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536B1 - 엘리베이터 카 도어용 끼임 방지 센서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카 도어용 끼임 방지 센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4536B1
KR101804536B1 KR1020170138374A KR20170138374A KR101804536B1 KR 101804536 B1 KR101804536 B1 KR 101804536B1 KR 1020170138374 A KR1020170138374 A KR 1020170138374A KR 20170138374 A KR20170138374 A KR 20170138374A KR 101804536 B1 KR101804536 B1 KR 101804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door
fixing bracket
conductor
mold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8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평산엔지니어링
신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평산엔지니어링, 신영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평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70138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45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536B1/ko
Priority to CN201811080401.7A priority patent/CN109693993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6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los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4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or voltag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사람을 운반하기 위한 승객용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 끝단에 별도 구비의 감압센서를 고정 형성하되, 상기 감압센서는 부도체의 몰딩체에 서로 이격된 도전체를 내장하여 구성되고, 별도 구비의 고정브라켓을 통해 카 도어에 클립 고정되도록 하며, 양문형 카 도어의 끝단에 대하여 상기 감압센서가 서로 엇갈려 배치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 끝단에 각기 장착된 감압센서로 인해 사람이나 신체의 일부 및 사물이나 물건 등을 신속하게 접촉 감지하여 이를 통해 카 도어가 계속 닫히는 것을 차단하는 것은 물론 카 도어를 개방시켜 그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고, 접촉 압력에 의해 작동되므로 기존과 같이 기구적인 스위치 장치가 갖는 작동 과정에서의 소음이나 작동 오차 혹은 작동 불량 등의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는 것이며, 상호 엇갈려 배치된 감압센서는 엘리베이터의 카에 대한 탑승 방향 및 하차 방향 모두에게서 카 도어의 사이로 끼인 사람이나 물체를 빠르게 인지할 수 있어 더욱 안전하고 편리한 엘리베이터의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카 도어용 끼임 방지 센서장치 {Sensor for elevator doors}
본 발명은 주로 사람을 운반하기 위한 승객용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 일측에 감압센서를 고정 형성하되 양문형 카 도어의 끝단에 대하여 상기 감압센서가 서로 엇갈려 대향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사람이나 물체 등을 빠르게 감지하여 이들이 카 도어의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카 도어용 끼임 방지 센서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내부에 승객이 탑승한 상태에서 건물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승강로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탑승객을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카와, 소정의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권상기와, 탑승객의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모터 및 권상기를 제어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해당 층으로 이동시키는 제어수단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어,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에 구비되는 엘리베이터 카에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카 도어가 구비됨과 아울러, 건물의 각층 승강장에는 상기 카 도어와 연동하여 개폐되면서 탑승객을 해당 층에 승하차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승장 도어가 설치된다.
또한, 근자에 들어 대부분의 건물 및 소규모 주택의 경우에도 상,하층으로의 편리한 이동을 위해 대부분 엘리베이터가 설치되고 있는 추세이고, 그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안전사고 역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엘리베이터 이용 과정 중에서의 다양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10-1305719호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 및 승강장에 구비되는 도어프레임인 카프레임과 승장프레임의 사이에 위치하여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도어구동용 모터의 구동에 따라 개폐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표면에 구비되되 제어수단에 의해 점등이 제어되는 다수의 도어용 LED가 도어용 인쇄회로기판(PCB)의 표면에 설치되는 도어용 LED 기판과, 인체의 전류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도어용 LED가 점등되도록 상기 도어용 LED 기판의 표면에 구비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도어용 전도성 부재로 이루어진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가 등록된 바 있는 것으로,
상기의 안전장치는 전도성 부재를 엘리베이터 도어 및 도어프레임의 표면에 부착하여 손이 접촉되어 인체의 전류가 감지되면 엘리베이터 도어를 강제 제어하여 손이 엘리베이터 도어와 프레임 사이에 손이 끼어 다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도어 표면으로 빛을 직접 조사하여 조도를 높여 이용자의 손이 도어 표면에 접촉되었음을 시각적으로 선명하게 표시해 줌으로서 이용자가 손 끼임에 대한 경각심을 좀 더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 바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442577호와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와 엘리베이터 프레임 사이에 이용자의 손 끼임이 발생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프레임의 일측 모서리를 구성하는 일부분인 틸팅 플레이트를 후진시키도록 틸팅시키거나 또는 도어의 표면에 틸팅 가능하게 구비되는 아웃터 플레이트를 후진시켜 엘리베이터 도어와 엘리베이터 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벌려주어 이용자가 간단하면서도 안전하게 손을 빼낼 수 있어 손가락이 낀 상태에서 사후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손가락의 골절이나 피부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가 등록된 바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619275호와 같이 문의 구조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 눈에 잘 띄지 않아 호기심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또한 기존의 승강기에 저렴하고 쉽게 접목할 수 있는 감지수단을 마련한 것으로서, 문과 문틀 사이 틈새로 레이저를 발산하여 손가락의 끼임을 집중적으로 감지하되, 화물이 틈새로 근접되어 레이저센서에 감지될 경우 이를 감지대상에서 제외하여 사용의 불편이 감소되도록 하였으며, 또한 문틀 상부에 틈새 주위만 비추는 반사경을 설치하여 승강기에 구비된 기존의 감시카메라 영상에서 상기 반사경의 영상만을 판독함으로써, 별도의 감시카메라를 구비하지 않고도 저렴한 비용으로 승강기의 운행시 또는 정지시 문을 효과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문 안전장치가 등록된 바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732420호와 같이 힌지결합과 스프링 인장력에 의해 경질유동부와 연질유동부가 유동되도록 형성하여 개폐되는 엘리베이터 도어 표면에 연질유동부 및/또는 경질유동부에 형성된 브러쉬, 부직포가 접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엘리베이터 도어가 열리고 닫힐 때 유동 틈새로 손가락 또는 손이 끼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끼임 방지장치가 등록된 바 있는 것이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153051호의 경우 승객이 탑승하는 카를 개방 및 폐쇄시키는 카 도어의 사이에 끼인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카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감지센서가 물체를 감지하면, 상기 카의 위치를 판단하여 카 및 카 도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엘리베이터의 도어에 물체가 끼이면 엘리베이터의 위치를 판단하여 엘리베이터가 정 위치일 때 도어를 개방시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도어 안전장치가 안출 및 등록된바 있다.
이처럼, 기존의 엘리베이터 및 카도어 또는 승장도어의 틈새로 손가락이나 옷자락 혹은 가방끈 등이 끼여 발생하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상기와 같이 다양한 형태 및 구조로 된 손 끼임 방지장치가 다수 안출 및 등록되어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기존의 엘리베이터 손 끼임 방지수단의 경우 대부분 기구적인 작동을 통해 물리적으로 손가락이나 옷가지 등이 틈새로 끌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만들어져 있어 부피가 매우 크고 설치가 매우 번거로운 것은 물론 제작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것이며, 엘리베이터의 내부 미관에도 좋지 않은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고, 기구적인 작동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한 안전장치의 경우 작동 소음이 매우 크고 작동 오류가 빈번하여 이중 안전수단을 추가로 장착하여야 하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특히, 기존과 같이 크고 두드러지는 형태로 만들어진 손 끼임 방지수단은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탑승객에게 호기심을 유발하여 손으로 만지거나 작동시켜 종종 해당 손 끼임 방지수단 및 손 끼임 방지장치가 파손되거나 부주의로 인해 엘리베이터가 오동작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 수명이 지극히 짧은 동시에 엘리베이터의 안정적인 작동에도 문제를 일으키곤 하는 것이다.
더욱이, 적외선 혹은 레이저 등의 빛을 이용한 센서 방식의 경우 지나치게 민감한 특성으로 인해 카도어 부근으로 사람이 접근하는 경우에도 이를 감지하여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카도어의 여닫기가 반복되는 등 사용상의 불편함이 매우 큰 것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305719호 (2013.09.02.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42577호 (2014.09.15.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619275호 (2016.05.02.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732420호 (2017.04.26.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53051호 (2012. 05. 29. 등록)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 끝단에 별도 구비의 감압센서를 고정 형성하되, 상기 감압센서는 부도체의 몰딩체에 서로 이격된 도전체를 내장하여 구성되고, 별도 구비의 고정브라켓을 통해 카 도어에 클립 고정되도록 하며, 양문형 카 도어의 끝단에 대하여 상기 감압센서가 서로 엇갈려 배치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사람이나 물건 등에 의한 미약한 접촉 압력에 의해서도 감압센서가 작동하여 카 도어가 닫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서로 엇갈려 배치된 감압센서는 엘리베이터의 카 내부 및 외부 방향 어디에서라도 더욱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접촉을 인지할 수 있어 카 도어의 사이에 사람이나 신체 일부 혹은 물건 등이 끼어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카 도어용 끼임 방지 센서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문형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에 각기 대향 장착되는 감압센서와, 상기 감압센서를 상기 카 도어에 장착하기 위한 일측 제1고정브라켓과 타측 제2고정브라켓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고정브라켓과 제2고정브라켓은 별도 구비의 클립에 의해 상기 카 도어에 장착되게 하되,
상기 감압센서는 연질 부도체로 된 수직 길이 방향의 몰딩체와 상기 몰딩체의 내부에 서로 이격 형성된 제1도전체 및 제2도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고정브라켓은 수직 길이 방향의 압출물로서 일측에는 상기 카 도어의 표면에 밀착되는 면접부가 형성되고 상기 면접부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끼움홈부와 수용단턱부가 직각 방향으로 순차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부로는 몰딩체가 삽입 고정되게 하고 상기 수용단턱부로는 타측 카 도어에 장착된 감압센서의 몰딩체가 안내 삽입되게 하며,
상기 제2고정브라켓은 수직 길이 방향의 압출물로서 일측에는 상기 카 도어의 표면에 밀착되는 면접부가 형성되고 상기 면접부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수용단턱부와 끼움홈부가 직각 방향으로 순차 형성되어 상기 수용단턱부로는 타측 카 도어에 장착된 감압센서의 몰딩체가 안내 삽입되게 하고 상기 끼움홈부로는 감압센서의 몰딩체가 삽입 고정되게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 끝단에 각기 장착된 감압센서로 인해 사람이나 신체의 일부 및 사물이나 물건 등을 신속하게 접촉 감지하여 이를 통해 카 도어가 계속 닫히는 것을 차단하는 것은 물론 카 도어를 개방시켜 그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고, 접촉 압력에 의해 작동되므로 기존과 같이 기구적인 스위치 장치가 갖는 작동 과정에서의 소음이나 작동 오차 혹은 작동 불량 등의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는 것이며, 상호 엇갈려 배치된 감압센서는 엘리베이터의 카에 대한 탑승 방향 및 하차 방향 모두에게서 카 도어의 사이로 끼인 사람이나 물체를 빠르게 인지할 수 있어 더욱 안전하고 편리한 엘리베이터의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장치가 장착된 엘리베이터의 전체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장치가 카 도어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장치 중 일측 센서장치에 대한 확대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장치 중 타측 센서장치에 대한 확대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장치가 장착된 카 도어의 작동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장치에 의한 일측 감응 작용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장치에 의한 양측 감응 작용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작동 설명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장치가 장착된 엘리베이터의 전체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장치가 카 도어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장치 중 일측 센서장치에 대한 확대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장치 중 타측 센서장치에 대한 확대 평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도어용 끼임 방지 센서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카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에 장착되는 것으로, 양문형 카 도어(10)(10')의 상호 대향 측 끝단에 장착되는 동일 구조로 된 한 쌍의 감압센서(20)(20')와, 이들 감압센서(20)(20')를 양측 카 도어(10)(10')에 각각 간편하게 고정 설치하기 위한 제1고정브라켓(30)과 제2고정브라켓(40)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감압센서(20)(20')는 연질의 비전도성 고무 등으로 만들어진 몰딩체(21)와 상기 몰딩체(21)의 내부에 수직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삽입된 제1도전체(22) 및 제2도전체(23)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상기 제1도전체(22)와 제2도전체(23)는 도전성을 갖고 있어 제1도전체(22)와 제2도전체(23)에 전원을 공급한 상태에서 제1도전체(22) 및 제2도전체(23)가 접촉하게 되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들 제1도전체(22)와 제2도전체(23) 사이의 유동간극(25)으로 인해 이들은 항상 일정 간격을 갖고 이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몰딩체(21)에 대하여 외부로부터 가압이 이루어지면 이격 상태였던 제1도전체(22)와 제2도전체(23)가 접촉 상태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제1도전체(22)와 제2도전체(23) 사이에 형성된 유동간극(25) 양측으로는 잘록부(26)(26')를 형성함에 따라 몰딩체(21)에 대하여 외부로부터 가압력이 작용하면 상기 잘록부(26)(26')로 인해 제1도전체(22)와 제2도전체(23)가 작은 압력으로도 접촉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외부의 가압력이 제거되면 연질 탄력재인 몰딩체(21)는 절록부(26)(26')가 본래의 형태로 복원되면서 제1도전체(22)와 제2도전체(23) 간의 이격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도전체(22)와 제2도전체(23)의 중심부에는 수직 길이방향을 따라 통전와이어(27)(27')가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통전와이어(27)(27')를 통해 제1도전체(22)와 제2도전체(23) 전체에 고르게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센서의 감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제1도전체(22)와 제2도전체(23)가 내장된 몰딩체(21)의 일측단에는 수직 길이방향을 따라 끼움돌부(24)를 다수 돌출 형성함에 따라 상기 감압센서(20)(20')를 간편하게 조립 혹은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어, 일측 카 도어(10)에 대하여 상기 감압센서(20)(20')를 장착하기 위한 제1고정브라켓(30)은 합성수지 혹은 금속재를 압출 성형하여 제작하거나 금속판재를 절곡 형성하여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수직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것을 필요 길이만큼 절단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1고정브라켓(30)은 일측에 수직 길이방향으로 평평한 상태의 면접부(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면접부(31)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끼움홈부(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홈부(32)로부터 연이어 수용단턱부(3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면접부(31)는 양방향 카 도어(10)(10') 중 일측 카 도어(10)의 끝단 측면에 밀착되어 별도 구비의 클립(50)(50')을 통해 카 도어(10)의 절곡판재와 상기 면접부(31)가 밀착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끼움홈부(32)로는 상기 감압센서(20)(20')의 몰딩체(21)에 형성되어 있는 끼움돌부(24)가 삽입되는 것으로, 제1고정브라켓(30)의 상단 혹은 하단을 통해 상기 몰딩체(21)의 끼움돌부(24)를 상기 끼움홈부(32)에 삽입시킴에 따라 상호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수용단턱부(33)는 끼움홈부(32)에 비하여 함몰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대향측 카 도어(10')에 장착되어 있는 감압센서(20)(20')의 몰딩체(21)가 유도 삽입되기 위한 수용 공간에 해당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기와 같은 제2고정브라켓(40)은 일측에 수직 길이방향으로 평평한 상태의 면접부(4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면접부(41)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수용단턱부(4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단턱부(42)로부터 연이어 끼움홈부(4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면접부(41)는 양방향 카 도어(10)(10') 중 타측 카 도어(10')의 끝단 측면에 밀착되어 별도 구비의 클립(50)(50')을 통해 카 도어(10')의 절곡판재와 상기 면접부(41)가 밀착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용단턱부(42)는 끼움홈부(43)의 끝단에 비하여 함몰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반대측 카 도어(10)에 장착되어 있는 감압센서(20)(20')의 몰딩체(21)가 유도 삽입되기 위한 수용 공간에 해당되는 것이고, 연이어 형성된 끼움홈부(43)로는 상기 감압센서(20)(20')의 몰딩체(21)에 형성되어 있는 끼움돌부(24)가 삽입되는 것으로, 제2고정브라켓(40)의 상단 혹은 하단을 통해 상기 몰딩체(21)의 끼움돌부(24)를 상기 끼움홈부(43)에 삽입시킴에 따라 상호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클립(50)(50')을 이용하여 양측의 카 도어(10)(10') 대향측 끝단부에 각기 감압센서(20)(20')가 결합된 상태의 제1고정브라켓(30)과 제2고정브라켓(40)을 결합 고정시키면, 상기 양측의 감압센서(20)(20')는 서로 대향하고는 있지만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는 엇갈림 상태를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엇갈려 배치된 양측의 감압센서(20)(20')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개방 상태인 카 도어(10)(10')가 닫히는 과정에서 각기 반대측 고정브라켓의 수용단턱부(33) 내측으로 유도 삽입되면서 상호 간의 직접적인 간섭이나 접촉은 일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감압센서(20)(20')의 제1도전체(22)와 제2도전체(23)에 전원을 공급하고 엘리베이터를 작동시키게 되면 카 도어(10)(10')의 정상적인 개폐 상태에서는 상기 감압센서(20)(20')가 반응하지 아니하므로 평상시와 다름없이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고,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탑승객 중 신체의 일부 혹은 물품이나 가방끈 등이 미처 엘리베이터의 카 내부로 충분히 진입하지 못하여 카 도어(10)(10')가 닫히는 과정에서 도 6의 도시와 같이 일측 감압센서(20)와 접촉하게 되면 상기 카 도어(10)(10')는 닫힘 상태를 즉시 중지하여 물품이나 사람이 회피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는 재빨리 카 도어(10)(10')가 열림 방향으로 개방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탑승객이나 카 내부에 있던 물품 등이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10)(10')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도 7의 도시와 같이 양측 카 도어(10)(10')가 닫히는 과정에서 양측 감압센서(20)(20')와의 접촉 및 간섭에 의해 가압력을 몰딩체(21)에 가하게 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접촉에 의한 압력으로 인해 상기 몰딩체(21) 내에서 유동간극(25)을 갖고 이격되어 있던 제1도전체(22)와 제2도전체(23)는 가압으로 인해 상호 접촉되면서 전기적 신호를 유발하게 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전기적 신호가 발생하면 엘리베이터의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카 도어(10)(10')의 닫힘 작동을 즉시 중단하는 동시에 재빨리 열림 방향으로 작동되도록 하여 인명이나 물품의 부상 혹은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감압센서(20)(20')는 양측 카 도어(10)(10')에 모두 고정 설치되는 것이고, 각각의 감압센서(20)(20')는 수평 방향으로 엇갈려 배치되어 있으므로 일측 감압센서(20)(20')가 작동 불능 상태에 이르더라도 타측 감압센서(20)(20')의 작동으로 인해 안전한 사용이 가능한 것이고, 엘리베이터에 대한 탑승 과정에서의 끼임 혹은 하차 과정에서의 끼임 모두를 인지할 수 있으므로 더욱 효율적인 것이다.
특히, 기존과 같이 기구적인 작동을 통해 스위칭되는 물리적 센서 수단이 아니라 감압센서(20)(20')에 작용하는 압력으로 인해 작동되는 구조이므로 작동 소음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것은 물론 고장이나 오류 발생의 확률이 지극히 적어 보다 확실하고 효율적인 감지 및 그로 인해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8의 도시와 같이 제1고정브라켓(30)의 수용단턱부(33)와 제2고정브라켓(40)의 수용단턱부(42) 내측에 별도 구비의 터치스위치(60)(60')를 장착하되, 상기 각각의 터치스위치(60)(60')는 수용단턱부(33)(42)의 내측으로 진입하는 대향측의 감압센서(20)(20')를 향하여 고정되도록 함에 따라 카 도어(10)(10')가 닫히는 과정에서 대향측 감압센서(20)(20')가 상기 터치스위치(60)(60')를 눌러 작동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터치스위치(60)(60')의 작동 감도 혹은 감압센서(20)(20')와의 간격은, 감압센서(20)(20')와 터치스위치(60)(60')의 접촉 상태에서 감압센서(20)(20')는 작동하지 않고 터치스위치(60)(60')만 작동될 정도로 미세 조정함에 따라 상기 감압센서(20)(20')가 제1고정브라켓(30) 및 제2고정브라켓(40)의 수용단턱부(33)(42) 내측으로 진입되었는지의 유무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상기 감입센서(20)(20')가 제1고정브라켓(30) 및 제2고정브라켓(40)의 수용단턱부(33)(42) 내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 즉, 카 도어(10)(10')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만 엘리베이터 카의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더욱 안전한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카 도어용 끼임 방지 센서장치는 기존과 같이 대상물의 끼임에 의한 기구적인 작용 및 스위치 구조에 의한 작동이 아니라 접촉 압력에 의해 작동되게 하므로 더욱 신속한 응답성을 연출할 수 있는 것이고, 작동 소음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것이며, 교체 및 고장 수리 및 점검이 매우 편리한 장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10' : 카 도어
20,20' : 감압센서 21 : 몰딩체
22 : 제1도전체 23 : 제2도전체
24 : 끼움돌부 25 : 유동간극
26,26' : 잘록부 27,27' : 통전와이어
30 : 제1고정브라켓 31 : 면접부
32 : 끼움홈부 33 : 수용단턱부
40 : 제2고정브라켓 41 : 면접부
42 : 수용단턱부 43 : 끼움홈부
50,50' : 클립
60,60' : 터치스위치

Claims (4)

  1. 양문형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10)(10')에 각기 대향 장착되는 감압센서(20)(20')와, 상기 감압센서(20)(20')를 상기 카 도어(10)(10')에 장착하기 위한 일측 제1고정브라켓(30)과 타측 제2고정브라켓(40)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고정브라켓(30)과 제2고정브라켓(40)은 별도 구비의 클립(50)(50')에 의해 상기 카 도어(10)(10')에 장착되게 하되,
    상기 감압센서(20)(20')는 연질 부도체로 된 수직 길이 방향의 몰딩체(21)와 상기 몰딩체(21)의 내부에 서로 이격 형성된 제1도전체(22) 및 제2도전체(2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고정브라켓(30)은 수직 길이 방향의 압출물로서 일측에는 상기 카 도어(10)(10')의 표면에 밀착되는 면접부(31)가 형성되고 상기 면접부(31)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끼움홈부(32)와 수용단턱부(33)가 직각 방향으로 순차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부(32)로는 몰딩체(21)가 삽입 고정되게 하고 상기 수용단턱부(33)로는 타측 카 도어(10')에 장착된 감압센서(20')의 몰딩체(21)가 안내 삽입되게 하며,
    상기 제2고정브라켓(40)은 수직 길이 방향의 압출물로서 일측에는 상기 카 도어(10)(10')의 표면에 밀착되는 면접부(41)가 형성되고 상기 면접부(41)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수용단턱부(42)와 끼움홈부(43)가 직각 방향으로 순차 형성되어 상기 수용단턱부(42)로는 타측 카 도어(10)에 장착된 감압센서(20)의 몰딩체(21)가 안내 삽입되게 하고 상기 끼움홈부(43)로는 감압센서(20')의 몰딩체(21)가 삽입 고정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 도어용 끼임 방지 센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감압센서(20)(20')는 몰딩체(21)의 일측에 상기 제1고정브라켓(30)과 제2고정브라켓(40)의 끼움홈부(32)(43)로 안내 삽입되게 한 끼움돌부(24)를 수직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하고, 상기 몰딩체(21) 내의 제1도전체(22)와 제2도전체(23)의 사이에는 유동간극(25)을 형성하며, 상기 몰딩체(21)의 유동간극(25) 양측에는 잘록부(26)(26')를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 도어용 끼임 방지 센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감압센서(20)(20')의 제1도전체(22)와 제2도전체(23) 내부에는 통전와이어(27)(27')를 삽입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 도어용 끼임 방지 센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제1고정브라켓(30)의 수용단턱부(33)와 제2고정브라켓(40)의 수용단턱부(42)에는 별도 구비의 터치스위치(60)(60')를 삽입 형성하고, 상기 터치스위치(60)(60')는 수용단턱부(33)(42)의 공간 내에 돌출되게 구성함에 따라 상기 수용단턱부(33)(42)로 진입하는 감압센서(20)(20')의 간섭에 의해 터치스위치(60)(60')가 작동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 도어용 끼임 방지 센서장치.
KR1020170138374A 2017-10-24 2017-10-24 엘리베이터 카 도어용 끼임 방지 센서장치 KR101804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374A KR101804536B1 (ko) 2017-10-24 2017-10-24 엘리베이터 카 도어용 끼임 방지 센서장치
CN201811080401.7A CN109693993A (zh) 2017-10-24 2018-09-17 电梯轿厢门用防夹传感器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374A KR101804536B1 (ko) 2017-10-24 2017-10-24 엘리베이터 카 도어용 끼임 방지 센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4536B1 true KR101804536B1 (ko) 2017-12-14

Family

ID=60953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8374A KR101804536B1 (ko) 2017-10-24 2017-10-24 엘리베이터 카 도어용 끼임 방지 센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04536B1 (ko)
CN (1) CN10969399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4985A1 (ko) * 2018-06-27 2020-01-02 강명덕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
CN112384463A (zh) * 2018-06-27 2021-02-19 姜明德 电梯缝隙夹入检测开关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675589U (zh) 2015-04-24 2015-09-30 优诺电梯股份有限公司 电梯门口障碍物检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2745A (ja) * 1993-12-21 1995-07-11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H0986842A (ja) * 1995-09-28 1997-03-31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ーのドア開装置
JPH0986844A (ja) * 1995-09-29 1997-03-31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ーの出入口保護装置
CN2600415Y (zh) * 2003-01-17 2004-01-21 党瑞丰 电梯轿门防夹触动件
JP2006312510A (ja) * 2005-05-06 2006-11-16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ーの安全装置
JP2007137555A (ja) * 2005-11-16 2007-06-07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ーのドア安全装置
JP2011020823A (ja) * 2009-07-17 2011-02-03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出入口安全装置
CN102080498A (zh) * 2009-11-27 2011-06-01 上海市南汇区航头学校 一种安全电动门
JP2012201418A (ja) * 2011-03-23 2012-10-22 Toshiba Elevator Co Ltd 異物検出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CN103287954A (zh) * 2012-03-02 2013-09-11 上海市静安区第一中心小学 一种电梯
JP6220591B2 (ja) * 2013-07-30 2017-10-25 日本オーチス・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ドア安全装置
CN203474185U (zh) * 2013-10-12 2014-03-12 苏州默顿快速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门防夹手指装置
CN103601061B (zh) * 2013-10-29 2015-07-22 怡达快速电梯有限公司 电梯防夹安全方法及系统
CN204111145U (zh) * 2014-08-29 2015-01-21 通用电梯(中国)有限公司 一种高安全性能的电梯门
CN105438945A (zh) * 2015-12-19 2016-03-30 重庆威斯特电梯有限公司 用于电梯门的防夹贴片
CN205603001U (zh) * 2016-03-23 2016-09-28 宁波赛福特电子有限公司 一种采用凹凸错位结构的防碰撞二合一电梯红外光幕
CN205603003U (zh) * 2016-03-23 2016-09-28 宁波赛福特电子有限公司 一种采用斜面错位结构的防碰撞二合一电梯红外光幕
CN105858423B (zh) * 2016-06-21 2017-09-29 浙江屹立电梯有限公司 一种防夹型乘客电梯
CN206032991U (zh) * 2016-08-31 2017-03-22 江苏创力电梯部件有限公司 一种电梯安全触板防夹机构
CN106744207B (zh) * 2016-11-28 2018-11-27 浙江阿斯顿电梯有限公司 电梯防护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675589U (zh) 2015-04-24 2015-09-30 优诺电梯股份有限公司 电梯门口障碍物检测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4985A1 (ko) * 2018-06-27 2020-01-02 강명덕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
CN112384463A (zh) * 2018-06-27 2021-02-19 姜明德 电梯缝隙夹入检测开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693993A (zh) 2019-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3161B2 (en) Contact detection apparatus and pinch prevention apparatus
KR101442577B1 (ko) 틸팅 기능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KR101816122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감지센서
KR101804536B1 (ko) 엘리베이터 카 도어용 끼임 방지 센서장치
CN107973207B (zh) 人员运送机的扶手系统以及防止在人员运送机的扶手系统上受伤的方法
KR100916467B1 (ko) 끼임 방지를 위한 자동문
US20050103577A1 (en) Elevator door safety control device
JP2022042701A (ja) エレベータ用操作装置、及び該エレベータ用操作装置を備えるエレベータ
KR101761160B1 (ko) 좌,우 개폐식 도어의 틈새 차단장치
KR101805569B1 (ko) 엘리베이터 카 도어용 끼임 방지 이중 센서장치
KR102245816B1 (ko)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장치
KR20100010939U (ko)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 장치
NZ511298A (en) Detection of obstacle to closing in powered furniture
EP1474582B1 (en) Pinching-prevention device for automatic doors, in particular for lifts and/or elevators
KR102483658B1 (ko) 정전용량 변화를 이용한 인체 끼임 방지 장치
JP4003214B2 (ja) パワースライドドア用安全装置
KR20210109373A (ko) 모션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끼임 방지 안전장치
KR200484754Y1 (ko) 승강기 틈새 끼임 방지장치
KR102119620B1 (ko)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
KR101913954B1 (ko)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
WO2020004985A1 (ko)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
KR101878386B1 (ko)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및 엘리베이터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US20030074840A1 (en) Vehicular power window safety device
KR20200079777A (ko)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
KR20140100276A (ko) 차량의 윈도우 안전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