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3857B1 - 차연구조를 갖는 승강기의 승강장 도어 유닛 - Google Patents

차연구조를 갖는 승강기의 승강장 도어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3857B1
KR101643857B1 KR1020160040019A KR20160040019A KR101643857B1 KR 101643857 B1 KR101643857 B1 KR 101643857B1 KR 1020160040019 A KR1020160040019 A KR 1020160040019A KR 20160040019 A KR20160040019 A KR 20160040019A KR 101643857 B1 KR101643857 B1 KR 101643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ing
elevator
thermal expansion
door
expans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0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광호
Original Assignee
(주)삼신엔지니어링
한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신엔지니어링, 한광호 filed Critical (주)삼신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60040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8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065Physical fire-barriers having as the main closure device materials, whose characteristics undergo an irreversible change under high temperatures, e.g. intumesc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8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ar or cage and w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8Details of seals and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시 연기의 차단이 가능한 승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시 승강장 도어의 작동에 간섭받지 않게 하면서도, 화재가 발생시 열에 의한 팽창으로 승강장 도어와 문틀과의 사이 간극을 완벽하게 차단하여 승강장과 승강기 샤프트간의 연기의 소통이 차단되게 하는 등 화재시 승강기 샤프트를 통한 연기의 확산을 차단하며, 특히 평상시에는 승강장 도어의 개폐에 간섭받지 않으면서 꼭 필요한 화재시에만 작동하여 차연이 가능하게 하는 등 안정적인 차연성능의 발휘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차연구조를 갖는 승강기의 승강장 도어 유닛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연구조를 갖는 승강기의 승강장 도어 유닛{Platform door unit of elevator with smoke blocking structure}
본 발명은 화재시 연기의 차단이 가능한 승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층 건물에서 화재시 승강기 운행통로를 통해 이동하는 연기가 승강기 승강장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재시 연기로 인한 2차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차연구조를 갖는 승강기의 승강장 도어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 발생시 직접적인 1차 피해는 화염으로 인해 발생하며 2차적인 피해로 연기 등 유독가스에 의한 피해가 발생한다.
이러한 화제로 인하여 발생하는 연기의 독성은 연소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우레아폼 등의 연소로 발생하는 독성가스는 농도에 따라 두,세번의 호흡으로도 혼수상태에 빠질수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화재로 인해 발생하는 연기의 량은 수분에서 수십분 이내에 탈출이 불가능 할 정도로 많은량이 발생되여 순식간에 건물전체로 확산되며, 불로 인해 사망하는 경우보다 연기로 인한 질식사나 독성가스 호흡으로 인한 사망이 휠씬더 많은 것은 화재시 연기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것을 증명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화재 발생시에 진화작업을 하는 인원을 제외하고는 신속하게 건물 밖으로 탈출 하여야 한다.시간을 지체하다보면 연기에 막혀서 탈출이 불가능 할수도 있기 때문이다.
특히 고층 건물의 경우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연기가 급속도로 확산되게 되는데, 이는 빌딩 내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로 인한 연기 및 유독 가스가 승강장 도어 내의 간극을 통해 승강기의 샤프트로 진입 및 승강장으로 유출되어 다른 층으로 퍼질수 있어서 주자를 위험에 노출시키게 되며 이러한 승강기 샤프트의 경우 연돌효과에 의해 연기가 더욱 빠르게 확산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승강장에 설치되는 승강장 도어는 승강장 도어와 승강장 문틀과의 간극을 통해 연기의 소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승강기 샤프트를 통해 유출되는 연기가 각층의 승강장으로 쉽게 유출되는 등 이에 따른 유독가스로 인한 대피로의 차단 및 인명의 피해가 확대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허출원등록 제10-0854097호와 같이 승강도어에 차연필름을 두되, 그 차연필름이 출입구의 출입구홈에 탄력 밀착되는 구조를 가지게 함으로 승강장과 승강기 샤프트간의 차연이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연구조는, 차연필름이 출입구 씰홈에 밀착된 상태로 승강도어의 개폐가 반복 수행되는 것인바, 이러한 승강도어의 반복된 개폐과정에서 차연필름의 탄력성의 저하 및 그 차연필름과 출입구 씰홈과의 마찰에 의한 소음 및 마모가 발생하는 등 이에따른 틈새 발생으로 실질적인 화재 발생시 차연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6601호. 대한민국특허출원등록 제10-085409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평상시 승강장 도어의 작동에 간섭받지 않게 하면서도, 화재가 발생시 열에 의한 팽창으로 승강장 도어와 문틀과의 사이 간극을 완벽하게 차단하여 승강장과 승강기 샤프트간의 연기의 소통이 차단되게 하는 등 화재시 승강기 샤프트를 통한 연기의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차연구조를 갖는 승강기의 승강장 도어 유닛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평상시에는 승강장 도어의 개폐에 간섭받지 않으면서 꼭 필요한 화재시에만 작동하여 차연이 가능하게 하는 등 안정적인 차연성능의 발휘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차연구조를 갖는 승강기의 승강장 도어 유닛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승강장의 출입구 양측 및 상부에 형성되는 문틀;
승강장과 승강기 샤프트의 개방을 단속하는 승강장 도어; 및
승강장의 출입구 바닥에 설치되어 승강장 도어의 가이드슈가 내재되어 승강장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도어씰로 구성하되,
상기 문틀에는,
그 양측과 상부를 승강기 샤프트를 향하게 후방으로 연장 형성하여 각각 측면 가스켓을 갖는 측면 지지부와 상부 열팽창부재를 갖는 상부 지지부를 이루게 구성하며,
승강장 도어에는,
양측에, 승강장 도어가 닫힘시 측면 가스켓과 밀착력을 가지는 측면차단 브라켓을 각각 형성하고,
상부에, 상기 상부 열팽창부재와 반응하는 상부차단 브라켓을 형성하며,
하단에는, 승강장의 바닥에 형성되는 도어씰과 이격되도록 하부 열팽창부재가 형성되게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차연구조를 갖는 승강기의 승강장 도어 유닛은, 승강장 문틀과 승강장 도어의 사이에 열이 가해질시 팽창되는 열팽창성 부재가 형성되어 있어, 화재 발생시 열기에 의해 열팽창성 부재가 팽창 되어 문틀과 승강장 도어와의 간극이 효과적으로 차단되는 등 승강기 샤프트를 통한 연기의 확산이 방지되며, 이에 따른 화재시 대피로의 용이한 확보 및 연기로 인한 인명의 피해가 최소화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승강장 도어 유닛은, 평상시에는 상,하부 열팽창부재가 도어의 개폐시 간섭받지 않아 마찰소음 및 마모없이 부드럽게 동작되는 한편 화재시에만 그 상,하부 열팽창부재가 팽창 작용하여 간극을 폐쇄하게 되는 등 화재시 항시 안정적인 차연성능의 발휘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차연구조를 갖는 승강기의 승강장 도어 유닛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차연구조를 갖는 승강기의 승강장 도어 유닛의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차연구조를 갖는 승강기의 승강장 도어 유닛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차연구조를 갖는 승강기의 승강장 도어 유닛의 도어 닫힘부 요부도.
도 5는 본 발명 차연구조를 갖는 승강기의 승강장 도어 유닛의 측면 요부도.
도 6은 본 발명 차연구조를 갖는 승강기의 승강장 도어 유닛의 상부 요부도.
도 7은 본 발명 차연구조를 갖는 승강기의 승강장 도어 유닛의 하부 요부도.
도 8은 본 발명 차연구조를 갖는 승강기의 승강장 도어 유닛의 중앙 차연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차연구조를 갖는 승강기의 승강장 도어 유닛의 측면 차연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 차연구조를 갖는 승강기의 승강장 도어 유닛의 상부 차연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 차연구조를 갖는 승강기의 승강장 도어 유닛의 하부 차연 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차연구조를 갖는 승강기의 승강장 도어 유닛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차연구조를 갖는 승강기의 승강장 도어 유닛의 평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차연구조를 갖는 승강기의 승강장 도어 유닛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차연구조를 갖는 승강기의 승강장 도어 유닛은, 승강장(10)의 출입구 양측 및 상부에 형성되는 문틀(100)과, 승강장(10)과 승강기 샤프트(20)의 개방을 단속하는 승강장 도어(200)(200')와, 승강장(10)의 출입구 바닥에 설치되어 승강장 도어(200)(200')의 가이드슈가 내재되어 승강장 도어(200)(200')의 개폐를 안내하는 도어씰(3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문틀(100)에는, 그 양측과 상부를 승강기 샤프트(20)를 향하도록 후방으로 돌출 형성하여 양측의 측면 지지부(110)(110')와 상부의 상부 지지부(120)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측면 지지부(110)(110')에는 측면 가스켓(115)(115')이 형성되고, 상부 지지부(120)에는 상부 열팽창부재(125)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측면 지지부(110)(110')는, 도 5를 참조하여 양측이 대칭되는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측면 지지부(110)(110')는 문틀(100)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승강기 샤프트(20)에 위치되도록 측면 돌출부(111)를 이루며, 그 측면 돌출부(111)의 단부에는 외측 즉, 양측 측면 지지부(110)(110')의 대항되는 반대측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측면 가압부(112)가 구성되며, 그 측면 가압부(112)의 단부에 상기 측면 가스켓(115)(115')이 각각 형성되게 구성된다.
이때 측면 지지부(110)(110') 및 측면 가스켓(115)(115')은, 문틀(100)의 전체 높이에 해당하게 구성됨은 당연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 지지부(120)는, 도 6를 참조하여 문틀(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문틀(100)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승강기 샤프트(20)에 위치되도록 상부 돌출부(121)를 이루며, 그 상부 돌출부(121)의 단부에는 상부를 향하도록 직각 절곡 형성되는 상부 가압부(122)가 구성되며, 그 상부 가압부(122)의 일측면 즉 승강장(10) 측에는 상부 열팽창부재(125)가 형성된다.
이때 상부 지지부(120)는, 문틀(100)의 좌,우 전체폭에 해당하게 구성됨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장 도어(200)(200')에는,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서로간의 대항면에 서로 반대 형태를 이루도록 결합홈(211)과 결합돌기(212)가 각각 형성된 것으로, 승강장 도어(200)(200')가 닫힘시 각각의 결합홈(211)과 결합돌기(212)이 형합되어 긴밀한 닫힘 및 밀착 폐쇄력이 부여되게 구성된다.
또한 승강장 도어(200)(200')에는, 도 5를 참조하여 양측에 승강장 도어(200)(200')가 닫힘시 상기 측면 가스켓(115)(115')과 반응하여 간극의 차단이 가능하도록 측면차단 브라켓(220)(220')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측면차단 브라켓(220)(220')은, 절곡된 판체 형태로 구성되며, 먼저 각각 승강장 도어(200)(200')의 양단에 고정되는 측면 고정편(221)을 이루고, 그 측면 고정편(221)으로부터 승강장(10) 측으로는 승강장 도어(200)(20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측면 가스켓(115)(115')이 수용되는 "ㄷ"형 가스켓 수용홈(222)이 형성되는 한편 측면 가스켓(115)(115')과 밀착력을 가지도록 측면 가스켓(115)(115')과 대항되는 측면 밀착부(223)를 이루게 구성된다.
이때 측면차단 브라켓(220)(220')은, 승강장 도어(200)(200')의 전체 높이에 해당하게 구성됨은 당연할 것이다.
즉, 측면차단 브라켓(220)(220')은, 승강장 도어(200)(200')가 닫히는 과정에서 측면 가스켓(115)(115')이 가스켓 수용홈(222)에 수용되는 한편 측면 밀착부(223)에 밀착되게 구성된다.
또한 승강장 도어(200)(200')에는, 도 6를 참조하여 상부에 상기 상부 열팽창부재(125)와 반응하는 상부차단 브라켓(230)이 형성된다.
이때 상부차단 브라켓(230)은, 절곡된 판체 형태로 구성되며, 먼저 승강장 도어(200)(200')의 상부 내측에서 승강장(10) 측에 고정되는 상부 고정부(231)가 구성되고, 그 상부 고정부(231)의 상단에는 승강장(10)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편 "ㄱ" 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상부 열팽창부재(125)가 수용되는 하부 개방형 "ㄷ" 형태의 열팽창부재 수용홈(232)을 이루는 한편, 화재시 상부 열팽창부재(125)가 밀착되는 상부 밀착부(233)를 이루게 구성된다.
이때 상부차단 브라켓(230)은, 승강장 도어(200)(200')의 좌,우 폭에 해당하게 구성됨은 당연할 것이다.
즉, 상부차단 브라켓(230)은, 평상시 도어(200)(200')가 개폐되는 과정에서는 상부 열팽창부재(125)가 열팽창부재 수용홈(232)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부 밀착부(233)와 간섭없이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승강장 도어(200)(200')에는, 도 7을 참조하여 그 하단에 승강장(10)의 출입구 바닥에 형성되는 도어씰(300)과 이격되도록 하부 열팽창부재(125')가 형성된다.
즉, 하부 열팽창부재(125')는, 도어씰(300)과 이격 형성된 것인바, 도어(200)(200')가 폐되는 과정에서는 그 도어씰(300)과 간섭없이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측면 가스켓(115)(115')을 구성함에 있어서는, 열에 잘 견딜수 있으며 가스켓 및 완충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하기 위한 부드러운 연질의 난연성 스펀지 고무재로 구성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때 난연성 고무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난연성 고무의 적용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상,하부 열팽창부재(125)(125')는, 내화학성 및 내열성에 강한 삼중합성고무재인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에 열을 가할시 팽창하는 발포제 성분이 혼합 구성된 것으로, 이때 상부 열팽창부재(125)는, 열이 가해져 팽창시 상부차단 브라켓(230)의 상부 밀착부(233)에 밀착되게 되며, 하부 열팽창부재(125')는, 팽창시 도어씰(300)과 밀착되는 구조를 이루게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차연구조를 갖는 승강기의 승강장 도어 유닛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차연구조를 갖는 승강기의 승강장 도어 유닛은, 승강기가 설치되는 고층 건축물의 실내측, 즉 승강기를 탑승하기 위한 승강장(10) 측에서 화재가 발생시 연기가 승강기 샤프트(20)로 유입되어 다른 층으로 신속하게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게 구성된다.
이에, 그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도 8의 도시와 같이 중앙에 대한 차연 상태를 살펴보면, 평상시 승강장 도어(200)(200')는 항시 닫혀있는 상태를 이루는 것인바, 그 승강장 도어(200)(200')가 닫히게 되면 각각의 승강장 도어(200)(200')의 대항면에 형성된 서로 반대 형태를 이루도록 결합홈(211)과 결합돌기(212)의 형합에 의해 긴밀한 닫힘 및 밀착 폐쇄력이 부여되게 구성된다.
즉, 상기와 같이 승강장 도어(200)(200')의 대항면의 긴밀한 밀착으로 중앙에 대한 차연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9의 도시와 같이 측면에 대한 차연 상태를 살펴보면, 평상시 승강장 도어(200)(200')는 항시 닫혀있는 상태를 이루는 것인바, 그 승강장 도어(200)(200')가 닫히게 되면 승강장 도어(200)(20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측면차단 브라켓(220)(220')에 형성되는 가스켓 수용홈(222)에는 측면 가스켓(115)(115')이 수용되는 한편 측면 밀착부(223)에 지지되게 되는 것으로, 이는 문틀(100)에 형성되는 측면 지지부(110)(110')의 측면 가압부(112)에 지지력이 부여되어 측면 가스켓(115)(115')을 측면차단 브라켓(220)(220')의 측면 밀착부(223)에 긴밀하게 밀착되게 한다.
즉, 상기와 같이 측면 가스켓(115)(115')이 측면차단 브라켓(220)(220')의 측면 밀착부(223)에 밀착되는 과정에서 승강장(10)과 승강기 샤프트(20)와의 간극이 차단되는 것인바, 양측에 대한 차연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0의 도시와 같이 상부에 대한 차연 상태를 살펴보면, 평상시 승강장 도어(200)(200')가 개폐되는 과정에서는 문틀(100)의 상부 가압부(122)에 형성되는 상부 열팽창부재(125)가 승강장 도어(200)(200')의 열팽창부재 수용홈(232)에 간섭없이 수용된 상태에서 승강장 도어(200)(200')의 개폐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화재로 인한 열기가 상부 열팽창부재(125)에 작용하여 그 상부 열팽창부재(125)가 열발포 및 팽창되게 되는 것인바, 이때 팽창되는 상부 열팽창부재(125)는 승강장 도어(200)(200')의 열팽창부재 수용홈(232) 내에서 상부 밀착부(233)에 밀착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상부 열팽창부재(125)가 상부 밀착부(233)에 밀착되는 과정에서 승강장(10)과 승강기 샤프트(20)와의 상부 간극이 차단되는 것인바, 상부에 대한 차연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1의 도시와 같이 하부에 대한 차연 상태를 살펴보면, 평상시 승강장 도어(200)(200')의 하단에 형성되는 하부 열팽창부재(125')는 도어씰(300)과 간섭이 없는 것인바 승강장 도어(200)(200')의 원활한 개폐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화재로 인한 열기가 하부 열팽창부재(125')에 작용하여 그 하부 열팽창부재(125')가 열발포 및 팽창되게 되는 것인바, 이때 팽창되는 하부 열팽창부재(125')는 도어씰(300)에 밀착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하부 열팽창부재(125')가 도어씰(300)에 밀착되는 과정에서 승강장(10)과 승강기 샤프트(20)와의 하부 간극이 차단되는 것인바, 하부에 대한 차연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차연구조를 갖는 승강기의 승강장 도어 유닛은, 평상시 승강장 도어와의 간섭이 없어 마찰소음 및 마모 없이 원활한 개폐가 가능하게 되는 한편, 화재가 발생시 측면 가스켓 및 상,하부 열팽창부재를 통해 승강장과 승강기 샤프트간의 간극이 완전 차단되는 것인바, 연기가 승강기 샤프트를 통해 다른층으로 빠르게 확산되는 것이 방지되게 되는 등 화재시 계단으로의 대피로가 확보되는 등 연기로 인한 2차 인명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10 : 승강장 20 : 승강기 샤프트
100 : 문틀 110,110' : 측면 지지부
111 : 측면 돌출부 112 : 측면 가압부
115,115' : 측면 가스켓 120 : 상부 지지부
121 : 상부 돌출부 122 : 상부 가압부
125 : 상부 열팽창부재 125' : 하부 열팽창부재
200,200' : 승강장 도어 211 : 결합홈
212 : 결합돌기 220,220' : 측면차단 브라켓
221 : 측면 고정편 222 : 가스켓 수용홈
223 : 측면 밀착부 230 : 상부차단 브라켓
231 : 상부 고정부 232 : 열팽창부재 수용홈
233 : 상부 밀착부 300 : 도어씰

Claims (3)

  1. 승강장(10)의 출입구 양측 및 상부에 형성되는 문틀(100);
    승강장(10)과 승강기 샤프트(20)의 개방을 단속하는 양측 대항되는 한 쌍의 승강장 도어(200)(200'); 및
    승강장(10)의 출입구 바닥에 설치되어 승강장 도어(200)(200')의 가이드슈가 내재되어 승강장 도어(200)(200')의 개폐를 안내하는 도어씰(300)로 구성하되,
    상기 문틀(100)은,
    그 양측과 상부를 승강기 샤프트(20)를 향하게 후방으로 연장 형성하여 각각 측면 가스켓(115)(115')을 갖는 측면 지지부(110)(110')와 상부 열팽창부재(125)를 갖는 상부 지지부(120)를 이루게 구성하며,
    승강장 도어(200)(200')는,
    각각의 대항면에 서로 반대 형태를 이루도록 결합홈(211)과 결합돌기(212)를 각각 형성하여 닫힘시 밀착 폐쇄력을 가지게 구성하고,
    각각의 외측에는 승강장 도어(200)(200')가 닫힘시 측면 가스켓(115)(115')과 밀착력을 가지는 측면차단 브라켓(220)(220')을 각각 형성하며,
    상부에는 상기 상부 열팽창부재(125)와 반응하는 상부차단 브라켓(230)을 형성하고,
    하단에는 승강장(10)의 바닥에 형성되는 도어씰(300)과 이격되도록 하부 열팽창부재(125')가 형성되게 한 승강기의 승강장 도어 유닛에 있어서,
    문틀(100)의
    양측 측면 지지부(110)(110')는, 각각 문틀(10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측면 돌출부(111)와, 그 측면 돌출부(111)의 단부로부터 양측 측면 지지부(110)(110')의 대항되는 반대측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하여 측면 가압부(112)를 형성 및 그 측면 가압부(112)의 단부에 측면 가스켓(115)(115')을 각각 형성하고,
    상부 지지부(120)는, 문틀(10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상부 돌출부(121)와, 그 상부 돌출부(121)의 단부로부터 상부를 향하도록 직각 절곡 형성하여 상부 가압부(122)를 형성 및 그 상부 가압부(120)의 승강장(10) 측에 상부 열팽창부재(125)를 형성하며,
    승강장 도어(200)(200')의
    양측 측면차단 브라켓(220)(220')은, 각각 승강장 도어(200)(200')의 외측단에 각각 고정되는 측면 고정편(221)과, 측면 고정편(221)으로부터 승강장(10) 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승강장 도어(200)(200')가 닫힌 상태에서 측면 가스켓(115)(115')이 수용 및 밀착되는 "ㄷ"형 가스켓 수용홈(222)을 이루도록 절곡 형성된 측면 밀착부(223)를 이루게 구성하며,
    상부차단 브라켓(230)은, 승강장 도어(200)(200')의 상부에서 승강장(10) 측에 고정되는 상부 고정부(231)와, 상부 고정부(231)로부터 승강장(10) 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 열팽창부재(125)와 이격되게 "ㄱ" 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열팽창부재 수용홈(232)이 형성되는 상부 밀착부(233)를 이루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연구조를 갖는 승강기의 승강장 도어 유닛.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측면 가스켓(115)(115')은,
    열에 견디도록 연질의 난연성 스펀지 고무재로 구성하되,
    각각 승강장 도어(200)(200')가 닫힐시 가스켓 수용홈(222)에 수용 및 밀착되어 차연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하부 열팽창부재(125)(125')는,
    삼중합성고무성분인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에 열을 가할시 팽창하는 발포제 성분이 혼합되게 구성하되,
    상부 열팽창부재(125)는, 팽창시 상부차단 브라켓(230)의 상부 밀착부(233)에 밀착되어 차연되고,
    하부 열팽창부재(125')는, 팽창시 도어씰(300)과 밀착되어 차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연구조를 갖는 승강기의 승강장 도어 유닛.
KR1020160040019A 2016-04-01 2016-04-01 차연구조를 갖는 승강기의 승강장 도어 유닛 KR101643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019A KR101643857B1 (ko) 2016-04-01 2016-04-01 차연구조를 갖는 승강기의 승강장 도어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019A KR101643857B1 (ko) 2016-04-01 2016-04-01 차연구조를 갖는 승강기의 승강장 도어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3857B1 true KR101643857B1 (ko) 2016-07-28

Family

ID=56681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0019A KR101643857B1 (ko) 2016-04-01 2016-04-01 차연구조를 갖는 승강기의 승강장 도어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85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042B1 (ko) * 2018-02-27 2018-07-04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클린기능을 구비한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
KR101874040B1 (ko) * 2017-11-13 2018-08-02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밀폐장치
KR20190055668A (ko) * 2017-11-15 2019-05-23 (주) 벽두도어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
US10843897B2 (en) 2018-05-30 2020-11-24 Songsan Special Elevators Co., Ltd. Emergency elevator
KR102600024B1 (ko) * 2023-03-14 2023-11-08 (주)트라비스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와 측면부의 차연구조
KR102600035B1 (ko) * 2023-03-14 2023-11-08 (주)트라비스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접면부와 하면부의 차연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7254A (ja) * 1993-12-01 1995-06-20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JP2003246571A (ja) * 2002-02-21 2003-09-02 Sekisui Chem Co Ltd エレベータ用防火ドア構造
KR100854097B1 (ko) 2007-11-21 2008-08-26 주식회사 문앤썬 차연승강도어
KR20100006601U (ko) 2008-12-19 2010-06-29 (주)대동에레베이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KR200471670Y1 (ko) * 2012-09-24 2014-03-10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풍음 차단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7254A (ja) * 1993-12-01 1995-06-20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JP2003246571A (ja) * 2002-02-21 2003-09-02 Sekisui Chem Co Ltd エレベータ用防火ドア構造
KR100854097B1 (ko) 2007-11-21 2008-08-26 주식회사 문앤썬 차연승강도어
KR20100006601U (ko) 2008-12-19 2010-06-29 (주)대동에레베이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KR200471670Y1 (ko) * 2012-09-24 2014-03-10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풍음 차단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040B1 (ko) * 2017-11-13 2018-08-02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밀폐장치
KR20190055668A (ko) * 2017-11-15 2019-05-23 (주) 벽두도어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
KR102032324B1 (ko) * 2017-11-15 2019-10-15 (주)벽두도어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
KR101874042B1 (ko) * 2018-02-27 2018-07-04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클린기능을 구비한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
US10843897B2 (en) 2018-05-30 2020-11-24 Songsan Special Elevators Co., Ltd. Emergency elevator
KR102600024B1 (ko) * 2023-03-14 2023-11-08 (주)트라비스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와 측면부의 차연구조
KR102600035B1 (ko) * 2023-03-14 2023-11-08 (주)트라비스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접면부와 하면부의 차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3857B1 (ko) 차연구조를 갖는 승강기의 승강장 도어 유닛
KR101597891B1 (ko)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US20060191749A1 (en) Hall door apparatus of elevator
KR101932622B1 (ko) 방화문
KR101576614B1 (ko) 건축물의 연기 차단구조를 갖는 방화문
CN109667520B (zh) 一种用于消防通道的门结构
KR200396315Y1 (ko) 출입문의 차연구조물
US73314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ghting a fire in an enclosed space in an aircraft
KR101930909B1 (ko) 발포 불연재가 구비된 댐퍼
JP2008063132A (ja) エレベータ乗降口の扉装置
KR101580874B1 (ko) 창호시스템
KR101701085B1 (ko)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EP2741022A1 (en) Smoke evacuation damper comprising a piece of intumescent material
KR101932620B1 (ko) 차압조절 기능을 갖는 방화문
JP7198722B2 (ja) 防火建具
KR101477964B1 (ko) 후드방화용뎀퍼모듈
KR20190020955A (ko) 화재 발생시 유독가스 차단 기능을 갖는 도어
KR20120099966A (ko) 화염속도진행 저지용 방화문
JP2013204357A (ja) ガラス耐火扉
KR20120083672A (ko) 소방전용 도어를 갖는 방화문
JP2005306578A (ja) エレベータドアの遮煙装置
KR101893347B1 (ko) 방화문
KR101556005B1 (ko) 공간차연시스템
KR101893348B1 (ko) 차압조절장치를 구비하는 방화문
KR200287624Y1 (ko) 목재 방화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