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0818A - 엘리베이터 도어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0818A
KR20110100818A KR1020100019846A KR20100019846A KR20110100818A KR 20110100818 A KR20110100818 A KR 20110100818A KR 1020100019846 A KR1020100019846 A KR 1020100019846A KR 20100019846 A KR20100019846 A KR 20100019846A KR 20110100818 A KR20110100818 A KR 20110100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levator
heat
cag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9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호
Original Assignee
정기호
김승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기호, 김승모 filed Critical 정기호
Priority to KR1020100019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0818A/ko
Publication of KR20110100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8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3Details of door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6Details of door jam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8Details of seals and joint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내부에서 발생된 화재가 건물의 실내로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엘리베이터 도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A)는 외측면에 단열패널(2)이 고정되어,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내부에서 발생된 화재의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도어{elevator do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내부에서 발생된 화재가 건물의 실내로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엘리베이터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건축물의 내부에 형성된 엘리베이터 통로의 내부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통로를 따라 승강가능되는 것으로, 이때, 승객이 탑승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에는 엘리베이터 도어가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통로에는 건축물의 각 층에는 엘리베이터 통로를 개폐하는 홀도어가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각 층에 멈추면 엘리베이터 도어와 홀도어가 함께 열리면서 승객이 엘리베이터에서 내리거나 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는 2개로 구성되어 각각 상호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되거나, 텔레스코픽방식으로 한쪽으로 슬라이드되어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최근에는 화재에 대한 안전기준이 높아져 감에 따라, 도어가 맞물리는 부위에 오목홈과 이에 맞물리는 돌기를 형성하여 도어의 단부가 서로 엊갈리게 맞물리도록 하므로써,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될 경우 화염이 엘리베이터 도어가 맞물리는 틈새를 통해 외부로 번져 나가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화염이 엘리베이터 도어를 통과하여 외부로 번져 나가는 것은 방지할 수 있으나, 엘리베이터 도어가 과열되어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는 충분치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엘리베이터 도어가 열에 의해 비틀릴 경우, 도어의 단부가 서로 정확히 결합되지 못하게 되며, 이에따라 도어의 사이에 틈이 발생되어 화염이 도어 사이의 틈을 통해 외부로 번져나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내부에서 발생된 화재의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엘리베이터 도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케이지에 설치되어 케이지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A)의 외측면에는 단열패널(2)이 고정되어 케이지의 내부에서 발생된 화재의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도어(A)의 외측면에는 양단이 상기 도어(A)에 고정되어 단열패널(2)을 도어(A)의 외측면에 밀착고정하는 지지프레임(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단열패널(2)은 강도가 높은 석고보드 또는 ALS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도어(A)는 한쌍으로 구성되어 상호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각 도어(A)는 금속판을 외측으로 절곡하여 외측면에 상기 단열패널(2)이 매입되는 오목부(1)가 형성되며, 각 도어(A)의 인접면에는 상기 오목부(1)의 측면을 이루는 직선부(5)가 형성되고, 상기 직선부(5)의 후방에는 상호 대응되는 형태의 돌출부(6)와 오목홈(7)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직선부(5)의 전후방향 폭(L1,L2)은 상기 단열패널(2)의 전후방향 폭(L3)에 비해 같거나 넓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A)는 외측면에 단열패널(2)이 고정되어,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내부에서 발생된 화재의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닫힌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내지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도어(A)는 한쌍으로 구성되어 상호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 되어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도어(A)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외측면에 오목부(1)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내측면이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내부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도어(A)의 단열패널(2)이 고정된다.
상기 단열패널(2)은 불연 또는 난연성이면서 단열성과 강도가 높은 재질, 즉, 석고보드 또는 ALS(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패널로 구성되어, 도어(A)의 외측면에 오목부(1) 전체면을 덮도록 배치되며, 도어(A)의 외측면에는 단열패널(2)을 도어(A)의 외측면에 밀착고정하는 지지프레임(4)이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단열패널(2)은 5~20mm의 두께로 구성되며, 상기 도어(A)의 외측면 상하단에는 단열패널(2)의 상단과 하단을 지지하는 수평바(3)가 용접결합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4)은 상하로 긴 복수개의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상호 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상하단이 상기 수평바(3)에 용접결합되어 상기 단열패널(2)의 외측면을 도어(A)쪽으로 가압하므로써, 상기 단열패널(2)이 도어(A)의 외측면에 밀착고정되도록 지지한다. 이때, ALS패널은 불연성일 뿐 아니라, 일반적인 단열패널에 비해 강도가 높고 단열 및 방음효과가 뛰어나므로, 본원발명의 단열패널(2)로 가장 적합하다.
또한, 상호 맞물리는 각 도어(A)의 인접면에는 상기 오목부(1)의 측면을 이루는 직선부(5)가 형성되며, 상기 직선부(5)의 후방에는 상호 대응되는 형태의 돌출부(6)와 오목홈(7)이 각각 형성되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A)를 닫을 때, 상기 직선부(5)가 상호 밀착됨과 동시에, 돌출부(6)와 오목홈(7)이 상호 맞물려 도어(A) 사이의 틈을 밀폐한다. 이때, 상기 직선부(5)의 전후방향 폭(L1,L2)은 상기 단열패널(2)의 전후방향 폭(L3)에 비해 같거나, 넓게 구성된다. 즉, 후방에 상기 오목홈(7)이 형성되는 직선부(5)의 폭(L1)은 상기 단열패널(2)의 폭(L3)과 거의 동일하게 구성되고, 후방에 상기 돌출부(6)가 형성되는 직선부(5)의 폭(L2)은 상기 단열패널(2)의 폭(L3)에 비해 조금 길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도어는 외측면에 단열패널(2)이 고정되어,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될 경우,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단열패널(2)은 강도가 높은 석고보드 또는 ALS패널로 구성되어, 열이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과 함께 도어(A)의 배면을 지지하여 화재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도어(A)가 비틀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므로써, 상호 맞물린 도어(A)가 비틀려 도어(A)의 사이에 틈이 발생되고, 이와 같이 발생된 틈을 통해 화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단열패널(2)은 양단이 상기 도어(A)에 고정된 지지프레임(4)에 의해 도어(A)의 외측면에 밀착고정된다. 따라서, 열에 의해 연소될 수 있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지 않고 단열패널(2)을 도어(A)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화재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접착재가 연소되어 단열패널(2)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각 도어(A)의 인접면에는 상기 오목부(1)의 측면을 이루는 직선부(5)가 형성되고, 상기 직선부(5)의 후방에는 상호 대응되는 형태의 돌출부(6)와 오목홈(7)이 각각 형성되어, 도어(A)가 닫힐 때, 상기 직선부(5)가 상호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돌출부(6)와 오목홈(7)이 상호 맞물려 화염이 도어(A) 사이의 틈을 폐쇄하므로써, 도어(A) 사이의 틈을 통해 외부로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직선부(5)의 전후방향 폭(L1,L2)은 상기 단열패널(2)의 전후방향 폭(L3)에 비해 넓게 구성되므로, 엘리베이터 케이지 내부에서 발생된 화재의 열이 단열패널(2)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돌출부(6)와 오목홈(7)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여, 열에 의해 돌출부(6)와 오목홈(7)이 변형되어 상호 맞물린 도어(A)의 사이에 틈이 발생되고, 이와 같이 발생된 틈을 통해 화염이 외부로 퍼져 나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 도어 1. 오목부
2. 단열패널 3. 수평바
4. 지지프레임 5. 직선부
6. 돌출부 7. 오목홈

Claims (4)

  1. 엘리베이터의 케이지에 설치되어 케이지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A)의 외측면에는 단열패널(2)이 고정되어 케이지의 내부에서 발생된 화재의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A)의 외측면에는 양단이 상기 도어(A)에 고정되어 단열패널(2)을 도어(A)의 외측면에 밀착고정하는 지지프레임(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패널(2)은 강도가 높은 석고보드 또는 ALS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A)는 한쌍으로 구성되어 상호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각 도어(A)는 금속판을 외측으로 절곡하여 외측면에 상기 단열패널(2)이 매입되는 오목부(1)가 형성되며,
    각 도어(A)의 인접면에는 상기 오목부(1)의 측면을 이루는 직선부(5)가 형성되고, 상기 직선부(5)의 후방에는 상호 대응되는 형태의 돌출부(6)와 오목홈(7)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직선부(5)의 전후방향 폭(L1,L2)은 상기 단열패널(2)의 전후방향 폭(L3)에 비해 같거나 넓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KR1020100019846A 2010-03-05 2010-03-05 엘리베이터 도어 KR201101008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846A KR20110100818A (ko) 2010-03-05 2010-03-05 엘리베이터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846A KR20110100818A (ko) 2010-03-05 2010-03-05 엘리베이터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818A true KR20110100818A (ko) 2011-09-15

Family

ID=44953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9846A KR20110100818A (ko) 2010-03-05 2010-03-05 엘리베이터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081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1527A (ko) * 2016-07-25 2018-02-02 윤일식 돌출부가 달린 엘리베이터 도어의 유리판 고정장치
WO2022018579A1 (en) * 2020-07-20 2022-01-27 Wittur Holding Gmbh Elevator door leaf and elevator system
US11254543B2 (en) * 2016-07-13 2022-02-2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door pane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54543B2 (en) * 2016-07-13 2022-02-2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door panel
KR20180011527A (ko) * 2016-07-25 2018-02-02 윤일식 돌출부가 달린 엘리베이터 도어의 유리판 고정장치
WO2022018579A1 (en) * 2020-07-20 2022-01-27 Wittur Holding Gmbh Elevator door leaf and elevator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8321A (en) Elevator door apparatus
KR20110100818A (ko) 엘리베이터 도어
US9845225B2 (en) Elevator landing door arrangement
KR20130091457A (ko) 마감보드 낙하방지를 위한 건물외단열 시공용 브라켓
JP6228482B2 (ja) 扉の防火構造
CA2304332A1 (en) Fireproof lift shaft door
JP5188509B2 (ja) エレベータ乗場ドア
JP6524231B2 (ja) 防火戸
KR20100104101A (ko) 이탈방지기능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방화 도어
KR102065152B1 (ko) 차열방화유리 구조체
KR200476513Y1 (ko)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
JP4430079B2 (ja) 防火装置を有するエレベータの乗り場ドア装置
CN107548377B (zh) 电梯楼层门门扇
KR100943239B1 (ko) 칸막이용 스터드
JP5937256B1 (ja)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装置
KR101206703B1 (ko) 엘리베이터 방화도어의 열 차단 구조
KR20130006103A (ko) 반자동 개폐식 도어의 슬라이딩 연결장치
KR100711636B1 (ko) 화염차단기능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용 도어
TWI646037B (zh) 配置隔絕元件的電梯門結構
KR20130130961A (ko) 차열기능이 구비된 방화벽 겸용 다용도 방화셔터
KR101127636B1 (ko) 건물 창호용 창틀의 프레임 조인트 마감장치
JP5694031B2 (ja) 建物の内壁パネル設置構造
KR101301836B1 (ko) 차열 방화셔터
JP7066574B2 (ja) 引戸の戸袋部構造
JP6683591B2 (ja) 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