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6872B1 - 창호용 틈새 방지구 - Google Patents

창호용 틈새 방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6872B1
KR102276872B1 KR1020190063749A KR20190063749A KR102276872B1 KR 102276872 B1 KR102276872 B1 KR 102276872B1 KR 1020190063749 A KR1020190063749 A KR 1020190063749A KR 20190063749 A KR20190063749 A KR 20190063749A KR 102276872 B1 KR102276872 B1 KR 102276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groove
housing
protrusi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7415A (ko
Inventor
유홍
Original Assignee
유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홍 filed Critical 유홍
Priority to KR1020190063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6872B1/ko
Publication of KR20200137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용 틈새 방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창문과 창틀의 가이드레일 사이에 존재하는 틈새를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는 창호용 틈새 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창호용 틈새 방지구는, 창문이 창틀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미닫이 창호에서, 이동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창문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홈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이동홈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창틀의 가이드레일과 창문의 레일홈 사이의 틈새를 막는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의 후면에는 상기 창문의 레일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본체 및 삽입돌기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이 삽입 배치되는 삽입홈이 상기 이동홈의 수평방향으로 연통되면서 하방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되며, 상기 삽입돌기의 상부에는 상기 본체의 후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그 사이에 걸림홈을 형성하는 걸림돌기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창문 내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본체의 후면과 상기 걸림돌기가 사이에 형성된 상기 걸림홈에 상기 창문의 일측면이 삽입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창호용 틈새 방지구 { Gap preventing device for sliding fittings }
본 발명은 창호용 틈새 방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창문과 창틀의 가이드레일 사이에 존재하는 틈새를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는 창호용 틈새 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오피스텔, 사무실 등의 건축물에는 외부와의 환기 및 조명, 조망을 위한 창문이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각 실내공간에는 거실이나 내부 공간을 분할하기 위한 대형 미닫이 창호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통상적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창문이나 거실문은 대부분 미닫이 창호를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며, 이러한 미닫이 창호는 사각틀체상의 창틀의 내측에 미닫이상의 창문을 복수개 삽입한 것이 가장 보편적인 형태이다.
상기 창틀에서 창문이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창틀에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있고, 창문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이 삽입되는 레일홈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창문은 상기 레일홈이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통상적인 미닫이 창호는 하측 프레임에 복수개의 롤러를 장착하여 그 창틀로부터 보다 부드럽고 원활한 이동을 가능케 함은 물론 소음방지효과와 마모에 의한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은 롤러 등에 의해 상기 창문이 창틀로부터 약간 떠 있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가이드레일과 레일홈 사이에는 외부와 실내를 연결하는 틈새가 생기게 된다.
이러한 틈새는 난방 또는 냉방을 하는 실내의 단열효과를 떨어트려 열효율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매우 비경제적인 것이며, 방음 효과가 떨어져 외부 소음이 그대로 유입되거나 실내 소음이 외부로 유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며, 각종 해충이나 모기 등이 유입되거나, 실외에서 발생하는 분진이 상기 틈새에 의한 통로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어 실내를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많은 창호 틈새 방지부재 등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창호 틈새 방지부재는 창문에 고정 결합하고자 할 때, 작업자가 한손으로 창호 틈새 방지부재를 잡은 상태에서 나사 등을 이용하여 창문에 고정하여야 하였는바, 작업성이 좋지 못하였고, 또한 초보자의 경우 정확하지 않은 잘못된 위치에 창호 틈새 방지부재를 결합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개특허 10-2017-0067320 등에는 새로운 방식의 창호용 틈새 방지구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틈새 방지구는 작업의 편리성 등을 위해 상하 중 어느 한쪽만 나사를 이용하여 창문에 결합시키게 되는데, 나사를 이용하여 틈새 방지구를 창문에 장착하거나 창문을 슬라이딩시켜 열고 닫는 과정을 여러번 할 경우 틈새 방지구의 상하 중 나사에 결합되지 않은 부분이 창문으로부터 들떠 이격되게 문제가 발생하였다.
공개특허 10-2017-0067320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최소한의 나사에 의해 틈새 방지구가 창문에 결합한 상태에서도 틈새 방지구가 창문으로부터 들뜨지 않고 창문에 밀착되어 고정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는 창호용 틈새 방지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창호용 틈새 방지구는, 창문이 창틀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미닫이 창호에서, 이동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창문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홈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이동홈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창틀의 가이드레일과 창문의 레일홈 사이의 틈새를 막는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의 후면에는 상기 창문의 레일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본체 및 삽입돌기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이 삽입 배치되는 삽입홈이 상기 이동홈의 수평방향으로 연통되면서 하방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되며, 상기 삽입돌기의 상부에는 상기 본체의 후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그 사이에 걸림홈을 형성하는 걸림돌기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창문 내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본체의 후면과 상기 걸림돌기가 사이에 형성된 상기 걸림홈에 상기 창문의 일측면이 삽입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창문은, 창문본체와, 상기 창문본체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창문본체와 커버부재 사이에는 설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설치홈에 삽입되고, 상기 본체의 후면과 상기 걸림돌기가 사이에 형성된 상기 걸림홈에 상기 커버부재가 삽입 배치된다.
상기 본체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후방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이동홈이 형성되며, 후면에 상기 삽입돌기가 형성된 제2하우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홈은, 상기 제1하우징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면서 하방향으로 개방된 제1삽입홈과; 상기 제2하우징 및 삽입돌기의 하부에 형성되면서 하방향으로 개방된 제2삽입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이동홈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손잡이부가 상기 제1삽입홈을 통해 전방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2하우징의 후면과 상기 걸림돌기 사이에 상기 걸림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2하우징의 전면에는 상기 제2삽입홈의 양측에 승강레일이 형성되고, 2개의 상기 승강레일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더가 삽입 배치되는 상기 이동홈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양측에는 탄성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돌기의 외측에는 제1톱니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레일의 안쪽에는 상기 제1톱니와 맞물리는 제2톱니가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더의 승강시 상기 탄성돌기는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제1톱니와 제2톱니가 맞물려 상기 슬라이더의 상하 이동이 정지된다.
상기 제1하우징의 둘레에는 단턱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단턱홈에 걸려 지지되며, 상기 제2하우징의 전면에는 관통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에는 상기 관통돌기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돌기에는 나사가 관통하여 창문에 결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창호용 틈새 방지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최소한의 나사에 의해 틈새 방지구가 창문에 결합한 상태에서도 틈새 방지구가 창문으로부터 들뜨지 않고 창문에 밀착되어 고정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틈새 방지구를 창문에 설치하게 되면, 1개의 나사만을 사용하더라도, 틈새 방지구의 상부는 나사가 잡아주고 하부는 걸림돌기가 설치홈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창문을 오랫동안 슬라이딩시켜도 틈새 방지구가 창문으로부터 들뜨거나 분리되지 않고 밀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상부에 나사를 삽입하여 체결할 때 상기 본체의 하부는 걸림돌기에 의해 창문에 걸려 있기 때문에, 상기 본체의 상부에만 나사를 체결하였을 때 나사의 체결력에 의해 상기 본체의 하단이 창문의 레일홈으로부터 빠지거나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창호의 틈새 방지부재의 일방향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창호의 틈새 방지부재의 타방향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창호의 틈새 방지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5는 도 1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창호의 틈새 방지부재를 창문에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구조도.
본 발명의 창호용 틈새 방지구는, 창문(30)이 창틀(40)의 가이드레일(41)을 따라 이동하는 미닫이 창호에서 이동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창문(3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것으로써, 본체(10)와 슬라이더(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창문(30)은, 유리창이 장착된 창문본체(32)와, 상기 창문본체(32)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커버부재(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창문본체(32)와 커버부재(33) 사이에는 설치홈(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는 이동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창문(30)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홈(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홈(14)은 하부가 하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본체(10)의 후면에는 상기 창문(30)의 레일홈(31)에 삽입되는 삽입돌기(11)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 및 삽입돌기(11)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레일(41)이 삽입 배치되는 삽입홈(13)이 상기 이동홈(14)의 수평방향으로 연통되면서 하방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10)는, 제1하우징(10a)과 제2하우징(10b)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하우징(10a)의 후방에 상기 제2하우징(10b)이 결합되고, 상기 제2하우징(10b)의 내부에 상기 이동홈(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하우징(10b)의 후면에는 상기 삽입돌기(1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홈(13)은, 상기 제1하우징(10a)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면서 하방향으로 개방된 제1삽입홈(13a)과, 상기 제2하우징(10b) 및 삽입돌기(11)의 하부에 형성되면서 하방향으로 개방된 제2삽입홈(13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돌기(11)의 상부에는 상기 본체(10)의 후면 자세하게는 상기 제2하우징(10b)의 후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그 사이에 걸림홈(12a)을 형성하는 걸림돌기(12)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2하우징(10b)의 후면과 상기 걸림돌기(12) 사이에 상기 걸림홈(12a)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12a)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삽입돌기(11)에 의해 막혀 있다.
상기 걸림돌기(12)는 상기 창문(30) 내부 자세하게는 상기 창문본체(32)와 상기 커버부재(33) 사이에 형성된 상기 설치홈(34)에 상하방향으로 삽입 배치되면서, 상기 본체(10)의 후면과 상기 걸림돌기(12)가 사이에 상방향으로 개방 형성된 상기 걸림홈(12a)에 상기 창문(30)의 일측면 즉 상기 커버부재(33)의 하단이 삽입 배치된다.
위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12)가 상기 창문본체(32)와 커버부재(33) 사이에 형성된 상기 설치홈(34)에 삽입됨으로써, 본 발명의 틈새 방지구를 창문(30)에 장착하였을 때 상기 틈새 방지구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걸림돌기(12)가 상기 창문(30)에 걸려 임의로 창문(30)에서 분리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하우징(10a)의 둘레 내측에는 단턱홈(19)이 형성된다.
상기 제2하우징(10b)은 상기 제1하우징(10a)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10a)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테두리가 상기 단턱홈(19)에 걸려 지지된다.
상기 제2하우징(10b)의 전면 상부에는 관통돌기(17)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10a)에는 상기 관통돌기(17)가 관통하는 관통공(18)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돌기(17)에는 나사가 관통하여 창문(30)에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더(20)는 상기 이동홈(14)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1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창틀(40)의 가이드레일(41)과 창문(30)의 레일홈(31) 사이의 틈새를 막는다.
이러한 상기 슬라이더(20)는 상기 이동홈(14)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손잡이부가 상기 제1삽입홈(13a)을 통해 전방으로 노출된다.
상기 제2하우징(10b)의 전면에는 상기 제2삽입홈(13b)의 양측에 승강레일(15)이 형성되고, 2개의 상기 승강레일(15)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더(20)가 삽입 배치되는 상기 이동홈(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20)의 양측에는 탄성돌기(21)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돌기(21)의 외측에는 제1톱니(2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승강레일(15)의 안쪽에는 상기 제1톱니(26)와 맞물리는 제2톱니(16)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20)가 상기 이동홈(14) 내에서 승강하게 되면, 상기 탄성돌기(21)는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제1톱니(26)와 제2톱니(16)가 맞물려 상기 슬라이더의 상하 이동이 정지되게 된다.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12)를 상기 설치홈(34)에 삽입하여 끼운다.
그러면, 상기 걸림홈(12a)에 상기 커버부재(33)의 하부가 끼워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관통돌기(17)에 나사를 삽입한후 상기 창문(30)의 일측면에 체결한다.
그 후 상기 슬라이더(20)를 승강시켜 상기 창문(30)에 형성된 레일홈(31)을 막는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틈새 방지구를 창문(30)에 설치하게 되면, 1개의 나사만을 사용하더라도, 틈새 방지구의 상부는 나사가 잡아주고 하부는 상기 걸림돌기(12)가 상기 설치홈(34)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창문(30)을 오랫동안 슬라이딩시켜도 틈새 방지구가 창문(30)으로부터 들뜨거나 분리되지 않고 밀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나사를 삽입하여 체결할 때 상기 본체(10)의 하부는 걸림돌기(12)에 의해 창문(30)에 걸려 있기 때문에, 상기 본체(10)의 상부에만 나사를 체결하였을 때 나사의 체결력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하단이 창문(30)의 레일홈(31)으로부터 빠지거나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창호용 틈새 방지구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본체, 10a : 제1하우징, 10b : 제2하우징, 11 : 삽입돌기, 12 : 걸림돌기, 12a : 걸림홈, 13 : 삽입홈, 13a : 제1삽입홈, 13b : 제2삽입홈, 14 : 이동홈, 15 : 승강레일, 16 : 제2톱니, 17 : 관통돌기, 18 : 관통공, 19 : 단턱홈,
20 : 슬라이더, 21 : 탄성돌기, 26 : 제1톱니,
30 : 창문, 31 : 레일홈, 32 : 창문본체, 33 : 커버부재, 34 : 설치홈,
40 : 창틀, 41 : 가이드레일.

Claims (5)

  1. 창문이 창틀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미닫이 창호에서, 이동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창문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홈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이동홈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창틀의 가이드레일과 창문의 레일홈 사이의 틈새를 막는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창문은, 창문본체와, 상기 창문본체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창문본체와 커버부재 사이에는 설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후면에는 상기 창문의 레일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본체 및 삽입돌기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이 삽입 배치되는 삽입홈이 상기 이동홈의 수평방향으로 연통되면서 하방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되며,
    상기 본체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후방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이동홈이 형성되며, 후면에 상기 삽입돌기가 형성된 제2하우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홈은,
    상기 제1하우징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면서 하방향으로 개방된 제1삽입홈과;
    상기 제2하우징 및 삽입돌기의 하부에 형성되면서 하방향으로 개방된 제2삽입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이동홈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손잡이부가 상기 제1삽입홈을 통해 전방으로 노출되고,
    상기 삽입돌기의 상부에는 상기 제2하우징의 후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그 사이에 걸림홈을 형성하는 걸림돌기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은 상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삽입돌기에 의해 막혀 있으며,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창문 내부에 형성된 상기 설치홈에 상하방향으로 삽입 배치되면서, 상기 본체의 후면과 상기 걸림돌기 사이에서 상방향으로 개방 형성된 상기 걸림홈에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이 삽입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틈새 방지구.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의 전면에는 상기 제2삽입홈의 양측에 승강레일이 형성되고,
    2개의 상기 승강레일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더가 삽입 배치되는 상기 이동홈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양측에는 탄성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돌기의 외측에는 제1톱니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레일의 안쪽에는 상기 제1톱니와 맞물리는 제2톱니가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더의 승강시 상기 탄성돌기는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제1톱니와 제2톱니가 맞물려 상기 슬라이더의 상하 이동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틈새 방지구.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의 둘레에는 단턱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단턱홈에 걸려 지지되며,
    상기 제2하우징의 전면에는 관통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에는 상기 관통돌기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돌기에는 나사가 관통하여 창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틈새 방지구.
KR1020190063749A 2019-05-30 2019-05-30 창호용 틈새 방지구 KR102276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749A KR102276872B1 (ko) 2019-05-30 2019-05-30 창호용 틈새 방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749A KR102276872B1 (ko) 2019-05-30 2019-05-30 창호용 틈새 방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415A KR20200137415A (ko) 2020-12-09
KR102276872B1 true KR102276872B1 (ko) 2021-07-14

Family

ID=73786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749A KR102276872B1 (ko) 2019-05-30 2019-05-30 창호용 틈새 방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68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6769B1 (ko) 2022-05-16 2023-09-08 유홍 창호용 회전 밀착 풍지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967Y1 (ko) * 2000-11-01 2001-05-15 주식회사엘지화학 방풍틀 개공부 마감재
KR101798202B1 (ko) * 2017-06-02 2017-11-15 주식회사 효성금속 레일과의 이격 공간을 차단하는 차단 장치가 장착된 미닫이 창문
KR101789740B1 (ko) * 2016-12-29 2017-11-20 장순미 창문이탈 방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8283B1 (ko) 2015-12-08 2017-09-13 주식회사 제스트 미닫이 창호의 틈새 방지부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967Y1 (ko) * 2000-11-01 2001-05-15 주식회사엘지화학 방풍틀 개공부 마감재
KR101789740B1 (ko) * 2016-12-29 2017-11-20 장순미 창문이탈 방지 장치
KR101798202B1 (ko) * 2017-06-02 2017-11-15 주식회사 효성금속 레일과의 이격 공간을 차단하는 차단 장치가 장착된 미닫이 창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415A (ko) 202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8283B1 (ko) 미닫이 창호의 틈새 방지부재
KR102032324B1 (ko)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
WO2016000498A1 (zh) 一种门窗
KR102276872B1 (ko) 창호용 틈새 방지구
KR102178628B1 (ko) 기밀 유지 및 강도가 보강되는 창틀
KR101775997B1 (ko) 창호의 추락방지용 가이드 장치
KR20180015197A (ko) 창문 개폐 정도에 따라 기밀성이 조절되는 창호 구조체
KR101318590B1 (ko) 도어용 오토시일 어셈블리
JP2022535338A (ja) 建具の召合せ框の気密維持装置
KR101390690B1 (ko) 창호의 틈새 밀폐구
KR101426711B1 (ko) 창호용 기밀 보강유닛
KR102265338B1 (ko) 창문기밀용 브래킷
KR101789740B1 (ko) 창문이탈 방지 장치
KR20110047867A (ko) 이탈방지용 샷시문
KR101694490B1 (ko) 단열 및 방풍성이 향상된 창호
KR101819888B1 (ko) 창문과 창틀의 기밀결합구조
KR101830910B1 (ko) 방충망 이탈 방지장치
JP6647927B2 (ja) 建具
KR101055632B1 (ko) 창문 연결 장치
KR102579851B1 (ko) 창호의 방풍 기능 향상을 위한 차폐기구와 미닫이 타입의 창문
JP2016069936A (ja) 換気装置付き建具
KR200160818Y1 (ko) 창문샷시용 방풍 가이드
KR101464606B1 (ko) 창호의 승강식 기밀장치
KR102308815B1 (ko) 다중 기밀구조를 가진 창호 어셈블리
JPH09250281A (ja) 窓枠用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