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9777A -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 - Google Patents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9777A
KR20200079777A KR1020180169316A KR20180169316A KR20200079777A KR 20200079777 A KR20200079777 A KR 20200079777A KR 1020180169316 A KR1020180169316 A KR 1020180169316A KR 20180169316 A KR20180169316 A KR 20180169316A KR 20200079777 A KR20200079777 A KR 20200079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space
conductor
switch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9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명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갭
Priority to KR1020180169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9777A/ko
Publication of KR20200079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97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승강기 문과 승강기 벽 사이의 공간으로 스위치 본체를 설치함으로써, 승강기 문이 열리면서 상기 공간으로 승강기 문을 따라 손가락 등의 신체 일부가 빨려 들어가지 않도록 하여, 사람들에게 상해를 입히지 않도록 하되,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장착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프트한 재질로 형성되며 내측에 소정의 공간(101)이 형성되되, 상기 공간(101)의 하단부에 상기 공간(101)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103)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03)를 중심으로 절개부(104)에 의해 좌측 본체(1021) 및 우측 본체(1022)로 분리되되, 일측이 연결되어 내부 개폐가 가능하며, 승강기(200)의 전면 및 후면 도어의 각 틈새에 구비되는 스위치 본체(100); 상기 공간(101)의 내측 표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되, +극의 제1 도전체(131)와, -극의 제2 도전체(132); 및 상기 각 도전체(131, 132)가 외력에 의해 접하여 전류가 흐를 시 이를 감지하여 승강기(200) 및 승강기 도어(210)의 구동을 멈추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Protection switch for a elevator}
본 발명은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승강기 문과 승강기 벽 사이의 공간으로 스위치 본체를 설치함으로써, 승강기 문이 열리면서 상기 공간으로 승강기 문을 따라 손가락 등의 신체 일부가 빨려 들어가지 않도록 하여, 사람들에게 상해를 입히지 않도록 하되,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장착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강기는 내부에 승객이 탑승한 상태에서 건물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승강로를 따라 상ㆍ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탑승객을 이동시키는 승강기 카와, 소정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권상기와, 승객의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모터 및 권상기를 제어하여 상기 승강기 카를 해당 층으로 이동시키는 제어수단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기 장치에 구비되는 승강기 카에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카도어가 구비됨과 아울러, 건물의 각층 승강장에는 상기 카도어와 연동하여 개폐되면서 탑승객을 해당 층에 승하차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승장도어가 설치된다.
이때, 승장도어의 열림 및 닫힘이 원활히 수행되도록 승장프레임과 승장도어 사이에 틈이 존재해 탑승자가 승강기에 탑승하기 위해 승강장에서 대기 시 손을 승장도어의 틈 주위에 대고 있는 상태에서, 승장도어가 열리는 것을 인식하지 못해 승장도어에서 손을 미처 떼지 못하게 되면 승장도어와 승장프레임 사이의 틈으로 손이 끼게 되어 상해를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어린아이의 경우에는 주의력이 부족하므로 승장프레임과 승장도어 사이에 손이 끼어 다치게 되는 안전사고의 우려가 많았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10939호가 제시된 바 있다. 이는 승강기의 손 끼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프레임과 좌측프레임 및 우측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고정부 내에 카도어 및 승장도어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승강기 도어에 탑승객의 손이나 이물질 등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장도어 및 카도어의 외면과 대응되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양단부 측 내벽면에는 하측을 향해 수직으로 검출광을 발산하는 물체 반사식 센서로 이루어진 상부프레임 좌측센서 및 상부프레임 우측센서가 각각 한 쌍씩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승장도어 및 카도어의 외면과 대응되는 상기 상부프레임 중앙의 내벽면에는 하측을 향해 수직으로 검출광을 발산하는 물체 반사식 센서로 이루어진 한 쌍의 상부프레임 중앙센서가 설치되어 구성되어, 승강기 도어의 개폐 동작 시에 승객의 손이나 각종 이물질 등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공개실용신안은 검출광의 검출을 통해 손이나 이물질을 감지하는 구조로 예를 들어 도어의 개폐에 영향을 주지 않는 박스나 가방 등이 도어에 접근하는 경우에도 이를 감지하여 도어의 개폐를 임의로 제어하게 되므로 특정 상황에서의 강제적인 도어의 개폐 제어가 빈번해져 승객에게 불편할 뿐만 아니라 다수의 센서를 상부프레임 등에 설치해야 하므로 구조적으로 복잡한 문제를 안고 있다.
한편, 상기 공개실용신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제2009-515798호가 제안된 바 있다. 이는 도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도어패널 또는 리턴패널의 표면 또는 엣지면에는 전기전도성 필름 등으로 이루어지는 센서가 구비되고, 도어 프레임부재에도 동일한 구조의 센서가 구비된다.
따라서 도어패널 또는 리턴패널의 표면 또는 엣지면에 손이 접촉되어 인체의 전류가 감지되면 도어패널 또는 리턴패널의 개폐를 강제 제어하여 손이 승강기 도어와 프레임 사이에 손이 끼어 다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런데 상기 공개실용신안은 단순히 인체가 감지되면 도어를 개폐하여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도어에 직접 경고나 비상상태 등의 시각적 정보는 제공하지 않아 승강기가 정전으로 인해 등기구가 소등되는 경우에는 승객 자신이 서있는 위치 판별이 어려워 당황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한편, 통상의 승강기는 도어에 기대는 것을 방지하고 과적을 방지하기 위해 '승강기시설 안전관리법'에 의해 승장도어와 카도어의 하단에서 170~180㎝의 높이에 "손대지 마시오","기대면 추락위험"이 인쇄된 주의사항 스티커를 부착하도록 강제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주의사항 스티커는 제작 후 카도어 뿐 아니라 모든 층의 승장도어에 부착해야 하므로 많은 수의 주의사항 스티커를 부착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부착된 주의사항 스티커의 분실 및 훼손 등으로 인한 유지관리에 필요한 비용과 인력 투입으로 인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승강기의 미관 역시 저해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와 같은 도어의 손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들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등록특허 제10-1238068호가 제안된 바 있다. 이는 승강기 도어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 카 및 승강장에 구비되는 카프레임과 승장프레임의 사이에 위치하여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도어 구동용 모터의 구동에 따라 개폐되는 승강기 도어의 표면에 구비되어 인체의 전류를 감지하는 도어용 전도성도파로시트와, 상기 도어용 전도성 도파로시트를 통해 전류가 감지되면 인체의 미세전류인지를 판단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도어용 전도성 도파로시트의 테두리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점등되어 상기 도어용 전도성 도파로시트로 빛을 조사하는 제1 LE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같은 구성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도어 또는 승강장 등의 프레임 모서리부분에 손 접촉으로 인해 인체의 전류가 감지되면 승강기 도어를 강제 제어하여 승강기 도어와 프레임 사이에 손이 끼어 다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전도성 도파로시트로 빛을 조사하여 이용자에게 시각적 경각심도 줄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한 등록특허 제10-1238068호는 도어의 표면에 전도성 도파로시트를 설치하여 빛을 도어 표면으로 조사할 수 있지만, 통상 승강기는 사람이 간섭없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어의 폭이 넓어 도어의 측면 일측에 설치되는 LED의 빛이 충분히 반대편까지 도달하지 못하여 도어 표면으로 조사되는 빛의 양이 적어 조도가 낮음에 따라 시인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위에서 살펴본 다수의 특허문헌들에 개시된 승강기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들은 비교적 복잡하고, 규모가 비교적 크게 승강기에 설치되기 때문에 승강기 설치비용이 증가되어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고, 설치 후에 승강기 이용자의 통행에 간섭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공지된 기술에 적용된 승강기 끼임 방지 장치들은 센서를 이용하여 승강기와 벽체 사이에 손가락이 끼는 것을 감지하였고, 이를 위해서는 센서부, 제어부, 상기 센서에서 발생되는 감지신호를 변환하여 제어부로 전달하기 위한 변환기 등 별도의 구성을 구비하게 되므로 설치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구성이 비교적 많기 때문에 각 구성들이 고장 났을 경우 유지보수에 대한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10939호 2.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제2009-515798호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806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승강기 문과 승강기 벽 사이의 공간으로 스위치 본체를 설치함으로써, 승강기 문이 열리면서 상기 공간으로 승강기 문을 따라 손가락 등의 신체 일부가 빨려 들어가지 않도록 하여, 사람들에게 상해를 입히지 않도록 하되,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장착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프트한 재질로 형성되며 내측에 소정의 공간(101)이 형성되되, 상기 공간(101)의 하단부에 상기 공간(101)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103)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03)를 중심으로 절개부(104)에 의해 좌측 본체(1021) 및 우측 본체(1022)로 분리되되, 일측이 연결되어 내부 개폐가 가능하며, 승강기(200)의 전면 및 후면 도어의 각 틈새에 구비되는 스위치 본체(100); 상기 공간(101)의 내측 표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되, +극의 제1 도전체(131)와, -극의 제2 도전체(132); 및 상기 각 도전체(131, 132)가 외력에 의해 접하여 전류가 흐를 시 이를 감지하여 승강기(200) 및 승강기 도어(210)의 구동을 멈추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은 소프트한 재질로 형성되며 내측에 소정의 공간(101)이 형성되되, 상기 공간(101)의 중간 양측단부에 상기 공간(101)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103)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03)를 중심으로 절개부(104)에 의해 상부 본체(1023) 및 하부 본체(1024)로 분리되되, 일측이 연결되어 내부 개폐가 가능하며, 승강기(200)의 전면 및 후면 도어의 각 틈새에 구비되는 스위치 본체(100); 상기 공간(101)의 내측 표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되, +극의 제3 도전체(133)와, -극의 제4 도전체(134); 상기 제1 및 제4 도전체(133, 134)의 후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1 및 제4 도전체(133, 134)가 휘어지거나 꺾이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재(114) 및 상기 각 도전체(133, 134)가 외력에 의해 접하여 전류가 흐를 시 이를 감지하여 승강기(200) 및 승강기 도어(210)의 구동을 멈추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은, 소프트한 재질로 형성되며 내측에 소정의 공간(101)이 형성되되, 상기 공간(101)의 중간 양측단부에 상기 공간(101)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103)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03)를 중심으로 절개부(104)에 의해 상부 본체(1023) 및 하부 본체(1024)로 분리되되, 일측이 연결되어 내부 개폐가 가능하며, 승강기(200)의 전면 및 후면 도어의 각 틈새에 구비되는 스위치 본체(100); 상기 공간(101)의 내측 표면에 서로 나란히 배치되되, 상부 본체(1023)의 내측에 구비되는 +극의 제5 도전체(135) 및 상기 하부 본체(1024)의 내측에 구비되되, 하부 본체(1024)의 전체영역에 구비되는 -극의 제6 도전체(136); 및 상기 각 도전체(135, 136)이 외력에 의해 서로 접하여 전류가 흐를 시 이를 감지하여 승강기(200) 및 승강기 도어(210)의 구동을 멈추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도어(210) 단부에는 승강기 도어 고정부재(120)에 상기 스위치 본체(10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본체(100) 및 각 도전체들은, 복수로 분리형성되되, 각각을 서로 연결하여 길이에 맞게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에 의하면, 기존에 설치된 승강기와 벽체 사이에 본 발명의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를 단순히 승강기 도어 고정부재에 삽입 결합하고, 제1 및 제4 도전체를 승강기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에만 연결하면 되므로 설비가 상당히 간단해져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손가락 끼임을 방지하기 위해 센서부, 제어부, 상기 센서에서 발생되는 감지신호를 변환하여 제어부로 전달하기 위한 변환기 등의 구성이 필요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그 비용을 약 1/10로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승강기와 벽체 사이에 발생되는 틈, 즉 승강장과 벽체 및 승강카와 승강기 도어 사이에 발생되는 양측 틈새, 상하부 틈새 모두 설치가 가능하므로 설치가 용이하며, 특히, 기존 설치된 승강기의 경우 부착식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고장 또는 유지보수 시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를 단순히 떼어내고 새로운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를 부착하면 되므로 유지보수가 매우 간편해져 작업공수가 줄어들고 이로 인해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가 설치된 승강기의 승강장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가 설치된 승강기 카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 제1 실시예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1 실시예에서 내부 구성물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 제2 실시예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b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 및 도 4의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가 복수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 제3 실시예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의 내부 구성물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의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가 엘리베이터 도어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의 제4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의 제5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의 제6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의 제7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은 본 발명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의 제8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 내지 21은 본 발명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의 제9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본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가 설치된 승강기의 승강장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가 설치된 승강기 카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 제1 실시예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1 실시예에서 내부 구성물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 제2 실시예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b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3 및 도 4의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가 복수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는 소프트한 재질로 형성되며 내측에 소정의 공간(101)이 형성되되, 상기 공간(101)의 하단부에 상기 공간(101)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103)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03)를 중심으로 절개부(104)에 의해 좌측 본체(1021) 및 우측 본체(1022)로 분리되되, 일측이 연결되어 내부 개폐가 가능하며, 승강기(200)의 전면 및 후면 도어의 각 틈새에 구비되는 스위치 본체(10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공간(10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의 형상이 사다리꼴이 서로 역방향으로 접한 상태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103)는 일측에만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상하부 대칭되도록 양측에 형성도 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한 스위치 본체(100)는, 일예로 실리콘이나 고무 등의 소프트한 재질로 형성되며, 이는 승강기(200) 각 틈새에 손가락 등이 끼면 손가락에 상처가 나는 것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쉽게 변형되어 내측에 구비되는 도전체가 접촉되어 전류가 쉽게 흐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스위치 본체(100)의 내측에는 경사지게 형성된 각각의 경사부가 서로 접하여 돌출부(103)가 형성되며, 이러한 돌출부(103)는 완충역할을 하기 위해 형성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외력에 의해 스위치 본체(100)가 가압될 경우 쉽게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동시에 후술할 서로 다른 극의 도전체가 접촉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도전체의 중간부분만 접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스위치 본체(100)는 좌우로 양분되되, 상부는 연결되고, 하부는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좌측 본체(1021)와 우측 본체(1022)로 분할형성된다. 또한, 좌측본체(1021)와 우측본체(1022)는 힌지 역할을 하는 돌출부(106)가 신축성을 갖고 있으므로 이를 통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펼쳐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공간(101)의 내측 표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되, +극의 제1 도전체(131)와, -극의 제2 도전체(132)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제2 도전체(131, 132)는 동판과 같이 전도율이 좋은 구리와 같은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스위치 본체(100)는 그 단면의 형상이 ‘U’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도전체(131, 132)는 상기 스위치 본체(100)의 내측의 이격된 내측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각각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도전체(131, 132)가 상단부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승강기의 제어반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단부 및 하단부는 상기 공간(101)의 내부로 습기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어 제1 및 제2 도전체(131, 132)를 접촉 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도전체(131, 132)가 내재된 스위치 본체(100)는 복수로 구성하여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강기 도어의 길이에 맞춰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 각 도전체(131, 132)가 외력에 의해 접하여 전류가 흐를 시 이를 감지하여 승강기(200) 및 승강기 도어(210)의 구동을 멈추게 하는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는 승강기의 도어 작동 및 승강기의 승하강 운동을 제어하는 제어반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도전체(131, 132)가 서로 접할 시 전류가 도통하게 되면 승강기와 도어 틈새에 손가락 등과 같은 신체의 일부 또는 물건이 끼인 것을 감지하여 승강기 도어의 구동을 멈추게 하거나 또는 승강기 도어가 개방되도록 제어한다. 또는 승강기와 승강기 도어 상부 및 하부 틈새에 발 등이 끼게 되는 경우에는 승강기의 승하강 작동을 멈추게 하는 등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본체(100)의 외측에서 외력이 가해서 가압되면 상기 제1 및 제2 도전체(131, 132)가 스위치 본체(100)의 중심부로 가압되면서 서로 도전되어 스위치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3a에 도시된 본 발명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는 승강기 도어 간의 틈새가 비교적 작은 곳에 설치되는 것이고, 도 3b의 실시예의 경우 승강기 도어 간의 틈새가 비교적 넓은 곳이 설치되는 것이다. 즉, 승강기에 사람이 탑승할 때 신체 중 몸체가 접촉되면 비교적 제1 및 제2 도전체(131, 132)가 서로 접촉이 잘되지만, 손가락과 같이 부피가 작은 신체의 일부분이 도어 사이에 끼게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럴 경우를 대비하여 도 3a와 같이 스위치 본체(100) 상단부 일부만 도어의 단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스위치 본체(100)의 하부에는 스위치 본체(100)의 하부를 일부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승강기 도어 고정부재(120)가 결합된다. 상기 승강기 도어 고정부재(120)는 내측면에 돌기(121)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121)와 대응되는 위치의 스위치 본체(100)의 하부 외측면에는 결합 홈(102)가 형성되어 승강기 도어 고정부재(120)에 삽입된 스위치 본체(100)가 외측으로 이탈되게 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 5의 제2 실시예의 경우도 상기한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와 모든 구성이 동일하다. 다만, 스위치 본체(100)가 비교적 소프트한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승강기 도어 고정부재(120)에 결합되어 사용될 시 스위치 본체(100)가 원형 그대로의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보강부재(105)가 삽입되는 부분만 상이한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의 제작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스위치 본체(100)의 공간(101)을 기준으로 양분되되, 양측단부 중 일측이 절개된 절개부(104)가 형성되고, 상단부는 서로 연결되어, 상기 공간(101)의 내측 표면에 각 도전체(131, 132)를 삽입하여 고정한 뒤 절개부(104)를 접합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각 도전체가 삽입된 스위치 본체(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 도어(210)에 별도의 부재인 승강기 도어 고정부재(120)를 접착 또는 나사 등을 이용하여 승강기 도어(210)의 단부에 결합하여 고정한 뒤 스위치 본체(100)를 상기 승강기 도어 고정부재(120)에 삽입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결합 홈(102) 및 돌기(121)에 의해 스위치 본체(100)가 승강기 도어 고정부재(120)에 견고하게 삽입되어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하, 제3 내치 제5 실시예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 제3 실시예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의 내부 구성물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1은 도 8의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가 엘리베이터 도어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의 제4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의 제5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의 제3 및 제4 실시예는 상기한 제1 및 제2 실시예와 모든 구성이 동일하다. 다만, 공간(101)의 형상 및 스위치 본체(100)가 좌우로 분할된 형태가 아닌 상부 본체(1023) 및 하부 본체(1024)로 구성되어 상하부로 분할된 형태이다.
즉, 상기 공간(101)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의 형상이 사다리꼴이 서로 역방향으로 접한 상태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의 형상이 사다리꼴이 서로 정방향으로 접한 상태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돌출부(103)는 완충역할을 하기 위해 형성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외력에 의해 스위치 본체(100)가 가압될 경우 쉽게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동시에 후술할 서로 다른 극의 도전체가 접촉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도전체의 중간부분만 접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스위치 본체(100)의 공간(101)의 내측 표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되, +극의 제3 도전체(133)와, -극의 제4 도전체(134)가 구비된다. 상기 제3 및 제4 도전체(133, 134)는 동판과 같이 전도율이 좋은 구리와 같은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상기 제3 및 제4 도전체(133, 134)의 후면에는 지지부재(114)가 부착되는데, 상기 지지부재(114)는 상기 제3 및 제4 도전체(133, 134)의 후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3 및 제4 도전체(133, 134)가 휘어지거나 꺾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114)는 비교적 변형이 잘되지 않으면서도 유연성이 있는 폴리카보네이트(PC)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 하부로 지지부재(114)가 부착된 각 도전체(134, 134)를 삽입한 뒤 공간(101)의 내측 표면에 고정이 용이하도록 접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위치 본체(100)는 그 단면의 형상이 ‘U’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 및 제4 도전체(133, 134)는 상기 스위치 본체(100)의 내측의 이격된 내측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각각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즉, 하부는 폐쇄된 상태로 형성되고, 상단부는 개방된 상태에서 제3 및 제4 도전체(133, 134)가 상단부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승강기의 제어반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제1 및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단부 및 하단부는 상기 공간(101)의 내부로 습기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어 제3 및 제4 도전체(133, 134)를 접촉 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제3 및 제4 도전체(133, 134)가 스위치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 제5 실시예는 상기한 제3 및 제4 실시예와 모든 구성이 동일하다. 다만 공간(101)의 형상 및 스위치 본체(100)의 외형이 다소 상이한 것이다.
즉,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101)의 내측 표면에는 서로 나란히 배치되며, 상부 본체(1023)의 내측에 구비되는 +극의 제5 도전체(135) 및 상기 하부 본체(1024)의 내측에 구비되되, 하부 본체(1024)의 전체영역에 구비되는 -극의 제6 도전체(136)이 구비된다. 상기 제6 도전체(136)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로 구성되어 스위치 본체(100)가 가압되면 제5 도전체(135)가 제6 도전체(136)에 접하면서 도전되고, 이를 통해 제어부는 승강기(200) 및 승강기 도어(210)의 구동을 멈추게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5 실시예는 상기한 실시예들과 달리 절개구(104) 없이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공간의 형상 및 제6 도전체(136)의 형상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의 제6 실시예는 도 1 내지 4의 실시예와 모든 구성이 동일하다. 다만, 소프트한 재질인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공간(101)을 중심으로 절개부(104)에 의해 좌측 본체(1031) 및 우측 본체(1032)로 분리되되, 일측이 연결되어 내부 개폐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승강기(200)의 전면 및 후면 도어의 각 틈새에 구비되는 스위치 본체(100)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101)의 내측 표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되, +극의 제7 도전체(161)와, -극의 제8 도전체(162) 후단에 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7 도전체와 제8 도전체까 꺽이거나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도전체에서 전류가 외부로 통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부도체(151)와 제 부도체(15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치 본체(100)가 가압되면 제7 도전체(161)가 제8 도전체(162)에 접하면서 도전되고, 이를 통해 제어부는 승강기 및 승강기 도어의 구동을 멈추게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의 제7 실시예는 제4실시예와 일부 구성요소가 동일하다. 다만, 제4 실시예의 지지부재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프트한 재질인 실리콘으로 형성되며 내측에 소정의 공간(101)이 형성되되, 상기 공간(101)의 중간 양측단부에 상기 공간(101)의 외측 방향으로 침강형성되는 침강홈부(107)이 형성되어, 상기 침강홈부(107)를 중심으로 절개부(104)에 의해 상부 본체(1033) 및 하부 본체(1034)로 분리되되, 일측이 연결되어 내부 개폐가 가능하며, 승강기(200)의 전면 및 후면 도어의 각 틈새에 구비되는 스위치 본체(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101)의 내측 표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되, 구리판을 판재로 사용하여 배치되며 전도율이 좋은 제1 동판(163) 및 제2 동판(164)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각 동판(163, 164)이 외력에 의해 접하여 전류가 흐를 시 이를 감지하여 승강기(200) 및 승강기 도어(210)의 구동을 멈추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의 제8 실시예는 제6 실시예와 모든 구성이 동일하다. 다만, 스위치 본체의 재질을 실리콘으로 한정하지 않고 도천체 및 부도체를 대신해 감압센서가 마련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프트한 재질로 형성되며 내측에 소정의 공간(101)이 형성되되, 상기 공간(101)을 중심으로 절개부(104)에 의해 좌측 본체(1035) 및 우측 본체(1036)로 분리되되, 일측이 연결되어 내부 개폐가 가능하며, 승강기(200)의 전면 및 후면 도어의 각 틈새에 구비되는 스위치 본체(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101)의 내측 표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되, +극의 제9 도전체(140a)와, -극의 제10 도전체(141a) 내부에는 통전와이어(140b, 141b)가 삽입되어 있는 제1 감압센서(140) 및 제2 감압센서(141)가 포함되는 것이다.
즉, 전원을 공급한 상태에서 갑압센서(140, 141)가 접촉하게 되면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게 되는 것이며, 통전와이어(140b, 141b))를 통해 제9 도전체(140a)와 제10 도전체(141a) 전체에 전원이 고르게 공급되도록 할 수 있어 센서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의 제9 실시예는 제8 실시예와 모든 구성이 동일하다. 다만, 공간(101)의 형상 및 스위치 본체(100)가 좌우로 분할된 형태가 아닌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로 구성되어 상하부로 분할된 형태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0 내지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프트한 재질로 형성되며 내측에 소정의 공간(101)이 형성되되, 공간(101)을 중심으로 절개부(104)에 의해 상부 본체(1037) 및 하부 본체(1038)로 분리되되, 일측이 연결되어 내부 개폐가 가능하며, 승강기(200)의 전면 및 후면 도어의 각 틈새에 구비되는 스위치 본체(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101)의 내측 표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되, +극의 제1 도전체(144a)와, -극의 제2 도전체(145a) 내부에는 통전와이어(144b, 145b)가 삽입되어 있는 제1 감압센서(144) 및 제2 감압센서(1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감압센서를 이용함으로써, 감압센서에 작용하는 압력으로 인해 작동되는 구조이므로 작동 소음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것은 물론 고장이나 오류 발생의 활률이 적어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것이다.
여기서, 상기 실시예들의 스위치 본체(100)의 하부에는 스위치 본체(100)의 하부를 일부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승강기 도어 고정부재(120)가 결합되는데, 상기 승강기 도어 고정부재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측면에 돌기(121)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121)와 대응되는 위치의 스위치 본체(100)의 하부 외측면에는 결합 홈(102)이 형성되어 승강기 도어 고정부재에 삽입된 스위치 본체(100)가 외측으로 이탈되게 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돌기 및 결합 홈의 형태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에 의하면, 기존에 설치된 승강기와 벽체 사이에 본 발명의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를 단순히 승강기 도어 고정부재(120)에 삽입 결합하고, 제1 및 제2 도전체를 승강기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에만 연결하면 되므로 설비가 상당히 간단해지게 된다. 예를 들어 기존의 손가락 끼임을 방지하기 위해 센서부, 제어부, 상기 센서에서 발생되는 감지신호를 변환하여 제어부로 전달하기 위한 변환기 등의 구성이 필요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그 비용을 약 1/10로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승강기와 벽체 사이에 발생되는 틈, 즉 승강장(301)과 벽체 및 승강카(302)와 승강기 도어 사이에 발생되는 양측 틈새, 상하부 틈새 모두 설치가 가능하므로 설치가 용이하며, 특히, 기존 설치된 승강기의 경우 부착식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고장 또는 유지보수 시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를 단순히 떼어내고 새로운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를 부착하면 되므로 유지보수가 상당히 간편해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스위치 본체 101 : 공간
1021 : 좌측 본체 1022 : 우측 본체
1023 : 상부 본체 1024 : 하부 본체
102 : 결합 홈 103 : 돌출부
104 : 절개부 105 : 보강부재
113 : 접속 단자 114 : 지지부재
120 : 승강기 도어 고정부재 121 : 돌기
131 : 제1 도전체 132 : 제2 도전체
133 : 제3 도전체 134 : 제4 도전체
135 : 제5 도전체 136 : 제6 도전체
200 : 승강기
210 : 승강기 도어 301 : 승강장
302 : 승강카

Claims (9)

  1. 소프트한 재질로 형성되며 내측에 소정의 공간(101)이 형성되되, 상기 공간(101)의 하단부에 상기 공간(101)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103)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03)를 중심으로 절개부(104)에 의해 좌측 본체(1021) 및 우측 본체(1022)로 분리되되, 일측이 연결되어 내부 개폐가 가능하며, 승강기(200)의 전면 및 후면 도어의 각 틈새에 구비되는 스위치 본체(100);
    상기 공간(101)의 내측 표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되, +극의 제1 도전체(131)와, -극의 제2 도전체(132); 및
    상기 각 도전체(131, 132)가 외력에 의해 접하여 전류가 흐를 시 이를 감지하여 승강기(200) 및 승강기 도어(210)의 구동을 멈추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
  2. 소프트한 재질로 형성되며 내측에 소정의 공간(101)이 형성되되, 상기 공간(101)의 중간 양측단부에 상기 공간(101)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103)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03)를 중심으로 절개부(104)에 의해 상부 본체(1023) 및 하부 본체(1024)로 분리되되, 일측이 연결되어 내부 개폐가 가능하며, 승강기(200)의 전면 및 후면 도어의 각 틈새에 구비되는 스위치 본체(100);
    상기 공간(101)의 내측 표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되, +극의 제3 도전체(133)와, -극의 제4 도전체(134);
    상기 제1 및 제4 도전체(133, 134)의 후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1 및 제4 도전체(133, 134)가 휘어지거나 꺾이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재(114) 및
    상기 각 도전체(133, 134)가 외력에 의해 접하여 전류가 흐를 시 이를 감지하여 승강기(200) 및 승강기 도어(210)의 구동을 멈추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
  3. 소프트한 재질로 형성되며 내측에 소정의 공간(101)이 형성되되, 상기 공간(101)의 중간 양측단부에 상기 공간(101)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103)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03)를 중심으로 절개부(104)에 의해 상부 본체(1023) 및 하부 본체(1024)로 분리되되, 일측이 연결되어 내부 개폐가 가능하며, 승강기(200)의 전면 및 후면 도어의 각 틈새에 구비되는 스위치 본체(100);
    상기 공간(101)의 내측 표면에 서로 나란히 배치되되, 상부 본체(1023)의 내측에 구비되는 +극의 제5 도전체(135) 및 상기 하부 본체(1024)의 내측에 구비되되, 하부 본체(1024)의 전체영역에 구비되는 -극의 제6 도전체(136); 및
    상기 각 도전체(135, 136)이 외력에 의해 서로 접하여 전류가 흐를 시 이를 감지하여 승강기(200) 및 승강기 도어(210)의 구동을 멈추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
  4. 소프트한 재질인 실리콘으로 형성되며 내측에 소정의 공간(101)이 형성되되, 상기 공간(101)을 중심으로 절개부(104)에 의해 좌측 본체(1031) 및 우측 본체(1032)로 분리되되, 일측이 연결되어 내부 개폐가 가능하며, 승강기(200)의 전면 및 후면 도어의 각 틈새에 구비되는 스위치 본체(100);
    상기 공간(101)의 내측 표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되, +극의 제7 도전체(161)와, -극의 제8 도전체(162);
    상기 제7 도전체와 제8 도전체의 후단에 접하여 배치되는 제1 부도체(151)와 제 부도체(152); 및
    상기 각 도전체(161, 162)가 외력에 의해 접하여 전류가 흐를 시 이를 감지하여 승강기(200) 및 승강기 도어(210)의 구동을 멈추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
  5. 소프트한 재질인 실리콘으로 형성되며 내측에 소정의 공간(101)이 형성되되, 상기 공간(101)의 중간 양측단부에 상기 공간(101)의 외측 방향으로 침강형성되는 침강홈부(107)가 형성되어, 상기 침강홈부(107)를 중심으로 절개부(104)에 의해 상부 본체(1033) 및 하부 본체(1034)로 분리되되, 일측이 연결되어 내부 개폐가 가하며, 승강기(200)의 전면 및 후면 도어의 각 틈새에 구비되는 스위치 본체(100);
    상기 공간(101)의 내측 표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되, 구리판을 판재로 사용하여 배치되는 제1 동판(163) 및 제2 동판(164);
    상기 각 동판(163, 164)이 외력에 의해 접하여 전류가 흐를 시 이를 감지하여 승강기(200) 및 승강기 도어(210)의 구동을 멈추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
  6. 소프트한 재질로 형성되며 내측에 소정의 공간(101)이 형성되되, 상기 공간(101)을 중심으로 절개부(104)에 의해 좌측 본체(1035) 및 우측 본체(1036)로 분리되되, 일측이 연결되어 내부 개폐가 가능하며, 승강기(200)의 전면 및 후면 도어의 각 틈새에 구비되는 스위치 본체(100);
    상기 공간(101)의 내측 표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되, +극의 제1 도전체(140a)와, -극의 제2 도전체(141a) 내부에는 통전와이어(140b, 141b))가 삽입되어 있는 제1 감압센서(140) 및 제2 감압센서(141); 및
    상기 각 감압센서(140, 141)가 외력에 의해 접하여 전류가 흐를 시 이를 감지하여 승강기(200) 및 승강기 도어(210)의 구동을 멈추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
  7. 소프트한 재질로 형성되며 내측에 소정의 공간(101)이 형성되되, 공간(101)을 중심으로 절개부(104)에 의해 상부 본체(1037) 및 하부 본체(1038)로 분리되되, 일측이 연결되어 내부 개폐가 가능하며, 승강기(200)의 전면 및 후면 도어의 각 틈새에 구비되는 스위치 본체(100);
    상기 공간(101)의 내측 표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되, +극의 제1 도전체(144a)와, -극의 제2 도전체(145a) 내부에는 통전와이어(144b, 145b)가 삽입되어 있는 제1 감압센서(144) 및 제2 감압센서(145); 및
    상기 각 감압센서(144, 145)가 외력에 의해 접하여 전류가 흐를 시 이를 감지하여 승강기(200) 및 승강기 도어(210)의 구동을 멈추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도어(210) 단부에는 승강기 도어 고정부재(120)에 상기 스위치 본체(10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
  9.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본체(100) 및 각 도전체들은,
    복수로 분리형성되되, 각각을 서로 연결하여 길이에 맞게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
KR1020180169316A 2018-12-26 2018-12-26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 KR202000797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316A KR20200079777A (ko) 2018-12-26 2018-12-26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316A KR20200079777A (ko) 2018-12-26 2018-12-26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777A true KR20200079777A (ko) 2020-07-06

Family

ID=71571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9316A KR20200079777A (ko) 2018-12-26 2018-12-26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9777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5798A (ja) 2005-11-16 2009-04-16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接触式感知部を含み自動ドアの動きを制御するドアアセンブリ
KR20100010939U (ko) 2009-04-29 2010-11-08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 장치
KR101238068B1 (ko) 2012-10-11 2013-02-27 이호연 도파로 시트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5798A (ja) 2005-11-16 2009-04-16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接触式感知部を含み自動ドアの動きを制御するドアアセンブリ
KR20100010939U (ko) 2009-04-29 2010-11-08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 장치
KR101238068B1 (ko) 2012-10-11 2013-02-27 이호연 도파로 시트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2577B1 (ko) 틸팅 기능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JP2009515798A (ja) 接触式感知部を含み自動ドアの動きを制御するドアアセンブリ
KR102245816B1 (ko)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장치
KR101761160B1 (ko) 좌,우 개폐식 도어의 틈새 차단장치
US10112804B2 (en) Escalator system
US10023439B2 (en) Method for detecting over connected access cover plate
KR101305719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KR20200079777A (ko)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
KR102119620B1 (ko)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
KR101804536B1 (ko) 엘리베이터 카 도어용 끼임 방지 센서장치
EP1474582B1 (en) Pinching-prevention device for automatic doors, in particular for lifts and/or elevators
KR20190011850A (ko) 슬라이딩도어의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JP6016338B2 (ja) エレベータかごの戸安全装置
KR101913954B1 (ko)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
JP2015048245A (ja) エレベータ用注意喚起装置
WO2020004985A1 (ko)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
CN207375530U (zh) 一种具有自动解困功能的电梯系统
JP2009107769A (ja)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KR200484754Y1 (ko) 승강기 틈새 끼임 방지장치
KR20210109373A (ko) 모션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끼임 방지 안전장치
CN215479097U (zh) 一种电梯用防夹手装置
CN205615524U (zh) 城轨车门柔性物体防夹装置
JP2001048452A (ja) エレベータのドア安全装置
JP2010037015A (ja) エレベータのドア安全装置
JPH012471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