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6467B1 - 끼임 방지를 위한 자동문 - Google Patents

끼임 방지를 위한 자동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6467B1
KR100916467B1 KR1020080034186A KR20080034186A KR100916467B1 KR 100916467 B1 KR100916467 B1 KR 100916467B1 KR 1020080034186 A KR1020080034186 A KR 1020080034186A KR 20080034186 A KR20080034186 A KR 20080034186A KR 100916467 B1 KR100916467 B1 KR 100916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bar
door
movement
automatic door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4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4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64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20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for assisting final closing or for initiating opening
    • E05B81/21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for assisting final closing or for initiating opening with means preventing or detecting pinching of objects or body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69Presence detector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infrared sensor, microph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06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bu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끼임 방지를 위한 자동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끼임 방지를 위한 자동문은 자동 개폐되는 도어부와, 상기 도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부와 상기 차체 사이에 끼임이 발생되면 상기 차체와 수직방향으로 움직이는 안전바와, 일정각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접점과 상기 안전바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복수의 고정접점 중 하나에 접속되는 이동접점을 포함하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버스 자동문의 폐문 시 자동문과 차체 사이에 승객의 옷자락, 가방 등 물건의 일부가 끼었을 때 이를 감지하여 안전바에 수직방향의 힘이 전달되어 이동접점과 고정접점이 연결에 따라 부져와 함께 자동문이 다시 열리도록 함으로써 승객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자동문, 안전, 버스, 끼임

Description

끼임 방지를 위한 자동문{BUS AUTO DOOR FOR PREVENTING SANDWICH}
본 발명은 끼임 방지를 위한 자동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스 자동문의 폐문 시 승객의 옷자락이나 가방 일부가 문과 차체 사이에 끼었을 때 안전바의 움직임에 따라 끼임을 감지하여 즉시 문을 개문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끼임 방지를 위한 자동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내버스의 경우 앞쪽 측면에 승객의 승차를 위한 승차용 자동문이 설치되고 버스의 중간 측면에 승객의 하차를 위한 하차용 자동문이 설치되어 있다.
하차용 자동문의 경우에 차내의 탑승인원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도어부가 단일의 평판으로 형성되어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도록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설치위치가 버스차체의 중간 측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운전자가 차내에 설치된 룸미러를 통하여 하차문의 상태를 관찰할 수 밖에 없다. 이로 인해 버스내에 승객이 많은 경우 하차문의 상태를 관찰할 수 없어 여러가지 사고가 발생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다.
이에, 종래에는 발판 감지부를 이용하여 발판에 승객이 발을 디딛는 경우를 감지하거나, 승객이 하차하는 공간의 차체측 좌우 양단에 포토셀(photo cell) 송광기 및 포토셀 수광기를 구비하여 송광기와 수광기 사이에 승객 또는 사물이 있는지를 감지함으로써, 하차하려는 승객 또는 사물이 있는 경우 즉시 개문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하차용 자동문은 발판감지부를 통해 발판에 발을 디딛는 경우만 감지할 수 있어 승객이 발판을 내려섰지만 문틈에 끼인 경우는 감지가 어렵고, 포토셀 송광기 및 포토셀 수광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포토셀 감지영역을 벗어난 경우 즉 얇은 옷자락이나 가방 등 물건의 일부가 문틈에 끼인 경우는 감지할 수 없어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부에 안전바 및 센싱부를 장착하여 버스 자동문의 폐문 시 도어부와 차체 사이에 승객의 옷자락, 가방 등 물건의 일부가 끼었을 때 이를 감지하여 즉시 개문하므로서 승객의 부상이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끼임 방지를 위한 자동문은 자동개폐되는 도어부와, 상기 도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부와 상기 차체 사이에 끼임이 발생되면 상기 차체와 수직방향으로 움직이는 안전바와, 일정각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접점과 상기 안전바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복수의 고정접점 중 하나에 접속되는 이동접점을 포함하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전바가 움직일때 그 중심이 되고 상기 이동접점과 맞물리는 중심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안전바의 움직임과 대칭되도록 상기 이동접점을 움직여 상기 고정접점과 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안전바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움직임에 따른 빛의 변화량을 센싱하는 적외선 발광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전바의 움직임을 제 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복원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버스 자동문의 폐문 시 자동문과 차체 사이에 승객의 옷자락, 가방 등 물건의 일부가 끼었을 때 이를 감지하여 안전바에 수직방향의 힘이 전달되어 이동접점과 고정접점의 연결에 따라 부져와 함께 자동문이 다시 열리도록 함으로써 승객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끼임 방지를 위한 자동문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자동문을 정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자동문을 상면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자동문을 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부(100)와 차체(200)가 접촉되는 부위의 도어부(100)에 안전바(safety bar: 104)가 돌출되어 설치되고, 도어부(100)의 상단 일측 내부에 센싱부(102)가 장착되며, 도어부(100) 중간부분에 손잡이(106)가 설치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부(100)는 자동개폐되되 차체(200)에 대해 수평방향(A)으로 개폐되고 안전바(104)는 승하차 시 신체 일부, 소지품 및 얇은 옷 등이 끼게 되면 미끄러지지 않고 중심축(110)을 중심으로 수직방향(B) 즉 차체측 내외부 방향으로 힘이 전달되도록 한다. 이때, 안전바(104)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찰력이 큰 고무소재를 돌기 형식으로 만들어 마찰력을 크게 증대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어부(100)와 차체(200) 사이에 일정 공간을 두어 도어부(100)가 완전히 닫혀도 안전바(104)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안전바(104)가 수직방향으로 움직일 때 제자리로 다시 돌아오게 하기 위해 안전바(104)의 상하부에 스프링(108)이 장착된다.
또한, 센싱부(102)는 도어부(100) 상단 내부에 장착되되 안전바(104)와 근접한 위치에 장착되고 도 6과 같이 직육면체 함의 하단에 중심축(110)이 삽입되는 원통형 홀(1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센싱부(102)를 도어부(100) 상단 일측에 내장하는 예를 개시하고 있으나, 하나의 센싱부(102)를 도어부(100) 중앙부 일측에 내장시켜 장착하거나 두개의 센싱부(102)를 도어부(100)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내장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센싱부(102)의 세부 구성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싱부(102)는 지지대(111), 고정접점(112, 114, 116), 이동접점(118), 안전바(104)의 중심을 잡아주는 중심축(110)을 삽입시키기 위한 원통형홀(120)을 포함한다.
고정접점(112, 114, 116)은 지지대(111)를 중심으로 일정각도를 유지시켜 배열되며 이동접점(118)은 중심축(110)과 맞물려 있어 안전바(104)의 이동방향에 따 라 이동하게 된다. 즉, 이동접점(118)은 중심축(110)을 중심으로 안전바(104)의 움직임과 대칭되도록 움직여 고정접점(112, 116)과 접속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동접점(118)은 안전바(104)가 차체 외부 방향으로 움직이면 차체 내측방향의 고정접점(112)에 접속되도록 이동하고, 안전바(104)가 차체 내부 방향으로 움직이면 차체 외측방향의 고정접점(116)에 접속되도록 이동한다.
이에, 이동접점(118)이 중앙측의 고정접점(114)에 접속되면 자동문을 열기 위한 모터(미도시)가 구동되지 않고, 이동접점(118)이 차체 내측방향 고정접점(112) 또는 차체 외측방향 고정접점(116)에 접속되면 모터(미도시)가 구동되어 자동문이 열리게 된다.
도 7a 및 도 7b에서는 센싱부(102)가 고정접점(112, 114, 116)과 이동접점(118)을 구비하여, 고정접점(112, 114, 116)과 이동접점(118)의 접속여부에 따라 모터(미도시)의 구동이 제어되는 실시예를 개시하고 있으나, 도 10 내지 도 12와 같이 센싱부(102)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102)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102)는 안전바(104)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122)와 이동부(122)를 중심으로 양측벽에 이동부(122)의 움직임에 따라 눌려지는 푸쉬(push) 타입 스위치 버튼(124)을 구비한다. 이에, 안전바(104)가 움직임에 따라 이동부(122)가 움직여 푸쉬타입 스위치 버튼(124)이 눌려지면 모터(미도시)가 구동되어 자동문이 열리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102)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102)는 안전바(104)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126)와 이동부(126)를 중심으로 양측벽에 이동부(126)의 움직임을 에 따른 이동부(126)와의 거리를 센싱하는 거리센서(128)를 구비한다. 이에, 안전바(104)가 움직임에 따라 이동부(126)가 움직여 이동부(126)와 거리센서(128)의 거리가 변화되면 그 결과에 따라 모터(미도시)가 구동되어 자동문이 열리게 된다. 즉, 예를들어, 평상시 정중에 위치한 이동부(126)와의 거리가 2.5cm라면 오차범위를 두어 2.3~2.7cm 를 벗어나는 경우를 비상상태로 인지하고 자동문이 열리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102)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102)는 안전바(104)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130)와 이동부(130)를 중심으로 양측 바닥면에 이동부(130)의 움직임에 따른 빛의 양을 센싱하는 적외선 발광센서(132)를 구비한다. 이에, 안전바(104)가 움직임에 따라 이동부(130)가 움직여 빛의 양이 변화되면 그 결과에 따라 모터(미도시)가 구동되어 자동문이 열리게 된다.
이하, 도 7a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자동문이 정상동작 하는 경우와 비상동작시의 구동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상 동작시 즉 자동문과 차체 사이에 신체 일부나 소지품, 옷 등의 끼임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안전바(104)는 움직이지 않게 되어 이동접점(118)이 중앙의 고정접점(114)에 접속되게 된다.
한편, 도 8a 및 도 8b는 하차 시에 안전바(104)와 차체 사이에 신체 일부나 소지품, 옷 등이 끼인 경우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차시에 끼이게 되면 안전바(104)가 하차방향으로 움직이게 되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접점(118)이 차체 내측방향의 고정접점(112) 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차체 내측방향의 고정접점(112)에 접속되게 된다(C). 이에, 모터(미도시)가 구동되어 자동문이 열리게 된다.
한편, 도 9a 및 도 9b는 승차 시에 안전바(104)와 차체 사이에 신체 일부나 소지품, 옷 등이 끼인 경우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차시에 끼이게 되면 안전바(104)가 차체 내측방향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접점(118)이 차체 외측방향의 고정접점(116)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차체 외측방향의 고정접점(116)에 접속되게 된다(D). 이에, 모터(미도시)가 구동되어 자동문이 열리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부에 안전바를 장착하여, 승하차시 문이 닫히면서 신체 일부나 소지품, 옷 등이 끼인 경우 안전바에 수직방향의 힘이 전달되어 이동접점이 이동되어 복수개의 고정접점 중 차체 내측방향 고정접점(112) 또는 차체 외측방향 고정접점(116)에 접속되면 모터(미도시)가 구동되어 부져를 울리면서 자동문이 다시 열리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대중교통수단인 버스를 실시예로 들고 있으나, 본 발명의 끼임 방지를 위한 자동문은 어린이 학원 및 학교 통학버스의 자동문, 지하철 자동문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자동문을 정면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버스 자동문을 상면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자동문을 측면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자동문의 개폐 및 안전바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자동문의 안전바의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자동문의 센싱부의 외형도.
도 7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버스 자동문이 정상상태인 경우의 안전바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세도.
도 8a 및 도 9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버스 자동문이 비상상태인 경우의 안전바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b 및 도 9b는 도 8a 및 도 9a의 각각의 센싱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세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의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의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자동문 200 : 차체
102 : 센싱부 104 : 안전바(safety bar)
106 : 손잡이 108 : 스프링
110 : 중심축 111 : 지지대
112, 114, 116 : 고정접점 118 : 이동접점
120 : 원통홀 122, 126, 130 : 이동부
124 : 푸쉬타입 스위치 128 : 거리센서
132 : 적외선 발광센서

Claims (5)

  1. 자동 개폐되는 도어부;
    상기 도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부와 차체(車體) 사이에 끼임이 발생되면 상기 차체와 수직방향으로 움직이는 안전바; 및
    일정각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접점과 상기 안전바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복수의 고정접점 중 하나에 접속되는 이동접점을 포함하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임 방지를 위한 자동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바가 움직일때 그 중심이 되고 상기 이동접점과 맞물리는 중심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임 방지를 위한 자동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안전바의 움직임과 대칭되도록 상기 이동접점을 움직여 상기 고정접점과 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임 방지를 위한 자동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안전바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의 움직임에 따른 빛의 변화량을 센싱하는 적외선 발광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임 방지를 위한 자동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바의 움직임을 제 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복원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임 방지를 위한 자동문.
KR1020080034186A 2008-04-14 2008-04-14 끼임 방지를 위한 자동문 KR100916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186A KR100916467B1 (ko) 2008-04-14 2008-04-14 끼임 방지를 위한 자동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186A KR100916467B1 (ko) 2008-04-14 2008-04-14 끼임 방지를 위한 자동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6467B1 true KR100916467B1 (ko) 2009-09-08

Family

ID=41355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4186A KR100916467B1 (ko) 2008-04-14 2008-04-14 끼임 방지를 위한 자동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6467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0680B1 (ko) 2011-04-07 2012-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도어의 물체끼임 검출 장치 및 물체끼임 검출 슬라이딩도어
KR101318788B1 (ko) 2012-09-07 2013-10-21 최병현 버스의 도어
KR20190095844A (ko) 2018-02-07 2019-08-16 주식회사 미래기술 자동문 안전장치
WO2020197234A1 (ko) * 2019-03-25 2020-10-01 윤일식 자동문 안전시스템
KR20210105243A (ko) 2020-02-18 2021-08-26 주식회사 오토앤로봇 자동차 도어용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
KR20210158605A (ko) 2020-06-24 2021-12-31 모트렉스(주) 차량 도어의 의류 끼임 방지 장치
KR102413957B1 (ko) * 2021-10-06 2022-06-28 최중완 차량 출입문 비상 개문장치
KR20230060615A (ko) 2021-10-27 2023-05-08 전주비전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 도어 끼임 방지시스템
KR20230079743A (ko) * 2021-11-29 2023-06-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버스의 승하차 도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8826A (ja) 1999-02-26 2000-09-12 Gureitochiren:Kk 自動ドアの安全装置
KR200381352Y1 (ko) 2005-01-20 2005-04-12 최국열 안전회전문
KR100665648B1 (ko) 2004-04-23 2007-01-10 최승수 출입문 안전장치
KR100755922B1 (ko) 2006-08-31 2007-09-06 남기원 자동문용 센서의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8826A (ja) 1999-02-26 2000-09-12 Gureitochiren:Kk 自動ドアの安全装置
KR100665648B1 (ko) 2004-04-23 2007-01-10 최승수 출입문 안전장치
KR200381352Y1 (ko) 2005-01-20 2005-04-12 최국열 안전회전문
KR100755922B1 (ko) 2006-08-31 2007-09-06 남기원 자동문용 센서의 설치구조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0680B1 (ko) 2011-04-07 2012-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도어의 물체끼임 검출 장치 및 물체끼임 검출 슬라이딩도어
KR101318788B1 (ko) 2012-09-07 2013-10-21 최병현 버스의 도어
KR20190095844A (ko) 2018-02-07 2019-08-16 주식회사 미래기술 자동문 안전장치
US11566462B2 (en) 2019-03-25 2023-01-31 Il Shik Yoon Safety system for automatic door
KR20200113469A (ko) * 2019-03-25 2020-10-07 윤일식 자동문 안전시스템
KR102163189B1 (ko) 2019-03-25 2020-10-08 윤일식 자동문 안전시스템
WO2020197234A1 (ko) * 2019-03-25 2020-10-01 윤일식 자동문 안전시스템
KR20210105243A (ko) 2020-02-18 2021-08-26 주식회사 오토앤로봇 자동차 도어용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
KR20210158605A (ko) 2020-06-24 2021-12-31 모트렉스(주) 차량 도어의 의류 끼임 방지 장치
KR102413957B1 (ko) * 2021-10-06 2022-06-28 최중완 차량 출입문 비상 개문장치
KR20230060615A (ko) 2021-10-27 2023-05-08 전주비전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 도어 끼임 방지시스템
KR20230079743A (ko) * 2021-11-29 2023-06-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버스의 승하차 도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85937B1 (ko) * 2021-11-29 2023-10-0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버스의 승하차 도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6467B1 (ko) 끼임 방지를 위한 자동문
US8028375B2 (en) Pinch prevention structure of slide door
JP5382050B2 (ja) 車両用開閉体作動装置
KR101697111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JP4830175B2 (ja) 開閉可能な車両ルーフ
KR101761160B1 (ko) 좌,우 개폐식 도어의 틈새 차단장치
US20100213931A1 (en) Device for detecting breakage of open/close type window glass
WO2009107551A1 (ja) ウィンドウガラス破損検出具及び破損検出装置
US20040194385A1 (en) Safety sliding door apparatus
KR102245816B1 (ko)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장치
JP6016338B2 (ja) エレベータかごの戸安全装置
US20110016993A1 (en) Clip for detecting window glass breakage
JP4003214B2 (ja) パワースライドドア用安全装置
KR20100097315A (ko) 자동차용 도어 개방방지장치
KR101916546B1 (ko) 측후방경보유닛을 이용한 도어개방 방지 장치 및 시스템
KR101261201B1 (ko) 자동차의 도어 충돌방지장치
KR20220034296A (ko) 정전용량 변화를 이용한 인체 끼임 방지 장치
KR101180680B1 (ko) 차량 도어의 물체끼임 검출 장치 및 물체끼임 검출 슬라이딩도어
KR100956199B1 (ko) 차량용 도어체커의 개폐각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2008303577A (ja) スライドドアの挟み込み防止構造
KR20180067987A (ko) 버스의 승객 도어 끼임 방지 장치
JP4909860B2 (ja) 開閉式ウィンドウガラスの破損検出装置
KR102019099B1 (ko) 자동문 안전장치
JP2647253B2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安全装置
KR20180075745A (ko) 안전사고 방지용 자동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