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8386B1 -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및 엘리베이터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및 엘리베이터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8386B1
KR101878386B1 KR1020170009447A KR20170009447A KR101878386B1 KR 101878386 B1 KR101878386 B1 KR 101878386B1 KR 1020170009447 A KR1020170009447 A KR 1020170009447A KR 20170009447 A KR20170009447 A KR 20170009447A KR 101878386 B1 KR101878386 B1 KR 101878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nductor
printed
pad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9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종태
채기원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피엔알티
(주)휴먼전자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피엔알티, (주)휴먼전자엔씨 filed Critical (주)에이치피엔알티
Priority to KR1020170009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83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3Details of door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6Details of door jamb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는, 내측면에 전도체가 인쇄된 도체 인쇄 패드과; 상기 도체 인쇄 패드와 마주보게 설치되며 내측면에 전도체가 인쇄된 도체 인쇄 필름과; 상기 도체 인쇄 패드와 상기 도체 인쇄 필름 사이에는 형성되어 상기 도체 인쇄패드와 상기 도체 인쇄 필름을 이격시켜 평상시에는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간격부재와; 승강장 도어와 벽 사이에 손이 끼게 되면, 그 압력에 의해 상기 도체 인쇄 패드 및 상기 도체 인쇄 필름에 인쇄된 도체 부분이 접점 연결되어 통전상태가 되면, 그 신호를 검출하여 승강장 도어 제어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승강장 도어를 급정지시키게 하는 신호출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및 엘리베이터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A Device Preventing From Finger Trapping In An Elevator Car Do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열리는 과정에서 벽면과 도어 사이 공간으로 손가락 등이 끼이게 되면 이를 즉시 검출하여 도어의 움직임을 정지함으로써 승객의 사고방지를 가능케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에 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엘리베이터 승강장(10)에는 승강장 도어(12)와 상하 이동하는 카에 부착되는 카 도어가 있으며, 승강장 도어(12)는 보통 중앙개폐식(Center Open), 즉 승강장 도어(12)가 열릴 때에는 중앙에서 벽면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며 승강장 도어(12)가 닫힐 때에는 양쪽 벽면 뒤에 있던 승강장 도어 부분이 중앙으로 이동하여 승강장을 폐쇄하는 방식에 의해 개폐 된다. 한편, 승강장 도어가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개폐되는 일명 상승열림 방식(Up Sliding)이나 승강장 도어가 한쪽 벽에서 다른 벽쪽으로 수평슬라이드 하면서 개폐하는 수평 슬라이드 방식(Slide Open) 방식에 의한 개폐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국내 승강기 안전기준에 관한 개정 규정에 의하면 승강장 도어(12)가 닫혔을 때 '문짝과 문짝사이의 틈새 또는 문짝과 문설주, 인방 또는 문턱 사이의 틈새는 6mm이하'로 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특히 수평개폐식 승강장 도어의 경우는 '문짝 사이 틈새 및 문설주 사이의 틈새를 5mm 이하'로 하거나, 문틈이나 문짝과 문설주 사이 틈새에 어린이의 손이 끼이거나 끌려 들어가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서 손가락 끼임을 감지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하거나 틈새를 보완할 수 있는 재질, 예컨대 고무재질 등을 추가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 제10-1305719호(2013년09월09일자 공고)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장 도어(12) 개폐시의 손가락 끼임 안전사고 방지를 위하여, 문짝과 근접한 벽면(20)에 승강장 도어(12)와 수직으로 안전센서(30)를 설치하여 승강장 도어(12)의 개폐시에 안전센서(30)가 동작하게 되면 승강장 도어(12)의 개폐를 즉시 중단하도록 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발명에서는 외측면에 전도성 시트가 구비된 안전센서를 승강장 벽면 또는 승강기 카 벽면에 도어와 수직이 되게 설치하고, 전도성 시트에 인가되는 전류가 인체의 전류에 해당 하는지 여부를 제어수단이 판별하며, 인체의 접촉으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승강장 도어(12)가 정지하고, 엘이디 소자가 점등되어 경고를 수행하는 구조이다.
하지만, 이 발명은 전도성 시트 자체가 고가인 점은 별론, 인체의 전류인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제어수단을 별도로 구비하며, 엘이디 소자 등이 함께 설치되므로 두께가 두꺼워서 엘리베이터 도어에 근접한 벽면에 도어와 수직으로 설치되는데, 틈새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어서 손 등이 근접하였지만 문틈에는 다가가지 않은 경우에 동작하는 반면 틈새에 끼이는 경우에는 오히려 검출이 안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고,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손가락 끼임 등 사고위험과는 거리가 먼 물체의 단순 접근 등에도 즉시로 반응하므로 엘리베이터 도어를 급정지하는 일이 잦아지게 되어 승객 불안과 불편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제어시스템에 영향을 주어 열림 또는 닫힘 락 고장으로 인식될 수도 있고 이 경우는 엘리베이터 운행정지 고장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안전센서(30)가 승강장에 노출되게 설치되므로 엘리베이터의 외관 디자인에 영향을 주게 되게 되는 반면, 아동 등이 장갑을 끼고 있는 경우에는 전도성 시트가 동작을 하지 않으므로 겨울철에는 사고위험에 고스란히 노출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일본 특표2009-515798(2009.04.16)에는 다수의 터치셀로 구성된 정전센서를 사용하여 인체의 전류를 검출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으나 장갑을 낀 경우 등에는 동작하지 않으며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고, 동일 문헌에 터치셀 대신 압력에 비례하여 전압이 발생하는 압전센서를 사용하는 예도 개시되어 있으나, 압전센서의 비용 자체가 고가이므로 엘리베이터 전장길이를 감안할 때 적용하기 곤란한 측면이 있고, 전압 변동이 손이나 물체가 끼여서인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별도의 제어수단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비용상승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열리는 과정에서 벽면과 도어 사이 공간으로 손가락 등이 끼이게 되면 그 압력에 의해 전기접점이 연결되어 경고음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승강장 도어 움직임을 정지함으로써 승객의 사고방지를 가능케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를 구현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로서, 내측면에 전도체가 인쇄된 도체 인쇄 패드과; 상기 도체 인쇄 패드와 마주보게 설치되며 내측면에 전도체가 인쇄된 도체 인쇄 필름과; 상기 도체 인쇄 패드와 상기 도체 인쇄 필름 사이에 0.1 내지 1mm의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가 승강장 도어와 대향하는 벽 사이의 좁은 틈에 설치 가능하게 하면서도 상기 도체 인쇄패드와 상기 도체 인쇄 필름을 이격시켜 평상시에는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며 터치시에는 접점연결이 될 수 있도록하는 간격부재와; 상기 승강장 도어와 그에 대향하는 벽 사이 틈에 손이 끼게 되고, 그 압력에 의해 상기 도체 인쇄 패드 및 상기 도체 인쇄 필름에 인쇄된 도체 부분이 접점 연결되어 통전상태가 되면, 그 신호를 검출하여 승강장 도어 제어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승강장 도어를 급정지시키게 하는 신호출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체 인쇄 패드 외측면에는 양면테이프가 부착되어 있어서, 상기 양면테이프의 이형지를 떼어내는 것에 의해 상기 승강징 도어에 대향하는 벽면에 부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는,
상기 접점 연결에 의해 통전상태가 되면 손가락 끼임을 알리는 경고음 출력하는 경고음 출력수단이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체 인쇄 패드 및 상기 도체 인쇄 필름 양단에는 필름보호를 위한 설치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체 인쇄 패드과 상기 도체 인쇄 필름 중 어느 일방의 내측면에는 상단에서 하단까지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가로선 다발이 직렬연결되도록 인쇄되며, 타방의 내측면에는 상단에서 하단까지 일정 간격으로 상기 가로선에 수직인 복수 개의 세로선 다발이 상단에서 하단까지 직렬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격부재의 두께는 0.1mm~1mm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체 인쇄 패드는 가요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체 인쇄 필름은 가요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는, 미닫이 도어와 그에 대향하는 벽 사이에 설치되는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로서, 내측면에 전도체가 인쇄된 도체 인쇄 패드과; 상기 도체 인쇄 패드와 마주보게 설치되며 내측면에 전도체가 인쇄된 도체 인쇄 필름과; 상기 도체 인쇄 패드와 상기 도체 인쇄 필름 사이에 0.1 내지 1mm의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가 도어와 대향하는 벽 사이의 좁은 틈에 설치 가능하면서도 상기 도체 인쇄패드와 상기 도체 인쇄 필름을 이격시켜 평상시에는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며 터치시에는 접점연결이 될 수 있도록하는 간격부재와; 도어와 그에 대향하는 벽 사이에 손이 끼게 되고, 그 압력에 의해 상기 도체 인쇄 패드 및 상기 도체 인쇄 필름에 인쇄된 도체 부분이 접점 연결되어 통전상태가 되면, 그 신호를 검출하여 도어 제어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도어를 급정지시키는 신호출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는, 미닫이의 도어와 도어가 겹쳐지는 부위에 설치되는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로서, 내측면에 전도체가 인쇄된 도체 인쇄 패드과; 상기 도체 인쇄 패드와 마주보게 설치되며 내측면에 전도체가 인쇄된 도체 인쇄 필름과; 상기 도체 인쇄 패드와 상기 도체 인쇄 필름 사이에 0.1 내지 1mm의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가 도어와 도어 사이의 좁은 틈에 설치 가능하면서도 상기 도체 인쇄패드와 상기 도체 인쇄 필름을 이격시켜 평상시에는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며 터치시에는 접점연결이 될 수 있도록하는 간격부재와; 도어와 도어 사이에 손이 끼게 되고, 그 압력에 의해 상기 도체 인쇄 패드 및 상기 도체 인쇄 필름에 인쇄된 도체 부분이 접점 연결되어 통전상태가 되면, 그 신호를 검출하여 도어 제어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도어를 급정지시키는 신호출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는, 상기 접점 연결에 의해 통전상태가 되면 손가락 끼임을 알리는 경고음 출력하는 경고음 출력수단이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열리는 과정에서 벽면과 도어 사이 공간으로 손가락 등이 끼이게 되면 그 압력에 의해 전기접점이 연결되어 경고음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승강장 도어의 움직임을 정지함으로써, 신호검출과 경고음이 즉시로 발생하고 해당 신호가 승강장 도어 제어수단(또는 제어반)으로 바로 입력되어 승강장 도어가 즉시로 정지하므로 매우 낮은 단가의 장치로 승강기 외관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승객의 사고방지를 가능케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는, 두께도 2~3mm 수준으로 얇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개정된 승강기 안전기준에 의하는 경우에도 승강장 도어와 그와 겹쳐지는 벽면 사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승강기 외관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안전사고 위험이 있는 경우에만 즉시 동작하여 승객의 사고방지를 가능케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오동작 가능성이 작고 신뢰성 있는 동작 수행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설치되는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가 승강로 벽면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를 예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의 주요부를 예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의 주요부를 예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의 주요부를 예시한 정면도.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는, 내측면에 전도체가 인쇄된 도체 인쇄 패드(110)와, 상기 도체 인쇄 패드(110)와 마주보게 설치되며 내측면에 전도체가 인쇄된 도체 인쇄 필름(120)과, 상기 도체 인쇄 패드(110)와 상기 도체 인쇄 필름(120)을 미세 간격 이격시키는 이격부재(130)와, 승강장 도어(102)와 벽면(200) 사이에 손이 끼게 되어 접점 연결이 되면 승강장 도어 제어장치(또는 승강기 제어반)로 그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승강장 도어(102)를 급정지시키게 하는 신호출력수단(15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도체 인쇄 패드(110)는 승강장 도어(102)와 대향하는 승강로 벽면(200)에 부착되는 부분이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02)의 상하 전장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승객이 터치 가능한 영역에 제한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승객 중 아동의 손가락이 낄 수 있는 영역에 제한된 길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도체 인쇄 패드(110) 외측면에는 양면테이프(140)가 부착되어 있어서, 상기 양면테이프(140)의 이형지를 떼어내는 것에 의해 본 실시예의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를 벽면(200)에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는 도체 인쇄 패드(110) 외측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본 실시예의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를 벽면에 부착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며, 실시예에 따라서 다양한 다른 접착 재료 및 방식에 의해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도체 인쇄 패드(110)는 가요성 재질로 형성되며, PET 박판 또는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5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병렬연결된 다수의 가로선 다발(115)로 인쇄될 수도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각각 병렬연결된 다수의 세로선 다발이 인쇄될 수 있으며, 다수의 가로선 또는 세로선 다발들은 본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의 전장 길이에 걸쳐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도체 인쇄 패드(110)에 각각 가로선 다발이 인쇄된다면 상기 가로선 다발의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의 세로선들을 갖는 세로선 다발(125)이 본 실시예의 도체 인쇄 필름(120)에 인쇄되고, 상기 도체 인쇄 패드(110)에 세로선 다발이 인쇄된다면 상기 도체 인쇄 필름(120)에는 가로선 다발이 인쇄되게 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가로선 다발과 세로선 다발이 교대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도체 인쇄 패드(110) 또는 도체 인쇄 피름(120)에 인쇄되는 패턴에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주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도체 인쇄 구조에 의해, 상기 도체 인쇄 패드(110)에 인쇄된 도체선과 상기 도체 인쇄 필름(120)에 인쇄된 도체 선이 각각 서로 수직을 이루게 구성하는 것에 의해 손가락 끼임이 발생시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도체 상호 간 서로 어긋남 없이 바로 접점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가로선 다발(115)의 가로선(111)은 대략 상기 도체 인쇄 패드(110)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며, 가로선 다발(115)의 높이는 상기 세로선(121)의 길이에 해당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체 인쇄 필름(12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면에 세로선 다발 또는 가로선 다발이 직렬 연결된 형태로 인쇄되며, 상기 도체 인쇄 패드(110)에 대응하는 폭과 길이를 가지며, 도체인쇄 필름의 외측면은 외부에 노출되어 승강장 도어(102)를 향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운행 중 승강장 도어(102)와 벽면(200) 사이로 손가락 등이 끼이게 되면 도체 인쇄 필름(120)의 외측면에서 도체 인쇄 패드(120) 방향으로 압력이 인가되므로, 상기 도체 인쇄 필름이 상기 도체 인쇄 패드에 접촉되고 도체 인쇄부 접점연결이 발생하여 통전 상태가 되며, 신호출력수단(150)은 승강장 도어 제어부나 경음장치(151)로 해당 전류신호를 입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체 인쇄 필름(120)은 가요성 재질 예컨대 PET 박막 등으로 형성되므로, 손가락 끼임 등에 의한 압력으로 일시 접점 연결이 되더라도 그 압력이 사라지면 용이하게 원상으로 복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간격부재(130)는 상기 도체 인쇄 패드(110)와 상기 도체 인쇄 필름(120) 사이에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도체 인쇄 패드(110)와 상기 도체 인쇄 필름(120)의 도체 인쇄 부분이 항상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6과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간격부재(130)의 폭과 길이는 상기 도체 인쇄 패드(110) 및 상기 도체 인쇄 필름(120)에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각 가로선 다발 또는 상기 각 세로선 다발의 외형에 대응하는 다수의 사각형상 홀이 일련 연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간격부재(130)는 다수의 사각형상 홀이 일련 연결된 형상의 PET 패드 등 가요성 재질로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각 도체 인쇄부의 형상에 따라 다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간격부재의 두께가 얇아지면 터치 감도가 높아지고 간격부재 두께가 두꺼워지면 터치 감도가 낮아지며, 아동의 손가락이 끼이는 경우 적절한 검출감도는 100g 정도이며 최대 500g 미만이 바람직하므로 간격부재의 두께는 대략 0.1 내지 1mm 이내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서 터치 감도가 커져도 무방한 경우라면 간격부재의 두께는 1~3mm 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체 인쇄 패드와 도체 인쇄 필름도 PET 재질로 대략 0.1 내지 1mm의 두께 범위로 형성되며, 간격부재는 0.1 내지 0.5mm 두께로 형성되어 100g 정도의 터치에 의해서 원활하게 동작하게 되므로 도어와 벽사이 틈으로 손가락이 끼게 되면 즉시 이를 전류신호로 검출하여 도어 제어수단으로 전송하여 도어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체인쇄 패드와 도체 인쇄 필름은 각각 대략 0.12mm의 PET 재질 박막 필름형태로 제작되고, 간격부재는 대략 0.188mm PET로 제작되어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총 두께가 1mm가 채 되지 않도록 제작되어 터치 감도를 극대화하며, 이 경우 도어와 벽사이 및 도어와 도어 사이 좁은 틈새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고, 도어와의 사이에 충분한 여유공간이 있으므로 평상시에는 도어 개폐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도어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손가락이 끼인 경우에는 즉시로 이를 검출하여 도어를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체 인쇄 패드(110), 도체 인쇄 필름(120) 및 간격부재(130)는 모두 PET 재질로 형성되지만, 이들은 PC, PE, PI, PU 등의 다른 가요성 재질로도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며,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변경이 가능한 부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신호출력수단(150)은 손가락 끼임 등에 의한 압력으로 도체 인쇄 패드(110)와 도체 인쇄 필름(120) 도체 인쇄부 접점연결이 되면 동작한다. 즉 도체 인쇄 패드와 도체 인쇄 필름에 인쇄된 도체 부분이 어느 지점에서든 접촉하게 되면 이들 도체 부분은 통전상태가 되어 신호출력수단(150)을 동작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즉, 신호출력수단(150)은 통전상태가 되면, 즉시로 그 전기 신호(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를 증폭하여 유/무선에 의해 승강장 도어 제어수단(미도시) 및 경음장치(151)로 입력할 수 있고, 승강장 도어(102)가 이동중이었던 경우 승강장 도어 제어수단은 즉시 승강장 도어(102)의 이동을 멈추도록 제어한다. 동시에 경음장치(151)도 동작하며, 제어반으로도 해당신호가 전송될 수 있고 승강기 운행시스템에서는 '승강장 도어와 벽면 사이 공간에 손을 넣으면 안된다'는 안내방송 등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경음장치(151)는 상기 신호출력수단(150)과 일체로 형성되지만, 실시예에 따라 별도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다른 경음장치가 설치된다면 그 경음장치를 유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체 인쇄 패드(110)와 도체 인쇄 필름(120) 전체 면적이 하나의 온오프 스위치로 동작하여 스위치가 온되면 경고음이 발생되고 승강장 도어(102)가 정지하는 구성이지만, 실시예에 따라 수개의 구역으로 나누어 각 구역이 각 하나의 스위치로 동작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각 구역별로 또는 각 구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역에 승강장 도어(102)와 벽면(200)이 접하는 부분과 인접한 노출된 위치에 LED 램프 등 점등수단을 설치하여 경고음과 함께 해당 구역에 LED 램프를 점등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도체 인쇄 패드 및 상기 도체 인쇄 필름 양단과 양측면에는 필름보호를 위한 가요성 재질 보호재가 추가로 부착 또는 코팅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서는 수평방향 슬라이드 타입 승강장 도어(102)와 벽면 사이 틈새에 손가락 끼임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승강장 도어(102)와 접하는 승강로 벽면(200)에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를 설치하였으나, 이를 벽면(200) 대신 승강장 도어(102)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는 승강장 도어(102)에 한정되지 않으며, 엘리베이터 카 도어와 카 벽면 사이에도 적용 가능하며, 도어와 도어가 겹쳐지는 지점에도 설치 가능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는 수평방향 슬라이드 타입에 한하지않고 상하방향 슬라이드 타입의 도어와 벽면 사이 도어와 도어 사이에도 적용 가능하다.
더 나아가 본 실시예의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100)는, 엘리베이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슬라이드 타입 도어에 적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전동차의 슬라이드 문이나 전동차 승강장의 스크린 도어 등에도 적용 가능한 것이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정해지며, 청구범위 기재 사항과 균등범위에서 당업자가 행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포함함은 자명하다.
100......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101......승강장
102......승강장 도어
110......도체 인쇄 패드
120......도체 인쇄 필름
130......간격부재
140......양면테이프
150......신호출력수단
151......경음장치

Claims (11)

  1.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로서,
    내측면에 전도체가 인쇄된 도체 인쇄 패드과;
    상기 도체 인쇄 패드와 마주보게 설치되며 내측면에 전도체가 인쇄된 도체 인쇄 필름과;
    상기 도체 인쇄 패드와 상기 도체 인쇄 필름 사이에 0.1 내지 1mm의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가 승강장 도어와 대향하는 벽 사이의 좁은 틈에 설치 가능하게 하면서도 상기 도체 인쇄패드와 상기 도체 인쇄 필름을 이격시켜 평상시에는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며 터치시에는 접점연결이 될 수 있도록하는 간격부재와;
    상기 승강장 도어와 그에 대향하는 벽 사이 틈에 손이 끼게 되고, 그 압력에 의해 상기 도체 인쇄 패드 및 상기 도체 인쇄 필름에 인쇄된 도체 부분이 접점 연결되어 통전상태가 되면, 그 신호를 검출하여 승강장 도어 제어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승강장 도어를 급정지시키게 하는 신호출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체 인쇄 패드 외측면에는 양면테이프가 부착되어 있어서, 상기 양면테이프의 이형지를 떼어내는 것에 의해 상기 승강장 도어에 대향하는 벽면에 부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는,
    상기 접점 연결에 의해 통전상태가 되면 손가락 끼임을 알리는 경고음 출력하는 경고음 출력수단이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체 인쇄 패드 및 상기 도체 인쇄 필름 양단에는 필름보호를 위한 설치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체 인쇄 패드과 상기 도체 인쇄 필름 중 어느 일방의 내측면에는 상단에서 하단까지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가로선 다발이 직렬연결되도록 인쇄되며, 타방의 내측면에는 상단에서 하단까지 일정 간격으로 상기 가로선에 수직인 복수 개의 세로선 다발이 상단에서 하단까지 직렬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체 인쇄 패드는 가요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체 인쇄 필름은 가요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9. 미닫이 도어와 그에 대향하는 벽 사이에 설치되는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로서,
    내측면에 전도체가 인쇄된 도체 인쇄 패드과;
    상기 도체 인쇄 패드와 마주보게 설치되며 내측면에 전도체가 인쇄된 도체 인쇄 필름과;
    상기 도체 인쇄 패드와 상기 도체 인쇄 필름 사이에 0.1 내지 1mm의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가 도어와 대향하는 벽 사이의 좁은 틈에 설치 가능하면서도 상기 도체 인쇄패드와 상기 도체 인쇄 필름을 이격시켜 평상시에는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며 터치시에는 접점연결이 될 수 있도록하는 간격부재와;
    도어와 그에 대향하는 벽 사이에 손이 끼게 되고, 그 압력에 의해 상기 도체 인쇄 패드 및 상기 도체 인쇄 필름에 인쇄된 도체 부분이 접점 연결되어 통전상태가 되면, 그 신호를 검출하여 도어 제어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도어를 급정지시키는 신호출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10. 미닫이의 도어와 도어가 겹쳐지는 부위에 설치되는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로서,
    내측면에 전도체가 인쇄된 도체 인쇄 패드과;
    상기 도체 인쇄 패드와 마주보게 설치되며 내측면에 전도체가 인쇄된 도체 인쇄 필름과;
    상기 도체 인쇄 패드와 상기 도체 인쇄 필름 사이에 0.1 내지 1mm의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가 도어와 도어 사이의 좁은 틈에 설치 가능하면서도 상기 도체 인쇄패드와 상기 도체 인쇄 필름을 이격시켜 평상시에는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며 터치시에는 접점연결이 될 수 있도록하는 간격부재와;
    도어와 도어 사이에 손이 끼게 되고, 그 압력에 의해 상기 도체 인쇄 패드 및 상기 도체 인쇄 필름에 인쇄된 도체 부분이 접점 연결되어 통전상태가 되면, 그 신호를 검출하여 도어 제어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도어를 급정지시키는 신호출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11. 청구항 9 또는 10에 있어서, 상기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는,
    상기 접점 연결에 의해 통전상태가 되면 손가락 끼임을 알리는 경고음 출력하는 경고음 출력수단이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KR1020170009447A 2017-01-19 2017-01-19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및 엘리베이터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KR101878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447A KR101878386B1 (ko) 2017-01-19 2017-01-19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및 엘리베이터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447A KR101878386B1 (ko) 2017-01-19 2017-01-19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및 엘리베이터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8386B1 true KR101878386B1 (ko) 2018-08-17

Family

ID=63408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447A KR101878386B1 (ko) 2017-01-19 2017-01-19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및 엘리베이터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838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1650B2 (ja) * 1994-05-02 1999-08-2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接触センサー
KR101238068B1 (ko) * 2012-10-11 2013-02-27 이호연 도파로 시트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1650B2 (ja) * 1994-05-02 1999-08-2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接触センサー
KR101238068B1 (ko) * 2012-10-11 2013-02-27 이호연 도파로 시트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4071B2 (en) Door assembly including a touch sensitive portion for controlling automated door movement
WO2014058198A1 (ko) 도파로 시트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JPS6260786A (ja) エレベ−タの操作盤
JP2015536006A (ja) ロールシャッター用警報システム
KR101816122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감지센서
EP3498958A1 (en) Door leading edge sensor
KR101878386B1 (ko)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및 엘리베이터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KR102245816B1 (ko)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장치
JP2011051719A (ja) エレベータ装置
US11225817B2 (en) Intelligent sensing edge and control system
KR101974193B1 (ko) 슬라이딩도어의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WO2014148740A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KR101673425B1 (ko) 엘리베이터 손끼임 방지 장치
KR101804536B1 (ko) 엘리베이터 카 도어용 끼임 방지 센서장치
CN114735555B (zh) 操纵装置和电梯
JP2007131389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WO2022055157A1 (ko) 정전용량 변화를 이용한 인체 끼임 방지 장치
KR200484754Y1 (ko) 승강기 틈새 끼임 방지장치
US20210348432A1 (en) Anti-pinch window control system and anti-pinch window control method
JP2022120597A (ja) エレベータ用操作装置、及び該エレベータ用操作装置を備えるエレベータ
KR101913954B1 (ko)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
KR101805569B1 (ko) 엘리베이터 카 도어용 끼임 방지 이중 센서장치
JP7116900B2 (ja) エレベータ用操作装置及びエレベータ
GB2314378A (en) Vehicle:powered sliding window:detecting obstruction
JP2010037015A (ja) エレベータのドア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