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902B1 - 엘리베이터 도어용 손끼임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도어용 손끼임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902B1
KR102147902B1 KR1020190039725A KR20190039725A KR102147902B1 KR 102147902 B1 KR102147902 B1 KR 102147902B1 KR 1020190039725 A KR1020190039725 A KR 1020190039725A KR 20190039725 A KR20190039725 A KR 20190039725A KR 102147902 B1 KR102147902 B1 KR 102147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oving frame
moving
rib
fix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지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지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지트
Priority to KR1020190039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9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용 손끼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도어의 측면 도어 프레임에 고정 설치될 수 있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이동 프레임; 및 상기 이동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 프레임이 상기 고정 프레임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이동 프레임의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이동 프레임에 힘을 가하는 복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은, 기 이동 프레임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 리브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 리브에 밀착되는 슬라이딩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리브를 따라 상기 슬라이딩 리브가 안내되면서 상기 이동 프레임이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이동되는, 손끼임 방지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도어용 손끼임 방지 장치{HAND PROTECTION DEVICE FOR ELEVATOR DO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용 손끼임 방지 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내부에 승객이 탑승한 상태에서 수직 승강하면서 탑승객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으로 대부분의 아파트, 고층건물 등에 설치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는 도어의 원활한 개폐동작을 위해 도어와 문틀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는데, 엘리베이터에 탑승하기 위해 승강장에서 대기하는 승객이 손을 도어 표면에 대고 있는 경우 도어가 열리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고, 손을 도어 표면에 대고 있는 상태에서 문틀과 도어 사이의 틈새로 손이 끼어 상해를 입게 되는 사고가 흔하게 발생한다. 특히, 어린아이의 경우 주의력이 부족하여 이런 손끼임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문틀과 도어 사이의 틈새로 어린 아이들의 손가락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손끼임 방지 장치가 특허문헌 1(한국 등록특허 제10-1761160호 공보(2017.07.19))에서 제시된 바 있다. 이하, 종래의 손끼임 방지 장치에 대해 살펴보면, 다수의 수평 및 수직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출입구에 좌, 우로 자동 개폐되게 설치되는 도어에 적용되어, 고정브라켓, 작동바, 스프링 및 보호커버로 크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손가락이 틈새에 낄 때 작동바가 전방으로 밀려나게 되고, 이로 인해 작동바에 고정된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그 탄성에 의해 고정브라켓에 매립된 단락스위치가 눌려서,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에서 도어가 다시 닫히도록 하여 수직프레임과 도어 사이에 끼인 손가락 또는 이물질을 신속하게 빼낼 수가 있게 되는 방식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손끼임 방지 장치는 손가락이 틈새에 낄 때 작동바가 고정브라켓의 단락스위치를 누르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뿐만 아니라, 누르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 즉, 손가락이 틈새로 진입하는 방향으로 작동바가 틸팅됨으로써 단락스위치가 제대로 눌리지 않아서 소망하는대로 장치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작동바의 틸팅에 따른 반발력으로 인해 손가락에 부하가 걸려서 부상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761160호 공보(2017.07.19)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손가락이 틈새로 진입하는 방향으로 작동바가 틸팅됨으로써 장치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 경우를 방지하고, 작동바의 틸팅에 따른 반발력으로 인해 손가락에 부하가 걸려서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는 손끼임 방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도어의 측면 도어 프레임에 고정 설치될 수 있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이동 프레임; 및 상기 이동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 프레임이 상기 고정 프레임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이동 프레임의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이동 프레임에 힘을 가하는 복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이동 프레임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 리브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 리브에 밀착되는 슬라이딩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리브를 따라 상기 슬라이딩 리브가 안내되면서 상기 이동 프레임이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이동되는, 손끼임 방지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이동 프레임이 이동 가능하게 계합되는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와 연결되는 제2 몸체를 포함하는, 손끼임 방지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몸체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을 상기 벽부에 고정시키는 체결 부재; 및 상기 제2 몸체에 고정되는 커버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제2 몸체에 요입 형성되는 장홈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고,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장홈을 커버하는, 손끼임 방지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제2 몸체에 포함되어 상기 장홈을 형성하는 고정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프레임이 상기 고정 리브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손끼임 방지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이동 프레임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는 돌출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돌출 리브의 단부로부터 단차지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손끼임 방지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프레임은, 가압판; 상기 가압판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리브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계합 리브; 및 상기 슬라이딩 리브의 단부에 굴곡져서 형성되는 이탈 방지턱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리브가 상기 슬라이딩 리브와 상기 계합 리브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이탈 방지턱이 상기 가이드 리브와 상기 돌출 리브의 연결 부분과 간섭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의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한 일 방향 이동이 제한되는, 손끼임 방지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원 부재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제공되는 제1 자석; 및 상기 제1 자석에 대향하도록 상기 이동 프레임에 제공되는 제2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은 상호 간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되는, 손끼임 방지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원 부재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일단이 고정되고,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이동 프레임에 대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손끼임 방지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이동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 프레임이 외력에 의해 상기 고정 프레임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 부재; 및 상기 감지 부재로부터 감지 신호를 전달 받아서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손끼임 방지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 부재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고정되는 압력 센서; 상기 압력 센서에 연결되는 가압봉; 상기 이동 프레임과 접촉되고, 상기 가압봉의 단부에 연결되는 가압헤드; 및 상기 압력 센서와 상기 가압헤드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봉이 상기 압력 센서를 가압하여 상기 감지 신호가 발생되는, 손끼임 방지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원 부재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제공되는 제1 자석; 및 상기 제1 자석에 대향하도록 상기 이동 프레임에 제공되는 제2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은 상호 간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감지 부재는, 상기 제1 자석 및 상기 제2 자석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되는 리드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석 및 상기 제2 자석 중 다른 하나가 상기 리드 스위치에 접촉되면 상기 감지 신호가 발생되는, 손끼임 방지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 부재는, 상기 고정 프레임 및 상기 이동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고주파 또는 초음파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 및 상기 이동 프레임 중 다른 하나가 상기 고주파 또는 초음파 스위치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감지 신호가 발생되는, 손끼임 방지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부재로부터 상기 감지 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구동을 중단하는, 손끼임 방지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프레임의 이동 방향은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표면과 평행 또는 수직인 방향으로 설정되는, 손끼임 방지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손가락이 틈새로 진입하는 방향으로 작동바가 틸팅됨으로써 장치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고, 작동바의 틸팅에 따른 반발력으로 인해 손가락에 부하가 걸려서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끼임 방지 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도어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손끼임 방지 장치에 손가락이 접촉되어 이동 프레임이 고정 프레임을 향해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끼임 방지 장치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손끼임 방지 장치에 손가락이 접촉되어 이동 프레임이 고정 프레임을 향해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끼임 방지 장치의 복원 부재와 감지 부재의 배치 위치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용 손끼임 방지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도어(10)는 예를 들어, 복수의 수평 및 수직프레임들로 이루어진 출입구에 좌, 우로 자동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엘리베이터 도어(10)는 아파트 등의 건물 복도를 구성하는 벽 중 엘리베이터 출입구를 구성하는 벽부(3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 도어(10)의 양 측에 대하여 도어 프레임(20)이 벽부(3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10)와 도어 프레임(20) 및 벽부(30)의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틈새로 손가락이 끼일 경우, 자칫 큰 부상으로 이어질 수도 있으므로, 틈새로 손가락이 낄 경우에 대비하여 손끼임 방지 장치가 도어 프레임(20)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손끼임 방지 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손끼임 방지 장치(100)는 고정 프레임(110), 이동 프레임(120), 복원 부재(130), 체결 부재(140), 커버 프레임(150), 감지 부재(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프레임(110)은 엘리베이터 도어(10)의 측면 도어 프레임(2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고정 프레임(110)은 도어 프레임(20)과 별도로 제작된 후에 설치 공정을 통해 도어 프레임(2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프레임(110)은 도어 프레임(2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고정 프레임(110)은 제1 몸체(110a) 및 제2 몸체(1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110a)에는 이동 프레임(120)이 이동 가능하게 계합되며, 후술할 돌출 리브(111) 및 가이드 리브(1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몸체(110b)는 제1 몸체(110a)와 연결되며, 후술할 고정 리브(114) 및 장홈(116)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110a)와 제2 몸체(110b)는 일직선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몸체(110a)에는 돌출 리브(1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 프레임(120)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리브(112)도 마찬가지로 이동 프레임(120)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 리브(111)의 단부로부터 단차지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고 돌출 리브(111)가 생략된 채로 가이드 리브(112)만이 형성되는 경우도 가능하다.
돌출 리브(111)와 가이드 리브(112)는 모두 제1 몸체(110a)에 대하여 양 측에 돌출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몸체(110a)의 양 측에 형성된 두 개의 돌출 리브(111)와 가이드 리브(112) 사이에 복원 부재(130)가 설치되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리브(112)를 따라 이동 프레임(120)이 고정 프레임(110)에 대하여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안내되면서 이동될 수 있다.
고정 리브(114)는 제2 몸체(110b)에 포함되어 장홈(116)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고정 리브(114)는 제2 몸체(110b)의 양 측에 대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사이 공간에 의해 장홈(11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리브(114) 및 장홈(116) 또한 돌출 리브(111) 및 가이드 리브(112)와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프레임(120)은 고정 프레임(110)에 대하여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가락(F)이 도어 프레임(20)과 엘리베이터 도어(10)의 사이 틈새에 끼일 경우, 이동 프레임(120)이 손가락(F)과 접촉되면서 고정 프레임(110)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되어, 손가락(F)이 틈새에 끼이는 상황임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이동 프레임(120)은 고정 프레임(11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프레임(120)의 이동 방향은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10)의 표면과 평행인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프레임(120)의 이동 방향은 엘리베이터 도어(10)의 표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가압판(122)은 손가락(F)이 틈새에 끼일 때 손가락(F)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으로서, 고정 프레임(110)의 제1 몸체(110a)의 개구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리브(124)는 가압판(122)의 양 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가이드 리브(112)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가이드 리브(112)에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딩 리브(124)가 가이드 리브(112)를 따라 안내되면서 이동 프레임(120)이 고정 프레임(110)에 대하여 이동된다. 또한, 계합 리브(126)는 가압판(122)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슬라이딩 리브(124)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리브(112)가 슬라이딩 리브(124) 계합 리브(126) 사이에 삽입되고, 가이드 리브(112)를 슬라이딩 리브(124)와 계합 리브(126)가 협지한 상태에서 이동 프레임(120)의 슬라이드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리브(124) 및 계합 리브(126) 또한 돌출 리브(111) 및 가이드 리브(112)와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리브(112)가 고정 프레임(110)에 형성되고, 슬라이딩 리브(124)와 계합 리브(126)가 이동 프레임(120)에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서, 가이드 리브가 이동 프레임에 형성되고, 슬라이딩 리브와 계합 리브가 고정 프레임에 형성되도록 변형 실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탈 방지턱(128)은 슬라이딩 리브(124)의 단부에 굴곡져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굴곡진 방향은 돌출 리브(111) 및 가이드 리브(112)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이러한 이탈 방지턱(128)이 가이드 리브(112)와 돌출 리브(111)의 연결 부분과 간섭되어 이동 프레임(120)의 고정 프레임(110)에 대한 일 방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프레임(120)이 고정 프레임(1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이탈 방지턱(128)이 가이드 리브(112)와 돌출 리브(111)의 연결 부분에 형성된 단차와 간섭되어 고정 프레임(110)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이동 프레임(120)이 고정 프레임(1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복원력은 복원 부재(13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복원 부재(130)는 이동 프레임(120)과 고정 프레임(110)의 사이에 배치되며, 이동 프레임(120)이 고정 프레임(11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이동 프레임(120)의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 프레임에 힘을 가하도록 제공된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원 부재(130)는 제1 자석(132) 및 제2 자석(134)을 포함하여 자력에 의해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제1 자석(132)은 고정 프레임(110)에 제공되며, 제2 자석(134)은 제1 자석(132)에 대향하도록 이동 프레임(120)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자석(132)과 제2 자석(134)은 상호 간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되며, 이로써 이동 프레임(120)에는 고정 프레임(1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원 부재(130)의 복원력이 발생되는 원리는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원 부재(130)는 고정 프레임(110)에 일단이 고정되고, 용수철 등과 같이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고정 프레임(110)과 이동 프레임(120)에 대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체결 부재(140)는 제2 몸체(110b)에 체결되어 고정 프레임(110)을 벽부(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체결 부재(140)는 일 예로 나사못 등일 수 있다. 또한, 체결 부재(140)는 제2 몸체(110b)를 관통하여 벽부(3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제2 몸체(110b)에 요입 형성되는 장홈(116)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체결 부재(140)가 나사못으로서 제공될 경우, 체결 부재(140)의 헤드가 장홈(116)에 수용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50)은 제2 몸체(110b)에 고정되며, 장홈(116)을 커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커버 프레임(150)이 고정 리브(114)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 프레임(150) 또한, 돌출 리브(111) 및 가이드 리브(112)와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감지 부재(160)는 고정 프레임(110)과 이동 프레임(120)의 사이에 배치되고, 이동 프레임(120)이 외력에 의해 고정 프레임(110)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감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감지 부재(160)는 압력 센서(162), 가압봉(164), 가압헤드(166) 및 탄성체(168)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센서(162)는 고정 프레임(110)에 고정되며, 가압봉(164)은 압력 센서(162)에 연결된다. 이때, 압력 센서(162)는 가압봉(164)이 외력에 의해 가압되면, 이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발생된 감지 신호는 제어부(17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압력 센서(162)의 구체적인 구조 및 작동 매커니즘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가압헤드(166)는 이동 프레임(120)과 접촉되고, 가압봉(164)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가압헤드(166)는 이동 프레임(120)에 외력이 작용하여 가압되면, 가압헤드(166)도 함께 가압되어 가압봉(164)을 압력 센서(162)로 밀게 되고, 압력 센서(162)는 감지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체(168)는 일 예로 용수철 등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압력 센서(162)와 가압헤드(166)의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가압헤드(166)는 눌린 상태에서 외력이 사라지면 다시 복원력을 받아서 압력 센서(162)로부터 멀어지고, 외력이 작용하기 전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이러한 감지 부재(160)는 다양한 변형예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변형예를 가질 수 있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제1 변형예에 따른 감지 부재(160')는 제1 자석(132) 및 제2 자석(134)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되는 리드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자석(132) 및 제2 자석(134) 중 다른 하나가 리드 스위치에 접촉되면 감지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고, 리드 스위치에 소정 거리 이하로 제1 자석(132) 및 제2 자석(134) 중 다른 하나가 접근함으로써 자력이 감지되면 신호가 발생되도록 리드 스위치가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에서는 고정 프레임(110)에 제공된 제2 자석(134)에 리드 스위치가 부착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리드 스위치가 이동 프레임(120)에 제공된 제1 자석(132)에 부착되어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제2 변형예에 따른 감지 부재(160'')는 고정 프레임(110) 및 이동 프레임(12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고주파 또는 초음파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정 프레임(110) 및 이동 프레임(120) 중 다른 하나가 고주파 또는 초음파 스위치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감지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도 8에서는 고정 프레임(110)에 고주파 또는 초음파 스위치가 설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고주파 또는 초음파 스위치가 이동 프레임(120)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도 6으로 돌아와서, 제어부(170)는 감지 부재(160)로부터 감지 신호를 전달 받아서 엘리베이터 도어(1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감지 부재(160)로부터 감지 신호를 전달받으면, 엘리베이터 도어(10)의 구동을 중단하거나, 다시 닫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70)는 예컨대 소형 내장형 컴퓨터로 이루어질 수 있고, 프로그램, 메모리, CPU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처리부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감지 부재(160)로부터 신호를 받아서 이를 토대로 엘리베이터 도어(10)의 제어를 위한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 기억 매체 예컨대 플렉시블 디스크, 컴팩트 디스크, 하드 디스크, MO(광자기 디스크) 등의 메모리에 저장되어서 제어부(170)에 인스톨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엘리베이터 구동을 위해 마련되는 기계실의 컨트롤 패널 및 홀 도어의 컨트롤 페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어부(170)는 기계실의 컨트롤 패널 및 홀 도어의 컨트롤 패널 중 어느 하나만을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생략되는 것도 엘리베이터가 정상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환경 내에서 구현 가능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도어(10)의 양 측에 도어 프레임(20)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됨으로써 엘리베이터 도어(10)의 양 측면 전체를 커버할 수 있다. 또한, 고정 프레임(110), 이동 프레임(120) 및 커버 프레임(150)은 도어 프레임(20)과 마찬가지로 엘리베이터 도어(10)의 측면 전체에 걸쳐서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 프레임(110)과 이동 프레임(120)의 사이에 복원 부재(130) 및 감지 부재(160, 160', 16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원 부재(130)는 복수 개 제공될 수 있으며, 감지 부재(160, 160', 160'')도 하나 이상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복원 부재(130)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원 부재(130)에 의한 복원력이 상하 방향으로 고르게 작용될 수 있다. 또한, 감지 부재(160, 160', 160'')는 도어 프레임(20)의 상하 방향으로 대략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감지 부재(160, 160', 160'')는 복수 개가 제공되어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손가락이 틈새로 진입하는 방향으로 작동바가 틸팅됨으로써 장치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고, 작동바의 틸팅에 따른 반발력으로 인해 손가락에 부하가 걸려서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 엘리베이터 도어 20: 도어 프레임
30: 벽부 100: 손끼임 방지 장치
110: 고정 프레임 110a: 제1 몸체
110b: 제2 몸체 111: 돌출 리브
112: 가이드 리브 114: 고정 리브
116: 장홈 120: 이동 프레임
122: 가압판 124: 슬라이딩 리브
126: 계합 리브 128: 이탈 방지턱
130: 복원 부재 132: 제1 자석
134: 제2 자석 140: 체결 부재
150: 커버 프레임 160, 160', 160'': 감지 부재
162: 압력 센서 164: 가압봉
166: 가압헤드 168: 탄성체
170: 제어부

Claims (14)

  1. 엘리베이터 도어의 측면 도어 프레임에 고정 설치될 수 있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이동 프레임; 및
    상기 이동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 프레임이 상기 고정 프레임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이동 프레임의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이동 프레임에 힘을 가하는 복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이동 프레임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 리브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 리브에 밀착되는 슬라이딩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리브를 따라 상기 슬라이딩 리브가 안내되면서 상기 이동 프레임이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이동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이동 프레임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는 돌출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프레임은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리브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계합 리브와, 상기 슬라이딩 리브의 단부에 굴곡져서 형성되는 이탈 방지턱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리브가 상기 슬라이딩 리브와 상기 계합 리브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이탈 방지턱이 상기 가이드 리브와 상기 돌출 리브의 연결 부분과 간섭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의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한 일 방향 이동이 제한되는,
    손끼임 방지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이동 프레임이 이동 가능하게 계합되는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와 연결되는 제2 몸체를 포함하는,
    손끼임 방지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을 벽부에 고정시키는 체결 부재; 및
    상기 제2 몸체에 고정되는 커버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제2 몸체에 요입 형성되는 장홈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고,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장홈을 커버하는,
    손끼임 방지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제2 몸체에 포함되어 상기 장홈을 형성하는 고정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프레임이 상기 고정 리브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손끼임 방지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돌출 리브의 단부로부터 단차지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손끼임 방지 장치.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 부재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제공되는 제1 자석; 및
    상기 제1 자석에 대향하도록 상기 이동 프레임에 제공되는 제2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은 상호 간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되는,
    손끼임 방지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 부재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일단이 고정되고,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이동 프레임에 대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손끼임 방지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이동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 프레임이 외력에 의해 상기 고정 프레임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 부재; 및
    상기 감지 부재로부터 감지 신호를 전달 받아서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손끼임 방지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부재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고정되는 압력 센서;
    상기 압력 센서에 연결되는 가압봉;
    상기 이동 프레임과 접촉되고, 상기 가압봉의 단부에 연결되는 가압헤드; 및
    상기 압력 센서와 상기 가압헤드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봉이 상기 압력 센서를 가압하여 상기 감지 신호가 발생되는,
    손끼임 방지 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 부재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제공되는 제1 자석; 및
    상기 제1 자석에 대향하도록 상기 이동 프레임에 제공되는 제2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은 상호 간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감지 부재는,
    상기 제1 자석 및 상기 제2 자석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되는 리드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석 및 상기 제2 자석 중 다른 하나가 상기 리드 스위치에 접촉되거나, 상기 리드 스위치에 의해 자력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 신호가 발생되는,
    손끼임 방지 장치.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부재는,
    상기 고정 프레임 및 상기 이동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고주파 또는 초음파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 및 상기 이동 프레임 중 다른 하나가 상기 고주파 또는 초음파 스위치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감지 신호가 발생되는,
    손끼임 방지 장치.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부재로부터 상기 감지 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구동을 중단하는,
    손끼임 방지 장치.
  14. 제1항 내지 제5 항 또는 제7 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프레임의 이동 방향은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표면과 평행 또는 수직인 방향으로 설정되는,
    손끼임 방지 장치.
KR1020190039725A 2019-04-04 2019-04-04 엘리베이터 도어용 손끼임 방지 장치 KR102147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725A KR102147902B1 (ko) 2019-04-04 2019-04-04 엘리베이터 도어용 손끼임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725A KR102147902B1 (ko) 2019-04-04 2019-04-04 엘리베이터 도어용 손끼임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902B1 true KR102147902B1 (ko) 2020-08-25

Family

ID=72242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725A KR102147902B1 (ko) 2019-04-04 2019-04-04 엘리베이터 도어용 손끼임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90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6469A (ja) * 2006-09-01 2008-03-13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ドア安全装置
KR101732337B1 (ko) * 2017-03-28 2017-05-02 윤일식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KR101761160B1 (ko) 2017-04-14 2017-08-07 주식회사 세명엘리베이터 좌,우 개폐식 도어의 틈새 차단장치
KR101920178B1 (ko) * 2018-03-20 2018-11-19 윤일식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KR102000390B1 (ko) * 2018-03-05 2019-07-15 윤일식 세이프티슈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6469A (ja) * 2006-09-01 2008-03-13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ドア安全装置
KR101732337B1 (ko) * 2017-03-28 2017-05-02 윤일식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KR101761160B1 (ko) 2017-04-14 2017-08-07 주식회사 세명엘리베이터 좌,우 개폐식 도어의 틈새 차단장치
KR102000390B1 (ko) * 2018-03-05 2019-07-15 윤일식 세이프티슈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KR101920178B1 (ko) * 2018-03-20 2018-11-19 윤일식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0175B2 (ja) 開閉可能な車両ルーフ
CN105546793A (zh) 开闭式结构的防夹手装置及具有其的空调设备
KR102147902B1 (ko) 엘리베이터 도어용 손끼임 방지 장치
KR101761160B1 (ko) 좌,우 개폐식 도어의 틈새 차단장치
US3537211A (en) Reversing edge control for car doors
WO2002016250A1 (fr) Dispositif d'ouverture et de fermeture de portes d'ascenseurs et procede de commande de fermeture
JP4620484B2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CN108069328B (zh) 自动扶梯系统
US6223467B1 (en) Motor vehicle sensor arrangement for detecting jamming
KR101804536B1 (ko) 엘리베이터 카 도어용 끼임 방지 센서장치
KR102225996B1 (ko) 엘리베이터 출입문용 손 끼임 방지구
JP2875946B2 (ja) 滑り戸装置
JP3937115B2 (ja) 防火シャッターの安全装置
KR101994032B1 (ko) 손 끼임 방지구조 및 손 끼임 방지모듈
JP2006328748A (ja) 自動ドア装置
JP4003214B2 (ja) パワースライドドア用安全装置
JPH0247793B2 (ko)
JPH09165983A (ja) シャッター用障害物検出装置
JP2530613Y2 (ja) 電動シヤツターの安全装置
EP3549897A1 (en) A handrail safety device for a moving walkway
JPH0826637A (ja) エレベータ扉
KR101878386B1 (ko)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및 엘리베이터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JP6594040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扉安全装置
JP2006248695A (ja) エレベーター出入口の安全装置
KR20180112943A (ko) 현수식 도어용 스토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