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2943A - 현수식 도어용 스토퍼 장치 - Google Patents

현수식 도어용 스토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2943A
KR20180112943A KR1020170044002A KR20170044002A KR20180112943A KR 20180112943 A KR20180112943 A KR 20180112943A KR 1020170044002 A KR1020170044002 A KR 1020170044002A KR 20170044002 A KR20170044002 A KR 20170044002A KR 20180112943 A KR20180112943 A KR 20180112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anger
bracket
door
pres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4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0158B1 (ko
Inventor
윤종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명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명기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명기공
Priority to KR1020170044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158B1/ko
Publication of KR20180112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16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fricti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8Bea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 Hing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수식 도어용 스토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의 개폐 이동을 단속하여 모노레일과 도어의 분리를 방지하며, 단속과정에서의 소음발생 및 충격을 감소시켜 도어의 이동로울러 및 모노레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도어(10) 상부에 이동로울러(31)가 포함된 행거로울러 장치(30)가 조립되고, 상기 이동로울러(31)는 행거의 모노레일(20)에 거치되어, 상기 모노레일(20)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도어(10)를 단속하기 위해 상기 모노레일(20)의 선단에 장착하는 스토퍼 장치(40)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장치(40)는, 상기 모노레일(20)의 프레임 상부에 체결부재(59)를 이용해 고정 결합되는 수평판(55)과, 상기 수평판(55)의 타측에 상향 절곡된 수직판(51)이 형성된 레일고정브라켓(50)과;
플레이트형상을 갖고 일측에 축고정홀(63)을 구비하며, 상기 수직판(51)과 체결부재(59)를 이용해 상호 조립되고, 상부와 하부에는 상부판(61)과 하부걸림편(62)이 절곡 형성된 연결브라켓(60)과;
상기 연결브라켓(60)의 일면에 위치하며, 일측에 구비된 축삽입홀(71)에 나사축(72)이 통과해 연결브라켓(60)의 축고정홀(63)에 체결되면서, 상기 나사축(7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부면에는 스프링삽입홈(73)이 구비되고, 하부면 일단에는 상기 연결브라켓(60)의 하부걸림편(62)에 단속되는 걸림턱(74)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단 방향으로 상기 행거로울러 장치(30)에서 돌출 형성된 걸림축(32)과 맞닿으며 하향 경사지게 구비된 감속면(75)과 상기 행거로울러 장치(30)의 걸림축(32)이 끼워지는 단속홈(76)이 연속 형성된 누름부재(70)와;
상기 연결브라켓(60)의 상부판(61)과 상기 누름부재(70)의 스프링삽입홈(73)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누름부재(70)의 일단에 구비된 걸림턱(74)을 연결브라켓(60)의 하부걸림편(62)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80)를 포함해 구성된다.
또, 누름부재(70)의 감속면(75)은, 걸림턱(74)의 일단과 만곡지게 연결된 일측이 행거로울러 장치(30)의 걸림축(32) 최상단 보다 낮게 위치하면서, 단속홈(76)과 만곡지게 연결된 타측 방향은 상기 걸림축(32)의 수평 중심선 보다 높도록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감속면(75)에 진입하는 걸림축(32)과 마찰되며 진입속도를 감속시키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현수식 도어용 스토퍼 장치 {Stopper device for hinged door}
본 발명은 현수식 도어용 스토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의 개폐 이동을 단속하여 모노레일과 도어의 분리를 방지하며, 단속과정에서의 소음발생 및 충격을 감소시켜 도어의 이동로울러 및 모노레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건물로 이루어진 대형 공장이나 창고 등의 건물에는 물품이나 장비의 입출고를 위한 수단, 예를 들면 지게차가 트럭 등 차량이 출입하기 용이하도록 문턱이 없는 현수식 도어(슬라이딩 도어)가 설치된다.
상기의 현수식 도어는 건물의 출입구를 구성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 상부를 연결하는 행거 프레임에 안내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안내레일에 거치되는 이동로울러가 포함된 도어가 설치되어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도어가 좌우 이송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현수식 도어는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도어를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되게 하였지만,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잡아당기거나 밀어내는 힘에 상기 도어가 안내레일 선단에서 정지되어야 하지만 상기 힘이 상쇄되지 못하여 안내레일을 이탈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었으며, 이로 인해 도어가 분리되면서 심하면 사용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어가 개폐되는 안내레일 선단에 상기 이동롤러의 이동을 단속하는 스토퍼를 고정 장착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제시된 특허등록번호 제10-756912호에서와 같이 롤러구조체가 이동하는 선상에 대응되는 문틀의 지점에는 문체가 문틀과 접촉되기 전에 롤러구조체와 접촉되어 문체의 이동속도를 감소시키는 스토퍼 장치가 결합되며, 상기 스토퍼 장치는 일측에 문틀과 고정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롤러구조체와 일 끝단이 접촉되도록 결합되어 롤러구조체가 감속되며 이동되도록 하는 완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기술이 제시된 바 있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하우징과 접촉부재로 이루어진 완충부재를 별도로 구비한 후 상기 본체에 결합해야 하며, 상기 도어의 진행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직접적으로 접촉부재가 충격되어 상기 완충부재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756912호 미닫이 문용 스토퍼 장치(등록일자 2007년 09월 03일)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현수식 도어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이동레일 선단에 장착된 스토퍼 장치에 의해 도어의 이동 속도를 감속시키면서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도어의 분리방지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를 단순화하여 고장 발생을 방지하고, 도어의 걸림축과 접촉되는 누름부재를 탄성력으로 가압하여 이동되는 걸림축의 이동속도를 감속하면서 상기 걸림축을 고정할 수 있게 형성하여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도어가 닫혀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어(10) 상부에 이동로울러(31)가 포함된 행거로울러 장치(30)가 조립되고, 상기 이동로울러(31)는 행거의 모노레일(20)에 거치되어, 상기 모노레일(20)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도어(10)를 단속하기 위해 상기 모노레일(20)의 선단에 장착하는 스토퍼 장치(40)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장치(40)는, 상기 모노레일(20)의 프레임 상부에 체결부재(59)를 이용해 고정 결합되는 수평판(55)과, 상기 수평판(55)의 타측에 상향 절곡된 수직판(51)이 형성된 레일고정브라켓(50)과;
플레이트형상을 갖고 일측에 축고정홀(63)을 구비하며, 상기 수직판(51)과 체결부재(59)를 이용해 상호 조립되고, 상부와 하부에는 상부판(61)과 하부걸림편(62)이 절곡 형성된 연결브라켓(60)과;
상기 연결브라켓(60)의 일면에 위치하며, 일측에 구비된 축삽입홀(71)에 나사축(72)이 통과해 연결브라켓(60)의 축고정홀(63)에 체결되면서, 상기 나사축(7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부면에는 스프링삽입홈(73)이 구비되고, 하부면 일단에는 상기 연결브라켓(60)의 하부걸림편(62)에 단속되는 걸림턱(74)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단 방향으로 상기 행거로울러 장치(30)에서 돌출 형성된 걸림축(32)과 맞닿으며 하향 경사지게 구비된 감속면(75)과 상기 행거로울러 장치(30)의 걸림축(32)이 끼워지는 단속홈(76)이 연속 형성된 누름부재(70)와;
상기 연결브라켓(60)의 상부판(61)과 상기 누름부재(70)의 스프링삽입홈(73)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누름부재(70)의 일단에 구비된 걸림턱(74)을 연결브라켓(60)의 하부걸림편(62)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80)를 포함해 구성된다.
또, 누름부재(70)의 감속면(75)은, 걸림턱(74)의 일단과 만곡지게 연결된 일측이 행거로울러 장치(30)의 걸림축(32) 최상단 보다 낮게 위치하면서, 단속홈(76)과 만곡지게 연결된 타측 방향은 상기 걸림축(32)의 수평 중심선 보다 높도록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감속면(75)에 진입하는 걸림축(32)과 마찰되며 진입속도를 감속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누름부재(70)의 단속홈(76)은, 반원형상을 갖고 감속면(75)과 만곡지게 연결되는 일측이 행거로울러 장치(30)의 걸림축(32) 수평 중심선 보다 높게 형성하며, 타측은 상기 걸림축(32)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탈방지턱(77)이 연장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브라켓(60)의 양측에는 장공의 높이조절홀(64)을 형성하여 레일고정브라켓(50)의 수직판(51)에 연결브라켓(60)이 높이를 조정가능하게 조립되고, 레일고정브라켓(50)의 수평판(55)에는 장공의 길이조절홀(56)이 형성되어 모노레일(20)의 프레임 상부에 설치 길이를 조정해 장착 가능하고, 레일고정브라켓(50)의 수직판(51)에는, 연결브라켓(60)과 누름부재(70)의 일측에서 상호 연결하는 나사축(72)의 돌출부가 수직판(51)과의 간섭발생을 방지하는 장공의 간섭방지홀(52)을 양측에 형성시켜 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립식 건물이나 대형공장 및 창고 등의 건물에 적용되는 현수식 도어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도어의 과도한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도어의 분리를 방지하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스토퍼 장치의 구성이 간단하여 설치 및 누름부재의 교체가 용이하고, 직접적인 충격이 전달되지 않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어의 이동속도를 감속시킨 다음 상기 도어를 고정하고, 일정 압력을 가해야 도어의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의도치 않은 도어의 이동에 따른 사고를 방지해 사용의 편의성 향상과 함께 상품성 증대 및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 등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현수식 도어용 스토퍼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스토퍼 장치의 설치 상태도.
도 3a 및 도 3c는 본 발명인 스토퍼 장치의 동작 상태도.
본 발명인 현수식 도어용 스토퍼 장치는, 도어 의 개폐 이동을 단속하여 모노레일과 도어의 분리를 방지하며, 단속과정에서의 소음발생 및 충격을 감소시켜 도어의 이동로울러 및 모노레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현수식 도어용 스토퍼 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인 스토퍼 장치(40)는, 도어(10) 상부에 이동로울러(31)가 포함된 행거로울러 장치(30)가 조립되고, 상기 이동로울러(31)는 행거의 모노레일(20)에 거치되어, 상기 모노레일(20)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도어(10)를 단속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모노레일(20)의 선단에 장착되어 도어(10)가 모노레일(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토퍼 장치(40)는 크게 모노레일(20)의 프레임에 장착되는 레일고정브라켓(50)과, 이동로울러(31)와 접촉하는 누름부재(70)와, 상기 누름부재(70)를 레일고정브라켓(50)에 조립하는 연결브라켓(60)과, 상기 누름부재(70)를 지속적으로 눌러 이동로울러(31)의 이동속도를 감속시키는 탄성부재(80)로 구성된다.
상기 레일고정브라켓(50)은, 모노레일(20)의 프레임 상부에 체결부재(59)를 이용해 고정 결합되는 수평판(55)과, 상기 수평판(55)의 타측에 상향 절곡된 수직판(51)이 형성되며, 수평판(55)의 양측에는 길이조절홀(56)이 구비되고, 수직판(51)의 양측에는 장공의 간섭방지홀(52)이 형성된다.
그리고, 레일고정브라켓(50)의 수직판(51) 일면에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연결브라켓(60)이 위치되어, 상기 연결브라켓(60)의 양측에 형성된 장공의 높이조절홀(64)을 통해 체결부재(59)를 삽입해 상기 수직판(51)에 체결 조립되게 한다.
또, 상기 연결브라켓(60)은, 모노레일(20)의 선단방향인 플레이트 일측에 축고정홀(63)이 구비되며, 플레이트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부판(61)과 하부걸림편(62)이 각각 절곡 형성된다.
여기에, 상기 레일고정브라켓(50)의 수직판(51) 양측에는 상기 연결브라켓(60)의 좌,우 이동 및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회전방지걸림편(53)을 연결브라켓(60) 방향으로 절곡 형성시켜, 상기 수직판(51)에 체결부재(59)를 이용해 조립된 연결브라켓(60)의 양측단부가 상기 회전방지걸림편(53)에 걸려져 이동이 단속되게 한다.
또, 레일고정브라켓(50)의 수직판(51)에는, 후술(後述)되는 연결브라켓(60)과 누름부재(70)를 상호 연결하는 나사축(72)의 돌출부가 수직판(51)과의 간섭발생을 방지하는 장공의 간섭방지홀(52)을 양측에 형성시켜, 상기 레일고정브라켓(50)은 좌,우 공용으로 적용해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연결브라켓(60)의 일면에는 도어(10)의 이동로울러(31)와 접촉하는 누름부재(70)가 조립되는데, 상기 누름부재(70)의 형상은 일측에 축삽입홀(71)이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스프링삽입홈(73)이 구비되며, 하부면에는 상기 연결브라켓(60)의 하부걸림편(62)에 단속되는 걸림턱(74)이 일측에 형성되면서 타단 방향 즉 축삽입홀(71)이 형성되어 있는 일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감속면(75)과 단속홈(76)이 연속 형성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누름부재(70)는, 일측의 축삽입홀(71)에 나사축(72)이 통과하여, 연결브라켓(60)의 축고정홀(63)에 체결 조립함으로서, 상기 나사축(72)을 중심으로 누름부재(70)가 회전가능하게 되고, 일측 상부의 스프링삽입홈(73)에 삽입된 탄성부재(80)는 일단이 상기 연결브라켓(60)의 상부판(61)에 체결된 고정부재(81)의 고정로드(82)에 지지된 상태에서 타단이 누름부재(70)의 스프링삽입홈(73)에 끼워져 상기 탄성부재(80)의 탄성력으로 인해 누름부재(70)의 걸림턱(74)을 연결브라켓(60)의 하부걸림편(62)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가압한다.
여기에서, 상기 누름부재(70)의 감속면(75)이 행거로울러 장치(30)의 걸림축(32)과 직접적으로 맞닿으면서, 도어(10) 이동 시 상기 걸림축(32)이 탄성부재(80)를 통해 가압되고 있는 누름부재(70)의 감속면(75)을 밀어 올리면서 이동하므로, 도어(10)의 이동속도를 감속시키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감속면(75)을 걸림축(32)의 수평이동선 보다 하향 경사지게 형성시켜, 도어(10)의 이동속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감속시키도록 하며, 상기 감속면(75)의 일단에 감속된 행거로울러 장치(30)의 걸림축(32)이 끼워지는 단속홈(76)을 연속 형성하여, 행거로울러 장치(30)가 결합된 도어(10)를 고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누름부재(70)의 감속면(75)은, 걸림턱(74)의 일단과 만곡지게 연결된 일측이 행거로울러 장치(30)의 걸림축(32) 최상단 보다 낮게 위치시켜, 행거로울러 장치(30)의 걸림축(32)이 감속면(75)과 부드럽게 접촉되게 하면서, 단속홈(76)과 만곡지게 연결된 타측 방향은 상기 걸림축(32)의 수평 중심선 보다 높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시켜, 상기 감속면(75)을 따라 진입하는 걸림축(32)의 진입속도를 감속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누름부재(70)의 단속홈(76)은, 반원형상을 갖고 감속면(75)과 만곡지게 연결되는 일측이 행거로울러 장치(30)의 걸림축(32) 수평 중심선 보다 높게 형성하여, 사용자가 도어(10)를 당기는 외력에 상기 단속홈(76)에 끼워진 걸림축(32)이 누름부재(70)의 감속면(75)을 들어 올리면서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누름부재(70)의 단속홈(76) 타측은 상기 걸림축(32)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탈방지턱(77)이 더 하향 연장되게 형성하여, 상기 단속홈(76)에 끼워지도록 이동한 걸림축(32)의 속도가 비교적 감속되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이탈방지턱(77)에 걸려 걸림턱(74)이 걸려져 도어(10)가 모노레일(2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현수식 도어용 스토퍼 장치(40)의 작동 구성을 도 3a 내지 도 3c를 참고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행거로울러 장치(30)가 결합된 도어(10)는 모노레일(20)에 이동로울러(31)가 거치되어 상기 모노레일(20)을 따라 좌,우 슬라이드 이동되는데, 상기 행거로울러 장치(30)에 포함된 걸림축(32)이 모노레일(20)의 프레임 양측 선단에 결합된 스토퍼 장치(40)에 단속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스토퍼 장치(40)의 초기 상태로서, 탄성부재(80)의 탄성으로 누름부재(70)의 걸림턱(74)이 연결브라켓(60)의 하부걸림편(62)에 지지된 상태이며, 상기 걸림턱(74)과 라운드 연결된 감속면(75)의 최전방에 도어의 열림작동으로 이동하는 걸림축(32)이 진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누름부재(70)의 감속면(75)은 걸림축(32)의 최상단 보다 더 하부에 위치하여, 진입되는 걸림축(32)이 감속면(75)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면서 도 3b와 같이 상기 누름부재(70)를 밀어 올리면서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누름부재(70)가 나사축(72)을 중심으로 일측이 상부로 회전이동하면서 탄성부재(80)에 더 큰 복원력을 갖게 압축하여, 상기 감속면(75)을 따라 진입되는 걸림축(32)의 속도를 감속시키게 된다.
여기에 상기 누름부재(70)의 감속면(75)은 걸림축(32)의 수평 중심선을 넘지 않은 높이까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나사축(72)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누름부재(70)의 감속면(75)이 걸림축(32)을 지속적으로 가압하면서 속도를 감속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감속면(75)을 통해 열림 작동에 따른 도어의 이동속도를 충분히 감속시킨 상태에서, 도 3c와 같이 상기 걸림축(32)이 누름부재(70)의 단속홈(76)에 끼워져 열려진 도어를 고정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누름부재(70)의 단속홈(76)은 걸림축(32)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므로, 탄성부재(80)의 가압에 따라 누름부재(70)는 나사축(72)을 기준으로 일단의 걸림턱(74)이 연결브라켓(60)의 하부걸림편(62)에 지지되도록 시계반대 방향으로 복귀한다.
여기에서, 상기 누름부재(70)의 단속홈(76)은 반원형상을 갖고 상기 걸림축(32)의 수평 중심선 보다 상부에서 감속면(75)과 만곡지게 연결되어, 감속 이동된 걸림축(32)이 단속홈(76)에 쉽게 끼워지게 하면서, 도어를 닫기 위해서는 상기 단속홈(76)에 끼워진 걸림축(32)이 빠져나오도록 힘을 가해야만 도어가 이동되게 함으로써, 도어의 자유이동을 방지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상기 누름부재(70)의 축삽입홀(71)을 장공으로 형성해 상기 누름부재(70)의 단속홈(76)에 걸림축(32)이 끼워질 때, 상기 나사축(72)을 따라서 누름부재(70)의 일단이 상부로 회전 이동하여 충격을 감소시키면서, 상기 누름부재(70)의 감속면(75)이 단속홈(76) 방향에서 걸림턱(74) 방향으로 수평 또는 하향지게 함으로서, 상기 도어 닫힘 시 걸림축(32)이 감속면(75)에 접촉된 상태에서 쉽게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 도어 20. 모노레일
30. 행거로울러 장치 32. 걸림축
40. 스토퍼 장치 50. 레일고정브라켓
60. 연결브라켓 70. 누름부재
72. 나사축 74. 걸림턱
75. 감속면 76. 단속홈
80. 탄성부재

Claims (5)

  1. 도어(10) 상부에 이동로울러(31)가 포함된 행거로울러 장치(30)가 조립되고, 상기 이동로울러(31)는 행거의 모노레일(20)에 거치되어, 상기 모노레일(20)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도어(10)를 단속하기 위해 상기 모노레일(20)의 선단에 장착하는 스토퍼 장치(40)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장치(40)는,
    상기 모노레일(20)의 프레임 상부에 체결부재(59)를 이용해 고정 결합되는 수평판(55)과, 상기 수평판(55)의 타측에 상향 절곡된 수직판(51)이 형성된 레일고정브라켓(50)과;
    플레이트형상을 갖고 일측에 축고정홀(63)을 구비하며, 상기 수직판(51)과 체결부재(59)를 이용해 상호 조립되고, 상부와 하부에는 상부판(61)과 하부걸림편(62)이 절곡 형성된 연결브라켓(60)과;
    상기 연결브라켓(60)의 일면에 위치하며, 일측에 구비된 축삽입홀(71)에 나사축(72)이 통과해 연결브라켓(60)의 축고정홀(63)에 체결되면서, 상기 나사축(7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부면에는 스프링삽입홈(73)이 구비되고, 하부면 일단에는 상기 연결브라켓(60)의 하부걸림편(62)에 단속되는 걸림턱(74)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단 방향으로 상기 행거로울러 장치(30)에서 돌출 형성된 걸림축(32)과 맞닿으며 하향 경사지게 구비된 감속면(75)과 상기 행거로울러 장치(30)의 걸림축(32)이 끼워지는 단속홈(76)이 연속 형성된 누름부재(70)와;
    상기 연결브라켓(60)의 상부판(61)과 상기 누름부재(70)의 스프링삽입홈(73)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누름부재(70)의 일단에 구비된 걸림턱(74)을 연결브라켓(60)의 하부걸림편(62)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80)를 포함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현수식 도어용 스토퍼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누름부재(70)의 감속면(75)은, 걸림턱(74)의 일단과 만곡지게 연결된 일측이 행거로울러 장치(30)의 걸림축(32) 최상단 보다 낮게 위치하면서, 단속홈(76)과 만곡지게 연결된 타측 방향은 상기 걸림축(32)의 수평 중심선 보다 높도록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감속면(75)에 진입하는 걸림축(32)과 마찰되며 진입속도를 감속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현수식 도어용 스토퍼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누름부재(70)의 단속홈(76)은, 반원형상을 갖고 감속면(75)과 만곡지게 연결되는 일측이 행거로울러 장치(30)의 걸림축(32) 수평 중심선 보다 높게 형성하며, 타측은 상기 걸림축(32)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탈방지턱(77)이 연장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 현수식 도어용 스토퍼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연결브라켓(60)의 양측에는 장공의 높이조절홀(64)을 형성하여 레일고정브라켓(50)의 수직판(51)에 연결브라켓(60)이 높이를 조정가능하게 조립되고, 레일고정브라켓(50)의 수평판(55)에는 장공의 길이조절홀(56)이 형성되어 모노레일(20)의 프레임 상부에 설치 길이를 조정해 장착 가능함을 특징으로 한 현수식 도어용 스토퍼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레일고정브라켓(50)의 수직판(51)에는, 연결브라켓(60)과 누름부재(70)의 일측에서 상호 연결하는 나사축(72)의 돌출부가 수직판(51)과의 간섭발생을 방지하는 장공의 간섭방지홀(52)을 양측에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 현수식 도어용 스토퍼 장치.
KR1020170044002A 2017-04-05 2017-04-05 현수식 도어용 스토퍼 장치 KR101930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002A KR101930158B1 (ko) 2017-04-05 2017-04-05 현수식 도어용 스토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002A KR101930158B1 (ko) 2017-04-05 2017-04-05 현수식 도어용 스토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943A true KR20180112943A (ko) 2018-10-15
KR101930158B1 KR101930158B1 (ko) 2018-12-18

Family

ID=63865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4002A KR101930158B1 (ko) 2017-04-05 2017-04-05 현수식 도어용 스토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01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76156A (zh) * 2022-06-16 2022-07-22 云南昆船电子设备有限公司 一种防止车辆双开滑移门自动开门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9249Y2 (ja) * 1991-10-24 1997-06-25 有限会社ベスト青梅 ドアの跳返り防止装置
JP3280948B2 (ja) * 2000-01-14 2002-05-13 株式会社南極防熱 気密型の引き戸装置
KR101089783B1 (ko) * 2009-10-27 2011-12-07 김야현 미닫이 도어의 완충장치
CA2799761C (en) 2012-12-20 2019-06-11 Fleurco Products Inc. Sliding door stopper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76156A (zh) * 2022-06-16 2022-07-22 云南昆船电子设备有限公司 一种防止车辆双开滑移门自动开门的装置
CN114776156B (zh) * 2022-06-16 2022-10-18 云南昆船电子设备有限公司 一种防止车辆双开滑移门自动开门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0158B1 (ko) 201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95564A1 (en) Door apparatus
US8689945B2 (en) Device for preventing travel of an elevator with its doors open
CA2637080A1 (en) Sliding door with lateral sealing movement
JP2011524478A (ja) 引き戸
KR19980702142A (ko) 이동식 배리어와 배리어 안내수단 사이에 슬라이드식 분리가능한 접속 생성장치
KR20170119212A (ko) 슬라이딩 도어용 롤러 브라켓
KR101930158B1 (ko) 현수식 도어용 스토퍼 장치
JP4913145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US5651429A (en) Elevator safety apparatus
JP2011220054A (ja) 引き戸の制動装置
US9643820B2 (en) Device for preventing travel of an elevator with its doors open
KR102473813B1 (ko) 2연동 안전 중문 구조체
JP2020041372A (ja) 引戸の跳ね返り防止装置
JP3168850U (ja) 引き戸の制動装置
KR102438399B1 (ko) 슬라이딩 도어를 위한 피팅
JP2013241233A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JP6528925B1 (ja) エレベータの戸装置
JP5787585B2 (ja) 扉装置
KR20210054702A (ko) 도어용 슬라이딩식 손 끼임 방지장치
JP6249284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開閉装置
JP2011098837A (ja) エレベータの戸開走行防止装置
KR102147902B1 (ko) 엘리베이터 도어용 손끼임 방지 장치
KR20190030145A (ko) 슬라이딩 창호용 완충장치
JP6229944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開閉装置
KR200327383Y1 (ko) 판타그라프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