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1201B1 - 자동차의 도어 충돌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 충돌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1201B1
KR101261201B1 KR1020130009054A KR20130009054A KR101261201B1 KR 101261201 B1 KR101261201 B1 KR 101261201B1 KR 1020130009054 A KR1020130009054 A KR 1020130009054A KR 20130009054 A KR20130009054 A KR 20130009054A KR 101261201 B1 KR101261201 B1 KR 101261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vehicle
armature
cover bracket
electro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9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수
연문흠
Original Assignee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09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12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1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1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021/0206Self-supporting restraint systems, e.g. restraining arms, plates or the like
    • B60R2021/0246Self-supporting restraint systems, e.g. restraining arms, plates or the like mounted on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커암과 와이어와 안내구와 아마추어와 전자석과 탄성부재와 센서와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도어 충돌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체커암은 차체에 힌지 결합된다. 와이어는 체커암에 일단이 연결된다. 안내구는 와이어를 안내한다. 아마추어는 와이어의 타단이 연결되어 이동한다. 전자석은 이동하는 아마추어를 정지시키는 힘을 제공한다. 탄성부재는 일단은 도어에 고정되고 타단은 아마추어에 연결되어 도어가 여닫힐 때 이동하는 아마추어에 탄성력을 가한다. 센서는 도어가 열릴 때 도어 부근의 물체를 감지한다. 제어부는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전자석을 작동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자동차 도어를 열 때 운전자나 승객의 인식불능 상태에서도 옆차와 충돌 사고를 방지하고 기둥이나 벽 등과 충돌 사고를 방지하여 도어의 손상이나 운전자 또는 승객의 부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 충돌방지장치{Protective device for clash of door i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충돌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도어를 열 때 옆차와 충돌 사고를 방지하거나 기둥이나 벽 등과 충돌 사고를 방지하는 자동차의 도어 충돌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가 정차하고 운전자 및 승객이 하차를 하는 경우에, 도로변으로 자동차를 주 정차시킨 후 하차하게 되는데 자동차의 내부에서 하차하려는 승객 및 운전자는 하차할 때 도어의 글라스를 통하여 보이는 자동차의 옆면만 확인할 뿐 차량의 뒤쪽은 소홀히 하여 자동차의 뒤쪽을 미처 확인하지 않고 도어를 개방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자동차 도어 내측 패널에는 도어가 개방되면 적색 불이 점등되도록 하여 후방에서 진입하는 자동차에게 경고를 하여 충돌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동차 도어 내측 패널에 설치되는 적색 램프만으로는 후방 차량과 충돌하는 사고를 완전히 방지하지 못하며, 도어의 옆면에 있는 물체나 사람과 충돌하는 사고를 충분히 방지하지 못하였다.
한편, 종래 한국공개실용신안 제1998-039450호에서는 운전자 및 승객이 하차하기 위해 인사이드 도어 핸들을 잡으면 도어 외측패널의 부근에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도어 외측패널의 부근에 물체가 존재하면 경고음을 발생시켜 하차하려는 운전자 및 승객에게 주의를 환기시키므로 도어 개방시 발생할 수 있는 충돌사고를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1998-039450호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사이드 도어 핸들(1)에 설치되어 운전자 및 승객이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인사이드 도어 핸들(1)을 잡으면 소정 신호를 출력하는 광전릴레이(2)와, 이 광전 릴레이로부터 소정신호를 입력받고 자동차 도어 충돌방지 기능을 총괄제어하는 컨트롤 유닛과, 이 컨트롤 유닛의 제어 신호에 따라 작동되며 각 도어 외측패널(4)에 설치되어 각 도어 외측패널 근처에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물체가 감지되면 물체 감지신호를 컨트롤 유닛으로 출력하는 초음파 센서(5)와, 컨트롤 유닛의 경고음 발생 제어신호에 접속되는 릴레이를 통하여 배터리로부터 전류를 인가받아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고음 발생기를 구비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자동차 도어의 충돌방지장치들은 운전자 또는 승객의 인식에 의해 도어의 개방을 중지시키거나 주의를 환기하는 장치들이므로 운전자 또는 승객이 다른 생각 등으로 인해 인식불능의 상태에서는 도어의 충돌을 피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도어를 열 때 운전자나 승객의 인식불능 상태에서도 옆차와 충돌 사고를 방지하거나 기둥이나 벽 등과 충돌 사고를 방지하는 자동차의 도어 충돌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도어 충돌방지장치는, 차체에 힌지 결합되는 체커암과, 체커암에 일단이 연결된 와이어와, 와이어를 안내하는 안내구와, 와이어의 타단이 연결되어 이동하는 아마추어와, 이동하는 아마추어를 정지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전자석과, 일단은 도어에 고정되고 타단은 아마추어에 연결되어 도어가 여닫힐 때 이동하는 아마추어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와, 도어가 열릴 때 도어 부근의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와,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전자석을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아마추어는 커버 브라켓에 고정되어 커버 브라켓과 함께 슬라이딩한다. 커버 브라켓은 전자석을 감싸며, 전자석은 도어에 고정된다. 커버 브라켓에는 상기 와이어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커버 브라켓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아마추어는 커버 브라켓에 의해 안내되어 슬라이딩할 수도 있다. 이때, 커버 브라켓은 아마추어와 전자석을 감싸며, 커버 브라켓과 전자석은 도어에 고정된다. 커버 브라켓은 한 개의 찬넬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 브라켓은 두 개의 앵글이 겹쳐 찬넬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으로 되어 있다. 탄성부재는 길이가 신축가능한 부재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안내구는 로울러를 구비한다. 센서는 초음파 센서이다.
아마추어에는 슬라이딩할 시에 마모를 줄이도록 마찰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커버 브라켓에는 아마추어가 이동할 시에 마모를 줄이도록 마찰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도어 충돌방지장치에 의하면, 자동차 도어를 열 때 운전자나 승객의 인식불능 상태에서도 옆차와 충돌 사고를 방지하거나 기둥이나 벽 등과 충돌 사고를 방지하므로 도어의 손상이나 운전자 또는 승객의 부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도어 충돌방지장치에 의하면, 좁은 공간에서 주 정차한 후, 차량 도어를 개폐할 때 차량 도어와 다른 차량과의 거리가 설정거리만큼 가까워지면 더 이상 도어가 열리지 않게 되므로 특별히 주의하지 않아도 차량 도어와 다른 차량과의 충돌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탑승자가 부주의로 인해 전 후방에서 접근하는 사람이나 다른 차량을 인지하지 못하고 차량 도어를 개폐할 경우, 차량 도어에 부딪혀 타박상, 골절, 차량의 파손 등 인적, 물적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로의 오른쪽에 위치한 보도블록은 일반적으로 차량 도어를 개폐할 때, 차량 도어의 하단과 충돌하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차체보다 높게 만들어진 보도 블록을 간혹 볼 수 있고, 더욱이 보조석이나 뒷좌석에 앉은 사람은 보도 블록의 높이를 간과하기 쉽다. 또한 주 정차를 금하는 특별한 목적을 위해 설치된 시설물이 있는데, 그런 시설물은 보통 낮고 작은 형태이다. 따라서 이러한 도로상황에 때한 인식부족과 장애물 및 시설물 등에 대한 부주의로 인한 충돌로 차량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하는데 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도어 충돌방지장치에서 광전 릴레이가 설치되는 위치는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자동차의 도어 충돌방지장치에서 초음파 센서가 설치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도어 충돌방지장치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도어 충돌방지장치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도어 충돌방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화살표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도어 충돌방지장치의 아마추어와 전자석 및 커버 브라켓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도어 충돌방지장치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도어 충돌방지장치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도어 충돌방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화살표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어 외판에 결합되어 도어 충돌방지장치를 가리는 커버와, 아마추어를 덮는 커버 브라켓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제1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도어 충돌방지장치(100)는 체커암(110)과, 와이어(120)와, 안내구(130)와, 아마추어(140)와, 커버 브라켓(150)과, 전자석(160)과, 탄성부재(170)와, 센서(180)와, 제어부(190)을 포함한다. 상기 센서(180)는 차량 도어의 외측 패널에 설치되고, 제어부(190)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어 충돌방지장치의 나머지 구성은 도 3 및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도어(D)의 판넬 내부에 설치되고 도시하지 않은 커버에 의해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설치된다.
체커암(110)은 일측이 차체에 힌지 결합되며, 차량 도어의 힌지측에서 외부로 돌출하여 차체에 힌지 결합된다. 체커암(110)의 타측에는 와이어(120)를 연결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와이어(120)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구비할 수도 있다.
와이어(120)는 강선으로 되어 있으며, 일단은 체커암(110)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타단은 아마추어(140)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와이어(120)는 와이어 커넥터를 매개로 아마추어(140)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안내구(130)는 와이어(120)의 중간에 설치되어 와이어(120)를 안내하며, 차량 도어의 도어판에 고정된 베이스 브라켓(131)에 회동가능케 설치된 로울러(132)를 구비한다. 안내구(130)는 도르래 형태로 되어 있으며, 와이어(120)는 로울러(132)에 밀착하여 안내되면서 로울러(132)가 회전하게 되어 있다.
아마추어(140)는 커버 브라켓(150)에 의해 안내되어 슬라이딩하며, 일측단은 와이어(120)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탄성부재(170)에 연결되어 이동하게 되어 있으며, 와이어(240)의 견인력과 탄성부재(170)의 복원력에 의해 이동한다. 아마추어(140)에는 슬라이딩할 시에 마모를 줄이도록 마찰부재(도시안됨)가 부착될 수 있다.
커버 브라켓(150)은 아마추어(140)와 전자석(160)을 감싸며, 차량 도어의 도어판에 고정된다. 커버 브라켓(150)은 한 개의 찬넬 형태로 이루어져 아마추어(140)와 전자석(160)을 감싸는 구조로 되어 있다. 커버 브라켓(150)에는 아마추어(140)가 이동할 시에 마모를 줄이도록 마찰부재(도시안됨)가 부착될 수 있다.
전자석(160)은 이동하는 아마추어(140)를 정지시키는 힘을 제공하며, 차량 도어의 도어판에 고정된다. 전자석(140)은 전류가 흐르면 주위에 전자기장이 형성되어 아마추어(140)를 끌어당겨 밀착시킴에 따라 아마추어(140)가 이동하지 못하게 한다.
탄성부재(170)는 차량 도어가 여닫힐 때 이동하는 아마추어(140)에 탄성력을 가하며, 일단은 차량 도어에 고정되고 타단은 아마추어(140)에 연결된다. 탄성부재(170)는 코일 스프링으로 되어 있으며, 길이가 신축가능한 부재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센서(180)는 차량 도어가 열릴 때 도어 부근의 물체 또는 장애물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도어의 외측패널에 설치되며 초음파 센서 등으로 되어 있다. 센서는 초음파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초음파 센서일 경우 초음파 신호를 보내고 그 반사된 신호를 받아 거리를 측정하기까지 약 0.2초 정도의 응답 지연이 발생하므로, 이 시간동안 차량 도어를 계속 열고 있는 상태가 되므로 그 시간만큼의 응답지연 거리를 고려하여 기본적인 사물이나 사람과의 거리 5cm 정도에 응답지연거리 5cm를 추가하여 감지반경을 10cm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18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도어(D)의 핸들(H) 하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90)는 센서(180)의 감지신호에 따라 전자석(160)을 작동시키는 컨트롤 유닛이다. 제어부(190)에는 특별한 목적으로 자유롭게 문을 여닫을 수 있도록 전자석(160)에 전원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조작스위치와, 프로그램의 오류시에 초기상태로 리셋하는 리셋 스위치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도어 충돌방지장치에서, 차량 도어가 여닫히면, 체커암(110)에 의해 와이어(120)가 당겨지는 견인력과 탄성부재(17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아마추어(140)가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차량 도어가 여닫히는 중에 차량 도어의 외측패널에 설치된 센서(180)가 물체 또는 장애물을 감지하면, 감지신호는 제어부(190)에 전달되고, 제어부(190)의 제어신호에 따라 릴레이 작동에 의해 전자석(160)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전자기력에 의해 아마추어(140)를 끌어당겨 아마추어(140)를 정지시키게 되므로 차량 도어가 더 이상 열리거나 닫히지 않게 된다.
센서(180)에 감지신호가 없거나 사용자의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제어부(190)에서 해제신호가 발생하면, 릴레이 작동에 의해 전자석(160)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고 전자기력이 소멸한다. 이에 따라 아마추어(140)는 체커암(110)에 의해 와이어(120)가 당겨지는 견인력과 탄성부재(17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되므로, 도어를 여닫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도어 충돌방지장치는 기존의 체커암에 와이어를 매개로 간단히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안내구(130)의 로울러(132)에 의해 와이어(120)를 안내하여 체커암(110)과 아마추어(140) 사이의 견인 높이를 맞춤으로써, 체커암(110)의 회동에 따른 모멘트로 인해 전자석(160)과 아마추어(140)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을 줄인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제2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도어 충돌방지장치의 아마추어와 전자석 및 커버 브라켓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의 실시예에서는 아마추어(240)가 커버 브라켓(250)에 고정되어 커버 브라켓(250)과 함께 슬라이딩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커버 브라켓(250)은 두 개의 앵글(251)(252)이 겹쳐 찬넬 형태로 이루어지며, 전자석(260)을 감싼다. 전자석은 차량 도어의 도어판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제2실시예)에서는 체커암에 연결된 와이어가 커버 브라켓(250)에 직접 연결될 수 있고(아마추어에는 와이어가 연결되지 않음), 차량 도어에 일단이 고정된 탄성부재(스프링)가 커버 브라켓(25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아마추어에는 탄성부재가 연결되지 않음).
도 7에 나타낸 실시예(제2실시예)의 나머지 구성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실시예(제1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도어 충돌방지장치 110 : 체커암
120 : 와이어 130 : 안내구
140, 240 : 아마추어 150, 250 : 커버 브라켓
160, 260 : 전자석 170 : 탄성부재
180 : 센서 190 : 제어부

Claims (15)

  1. 차체에 힌지결합되는 체커암과,
    상기 체커암에 일단이 연결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를 안내하는 안내구와,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연결되어 이동하는 아마추어와,
    상기 아마추어를 정지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전자석과,
    일단은 도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아마추어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가 여닫힐 때 아마추어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도어가 열릴 때 도어 부근의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석을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충돌방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마추어는 커버 브라켓에 의해 안내되어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충돌방지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버 브라켓은 상기 아마추어와 상기 전자석을 감싸며,
    상기 커버 브라켓과 상기 전자석은 상기 도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충돌방지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마추어는 커버 브라켓에 고정되어 상기 커버 브라켓과 함께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충돌방지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커버 브라켓은 상기 전자석을 감싸며,
    상기 전자석은 도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충돌방지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커버 브라켓에는 상기 와이어가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충돌방지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커버 브라켓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충돌방지장치.
  8.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7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브라켓은 한 개의 찬넬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충돌방지장치.
  9.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7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브라켓은 두 개의 앵글이 겹쳐 찬넬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충돌방지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충돌방지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길이가 신축가능한 부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충돌방지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구는 로울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충돌방지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초음파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충돌방지장치.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마추어에는 슬라이딩할 시에 마모를 줄이도록 마찰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충돌방지장치.
  15.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7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브라켓에는 상기 커버 브라켓이 이동할 시에 상기 전자석과 접촉하는 부분의 마모를 줄이도록 마찰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충돌방지장치.
KR1020130009054A 2013-01-28 2013-01-28 자동차의 도어 충돌방지장치 KR101261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054A KR101261201B1 (ko) 2013-01-28 2013-01-28 자동차의 도어 충돌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054A KR101261201B1 (ko) 2013-01-28 2013-01-28 자동차의 도어 충돌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1201B1 true KR101261201B1 (ko) 2013-05-10

Family

ID=48665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9054A KR101261201B1 (ko) 2013-01-28 2013-01-28 자동차의 도어 충돌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12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7327A (ko) 2021-12-09 2023-06-16 이지승 차량 도어 충돌 방지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1365A (ja) 2006-05-30 2007-12-13 Mitsubishi Motors Corp 自動車用ドアの開動作規制装置
JP2009108495A (ja) 2007-10-26 2009-05-21 Mitsubishi Motors Corp ドア開動作規制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1365A (ja) 2006-05-30 2007-12-13 Mitsubishi Motors Corp 自動車用ドアの開動作規制装置
JP2009108495A (ja) 2007-10-26 2009-05-21 Mitsubishi Motors Corp ドア開動作規制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7327A (ko) 2021-12-09 2023-06-16 이지승 차량 도어 충돌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0565C2 (ru) Система двери для автомобиль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170069215A (ko) 통신 소자 및 센서 장치를 구비한 도어 시스템
KR100916467B1 (ko) 끼임 방지를 위한 자동문
KR20170069212A (ko) 객실의 비접촉 모니터링을 위한 센서 장치를 구비한 도어 시스템
KR101598953B1 (ko) 노선버스 정차 및 출입문 개폐 안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5682996A (zh) 车门防撞装置
KR20180049105A (ko) 수평방향으로 래치를 구비하는 이중 힌지 차폐장치
KR101261201B1 (ko) 자동차의 도어 충돌방지장치
KR20160008833A (ko) 차량의 테일 게이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7049980B1 (en) Automobile entry detector for a garage
KR101574437B1 (ko) 차량의 도어 충돌방지장치
KR101566977B1 (ko) 포토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안전 슬라이딩 도어
KR20100097315A (ko) 자동차용 도어 개방방지장치
EP2666945A1 (en) A door stop system
KR101281880B1 (ko) 자동차의 도어 충돌방지장치
CN211623053U (zh) 汽车尾门防夹装置及汽车
KR20150081241A (ko) 자동차 도어 충돌 방지 도어체커 및 시스템
KR20180093751A (ko) 차량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956199B1 (ko) 차량용 도어체커의 개폐각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7040931B2 (ja) 乗員保護装置
KR101813806B1 (ko) 버스 안전 하차를 위한 하차 문 개폐 제어 시스템
CN105682995A (zh) 车门防撞器
KR200355804Y1 (ko) 열차 플랫폼 안전장치
KR20190059645A (ko)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충돌방지 장치 및 방법
KR20160062399A (ko) 문콕방지를 위한 센서 및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