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4916B1 - 슬라이딩 벽체가 구비된 밀폐 구조체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벽체가 구비된 밀폐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4916B1
KR102004916B1 KR1020190043388A KR20190043388A KR102004916B1 KR 102004916 B1 KR102004916 B1 KR 102004916B1 KR 1020190043388 A KR1020190043388 A KR 1020190043388A KR 20190043388 A KR20190043388 A KR 20190043388A KR 102004916 B1 KR102004916 B1 KR 102004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liding wall
door
sliding
fixed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창일
Original Assignee
최창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창일 filed Critical 최창일
Priority to KR1020190043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9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218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soundproof en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5Small buildings, arranged in other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벽체가 구비된 밀폐 구조체는, 내부에 금형설비가 배치된 고정 벽체; 및 상기 고정 벽체와 결합되며,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상기 고정 벽체 내부를 밀폐 또는 개방시키는 슬라이딩 벽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딩 벽체가 구비된 밀폐 구조체{SEALING STRUCTURE WITH SLIDING WALL}
본 발명은 슬라이딩 벽체가 구비된 밀폐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하는 벽체를 이용하여 내부 공간을 밀폐 또는 개방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 벽체가 구비된 밀폐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금형설비는 금속 소재를 가공 또는 성형하여 제품이나 부품을 생산하는 장비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금형설비를 이용하게 되면 고온, 고압, 프레스 공정 등이 수반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소음 또한 발생되기 때문에 금형설비가 배치된 공간을 밀폐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하기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은 방폭 또는 내진을 위한 밀폐형 구조체만 개시되고 있을 뿐, 금형설비를 전용으로 하여 밀폐시키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조체는 아직까지 개시된 바 없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밀폐 공간을 제공하는 구조체는 하나의 출입문을 통해 작업자가 드나들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41255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실내 공간을 밀폐 또는 개방시켜 금형설비로부터 발생된 소음을 감소시키거나 외부 파티클 소음으로부터 차단된 공간을 제공하는 슬라이딩 벽체가 구비된 밀폐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슬라이딩 벽체의 이동 과정에서 가이드 레일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고, 가이드 레일을 보수용 조성물로 형성하여 내수성, 방수성 및 내균열형을 향상시켜 내구성이 향상된 슬라이딩 벽체가 구비된 밀폐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벽체가 구비된 밀폐 구조체는, 내부에 금형설비가 배치된 고정 벽체 및 상기 고정 벽체와 결합되며,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상기 고정 벽체 내부를 밀폐 또는 개방시키는 슬라이딩 벽체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벽체는, 전면부 및 상면부 일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고정 벽체의 외벽들로 이루어진 공간의 내부에는 상기 금형설비가 배치되고,
상기 고정 벽체에는 상기 슬라이딩 벽체와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슬라이딩 벽체가 형성되지 않은 면에는 작업자가 출입하는 출입문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고정 벽체(10)의 좌측면, 상부면 및 우측면에 배치되는 'ㄷ'자 형상의 부재로, 건축물 보수용 조성물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벽체는 상기 고정 벽체의 전면부 상에 형성된 전면부와, 상기 고정 벽체의 상면부 상에 형성된 상면부로 구성된 'ㄱ'자 형상의 부재로, 상기 상면부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과 결합되기 위한 레일 바퀴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 벽체의 상면을 가로지르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딩 벽체가 구비된 밀폐 구조체의 내부를 밀폐시키거나 개방시키고,
슬라이딩 벽체가 구비된 밀폐 구조체는 내부 밀폐 상태를 측정하여, 내부가 충분히 밀폐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슬라이딩 벽체와 상기 출입문 중 어느 도어에 의해 밀폐가 유지되지 않는지를 알려주는 밀폐 측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밀폐 측정부는, 상기 금형설비에 설치되어 상기 금형설비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감지하는 제1 센서부, 상기 슬라이딩 벽체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금형설비로부터 발생된 소음이 상기 슬라이딩 벽체를 통해 외부로 새어 나가는지를 감지하는 제2 센서부, 상기 출입문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금형설비로부터 발생된 소음이 상기 출입문을 통해 새어 나가는지를 감지하는 제3 센서부, 상기 슬라이딩 벽체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벽체의 닫힘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광원을 발광시키는 제1 표시부, 상기 출입문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출입문의 닫힘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광원을 발광시키는 제2 표시부 및 상기 제1 센서부, 상기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3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딩 벽체가 구비된 밀폐 구조체의 밀폐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상기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센서부를 통해 수신된 제1 센싱 데이터를 상기 제2 센서부를 통해 수신된 제2 센싱 데이터 또는 상기 제3 센서부를 통해 수신된 제3 센싱 데이터와 비교하여 차이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차이값을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며, 상기 차이값이 상기 기준값 이하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슬라이딩 벽체 또는 상기 출입문이 완전히 닫혀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1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표시부 또는 상기 제2 표시부로 전송하고, 상기 차이값이 상기 기준값을 초과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슬라이딩 벽체 또는 상기 출입문이 완전히 닫혀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제1 제어신호와는 상이한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표시부 또는 상기 제2 표시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제1 색상의 광원을 발광시키고,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2 색상의 광원을 발광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금형설비를 구조체 내부에 밀폐시킴으로써, 외부의 파티클 소음으로부터 완전히 차단된 공간을 제공하여 금형설비에 따른 제조품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탄성 지지부에 의해 슬라이딩 벽체의 이동 과정에서 가이드 레일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고,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벽체가 구비된 밀폐 구조체의 내수성 및 내균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벽체가 구비된 밀폐 구조체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슬라이딩 벽체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밀폐 측정부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슬라이딩 벽체가 구비된 밀폐 구조체에 구비된 탄성 지지부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도 4의 탄성 지지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벽체가 구비된 밀폐 구조체(1)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벽체가 구비된 밀폐 구조체(1)는 금형설비가 배치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공간형 구조체로, 금형설비를 통한 제조품이 생산될 수 있는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벽체가 구비된 밀폐 구조체(1)는 이동하는 벽체를 이용하여 내부 공간을 밀폐 또는 개방시킬 수 있다. 즉, 금형설비를 구조체 내부에 밀폐시킴으로써, 외부의 파티클 소음으로부터 완전히 차단된 공간을 제공하여 금형설비에 따른 제조품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벽체가 구비된 밀폐 구조체(1)는, 고정 벽체(10) 및 슬라이딩 벽체(2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벽체(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되며,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벽체가 구비된 밀폐 구조체(1)의 전체적인 외형을 규정할 수 있다. 고정 벽체(10)의 외벽들로 이루어진 공간의 내부에는 작업 설비, 예컨대 금형설비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고정 벽체(10)에는 후술하는 슬라이딩 벽체(20)와 결합되기 위한 가이드 레일(15)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5)은 고정 벽체(10)의 좌측면, 상부면 및 우측면에 배치되는 'ㄷ'자 형상의 부재이다. 후술하겠지만, 가이드 레일(15)은 사용 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을 자체적으로 보수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 재질로 형성되거나,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보수용 조성물이 도포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15)은 슬라이딩 벽체(20)의 이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한 탄성 지지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탄성 지지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 외에도, 고정 벽체(10)의 슬라이딩 벽체(20)가 형성되지 않은 면에는 작업자가 출입하는 출입문(17)이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 벽체(20)는 고정 벽체(10)와 결합되며,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고정 벽체(10) 내부를 밀폐 또는 개방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슬라이딩 벽체(20)의 슬라이딩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벽체(20)는 고정 벽체(10)의 전면에 형성된 전면부와, 고정 벽체(10)의 상면에 형성된 상면부로 구성된 'ㄱ'자 형상의 부재로, 상면부에는 가이드 레일(15)과 결합되기 위한 레일 바퀴(21) 또는 베어링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 벽체(20)는 고정 벽체(10)의 상면을 가로지르는 가이드 레일(15)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슬라이딩 벽체가 구비된 밀폐 구조체(1)의 내부를 밀폐시키거나 개방시킬 수 있다.
이?, 고정 벽체(10)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22)이 형성되어 있어, 슬라이딩 벽체(20)가 필요 이상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벽체가 구비된 밀폐 구조체(1)는 슬라이딩 벽체(20)의 이동에 따른 내부 밀폐 상태를 점검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밀폐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밀폐 측정부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밀폐 측정부(40)는 슬라이딩 벽체가 구비된 밀폐 구조체(1)의 내부 밀폐 상태를 측정하여, 내부가 충분히 밀폐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슬라이딩 벽체(20)와 출입문(17) 중 어느 도어에 의해 밀폐가 유지되지 않는지를 알려주는 모듈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밀폐 측정부(40)는 제1 센서부(41), 제2 센서부(42), 제3 센서부(43), 제어부(44) 및 제1 표시부(45) 및 제2 표시부(4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부(41)는 고정 벽체(10) 내부에 배치된 금형설비에 설치되는 센서로, 금형설비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감지할 수 있다.
제2 센서부(42)는 슬라이딩 벽체(20)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센서로, 금형설비로부터 발생된 소음이 슬라이딩 벽체(20)를 통해 외부로 새어 나가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제3 센서부(43)는 출입문(17)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센서로, 금형설비로부터 발생된 소음이 출입문(17)을 통해 새어 나가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44)는 제1 센서부(41), 제2 센서부(42) 및 제3 센서부(43)로부터 측정된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슬라이딩 벽체가 구비된 밀폐 구조체(1)의 밀폐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44)는 제1 센서부(41)를 통해 수신된 제1 센싱 데이터와 제2 센서부(42)를 통해 수신된 제2 센싱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44)는 제1 센싱 데이터와 제2 센싱 데이터의 차이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차이값을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44)는 차이값이 기준값 이하인 것으로 확인되면, 슬라이딩 벽체(20)가 완전히 닫혀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1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반면, 제어부(44)는 차이값이 기준값을 초과한 것으로 확인되면, 슬라이딩 벽체(20)가 완전히 닫혀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따라 제1 제어신호와는 상이한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어부(44)는 제1 센서부(41)를 통해 수신된 제1 센싱 데이터와 제3 센서부(43)를 통해 수신된 제3 센싱 데이터를 비교하여, 출입문(17)이 완전히 닫혀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표시부(45)는 슬라이딩 벽체(20)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모듈로, 슬라이딩 벽체(20)의 닫힘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제2 표시부(45)는 출입문(17)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모듈로, 출입문(17)의 닫힘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제1 표시부(45) 및 제2 표시부(46)는 서로 다른 광원을 발광시키는 LED 소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표시부(45) 및 제2 표시부(46)는 제어부(44)로부터 제1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제1 색상의 광원(예컨대 녹색)을 발광시킬수 있으며, 제어부(44)로부터 제2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2 색상의 광원(예컨대 적색)을 발광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측정부(40)를 통해, 사용자는 슬라이딩 벽체(20) 또는 출입문(17)는 어느 쪽 도어가 완전히 닫혀있지 않는지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슬라이딩 벽체(20)와 출입문(17)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개폐되며, 사용자는 도어를 완전히 닫았다고 판단되더라도 미세하게 개방된 경우, 도어와 고정 벽체(10)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금형설비로부터 발생된 소음이 외부로 새어나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슬라이딩 벽체(20)와 출입문(17)에 배치된 제1 표시부(45) 및 제2 표시부(46)에 의해 발광되는 색상을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어느쪽 도어를 닫아야 하는지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탄성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 지지부(500)는 가이드 레일(15)에 형성되어 가이드 레일(15)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 벽체(20)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감소시켜 가이드 레일(15)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가이드 레일(15)의 하면과 고정 벽체(10)의 상부면 사이에 설치되는 부재이다.
구체적으로, 탄성 지지부(500)는, 받침 프레임(540),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510), 네 쌍의 지지 프레임(520) 및 지지 기둥(530)을 포함한다.
받침 프레임(540)은, 하측에 설치된 받침 플레이트(510)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부 프레임(320)이 낙하할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부 프레임(320)를 지지한다.
받침 플레이트(510)는, 상측에 안착된 받침 프레임(540)을 지지하며, 하측에 연결 설치된 지지 프레임(520)에 의하여 지지 기둥(530)에서 지지된다.
즉, 받침 플레이트(510)는, 상측에 받침 프레임(540)을 안착시키게 되고, 받침 프레임(54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에 대응하여 탄성력에 의하여 좌우 방향(즉, 제1 프레임(521a)) 또는 상하 방향(즉, 제2 프레임(521b))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 지지 프레임(520)에 의하여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키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의 길이를 다양하게 형성시킴으로써, 단순히 상하 방향의 높이만을 조절하여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존의 탄성체의 한계를 극복하여 받침 플레이트(510)에 의한 지지 위치를 상하 방향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지지 프레임(520)은,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510)의 각각의 하부에 제1 프레임(521a) 및 제2 프레임(521b)의 두 개의 프레임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플레이트(510)를 지지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의 길이를 조절하여 플레이트(510)에 의한 받침 프레임(540)의 지지 위치를 결정한다.
이때, 제1 프레임(521a) 및 제2 프레임(521b)의 상부는 받침 플레이트(510)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고, 제1 프레임(521a)의 하부는 지지 기둥(530)의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제2 프레임(521b)의 하부는 지지 기둥(530)의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즉,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은, 지지 기둥(530)의 상측면 또는 일측면에서 탄성력에 의한 회동 또는 슬라이딩 이동을 통하여 받침 플레이트(51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지지 기둥(530)으로 전달하게 된다.
지지 기둥(530)은,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제1 프레임(521a)의 하부가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제2 프레임(521b)의 하부가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며,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의 슬라이딩 이동 시 탄성력(즉, 십자 탄성부(533) 또는 수직 탄성부(535))을 통해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킨다.
각각의 받침 플레이트(510) 또는 지지 프레임(520)는, 서로 대칭 구조로서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구동되는 바, 상술한 바와 같은 일 받침 플레이트(510) 또는 일 지지 프레임(520)에 관하여 기술한 내용은 다른 받침 플레이트(510) 또는 다른 지지 프레임(520)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지지부(500)는, 상하 대칭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는 바, 도 5의 경우에는 지지 기둥(530)의 상부에만 각각의 구성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510) 및 네 쌍의 지지 프레임(520)과 관련된 구성은 지지 기둥(530)의 하부에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지지 기둥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지지 기둥(530)은, 기둥 바디(531), 십자홈(532), 십자 탄성부(533), 네 개의 수직홈(534)(도 16 참조) 및 네 개의 수직 탄성부(535) (도 7 참조)를 포함한다.
기둥 바디(531)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에 십자홈(532)이 형성되며, 각 측면에 수직홈(534)이 형성된다.
십자홈(532)은, 기둥 바디(531)의 상부에 “+”형태로 함몰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십자 탄성부(533)가 삽입 설치된다.
십자 탄성부(533)는, 십자홈(532)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십자홈(532)에 삽입되며, 네 개의 가지의 말단 상부에 제1 프레임(521a)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프레임(521a)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켜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킨다.
수직홈(534)은, 기둥 바디(531)의 각 면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수직 탄성부(535)가 삽입 설치된다.
수직 탄성부(535)는, 수직홈(534)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홈(534)에 삽입되며, 상부 외측에 제2 프레임(521b)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프레임(521b)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켜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킨다.
도 8은 도 6의 십자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십자 탄성부(533)는, 십자 케이스부(5331), 상부 지지부(5332), 네 개의 상부 탄성부(5333), 네 개의 상부 탄성 지지부(5334) 및 네 개의 상부 연결 링크부(5335)를 포함한다.
십자 케이스부(5331)는, 내부 공간이 빈 “+” 형태로 형성되어 십자홈(532)에 삽입 설치되고, 내부 공간에 후술하는 상부 지지부(5332), 네 개의 상부 탄성부(5333), 네 개의 상부 탄성 지지부(5334)가 설치된다.
이때, 십자 케이스부(5331)의 각 가지의 길이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홈(532)의 각 가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됨으로써, 십자 케이스부(5331)의 외측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부 연결 링크부(5335)가 배치되고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공간을 형상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상부 지지부(5332)는,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십자 케이스부(5331)의 중심 부분에 배치되고, 각 4면의 외측에 상부 탄성부(5333)가 배치되도록 하고 상부 탄성부(5333)를 지지하게 된다.
상부 탄성부(5333)는, 상부 지지부(5332)의 각 측면에 배치되어 상부 탄성 지지부(5334)를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함으로써, 상부 탄성 지지부(5334)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흡수하게 된다.
상부 탄성 지지부(5334)는, 십자 케이스부(5331)의 내부 공간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며, 상부 탄성부(5333)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부 연결 링크부(5335) 사이에 설치된 지지 바아(5336)에 의하여 상부 연결 링크부(5335)를 지지한다.
상부 연결 링크부(5335)는, 십자홈(532)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고, 십자 케이스부(5331)와 대향하는 일 측면과 상부 탄성 지지부(5334)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5336)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상부에 제1 프레임(521a)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플레이트(510)의 상하 방향의 이동에 따라 십자홈(532)의 각각의 가지가 만나는 중심 방향으로 십자홈(532)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도 9는 도 7의 수직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수직 탄성부(535)는, 수직 케이스부(5341), 측면 지지부(5342), 측면 탄성부(5343), 측면 탄성 지지부(5344) 및 측면 연결 링크부(5345)를 포함한다.
수직 케이스부(5341)는, 내부 공간이 빈 수직홈(534)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의 하측으로부터 측면 지지부(5342), 측면 탄성부(5343) 및 측면 탄성 지지부(5344)가 순서대로 설치된다.
측면 지지부(5342)는,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수직 케이스부(5341)의 하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측에 측면 탄성부(5343)가 배치되어 측면 탄성부(5343)를 지지한다.
측면 탄성부(5343)는, 측면 지지부(5342)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측에 배치된 측면 탄성 지지부(5344)를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함으로써, 측면 탄성 지지부(5344)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흡수하게 된다.
측면 탄성 지지부(5344)는, 수직 케이스부(5341)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배치되며, 측면 탄성부(5343)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고, 측면 연결 링크부(5345) 사이에 설치된 지지 바아(5346에 의하여 측면 연결 링크부(5345)를 지지한다.
측면 연결 링크부(5345)는, 수직홈(534)의 상부 말단에 배치되고, 수직 케이스부(5341)와 대향하는 하측면과 측면 탄성 지지부(5344)의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5346)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외측면에 제2 프레임(521b)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수직홈(534)의 하측 방향으로 수직홈(534)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몇몇 또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벽체가 구비된 밀폐 구조체(1)는 구조물에 균열이 발생될 경우 균열이 발생된 곳에 충전하여 보수하기 위한 아크릴바인더를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조물이라 함은, 가이드 레일(15)이 이에 해당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을 이루는 각각의 구성 모두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 존재하던 건축 구조물을 보수하기 위한 조성물에 있어서 내수성, 방수성 및 내균열성이 모두 향상된 조성물 중 만족할 만한 효과를 발휘하는 조성물이 존재하지 않는 다는 것을 발견하여, 예의 노력한 끝에 본 발명과 같이 내수성, 방수성 및 내균열성 모두 만족할 만한 효과를 발휘하는 조성물을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크릴바인더는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acrylic ester copolymer)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는 CAS 번호(CAS number)가 30445-28-4인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는 다양한 화합물을 탐색하던 중 조성물이 상기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인 내수성 및 내균열성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바인더는 10 내지 50 중량부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 중량부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중 특히 방수성 및 내수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EVA 바인더,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로진, 텍사놀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EVA 바인더는 바람직하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이며, CAS 번호는 24937-78-8 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부틸셀로솔브(butylcellosolve)는 CAS 번호 111-76-2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로진(rosin)은 송진을 증류하여 얻는 천연 수지를 의미하며, 상업적으로 판매하고 있는 로진이라면 어떠한 종류의 로진이라도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구성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텍사놀(TEXANOL)은 CAS 번호 25265-77-4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은 CAS 번호 57-55-6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아크릴바인더를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의 구성으로서 EVA 바인더,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로진, 텍사놀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더 포함시키는 경우 특히 내수성의 효과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EVA 바인더 0.01 내지 10 중량부,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0.01 내지 5 중량부, 로진 0.01 내지 5 중량부, 텍사놀 0.01 내지 5 중량부 및 프로필렌글리콜 0.01 내지 3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에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내수성의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 아크릴바인더가 포함된 건축 보수용 조성물에 EVA 바인더,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로진, 텍사놀 및 프로필렌글리콜, 그리고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향상된 방수성 및 내수성 확인을 통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을 15 내지 20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16 내지 20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 17 내지 20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은 상기 조성물에 0.1 내지 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이 본 발명이 달성하고자 하는 과제 중 특히 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아크릴바인더가 포함된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은 에틸렌글리콜,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칼슘 카보네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 및 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조성물이 뛰어난 방수성 및 내수성 효과를 갖는다면, 본 조성물은 내균열성이 향상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틸셀로솔브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은 CAS 번호가 107-21-1인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는 CAS 번호가 1317-65-3인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티타늄 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는 CAS 번호가 13463-67-7인 화합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에틸렌글리콜 0.01 내지 5 중량부,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0,01 내지 5 중량부, 칼슘 카보네이트 20 내지 50 중량부, 티타늄디옥사이드 0.01 내지 5 중량부 및 물 0.01 내지 1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내균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을 탐색하던 중 천연 추출물에서 그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에 아마씨 점액 또는 아마씨 점액 추출물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내균열성의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 아크릴바인더가 포함된 건축 보수용 조성물에 에틸렌글리콜,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칼슘 카보네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 및 물, 그리고 아마씨 점액 또는 아마씨 점액 추출물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향상된 내균열성 확인을 통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마(flax)는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아마과의 한해살이풀로서 씨는 납작하고 긴 타원 모양이며 노란빛을 띤 갈색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마씨 점액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제조할 수 있지만, 예시적으로 스크래퍼(scraper)를 이용하여 아마씨로부터 점액질을 긁어내어 아마씨 점액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마씨 점액 추출물은 예시적으로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아마씨 1 g을 정제수 50L에 넣고, 25℃에서 5시간 동안 교반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여액에 동량의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첨가하여 침전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 예를 들어 와트만 여과지 NO. 5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건조하여 백색의 파우더 형태를 얻을 수 있다.
종래 아마씨의 용도로서 다양한 용도가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에 포함시켜 내균열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확인한 바는 현재까지 알려진 바 없으며, 연구도 미미한 실정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아마씨 점액 또는 아마씨 점액 추출물을 1 내지 1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의 기본 물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분산제, 소포제, 항균제, 방부제, 동결 방지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S1) 건축 구조물의 표면의 열화부를 제거하는 단계; 및 S2) 상기 열화부가 제거된 상기 건축 구조물의 표면 상부에 상기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균열 보수막을 형성하는 단계에 의하여 구조물의 균열 보수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료 준비
하기 실시예 및 평가예를 위한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에 사용된 주요 원료의 정보는 아래와 같다.
1) 아크릴바인더: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Acrylic ester copolymer) CAS NO 30445-28-4
2) EVA 바인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CAS NO 24937-78-8
3) 부틸셀로솔브(butylcellosolve): CAS NO 111-76-2
4) 텍사놀(TEXANOL): CAS NO 25265-77-4
5)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CAS NO 57-55-6
6)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CAS NO 107-21-1
7)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CAS NO 1317-65-3
8) 티타늄 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CAS NO 13463-67-7
9)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CAS NO 124-68-5
10)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CAS NO 27646-80-6
11) 아마씨 점액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아마씨로부터 점액질을 긁어내어 아마씨 점액을 수득하였다.
12) 아마씨 점액 추출물
아마씨 1 g을 정제수 50L에 넣고, 25℃에서 5시간 동안 교반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여액에 동량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침전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 NO. 5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건조하여 백색의 파우더 약 0.2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5 중량부의 EVA 바인더,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로진, 0.5 중량부의 텍사놀, 0.1 중량부의 프로필렌글리콜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5 중량부의 EVA 바인더,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로진, 0.5 중량부의 텍사놀, 0.1 중량부의 프로필렌글리콜, 1 중량부의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0.06 중량부의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1 중량부의 에틸렌글리콜,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티타늄디옥사이드, 5 중량부의 물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1 중량부의 에틸렌글리콜,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티타늄디옥사이드, 5 중량부의 물, 5 중량부의 아마씨 점액 및 아마씨 점액 추출물의 혼합물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평가예 1
건축 토목 구조물의 열화부를 제거한 다음, 이 표면상부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각각 도장 및 건조하여 균열 보수막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얻어진 균열 보수막의 접착강도, 내균열 안정성 및 미끄럼저항성 및 균열 보수제 조성물의 저장안정성을 KS규격, KSL 1593상의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또한, 방수성의 경우 균열 보수막 형성 후 내부로 수분이 흡수되는 정도를 5점 척도법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하기 표 1에서 제품 X는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B사의 건축 구조물의 건축 구조물 보수용 제품을 나타내며, 이를 실시예 1 내지 4의 조성물과 비교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표 1]
Figure 112019038027318-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의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은 제품 X와 비교하여 내수성, 방수성 및 내균열성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저장 안정성 및 미끄럼 저항성에 있어서도 문제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실시예 1, 2는 방수성 및 내수성에서 더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실시예 3, 4는 내균열성에서 더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슬라이딩 벽체가 구비된 밀폐 구조체
10: 고정 벽체
15: 가이드 레일
17: 출입문
20: 슬라이딩 벽체

Claims (2)

  1. 내부에 금형설비가 배치된 고정 벽체; 및
    상기 고정 벽체와 결합되며,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상기 고정 벽체 내부를 밀폐 또는 개방시키는 슬라이딩 벽체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벽체는, 전면부 및 상면부 일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고정 벽체의 외벽들로 이루어진 공간의 내부에는 상기 금형설비가 배치되고,
    상기 고정 벽체에는 상기 슬라이딩 벽체와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슬라이딩 벽체가 형성되지 않은 면에는 작업자가 출입하는 출입문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고정 벽체(10)의 좌측면, 상부면 및 우측면에 배치되는 'ㄷ'자 형상의 부재로, 건축물 보수용 조성물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벽체는 상기 고정 벽체의 전면부 상에 형성된 전면부와, 상기 고정 벽체의 상면부 상에 형성된 상면부로 구성된 'ㄱ'자 형상의 부재로, 상기 상면부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과 결합되기 위한 레일 바퀴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 벽체의 상면을 가로지르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딩 벽체가 구비된 밀폐 구조체의 내부를 밀폐시키거나 개방시키고,
    슬라이딩 벽체가 구비된 밀폐 구조체는 내부 밀폐 상태를 측정하여, 내부가 충분히 밀폐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슬라이딩 벽체와 상기 출입문 중 어느 도어에 의해 밀폐가 유지되지 않는지를 알려주는 밀폐 측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밀폐 측정부는, 상기 금형설비에 설치되어 상기 금형설비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감지하는 제1 센서부, 상기 슬라이딩 벽체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금형설비로부터 발생된 소음이 상기 슬라이딩 벽체를 통해 외부로 새어 나가는지를 감지하는 제2 센서부, 상기 출입문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금형설비로부터 발생된 소음이 상기 출입문을 통해 새어 나가는지를 감지하는 제3 센서부, 상기 슬라이딩 벽체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벽체의 닫힘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광원을 발광시키는 제1 표시부, 상기 출입문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출입문의 닫힘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광원을 발광시키는 제2 표시부 및 상기 제1 센서부, 상기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3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딩 벽체가 구비된 밀폐 구조체의 밀폐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상기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센서부를 통해 수신된 제1 센싱 데이터를 상기 제2 센서부를 통해 수신된 제2 센싱 데이터 또는 상기 제3 센서부를 통해 수신된 제3 센싱 데이터와 비교하여 차이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차이값을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며, 상기 차이값이 상기 기준값 이하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슬라이딩 벽체 또는 상기 출입문이 완전히 닫혀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1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표시부 또는 상기 제2 표시부로 전송하고, 상기 차이값이 상기 기준값을 초과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슬라이딩 벽체 또는 상기 출입문이 완전히 닫혀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제1 제어신호와는 상이한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표시부 또는 상기 제2 표시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제1 색상의 광원을 발광시키고,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2 색상의 광원을 발광시키는, 슬라이딩 벽체가 구비된 밀폐 구조체.
  2. 삭제
KR1020190043388A 2019-04-12 2019-04-12 슬라이딩 벽체가 구비된 밀폐 구조체 KR102004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388A KR102004916B1 (ko) 2019-04-12 2019-04-12 슬라이딩 벽체가 구비된 밀폐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388A KR102004916B1 (ko) 2019-04-12 2019-04-12 슬라이딩 벽체가 구비된 밀폐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4916B1 true KR102004916B1 (ko) 2019-07-29

Family

ID=67480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388A KR102004916B1 (ko) 2019-04-12 2019-04-12 슬라이딩 벽체가 구비된 밀폐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491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255B1 (ko) 2013-11-08 2014-09-1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방폭패널, 방폭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방폭 조립식 구조체
KR101774542B1 (ko) * 2016-12-27 2017-09-04 노현기 건축물 출입구용 미닫이형 도어 유니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255B1 (ko) 2013-11-08 2014-09-1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방폭패널, 방폭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방폭 조립식 구조체
KR101774542B1 (ko) * 2016-12-27 2017-09-04 노현기 건축물 출입구용 미닫이형 도어 유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1257B2 (en) Caulking adhesive
CA2968849C (en) Multi-part polyurethane compositions, articles thereof, and method of making
KR101989190B1 (ko) Cnc장비용 클램핑 장치
CN108603075A (zh) 抗沾污性有机硅涂料组合物
KR101810210B1 (ko) 라돈 저감용 수성 코팅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라돈 저감화 방법
KR102004916B1 (ko) 슬라이딩 벽체가 구비된 밀폐 구조체
KR101989191B1 (ko) 그릇 도색 장치
AU2003204076B2 (en) Compositions providing physical biocide synergist activity in paints, coatings, sealants and adhesives during storage
CN109195939B (zh) 作为低-voc的聚结剂和增塑剂的三羧酸化合物
SA520412627B1 (ar) عامل تنوي، تركيبة راتنج أساسها بولي أوليفين تحتوي عليه، ومادة مقولبة منه
WO2012010570A1 (en) Additive combination for sealants applications
US5045578A (en) Polymer mixture comprising polyphenylene ether, sterically hindered amine and epoxy compound and articles manufactured therefrom
KR102001474B1 (ko) 자동차 부품 보관 창고
US9828510B2 (en) Sorbic acid ester containing coatings composition
TWI741936B (zh) 粒狀成核劑、樹脂組成物及其製造方法以及成形品
EP3091051B1 (en) Polyoxymethylen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containing same
CN110062790A (zh) 稳定剂组合物
EP3029116A1 (en) Sorbic acid ester composition
RU2726454C1 (ru) Огнезащитная композиция
KR101999217B1 (ko) 프레스 장치
US20190382612A1 (en) Architectural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high ratio soluble silicates
KR102008511B1 (ko) 파이프 클램핑 장치
US20040122158A1 (en) Transparent aqueous coating agent containing glass powder
US3880794A (en) Polyvinyl chloride plastisol composition
KR20210095150A (ko) 모래에서 점토의 양을 분석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