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6122B1 -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감지센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감지센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6122B1 KR101816122B1 KR1020170103306A KR20170103306A KR101816122B1 KR 101816122 B1 KR101816122 B1 KR 101816122B1 KR 1020170103306 A KR1020170103306 A KR 1020170103306A KR 20170103306 A KR20170103306 A KR 20170103306A KR 101816122 B1 KR101816122 B1 KR 1018161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sor
- elevator
- door
- door frame
- mold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9257 reacti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615 non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6—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losing do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3—Details of door panel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02—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propagation of electric current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사람을 운반하기 위한 승객용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카의 도어프레임에 카도어를 향하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에는 압출 성형의 센서고정대를 결합 형성하며, 상기 센서고정대에는 서로 이격된 도전체가 내장된 몰딩센서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 도전체에는 전원이 인가된 통전케이블이 수용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의 도어프레임에 경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경사부에 해당되는 형태 및 크기로 된 센서를 고정 형성시킴에 따라 손 끼임 감지센서가 도어프레임 표면으로 도드라지거나 미관을 해치지 아니하므로 매우 효율적인 것이고, 물리적인 가압력에 의해 작동되는 구조를 갖고 있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과정에서의 통상적인 움직임에 의해서는 작동되지 아니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나 번거로움이 전혀 없는 것이며, 손가락 또는 옷가지나 가방끈 등에 의한 물리적인 힘이 작용하는 즉시 카도어의 정지 및 카도어가 닫힘 방향으로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부상 등의 인명피해 또는 물품 파손 등의 재산상 손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엘리베이터 카의 도어프레임에 경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경사부에 해당되는 형태 및 크기로 된 센서를 고정 형성시킴에 따라 손 끼임 감지센서가 도어프레임 표면으로 도드라지거나 미관을 해치지 아니하므로 매우 효율적인 것이고, 물리적인 가압력에 의해 작동되는 구조를 갖고 있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과정에서의 통상적인 움직임에 의해서는 작동되지 아니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나 번거로움이 전혀 없는 것이며, 손가락 또는 옷가지나 가방끈 등에 의한 물리적인 힘이 작용하는 즉시 카도어의 정지 및 카도어가 닫힘 방향으로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부상 등의 인명피해 또는 물품 파손 등의 재산상 손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로 사람을 운반하기 위한 승객용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카 내측의 도어프레임 모서리 부분에 장착 가능하도록 만들어진 터치식 감응센서를 제공함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의 카도어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카도어와 도어프레임의 사이로 손가락이나 의복 혹은 가방끈 등의 이물질이 끌려 들어가는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카도어의 개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감지센서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내부에 승객이 탑승한 상태에서 건물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승강로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탑승객을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카와, 소정의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권상기와, 탑승객의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모터 및 권상기를 제어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해당 층으로 이동시키는 제어수단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어,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에 구비되는 엘리베이터 카에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카도어가 구비됨과 아울러, 건물의 각층 승강장에는 상기 카도어와 연동하여 개폐되면서 탑승객을 해당 층에 승하차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승장도어가 설치된다.
또한, 근자에 들어 대부분의 건물 및 소규모 주택의 경우에도 상,하층으로의 편리한 이동을 위해 대부분 엘리베이터가 설치되고 있는 추세이고, 그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안전사고 역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는 대부분 사용자의 부주의 혹은 과실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엘리베이터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안전사고 역시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구조적 특성에 의한 안전사고의 유형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엘리베이터의 카도어와 도어프레임의 틈새로 손가락이나 의복 혹은 가방끈 등이 끌려들어가 발생하는 유형이 있다.
즉, 엘리베이터의 카(car)는 승강로를 따라 수직으로 상승 및 하강하는 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승강장을 향하여 개방된 문틀프레임에는 통상적으로 미닫이 형태의 슬라이딩 도어가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상기의 엘리베이터의 카가 목적하는 층에 정지한 상태에서 카도어가 열리는 과정에서 탑승객 특히 어린이나 영,유아가 카도어 표면에 손을 대고 있거나 문틀프레임을 잡고 있는 경우 또는 옷깃이나 가방끈 등이 늘어져 있는 경우, 카도어와 함께 손이나 옷가지 등이 함께 끌려가면서 문들프레임과 카도어의 사이에 끼이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 손가락 혹은 손에 심각한 부상을 당하거나 인명피해 혹은 의복이나 장신구 및 가방 등이 훼손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등록특허 제10-1305719호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 및 승강장에 구비되는 도어프레임인 카프레임과 승장프레임의 사이에 위치하여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도어구동용 모터의 구동에 따라 개폐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표면에 구비되되 제어수단에 의해 점등이 제어되는 다수의 도어용 LED가 도어용 인쇄회로기판(PCB)의 표면에 설치되는 도어용 LED 기판과, 인체의 전류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도어용 LED가 점등되도록 상기 도어용 LED 기판의 표면에 구비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도어용 전도성 부재로 이루어진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가 등록된 바 있는 것으로,
상기의 안전장치는 전도성 부재를 엘리베이터 도어 및 도어프레임의 표면에 부착하여 손이 접촉되어 인체의 전류가 감지되면 엘리베이터 도어를 강제 제어하여 손이 엘리베이터 도어와 프레임 사이에 손이 끼어 다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도어 표면으로 빛을 직접 조사하여 조도를 높여 이용자의 손이 도어 표면에 접촉되었음을 시각적으로 선명하게 표시해 줌으로서 이용자가 손 끼임에 대한 경각심을 좀 더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 바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442577호와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와 엘리베이터 프레임 사이에 이용자의 손 끼임이 발생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프레임의 일측 모서리를 구성하는 일부분인 틸팅 플레이트를 후진시키도록 틸팅시키거나 또는 도어의 표면에 틸팅 가능하게 구비되는 아웃터 플레이트를 후진시켜 엘리베이터 도어와 엘리베이터 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벌려주어 이용자가 간단하면서도 안전하게 손을 빼낼 수 있어 손가락이 낀 상태에서 사후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손가락의 골절이나 피부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가 등록된 바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619275호와 같이 문의 구조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 눈에 잘 띄지 않아 호기심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또한 기존의 승강기에 저렴하고 쉽게 접목할 수 있는 감지수단을 마련한 것으로서, 문과 문틀 사이 틈새로 레이저를 발산하여 손가락의 끼임을 집중적으로 감지하되, 화물이 틈새로 근접되어 레이저센서에 감지될 경우 이를 감지대상에서 제외하여 사용의 불편이 감소되도록 하였으며, 또한 문틀 상부에 틈새 주위만 비추는 반사경을 설치하여 승강기에 구비된 기존의 감시카메라 영상에서 상기 반사경의 영상만을 판독함으로써, 별도의 감시카메라를 구비하지 않고도 저렴한 비용으로 승강기의 운행시 또는 정지시 문을 효과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문 안전장치가 등록된 바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732420호와 같이 힌지결합과 스프링 인장력에 의해 경질유동부와 연질유동부가 유동되도록 형성하여 개폐되는 엘리베이터 도어 표면에 연질유동부 및/또는 경질유동부에 형성된 브러쉬, 부직포가 접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엘리베이터 도어가 열리고 닫힐 때 유동 틈새로 손가락 또는 손이 끼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끼임 방지장치가 등록된 바 있는 것이다.
이처럼, 기존의 엘리베이터 및 카도어 또는 승장도어의 틈새로 손가락이나 옷자락 혹은 가방끈 등이 끼여 발생하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상기와 같이 다양한 형태 및 구조로 된 손 끼임 방지장치가 다수 안출 및 등록되어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기존의 엘리베이터 손 끼임 방지수단의 경우 대부분 기구적인 작동을 통해 물리적으로 손가락이나 옷가지 등이 틈새로 끌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만들어져 있어 부피가 매우 크고 설치가 매우 번거로운 것은 물론 제작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것이며, 엘리베이터의 내부 미관에도 좋지 않은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특히, 기존과 같이 크고 두드러지는 형태로 만들어진 손 끼임 방지수단은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탑승객에게 호기심을 유발하여 손으로 만지거나 작동시켜 종종 해당 손 끼임 방지수단 및 손 끼임 방지장치가 파손되거나 부주의로 인해 엘리베이터가 오동작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 수명이 지극히 짧은 동시에 엘리베이터의 안정적인 작동에도 문제를 일으키곤 하는 것이다.
더욱이, 적외선 혹은 레이저 등의 빛을 이용한 센서 방식의 경우 지나치게 민감한 특성으로 인해 카도어 부근으로 사람이 접근하는 경우에도 이를 감지하여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카도어의 여닫기가 반복되는 등 사용상의 불편함이 매우 큰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 카의 도어프레임에 카도어를 향하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에는 압출 성형의 센서고정대를 결합 형성하며, 상기 센서고정대에는 서로 이격된 도전체가 내장된 몰딩센서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 도전체에는 전원이 인가된 통전케이블이 수용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 몰딩센서에 대한 물리적인 가압력에 의해 서로 이격된 도전체가 맞닿으며 전기적 접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보다 직관적인 물리 작용을 통해 사용상의 번거로움을 해소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손가락이나 옷가지 등의 각종 이물질이 도어프레임과 카도어 사이에 끼는 경우 즉시 카도어의 닫힘이 정지되거나 닫힘 방향으로 작동되게 하여 인명피해 및 재산손실 등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감지센서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의 도어프레임과 카도어의 사이에 장착되는 손 끼임 감지센서에 있어서, 상기 카도어를 향하는 도어프레임의 모서리 부분에는 면취부에 의한 수직의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에는 별도 구비의 센서고정대를 고정 형성하며, 상기 센서고정대에는 서로 이격 형성된 내측도전체와 외측도전체가 내장된 부도체에 의한 몰딩센서를 결합 형성하여, 물리적인 가압력에 의해 서로 이격된 도전체가 상호 접지 및 통전됨에 따라 카도어에 대한 닫힘 방향으로의 작동이 정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의 도어프레임에 경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경사부에 해당되는 형태 및 크기로 된 센서를 고정 형성시킴에 따라 손 끼임 감지센서가 도어프레임 표면으로 도드라지거나 미관을 해치지 아니하므로 매우 효율적인 것이고, 물리적인 가압력에 의해 작동되는 구조를 갖고 있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과정에서의 통상적인 움직임에 의해서는 작동되지 아니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나 번거로움이 전혀 없는 것이며, 손가락 또는 옷가지나 가방끈 등의 이물질에 의한 물리적인 힘이 작용하는 즉시 카도어의 정지 및 카도어가 닫힘 방향으로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부상 등의 인명피해 또는 물품 파손 등의 재산상 손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감지센서가 적용된 엘리베이터의 전체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의 평면 분리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의 설치 과정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의 설치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의 작동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의 평면 분리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의 설치 과정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의 설치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의 작동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감지센서가 적용된 엘리베이터의 전체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의 평면 분리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엘리베이터 손 끼임 감지센서는, 건물 내 승강로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하는 엘리베이터 카(1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카(10)의 출입부에는 개방된 도어프레임(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도어프레임(11)의 외측에 구비된 한 쌍의 카도어(20)(20')는 양측으로 슬라이딩 작동되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10)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도어프레임(11)의 외측 끝단과 카도어(20)(20')의 내측면 사이에는 카도어(20)(20')가 간섭없이 슬라이딩 되기 위해 필연적으로 틈새가 발생되어야 하는 것으로, 상기의 틈새로 인해 카도어(20)(20')의 개방 과정에서 손가락이나 옷가지 혹은 가방끈 등의 이물질이 끌려 들어가면서 인명피해 및 재산상의 손해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어프레임(11)과 카도어(20)(20') 간에 손가락 끼임 감지센서를 장착 형성함에 따라 카도어의 개방 과정에서 감지센서가 작동되면 카도어(20)(20')의 개방 작동이 즉시 정지되도록 하는 것은 물론 필요한 경우 개방되고 있던 카도어(20)(20')를 닫힘 방향으로 역작동시켜 틈새에 끼인 손가락이나 옷가지 혹은 가방끈 등을 손쉽게 빼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감지센서는 금속재 혹은 합성수지를 이용한 압출 성형의 센서고정대(30)와 상기 센서고정대(30)에 결합 고정되는 부도체로 된 몰딩센서(40)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이들 센서고정대(30)와 몰딩센서(40)는 연속 길이방향으로 압출 생산되므로 필요 길이만큼 절단 사용 가능하고, 필요시 원형이나 정사각 또는 직사각, 반구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작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고정대(30)와 몰딩센서(40)의 결합 형태는 평면상 삼각 형태를 갖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프레임(11)의 모서리 부분에 상기 감지센서가 차지하는 삼각 형태의 크기를 갖는 면취부(12)를 형성한 후 상기의 면취부(12)로 인해 생성된 경사면(13)에 본 발명의 감지센서를 부착 고정시킴에 따라 본래 도어프레임(11)의 외면이 그대로 연장되는 것과 같은 표면을 연출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도어프레임(11)의 본래 표면으로부터 전혀 돌출되지 아니하므로 이물감이나 출입과정에서의 걸림 또는 카 내부의 실내 미관을 전혀 해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의 센서고정대(30)는 일측면에 서로 이격된 끼움홈부(31)(31')가 수직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이들 끼움홈부(31)(31') 사이의 중앙부에는 삼각홈 형태로 된 나사안내홈(32)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센서고정대(30)를 도어프레임(11)의 면취부 경사면(13)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나사안내홈(32)을 통해 나사못 등을 돌려 박아 상기 센서고정대(30)에 도어프레임(11)의 경사면(13)에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어, 상기 센서고정대(30)에 결합되는 몰딩센서(40)는 전도성을 갖지 않는 부도체의 고무를 이용하여 압출 성형되는 것으로, 일측에는 상기 센서고정대(30)의 끼움홈부(31)(31')로 삽입 계지되는 결합돌부(41)(41')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의 몰딩센서(40)는 직교 방향으로 배치된 제1날개부(42)와 제2날개부(43)에 의해 평면상 삼각 형태를 갖고 있는 것이고, 상기 제1날개부(42)와 제2날개부(43)의 일측면에는 결합돌부(41)(4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센서고정대(30)의 끼움홈부(31)(31')에 삽입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날개부(42)와 제2날개부(43)에 의한 몰딩센서(40)의 코너연결부(44) 내에는 수직 길이방향으로 내측도전체(50)와 외측도전체(60)가 서로 이격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이들 내측도전체(50)와 외측도전체(60)의 사이에는 잘록부(45)(45')를 형성하여 상기 잘록부(45)(45')에 의해 상기 몰딩센서(40)의 코너연결부(44)가 보다 적은 가압력에 의해서도 압축 변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어, 상기의 내측도전체(50)와 외측도전체(60)는 각각 전도성 고무재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그 중심부에는 수직 길이방향을 따라 각기 통전케이블(51)(61)이 삽입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몰딩센서(40)의 코너연결부(44)에 대하여 외력이 작용하면서 잘록부(45)(45')로 인해 외측도전체(60)가 내측도전체(50)에 접촉되면 상호 간의 접지 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내부의 통전케이블(51)(61)로 인해 미약한 전기적 신호를 정확하게 전달하면서 가압력에 의한 센싱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센서고정대(30)에 대하여 몰딩센서(40)를 결합한 상태에서 별도 구비의 상부캡(70)을 상측단에 결합할 수 있을 것이고, 하측단에는 별도 구비의 하부전원캡(80)을 결합 형성함에 따라 더욱 미려한 외관을 형성하는 것은 물론 센서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들 상부캡(70)와 하부전원캡(80)은 센서고정대(30)에 몰딩센서(40)를 결합한 상태의 외곽 형상과 동일한 외곽 형상을 갖도록 구성하여 상호 일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고, 상기의 하부전원캡(80)은 전기한 내측도전체(50)와 외측도전체(60)에 각기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하부전원캡(80)에는 전원선(81)이 연결 형성되어 있고 하부전원캡(80)의 상측으로는 상기 전원선(81)과 연결된 상태의 접속핀(82)(82')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하부전원캡(80)을 센서고정대(30) 및 몰딩센서(40)에 결합하게 되면 상기 접속핀(82)(82')이 내측도전체(50) 및 외측도전체(60)의 내부로 파고들면서 상호 간의 전기적 연결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고, 서로 이격된 상태의 내측도전체(50)와 외측도전체(60)의 접촉 상태가 일어나면 상호 간의 통전 상태로 인해 전기적 신호를 전원선(81)을 통해 기계실 혹은 메인 컨트롤러로 전달하여 카도어(20)(2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6의 도시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10)의 도어프레임(11)의 코너 부분에 면취부(12)를 형성하고 상기 면취부(12)에 의해 생성되는 경사면(13)에 대하여 상기의 센서고정대(30)를 밀착 및 나사못 등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센서고정대(30)의 끼움홈부(31)(31')에 몰딩센서(40)의 결합돌부(41)(41')를 끼워 상호 결합되도록 하면 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결합 상태에서 상부캡(70)과 하부전원캡(80)을 각기 결합 고정시킴에 따라 설치가 완료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설치 상태에서 도 7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의 감지센서는 정상적인 카도어(20)(20')의 개폐과정에서는 전혀 간섭 없는 설치상태를 유지하다가 도 8의 도시와 같이 손가락이나 옷가지 혹은 가방끈 등이 도어프레임(11)와 카도어(20)(20')의 사이로 끌려 들어가 상기 몰딩센서(40)를 가압하는 경우,
몰딩센서(40)에 작용하는 가압력으로 인해 외측도전체(60)가 잘록부(45)(45')에 의해 빠르게 눌리면서 내측도전체(50)와 접촉하게 되는 것이고, 상호 전기적인 접지상태는 하부전원캡(80)의 전원선(81)을 통해 메인 컨트롤러로 전달되어 열림 작동 중인 카도어(20)(20')에 대한 즉시 정지 및 필요한 경우 카도어(20)(20')를 닫힘 방향으로 작동시켜 손가락 혹은 이물질 등을 빠르게 빼낼 수 있어 부상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손 끼임 감지센서는 기존과 같이 레이저 센서 혹은 적외선 센서 등의 비접촉 센서 방식이 아니라 물리적인 가압력에 의한 접촉 방식의 센서로서 보다 직관적인 물리력에 의해 작용하므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저렴한 원가로 고효율의 센서를 대량으로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감지센서의 보다 정확한 감지력을 얻기 위해 도 9의 도시와 같이 내측도전체(50)의 일측에는 접속유도홈(52)을 형성하고 상기 외측도전체(60)의 일측에는 상기 접속유도홈(52)의 내부로 삽입되게 한 접속돌부(62)를 형성하되, 이들 접속유도홈(52)과 접속돌부(62)는 평상시 소정의 간극을 갖고 이격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이들 접속유도홈(52)과 접속돌부(62)에 의해 접속 반응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의 접속돌부(62)는 접속유도홈(52) 내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상기 몰딩센서(40)에 대하여 어떠한 방향으로든 물리적인 가압력이 작용하게 되더라도 상기 접속돌부(62)의 이동과 동시에 접속유도홈(52)과 접촉하게 되므로 손가락이 끼이기 전에라도 손가락이 닿는 순간 감지센서가 반응하면서 카도어(20)(20')가 정지하게 되어 더욱 안전한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어, 상기의 몰딩센서(40)의 제1날개부(42)와 제2날개부(43)의 끝단 일측에는 도 10의 도시와 같이 상기 도어프레임(11)의 경사면(13)에 밀착되도록 한 틈새마감부(46)(46')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틈새마감부(46)(46')에 의해 도어프레임(11)의 경사면 끝단과 몰딩센서(40) 끝단 간의 미세한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도어프레임(11)의 외표면이 그대로 연장되는 것과 같은 외형을 연출하는 것은 물론 틈새로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상기의 틈새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고, 외관 역시 매끄럽고 미려한 상태를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몰딩센서(40)의 경우 비전도성 고무재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 몰딩센서(40)의 제1날개부(42) 끝단 및 제2날개부(43)의 끝단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형으로 인해 경사면(13)으로부터 벌어지거나 들뜸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을 것이므로, 상기 센서고정대(30)의 양측 끝단을 경사면(13) 끝단과 몰딩센서(40)의 끝단 사이에 위치되도록 연장마감부(33)(33')를 돌출 형성함에 따라 상기 도어프레임(11)과 몰딩센서(40)의 사이로 상기 센서고정대(30)의 끝단면이 의도적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센서고정대(30)의 끝단이 의도적으로 노출되도록 함에 따라 테두리 효과로 인해 미려한 장식성이 연출되는 것은 물론 몰딩센서(40)의 끝단이 미세하게 들뜨거나 벌어지더라도 두드러져 보이지 않게 되므로 외관이 더욱 간격하고 고급스러운 상태를 지속적으로 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손 끼임 감지센서는 간단한 구성은 물론 설치와 장착이 매우 용이한 것이고, 물리적인 힘에 의해 즉시 반응하여 도어프레임(11)과 카도어(20)(20')의 사이에 손가락은 물론 다양한 물질이 끼여 부상 혹은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차단 및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관한 손 끼임 감지센서는 비단 엘리베이터 뿐만 아니라 개방형 슬라이딩 도어와 도어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다양한 구조물(승강장이나 스크린 도어 등등)에도 적용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엘리베이터 카 11 : 도어프레임
12 : 면취부 13 : 경사면
20,20' : 카도어
30 : 센서고정대 31,31' : 끼움홈부
32 : 나사안내홈 33,33' : 연장마감부
40 : 몰딩센서 41,41' : 결합돌부
42 : 제1날개부 43 : 제2날개부
44 : 코너연결부 45,45' : 잘록부
46,46' : 틈새마감부
50 : 내측도전체 51 : 통전케이블
52 : 접속유도홈
60 : 외측도전체 61 : 통전케이블
62 : 접속돌부
70 : 상부캡
80 : 하부전원캡 81 : 전원선
82,82' : 접속핀
12 : 면취부 13 : 경사면
20,20' : 카도어
30 : 센서고정대 31,31' : 끼움홈부
32 : 나사안내홈 33,33' : 연장마감부
40 : 몰딩센서 41,41' : 결합돌부
42 : 제1날개부 43 : 제2날개부
44 : 코너연결부 45,45' : 잘록부
46,46' : 틈새마감부
50 : 내측도전체 51 : 통전케이블
52 : 접속유도홈
60 : 외측도전체 61 : 통전케이블
62 : 접속돌부
70 : 상부캡
80 : 하부전원캡 81 : 전원선
82,82' : 접속핀
Claims (12)
- 엘리베이터 카(10)의 도어프레임(11)과 카도어(20)(20')사이에 손 끼임 감지센서를 장착하되,
상기 카도어(20)(20')를 향하는 도어프레임(11)의 모서리 부분에는 면취부(12)에 의한 수직의 경사면(13)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13)에는 별도 구비의 센서고정대(30)를 고정 형성하며, 상기 센서고정대(30)에는 서로 이격 형성된 내측도전체(50)와 외측도전체(60)가 내장된 부도체에 의한 몰딩센서(40)를 결합 형성하여 물리적인 가압력에 의해 서로 이격된 내,외측도전체(50)(60)가 상호 접지 및 통전됨에 따라 카도어(20)(20')에 대한 닫힘 방향으로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감지센서에 있어서,
상기 센서고정대(30)를 포함하는 몰딩센서(40)의 평면상 외형은 상기 도어프레임(11)의 면취부(12)와 동일한 면적으로 구성하여, 상기 경사면(13)에 설치된 몰딩센서(40)에 의해 도어프레임(11)의 면취부(12)에는 도어프레임(11)의 외표면이 연장되는 형태의 직각 모서리가 형성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감지센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고정대(30)의 일측에는 수직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끼움홈부(31)(31')가 형성되고, 상기 몰딩센서(40)의 일측에는 상기 끼움홈부(31)(31')로 삽입 고정되게 한 결합돌부(41)(41')가 수직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이들 끼움홈부(31)(31')와 결합돌부(41)(41')에 의한 상호 결합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감지센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센서(40)는 상호 직교방향으로 이루어진 제1날개부(42)와 제2날개부(4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날개부(42)와 제2날개부(43)의 상호 코너연결부(44) 내측으로는 전기한 내측도전체(50)와 외측도전체(60)가 이격 상태로 삽입 형성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감지센서.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도전체(50)와 외측도전체(60)의 사이의 코너연결부(44) 내측으로는 잘록부(45)(45')를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감지센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도전체(50)의 일측에는 외측도전체(60)를 향하는 수직 길이방향의 접속유도홈(52)을 형성하고, 외측도전체(50)의 일측에는 상기 접속유도홈(52)의 내측으로 이격 삽입되게 한 접속돌부(62)를 수직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이들 접속유도홈(52)과 접속돌부(62)에 의해 내측도전체(50)와 외측도전체(60) 간의 접속 반응도가 향상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감지센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센서(40)의 양측 끝단에는 도어프레임(11)의 경사면(13)에 밀착되게 한 틈새마감부(46)(46')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틈새마감부(46)(46')에 의해 도어프레임(11)의 경사면과 몰딩센서(40) 간의 미세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감지센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고정대(30)의 양측 끝단에는 도어프레임(11)의 경사면(13)과 몰딩센서(40)의 양측 끝단부 사이에 위치되게 한 연장마감부(33)(33')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연장마감부(33)(33')에 의해 경사면(13)과 몰딩센서(40) 간의 미세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감지센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3306A KR101816122B1 (ko) | 2017-08-16 | 2017-08-16 |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감지센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3306A KR101816122B1 (ko) | 2017-08-16 | 2017-08-16 |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감지센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16122B1 true KR101816122B1 (ko) | 2018-01-08 |
Family
ID=61003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03306A KR101816122B1 (ko) | 2017-08-16 | 2017-08-16 |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감지센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6122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4032B1 (ko) * | 2018-01-18 | 2019-06-27 |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 손 끼임 방지구조 및 손 끼임 방지모듈 |
KR20200078147A (ko) * | 2018-12-21 | 2020-07-01 | 주식회사 아이갭 |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장치 |
CN112384463A (zh) * | 2018-06-27 | 2021-02-19 | 姜明德 | 电梯缝隙夹入检测开关 |
KR20210028785A (ko) * | 2019-09-04 | 2021-03-15 | 주식회사 세현이브이 | 슬라이딩도어의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
KR102720671B1 (ko) * | 2024-04-11 | 2024-10-22 | (주)성우메디텍 | 안마기구용 2중 안전센서 시스템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18261A (ja) * | 2002-06-20 | 2004-01-22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エレベーターの戸開時引き込まれ検出装置 |
JP2010242384A (ja) * | 2009-04-07 | 2010-10-28 | Shinmei Sangyo:Kk | 自動ドアにおける手指等の挟み事故防止装置 |
-
2017
- 2017-08-16 KR KR1020170103306A patent/KR10181612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18261A (ja) * | 2002-06-20 | 2004-01-22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エレベーターの戸開時引き込まれ検出装置 |
JP2010242384A (ja) * | 2009-04-07 | 2010-10-28 | Shinmei Sangyo:Kk | 自動ドアにおける手指等の挟み事故防止装置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4032B1 (ko) * | 2018-01-18 | 2019-06-27 |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 손 끼임 방지구조 및 손 끼임 방지모듈 |
CN112384463A (zh) * | 2018-06-27 | 2021-02-19 | 姜明德 | 电梯缝隙夹入检测开关 |
KR20200078147A (ko) * | 2018-12-21 | 2020-07-01 | 주식회사 아이갭 |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장치 |
KR102245816B1 (ko) * | 2018-12-21 | 2021-05-17 | 주식회사 아이갭 |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장치 |
KR20210028785A (ko) * | 2019-09-04 | 2021-03-15 | 주식회사 세현이브이 | 슬라이딩도어의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
KR102259538B1 (ko) * | 2019-09-04 | 2021-06-03 | 주식회사 세현이브이 | 슬라이딩도어의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
KR102720671B1 (ko) * | 2024-04-11 | 2024-10-22 | (주)성우메디텍 | 안마기구용 2중 안전센서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16122B1 (ko) |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감지센서 | |
KR101442577B1 (ko) | 틸팅 기능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 |
CN112959878B (zh) | 车辆前车门电力打开系统 | |
KR101238068B1 (ko) | 도파로 시트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 |
KR20160031971A (ko) | 차랑용 테일게이트의 리프트 장치 | |
KR101619275B1 (ko) | 엘리베이터의 문 안전장치 | |
CN107806306A (zh) | 非接触式人体激活期间电动系统激活的用户通知 | |
KR101804536B1 (ko) | 엘리베이터 카 도어용 끼임 방지 센서장치 | |
KR101305719B1 (ko) |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 |
KR101673425B1 (ko) | 엘리베이터 손끼임 방지 장치 | |
KR102245816B1 (ko) |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장치 | |
EP1474582B1 (en) | Pinching-prevention device for automatic doors, in particular for lifts and/or elevators | |
KR101805569B1 (ko) | 엘리베이터 카 도어용 끼임 방지 이중 센서장치 | |
WO2022055157A1 (ko) | 정전용량 변화를 이용한 인체 끼임 방지 장치 | |
CN211733527U (zh) | 电梯用防水防尘走线结构 | |
KR101913954B1 (ko) |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 | |
CN112384463A (zh) | 电梯缝隙夹入检测开关 | |
JPS6366084A (ja) | エレベ−タの出入口安全装置 | |
KR20210109373A (ko) | 모션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끼임 방지 안전장치 | |
CN220317023U (zh) | 一种防电梯门夹绳装置 | |
CN219669904U (zh) | 一种具有防夹设计的电梯 | |
KR101878386B1 (ko) |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및 엘리베이터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 |
KR101261201B1 (ko) | 자동차의 도어 충돌방지장치 | |
KR20120058707A (ko) | 장애인을 위한 엘리베이터 | |
KR102514451B1 (ko) | 엘리베이터의 비접촉식 버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