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4097B1 - 차연승강도어 - Google Patents

차연승강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4097B1
KR100854097B1 KR1020070119356A KR20070119356A KR100854097B1 KR 100854097 B1 KR100854097 B1 KR 100854097B1 KR 1020070119356 A KR1020070119356 A KR 1020070119356A KR 20070119356 A KR20070119356 A KR 20070119356A KR 100854097 B1 KR100854097 B1 KR 100854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e
finger strip
film
doo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9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문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문앤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문앤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문앤썬
Priority to KR1020070119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40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4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4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8Details of seals and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상부 및 하부에 마련된 출입구홈에, 그 상단부 및 하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레일 형태의 승강도어에 있어서, 상기 승강도어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일측에 형성된 결착부에 삽입 결합되는 클립 형태의 핑거스트립; 및 일측이 상기 핑거스트립에 삽입 결합되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출입구홈의 일측면에 접하도록 구비된 차연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연승강도어가 제공된다.
개시된 차연승강도어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승강통로로 유입되는 연기를 차단하는 차연효과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승강도어에 차연필름을 결합시키는 작업이 매우 용이하므로, 승강도어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엘리베이터, 승강기, 승강도어, 차연, 핑거스트립

Description

차연승강도어{Elevator door for cutout smok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연승강도어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연승강도어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연필름과 핑거스트립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연필름과 핑거스트립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연필름과 핑거스트립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승강도어 110...핑거스트립
111,122...돌출부 112,121...통공
120...차연필름 130...결착부
140...출입구 150...출입구홈
본 발명은 승강도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연효과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고, 차연필름의 조립이 매우 용이한 차연승강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면 소방관들이 사용하는 비상용 엘리베이터를 제외한 일반 엘리베이터는 1층으로 이동하여 운행이 정지된다.
이때부터 일반 엘리베이터는 이동수단이 아니라 화재가 다른 층으로 번지는 것을 막아주는 독립된 방화구획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승강도어는 화재시에 발생하는 화염과 연기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를 따라 이동하지 못하도록 방염 및 차연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현재, 엘리베이터의 승강도어에 차연필름을 덧대고 상기 차연필름이 출입구와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연기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를 따라 이동하지 못하도록 차단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차연필름이 출입구와 밀착되고 있는 경우에는 출입구에 이물질이 위치하면 차연필름이 출입구와 밀착되지 못하여 연기를 차단하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연필름을 승강도어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볼트결합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차연필름의 결합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모되어 승강도어의 생산성이 낮아지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엘리베이터의 차연효과를 현저하게 향상시키고, 차연필름의 결합작업이 매우 용이한 차연승강도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 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연승강도어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상부 및 하부에 마련된 출입구홈에, 그 상단부 및 하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레일 형태의 승강도어에 있어서, 상기 승강도어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일측에 형성된 결착부에 삽입 결합되는 클립 형태의 핑거스트립; 및 일측이 상기 핑거스트립에 삽입 결합되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출입구홈의 일측면에 접하도록 구비된 차연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연필름은, 타측이 상기 출입구홈의 일측면을 향하도록 중심부가 꺽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차연필름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핑거스트립에는 상기 통공에 대응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핑거스트립의 돌출부가 상기 차연필름의 통공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핑거스트립의 돌출부는, 상기 핑거스트립의 안쪽 부분으로 가면서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핑거스트립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차연필름에는 상기 통공에 대응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차연필름의 돌출부가 상기 핑거스트립의 통공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차연필름의 돌출부는, 상기 핑거스트립의 바깥쪽 부분으 로 가면서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연승강도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연승강도어의 측단면도이다.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연승강도어는 승강도어(100), 차연필름(120) 및 핑거스트립(110)을 포함한다.
상기 승강도어(100)는 엘리베이터의 출입구(140)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운동으로 상기 출입구(140)를 개폐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도어(100)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일측(도 2에서는, 도 1에 도시된 3단의 승강 도어판의 각각의 승강도어 내부의 바닥과 측벽)에 결착부(1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착부(130)에는 차연필름(120)의 일측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차연필름(120)의 타측은 출입구(140)에 형성된 출입구홈(150)의 측벽면과 접하도록 위치한다.
한편, 상기 차연필름(120)의 일측과 상기 승강도어(100)의 결착부(130)는 핑거스트립(110)에 의하여 결합된다. 핑거스트립(110)은 클립 형태로 차연필름(120)과 결착부(130)를 맞물어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차연승강도어는 차연필름(120)이 출입구홈(150)의 측벽면과 접하여 엘리베이터를 밀폐하게 되므로 출입구(140)의 상면에 이물질 등이 위치하더라도 밀폐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차연필름(120)은 타측이 상기 출입구홈(150)의 일측면(측벽면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중심부가 꺽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차연필름(120)은 출입구홈(150)의 측벽면 방향으로 탄성을 유지하면서 밀착되므로 차연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핑거스트립(110)과 차연필름(120)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핑거스트립(110)과 차연필름(120)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핑거스트립(110)과 차연필름(120)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차연필름(120)에는 통공(121)이 형성되고, 핑거스트립(110)에는 상기 차연필름(120)의 통공(121)에 대응하는 돌출부(111)가 형성된다.
즉, 상기 핑거스트립(110)의 돌출부(111)가 상기 차연필름(120)의 통공(121)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승강도어(100)의 결착부(130)에 핑거스트립(110)을 결합시켜놓고 차연필름(120)을 끼워넣는 방식으로 조립을 하면 매우 손쉽게 차연필름(120)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핑거스트립(110)의 돌출부(111)는 상기 핑거스트립(110)의 안쪽부분으로 가면서 높아지도록 경사진 모양으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차연필름(120)을 핑거스트립(110)의 안쪽으로 삽입하여서 차연필름(120)의 통공(121)이 상기 핑거스트립(110)의 돌출부(111)에 손쉽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연필름(120)이 핑거스트립(110)의 안쪽으로 삽입되어 차연필름(120)의 통공(121)과 핑거스트립(110)의 돌출부(111)가 결합되면 상기 차연필름(120)은 핑거스트립(110)의 바깥쪽으로 이탈되지 않게 되어 견고하게 결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연필름과 핑거스트립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차연필름(120)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핑거스트립(110)에 통공을 형성하여 차연필름(120)과 핑거스트립(110)을 결합시킬 수도 있다.
즉, 상기 차연필름(120)에는 핑거스트립(110)의 바깥쪽 방향으로 가면서 높아지도록 경사진 모양의 돌출부(122)가 형성되고 핑거스트립(110)에는 상기 돌출부(122)에 대응하는 통공(112)이 형성되어 차연필름(120)과 핑거스트립(110)이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차연필름(120)의 돌출부(122) 형상에 의하여 차연필름(120)은 상기 핑거스트립(110)의 안쪽 방향으로 손쉽게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된 이후에는 차연필름(120)의 돌출부(122)가 핑거스트립(110)의 통공(112)에 결합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차연승강도어에 의하면 차연필름과 출입구의 밀착성을 향상시켜 차연효과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승강도어에 차연필름을 결합시키는 작업이 매우 간편하므로 차연승강도어의 생산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6)

  1.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상부 및 하부에 마련된 출입구홈에, 그 상단부 및 하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레일 형태의 승강도어에 있어서,
    상기 승강도어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일측에 형성된 결착부에 삽입 결합되는 클립 형태의 핑거스트립; 및
    일측이 상기 핑거스트립에 삽입 결합되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출입구홈의 일측면에 접하도록 구비된 차연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연승강도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연필름은,
    타측이 상기 출입구홈의 일측면을 향하도록 중심부가 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연승강도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연필름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핑거스트립에는 상기 통공에 대응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핑거스트립의 돌출부가 상기 차연필름의 통공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연승강도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스트립의 돌출부는,
    상기 핑거스트립의 안쪽 부분으로 가면서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연승강도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스트립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차연필름에는 상기 통공에 대응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차연필름의 돌출부가 상기 핑거스트립의 통공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연승강도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차연필름의 돌출부는,
    상기 핑거스트립의 바깥쪽 부분으로 가면서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연승강도어.
KR1020070119356A 2007-11-21 2007-11-21 차연승강도어 KR100854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9356A KR100854097B1 (ko) 2007-11-21 2007-11-21 차연승강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9356A KR100854097B1 (ko) 2007-11-21 2007-11-21 차연승강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4097B1 true KR100854097B1 (ko) 2008-08-26

Family

ID=39878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9356A KR100854097B1 (ko) 2007-11-21 2007-11-21 차연승강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40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857B1 (ko) 2016-04-01 2016-07-28 (주)삼신엔지니어링 차연구조를 갖는 승강기의 승강장 도어 유닛
KR102600035B1 (ko) * 2023-03-14 2023-11-08 (주)트라비스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접면부와 하면부의 차연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08757U (ko) 1976-02-13 1977-08-18
JP2005015086A (ja) 2003-06-23 2005-01-2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2005306578A (ja) 2004-04-23 2005-11-04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ドアの遮煙装置
JP2006168959A (ja) * 2004-12-17 2006-06-29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隙間密閉装置および密閉方法
JP2007210711A (ja) 2006-02-07 2007-08-23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乗り場装置の遮煙構造の布設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08757U (ko) 1976-02-13 1977-08-18
JP2005015086A (ja) 2003-06-23 2005-01-2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2005306578A (ja) 2004-04-23 2005-11-04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ドアの遮煙装置
JP2006168959A (ja) * 2004-12-17 2006-06-29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隙間密閉装置および密閉方法
JP2007210711A (ja) 2006-02-07 2007-08-23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乗り場装置の遮煙構造の布設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857B1 (ko) 2016-04-01 2016-07-28 (주)삼신엔지니어링 차연구조를 갖는 승강기의 승강장 도어 유닛
KR102600035B1 (ko) * 2023-03-14 2023-11-08 (주)트라비스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접면부와 하면부의 차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75955A1 (en) Assembling curtain rail
US10533369B2 (en) Seal for a sill-free door
KR20220108003A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차연 구조
KR100854097B1 (ko) 차연승강도어
KR102032324B1 (ko)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
KR20170054590A (ko) 댐퍼 내장형 3연동 도어
KR101133264B1 (ko) 이탈방지용 샷시문
JP3908215B2 (ja) スライド式ドアの上方移動制限構造
JP5572500B2 (ja) エレベータ用ドアの移動規制具
KR100936946B1 (ko) 밀림방지장치 및 스크린 도어 실을 형성하는 가이드 레일
KR101433024B1 (ko) 창호시스템
KR100995018B1 (ko) 스크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잠금장치 및 스크린 도어장치
JP2020133156A (ja) オーバーヘッドドア下端の断熱構造
KR20120036497A (ko) 슬라이딩 도어용 트랙구조
KR100926956B1 (ko) 엘리베이터의 외부도어 이탈방지구조
WO2009128687A3 (ko)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KR20110100818A (ko) 엘리베이터 도어
KR101819888B1 (ko) 창문과 창틀의 기밀결합구조
TWM617972U (zh) 側開式防煙電梯門結構
TWI646037B (zh) 配置隔絕元件的電梯門結構
JP2005015076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6919003B2 (ja) サッシ
CN215592305U (zh) 对开式防烟电梯门结构
CN215592306U (zh) 侧开式防烟电梯门结构
JP6769585B1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およびエレベーターのドアの保守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