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9105A - 수평방향으로 래치를 구비하는 이중 힌지 차폐장치 - Google Patents

수평방향으로 래치를 구비하는 이중 힌지 차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9105A
KR20180049105A KR1020187010807A KR20187010807A KR20180049105A KR 20180049105 A KR20180049105 A KR 20180049105A KR 1020187010807 A KR1020187010807 A KR 1020187010807A KR 20187010807 A KR20187010807 A KR 20187010807A KR 20180049105 A KR20180049105 A KR 20180049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atch
hinge
frame
shield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0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4806B1 (ko
Inventor
다비드 휠러
스티브 클로츠
이안 사도스키
네르민 무자시노빅
노엄 골드버그
로버트 콜맨 스켈톤
앤디 워벅턴
아드난 에스마일
조슈아 리우
앤디 웡
파드마나반 쿠마르
존 베넷
존 휴스
헤먼트 시카리아
야곱 워맨
크리스 사트코스키
니콜라스 알텐부르거
Original Assignee
테슬라,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슬라, 인크. filed Critical 테슬라, 인크.
Publication of KR20180049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9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B60J5/0473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the door having a hinge axis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longitudinal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10Actuating mechanisms for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86Special type
    • B60J5/0491Special type lid, e.g. for luggage compartment accessible at vehicle 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5/00Locks in which a sliding latch is used also as a locking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8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to effect movement of a bolt or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4Strikers
    • E05B85/045Strikers for bifurcated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085With means for assisting depression of the latch bolt during latc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10Actuating mechanisms for bars
    • E05C9/14Actuating mechanisms for bars with pins engaging slo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20Coupling means for sliding bars, rod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082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with substantially radial friction, e.g. cylindrical friction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제1 힌지에 의해 차량에 힌지된 제1 부분과, 제2 힌지에 의해 상기 제1 부분에 힌지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이중 힌지 차폐장치; 상기 차량에 있는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프레임; 상기 제1 부분에 장착되며, 상기 제1 부분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프레임 상에 놓이는, 조절가능한 범프 멈춤부 서브 어셈블리; 및 수평 스트라이커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래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힌지에 대향하는 상기 제2부분의 단부가 수평 모션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말단부에 래치되거나, 상기 말단부로부터 언래치되도록 구성된, 래치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용 차폐장치 시스템.

Description

수평방향으로 래치를 구비하는 이중 힌지 차폐장치
본 출원은 "수평방향으로 래치를 구비하는 이중 힌지 차폐장치(DUAL-HINGE CLOSURE WITH LATCHING IN HORIZONTAL DIRECTION)"라는 명칭으로 2015년 9월 24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No.62/232,155와, "수평방향으로 래치를 구비하는 이중 힌지 차폐장치"라는 명칭으로 2016년 9월 22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No. 15/273,157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모든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되고, 본 발명의 모든 목적을 위해 본 출원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차량과 운전자(또는 승객) 사이의 상호 작용은 차량이 주행하는 상황에만 국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개인 휴대품 또는 화물을 적재하거나 적하하는 것을 포함하여 차량으로 들어가거나 이로부터 나오는 행동을 포함한다. 차량에 의해 자동적으로 감지되는 전자 열쇠의 증가하는 사용은, 더욱 용이하고 더욱 완전히 자동화된 차량에 대한 진입 진출의 과정에 대한 노력들을 보조한다.
최근에, 자동화된 차량 차폐장치 기술 분야는, 테슬라 모터(Tesla Motor)에 의해 도입된, 이중 힌지를 경유하여 움직이는 복수의 섹션을 구비하는 전동식 차량 도어에 의해 약진하게 되었다. 예로써, 이러한 도어는 차량 내부로의 더욱 큰 개구를 제공할 수 있어서, 승객이 제2 열 및/또는 제3 열로 더욱 쉽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제1 측면으로, 차량용 차폐장치 시스템은, 제1 힌지에 의해 차량에 힌지된 제1 부분과, 제2 힌지에 의해 상기 제1 부분에 힌지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이중 힌지 차폐장치; 상기 차량에 있는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프레임; 상기 제1 부분에 장착되며, 상기 제1 부분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프레임 상에 놓이는, 조절가능한 범프(bump) 멈춤부 서브 어셈블리; 및 수평 스트라이커(striker)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래치(latch)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힌지에 대향하는 상기 제2 부분의 단부가 수평 모션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말단부에 래치(latching)되거나, 상기 말단부로부터 언래치(unlatching)되도록 구성된, 래치 시스템;을 포함한다.
실시예는 이하의 구성 중 임의의 구성 또는 모든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차폐장치 시스템은, 상기 제1 부분을 위한 제1 전자기계 액츄에이터 및 상기 제2 부분을 위한 제2 전자기계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전자기계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1 부분의 말단부와 상기 제1 힌지에 있는 상기 프레임 사이에서 연장한다. 상기 제2 전자기계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1 부분의 근접 단부와 상기 제2 부분의 근접 단부 사이에서 연장한다. 상기 래치는 상기 제2 부분의 상기 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수평 스트라이커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말단부에 장착된다. 차폐장치 시스템은, 상기 래치의 노우즈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웨지와 상기 수평 스트라이커를 포함하는 스트라이커 어셈블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트라이커 어셈블리는 상기 수평 스트라이커의 각 측에 각각의 웨지를 포함한다. 상기 스트라이커 어셈블리는 상기 수평 스트라이커의 위와 아래에 각각 웨지를 포함한다. 상기 스트라이커 어셈블리는 상기 웨지를 지지하는 스프링 엘리먼트를 더 포함한다. 상기 조절가능한 범프 멈춤부 서브 어셈블리는 스페이서, 상기 제1 부분에 연결된 브래킷, 및 상기 브래킷에 대하여 상기 스페이서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가능한 범프 멈춤부 서브 어셈블리는 상기 스페이서를 편향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어싱 엘리먼트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바이어싱 엘리먼트는 상기 부재를 향하여 상기 스페이서를 편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절가능한 범프 멈춤부 서브 어셈블리는 상기 스페이서를 유지하는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재는 상기 브래킷에 대항하여 상기 바이어싱 엘리먼트를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리부를 구비한다. 상기 부재는 상기 스페이서가 조절됨에 따라 다른 높이로 설정되고, 상기 부재는 상부 부분에 상기 브래킷을 유지하는 볼트에 의해 가이드된다. 상기 차폐장치 시스템은 상기 제2 부분의 가장자리 상에 셔트페이스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셔트페이스 스위치는 상기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모션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제2 측면으로, 차량용 차폐장치 시스템은 제1 힌지에 의해 차량에 힌지된 제1 부분과, 제2 힌지에 의해 상기 제1 부분에 힌지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이중 힌지 차폐장치; 상기 차량에 있는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프레임; 폐쇄 위치에 상기 제1 부분을 조절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제1 부분에 장착된 제1 수단; 및 상기 제2 힌지에 대향하는 상기 제2 부분의 단부를 수평 모션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말단부에 래치하거나 상기 말단부로부터 언래치하는 제2 수단을 포함한다.
실시예는 이하의 구성 중 임의의 구성 또는 모든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단은 조절가능한 범프 멈춤부 서브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수단은 수평 스트라이커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래치를 포함하는 래치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래치는 상기 제2 부분의 상기 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수평 스트라이커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말단부에 장착된다.
제3 측면으로, 차량용 차폐장치 시스템은: 차량에 있는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프레임과 이중 힌지 도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차폐장치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중 힌지 도어는: 상부 부분으로서, 그 근접 단부에 있는 상부 힌지에 의해 상기 차량에 힌지되는 상기 상부 부분; 상기 상부 부분의 말단부와 상기 상부 힌지에 있는 상기 프레임 사이에서 연장하는, 제1 및 제2 상부 전자기계 액츄에이터; 상기 상부 부분에 장착되며, 상기 상부 부분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프레임 상에 놓이는, 조절가능한 범프 멈춤부 서브 어셈블리; 하부 부분으로서, 그 하부 부분의 상부 단부에서 하부 힌지에 의해 상기 상부 부분에 힌지된 상기 하부 부분; 상기 상부 부분의 상기 근접 단부 및 상기 하부 부분의 근접 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제1 및 제2 하부 전자기계 액츄에이터; 및 상기 하부 부분이 수평 모션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래치되거나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언래치되도록 구성된, 래치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래치시스템은: 상기 하부 부분의 하부 단에 장착된 래치; 상기 프레임의 하부 단부에 장착된 수평 스트라이커로서, 상기 수평 스트라이커는 상기 래치가 상기 수평 스트라이커와 맞물릴 때 상기 하부 부분을 수평방향으로 고정하도록 구성된, 상기 수평 스트라이커; 상기 수평 스트라이커의 각 측에서 상기 래치의 노우즈의 위와 아래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웨지로서, 상기 래치가 상기 수평 스트라이커와 맞물릴 때 상기 하부 부분을 수직방향으로 고정하도록 구성된, 상기 슬라이딩 웨지; 및 상기 슬라이딩 웨지를 지지하는 스프링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본 출원서는 승객실과 같은 차량 내부로의 더욱 편리한 접근을 제공하는 차량 차폐장치의 시스템과 기술을 설명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이중 힌지 도어는 개량된 개방과 폐쇄 시퀀스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개방 시에 도어가 그 하부 가장자리에서 래치로부터 먼저 벗겨지고(peel away), 그 후에만 상부 부분이이동하고, 폐쇄 시에는 그 역으로 되어, 수평 모션으로 하부 래치로 회전하기 전에 도어는 먼저 상부 멈춤부에 놓인다. 즉, 은갈매기형 날개 같은 패턴으로 이동하는 대신, 도어는 그 스스로 개구 둘레에 있는 프레임으로부터 그 자신을 풀거나 또는 이 프레임으로 그 자신을 둘러싼다.
여기서 도어가 실시예로서 사용되기는 하지만, 이들 도어가 사용될 수 있는 유일한 종류의 구조는 아니다. 오히려, 여기서 설명된 기술 사상은 후드, 트렁크 뚜껑, 내리닫이문 및 지붕을 포함하는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다른 차폐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가 제2 열 및 제3 열에로의 개구에 대한 차폐장치를 설명하기는 했지만, 차량의 임의의 다른 개구에 대한 차폐장치에 대해서도 고려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스포츠 유틸리티 또는 크로스 오버 차량 같은 승용차가 실시예로서 사용되었지만, 트럭, 밴, 버스, 선박, 항공기, 열차, 트램 및 다른 교통 캡슐을 포함하는 다른 교통수단(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이 고려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차량이라는 용어는 이러한 교통 장치의 임의의 것 또는 모든 것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다양한 구성 또는 구성의 부분이 상부, 하부, 말단부 또는 근접부로서 특징지워진다. 그러나, 어떤 실시예에서는 다른 명명법이 더욱 적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성 또는 구성의 부분은 내부, 외부, 좌측 또는 우측으로서 특징지워진다. 따라서, 상부와 하부라는 용어는 단지 예시적인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이다.
도 1은 폐쇄 위치에서의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는 개방 위치에서의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 범프 멈춤부 서브 어셈블리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는 수평 스트라이커 어셈블리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는 스트라이커와 맞물리는 래치 노우즈(nose)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 6b는 이중 힌지 차폐장치를 위한 이동 패턴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도어 제어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은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모션이 또 다른 차폐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9는 이중 힌지 클러저의 모션이 또 다른 차폐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이중 힌지 클러저의 모션이 그 개방된 시간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이중 힌지 클러저의 모션이 폐쇄 엔빌로우프(envelope)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이중 힌지 클러저의 자동화된 모션이 수동 모션에 기초하여 시작되는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이중 힌지 클러저의 자동화된 모션이 장애물의 접촉력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4는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장애물-멈춤 모션이 무효화되는 터치스크린 통지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5는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장애물-멈춤 모션이 외부 또는 내부 제어부를 유지함으로써 무효화되는 되는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6은 장애물이 멀어진 이후에도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장애물-멈춤 모션이 계속되는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7은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모션이 이중 힌지 차폐장치에 있는 탭(tap) 힘과 지속시간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8은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폐쇄 모션이 셔트페이스(shutface) 제어부를 사용하여 제어되는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9는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모션이 셔트페이스 제어부를 사용하여 제어되는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0은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모션이 터치 스크린 제어부를 사용하여 제어되는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1은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모션이 터치 스크린 제어부를 사용하여 제어되는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2는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모션이 결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3은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모션이 결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4는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전기 액츄에이터가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은 폐쇄 위치에서의 이중 힌지 차폐장치(1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중 힌지 차폐장치는 상부 부분(102)를 구비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폐쇄 위치에 있는 동안 상부 부분은 차량 지붕 부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상부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창문(104)을 구비한다. 이중 힌지 차폐장치는 하부 부분(106)을 구비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폐쇄 위치에 있는 동안 하부 부분은 차량의 측부의 일부분으로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하부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창문을 위한 개구(108)를 구비한다.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의 각각은 예를 들면 주조 부품으로서 적절한 재료로 제조된다.
상부 부분은 상부 힌지(110, 112)에 장착된다. 상부 힌지는 구조(114)에 연결된다. 예를 들면, 구조는 차체 같은 프레임의 일부분이다. 상부 힌지의 다른 단부는 그 근접 단부(116)에 근접한 상부 부분에 부착된다. 상부 힌지는,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상부 부분으로 하여금 차량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회전하게 한다.
하부 부분은 하부 힌지(118)에 의해 상부 부분에 부착된다. 하부 힌지는 하부 부분의 근접 단부(120)와 상부 부분의 말단부(122)에 부착된다. 하부 힌지는 하부 부분이 상부 부분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한다.
상부 부분을 위한 상부 액츄에이터(124)와 하부 부분을 위한 하부 액츄에이터(126)가 여기서 도시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액츄에이터가 도어 부분의 적어도 하나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쌍의 액츄에이터가 창문(104)의 각 측에 위치한다. 상부 액츄에이터가 근접 단부(116)에서 차량 프레임에 부착되고, 말단부(122) 근방의 상부 부분에 부착된다. 하부 액츄에이터는 그 근접 단부(116) 근방의 상부 부분에 부착되고, 그 근접 단부(120) 근방에 있는 하부 부분에 부착된다. 예를 들면, 하부 액츄에이터는 브래킷(128)을 경유하여 하부 부분에 작용한다.
각각의 액츄에이터는, 그 각각의 힌지(여기서는, 상부 또는 하부) 주위로 대응하는 도어 부분(여기서는, 상부 또는 하부)의 회전을 유발하도록, 연장과 수축을 위한 임의의 적절한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리니어 전자기계 액츄에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액츄에이터는 제어기를 사용하여 여자되며(energized), 액츄에이터를 양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요구되는 힘(예를 들면, 전류의 양)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장애물을 검출할 수 있다.
도 2는 개방 위치에서의 이중 힌지 차폐장치(1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차량의 나머지 부분은 단순화를 위해 여기서는 명확히 도시하지 않지만, 차량은 예를 들면, 차량 후방 섹션(200), 차량 내부(202) 및 전방 도어 영역(204)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실시예에서, 이중 힌지 차폐장치는 적어도 차량 내부(202)에 있는 제2 열의 승객 시트로의 접근을 제공하고, 선택적으로는 차량 후방 섹션(200)을 향하여 위치한 하나 이상의 제3 열 시트로의 접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부 액츄에이터(124)는 앞에서의 예시보다 더 연장되어 있는데, 이로써 상부 부분(102)은 차량에 대하여 회전하게 되어 개방 위치에 있게 된다. 이것은 상부 액츄에이터의 최대 연장 또는 부분적인 연장에 대응한다. 하부 액츄에이터는 상부 위치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에 위치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것은 위에서 도시된 폐쇄 위치에서 보다 더욱 내측으로, 또는 더욱 위측으로의 회전에 대응한다. 예를 들면, 여기서 하부 부분의 위치는, 머리 위에 장애물이 감지되었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여기서 차량 프레임의 일부분인 구조(114)는 차량 내부(202)로의 개구(206)를 형성한다. 따라서, 이중 힌지 차폐장치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승객은 차량 내부로 또는 차량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중 힌지 차폐장치(100)는 그 위치 및/또는 모션을 관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셔트페이스 제어부(208)가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셔트페이스 영역(210)에 제공된다. 도어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셔트페이스 영역은 숨겨지지만, 하나 이상의 개방위치에서 접근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는 (예를 들면, 푸쉬 버튼에 의해 작동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도어의 하부 부분(106)에 있는 셔트페이스 영역의 일부분에 위치한다.
상부 부분(102)은 하나 이상의 범프 멈춤부 영역(212)을 구비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부 부분은 그 폐쇄 위치에서 상부 부분을 적절히 조절하도록 구성된 범프 멈춤부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이것은 상부 부분에 놓이는 높이 조절부를 허용하여 지붕(예를 들면, 인접한 유리 패널) 영역 근방에서 같은 높이가 되도록 한다.
이중 힌지 차폐장치는 하나 이상의 래치를 사용하여 차량에 래치된다. 예를 들면, 래치와 이에 대응하는 스트라이커의 래치 시스템은 차량 프레임과 도어의 사이에 위치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래치(214)는 하부 부분에 제공된다. 예를 들면, 래치는 하부 부분의 말단부(216) 근방에 위치한다. 차량 프레임의 스트라이커 영역(218)은 가령 그 하부 단부에서 구조(114)에 제공된다. 래치는 자동으로 및/또는 수동으로 작동된다.
사람이나 또 다른 장애물이 모션 중인 이중 힌지 차폐장치에 의해 핀칭(pinching)되는 가능성을 감소시키도록 특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중 힌지 차폐장치와 전방 도어 영역(204) 사이의 공간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돌 영역(220)(여기서는 개략적으로 도시함)이 양측 도어의 특정한 위치에 기초한 2차원 또는 3차원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영역은 이중 힌지 차폐장치와 전방 도어의 각각의 스윙 패턴을 고려하여 정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방 도어는 (또한) 구동되어 가령 폐쇄 위치와 개방 각도에 대응하는 복수의 개방 위치 같은 위치를 자동적으로 취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전방 도어는, 그 개방 시에 소정 값 이하의 개방 각도에서는 멈추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전방 도어와 이중 힌지 차폐장치 사이에서의 핀칭 상황을 방지한다.
여기서, 단순화를 위해 단지 하나의 이중 힌지 도어가 도시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이러한 차폐장치가 차량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은 그 일측을 따라 복수의 차폐장치를 구비하거나 및/또는 차량의 대향하는 양측에 차폐장치를 구비하거나, 및/또는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차폐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범프 멈춤부 서브 어셈블리(3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서브 어셈블리는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상부 부분, 예를 들면 범프 멈춤부 영역(212)(도 2)의 어느 하나 또는 모든 영역에 장착된다. 거기서, 서브 어셈블리는 폐쇄 위치에서 상부 부분을 조절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서브 어셈블리는 L 형상 프로파일을 구비하는 브래킷(302)를 포함한다. 브래킷의 직립 부분은 볼트(302)에 의해 상부 부분의 구조에 부착된다. 브래킷의 측방향 부분은 그 놓이는 위치에서 상부 부분을 지지하는 면을 제공한다. 스페이서(306)는 브래킷의 측방향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스페이서는 가령 측방향 부분을 통해 작동하는 조절부(308)에 의해, 상부 부분의 놓이는 높이를 설정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령 고무 같은 탄성 재질로 만들어진) 스페이서(306)는 볼트(304)를 위한 각각의 슬롯을 구비하는 부재(310)에 장착되어, 브래킷(302)에 대하여 조절가능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부재는 브래킷(302)의 직립 부분과 평행한 백(back) 부분을 구비한다. 백 부분으로부터, 스페이서는 측방향 부분의 일측 상에서 연장할 수 있고, 타측상에서, 다리부(312)는 백 부분으로부터 연장할 수 있다. 다리부는 브래킷에 작용하는 스프링(314) 또는 임의의 다른 바이어싱 엘리먼트를 지탱할 수 있다. 이처럼. 스페이서(306)는 조절부(308)의 모든 설정시에 브래킷을 향하여 편향될 수 있다. 서브 어셈블리는 피니셔(finisher, 316)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일 수 있는데 여기서는 명료성을 위해 투명하게 도시된다. 예를 들면, 피니셔는 문풍지 또는 다른 시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수평 스트라이커 어셈블리(4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수평이라는 용어는, 어셈블리로의 래치 모션 또는 어셈블리로부터의 언래치 모션이 경로(402)로 개략적으로 도시된 실질적으로 수평 모션에 의해 일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경로는 가령 래치 (또는 스트라이커)가 하부 힌지 또는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하부 힌지로서 회전 지점으로부터 약간 이격되어 위치할 때, 직선이거나 약간 구부러질 수 있다.
어셈블리(400)는 스트라이커(404)를 포함한다. 스트라이커는 래치와 맞물려서 하부 부분을 고정하고, 이로써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나머지 부분을 수평 위치로 고정한다. 또 다른 방향에서의 도어의 고정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상부 슬라이딩 웨지(406) 및/또는 하부 슬라이딩 웨지(408)가 제공될 수 있다. 슬라이딩 웨지는 스트라이커의 위와 아래에 제공될 수 있다. 슬라이딩 웨지는 스트라이커의 어느 일측 또는 양측에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웨지는 래치와 맞물려서 차폐장치의 상부와 하부 위치를 확실히 한다. 예를 들면, 웨지는 모든 공차 조건하에서 래치와의 단단한 결합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웨지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적절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여기서 웨지는 스프링 엘리먼트(410)에 의해 지지된다. 예를 들면, 스프링 엘리먼트는 고무로 만들어지고, 웨지를 위한 범퍼로서의 역할을 한다. 브래킷(412)은 스트라이커를 부착하도록 및/또는 웨지 또는 스프링 엘리먼트를 지지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스트라이커와 맞물리는 래치(214)의 노우즈(5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노우즈는 슬라이딩 웨지(406, 408)에 의해 가이드되어 브래킷(412)으로 들어가고, 거기에서 스트라이커와 맞물려서, 제 위치에서 래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래치는 이동 가능한 구조에 위치하고 스트라이커는 고정된다. 예를 들면, 래치는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하부 부분에 장착될 수 있고 스트라이커는 가령 프레임 같은 전체적인 차량 구조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여기서 래치 시스템은 수평 모션에 의해 하부 부분 단부의 차량 프레임 부분으로의 래치 및 이로부터의 언래치를 제공한다. 이것은 하부 부분과 차폐장치의 나머지 부분으로 하여금, 래치와 씬칭(cinching) 래치 기구의 작동에 의해 완전한 홈(home) 위치로 작동되게끔 한다. 즉, 래치와 맞물릴 때, 하부 부분은 수평 및 수직 모션에 대항하여 구속되어, 차체에 단단한 부착을 제공한다.
연결부(502)는 (예를 들면, 그 내부에서) 차폐장치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한 가령 전동 유닛 같은 래치 액츄에이터와 래치 사이에서 연장할 수 있다. 래치 및 언래치는 가령 도어 제어기 또는 또 다른 차량 제어기에 의해 원격의 위치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 연결부(504)는 가령 도어 핸들 또는 다른 그립 같은 수동 액츄에이터와 래치 사이에서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것은 가령 정전의 경우와 같이 전력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 사람으로 하여금 차폐장치를 언래치하게끔 한다.
도 6a 내지 도 6d는 이중 힌지 차폐장치(602)를 위한 이동 패턴(600)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동 패턴은 여기서 설명되는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어느 것 또는 모든 것에 적용된다. 예를 들면, 여기서 이동 패턴은 개방 시퀀스이다.
이중 힌지 차폐장치(602)는 여기서 힌지(606)에 의해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604)을 포함한다. 도 6a에 도시된 폐쇄 위치에서, 부분(604)은 가령 지붕 라인과 같은 차량 외측에 있는 면(608)과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가 된다.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부분(610)은 힌지(612)에 의해 부분(60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스트라이커 어셈블리(614)는 부분(610)의 자유 단부를 향하여 위치한다. 부분(604, 610)은 각각 힌지(606, 612) 주위로 회전을 유발하는, 대응하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한다. 부분(604)은 차량 차체의 구조(616)에 놓이는 범프 멈춤부(614)를 구비한다.
도 6a는 폐쇄 위치에서의 차폐장치를 도시한다. 예를 들면, 차량이 주행중이거나 주차중일 경우, 여기서 부분(610)은 차체에 래치된다. 그러나, 사람이 차량으로 들어가거나 거기로부터 나와야할 때, 개방 시퀀스가 시작된다. 예를 들면, 이것은 차량의 내측 또는 외측에 있는 제어부를 작동시킴으로써 또는 운전자에게 속한 무선 장치의 차폐장치 근방에서의 존재의 검출에 의해 촉발된다.
신호에 반응하여 개방 시퀀스를 시작함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작동이 수행된다. 래치는 해제되어 차량으로부터 부분(610)의 자유 단부를 언래치한다. 부분(604)을 위한 액츄에이터는 차체에 대항하여 부분(604)을 유지하도록 (여기서는 구조(616)에 대항하여 범프 멈춤부(614)를 유지하도록) 여자된다. 부분(610)을 위한 액츄에이터는 그 부분을 개방하도록 여자되어, 래치와 스트라이커가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서로 클리어(clear)한다. 예를 들면, 이러한 회전 범위는 몇 도의 차수 일 수 있고, 서로 시일된 부품 사이에서의 측방향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개구 주위의 시일의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b는 부분(604)이 이동함이 없이, 부분(610)이 차량으로부터 약간 회전해서 멀어지는 것을 도시한다. 가령 차폐장치에 인접한 시트에 있는 차량 내의 사람에게는, 부분(610)의 부분의 외측으로의 이동은 실질적으로 상방으로의 모션에 바람직하다. 이러한 모션은, 차폐장치가 은갈매기형 날개-같은 방식으로 개방되기 보다는 차량으로부터 벗겨지도록 하는 개방 시퀀스의 일부분일 수 있다. 모션은 어떠한 장애도 없다는 조건하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것은 (가령 어느 정도 떨어진 거리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에 의해) 어떠한 잠재적인 장애물도 검출되지 않고, (가령 액츄에이터를 이동시키기 위해 어떠한 과도한 힘도 필요하지 않다고 결정함으로써) 어떠한 실제의 장애물도 차례장치에 의해 충돌되지 않는다는 것을 포함한다.
차량으로부터 멀어지는 부분(610)의 회전은 도 6b에 도시된 위치 주위에서 임시로 정지한다. 동시에, 부분(604)에 대한 액츄에이터는 여자되어 그 부분이 차량으로터 멀어지도록 회전하게 한다. 또한, 부분(610)을 위한 액츄에이터는 여자되어 차량을 향하여 부분(610)을 회전시킨다. 이것은 개방 시퀀스 동안 차폐장치의 풋프린트(footprint)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여, 예를 들면 좁은 공간에서의 개방을 허용한다. 어떤 의미에서, 차폐장치는 개방하는 동안 차량의 측부를 끌어안게 된다.
도 6c는 액츄에이터가 부분(604)을 차량으로부터 멀어지게 회전시키고 부분(610)을 차량을 향하여 회전시키는 때의 이중 힌지 차폐장치(602)를 도시한다. 범프 멈춤부(614)는 구조(616)에 놓이지 않는다. 개방 패턴의 이러한 국면 동안 소정의 지점에서, 힌지(612) 주위의 회전이 최소 각도에 도달하고 따라서 멈춘다. 즉, 부분(610)은 차량을 향한 회전을 임시로 멈춘다. 이것은 부분(604)이 차체로부터 계속해서 멀어지게 회전하는 동안에 일어난다.
부분(610)의 내측으로의 회전이 멈춘 후에, 부분(610)은 외측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것은 부분(610)의 자유 단부가 구조(616) 또는 차제의 다른 부분을 클리어 하도록 한다. 이러한 외측으로의 회전은 부분(604)이 차체로부터 계속해서 멀어지게 회전하는 동안에 일어난다. 도 6d는 개방 위치에서의 이중 힌지 차폐장치(602)를 도시한다. 부분(604, 610)은 서로에 대해 그리고 차량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정지된다. 예를 들면, 힌지(606) 및/또는 힌지(612)는 그 회전이 종료된다.
차폐장치(602)의 폐쇄 패턴은 역순으로 일어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것은 가령 스위치 또는 다른 제어부로부터의, 또는 무선장치를 경유한 대응 신호에 의해 촉발될 수 있다. 즉, 액츄에이터는 여자되어 부분(604, 610)은 그 각각의 힌지 주위로 차량을 향하여 회전한다. 이것은 부분(610)이 힌지(612) 주위의 회전을 멈추는 최소 각도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상부 부분(604)은 멈춤부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힌지(606) 주위의 회전을 계속할 수 있다. 일부 또는 모든 이러한 회전 시에, 부분(610)은 차량으로부터 멀어지게 회전될 수 있다. 차량을 향한 부분(604)의 회전은 범프 멈춤부(614)가 구조(616)에 대항하여 놓일 때 멈춘다. 따라서, 부분(610)은 차량을 향하여 회전하여 스트라이커 어셈블리(614)와 맞물릴 수 있고, 따라서 수평방향으로부터 차체에 래치된다. 즉, 폐쇄 시퀀스는, 이중 힌지 차폐장치가 (범프 멈춤부(614)에 의해) 구조(616)에 그 자신을 둘러싸고 마지막으로 자유단부에서 래치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도 7은 도어 제어 시스템(7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어(702) (또는 차폐장치의 또 다른 유형)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여기서 도어는 상부 전자기계 받침대(704), 하부 전자기계 받침대(706), 래치(708) 및 창문 조절기(710)를 구비한다. 이들 또는 다른 구성은 도어 제어기(712)에 연결되어 제어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기는 관련된 도어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설계된, 전용 프로세서 또는 집적회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다른 명령 및/또는 오퍼레이팅 변수가 제어기에 접근 가능한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차량에 저장된 로컬 명령/정보 예를 들면, 무선 펌웨어 업데이트(over-the-air firmware update)로서, 원격 시스템을 사용하여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제어기는, 부품에 의해 또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도는 다른 프로세서에 의해 만들어진 신호 또는 다른 입력에 반응할 수 있고, 이로써 예를 들면 여기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동작을 하도록 촉발된다.
도어 제어 시스템(700)은 도어 제어기에 연결된 센서(714)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의 이상의 센서가 도어(702)에 위치하고, 하나 이상의 센서가 그 밖의 위치에 위치한다. 예를 들면, 센서는 차량의 또 다른 도어 상에 또는 그 내에 또는 차량의 지붕에 위치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는(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의 입력은, 제어기가 특정한 위치에 있는 도어를 (예를 들면, 모터 및/또는 유압식 기계에 의해) 어떻게 제어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리고 제한 없이: 래치 센서는 도어 래치가 래치되어 있는지를 나타낼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위치 센서는 도어(또는 도어가 복수의 힌지부를 구비할 때 그 각각의 섹션)의 현재 위치를 나타낼 수 있고; 핀치(pinch) 센서는 개방되는 도어의 프레임에 대항하여 도어가 임의의 장애물(예를 들면, 사람 동물 또는 물건)을 핀칭하는지를 나타낼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위치 센서는 임의의 장애물이 도어의 의도된 경로를 막고 있는지를 나타낼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모터 센서는 모터의 속력 및/또는 전류를 나타낼 수 있다.
도어 제어 시스템(700)은 하나 이상의 외부 제어부(716) 및/또는 하나 이상의 내부 제어부(718)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제어부는 도어(702)에 위치하고, 하나 이상의 제어부는 그 밖의 위치에 위치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외부 제어부는 도어의 외측에 터치에 민감한 면을 구비한다. 이러한 면은 도어 핸들과 유사하게 보일 수도 있지만, 반드시 이동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사람이 면을 터치할 때에 발생하는 신호는 도어 제어기에 의해 임의의 작동을 촉발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인증 장치(예를 들면, 전자 열쇠 또는 스마트폰)가 소정 거리 또는 영역 내에서 차량의 외측에 있는 것이 검출될 때, 차량은 외부 도어 제어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어 제어부가 작동된 후에, 이것은 사람이 만드는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이것은 인증되지 않은 사람에 의해 도어가 개방되는(또는 폐쇄되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면, 사람이 터치에 민감한 핸들 또는 다른 버튼을 가압하거나 터치할 수 있다.
내부 제어부는 예를 들면 제1 열 시트 뒤에 있는 차량의 B-필라(B-pillar)를 덮는 내부 패널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제2 열 시트에 있는 사람이 또한 전방 열에 있는 사람이 접근 가능하다.
여기서 몇몇 실시예에서,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이동을 유발하는 데에 스위치가 사용된다. 그러나, 터치에 민감한 제어부 (가령 용량성 스위치) 및 디스플레이 상의 가상 제어부 (가령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임의의 유형의 제어부가 고려될 수 있다.
도어 제어 시스템(700)은 차량의 하니스 또는 다른 버스로의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연결부는 전기 연결부 (예를 들면, 12V 배터리 전원 및 접지) 및 (예를 들면, CAN 또는 LIN 표준에 따른 통신을 위한 버스의 형태의) 통신장치를 구비한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도어 제어기(712)는 차량 제어기(720)에 연결된다. 차량 제어기(720)는 차량의 전체적인 거동과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이것은 도어 제어기와 차량을 위한 메인 제어 시스템 사이의 상호 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어서, 예를 들면 도어 제어기가 차량 작동의 다른 측면을 고려할 수 있다. 연결부는 차량에 있는 임의의 유형의 버스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버스는, 도어 제어 시스템(700)을 위한 전원 및 접지와 각각의 시스템 간의 통신을 제공한다.
차량 제어기는 가령 운전자에 의해 소지되는 열쇠 또는 전자 열쇠와 같은, 인증 장치와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 무선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제어 시스템 (예를 들면, 안전 제어 부품(724))이 차량의 외측 부근에 인증 창지가 있는 것을 검출하면, 임의의 차량 기능이 작동(또는 비작동)한다. 예를 들면, 관련된 영역에서 장애물이 있는지를 센서가 지시하지 않으면 하나 이상의 도어 또는 다른 차폐장치가 개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인증 장치는 열쇠 또는 전자 열쇠가 아니라,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를 위한 특정 오퍼레이팅 시스템과 호환가능한) 스마트폰 일 수 있고, 따라서 (예를 들면, 차량 제조사에 의해 제공됨으로써) 특정 차량에 맞춤된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하여, 차량에 의해 인식되는 스마트폰 (또는 다른 휴대용 장치)을 구성한다.
도어 제어 시스템(700)은 터치스크린 제어부(722)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터치스크린 제어부는 차량에 있는 차폐장치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및/또는 이러한 차폐장치의 모션을 시작하거나 제어하거나 멈춘다. 예를 들면, 터치스크린은 차량 대쉬 보드에 위치하여, 운전자 또는 전방의 승객이 접근가능하다. 다른 위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각각의 차량 도어 또는 다른 차폐장치는 대응하는 도어 제어 시스템(700)을 구비한다. 2개 이상의 도어 제어 시스템이 때때로 서로 상호 작용하거나 또는 차량 제어기(720)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어 제어 시스템(700)은 차량의 각각의 제2 열 도어의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반면, 대응하는 도어 제어 시스템은 가령 차량의 동일한 측의 전방 열 도어 같은 또 다른 차폐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방 도어를 위한 대응하는 도어 제어 시스템은 이러한 도어의 전동 개방 및 폐쇄를 제공한다. 도어(702)를 이동시키기 전에 그리고 이러한 모션 동안에, 도어 제어 시스템(700)은 전방 도어의 위치(또는 다른 측면)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어 제어 시스템(700)은 도어(702)가 두 개의 도어에 대해 정의된 충돌 영역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이중 힌지 차폐장치에 의한 작동의 몇몇 실시예가 설명된다. 이러한 작동은 하나 이상의 액츄에이터(예를 들면, 도 1에서 액츄에이터(124, 126))를 사용하는 제어기(예를 들면, 도 7에 있는 도어 제어기(712))에 의해 유발된다. 특별한 상황 없이, 차폐장치는 폐쇄시에도 개방시와 동일한 경로를 따를 수 있다. 또한, 도어 제어기는, 차량이 정지되어 있는 동안에만 차폐장치가 개방되고 차량이 정지되어 있는 경우에만 폐쇄가 시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량된 모션 시퀀스의 실시예로서 도어 제어기는, 머리 위에 장애물이 검출되지 않으면 차폐장치가 가장 좁은 범위로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차폐장치의 상부 부분은 개방을 멈추고, 하부 부분이 차량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할 수 있다.
작동은 공정에서 단계들로서 개략적으로 도시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두 개이상의 스텝이 다른 시퀀스로 실행될 수도 있다. 도시된 것보다 더 많은 스텝 또는 더 적은 스텝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공정이 개별적인 차폐장치의 기능의 일부분이 될 수 있다. 공정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중첩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공정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작동이 임의의 다른 공정의 범위 내에서 실행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매번 모든 공정이 반드시 실행되어야 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시스템은 가령 하나 이상의 스텝과 같은 공정의 일부분만이 특정 상황에서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이중 힌지 차폐장치(DHC)의 모션이 또 다른 차폐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는 방법(8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스텝(810)에서, 전방도어가 개방되는 것이 결정된다. 예를 들면, 이것은 하나 이상의 센서 및/또는 차량 제어기를 사용하여 행해진다. 스텝(820)에서, 전방도어가 소정의 각도(A)보다 좁은 각도로 개방된 것이 결정된다. 예를 들면, 전방 도어는 전동으로 작동되고, 각도가 A 보다 작은 위치에서는 자동으로 위치하지 않고 사람이 그 위치에서 도어를 수동으로 푸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스텝(830)에서, 예를 들면 제어부를 사용하여 발생된 신호의 결과로서 DHC가 이동한다. 스텝(820)에서 만들어지는 결정은 DHC 모션 제어에 고려된다. 스텝(840)에서, DHC는 전방 도어에 대하여 정의된 충돌 영역에서 멈춘다. 예를 들면, 만일 DHC가 폐쇄되었다면, 내측으로의 모션은 중단된다.
도 9는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모션이 또 다른 차폐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방법(9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스텝(910)에서, DHC는 전방 도어에 기인하여 멈춘다. 예를 들면, 이것은 전방 도어에 대하여 정의된 충돌 영역으로 DHC가 들어가려고 하기 때문에 일어난다. 스텝(920)에서, 전방 도어가 이동한다. 이것은 자동 모션으로 되거나 사람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스텝(930)에서, DHC는 전방 도어의 이동에 이어서 이동하기 시작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것은, DHC가 멈춘 후에 전방 도어가 소정 시간(예를 들면, 수 초) 내에 멈출 때에만 일어나다. 예를 들면, DHC는 그 이전의 모션(예를 들면, 폐쇄 시퀀스)을 계속할 수 있다.
도 10은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모션이 개방된 시간의 양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는 방법(10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스텝(1010)에서, DHC는 개방된다. 예를 들면, DHC는 그 완전 개방 위치로 전동 개방된다. 스텝(1020)에서, 도어가 개방된 이래로 경과된 시간의 양이 결정된다. 스텝(1030)에서, DHC는 임의의 제어부를 사용하여 발생된 신호의 결과로써 폐쇄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폐쇄는 결정된 시간의 양에 따라 이루어진다. 만일 소정 시간 (예를 들면, 1 시간 이상의 시간) 이하로 DHC가 개방된 채로 있으면, DHC는 통상의 모드에 따라 폐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상의 모드에서 폐쇄 시퀀스를 유발하는 것은, 제어부를 한 번 누르거나 작동시키는 것으로 충분하다. 반면 만일 DHC가 적어도 소정 시간 동안 개방된 채로 있으면, DHC는 측정(calibration) 모드에 따라 폐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정모드에서, 폐쇄 시퀀스를 유발하기 위해 제어부는 계속해서 눌러지거나 작동된다.
도 11은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모션이 폐쇄 엔빌로우프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는 방법(11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스텝(1110)에서, DHC는 개방되고 스텝(1120)에서, DHC는 수동으로 이동된다. 예를 들면, 이것은 임의의 방향으로 DHC의 어느 한 부분 또는 양 부분을 푸쉬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어기는 이러한 수동식 조절부를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차폐장치를 새로운 위치에 유지시킨다. 스텝(1130)에서, DHC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입력이 수신된다. 예를 들면, 이러한 입력은 임의의 제어부를 사용하여 발생될 수 있다. 스텝(1140)에서, DHC의 폐쇄 엔빌로우프와 개방 엔빌로우프가 비교된다. 예를 들면, 이것은, 개방 시퀀스 동안 보다도 DHC가 폐쇄 시에 지상위로 더 큰 풋프린트를 점유하거나 및/또는 차량 위로 더 높이 도달했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만일 그러하다면, DHC는 스텝(1150)에서 이전의 위치(예를 들면 수동에 의한 이동 전의 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다. 스텝(1130)에서 수신되는 입력에 대응하여 스텝(1160)에서, DHC가 개방 또는 폐쇄된다.
도 12는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자동 모션이 수동 모션에 기초하여 시작될 수 있는 방법(12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스텝(1210)에서, DHC가 수동으로 이동된다. 예를 들면, 사람이 임의의 방향으로 DHC의 어느 부분을 푸쉬하거나 끌어당길 수 있다. 스텝(1220)에서, DHC가 소정의 이동 한계치 (가령 힌지 주위로 임의의 회전 각도) 이상으로 수동으로 이동되었는지가 결정된다. 만일 그러하다면, 개방 또는 폐쇄 시퀀스가 스텝(1230)에서 시작된다. 예를 들면, DHC는 수동으로 이동되었던 방향으로 자동으로 이동된다.
도 13은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모션은 장애물과의 접촉력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는 방법(13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스텝(1310)에서, DHC가 이동한다. 스텝(1320)에서, 장애물이 접촉된다. 예를 들면, DHC 또는 차체의 핀치 센서를 사용하여 접촉이 검출되거나, 가령 전자기계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는 전류의 모니터링에 기초하여 DHC를 이동시키는데에 필요한 과도한 힘을 검출함으로써 접촉이 검출된다. 스텝(1330)에서, 장애물에 가해진 힘이 결정되거나 확인된다. 예를 들면, 힘은 센서 입력에 기초하여 및/또는 액츄에이터에 가해진 힘을 계량함으로써 결정된다. 스텝(1340)에서, 힘(또는 그의 또 다른 측정값)이 한계치와 비교된다. 스텝(1350)에서, 힘이 소정의 한계치에 도달하기 전에 DHC가 멈춘다. 예를 들면 DHC가 이동할 때마다 힘의 결정이 연속적인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으며 한계치와 끊임없이 비교된다. 힘이 갑작스럽게 증가한 것이 검출되면, 이것은 장애물에 접촉한 것으로 해석된다. 즉, 장애물에 대한 심각한 손상을 방지하도록 스텝(1350)에서 멈춘다.
도 14는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장애물-멈춤 모션이 무효화될 수 있는 터치스크린 통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14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스텝(1410)에서, DHC는 이동한다. 스텝(1420)에서, 장애물이 접촉되고 및/또는 검출된다. 예를 들면, 장애물과의 접촉은 상술한 내용과 유사하게 결정될 수 있다. 더욱이, 장애물은 가령 초음파 센서에 의해 수신되는 반향(echo)에 의한 경우와 같이 다른 방식으로 검출될 수 있다. 스텝(1430)에서, DHC는 접촉/검출에 반응하여 멈춘다. 스텝(1440)에서, 경고가 터치스크린 또는 다른 정보 장치에 표시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경고는 장애물이 접촉/검출되었다는 것을 리포트할 수 있고, 자동 멈춤을 무효로 하는 제어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5는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장애물-멈춤 모션이 내부 또는 외부 제어부를 유지함으로써 무효화되는 방법(15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스텝(1510)에서, DHC는 개방된다. 스텝(1520)에서, 장애물은 접촉 및/또는 검출된다. 따라서 스텝(1530)에서 DHC는 멈춘다. 예를 들면, 이것은 운전자 또는 승객에 대핸 적절한 경로를 동반한다. 스텝(1540)에서, 가령 내부 또는 외부 스위치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입력 제어부가, 사람에 의해 계속해서 작동한다. 스텝(1550)에서, DHC의 개방은 이러한 입력에 기초해서 계속된다. 예를 들면, DHC가 DHC 바깥쪽으로 안전하게 푸쉬될 수 있는 식물과 접촉하는 경우와 같이, 만일 손상이 발행하지 않은 것을 사람이 안다면, 이것은 사람으로 하여금 계속해서 DHC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한다. 스텝(1560)에서, 사람은 입력 제어부를 해제하고, 따라서 DHC는 스텝(1570)에서 멈춘다.
도 16은 장애물이 멀어진 이후에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장애물-멈춤 모션이 계속될 수 있는 방법(16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스텝(1620)에서, DHC는 이동한다. 이것은 내부 또는 외부 스위치를 사용하는 입력에 반응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스텝(1620)에서, 예를 들면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장애물이 검출된다. 따라서, DHC는 스텝(1630)에서 멈춘다. 다른 실시예에서, 장애물이 검출된 이후에 경과하는 시간의 양을 시스템이 추적한다. 예를 들면, 장애물이 소정 시간(예를 들면, 몇 초) 내에 검출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면, 시스템은 인터럽트된 모션을 계속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스텝(1650)에서, 경과된 시간의 결정에 기초하여 이동이 계속될 수 있다.
도 17은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모션이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탭의 힘과 지속시간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방법(17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스텝(1710)에서, DHC가 이동한다. 스텝(1720)에서, 이동하는 DHC 상의 탭이 검출된다. 예를 들면, 이것은 차량의 내측 또는 외측에 있는 사람에 의해 실행된다. 스텝(1730)에서, 탭의 힘은 가령 상술한 실시예에 따라 결정되거나 확인된다. 스텝(1740)에서, 힘 또는 다른 측정값(예를 들면, 수십 뉴톤(Newton)값)이 한계치와 비교된다. 한계치 힘의 지속시간은 스텝(1750)에서 결정되고, 스텝(1760)에서 시간 한계치(예를 들면, 수백 밀리 초 차수)와 비교된다. 검출된 탭이 소정 시간 동안 힘 한계치를 초과하면 DHC는 스텝(1770)에서 멈춘다.
도 18은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폐쇄 모션이 셔트페이스를 사용하여 제어되는 방법(18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스텝(1810)에서, DHC는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개방되고 모션은 없게 된다. 스텝(1820)에서, 사람이 DHC 상의 셔트페이스 제어부를 작동시킨다. 예를 들면, 사람이 셔트페이스 제어부(208)(도 2)를 누른다. 스텝(1830)에서, DHC는 셔트페이스 제어부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폐쇄된다.
도 19는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모션이 셔트페이스 제어부를 이용하여 제어될 수 있는 방법(19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스텝(1910)에서, DHC는 이동한다. 스텝(1820)에서, DHC의 모션이 있는 동안에 사람이 DHC 상의 셔트페이스 제어부를 작동시킨다. DHC는 입력에 반응하여 스텝(1830)에서 멈춘다.
도 20은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모션이 터치 스크린 제어부를 사용하여 제어되는 방법(20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스텝(2010)에서, 제어부는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된다. 예를 들면, 터치스크린은 차량의 대쉬 보드에 위치할 수 있다. 스텝(2020)에서, 표시된 제어부를 사용하여 발생된 입력이 수신된다. 예를 들면, DHC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를 원하면, 사람은 제어부를 터치한다. 스텝(2030)에서, DHC는 수신된 입력에 기초하여 개방 또는 폐쇄된다. 예를 들면, 만일 DHC가 초기 개방되면, 제어부는 이것이 폐쇄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으며, 그 역으로 될 수도 있다.
도 21은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모션이 터치스크린 제어부를 사용하여 제어될 수 있는 방법(21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스텝(2110)에서, DHC는 이동한다. 예를 들면, 이것은 내부 또는 외부 입력 제어부를 사용하는 입력의 결과일 수 있다. 스텝(2120)에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제어부를 사용하여 발생된 입력은 DHC의 모션이 있는 동안에 수신된다. 스텝(2130)에서, DHC는 터치스크린 입력에 기초하여 멈춘다. 예를 들면, 이것은 다른 사람에 의해 시작되었을 수도 있는 DHC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전방 시트에 있는 사람이 인터럽트 하게끔 한다.
도 22는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모션이 결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는 방법(22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스텝(2210)에서, 예를 들면 DHC가 폐쇄 위치에 있기 때문에 DHC는 이동하지 않는다. 스텝(2220)에서, 입력 제어부를 사용하여 발생된 신호로서 DHC를 개방하라는 요청이 수신된다. 스텝(2230)에서, 차량이 정지되어 있는지가 결정된다. 스텝(2240)에서, 어린이 보호 모드가 작동되어 있지 않은지가 결정된다. 예를 들면,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든 것이 DHC 및/또는 차량 제어기(720)(도 7)를 위한 로컬 제어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스텝(2250)에서, DHC는 결정된 조건이 만족된 경우 개방될 수 있다.
도 23은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모션이 결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는 방법(23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스텝(2310)에서, 예를 들면 DHC는 폐쇄 위치에 있기 때문에 DHC는 이동하지 않는다. 스텝(2320)에서, 예를 들면 입력 제어부를 사용하여 발생된 신호로서, DHC를 폐쇄하라는 요청이 수신된다. 차량이 정지되어 있는지(스텝(2230))와, 어린이 보호 모드가 작동되어 있지 않은지(스텝(2240))의 결정이 실행될 수 있다. 스텝(2350)에서, 결정된 조건에 만족되면 DHC는 폐쇄될 수 있다.
도 24는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전기 액츄에이터가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방법(24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스텝(2410)에서, DHC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신호가 수신된다. 예를 들면, 이것은 내부 또는 외부 입력 제어부를 사용하는 입력의 결과이다. 스텝(2420)에서, 차량의 기울어짐이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것은 전방-후방 기울어짐 및/또는 측방 기울어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이 오르막에서 멈출 때 만일 DHC가 개방된다면, DHC상의 중력은 차량의 후방을 향하여 DHC의 하부 부분을 회전시키려는 방향이 되고, 이것은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스텝(2430)에서, 액츄에이터에 개별적인 전력 레벨이 할당된다. 예를 들면, 개별적인 전력 레벨은 DHC의 일측에 있는 액츄에이터(예를 들면, 상부 부분 액츄에이터와 하부 부분 액츄에이터)에 더 많은 전력를 할당하여, 기울어짐에 있어서의 중력 방향에 대처한다. 스텝(2440)에서 개별적인 중력 레벨이 액츄에이터에 가해진다. 예를 들면, 전력 레벨은 복수 회 (또는 모션 동안 계속해서) 재평가될 수 있다.
이하는 실시예에서 실행될 수 있는 작동을 요약한 것이다.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개방 시퀀스를 제어하는 방법은: 차량에서 이중 힌지 차폐장치를 개방시키라는 요구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에 대응하여 (i)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말단부에 있는 수평 래치를 해제하고, (ii) 차량의 구조에 대항하여 제1 부분의 범프 멈춤부를 유지하도록 제 1 액츄에이터를 여자시키고, 및 (iii)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말단부가 수평방향으로 풀리도록 제2 액츄에이터를 여자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그 후에 (iv) 제1 부분이 차량으로부터 멀어지게 회전하도록 제1 액츄에이터를 여자시키고 (v) 제2 부분이 차량을 향하여 회전하도록 제2 액츄에이터를 여자시키며; 그 후에, (vi) 제1 부분에 대하여 제2 부분이 소정 각도 회전했을 때 제2 부분이 차량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회전시키고; 그 후에 이중 힌지 차폐장치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제1 및 제2 부분의 회전을 중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폐쇄 시퀀스를 제어하는 방법은: 차량에서 이중 힌지 차폐장치를 폐쇄시키라는 요구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에 대응하여 (i) 제1 부분이 차량을 향하여 회전하도록 제1 액츄에이터를 여자시키고, (ii) 제2 부분이 차량을 향하여 회전하도록 제2 액츄에이터를 여자시키고; 그 후에 제1 부분에 대하여 제2 부분이 소정 각도 회전하였을 때 제2 부분을 차량으로부터 멀어지게 회전시키며; 그 후에 (iii) 제1 부분의 회전을 멈추고, (iv) 제2 부분의 회전을 멈추며; 그 후에 (v) 차량의 구조에 대항하여 제1 부분의 범프 멈춤부를 유지하도록 제1 액츄에이터를 여자시키고, (vi) 차량에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말단부를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맞물리도록 제2 액츄에이터를 여자시키고, 및 (vii) 말단부에서 수평방향 래치를 맞물리는 것을 포함한다. 이중 힌지 차폐장치를 래치하는 방법은: 차량에 있는 개구의 하부 단부를 향하여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말단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되, 말단부와 하부 단부는 (i) 단부 들의 어느 하나에 있는 래치와 (ii) 단부 들의 다른 하나에 있는 수평 스트라이커를 포함하는 래치 시스템이 제공되고; 래치 시스템에 적어도 하나의 웨지를 사용하여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말단부를 수직방향으로 구속하고; 및 스트라이커에 래치를 맞물림으로써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말단부를 수평방향으로 구속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러 실행 방안이 실시예로서 설명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실시예들이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보호된다.
100: 이중 힌지 차폐장치 102: 상부 부분
106: 하부 부분 114: 구조
124: 상부 액츄에이터 126: 하부 액츄에이터
200: 차량 후방 섹션 202: 차량 내부
204: 전방 도어 영역 208: 셔트페이스 제어부
210: 셔트페이스 영역 212: 범프 멈춤부 영역
214: 래치 216: 말단부
218: 스트라이커 영역

Claims (20)

  1. 제1 힌지에 의해 차량에 힌지된 제1 부분과, 제2 힌지에 의해 상기 제1 부분에 힌지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이중 힌지 차폐장치;
    상기 차량에 있는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프레임;
    상기 제1 부분에 장착되며, 상기 제1 부분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프레임 상에 놓이는, 조절가능한 범프 멈춤부 서브 어셈블리; 및
    수평 스트라이커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래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힌지에 대향하는 상기 제2 부분의 단부가 수평 모션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말단부에 래치되거나, 상기 말단부로부터 언래치되도록 구성된, 래치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용 차폐장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을 위한 제1 전자기계 액츄에이터 및 상기 제2 부분을 위한 제2 전자기계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차폐장치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기계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1 부분의 말단부와 상기 제1 힌지에 있는 상기 프레임 사이에서 연장하는,
    차량용 차폐장치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기계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1 부분의 근접 단부와 상기 제2 부분의 근접 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차량용 차폐장치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상기 제2 부분의 상기 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수평 스트라이커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말단부에 장착되는,
    차량용 차폐장치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의 노우즈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웨지와 상기 수평 스트라이커를 포함하는 스트라이커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차폐장치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 어셈블리는 상기 수평 스트라이커의 각 측에 각각의 웨지를 포함하는,
    차량용 차폐장치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 어셈블리는 상기 수평 스트라이커의 위와 아래에 각각 웨지를 포함하는,
    차량용 차폐장치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 어셈블리는 상기 웨지를 지지하는 스프링 엘리먼트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차폐장치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가능한 범프 멈춤부 서브 어셈블리는 스페이서, 상기 제1 부분에 연결된 브래킷, 및 상기 브래킷에 대하여 상기 스페이서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차폐장치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가능한 범프 멈춤부 서브 어셈블리는 상기 스페이서를 편향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어싱 엘리먼트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차폐장치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싱 엘리먼트는 상기 부재를 향하여 상기 스페이서를 편향시키도록 구성된,
    차량용 차폐장치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가능한 범프 멈춤부 서브 어셈블리는 상기 스페이서를 유지하는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재는 상기 브래킷에 대항하여 상기 바이어싱 엘리먼트를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리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차폐장치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상기 스페이서가 조절됨에 따라 다른 높이로 설정되고, 상기 부재는 상부 부분에 상기 브래킷을 유지하는 볼트에 의해 가이드되는,
    차량용 차폐장치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의 가장자리 상에 셔트페이스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셔트페이스 스위치는 상기 이중 힌지 차폐장치의 모션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차량용 차폐장치 시스템.
  16. 제1 힌지에 의해 차량에 힌지된 제1 부분과, 제2 힌지에 의해 상기 제1 부분에 힌지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이중 힌지 차폐장치;
    상기 차량에 있는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프레임;
    폐쇄 위치에 상기 제1 부분을 조절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제1 부분에 장착된 제1 수단; 및
    상기 제2 힌지에 대향하는 상기 제2 부분의 단부를 수평 모션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말단부에 래치하거나 상기 말단부로부터 언래치하는 제2 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차폐장치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단은 조절가능한 범프 멈춤부 서브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차량용 차폐장치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단은 수평 스트라이커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래치를 포함하는 래치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용 차폐장치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상기 제2 부분의 상기 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수평 스트라이커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말단부에 장착되는,
    차량용 차폐장치 시스템.
  20. 차량에 있는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프레임과 이중 힌지 도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차폐장치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중 힌지 도어는:
    상부 부분으로서, 그 근접 단부에 있는 상부 힌지에 의해 상기 차량에 힌지되는 상기 상부 부분;
    상기 상부 부분의 말단부와 상기 상부 힌지에 있는 상기 프레임 사이에서 연장하는, 제1 및 제2 상부 전자기계 액츄에이터;
    상기 상부 부분에 장착되며, 상기 상부 부분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프레임 상에 놓이는, 조절가능한 범프 멈춤부 서브 어셈블리;
    하부 부분으로서, 그 하부 부분의 상부 단부에서 하부 힌지에 의해 상기 상부 부분에 힌지된 상기 하부 부분;
    상기 상부 부분의 상기 근접 단부 및 상기 하부 부분의 근접 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제1 및 제2 하부 전자기계 액츄에이터; 및
    상기 하부 부분이 수평 모션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래치되거나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언래치되도록 구성된, 래치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래치시스템은:
    상기 하부 부분의 하부 단에 장착된 래치;
    상기 프레임의 하부 단부에 장착된 수평 스트라이커로서, 상기 수평 스트라이커는 상기 래치가 상기 수평 스트라이커와 맞물릴 때 상기 하부 부분을 수평방향으로 고정하도록 구성된, 상기 수평 스트라이커;
    상기 수평 스트라이커의 각 측에서 상기 래치의 노우즈의 위와 아래로 슬라이딩 하는 슬라이딩 웨지로서, 상기 래치가 상기 수평 스트라이커와 맞물릴 때 상기 하부 부분을 수직방향으로 고정하도록 구성된, 상기 슬라이딩 웨지; 및
    상기 슬라이딩 웨지를 지지하는 스프링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차폐장치 시스템.
KR1020187010807A 2015-09-24 2016-09-23 수평방향으로 래치를 구비하는 이중 힌지 차폐장치 KR1019248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32155P 2015-09-24 2015-09-24
US62/232,155 2015-09-24
US15/273,157 2016-09-22
US15/273,157 US20170130495A1 (en) 2015-09-24 2016-09-22 Dual-hinge closure with latching in horizontal direction
PCT/US2016/053424 WO2017053785A1 (en) 2015-09-24 2016-09-23 Dual-hinge closure with latching in horizontal dir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9105A true KR20180049105A (ko) 2018-05-10
KR101924806B1 KR101924806B1 (ko) 2018-12-05

Family

ID=58387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0807A KR101924806B1 (ko) 2015-09-24 2016-09-23 수평방향으로 래치를 구비하는 이중 힌지 차폐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70130495A1 (ko)
EP (1) EP3353002A4 (ko)
JP (1) JP6486559B2 (ko)
KR (1) KR101924806B1 (ko)
CN (1) CN108136880A (ko)
HK (1) HK1256409A1 (ko)
WO (1) WO20170537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84282B2 (en) * 2017-07-18 2023-02-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utomated assist handle for automotive vehicle
US10577840B2 (en) * 2017-07-21 2020-03-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unlatched condition of closure
CN107379933A (zh) * 2017-08-02 2017-11-24 上海海事大学 一种带弧形车窗的汽车车门
CN108945387A (zh) * 2018-07-27 2018-12-07 贵州航天天马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飞行器舱门开启装置
CN109681071A (zh) * 2019-02-18 2019-04-26 蒋康宁 一种汽车及其电动翼门
KR20210072930A (ko) * 2019-12-10 2021-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의 잠금 구조
US20220372799A1 (en) * 2021-05-20 2022-11-24 Rivian Ip Holdings, Llc Devices, structur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latching operations
CN117642302A (zh) * 2021-07-05 2024-03-01 软车股份公司 车门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4709A (en) * 1978-06-19 1980-01-22 Kim Sunyong P Hatchback station wagon with adjustable roof panel
US4684167A (en) * 1986-09-26 1987-08-04 Newmayer Ricky L Roof hinged door apparatus
US5013082A (en) * 1990-07-26 1991-05-07 General Motors Corporation Door opening system
JPH05178095A (ja) * 1991-12-27 1993-07-20 Mazda Motor Corp 車両の車体構造
JPH08104141A (ja) * 1994-10-04 1996-04-23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車両用ドア装置
JPH08216689A (ja) * 1995-02-10 1996-08-27 Mitsubishi Motors Corp ガルウイング式ドア構造
US5992918A (en) * 1998-05-07 1999-11-30 General Motors Corporation Bi-fold gull wing vehicle door
AT3730U1 (de) * 1999-08-24 2000-07-25 Magna Europa Ag Heckklappe für ein kraftfahrzeug
DE10018560A1 (de) * 2000-04-14 2001-10-31 Daimler Chrysler Ag Fahrzeugschloss, insbesondere für eine Heckklappentür
US6454341B2 (en) * 2000-06-20 2002-09-24 Meritor Light Vehicle Systems, Inc. Lift gate for a motor vehicle
JP3433183B2 (ja) 2000-12-12 2003-08-04 科学技術振興事業団 自動車のドア
US6471284B2 (en) * 2001-03-05 2002-10-29 General Motors Corporation Rear end closure assembly for an automotive vehicle
JP3994315B2 (ja) * 2001-11-12 2007-10-17 関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上下開閉式ドア
DE102005037957B4 (de) * 2005-08-11 2011-01-27 Daimler Ag Nach oben aufschwenkbare Kraftfahrzeug-Klappe
DE102008003994A1 (de) * 2007-10-10 2009-04-16 Daimler Ag Schwenkvorrichtung für eine Fahrzeugtür
JP2011208378A (ja) * 2010-03-29 2011-10-20 Imasen Electric Ind Co Ltd ドア及びスライド装置
FR2971738B1 (fr) * 2011-02-17 2013-03-01 Hutchinson Systeme d'ouvrant pour un engin a moteur, en particulier pour un vehicule automobile
EP2732998A4 (en) * 2011-07-11 2016-08-03 Piolax Inc VIBRATION PREVEN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OPENING AND LOCKING ELEMENT AND STOPPING DEVICE FOR THE MOTOR VEHICLE OPENING AND CLOSING ELEMENT
EP2562339B1 (en) * 2011-08-25 2018-08-22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Vehicle door fixing apparatus and fixed wedge of same
US8449015B2 (en) * 2011-10-19 2013-05-28 Tesla Motors, Inc. Method of controlling a dual hinged vehicle door
GB2517426A (en) * 2013-08-19 2015-02-25 Nissan Motor Mfg Uk Ltd Vehicle panel bump stop
US9045025B1 (en) * 2014-04-30 2015-06-02 Spintek Filtration, Inc. Articulated gull wing door
US10272748B2 (en) * 2016-07-07 2019-04-30 Faraday & Future Inc. Vehicle having multi-mode door
US10518616B2 (en) * 2017-07-31 2019-12-31 Riad M. Houmani Sliding and pivoting door combination assembly for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30495A1 (en) 2017-05-11
JP6486559B2 (ja) 2019-03-20
KR101924806B1 (ko) 2018-12-05
JP2018535337A (ja) 2018-11-29
CN108136880A (zh) 2018-06-08
EP3353002A1 (en) 2018-08-01
HK1256409A1 (zh) 2019-09-20
EP3353002A4 (en) 2019-05-08
WO2017053785A1 (en) 2017-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4806B1 (ko) 수평방향으로 래치를 구비하는 이중 힌지 차폐장치
CN112959878B (zh) 车辆前车门电力打开系统
CN108979440B (zh) 一种汽车车门的控制方法及系统
CN108729793B (zh) 车辆电动门系统
US7518327B2 (en) Vehicle panel control system
US7782001B2 (en) Method for the control of door and window adjusting parameters of a driven motor vehicle sliding door with a window and control system for the execution of the method
US20150283886A1 (en) Power door system for a motor vehicle
EP3064695B1 (en) Vehicle-door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KR101912055B1 (ko) 무한 도어 체크가 구비된 자동차 도어 시스템
US8326498B2 (en) Vehicle anti-pinch control having variable threshold and method
JP6112292B2 (ja) 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
US10280675B2 (en) Method for lowering a window pane of a vehicle door, and vehicle which is designed for carrying out the method
US20190055770A1 (en) Method for operating a system of a motor vehicle
KR101836805B1 (ko) 차량용 오토 테일 게이트 장치
KR101379828B1 (ko) 차량 또는 차량의 주위의 이벤트를 검출하는 장치
KR20190022852A (ko) 자동차 사이드 도어용 안티-핀치 보호 디바이스
US20180043832A1 (en) Control device of electric step for vehicle
GB2553318B (en) Control system for a deployable platform
US20210370864A1 (en) Active pedestrian protection system using non-contact forward sensing and hood latch assembly with spring loaded actuator
JP2019007213A (ja) バックドア開閉装置
JP6485665B2 (ja) 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
JP4376820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中間停止装置
US20070063527A1 (en) Movable body opening and closing control apparatus
JP4272630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開閉制御装置
KR101686556B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