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6161Y1 - 미닫이문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문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6161Y1
KR200176161Y1 KR2019990023799U KR19990023799U KR200176161Y1 KR 200176161 Y1 KR200176161 Y1 KR 200176161Y1 KR 2019990023799 U KR2019990023799 U KR 2019990023799U KR 19990023799 U KR19990023799 U KR 19990023799U KR 200176161 Y1 KR200176161 Y1 KR 2001761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door
groove
guide device
rollers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37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경양
Original Assignee
민경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경양 filed Critical 민경양
Priority to KR20199900237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61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61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61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문틀의 홈과 그 홈에 끼워진 미닫이문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계수를 줄이고 또한 좌우방향으로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원활하게 문틀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도록 하는 미닫이문 안내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미닫이문의 테두리(3)의 좌우측면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롤러(11, 21)와, 복수의 롤러(11, 21)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0)를 포함하는 미닫이문 안내장치에 있어서, 미닫이문의 테두리(3)에 체결 고정되고 미닫이문이 삽입되는 문틀의 홈(8) 안쪽에 위치하며 중간부위에 슬라이드 홈(39)이 형성된 몸체부(30)와, 각각의 롤러(11, 21)를 수용하고 몸체부(30)의 슬라이드 홈(39)에 위치하며 슬라이드 홈(39)을 따라 좌우로 미끄러지는 복수의 홀더(10, 20)를 포함하며, 복수의 홀더(10, 20)에 각각 수용된 롤러(11, 21)는 문틀의 홈(8)의 좌우측면과 접하며, 복수의 홀더(10, 20)는 탄성부재(40)에 연결되어 복수의 롤러(11, 21)가 문틀의 홈(8)의 좌우측면에 대하여 탄성력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미닫이문 안내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미닫이문 안내장치{Guide apparatus of sliding door}
본 고안은 미닫이문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문틀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미닫이문의 상부에 고정되어 문틀과의 마찰계수를 작게 하는 미닫이문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은 주거공간을 좀 더 안락하면서도 편리하게 꾸미기 위해 많은 발명을 하였다. 이런 발명 중에 하나가 미닫이문을 열고 닫을 때에 발생하는 소음을 제거하고 또한 소요되는 힘을 최소화하기 위해 미닫이문에 설치되는 도르래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미닫이문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문틀에 설치된 미닫이문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닫이문은 유리(1)와, 그 유리(1)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미닫이문의 테두리(3)와, 테두리(3)의 하단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도르래(5)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런 미닫이문은 문틀에 끼워진다. 문틀의 안쪽 상면에는 제 1 홈(8)이 문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제 1 홈(8)에 대응하는 제 2 홈(7)이 문틀의 안쪽 하면에 문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이런 제 2 홈(7)의 밑면 중간에는 레일(9)이 형성되어 미닫이문의 도르래(5)의 이동방향을 안내한다.
여기에서, 미닫이문의 도르래(5)에는 원주를 따라 홈이 형성되고 이런 도르래(5)의 홈과 레일(9)이 정합한다. 이와 같은 미닫이문을 열거나 닫기 위해 힘을 가하면, 미닫이문의 도르래(5)는 회전을 하면서 레일(9)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미닫이문도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미닫이문은 문틀의 안쪽 상면에 형성된 제 1 홈(8)에 삽입되어 이동함에 따라, 이동 중에 미닫이문의 테두리(3)가 문틀의 제 1 홈(8)의 안쪽 측면에 부딪치게 되어 소음이 발생하고, 또한 미닫이문을 열고 닫음에 있어 필요 이상의 힘이 소요된다.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서, 작은 힘으로도 미닫이문을 열고 닫을 수 있으며 미닫이문을 열고 닫을 때에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는 미닫이문 안내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미닫이문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미닫이문이 문틀에 설치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문 안내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미닫이문 안내장치의 몸체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미닫이문 안내장치의 우측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미닫이문 안내장치의 저면도이며,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미닫이문 안내장치가 미닫이문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좌측 홀더 20 : 우측 홀더
11 : 좌측 롤러 21 : 우측 롤러
23 : 원형 패킹 30 : 몸체부
39 : 슬라이드 홈 40 : 스프링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미닫이문의 테두리의 좌우측면으로 돌출되는 좌우측 롤러와, 상기 좌우측 롤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미닫이문 안내장치에 있어서, 미닫이문의 테두리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미닫이문이 삽입되는 문틀의 홈 안쪽에 위치하며 중간부위에 슬라이드 홈이 형성된 몸체부와, 각각의 롤러를 수용하고 상기 몸체부의 슬라이드 홈에 위치하며 상기 슬라이드 홈을 따라 좌우로 미끄러지는 좌우측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에 수용된 상기 롤러는 상기 문틀의 홈의 측면과 접하며, 상기 좌측 홀더와 상기 우측 홀더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좌우측 롤러가 상기 문틀의 홈의 양측면에 대하여 탄성력을 가하도록 구성된 미닫이문 안내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홀더에는 제 1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홈에는 제 1 걸림턱과 접하는 제 2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홀더가 상기 슬라이드 홈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미닫이문 안내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의 슬라이드 홈에는 상기 복수의 홀더 중에서 한 홀더의 제 1 걸림턱과 접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걸림턱이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 2 걸림턱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한 홀더가 고정되는 미닫이문 안내장치가 제공된다.
아래에서,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문 안내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면에서,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문 안내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미닫이문 안내장치의 몸체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미닫이문 안내장치의 우측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미닫이문 안내장치의 저면도이며,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미닫이문 안내장치가 문틀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닫이문 안내장치의 한 구성요소인 2개의 롤러(11, 21)는 그 중심의 양측으로 회전축(12, 22)이 돌출되어 있으며, 이런 롤러(11, 21)는 각각 홀더(10, 20)에 수용된다. 이 때, 홀더(10, 20)는 롤러(11, 21)의 회전축(12, 22)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며, 또한, 홀더(10, 20)는 롤러(11, 21)의 일부분이 홀더(10, 20) 밖으로 돌출되도록 롤러(11, 21)를 수용한다. 그리고, 두 홀더(10, 20)의 사이에는 압축스프링(40)이 위치한다. 또한, 두 홀더(10, 20)는 몸체부(30)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39)에 위치하는데, 한 홀더(20)는 고정되며, 다른 홀더(10)는 슬라이드 홈(39)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롤러(11, 21)에는 원형패킹(23)이 롤러(11, 21)의 원주를 따라 고정되어 있다.
한편, 홀더(10, 20)는 좌측 홀더(10)와 우측 홀더(20)로 구분되며, 좌우측 홀더(10, 20)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우측 홀더(20)의 우측면과 좌측 홀더(10)의 좌측면에는 홈이 형성되며, 이런 홈에 롤러(11, 21)가 각각 수용된다. 또한, 좌우측 홀더(10, 20)의 상하면에는 걸림홈(17, 27)이 형성되어 롤러(11, 21)의 회전축(12, 22)이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그리고, 우측 홀더(20)에 수용된 롤러(21)는 그 일부가 우측 홀더(20)의 우측으로 돌출되고, 좌측 홀더(10)에 수용된 롤러(11)는 그 일부가 좌측 홀더(10)의 좌측으로 돌출되도록 위치한다.
또한, 좌우측 홀더(10, 20)의 하단에는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더(14, 24)가 돌출되고,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제 1 걸림턱(16, 26)이 좌우측 홀더(10, 20)의 폐쇄부 측면과 슬라이더(14, 24)의 단부에 연장된다. 여기에서, 폐쇄부는 홀더(10, 20)에서 롤러(11, 21)가 돌출된 면의 반대면이다. 그리고, 좌측 홀더(10)와 우측 홀더(20)의 폐쇄부 사이에는 압축스프링(40)이 위치한다.
한편, 몸체부(30)의 중앙부위에는 슬라이드 홈(39)이 몸체부(30)를 좌우방향으로 가로질러 형성되며, 슬라이드 홈(39)의 양측단 상부에는 소정 길이의 제 2 걸림턱(33)이 연장된다. 따라서, 슬라이드 홈(39)에는 안내홈(31)이 제 2 걸림턱(33)에 의해 형성된다. 한편, 좌우측 홀더(10, 20)의 슬라이더(14, 24)는 슬라이드 홈(39)의 좌우측 양단부에 형성된 4개의 안내홈(31)에 위치하며, 슬라이더(14, 24)는 안내홈(31)을 따라 좌우로 이동한다. 그리고, 슬라이더(14, 24)의 단부에 고정된 제 1 걸림턱(16, 26)은 슬라이드 홈(39)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면서 안내홈(31)을 형성하는 제 2 걸림턱(33)과 접하게 되면 이동을 멈추게 된다. 여기에서, 좌우측 홀더(10, 20)의 이동은 압축스프링(40)의 탄성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슬라이드 홈(39)의 밑면에는 돌출부(37)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런 돌출부(37)는 우측 홀더(20)의 제 1 걸림턱(26)과 몸체부(30)의 제 2 걸림턱(33)이 접하였을때 슬라이드 홈(39)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우측 홀더(20)의 폐쇄부의 바깥면과 접하게 된다. 따라서, 우측 홀더(20)는 제 2 걸림턱(33)과 돌출부(37)에 의해 고정되며 우측 홀더(20)에 수용된 롤러(21)의 일부는 몸체부(30)의 우측으로 돌출된다. 한편, 좌측 롤러(11)에 힘을 가하면 좌측 홀더(10)는 슬라이드 홈(39)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힘이 제거되면 압축스프링(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몸체부(30)의 좌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몸체부(30)의 전후방 중앙에는 관통공(32)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공(32)에 삽입되는 나사못(32a)이 미닫이문의 테두리(3)의 상면에 고정됨으로써, 미닫이문 안내장치는 테두리(3)의 상면에 고정된다. 한편, 몸체부(30)의 저면에는 테두리(3)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릿(3a)에 삽입되는 돌출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미닫이문 안내장치에 작동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미닫이문 안내장치의 저면에 형성된 돌출부(35)를 미닫이문의 테두리(3)의 상면에 형성된 슬릿(3a)에 삽입한다. 그러면, 몸체부(30)의 슬라이드 홈(39)의 우측에 고정된 우측 홀더(20)가 테두리(3)의 우측으로 돌출되고, 좌측 홀더(10)는 테두리(3)의 좌측으로 돌출된다.
이런 미닫이문 안내장치 2개를 미닫이문의 테두리(3)의 상면에 설치하고, 미닫이문을 문틀에 끼우면, 문틀의 안쪽 상면에 형성된 제 1 홈(8: 도 2에 도시됨)에 테두리(3)의 상부가 삽입되면서 미닫이문 안내장치는 제 1 홈(8) 안쪽에 위치한다. 이 때, 미닫이문 안내장치의 좌우측 롤러(11, 21)는 문틀의 홈(8)의 좌우측면에 접하게 된다.
이 때, 미닫이문을 사용자가 열거나 닫게 되면 미닫이문의 이동에 따라 좌우측 롤러(11, 21)는 회전하게 되고, 압축스프링(40)의 탄성복원력은 문틀의 홈(8)의 좌우측면에 작용되면서, 미닫이문은 압축스프링(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미닫이문의 좌우방향으로의 흔들림은 압축스프링(40)에 의해 미약해진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미닫이문 안내장치는 미닫이문의 상부에 설치되어 미닫이문을 열고 닫을 때, 미닫이문의 좌우 흔들림을 방지함으로써, 소음을 줄이고, 마찰계수를 낮추어 작은 힘으로도 쉽게 열고 닫을 수 있다.
또한, 창틀의 홈의 폭이 넓고 미닫이문의 테두리의 두께가 작아도 미닫이문은 압축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미닫이문 안내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4)

  1. 미닫이문의 테두리의 좌우측면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롤러와, 상기 복수의 롤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미닫이문 안내장치에 있어서,
    미닫이문의 테두리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미닫이문이 삽입되는 문틀의 홈 안쪽에 위치하며 중간부위에 슬라이드 홈이 형성된 몸체부와,
    각각의 롤러를 수용하고 상기 몸체부의 슬라이드 홈에 위치하며 상기 슬라이드 홈을 따라 좌우로 미끄러지는 복수의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홀더 각각에 수용된 상기 롤러는 상기 문틀의 홈의 좌우측면과 접하며, 상기 복수의 홀더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롤러가 상기 문틀의 홈의 좌우측면에 대하여 탄성력을 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 안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는 제 1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홈에는 제 1 걸림턱과 접하는 제 2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홀더가 상기 슬라이드 홈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 안내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는 상기 미닫이문의 테두리의 상면에 형성된 홈과 정합하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 안내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슬라이드 홈에는 상기 복수의 홀더 중에서 한 홀더의 제 1 걸림턱과 접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걸림턱이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 2 걸림턱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한 홀더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 안내장치.
KR2019990023799U 1999-11-02 1999-11-02 미닫이문 안내장치 KR2001761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799U KR200176161Y1 (ko) 1999-11-02 1999-11-02 미닫이문 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799U KR200176161Y1 (ko) 1999-11-02 1999-11-02 미닫이문 안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6161Y1 true KR200176161Y1 (ko) 2000-03-15

Family

ID=19594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3799U KR200176161Y1 (ko) 1999-11-02 1999-11-02 미닫이문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616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300B1 (ko) * 2002-05-29 2005-05-17 최명호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의 구조
KR101297715B1 (ko) 2012-08-01 2013-08-2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전축 방향의 변위를 허용하는 롤러모듈 및 이를 구비한 미닫이 타입 방수문 장치
KR102562070B1 (ko) * 2023-06-20 2023-08-01 (주) 문다소 속도조절이 가능한 폴딩도어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300B1 (ko) * 2002-05-29 2005-05-17 최명호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의 구조
KR101297715B1 (ko) 2012-08-01 2013-08-2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전축 방향의 변위를 허용하는 롤러모듈 및 이를 구비한 미닫이 타입 방수문 장치
KR102562070B1 (ko) * 2023-06-20 2023-08-01 (주) 문다소 속도조절이 가능한 폴딩도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1965B1 (ko) 다중 연동 중문 레일 구조체
CA1311259C (en) Torsion spring powered door
KR200176161Y1 (ko) 미닫이문 안내장치
EP0246402A3 (en) Thermoelectric cooler
KR200402223Y1 (ko) 디지탈 도어록 커버의 저마찰 롤러 슬라이딩 개폐장치
HK1052541B (zh) 用於窗或門的附屬裝置
KR940020041A (ko) 카트리지
JP3665469B2 (ja) 扉装置
KR20030065739A (ko) 김치냉장고용 힌지장치
KR100455775B1 (ko) 스토퍼가 구비된 휴대폰 폴더 힌지장치
JP3625705B2 (ja) リッドの開閉装置
ATE104917T1 (de) Buechse bzw. etui mit bewegbarem deckel.
KR20210006545A (ko)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여닫이 도어용 스토퍼
KR100382971B1 (ko) 창문용 슬라이더
KR100252659B1 (ko) 김치통 저장고의 도어힌지구조
KR970012627A (ko) 슬라이드 개폐식 컴팩트 디스크 케이스
KR20170122361A (ko) 멀티클로징 기능이 구비된 슬라이더
KR920000053Y1 (ko) 전지제품의 도어 개폐장치
KR200284031Y1 (ko) 도어용 스토퍼
KR200259582Y1 (ko) 진열장의 유리문 정위치 자동안내장치
KR200148483Y1 (ko) 전자제품의 도어 개폐장치
KR100422870B1 (ko) 차량의 콘솔트레이커버용 힌지장치
JP2023092625A (ja) 引き戸用の係止装置
KR0119980Y1 (ko) 글로브 박스의 개폐 제어장치
JP2516012Y2 (ja) 隠蔽式窓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