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0178B1 -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0178B1
KR101920178B1 KR1020180032066A KR20180032066A KR101920178B1 KR 101920178 B1 KR101920178 B1 KR 101920178B1 KR 1020180032066 A KR1020180032066 A KR 1020180032066A KR 20180032066 A KR20180032066 A KR 20180032066A KR 101920178 B1 KR101920178 B1 KR 101920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oor
elevator
magnet
rotat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일식
Original Assignee
윤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일식 filed Critical 윤일식
Priority to KR1020180032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0178B1/ko
Priority to CN201880090915.2A priority patent/CN111819146B/zh
Priority to PCT/KR2018/013946 priority patent/WO2019182223A1/ko
Priority to JP2020550773A priority patent/JP6893290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0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0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6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los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문틀 바깥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자석을 이용해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경고등이나 경고음을 내어 승객에게 손끼임을 경고하여 손끼임을 방지하는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문틀과 도어 사이의 간격에 사람의 손이 끼이면 회동프레임(30)이 회전하면서 제1 자석(50)과 제2 자석(52)이 근접하여 통전되어 엘리베이터 홀도어(D)의 동작을 멈추거나 개폐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사람의 손이 상기 간격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회동프레임(30)에 작용하는 외력이 없어지면 상기 제1 자석(40)과 제2 자석(52)의 같은 자극끼리의 척력에 의해 회동프레임(30)이 바깥쪽으로 회전하며, 이때 회동프레임(30)의 걸림턱(32)이 지지프레임의 스토퍼(42)에 걸려 회동프레임(30)이 문틀(10) 밖으로 돌출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SAFETY DEVICE OF ELEVATOR FOR HAND PROTEC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문틀 바깥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자석을 이용해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경고등이나 경고음을 내어 승객에게 손끼임을 경고하여 손끼임을 방지하는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도어(D)의 원활한 개폐동작을 위해 도어(D)와 문틀(10)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고 있는데, 엘리베이터에 탑승하기 위해 승강장에서 대기하는 승객이 손을 도어 표면에 대고 있는 경우 도어(D)가 열리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고 손을 도어 표면에 대고있는 상태에서 문틀과 도어 사이의 틈새로 손이 끼어 상해를 입게되는 사고가 흔하게 발생한다. 특히, 어린아이의 경우 주의력이 부족하여 이런 손끼임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국민안전처가 2016년 2월 19일 발행한 통계자료에 의하면 지난 10년간 총 319건의 안전사고가 발생하여 365명의 사상자가 발생하였고, 이중 사망자는 91명이었다. 이중 손끼임 사고의 경우 3주 이상 치료가 필요한 중대사고는 매년 1건 정도 발생하였으며, 한국소비자원에 신고된 경미한 사고는 '13년 79건, '14년 103건, '15년 92건에 달하였다. 이런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국내 승강기법은 엘리베이터 도어와 문틀 사이의 틈새기준을 종전의 10mm에서 5mm로 강화하기도 하였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2017년 3월 28일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를 출원하여 특허 1732337호로 등록받았다.
도 1은 이런 종래의 발명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본 출원인의 종래의 발명은 회동프레임이 외력에 의해 안쪽으로 밀리면 스위치가 작동되고 외력이 없어지면 스프링에 의해 회동프레임이 원위치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그러나, 이런 구조에서는 회동프레임이 문틀(10) 밖으로 돌출하지 않게 제작하기가 상당히 어려워, 파단선으로 도시한 것처럼 회동프레임이 문틀보다 밖으로 튀어나오는 문제가 있다. 이렇게 회동프레임이 밖으로 돌출하면 외관이 보기가 좋지 않음은 물론, 엘리베이터를 출입하는 승객이나 물체에 걸릴 우려도 많다.
또한, 회동프레임 안쪽으로 스프링식 스위치를 설치해야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이런 스프링을 매립형으로 설치하는 작업이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 회동프레임과 스프링식 스위치 사이가 개방되어 있어, 먼지나 이물질이 스프링식 스위치로 쉽게 유입되어 스위치의 오작동을 일으키는 문제도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는 상당히 자주 여닫히며 이곳을 출입하는 승객과 물건도 아주 많다. 이런 상황에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아주 많이 발생하므로, 이런 이물질이 스위칭에 유입되는 것은 아주 큰 문제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런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회동프레임이 문틀 밖으로 돌출하는 것을 방지하고, 스프링식 스위치 대신 설치가 간단한 자석을 이용해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개방형이 아닌 폐쇄형 구조를 채택하여 구조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런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문틀(10)과 엘리베이터의 홀도어(D) 사이에서 상기 문틀(10)의 단턱부의 전장에 걸쳐 설치되는 단면이 ㄷ자 형태인 고정프레임(20);
고정프레임(20)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단면이 ㄷ자 형태의 판형 회동프레임(30);
고정프레임(20)의 측벽(22)에서 연장되는 단면이 L형인 지지프레임(40);
지지프레임(40)의 단부가 안쪽으로 휘어져 돌출한 스토퍼(42);
회동프레임(30)의 단부가 바깥쪽으로 휘어져 상기 스토퍼(42)에 맞물리도록 되어있는 걸림턱(32);
지지프레임(40)의 바닥벽(44)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제1 자석(50);
회동프레임(30)의 안쪽 표면에 설치되고, 회동프레임(30)이 안쪽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자석(50)과 같은 극끼리 맞닿게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2 자석(52);
제1 자석(50) 사이로 지지프레임(40)에 설치되고, 엘리베이터와 도어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C)에 연결된 스위치(SW);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에 사람의 손이 끼이면 회동프레임(30)이 회전하면서 상기 스위치(SW)가 작동되어 엘리베이터 도어(D)의 동작을 멈추거나 개폐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사람의 손이 상기 간격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회동프레임(30)에 작용하는 외력이 없어지면 상기 제1 자석(50)과 제2 자석(52)의 같은 자극끼리의 척력에 의해 회동프레임(30)이 바깥쪽으로 회전하며, 이때 회동프레임(30)의 걸림턱(32)이 지지프레임의 스토퍼(42)에 걸려 회동프레임(30)이 문틀(10) 밖으로 돌출하는 것을 방지하며, 지지프레임(40)과 회동프레임(30)이 결합된 밀폐구조로 인해 내부로의 이물질 침입이 방지되는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자석(50) 사이로 지지프레임(40)에 스위치(SW)를 더 설치할 수 있고, 이 스위치(SW)는 컨트롤러(C)에 연결되며 회동프레임(30)이 안쪽으로 회전하면 스위치(SW)가 작동되어 컨트롤러(C)에 의해 홀도어(D)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회동프레임(30)의 바깥면에 LED를 포함한 다수의 경고등(60)이 설치되어 컨트롤러(C)에 연결되고, 이런 경고등(60)을 투광성 재료의 커버(70)로 덮으며, 상기 회동프레임(30)이 안쪽으로 회전하면 컨트롤러(C)에 의해 경고등(60)이 발광되어 승객에게 시각적 경고를 할 수도 있다.
또, 컨트롤러(C)에 엘리베이터에 설치된 스피커(SP)가 연결되고, 회동프레임(30)이 안쪽으로 회전하면 컨트롤러(C)에 의해 스피커(SP)에서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고정프레임(20)의 바닥에 체결구(3)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26)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구멍(26)이 엘리베이터 도어(D)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기다란 장공 형태이며, 체결구(3)를 장공 구멍(26)에 삽입해 문틀(10)에 조일 때 장공 구멍(26)을 통해 고정프레임(20)을 움직여 문틀과 엘리베이터 도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안전장치에 의하면, 평상시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회동프레임이 문틀 밖으로 돌출하는 것을 방지하여 승객이나 물체의 엘리베이터 출입을 방해하지 않고, 스프링식 스위치 대신 자석을 이용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설치작업을 크게 단순화할 수 있음은 물론, 아닌 폐쇄형 구조를 채택하여 장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치의 수명을 연장하고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손끼임 방지장치의 일례의 단면도;
도 2는 승객이 대기하고 있는 상태에서 본 발명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분리도;
도 5는 별도의 스위치(SW)의 배치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6은 스위치(SW)가 제1 자석들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서 지지프레임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7은 지지프레임에 설치된 스위치(SW)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승객이 대기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고, 도 3은 요부확대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분리도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의 문틀(10)의 단턱부에 본 발명의 안전장치가 설치된다. 즉, 문틀(10)과 엘리베이터의 홀도어(D) 사이에서 상기 문틀(10)의 단턱부의 전장에 걸쳐 단면이 대략적으로 ㄷ자 형태인 고정프레임(20)이 설치된다. 고정프레임(20)의 내부에 볼트나 나사와 같은 체결구가 설치되어 고정프레임(20) 전체가 문틀(10)에 고정된다.
고정프레임(20)의 일단부, 특히 고정프레임의 측벽(22)의 일단부에 단면이 대략 ㄱ 자 형태의 판형 회동프레임(3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 고정프레임(20)의 측벽(22)에서 단면이 L형인 지지프레임(40)이 일체로 연장되는데, 후술하는 자석들끼리 맞닿도록 하기 위해, 지지프레임(40)의 바닥면은 문틀(10)에 대해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
회동프레임(30)이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프레임(40)의 단부에는 스토퍼(42)가 안쪽으로 휘어져 돌출해 있고, 회동프레임(30)의 단부에는 스토퍼(42)에 맞물리는 걸림턱(32)이 바깥쪽으로 휘어져 돌출해있다.
지지프레임(40)의 비스듬한 바닥벽(44)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 자석(50)이 설치된다. 이들 제1 자석(50) 사이의 간격은 필요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또, 회동프레임(30)의 안쪽 표면에는 제1 자석(50)에 대응되는 위치로 제2 자석(52)이 설치되는데, 회동프레임(30)이 안쪽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이들 제1 자석(50)과 제2 자석(52)은 같은 극끼리 맞닿도록 배치된다.
다수의 제1 자석들(50) 사이로 지지프레임(40) 하나 이상의 스위치(SW)가 설치되고 컨트롤러(C)에 연결되며, 회동프레임(30)이 안쪽으로 회전하면 스위치(SW)가 작동되면서 컨트롤러(C)에 의해 엘리베이터 홀도어(D)의 작동을 멈추거나 개폐속도를 제어하고, 엘리베이터와 도어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런 스위치로는 압력을 받으면 작동하는 스프링 작동식 스위치나, 자석의 근접에 의해 자기회로가 형성되어 통전되는 리드스위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리드스위치일 경우에는, 회동프레임(30)의 대응 부분에 자석이 설치된다(도 6 참조).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문틀과 도어 사이의 간격에 사람의 손이 끼이면 회동프레임(30)이 안쪽으로 회전하면서 스위치(SW)가 작동되어 엘리베이터 홀도어(D)의 동작을 멈추거나 개폐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사람의 손이 상기 간격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회동프레임(30)에 작용하는 외력이 없어지면 제1 자석(50)과 제2 자석(52)의 같은 자극끼리의 척력에 의해 회동프레임(30)이 바깥쪽으로 회전하며, 이때 회동프레임(30)의 걸림턱(32)이 지지프레임의 스토퍼(42)에 걸려 회동프레임(30)이 문틀(10) 밖으로 돌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20)의 바닥에 체결구(3)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26)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구멍(26)은 엘리베이터 도어(D)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기다란 장공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체결구(3)를 장공 구멍(26)에 삽입해 문틀(10)에 조일 때 장공 구멍(26)을 통해 고정프레임(20)을 (도면에서 보아 위아래로) 움직여 문틀과 엘리베이터 도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물론, 고정프레임(20)의 개구부는 마감커버(5)로 닫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별도의 스위치(SW)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5는 이런 스위치(SW)가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스위치(SW)를 배치하고, 이 스위치가 컨트롤러(C)에 연결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컨트롤러(C)가 엘리베이터나 부근에 설치된 스피커(SP)에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는 좌측 부분에만 스위치(SW)가 도시되어 있지만, 우측에도 동일한 스위치(SW)가 배치된다.
이런 스위치(SW)는 제1 자석들(50)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서 지지프레임(4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이런 관계를 잘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7은 지지프레임(40)에 설치된 스위치(SW)를 보여준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프레임(30)이 안쪽으로 회전하면 스위치(SW)가 작동되어 컨트롤러(C)에 의해 홀도어(D)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도 3~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프레임(30)의 바깥면에 LED를 포함한 다수의 경고등(6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경고등(60)은 컨트롤러(C)에 연결되고, 투광성 재료의 커버(70)로 덮어 보호한다. 회동프레임(30)이 안쪽으로 회전하면 컨트롤러(C)에 의해 경고등(60)이 발광되어 승객에게 시각적 경고를 할 수 있어, 손끼임 방지에 효과적이다.
또, 컨트롤러(C)에 엘리베이터에 설치된 스피커(SP)가 연결되고, 회동프레임(30)이 안쪽으로 회전하면 자석들의 근접에 의한 리드스위치의 작동이나 스위치(SW)의 작동에 의해, 컨트롤러(C)가 스피커(SP)에서 경고음을 내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런 경고음은 경고등에 의한 시각적 경고와 동시에나 별도로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끼임 상황이 발생하면 경고등(60)을 통해 승객에게 시각적 경고를 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고등이 적색으로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 또, 이런 경고등의 발광 색상을 컨트롤러로 제어하여, 예를 들면 백색은 도어 여닫힘, 녹색은 엘리베이터 도착을 표시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내도록 할 수도 있다.

Claims (4)

  1. 엘리베이터 도어의 문틀(10)과 엘리베이터의 홀도어(D) 사이에서 상기 문틀(10)의 단턱부의 전장에 걸쳐 설치되는 단면이 ㄷ자 형태인 고정프레임(20);
    상기 고정프레임(20)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단면이 ㄷ자 형태의 판형 회동프레임(30);
    상기 고정프레임(20)의 측벽(22)에서 연장되는 단면이 L형인 지지프레임(40);
    상기 지지프레임(40)의 단부가 안쪽으로 휘어져 돌출한 스토퍼(42);
    상기 회동프레임(30)의 단부가 바깥쪽으로 휘어져 상기 스토퍼(42)에 맞물리도록 되어있는 걸림턱(32);
    상기 지지프레임(40)의 바닥벽(44)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제1 자석(50);
    상기 회동프레임(30)의 안쪽 표면에 설치되고, 회동프레임(30)이 안쪽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자석(50)과 같은 극끼리 맞닿게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2 자석(52);
    상기 제1 자석(50) 사이로 지지프레임(40)에 설치되고, 엘리베이터와 도어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C)에 연결된 스위치(SW);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에 사람의 손이 끼이면 회동프레임(30)이 회전하면서 상기 스위치(SW)가 작동되어 엘리베이터 도어(D)의 동작을 멈추거나 개폐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사람의 손이 상기 간격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회동프레임(30)에 작용하는 외력이 없어지면 상기 제1 자석(50)과 제2 자석(52)의 같은 자극끼리의 척력에 의해 회동프레임(30)이 바깥쪽으로 회전하며, 이때 회동프레임(30)의 걸림턱(32)이 지지프레임의 스토퍼(42)에 걸려 회동프레임(30)이 문틀(10) 밖으로 돌출하는 것을 방지하며, 지지프레임(40)과 회동프레임(30)이 결합된 밀폐구조로 인해 내부로의 이물질 침입이 방지되며;
    상기 회동프레임(30)의 바깥면에 LED를 포함한 다수의 경고등(60)이 설치되어 컨트롤러(C)에 연결되고, 이런 경고등(60)을 투광성 재료의 커버(70)로 덮으며, 상기 회동프레임(30)이 안쪽으로 회전하면 컨트롤러(C)에 의해 경고등(60)이 발광되어 승객에게 시각적 경고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C)에 엘리베이터에 설치된 스피커(SP)가 연결되고, 회동프레임(30)이 안쪽으로 회전하면 상기 컨트롤러(C)에 의해 스피커(SP)에서 경고음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20)의 바닥에 체결구(3)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26)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26)은 엘리베이터 도어(D)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기다란 장공 형태이며, 체결구(3)를 장공 구멍(26)에 삽입해 문틀(10)에 조일 때 장공 구멍(26)을 통해 고정프레임(20)을 움직여 문틀과 엘리베이터 도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4. 삭제
KR1020180032066A 2018-03-20 2018-03-20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KR101920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066A KR101920178B1 (ko) 2018-03-20 2018-03-20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CN201880090915.2A CN111819146B (zh) 2018-03-20 2018-11-15 电梯防夹手安全装置
PCT/KR2018/013946 WO2019182223A1 (ko) 2018-03-20 2018-11-15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JP2020550773A JP6893290B2 (ja) 2018-03-20 2018-11-15 エレベータの手挟み防止用安全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066A KR101920178B1 (ko) 2018-03-20 2018-03-20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0178B1 true KR101920178B1 (ko) 2018-11-19

Family

ID=64561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066A KR101920178B1 (ko) 2018-03-20 2018-03-20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893290B2 (ko)
KR (1) KR101920178B1 (ko)
CN (1) CN111819146B (ko)
WO (1) WO201918222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902B1 (ko) * 2019-04-04 2020-08-25 주식회사 다지트 엘리베이터 도어용 손끼임 방지 장치
WO2020197234A1 (ko) * 2019-03-25 2020-10-01 윤일식 자동문 안전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34081B (zh) * 2022-01-26 2023-08-04 浙江智菱科技有限公司 一种电梯门防夹异物装置及检测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4390B1 (ko) * 2005-08-19 2006-10-16 전정희 유리문용 손보호구
KR101732337B1 (ko) * 2017-03-28 2017-05-02 윤일식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068B1 (ko) * 2012-10-11 2013-02-27 이호연 도파로 시트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CN104176606A (zh) * 2013-05-24 2014-12-03 浙江法斯特电梯有限公司 一种防夹手电梯
CN203740832U (zh) * 2014-01-22 2014-07-30 深圳市特种设备安全检验研究院 一种电梯门防夹装置
KR200485697Y1 (ko) * 2016-11-21 2018-02-08 윤호원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소음방지 및 손끼임방지장치
KR101779765B1 (ko) * 2016-12-23 2017-09-19 김정호 도어 고장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용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4390B1 (ko) * 2005-08-19 2006-10-16 전정희 유리문용 손보호구
KR101732337B1 (ko) * 2017-03-28 2017-05-02 윤일식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7234A1 (ko) * 2019-03-25 2020-10-01 윤일식 자동문 안전시스템
KR20200113469A (ko) * 2019-03-25 2020-10-07 윤일식 자동문 안전시스템
KR102163189B1 (ko) 2019-03-25 2020-10-08 윤일식 자동문 안전시스템
CN113597497A (zh) * 2019-03-25 2021-11-02 尹一植 自动门安全系统
CN113597497B (zh) * 2019-03-25 2022-08-26 尹一植 自动门安全系统
US11566462B2 (en) 2019-03-25 2023-01-31 Il Shik Yoon Safety system for automatic door
KR102147902B1 (ko) * 2019-04-04 2020-08-25 주식회사 다지트 엘리베이터 도어용 손끼임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819146A (zh) 2020-10-23
WO2019182223A1 (ko) 2019-09-26
CN111819146B (zh) 2021-04-09
JP6893290B2 (ja) 2021-06-23
JP2021510787A (ja) 2021-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0178B1 (ko)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US20180111792A1 (en) Elevator virtual hall call panel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on
US5226256A (en) Window system for a building
US6962239B2 (en) Sliding door system with optical detector for safe door opening and closing
KR20150000092U (ko) 차문개폐 시의 자동조명강화 및 경고용 안전장치
KR102060255B1 (ko)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KR102245816B1 (ko)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장치
JPH07228459A (ja) 昇降機の敷居段差報知装置および戸閉まり報知装置
KR200489836Y1 (ko) 주차장용 입출고 경보 시스템
JP2009113981A (ja) エレベータの天井照明装置
KR101840973B1 (ko) 세이프티슈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KR101769732B1 (ko)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CN211733527U (zh) 电梯用防水防尘走线结构
KR102358873B1 (ko) 현관문 방범장치
KR102225996B1 (ko) 엘리베이터 출입문용 손 끼임 방지구
KR200355804Y1 (ko) 열차 플랫폼 안전장치
KR0139220Y1 (ko) 전자석을 이용한 도어 개폐장치
JP2003252555A (ja) エレベーター出入口の戸動作表示装置
JPH0656377A (ja) エレベーターの敷居溝異物混入防止装置
WO2017069788A1 (en) Fire safety visial aid
KR102012223B1 (ko) 공동주택용 와이어 차량 진출입장치
GB2327522A (en) A window or door stop and alarm device
KR102360272B1 (ko) 음성 및 점멸형 유도등
KR101266702B1 (ko) 실내용 도어 손잡이
JP2002046966A (ja) エレベータ用浸水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