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3469A - 자동문 안전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문 안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3469A
KR20200113469A KR1020190033694A KR20190033694A KR20200113469A KR 20200113469 A KR20200113469 A KR 20200113469A KR 1020190033694 A KR1020190033694 A KR 1020190033694A KR 20190033694 A KR20190033694 A KR 20190033694A KR 20200113469 A KR20200113469 A KR 20200113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safety system
leading edge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3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3189B1 (ko
Inventor
윤일식
Original Assignee
윤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일식 filed Critical 윤일식
Priority to KR1020190033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189B1/ko
Priority to CN202080022067.9A priority patent/CN113597497B/zh
Priority to JP2021555481A priority patent/JP7072732B2/ja
Priority to US17/439,750 priority patent/US11566462B2/en
Priority to PCT/KR2020/003985 priority patent/WO2020197234A1/ko
Priority to SG11202110357QA priority patent/SG11202110357QA/en
Publication of KR20200113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E05F15/42Detection using safety 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88Edge-protecting devices for door le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5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E05F15/42Detection using safety edges
    • E05F15/43Detection using safety edges responsive to disruption of energy beams, e.g. light or s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E05F15/42Detection using safety edges
    • E05F15/43Detection using safety edges responsive to disruption of energy beams, e.g. light or sound
    • E05F2015/432Detection using safety edges responsive to disruption of energy beams, e.g. light or sound with acoustical sensors
    • E05F2015/433Detection using safety edges responsive to disruption of energy beams, e.g. light or sound with acoustical sensors using reflection from the ob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6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E05Y2400/32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by using absolute position sensors
    • E05Y2400/324Swi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문과 문틀 사이의 틈새에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고 자동문이 장애물에 걸리면 작동을 정지시키는 안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런 안전시스템에서, 문틀(10)에 대해 틈새(d)를 두고 슬라이딩 운동하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판형 재료로 이루어진 도어(D1)가, 이 도어(D1)를 오픈하기 위한 누름스위치가 설치된 기둥(20)에 대해 슬라이딩 운동하면서 개폐될 때 안전사고를 방지한다. 이런 자동문 안전시스템은 도어(D1)의 전연부를 따라 설치된 제1 스위치수단(S1)과, 도어(D1)의 표면과 문틀(10)의 전단부 사이의 틈새(d)를 가리도록 문틀(10)의 전단부에 설치된 제2 스위치수단(S2)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문 안전시스템{Safety System of Automatic Doors}
본 발명은 자동문 안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자동문과 문틀 사이의 틈새에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고 자동문이 장애물에 걸리면 작동을 정지시키는 안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개 유리문으로 이루어진 자동문은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열리거나, 자동문 옆의 기둥에 설치된 개방스위치, 대부분 푸시형인 누름스위치를 누르면 자동으로 열리도록 되어있다.
이렇게 자동으로 열리는 자동문은 문틀과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으며(이런 간격을 이후 '틈새'라 함), 이런 틈새를 통해서는 물론 자동문이 닫혀있는 상태에서도 자동문의 접촉부 사이로 외부의 찬공기가 따뜻한 실내로 유입되어 실내온도를 낮추는 경우가 흔하다.
또한, 양문형이나 도어가 하나만 있는 자동문의 경우 자동문이 닫히는 도중에 사람이나 동물이나 기타 장애물(이후 총칭하여 '물체'라 함)이 끼이게 되면 물체에 충격이 가해지게 된다.
또, 엘리베이터의 도어와 마찬가지로, 자동문이 움직이는 도중에 물체, 특히 사람의 손이 손가락이 틈새에 끼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손가락이 다칠 수도 있으므로, 손가락이나 기타 물체가 틈새에 끼이자 마자 자동문의 작동을 멈추게 할 필요가 있지만, 현재 이런 기능을 갖춘 자동문은 극히 드물다.
또한, 자동문은 대부분 투명한 유리로 이루어진 경우가 많아, 자동문이 움직이는 상태를 사람이 육안으로 구분하기가 극히 힘들어, 움직이는 자동문에 사람이 부딪치거나 위와 같이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없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틈새에 사람의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틈새와 자동문 접촉부 사이로 외부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움직이는 자동문에 물체가 걸리면 이를 감지해 즉각 동작을 멈추거나 반전시키도록 하여 물체를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자동문의 동작상태를 외부에서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자동문의 움직임을 미리 알도록 함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런 목적 달성을 위해, 문틀(10)에 대해 틈새(d)를 두고 슬라이딩 운동하는 판형 재료로 이루어진 도어(D1)가, 이 도어(D1)를 오픈하기 위한 누름스위치가 설치된 기둥(20)에 대해 슬라이딩 운동하면서 개폐될 때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자동문 안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어(D1)의 전연부를 따라 설치된 제1 스위치수단(S1)이 도어(D1)의 전연부를 감싸면서 도어에 고정되는 제1 고정프레임(100)과, 제1 고정프레임에 대해 힌지식 회전운동을 하는 제1 회전프레임(110)과, 제1 회전프레임(110) 내부에 설치되어 제1 회전프레임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1 감지수단(120)을 포함하여;
제1 회전프레임(110)의 회전운동을 감지하며, 감지된 신호를 자동문 제어기로 전달하여 자동문의 동작을 정지시키거나 반전시키는 자동문 안전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평면도로 보았을 때 상기 제1 회전프레임(110)은 단면이 아아치형이고, 제1 고정프레임(100)의 전연부의 길이 전체나 일부를 따라 뻗어있으며, 일단부(112)는 제1 회전프레임의 회전축을 형성하고, 타단부(114)는 제1 고정프레임(100)의 전연부에 대해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감지수단(120)은 제1 고정프레임(100)의 전연부나 제1 회전프레임(110)의 전연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 제1 회전프레임(110)의 전단부에 설치된 탄성돌출부(130)를 더 포함하고, 이 탄성돌출부(130)는 제1 회전프레임(100)의 전단부를 따라 뻗어있으며, 물체에 부딪쳤을 때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면서 방풍기능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안전시스템은 도어(D1)의 표면과 문틀(10)의 전단부 사이의 틈새(d)를 가리도록 상기 문틀(10)의 전단부에 설치된 제2 스위치수단(S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스위치수단(S2)은 평면도로 보았을 때, 상기 문틀(10)의 전연부를 감싸면서 문틀에 고정되고 문틀에 직각으로 도어(D1)를 향해 돌출한 고정판(202)을 갖는 제2 고정프레임(200), 제2 고정프레임(200)의 고정판(202)에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되고 탄성체로 이루어진 틈새가림판(210), 상기 고정판(202)에 설치되고 제1 회전프레임(11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고정판(202)에 대해 힌지식 회전운동을 하는 제2 회전프레임(230), 및 제2 회전프레임(230) 내부에 설치되어 제2 회전프레임(23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2 감지수단(24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판(202) 및 틈새가림판(210) 중의 적어도 하나에 도어(D1)에 직각인 방향으로 기다란 장공이 다수 형성되어 있고, 이런 장공들을 이용해 볼트를 포함한 체결구로 틈새가림판을 고정판에 대해 원하는 위치로 움직여 고정함으로써 문틀과 도어 사이의 어떤 길이의 틈새(d)도 틈새가림판(210)이 완전히 가릴 수 있으며;
상기 제2 감지수단(240)은 제3 고정프레임(220)의 전연부를 따라 또는 제2 회전프레임(230)의 전연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제2 회전프레임(230)의 회전운동을 감지하며, 감지된 신호를 자동문 제어기로 전달하여 도어(D1)의 동작을 정지시키거나 반전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안전시스템이 도어(D1)에 맞닿아 슬라이딩 운동하는 제2 도어(D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도어(D2)에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수단들과 동일한 구조의 스위치수단들이 배치되지만, 제2 도어(D2)의 제1 회전프레임(110)의 전단부에는 상기 탄성돌출부(130)와 암수결합하는 홈부(140)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 전술한 제1 감지수단(120)과 제2 감지수단(240)이 초음파센서, 푸시스위치, 리드스위치 및 자석스위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1 회전프레임(110)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LED를 포함한 다수의 발광수단(150)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 감지수단(120)이 제1 회전프레임(110)의 운동을 감지하거나 도어의 작동시에 상기 발광수단(150)이 빛을 내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발광수단(150)이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커버(160)로 덮이며 이 커버(160)의 전단부에 상기 탄성돌출부(130)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자동문 안전시스템에 의하면, 문틀과 도어 사이의 틈새에 사람의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의 찬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움직이는 자동문에 물체가 걸리면 이를 감지해 즉각 동작을 멈추거나 반전시키도록 하여 출입 승객 등이 다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문의 동작상태를 쉽게 인지할 수 있어, 자동문의 작동으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자동문이 하나인 기본형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적용한 예의 평면도;
도 2A는 볼트를 사용한 본 발명의 제1 스위치수단(S1)을 자세히 보여주는 단면도, 도 2B는 접착제를 사용한 예의 단면도;
도 3은 제1 감지수단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들;
도 4A는 본 발명의 제2 스위치수단(S2)을 자세히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B는 틈새(d)에 맞게 조정하는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B는 구조를 약간 변경한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양문형 자동문의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양문형 자동문의 탄성홈부를 자세히 보여주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제1 스위치수단의 단면도;
도 7은 시각적 인식수단을 더 배치한 예의 단면도.
도 1은 자동문이 하나인 기본형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적용한 예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1)는 대부분 건물 벽체로 이루어진 문틀(10)에 대해 틈새(d)를 두고 슬라이딩 운동하고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판형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 도어(D1)를 오픈하기 위한 누름스위치(2)가 폐쇄 상태의 도어(D1)가 맞닿는 기둥(20)에 설치되어 있고, 누름스위치(2)가 눌리면 도어(D1)는 화살표(A) 방향으로 움직여 개방된다.
도어(D1)의 전연부, 즉 도 1에서 도어(D1)의 추측 단부의 가장자리를 제1 스위치수단(S1)이 설치되고, 도어(D1)의 표면과 문틀(10)의 전단부 사이의 틈새(d)를 가리도록 문틀(10)의 전단부에 제2 스위치수단(S2)이 설치된다.
도 2는 제1 스위치수단(S1)을 자세히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어(D1)를 위에서 보았을 때, 제1 스위치수단(S1)은 도어(D1)의 전연부를 감싸면서 도어에 고정되는 제1 고정프레임(100), 제1 고정프레임에 대해 힌지식 회전운동을 하는 제1 회전프레임(110), 및 제1 회전프레임(110) 내부에 설치되어 제1 회전프레임(11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1 감지수단(120)을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회전프레임(110)의 전단부에 탄성돌출부(130)가 설치될 수도 있는데, 이런 탄성돌출부(130)가 회전프레임이 아닌 다른 부분에 설치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 고정프레임(100)은 도어에 볼트와 같은 체결구로 단단하게 고정되거나(도 2A), 접착제에 의해 도어에 접착될 수도 있다(도 2B).
제1 회전프레임(110)은 단면이 직사각형에 가까운 아아치형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정사각형이나 다른 다각형이나 타원형 등 어떤 형상도 가능하다. 이런 제1 회전프레임(110)은 제1 고정프레임(100)의 전연부의 길이 전체나 일부를 따라 뻗어있으며, 일단부(112)는 제1 회전프레임의 회전축을 형성하고, 타단부(114)는 제1 고정프레임(100)의 전연부에 대해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타단부(114)가 제1 고정프레임(100)에 대해 고리 형태로 맞물려 있지만, 다른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이런 제1 회전프레임(110)은 제1 고정프레임(100)에 대해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감지수단(120)은 제1 고정프레임(100)의 전연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제1 회전프레임(110)의 회전운동을 감지한다. 한편, 필요에 따라서는 제1 감지수단(120)이 고정프레임이 아닌 제1 회전프레임(110)의 전연부를 따라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감지수단(120)은 도시되지 않은 자동문 제어기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1 회전프레임의 회전운동을 감지하여 발생된 신호를 자동문 제어기로 전달하고, 자동문 제어기는 이 신호를 받아 자동문의 동작을 정지시키거나 반전시킬 수 있다. 제1 감지수단과 자동문 제어기의 연결관계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잘 알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감지수단(120)이 초음파 센서 형태로 이루어져 있지만, 다른 방식도 가능한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탄성돌출부(130)는 제1 회전프레임(100)의 전단부를 따라 뻗어있으며, 물체에 부딪쳤을 때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정도의 탄성을 갖고 있다. 필요하다면, 탄성돌출부(130)가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되거나, 충돌이 가장 많이 일어나는 부분에만 배치될 수도 있지만, 외부로부터의 공기유입을 차단하는 방풍효과를 위해서는 가급적 제1 회전프레임(100)의 길이 전체를 따라 뻗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제1 감지수단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3A는 제1 감지수단(120)이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는 푸시스위치로 이루어져 있다. 즉, 외력에 의해 회전프레임(110)이 움직이면 푸시스위치가 안쪽으로 밀리면서 회전프레임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이다. 도 3B의 제1 감지수단(120)은 자석이 접근하면 자석의 자기회로에 의해 스위치가 작동하는 방식의 리드스위치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 3C는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자석의 척력을 이용한 자석으뤼치로 이루어져 있다. 물론, 회전프레임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다른 방식의 감지수단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2 스위치수단(S2)을 자세히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B는 틈새(d)에 맞게 조정하는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4C는 제2 스위치수단의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스위치수단(S2)은 문틀(10)의 전연부를 감싸면서 문틀에 고정되는 제2 고정프레임(200)을 포함한다. 제2 고정프레임(200)은 문틀에 직각으로 도어(D1)를 향해 돌출한 고정판(202)을 갖는다. 탄성체로 이루어진 틈새가림판(210)이 제2 고정프레임(200)의 고정판(202)에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고정판(202) 및 틈새가림판(210) 중의 어느 한쪽이나 양쪽에 도어(D1)에 직각인 방향으로 기다란 장공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고, 이런 장공들을 이용해 볼트-너트와 같은 체결구로 틈새가림판을 고정판에 대해 원하는 위치로 고정할 수 있다(도 4B 참조).
틈새가림판(210)에 제3 고정프레임(220)이 고정되고, 제3 고정프레임(220)에 제2 회전프레임(230)이 설치되고, 제2 회전프레임(230) 내부에 제2 감지수단(240)이 설치된다. 이런 제3 고정프레임(220)과 제2 회전프레임(230) 및 제2 감지수단(240)은 전술한 제1 스위치수단의 대응 요소들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감지수단(240)도 제3 고정프레임(220)의 전연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제2 회전프레임(230)의 회전운동을 감지하며, 감지된 신호를 자동문 제어기로 전달하여 자동문의 동작을 정지시키거나 반전시키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필요에 따라서는, 제2 감지수단(240)이 제3 고정프레임이 아닌 제2 회전프레임(230)의 전연부를 따라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틈새(d)의 간격이 변한 경우, 전술한 장공을 따라 틈새가림판(210)을 화살표(B) 방향으로 움직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어떤 길이의 틈새에도 제2 스위치수단이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제2 감지수단(240)도 제1 감지수단과 마찬가지로 초음파센서, 푸시스위치, 리드스위치 또는 자석스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4C와 같이, 제2 고정프레임의 고정판(202) 자체에 제3 고정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부품수가 줄어들어 제작비가 절감될 것이다. 이렇게 고정프레임이 형성된 고정판(202)에 전술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2 회전프레임이 설치되어 동작한다. 이런 구성에서는, 틈새가림판(210)이 도 4A의 실시예와는 반대로 고정판(202)의 좌측에 배치된다.
도 4A와 같이 제2 고정프레임이 문틀에 볼트로 고정되거나, 도 4C와 같이 문틀에 접착제로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자동문이 양문형인 경우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D1)에 맞닿아 슬라이딩 운동하는 제2 도어(D2)가 더 있다. 제2 도어(D2)에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수단들과 동일한 구조의 스위치수단들이 배치되지만, 제2 도어(D2)의 제1 회전프레임(110)의 전단부에는 탄성돌출부(130)와 암수결합하는 탄성홈부(140)가 설치된다.
도 6은 홈부(140)를 자세히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140) 이외의 다른 구조는 도어(D1)의 제1 스위치수단의 구성과 동일하다. 즉, 양문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D1)의 탄성돌출부(130)가 제2 도어(D2)의 홈부(140)에 암수결합 방식으로 맞물리게 되어, 완벽한 방풍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필요하다면,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에 이물질이 끼지 못하게 별도의 커버를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투명한 유리도어의 경우 출입하는 사람들이 그 움직임을 인식하지 못해 작동중인 도어에 끼이거나 손을 대서 틈새(d)에 손가락이 끼이는 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 이런 동작상태를 사람이 시각적으로나 쉽게 알아챌 수 있도록 하면, 이런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이를 위해, 시각적 인식수단을 더 배치한 예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프레임(110) 외부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LED를 포함한 다수의 발광수단(150)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런 발광수단(150)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커버(160)로 덮이며, 이 커버(160)의 전단부에 전술한 탄성돌출부(130)가 설치된다. 물론, 제1 감지수단(120)이 제1 회전프레임(110)의 운동을 감지하면 발광수단(150)이 빛을 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8)

  1. 문틀(10)에 대해 틈새(d)를 두고 슬라이딩 운동하는 판형 재료로 이루어진 도어(D1)가, 이 도어(D1)를 오픈하기 위한 누름스위치가 설치된 기둥(20)에 대해 슬라이딩 운동하면서 개폐될 때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자동문 안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어(D1)의 전연부를 따라 설치된 제1 스위치수단(S1)이 도어(D1)의 전연부를 감싸면서 도어에 고정되는 제1 고정프레임(100)과, 제1 고정프레임에 대해 힌지식 회전운동을 하는 제1 회전프레임(110)과, 제1 회전프레임(110) 내부에 설치되어 제1 회전프레임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1 감지수단(120)을 포함하여;
    제1 회전프레임(110)의 회전운동을 감지하며, 감지된 신호를 자동문 제어기로 전달하여 자동문의 동작을 정지시키거나 반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 안전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평면도로 보았을 때 상기 제1 회전프레임(110)은 단면이 아아치형이고, 제1 고정프레임(100)의 전연부의 길이 전체나 일부를 따라 뻗어있으며, 일단부(112)는 제1 회전프레임의 회전축을 형성하고, 타단부(114)는 제1 고정프레임(100)의 전연부에 대해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감지수단(120)은 제1 고정프레임(100)의 전연부나 제1 회전프레임(110)의 전연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 안전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프레임(110)의 전단부에 설치된 탄성돌출부(130)를 더 포함하고, 이 탄성돌출부(130)는 제1 회전프레임(100)의 전단부를 따라 뻗어있으며, 물체에 부딪쳤을 때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면서 방풍기능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 안전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D1)의 표면과 문틀(10)의 전단부 사이의 틈새(d)를 가리도록 상기 문틀(10)의 전단부에 설치된 제2 스위치수단(S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스위치수단(S2)은 평면도로 보았을 때, 상기 문틀(10)의 전연부를 감싸면서 문틀에 고정되고 문틀에 직각으로 도어(D1)를 향해 돌출한 고정판(202)을 갖는 제2 고정프레임(200), 제2 고정프레임(200)의 고정판(202)에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되고 탄성체로 이루어진 틈새가림판(210), 상기 고정판(202)에 설치되고 제1 회전프레임(11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고정판(202)에 대해 힌지식 회전운동을 하는 제2 회전프레임(230), 및 제2 회전프레임(230) 내부에 설치되어 제2 회전프레임(23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2 감지수단(24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판(202) 및 틈새가림판(210) 중의 적어도 하나에 도어(D1)에 직각인 방향으로 기다란 장공이 다수 형성되어 있고, 이런 장공들을 이용해 볼트를 포함한 체결구로 틈새가림판을 고정판에 대해 원하는 위치로 움직여 고정함으로써 문틀과 도어 사이의 어떤 길이의 틈새(d)도 틈새가림판(210)이 완전히 가릴 수 있으며;
    상기 제2 감지수단(240)은 제3 고정프레임(220)의 전연부를 따라 또는 제2 회전프레임(230)의 전연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제2 회전프레임(230)의 회전운동을 감지하며, 감지된 신호를 자동문 제어기로 전달하여 도어(D1)의 동작을 정지시키거나 반전시키도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 안전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도어(D1)에 맞닿아 슬라이딩 운동하는 제2 도어(D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도어(D2)에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수단들과 동일한 구조의 스위치수단들이 배치되지만, 제2 도어(D2)의 제1 회전프레임(110)의 전단부에는 상기 탄성돌출부(130)와 암수결합하는 홈부(14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 안전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수단(120)과 제2 감지수단(240)이 초음파센서, 푸시스위치, 리드스위치 및 자석스위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 안전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프레임(110)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LED를 포함한 다수의 발광수단(150)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 감지수단(120)이 제1 회전프레임(110)의 운동을 감지하거나 도어의 작동시에 상기 발광수단(150)이 빛을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 안전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150)이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커버(160)로 덮이며 이 커버(160)의 전단부에 상기 탄성돌출부(13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 안전시스템.
KR1020190033694A 2019-03-25 2019-03-25 자동문 안전시스템 KR102163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694A KR102163189B1 (ko) 2019-03-25 2019-03-25 자동문 안전시스템
CN202080022067.9A CN113597497B (zh) 2019-03-25 2020-03-24 自动门安全系统
JP2021555481A JP7072732B2 (ja) 2019-03-25 2020-03-24 自動ドアの安全システム
US17/439,750 US11566462B2 (en) 2019-03-25 2020-03-24 Safety system for automatic door
PCT/KR2020/003985 WO2020197234A1 (ko) 2019-03-25 2020-03-24 자동문 안전시스템
SG11202110357QA SG11202110357QA (en) 2019-03-25 2020-03-24 Safety system for automatic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694A KR102163189B1 (ko) 2019-03-25 2019-03-25 자동문 안전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469A true KR20200113469A (ko) 2020-10-07
KR102163189B1 KR102163189B1 (ko) 2020-10-08

Family

ID=72610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3694A KR102163189B1 (ko) 2019-03-25 2019-03-25 자동문 안전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66462B2 (ko)
JP (1) JP7072732B2 (ko)
KR (1) KR102163189B1 (ko)
CN (1) CN113597497B (ko)
SG (1) SG11202110357QA (ko)
WO (1) WO2020197234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522Y1 (ko) * 2001-02-09 2001-07-31 신재성 슬라이드 도아의 완충ㆍ밀폐구조
KR100916467B1 (ko) * 2008-04-14 2009-09-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끼임 방지를 위한 자동문
KR101732337B1 (ko) * 2017-03-28 2017-05-02 윤일식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KR101920178B1 (ko) * 2018-03-20 2018-11-19 윤일식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87455A (en) * 1951-03-13 1954-08-24 Horace M Norman Safety edge mechanism
JPH0636216Y2 (ja) * 1986-09-30 1994-09-21 吉田工業株式会社 自動ドアのドア衝突検出装置
JPS63184680A (ja) * 1987-01-27 1988-07-30 トステム株式会社 横引戸の障害物検知停止装置
JPH0366380U (ko) * 1989-10-02 1991-06-27
DE4417583C2 (de) * 1994-05-19 1998-07-02 Tuerautomation Fehraltorf Ag F Sicherheitseinrichtung für Schiebetüren
US6223467B1 (en) * 1994-08-18 2001-05-0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Motor vehicle sensor arrangement for detecting jamming
EP0916795B1 (de) * 1997-11-18 2001-02-28 GEZE GmbH Sicherungseinrichtung gegen Quetsch- und Scherstellen eines drehbar gelagerten motorisch angetriebenen Flügels eines Fensters, einer Tür oder dergleichen
US20020152686A1 (en) * 2001-04-18 2002-10-24 William Whitehead Illuminating weatherseal
US7226112B2 (en) * 2003-10-02 2007-06-05 Nicholas Plastics Incorporated Pinch warning and illumination system
JP4620484B2 (ja) * 2005-02-07 2011-01-2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JP4571569B2 (ja) 2005-10-13 2010-10-27 シロキ工業株式会社 接触検出装置並びに挟み込み防止装置
CN201605937U (zh) * 2009-12-24 2010-10-13 宁波敏实汽车零部件技术研发有限公司 汽车滑门防夹感应条的安装结构
KR20140033795A (ko) * 2012-09-10 2014-03-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문 안전장치
CN105781308B (zh) * 2016-05-05 2017-08-25 东南电梯股份有限公司 门间隙自动遮挡及防夹系统
WO2018155840A1 (ko) * 2017-02-22 2018-08-30 윤일식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522Y1 (ko) * 2001-02-09 2001-07-31 신재성 슬라이드 도아의 완충ㆍ밀폐구조
KR100916467B1 (ko) * 2008-04-14 2009-09-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끼임 방지를 위한 자동문
KR101732337B1 (ko) * 2017-03-28 2017-05-02 윤일식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KR101920178B1 (ko) * 2018-03-20 2018-11-19 윤일식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597497B (zh) 2022-08-26
US11566462B2 (en) 2023-01-31
US20220090432A1 (en) 2022-03-24
KR102163189B1 (ko) 2020-10-08
SG11202110357QA (en) 2021-10-28
JP7072732B2 (ja) 2022-05-20
CN113597497A (zh) 2021-11-02
JP2022517146A (ja) 2022-03-04
WO2020197234A1 (ko) 202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8989B1 (ko) 자동도어 장치용 개폐 제어장치
EP0325602B1 (en) A safety device, particularly for roll-up doors
US4577437A (en) Automatic door object sensing system
US4716992A (en) Operating panel device for an elevator system
CN1436148A (zh) 电梯门的安全装置
US20030093951A1 (en) Automatic door sensor and automatic door system equipped with this sensor
US8536509B2 (en) Scanner arrangement
KR102163189B1 (ko) 자동문 안전시스템
JP5380819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JP5156633B2 (ja) 可撓性検出部材を備えたドアアッセンブリおよびこれに関連した方法
JP3847621B2 (ja) 自動ドア
JP4712414B2 (ja) 回転ドア
US6209262B1 (en) Obstruction sensing system for a gate
JP4647357B2 (ja) 回転ドアの安全装置
JP2006328748A (ja) 自動ドア装置
JPH0636216Y2 (ja) 自動ドアのドア衝突検出装置
KR102019099B1 (ko) 자동문 안전장치
KR200478461Y1 (ko) 자동문
ATE445077T1 (de) Sektionaltor
EP0783068B1 (en) Accident-preventing safety device for automatic moving closure barriers
JP2024029904A (ja) 自動ドアシステム
RU2006111609A (ru) Система безопасности для автомобильных ворот
JPH07247083A (ja) 滑り戸装置
JP3066026U (ja) 電気錠装置
KR200359388Y1 (ko) 내장 슬라이딩도어를 갖는 자동회전문의 이중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