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2324B1 -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2324B1
KR102032324B1 KR1020170152659A KR20170152659A KR102032324B1 KR 102032324 B1 KR102032324 B1 KR 102032324B1 KR 1020170152659 A KR1020170152659 A KR 1020170152659A KR 20170152659 A KR20170152659 A KR 20170152659A KR 102032324 B1 KR102032324 B1 KR 102032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oor
sliding
sliding door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2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5668A (ko
Inventor
엄익철
권남기
Original Assignee
(주)벽두도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벽두도어 filed Critical (주)벽두도어
Priority to KR1020170152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2324B1/ko
Publication of KR20190055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5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4Sealing arrangements between the door or window and its frame, e.g. intumescent seal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7Devices blocking doors or windows inside its frame in case of f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슬라이딩 도어의 이동에 의해 출입구를 개폐하는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에 있어서, 대략 직사각형의 구조물을 형성하도록,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상단프레임,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하단프레임, 전단에 높이방향으로 형성된 전단프레임, 후단에 높이방향으로 형성된 후단 프레임을 포함하여, 직사각 형상의 구조물을 형성하는 외곽 프레임부; 상기 외곽 프레임부의 후단쪽에 부착되어 상기 외곽 프레임부의 전단쪽에 대략 직사각 형태의 출입구가 형성되도록 하는 고정도어; 상기 상단프레임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레일; 및 상기 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부를 상측에 구비하여 상기 롤러부에 의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도어는, 하측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하단실링솔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화재 발생시 상기 슬라이딩도어와 상기 하단프레임 사이로 연기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하단실링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을 제공하여, 하단실링부재의 하단실링솔이 평상시에는 하단프레임에 닿지 않아 슬라이딩도어가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화재발생시에는 상기 하단실링솔이 상기 하단프레임에 밀착되어 연기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Sliding Type Fire Door}
본 발명은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시에 슬라이딩도어와 프레임 사이로 연기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문은 주택, 아파트, 공장, 사무실 등에 있어서, 화재가 이면으로 번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되는 현관 출입문 또는 비상문의 구조물을 말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방화문의 차폐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방화문이 개발되고 있으나,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389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의 방화문이 여닫이 방식으로 제작되고 있다.
한편, 방화문은 화재시 연기와 화염이 인접실로 확산하는 것을 방지하여 인명 안전 및 재산보호에 매우 큰 역할을 담당하는 방화설비이기 때문에, 언제나 닫힌 상태를 유지하거나 화재로 인한 연기의 발생 또는 온도 상승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닫히는 구조가 되도록 관련법에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사람들의 출입이 잦은 건물의 출입구 등과 같은 통로에도 방화문이 항상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하는 것은 매우 불편하므로, 통상적으로 건물의 통로에는 화재로 인한 연기의 발생이나 온도의 상승이 있을 때에만 자동으로 통로를 폐쇄하는 형태로 설치되는데, 이러한 형태의 설치에 있어서는 여닫이 방식방화문의 경우 자동화에 어려움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어,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 이슈가 되고 잇는 IoT와 연계한 방화문과 관련하여서도 그 작동의 자동화를 위해서는 여닫이 방식의 방화문보다는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이 많은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반면,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의 경우, 그 구조적 특성상 여닫이 방식에 비하여 연기의 이동을 차단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3893호 (2011.07.2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재 발생시에 연기의 차단기능이 강화된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은, 슬라이딩 도어의 이동에 의해 출입구를 개폐하는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으로서, 대략 직사각형의 구조물을 형성하도록,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상단프레임,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하단프레임, 전단에 높이방향으로 형성된 전단프레임, 후단에 높이방향으로 형성된 후단 프레임을 포함하여, 직사각 형상의 구조물을 형성하는 외곽 프레임부; 상기 외곽 프레임부의 후단쪽에 부착되어 상기 외곽 프레임부의 전단쪽에 대략 직사각 형태의 출입구가 형성되도록 하는 고정도어; 상기 상단프레임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레일; 및 상기 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부를 상측에 구비하여 상기 롤러부에 의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도어는, 하측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하단실링솔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화재 발생시 상기 슬라이딩도어와 상기 하단프레임 사이로 연기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하단실링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에서, 상기 하단실링부재는 'ㅈ'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에서, 상기 하단프레임은, 절곡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하부홈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하단에는 상기 하부홈에 삽입되도록 하측으로 돌출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돌출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단실링부재는 상기 돌출 가이드부의 폭방향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에서, 상기 하단실링부재는, 연질 합성수지재로 구비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하단실링솔의 하단이 상기 하단프레임의 상면에 접촉되지 않고, 일측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양측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하단실링솔의 하단이 상기 하단프레임의 상면에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에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는, 상기 하부홈의 측면에 접촉하여 슬라이딩 이동을 원활하도록 상기 돌출 가이드부의 폭방향 양측에 적어도 한 쌍의 하단롤러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에서, 상기 외곽프레임부는, 상기 고정도어의 전단에 대응되는 위치의 폭방향 일측에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고정도어를 향해 연장 형성된 제1채널기초부 및 상기 제1채널기초부와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1채널경사부를 구비하는 제1걸림채널을 구비하는 중앙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도어는, 상기 제1걸림채널와 대칭되도록 전단부에 상기 중앙프레임을 향해 연장 형성된 제2채널기초부 및 상기 제2채널기초부와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2채널경사부를 구비하도록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걸림채널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딩도어는, 상기 중앙프레임과 상기 고정도어 사이로 슬라이동 이동하며, 길이방향 후단에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3채널기초부 및 상기 제1,2채널경사부에 맞닿도록 상기 제3채널기초부와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제3채널경사부를 포함하는 제3걸림채널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에서, 상기 슬라이딩도어는, 상기 제3채널기초부의 폭방향 양단 전면(前面)에 높이방향을 따라 단면이 'D'형상인 탄성체로 형성된 한 쌍의 후단실링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에서, 상기 전단프레임은,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전단이 삽입되는 전단홈 및 상기 전단홈의 양측 코너에 높이방향을 따라 탄성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전단실링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에서, 상기 슬라이딩도어는, 전단 중앙부위에 높이방향을 따라 탄성체로 형성되는 제2전단실링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에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는, 상부에 상기 롤러부가 부착되도록 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폭방향 일측단 또는 양측단에서 하방을 향해 절곡된 제1절곡부를 구비하는 롤러부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상단프레임은, 하측에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상단 일부가 삽입되는 상단삽입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상단삽입부의 폭방향 일측에는 상방을 향해 절곡된 제2절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딩 도어는, 폭방향 일측으로 휘어져 형성된 상단실링솔을 구비하고, 상기 제2절곡부의 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화재 발생시 상기 롤러부착부재와 상기 상단프레임 사이로 연기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상단실링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단실링부재의 하단실링솔이 평상시에는 하단프레임에 닿지 않아 슬라이딩도어가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화재발생시에는 상기 하단실링솔이 상기 하단프레임(1130)에 밀착되어 연기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단실링부재 뿐만 아니라, 상단실링부재, 후단실링부재, 및 제1,2전단실링부재를 구비하여, 화재발생시에 슬라이딩도어와 외곽프레임부 사이로 연기가 이동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의 일부절개 측면도.
도 3은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하단프레임과 슬라이딩 도어의 하부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5는 화재발생시에 하단실링솔이 하단프레임에 밀착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6은 도 1의 B-B'에 따른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실시예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100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방향을 정의하면, 도면상에 표시된 x, y, 및 z는 각각 길이방향, 폭방향 및 높이 방향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길이방향 및 폭방향은 수평면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으며, 높이방향은 수평면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길이방향은 도 1의 후단프레임(1120)으로부터 전단프레임(1110)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전단프레임(1110)으로부터 후단프레임(1120)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고, 폭방향은 슬라이딩도어(1400)의 일면으로부터 타면을 향하는 방향 또는 타면으로부터 일면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으며, 높이방향은 하단프레임(1130)으로부터 상단프레임(1140)을 향하는 방향 또는 상단프레임(1140)으로부터 하단프레임(1130)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아울러, 전방이라 함은 외곽 프레임부(1100)의 중앙을 기준으로 전단프레임(1110)을 향하는 방향, 후방이라 함은 외곽프레임부(1100)의 중앙을 기준으로 후단프레임(1120)을 향하는 방향, 하방이라 함은 외곽프레임부(1100)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단프레임(1130)을 향하는 방향, 상방이라 함은 외곽프레임부(1100)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단프레임(1130)을 향하는 방향을 각각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의 일부절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1000)은 슬라이딩 도어(1400)의 이동에 의해 출입구를 개폐하는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1000)일 수 있으며, 직사각 형상의 구조물을 형성하는 외곽 프레임부(1100), 상기 외곽프레임부의 후단쪽에 부착되어 상기 외곽프레임부의 전단쪽에 출입구(E)가 형성되도록 하는 고정도어(1200), 상기 상단프레임(1140) 내측에 구비되는 레일(1300), 및 상기 출입구(E)를 개폐하는 슬라이딩 도어(1400)를 포함할 수 있다.
외곽 프레임부(1100)는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단프레임(1140),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하단프레임(1130), 전단에 높이방향으로 형성된 전단프레임(1110), 및 후단에 높이방향으로 형성된 후단프레임(11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전단프레임(1110) 및 후단프레임(1120)은 길이방향과 수직한 단면 형상이 일정한 채널(Channel)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단프레임(1130) 및 상단프레임(1140)은 높이방향과 수직한 단면 형상이 일정한 채널(Channel)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도어(1200)는 후단이 상기 후단프레임(1120)에 부착되고, 하단은 상기 하단프레임(1130)에 부착되며, 상단은 상기 상단프레임(1140)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도어(1200)는 전단이 상기 전단프레임(1110)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고정도어(1200)는 상기 외곽 프레임부(1100)의 전단 쪽에 대략 직사각 형태의 출입구(E)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고정도어(1200)는 상기 외곽 프레임부(1100)의 후단쪽에 부착되어, 상기 외곽 프레임부(1100)의 전단쪽에 상기 출입구(E)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레일(1300)은 상기 상단프레임(1140)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레일(1300)은 상기 전단프레임(1110)과 상기 후단프레임(1120)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레일(1300)은 슬라이딩 도어(1400)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슬라이딩 도어(1400)는 대략 직사각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출입구(E)를 개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슬라이딩 도어(1400)는 상기 레일(1300)에 안착되어 상기 레일(1300)을 따라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부(1410)를 상측에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하단프레임(1130)과 슬라이딩 도어(1400)의 하부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 도어(1400)는 하단에 하측으로 돌출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돌출 가이드부(142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 가이드부(1420)의 폭방향 양측에는 하단 단차부(143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단프레임(1130)은 절곡에 의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하부홈(1131)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돌출 가이드부(142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부홈(1131)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슬라이딩 도어(1400)가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 도어(1400)는, 상기 돌출 가이드부(1420)의 폭방향 양측에 적어도 한 쌍의 하단롤러부재(144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하단롤러부재(1440)는 상기 하부홈(1131)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슬라이딩 이동이 원활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슬라이딩 도어(1400)는, 상기 하단 단차부(1430)에 부착되어 화재 발생시 상기 슬라이딩 도어(1400)와 상기 하단프레임(1130) 사이로 연기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 하단실링부재(145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단실링부재(1450)는 상기 돌출 가이드부(1420)의 폭방향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에, 상기 하단실링부재(1450)는 상기 하단 단차부(1430)에 상면이 부착되는 부착부(1452), 및 상호 대칭되도록 하측방으로 경사지게 각각 형성된 한 쌍의 하단실링솔(1451)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단실링부재(1450)은 길이방향과 수직한 단면 형상이 'ㅈ'자 형상일 수 있다.
이때에, 상기 하단실링솔(1451)은 상기 하단프레임(1130)의 상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말해서, 상기 하단실링솔(1451)과 상기 하단프레임(1130)의 상면 사이에 소정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슬라이딩 도어(1400)가 슬라이딩 이동할때에, 상기 하단실링솔(1451)과 상기 하단프레임(1130)의 접촉에 의한 마찰을 방지하여, 상기 슬라이딩 도어(1400)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단실링부재(1450)는 연질 합성수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1000)의 일측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상기 하단실링솔(1451)이 상기 하단프레임(1130)의 상면에 밀착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발새엥 따른 연기가 상기 슬라이딩 도어(1400)와 상기 하단프레임(1130) 사이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화재발생시에 하단실링솔(1451)이 하단프레임(1130)에 밀착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100)의 일측에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화재가 발생한 일측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온도 상승에 따라 압력도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한 일측과 타측 간의 압력차이가 생김에 따라, 이 압력차에 의해, 상기 하단실링솔(1451)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밀리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하단실링솔(1451)의 하단이 상기 하단프레임(1130)의 상면에 밀착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하단실링솔(1451)의 하단은 평상시에는 상기 하단프레임(1130)의 상면과 접촉되지 않아, 상기 슬라이딩 도어(1400)가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화재발생시에는 상기 하단실링솔(1451)이 상기 하단프레임(1130)의 상면에 밀착되어, 화재 발생에 따른 연기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 도어(1400)는 상부에 상기 롤러부(1410)가 부착되도록 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롤러부착부재(146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에 상기 롤러부착부재(1460)는 폭방향 일측단 또는 양측단에서 하방을 향해 절곡된 제1절곡부(146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에, 상기 제1절곡부(1461)은 헤밍(hemming) 가공에 의해 마감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상단프레임(1140)은 하측에 상기 슬라이딩 도어(1400)의 상단 일부가 삽입되는 상단삽입부(114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삽입부(1141)의 폭방향 일측에는 상방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된 제2절곡부(114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에, 상기 제2절곡부(1142)는 헤밍(hemming) 가공에 의해 마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도어(1400)는 상기 제2절곡부(1142)의 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화재 발생시 상기 롤러부착부재(1460)와 상기 상단프레임(1140) 사이로 연기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상단실링부재(147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단실링부재(1470)는 상기 제2절곡부(1142)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실링삽입부(1472) 및 폭방향 일측으로 휘어져 형성된 상단실링솔(1471)을 구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화재 발생시에 상기 롤러부착부재(1460)와 상기 상단 프레임(1140) 사이로 연기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외곽프레임부(1100)는 상기 고정도어(1200)의 전단에 대응되는 위치의 폭방향 일측에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중앙프레임(1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에, 상기 중앙프레임(1150)은 상기 고정도어(1200)를 향해 연장 형성된 채1채널기초부(1151a) 및 상기 제1채널기초부(1151a)와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1채널경사부(1151b)를 구비하는 제1걸림채널(115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도어(1200)는, 상기 제1걸림채널(1151)과 대칭되도록 형성된 제2걸림채널(1210)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걸림채널(1210)은 상기 중앙프레임(1150)을 향해 연장 형성된 제2채널기초부(1211) 및 상기 제2채널기초부(1211)와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2채널경사부(1212)를 구비하도록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도어(1400)는 길이방향 후단에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3걸림채널(148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에, 상기 제3걸림채널(1480)은 폭방향 양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딘 제3채널기초부(1481) 및 상기 제3채널기초부(1481)와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폭방향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된 한 쌍의 제3채널경사부(148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에, 상기 제1채널기초부(1151a)와 상기 제1채널경사(1151b), 상기 제2채널기초부(1211)와 상기 제2채널경사부(1212), 상기 제3채널기초부(1481)와 상기 제3채널경사부(1482) 사이의 경사각은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1400)는 상기 중앙프레임(1150)과 상기 고정도어(1200) 사이, 즉 상기 제1걸림채널(1151)과 상기 제2걸림채널(1210) 사이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도어(1400)가 상기 출입구(E)를 폐쇄하였을 때에는 상기 한 쌍의 제3채널경사부(1482)는 각각 제1채널경사부(1151b) 및 제2채널경사부(1212)와 맞닿을 수 있다.
이때에, 상기 슬라이딩 도어(1400)는 상기 제3채널기초부(1481)의 폭방향 양단의 전면(前面)에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후단실링부재(149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후단실링부재(1491)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탄성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연질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한 쌍의 후단실링부재(1491)는 높이방향과 수직인 단면 형상이 "D"형상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후단실링부재(1491)는 화재발생시에 상기 슬라이딩 도어(1400)가 상기 출입구(E)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제1,2걸림채널(1151, 1210)과 상기 제3걸림채널(1480) 사이로 연기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전단프레임(1110)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1400)의 전단이 삽입되는 전단홈(1111)을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1400)가 상기 출입구(E)를 폐새할 때에 상기 슬라이딩도어(1400)의 전단은 상기 전단홈(1111)에 삽입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단프레임(1110)은 상기 전단홈(1111)의 폭방향 양측 코너에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제1전단실링부재(111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에, 상기 제1전단실링부재(1112)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탄성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연질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제1전단실링부재(1112)는 화재 발생시에 상기 전단프레임(1110)과 상기 슬라이딩도어(1400) 사이로 연기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슬라이딩도어(1400)는 전단 중앙부위에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전단실링부재(149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전단실링부재(1492) 또한 마찬가지로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탄성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연질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전단실링부재(1492)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제1전단실링부재(1112)와 3중의 실링구조를 형성하여, 화재발생시 상기 전단프레임(1110)과 상기 슬라이딩도어(1400) 사이의 연기이동을 방지함에 있어서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1000)은 하단실링부재(1450)의 하단실링솔(1451)이 평상시에는 하단프레임(1130)에 닿지 않아 슬라이딩도어(1400)가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화재발생시에는 상기 하단실링솔(1451)이 상기 하단프레임(1130)에 밀착되어 연기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1000)은 하단실링부재(1450) 뿐만 아니라, 상단실링부재(1470), 후단실링부재(1491), 및 제1,2전단실링부재(1112, 1492)를 구비하여, 화재발생시에 슬라이딩도어(1400)와 외곽프레임부(1100) 사이로 연기가 이동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
1100: 외곽프레임부 1110: 전단프레임
1111: 전단홈 1112: 제1전단실링부재
1120: 후단프레임 1130: 하단프레임
1131: 하부홈 1140: 상단프레임
1141: 상단삽입부 1142: 제2절곡부
1150: 중앙프레임 1151: 제1걸림채널
1151a: 제1채널기초부 1151b: 제1채널경사부
1200: 고정도어 1210: 제2걸림채널
1211: 제2채널기초부 1212: 제2채널경사부
1300: 레일 1400: 슬라이딩도어
1410: 롤러부 1420: 돌출가이드부
1430: 하단 단차부 1440: 하단롤러부재
1450: 하단실링부재 1451: 하단실링솔
1452: 부착부 1460: 롤러부착부재
1461: 제1절곡부 1470: 상단실링부재
1471: 상단실링솔 1472: 실링삽입부
1480: 제3걸림채널 1481: 제3채널기초부
1482: 제3채널경사부 1491: 후단실링부재
1492: 제2전단실링부재

Claims (10)

  1. 슬라이딩 도어의 이동에 의해 출입구를 개폐하는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에 있어서,
    대략 직사각형의 구조물을 형성하도록,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상단프레임,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하단프레임, 전단에 높이방향으로 형성된 전단프레임, 후단에 높이방향으로 형성된 후단 프레임을 포함하여, 직사각 형상의 구조물을 형성하는 외곽 프레임부;
    상기 외곽 프레임부의 후단쪽에 부착되어 상기 외곽 프레임부의 전단쪽에 대략 직사각 형태의 출입구가 형성되도록 하는 고정도어;
    상기 상단프레임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레일; 및
    상기 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부를 상측에 구비하여 상기 롤러부에 의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도어는,
    하측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하단실링솔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화재 발생시 상기 슬라이딩도어와 상기 하단프레임 사이로 연기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하단실링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하단실링부재는 'ㅈ'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하단프레임은, 절곡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하부홈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하단에는 상기 하부홈에 삽입되도록 하측으로 돌출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돌출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단실링부재는 상기 돌출 가이드부의 폭방향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하단실링부재는, 연질 합성수지재로 구비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하단실링솔의 하단이 상기 하단프레임의 상면에 접촉되지 않고, 일측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양측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하단실링솔의 하단이 상기 하단프레임의 상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는, 상기 하부홈의 측면에 접촉하여 슬라이딩 이동을 원활하도록 상기 돌출 가이드부의 폭방향 양측에 적어도 한 쌍의 하단롤러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프레임부는, 상기 고정도어의 전단에 대응되는 위치의 폭방향 일측에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고정도어를 향해 연장 형성된 제1채널기초부 및 상기 제1채널기초부와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1채널경사부를 구비하는 제1걸림채널을 구비하는 중앙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도어는, 상기 제1걸림채널와 대칭되도록 전단부에 상기 중앙프레임을 향해 연장 형성된 제2채널기초부 및 상기 제2채널기초부와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2채널경사부를 구비하도록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걸림채널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딩도어는, 상기 중앙프레임과 상기 고정도어 사이로 슬라이동 이동하며, 길이방향 후단에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3채널기초부 및 상기 제1,2채널경사부에 맞닿도록 상기 제3채널기초부와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제3채널경사부를 포함하는 제3걸림채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도어는, 상기 제3채널기초부의 폭방향 양단 전면(前面)에 높이방향을 따라 단면이 'D'형상인 탄성체로 형성된 한 쌍의 후단실링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프레임은,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전단이 삽입되는 전단홈 및 상기 전단홈의 양측 코너에 높이방향을 따라 탄성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전단실링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도어는, 전단 중앙부위에 높이방향을 따라 탄성체로 형성되는 제2전단실링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는, 상부에 상기 롤러부가 부착되도록 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폭방향 일측단 또는 양측단에서 하방을 향해 절곡된 제1절곡부를 구비하는 롤러부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상단프레임은, 하측에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상단 일부가 삽입되는 상단삽입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상단삽입부의 폭방향 일측에는 상방을 향해 절곡된 제2절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딩 도어는, 폭방향 일측으로 휘어져 형성된 상단실링솔을 구비하고, 상기 제2절곡부의 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화재 발생시 상기 롤러부착부재와 상기 상단프레임 사이로 연기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상단실링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
KR1020170152659A 2017-11-15 2017-11-15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 KR102032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659A KR102032324B1 (ko) 2017-11-15 2017-11-15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659A KR102032324B1 (ko) 2017-11-15 2017-11-15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668A KR20190055668A (ko) 2019-05-23
KR102032324B1 true KR102032324B1 (ko) 2019-10-15

Family

ID=66681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2659A KR102032324B1 (ko) 2017-11-15 2017-11-15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23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77425A (zh) * 2020-06-17 2020-09-18 宋艳艳 一种消防用自动防火门
KR102299403B1 (ko) * 2020-12-21 2021-09-06 이영일 방화 기능을 구비한 풀 오픈 도어 및 이의 제어 시스템
KR102604011B1 (ko) * 2022-09-28 2023-11-22 주식회사 창신자동문 밀폐 기능이 향상된 미닫이 도어
KR102609687B1 (ko) * 2022-09-30 2023-12-05 주식회사 창신자동문 포켓구조 형식을 갖는 미닫이 도어
KR102549727B1 (ko) * 2023-03-17 2023-06-30 주식회사 우리도어 화염 및 열차단 구조가 구비된 방화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7705B2 (ja) * 1997-08-20 2000-07-24 日本電気株式会社 走査型電子顕微鏡
JP2006167401A (ja) * 2004-12-10 2006-06-29 Howa:Kk 防火戸開閉システムの変更方法
JP2014211038A (ja) * 2013-04-18 2014-11-13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引戸装置
KR101643857B1 (ko) * 2016-04-01 2016-07-28 (주)삼신엔지니어링 차연구조를 갖는 승강기의 승강장 도어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7705U (ja) * 1999-09-27 2000-04-11 阿部興業株式会社 防火引戸
KR101086709B1 (ko) 2010-01-15 2011-11-24 김도웅 방화문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7705B2 (ja) * 1997-08-20 2000-07-24 日本電気株式会社 走査型電子顕微鏡
JP2006167401A (ja) * 2004-12-10 2006-06-29 Howa:Kk 防火戸開閉システムの変更方法
JP2014211038A (ja) * 2013-04-18 2014-11-13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引戸装置
KR101643857B1 (ko) * 2016-04-01 2016-07-28 (주)삼신엔지니어링 차연구조를 갖는 승강기의 승강장 도어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668A (ko) 2019-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2324B1 (ko)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
US5996283A (en) Housing assembly for installation in a window frame
KR101775997B1 (ko) 창호의 추락방지용 가이드 장치
KR200478715Y1 (ko) 미닫이식 창호시스템
JP2014214465A (ja) サッシ
KR101869411B1 (ko) 슬라이딩 창호
JP6711733B2 (ja) 防火サッシ
KR101671929B1 (ko) 문틀의 측벽용 모헤어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미닫이 창호
KR101236524B1 (ko) 접이문
KR20100104101A (ko) 이탈방지기능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방화 도어
KR102276872B1 (ko) 창호용 틈새 방지구
KR102346373B1 (ko) 먼지 소음 유입 및 먼지 증적 차단용 창호
KR101618580B1 (ko) 안전창호
KR101866989B1 (ko) 건축용 안전 창문틀
KR20180042990A (ko) 미닫이식 루버셔터
JP6647927B2 (ja) 建具
KR101244871B1 (ko) 연동 미닫이문
KR102034572B1 (ko) 슬라이딩 개폐방식의 창호가 설치된 문틀의 원활한 배수 및 외풍방지를 위한 조립구조
JP6919003B2 (ja) サッシ
JP4069423B2 (ja) 下枠フラットサッシの下枠構造
JP6423299B2 (ja) 網戸付きサッシ
KR102092632B1 (ko) 슬라이딩 도어시스템의 문틀용 하부프레임
KR102385394B1 (ko) 완벽한 이물질 유입 차단 성능을 갖는 레일 은폐식 창호시스템
KR102558130B1 (ko) 창호 일체형 유리난간
JP7032984B2 (ja) 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