71)의 자력에 의해 부착된다. 이러한 부착부재(75)는 자석부재(71)의 자력에 의해 인력을 발생하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자석부재(71)의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도어 본체(21)가 출입구(5)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가이드 레일(61)은 제1가이드 레일(53)과 중첩하지 않으며 배치되고, 동시에 도어 레일(31)은 제2가이드 레일(61)과 중첩하지 않으며 배치된다.
반대로, 도어 본체(21)가 출입구(5)를 완전 개방한 상태에서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레일(31)은 출입구(5)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제2가이드 레일(61)을 따라 이동하여 제2가이드 레일(61)에 중첩하며 배치되고, 동시에 제2가이드 레일(61)은 출입구(5)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제1가이드 레일(53)을 따라 이동하여 제1가이드 레일(53)에 중첩하며 배치된다. 한편, 도어 본체(21)가 출입구(5)를 완전 개방하면, 제2가이드 레일(61) 및 도어 레일(31)은 벽체 레일(41)에 마련된 스토퍼(45)에 의해 더 이상 출입구(5)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벽체 레일(41)을 따라 이동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 본체의 상부와 하부를 제외한 중간부 영역과 건축물의 벽체 사이에 다중의 레일을 구비함으로써, 바닥에 도어 본체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바닥 레일의 설치가 불필요하며, 도어 본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고,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5 : 출입구
10 : 미닫이형 도어 유니트
11 : 주행 레일
21 : 도어 본체
31 : 도어 레일
41 : 벽체 레일
45 : 스토퍼
51 : 가이드 레일
53 : 제1가이드 레일
61 : 제2가이드 레일
71 : 자석부재
75 : 부착부재

Claims (5)

  1. 건축물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건축물 출입구용 미닫이형 도어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의 상방 영역에 상기 출입구의 개폐방향을 따라 상기 건축물의 벽체에 마련되는 주행 레일;
    상기 주행 레일을 따라 구름 운동하는 복수의 롤러를 지지하며, 상기 주행 레일을 따라 왕복이동하여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본체;
    상기 주행 레일과 나란하게 상기 도어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건축물의 벽체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하는 도어 레일;
    상기 도어 레일의 이동 경로를 따라 상기 벽체에 결합되는 벽체 레일;
    상기 벽체 레일과 결합되는 제1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1가이드 레일과 상기 도어 레일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가이드 레일 및 상기 도어 레일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가이드 레일을 가지며, 상기 도어 레일이 상기 벽체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벽체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개구 둘레의 상하방향으로 상기 벽체 레일에 마련되어, 상기 벽체 레일에 수용된 상기 제1가이드 레일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제1가이드 레일에 수용되는 상기 제2가이드 레일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이 상기 도어 본체를 향해 상기 벽체 레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의 이탈방지 가이드를 포함하는, 건축물 출입구용 미닫이형 도어 유니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 레일과 상기 도어 레일 사이에 마련되어, 구름 운동하는 복수의 볼을 더 포함하는, 건축물 출입구용 미닫이형 도어 유니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 레일에 마련되어, 상기 출입구의 완전 개방시 상기 가이드 레일 및 상기 도어 레일이 상기 벽체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건축물 출입구용 미닫이형 도어 유니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본체는 상호 이격 또는 접근하여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상기 도어 본체 중 어느 하나에는 자력을 발생하는 자석부재가 마련되고, 한 쌍의 상기 도어 본체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자석부재의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부착부재가 마련되는, 건축물 출입구용 미닫이형 도어 유니트.
KR1020160179694A 2016-12-27 2016-12-27 건축물 출입구용 미닫이형 도어 유니트 KR101774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694A KR101774542B1 (ko) 2016-12-27 2016-12-27 건축물 출입구용 미닫이형 도어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694A KR101774542B1 (ko) 2016-12-27 2016-12-27 건축물 출입구용 미닫이형 도어 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4542B1 true KR101774542B1 (ko) 2017-09-04

Family

ID=59924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9694A KR101774542B1 (ko) 2016-12-27 2016-12-27 건축물 출입구용 미닫이형 도어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45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4916B1 (ko) * 2019-04-12 2019-07-29 최창일 슬라이딩 벽체가 구비된 밀폐 구조체
FR3101369A1 (fr) * 2019-09-29 2021-04-02 Sarl Ponge Pere Et Fils système de porte coulissante suspendue, notamment pour couloir de contention d’animaux, et couloir de contention equipé dudit système
KR102252667B1 (ko) 2020-07-17 2021-05-21 이동진 슬라이딩 도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2193A (ja) * 2007-08-20 2008-12-18 Iris Ohyama Inc 収納システム
CN203175302U (zh) * 2013-04-10 2013-09-04 苏州市万斗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移门
KR200475700Y1 (ko) * 2014-09-18 2014-12-23 김명락 도어의 접이식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2193A (ja) * 2007-08-20 2008-12-18 Iris Ohyama Inc 収納システム
CN203175302U (zh) * 2013-04-10 2013-09-04 苏州市万斗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移门
KR200475700Y1 (ko) * 2014-09-18 2014-12-23 김명락 도어의 접이식 개폐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4916B1 (ko) * 2019-04-12 2019-07-29 최창일 슬라이딩 벽체가 구비된 밀폐 구조체
FR3101369A1 (fr) * 2019-09-29 2021-04-02 Sarl Ponge Pere Et Fils système de porte coulissante suspendue, notamment pour couloir de contention d’animaux, et couloir de contention equipé dudit système
KR102252667B1 (ko) 2020-07-17 2021-05-21 이동진 슬라이딩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4542B1 (ko) 건축물 출입구용 미닫이형 도어 유니트
KR100764680B1 (ko) 스크린도어 장치
US7757437B2 (en) Resilient retention system for a door panel
US10308481B2 (en) Elevator door and method for opening an elevator door having two sliding door panels
KR20170054590A (ko) 댐퍼 내장형 3연동 도어
KR102042312B1 (ko) 창짝의 개폐가 용이한 미서기 창호용 자동닫힘장치
KR102079314B1 (ko)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
WO2004050529A1 (en) Elevator door guide
US9624072B2 (en) Elevator having a light curtain fixing arrangement
WO2016013080A1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JP5572500B2 (ja) エレベータ用ドアの移動規制具
JP7041552B2 (ja) ブース用の円弧状ドア装置
KR102420234B1 (ko) 도어의 신체 끼임 방지장치
KR101453994B1 (ko) 이탈방지판이 설치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JP5721594B2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JP2011144007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CN107973202B (zh) 具有圆形开启的轿厢门
JP7002995B2 (ja) 自動ドア装置
KR101079557B1 (ko) 우수한 기밀성을 갖는 클린룸용 전동식 슬라이딩 도어
KR101851251B1 (ko) 자동문의 안내 레일장치
JP5971643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ロック装置
KR101830910B1 (ko) 방충망 이탈 방지장치
KR101735455B1 (ko) 다단 슬라이딩 도어
KR200312172Y1 (ko) 폴딩도어의 이동 가이드장치
JPH03232683A (ja) エレベーター用ド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