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2622B1 - 방화문 - Google Patents
방화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32622B1 KR101932622B1 KR1020180096472A KR20180096472A KR101932622B1 KR 101932622 B1 KR101932622 B1 KR 101932622B1 KR 1020180096472 A KR1020180096472 A KR 1020180096472A KR 20180096472 A KR20180096472 A KR 20180096472A KR 101932622 B1 KR101932622 B1 KR 1019326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closed
- sealing
- differential pressure
- upper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2—Fireproof doors having windows or other openings, e.g. for permitting ventilation or escape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7—Devices blocking doors or windows inside its frame in case of fire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연구역과 비제연구역을 구획하는 벽체 상에 설치되는 방화문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을 갖는 중공형의 사각프레임으로 상기 벽체에 설치되는 도어 프레임; 상기 자동클로저 장치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도어; 및 상기 도어프레임의 상측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는 차압조절장치;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은 화재에 따른 차압 발생 시, 차압을 해소하여 방화문의 안정적인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음과 동시에 완벽한 기밀을 유지하여 가스 및 연기가 방화문을 통해 유입 및 유출되지 않으며, 안정적인 밀폐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방화문의 실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은 화재에 따른 차압 발생 시, 차압을 해소하여 방화문의 안정적인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음과 동시에 완벽한 기밀을 유지하여 가스 및 연기가 방화문을 통해 유입 및 유출되지 않으며, 안정적인 밀폐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방화문의 실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시 제연구역과 비제연구역을 구획하여 화염, 연기, 유독가스가 다른 곳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차압의 해소를 통해 방화문의 개폐가 용이한 방화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빌딩, 아파트, 병원 등지에는 현행법상 제연설비가 필수적으로 설치되며, 제연설비는 최초화재 발생시 화재 감지기에 의해 종합 방제실에 화재발생 신호가 전달되면, 급기댐퍼의 송풍이 이루어져 비제연구역과 제연구역과의 압력차이를 자동으로 유지함으로써, 화재의 확산을 방지함과 아울러 비상계단 등의 대피통로를 안정되게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연구역과 비제연구역 사이에는 방화문이 설치되며, 이 방화문은 화재 발생시 제연구역과 비제연구역 사이를 구획하기 위해 자동으로 닫혀지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방화문은 자동클로저를 통해 폐쇄력을 제공 받아서 닫혀지게 된다.
당 분야에서는 급기댐퍼에 의한 제연구역과 비제연구역 사이의 압력차를 고려하여, 도어클로저 자체의 폐쇄력을 아주 강하게 설정하거나, 도어클로저에 보조장치를 마련하여 방화문의 폐쇄력을 높게 설정함으로써, 제연구역과 비제연 구역 사이의 압력차를 극복하여 방화문의 안정적인 폐쇄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방화문의 폐쇄력을 강하게 설정하면, 급기댐퍼의 송풍이 이루어지는 화재시에는 급기댐퍼의 송풍압에 의해 사용자는 많은 힘을 들여야만 방화문을 개방할 수 있으며 특히 어린이나 노약자 등 상대적으로 체력이 약한 사용자의 경우 방화문의 개방이 어렵고, 또 일반인들도 방화문의 개방에 따른 어려움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방화문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의 방화문에서 방화문이 닫힌 상태에서 통풍도어에 유동압력이 가해지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10-1826906호(이하 '종래기술'로 지칭)가 제안된 바 있다. 이때, 종래기술은 방화문의 상측에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배연구(21)와 배연구(21) 내에 설치되는 통풍도어(20)를 설치한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2를 참고하면, 종래기술의 통풍도어(20)는 급기댐퍼(1)에 의해 송풍이 이루어지는 경우 계단실(A: 제연구역)과 복도(비제연구역) 간의 압력차이로 인해 상기 방화문의 도어(10)가 완벽하게 닫히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10)이 닫히기 전에 계단실의 공기가 통풍도어(20)를 복도로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도어(10)가 닫히도록 한다. 그리고 도어(10)가 닫히면 통풍도어가 닫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방화문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로, 종래기술은 복도와 계단실을 구획하는 벽에 설치되는 방화문에 적용되는 경우에 통풍도어(20)는 화재 상황에서 폐쇄 작동이 상당히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복도 측의 화재 발생 시, 계단실측을 제연구역으로 형성하기 위해 계단실 측에 위치된 급기댐퍼(1)가 가동하면, 종래기술에서 언급하고 있는 바와 같이 계단실과 복도의 압력차에 의해 도어(10)가 완벽히 닫히지 않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도어가 완벽히 닫히지 못하는 이유는 압력차 즉, 급기댐퍼(1)에 의해 계단실에 존재하는 공기의 압력이 높고 이 압력에 의해 공기가 도어(10)의 개방공간인 도어(10)와 도어프레임(11) 사이로 유동되고 이에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상대적으로 도어(10)가 열리는 방향으로 힘(=공기의 유동압력)을 받고 있는 상태가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통풍도어(20)를 개방하면 완벽이 닫히지 않은 도어(10) 틈을 통해 유동되는 공기가 유출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은 배연구(21)를 통해 대부분 유동됨에 따라 도어(10)어와 도어프레임(11) 사이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량이 낮아지고, 이에 따른 유동압력이 저하됨으로써 도어(10)가 닫힐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도 2를 기준으로 도어(10)가 완벽히 닫히지 못할 정도의 압력차가 발생되는 상황, 즉, 도어(10)가 완벽히 닫히지 못할 정도의 계단실에서 복도로의 공기의 유동에 따른 유동압력이 발생된 상황에서 통풍도어(20)를 개방한 후, 도어(10)를 닫으면, 다시 제연구역의 차압은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차압에 따른 공기 유동은 배연구(21)를 통해 빠져나감에 따라 배연구(21)에 유동압력이 가해지게 되고 통풍도어(20) 폐쇄 방향은 이러한 유동압력이 방향과 정 반대임에 따라 통풍도어(20)의 폐쇄 시에는 배연구(21)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한 유동압력을 이겨내야만 가능하다. 또한, 도어(10)의 닫힘과 동시에 제연구역이 차압이 급격히 높아지지 않더라도, 통풍도어(20)가 닫히는 과정에서 배연구의 틈(면적)이 작아지는 만큼 제연구역의 차압은 점차적으로 상승하게 됨에 따라 통풍도어(20)에 가해지는 유동압력을 이겨내지 않는 한, 차압에 의해 도어(10)가 닫히지 않는 이전 상황이 똑같이 재연될 수 있다.
따라서, 통풍도어(20)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압력을 이겨내고 통풍도어(20)가 폐쇄되기 위해서는 상당한 힘을 발생시키는 구동장치가 적용되어야 함으로써 구동장치의 비용이 높아지게 되어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둘째로는, 통풍도어(20)에 의한 배연구(21)의 밀폐성능이 완벽하지 못한 문제점이다. 구체적으로,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복도에서 화재가 발생되어 방화문이 닫히지 못할 정도의 차압이 발생되는 상황에서 도어(10)가 닫힌 경우, 계단실에 형성된 차압은 통풍도어(20)에 작용한다. 이때, 통풍도어(20)가 폐쇄된 상태라면 차압에 의해 통풍도어(2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지속적인 힘을 받게 되고, 통풍도어(20)는 단순 개폐암(22)에 의해 일측이 지지되는 구조임에 따라 개폐암(22)에 의해 지지되는 반대지점 및 통풍도어(20)의 하측 등은 개방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구조가 없어 통풍도어(20)가 개방되거나, 완전히 개방되지 않더라도 틈이 발생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통풍도어(20)에 틈이 발생 되면, 발생된 틈을 통해 공기가 빠져나가 계단실에 기준 차압이 형성되지 않아 화염, 연기 및 유동가스 등이 유입될 수 있어 방화문의 기능이 무력화될 수 있다.
셋째로는 종래기술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방화문의 설치 시, 통풍도어(20)의 설치를 위한 설치 면적을 확보해야 한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단실과 복도 사이에 설치되는 방화문 설치면적은 대부분 건물의 각 층의 형성 높이에 맞도록 설계되며, 이에 맞게 방화문이 제작 및 설치된다. 이는 방화문의 면적을 층간 높이에 근접하게 하여 사람 또는 화물(짐)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경우 방화문의 상측으로 배연구(21) 및 통풍도어(20)를 설치해야 함에 따라 부가적인 면적이 요구되며, 이에 방화문의 면적(크기)가 작아질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종래기술의 방화문의 경우 그 적용성에 한계가 있으며, 기존 설치된 일반적인 방화문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그 설치비용 또한 상당히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넷째로는 도어 및 통풍도어가 닫히면 계단실의 차압이 기준치 이상으로 급격히 상승한다는 것이다. 즉, 제연설비인 급기댐퍼에는 비제연구역인 계단실의 차압이 40Pa ~ 60Pa 이내가 되도록 함으로써 제연구역에 연기 및 가스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나, 방화문의 도어 및 통풍도어가 모두 닫히면 계단실 또는 전실이 밀폐공간이 되어 내부의 압력이 짧은 시간(약 2~3초 사이)에 급격히 높아지게 된다. 이때, 계단실에 형성되는 방화문은 복도에서 계단실로 들어올 수 있는 방화문(복도와 계단실 사이에 형성 이하 '제 1 방화문')과 계단실에서 계단이 형성된 비상통로 나가는 방화문(계단실과 계비상통로 사이에 형성 이하 '제 2 방화문')이 있는데 이 두 방화문의 도어가 열리는 방향은 동일하게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제연구역인 계단실에 사람이 존재한 상황에서 제 1 방화문의 도어 및 통풍도어가 닫히게 되면 제 2 방화문의 도어는 계단실의 차압에 의해 열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과 관련하여 종래기술에서는 도어에 형성된 레버나, 근접식 센서에 의해 통풍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는 것으로 개시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개시가 없으며, 근본적으로 레버나 근접식 센서와 통풍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한 피난인의 별도의 조작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그 실효성에 의구심이 발생되며, 전반적으로 레버의 연동 또는 센서설치 시 구조적 설계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복도와 계단실을 연결하는 전실상에 설치되는 방화문에 있어서, 화재에 따른 차압 발생 시, 차압을 해소하여 방화문의 안정적인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음과 동시에 완벽한 기밀을 유지하여 가스 및 연기가 제연구역으로 유입되지 않으며, 제연구역인 계단실의 차압이 자동적으로 항상 일정한 범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방화문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공간을 갖는 중공형의 사각프레임으로 상기 벽체에 설치되는 도어 프레임; 자동클로저 장치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도어; 및 도어프레임의 상측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는 차압 조절장치;를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상측 프레임에는, 제연구역을 향하는 일 측면이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 및 상기 커버와 대향되는 타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유동홀과, 상기 상측 프레임 내측의 유동홀의 테두리를 따라 수직하게 연장되는 형태의 밀폐덕트가 형성되고, 상기 차압 조절장치는, 상기 상측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밀폐덕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밀폐부와, 상기 상측 프레임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어 회전축과 연결되는 기어박스와, 상기 상측 프레임에 설치되어 기어박스와 연결되는 모터와, 상기 커버에 설치되어 계단실의 차압을 측정하는 차압감지센서, 및 상기 상측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고, 상측 프레임의 저면을 통해 노출되어 도어 폐쇄 시, 도어의 상면과 접촉되는 구동 스위치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차압감지센서 및 상기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 스위치의 눌림 및 차압감지센서에 의한 값에 의해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밀폐부에 의한 밀폐덕트의 밀폐 정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컨트롤 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밀폐부는, 상측 프레임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축과, 라운드지게 절곡 가공된 평판형의 플레이트로 상기 각 밀폐덕트와 대응되는 지점에서 밀폐덕트와 접촉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밀폐덕트를 개방 및 폐쇄하며, 내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빔 형태의 제 1 연결부가 형성된 밀폐판과, 회전축의 양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는 일단과 대향되는 타단에는 상기 제 1 연결부에 삽입되어 연결되기 위한 제 2 연결부가 형성되는 연결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압 조절장치를 구비하는 방화문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은 화재의 발생 시, 비제연구역과 제연구역인 복도와 계단실을 구획하는 방화문이 압력차이(차압)에 따라 완벽히 닫히지 않거나 열지지 않는 경우 방화문의 상측 프레임 내에 설치된 차압 조절장치에 의해 도어에 가해지는 차압을 해소함으로써 도어의 완벽한 닫힘 또는 개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압 조절장치는 제연구역의 밀폐를 위해 닫힌 상태에서 비제연구역과 제연구역의 압력차이가 크게 발생하는 경우 및 지속적인 압력차가 유지되는 동안도 차압 해소를 위한 통로인 유동홀의 밀폐력의 저하가 방지됨에 따라 급격히 상승하는 차압에 의해 유동홀의 틈 발생 등에 의해 화염, 연기, 유독가스가 유출되어 다른 층으로 확산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연구역의 차압이 급격히 높아지는 경우, 차압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차압 조절장치를 작동시켜 설정 범위의 차압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피난인의 별도의 조작 없이도 제연구역의 차압이 항상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긴급한 상황에서의 피난민에 의한 도어의 개방 및 폐쇄가 즉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밀폐판과 연결바가 각각 제 1 및 2 연결부를 통해 신축 가능하게 연결됨에 따라 밀폐판 연결부가 항상 기밀하게 접촉하는 상태를 유지하여 양자간의 기밀성이 보장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방화문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의 방화문에서 방화문이 닫힌 상태에서 통풍도어에 유동압력이 가해지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의 상측 프레임 및 차압 조절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덕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압 조절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압 조절장치가 설치되는 상측 프레임에 구동 스위치가 노출되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의 방화문에서 방화문이 닫힌 상태에서 통풍도어에 유동압력이 가해지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의 상측 프레임 및 차압 조절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덕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압 조절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압 조절장치가 설치되는 상측 프레임에 구동 스위치가 노출되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가하며, 종래기술의 기술요소와 동일하거나 일반적인 기술요소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 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의 상측 프레임(11a) 및 차압조절장치(30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덕트(14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3 내지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은 아파트, 공동주택, 병원과 같은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염, 연기, 유독가스 등이 다른 곳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도어(10), 도어프레임(11), 차압조절장치(300)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10)는 건축물의 복도와 계단실(=전실)을 구획 및 연결하는 벽체 또는 계단실(=전실)과 비상통로를 구획하는 벽체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화성이 우수한 공지의 재료로 제작될 수 있으며, 세트로 제작되는 도어프레임(11)에 그 일측이 경첩을 통해 결합되어 회전 각도에 따라 비상구의 일부 또는 전체를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아울러, 상기 도어(10)의 중앙부분에는 일반적인 도어(10)와 같이 내부로 인입되거나 외부로 인입되는 구조의 도어래치가 형성된다. 이러한 도어(10)는 공지된 자동클로저 장치를 통해 비상구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11)은 상/하측 프레임과 좌/우측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공지된 구조의 일방적인 도어프레임(11)으로, 좌/우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의 중앙부분에는 도어(10)가 완전히 닫힐 경우 상기 도어래치가 인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된다.
다만, 본 발명은 공지된 도어프레임(11)과 비교하여 도어프레임(11)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 프레임(11a)에 있어서 기술적 특징이 있는 바, 상측 프레임(11a)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상측 프레임(11a)은 내부에 차압조절장치(300)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을 갖는 중공형의 사각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커버(110)와, 유동홀(120) 및 밀폐덕트(140)가 형성된다.
먼저, 상측 프레임(11a)은 기본적으로 중공형의 사각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지되, 제연구역인 계단실을 향하는 일 측면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부분이 개방되도록 절개 형성된다. 그리고 이 절개 형성된 테두리 부분에는 내측으로 절곡 연장된 밀폐리브(11a-1)들이 형성되고 밀폐리브(11a-1) 주변으로는 일정간격으로 제 1 볼트홀(11a-2)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110)는 상측 프레임(11a)의 개방된 일 측면에 힌지 결합되어 상측 프레임(11a)의 개방된 일 측면을 개방 및 폐쇄하는 것으로, 내측면에는 닫힘 시 밀폐리브(11a-1)와 접촉되는 제 1 밀폐부재(111)가 형성되며 이때 제 1 밀폐ㅂ부(111)는 고무 패킹일 수 있다. 또한, 커버(110)와 상측 프레임(11a) 일측과의 힌지 결합되는 측면을 제외하고, 상기 제 1 밀폐부재(111)의 외측 주변에는 상기 제 1 볼트홀(11a-2)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볼트홀(112)이 형성된다. 따라서, 커버(110)가 닫히는 경우 제 1 밀폐부재(111)는 밀폐리브(11a-1)에 접하며, 상호 일치되는 제 1 및 2 볼트홀(11a-1, 112)에 볼트(B) 등의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함으로써, 상측 프레임(11a) 내부가 밀폐되도록 커버(110)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커버(110)에는 추가적으로 차압감지센서(350)가 설치될 수 있는 차압센서 설치홀(113)이 형성되고 이 차압센서 설치홀(113)에는 후술된 차압감지센서(350)가 설치된다.
상기 유동홀(120)은 사각형의 홀 구조로, 상측 프레임(11a)의 계단실과 복도방향으로 각각 노출되는 양 측면 즉, 상측 프레임(11a)의 일 측면인 커버(110)와, 커버와 대향된 타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측 프레임(11a)의 양 측면에 형성된 유동홀(120)은 상호 상측 프레임(11a)의 폭방향으로 동일선상의 위치되도록 복수개가 가공(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유동홀(120)은 차압을 해소하기 위한 공기 유입구 및 유출구로 적용되며, 각 유동홀(120)에는 이물질의 유입 및 내부에 설치되는 차압조절장치(300)의 보호를 위해 보호망이 설치된다.
상기 밀폐덕트(140)는 상기 유동홀(120)에 형성되어 유입 또는 유출되는 공기의 유동통로로 적용되는 것으로, 상측 프레임(11a) 내측의 유동홀(120)의 테두리를 따라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플레이트에 의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밀폐덕트(140)는 유동홀(120)의 상측 및 하측을 따라 수평하게 배치되는 상/하측 플레이트(141, 142)와 유동홀(120)의 좌/우측을 따라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하 플레이트(141, 142)의 끝단과 연결되는 좌/우측 플레이트(143, 144)로 구성된다. 이때, 상/하/좌/우 플레이트(141~144)는 전반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상측 프레임(11a)의 내부 중앙을 향하는 각 플레이트(141~144)의 일단 접촉면(141a~144a)은 밀폐판(311)의 외면과 기밀하게 접할 수 있도록 라운드지게 가공 된다.
또한 밀폐덕트(140)의 라운드지게 가공된 각 플레이트(141~144) 접촉면(141a~144a)에는 각 접촉면(141a~144a)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 2 밀폐부재(146)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밀폐부재 고정홈(145)이 가공 형성된다.
이때, 제 2 밀폐부재(146)는 각 플레이트(141~144)의 접촉면이 밀폐판(311)과 접촉 시, 접촉지점의 기밀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각 접촉면(141a~144a)과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편평한 베이스(146a)와, 상기 베이스(146a)의 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밀폐부재 고정홈(145)에 견고하게 삽입되는 고정리브(146b)와, 상기 베이스(146a)의 전면에 베이스(146a)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폭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접촉리브(146c)로 이루어진다.
이때, 고정리브(146c)는 각 플레이트(141~144) 일단(141a~144a)의 접촉면에 형성된 밀폐리브 고정홈(145)에 단순 끼움방식으로 결합됨에 따라 제 2 밀폐리브(146)의 설치, 보수를 위한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접촉리브(146c)에 있어서, 밀폐판(311)과의 접촉 시, 밀폐덕트(140)와의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이며, 구체적으로 밀폐판(311)은 밀폐덕트(140)의 접촉면(141a~144a)에 형성된 제 2 밀폐부재(146)와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는데, 접촉리브(146c)가 없는 상태에서는 밀폐판(311)과 제 2 밀폐부재(146)는 면접촉 한 상태가 되고, 제 2 밀폐부재(146)가 고무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밀폐판(311)의 회전 시, 마찰 저항이 크게 작용된다. 그러나, 복수개의 접촉리브(146c)를 형성하면, 밀폐판(311)과 제 2 밀폐부재(146)가 선접촉이 이루어짐에 따라 마찰저항이 감소되고, 각 접촉리브(146c)의 형성 수만큼 중첩(리브가 2~4개 형성 시, 2~4중 밀폐)되는 만큼 밀폐력 또한 상승될 수 있다. 또한, 접촉리브(146c) 중 어느 하나가 손상되더라도 다른 접촉리브에 밀폐력이 유지될 수 있음에 따라 제 2 밀폐부재(146)의 사용 기간(내구성) 또한 증대될 수 있다.
이러한, 밀폐덕트(140)는 각 유동홀(120)로부터 상측 프레임(11a)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취하게 됨으로써 상측 프레임(11a)의 일 측면에 형성된 유동홀(120)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상측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위치된 동일선상의 밀폐덕트(140)들을 순차적으로 지나 타 측면에 위치된 유동홀(120)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유동통로 기능을 하게 된다.
아울러, 밀폐덕트(140)는 밀폐덕트(140) 없이 밀폐판(311)이 단순히 유동홀(120)에 접촉하는 구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유동홀(120)의 형성 면적을 확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밀폐덕트(140)가 생략된 경우, 곡선형태로 가공된 밀폐판(311)과 상측 프레임(11a)의 내면은 선접촉으로 접하게 되어 유동홀(120)을 완벽한 밀폐를 위해서는 유동홀(120)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밖에 없다. 이에 밀폐덕트(140)를 적용함으로써 유동홀(120)의 면적을 넓게 형성할 수 있고, 따라서, 유동홀(120)을 통한 공기 유동량의 증가에 따른 차압 하강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방화문의 사이즈에 따라 도어프레임(11)이 적용됨에 따라 상측 프레임 폭 또한 다양한 사이즈로 변경될 수 있음을 감안할 때, 일률적인 구조 및 사이즈의 차압해소장치(30)를 적용한 상태에서 밀폐덕트(140)만을 변경적용함으로써 다양한 규격의 사이즈를 갖는 방화문에도 차압 해소 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차압조절장치(300)는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측 프레임(11a)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밀폐덕트(140)를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함으로써 유동홀(120)과 밀폐덕트(140)를 통한 공기의 유동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차압조절장치(300)는 밀폐부(310), 기어박스(320), 모터(330), 컨트롤 박스(340) 및 차압감지센서(350)로 구성된다.
밀폐부(310)는 상측 프레임(11a)의 폭방향으로 상호 대칭되어 배치되는 밀폐덕트(140)에 접하여 회전에 의해 각 밀폐덕트(14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구성으로, 밀폐판(311), 회전축(312) 및 연결바(313)로 이루어진다.
상기 밀폐판(312)은 밀폐덕트(140)의 각 플레이트(141~144)의 일 단에 접하는 것으로, 밀폐덕트(140)의 일단(141a~144a)과 접하여 선택적으로 밀폐덕트(140)를 폐쇄하거나 개방되도록 하기 위해 단위 회전축의 양측으로 대칭되도록 한 쌍이 배치된다. 이러한 밀폐판(312)은 밀폐덕트(140)의 면적 이상의 면적으로 형성되며, 라운드지게 가공된 플레이트 구조를 취한다. 이때, 밀폐판(312)의 라운드진 정도는 밀폐덕트(140)의 각 플레이트(141~144)의 라운드지게 가공된 일단(141a~144a)의 곡률과 대응된다.
또한, 각 밀폐판(312)의 내측면에는 정중앙에서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지점에 일단이 연결되어 수직방향으로 기립 형성되는 제 1 연결부(314)가 형성된다. 제 1 연결부(314)는 전반적으로 다양한 단면을 갖는 빔 구조를 취하며, 타단측에는 타단측 끝단면으로부터 길이방향 내측으로 가공된 연결홈(314a)이 가공된다. 그리고 연결홈(314a)이 형성된 제 1 연결부(314)의 타단측 외면에는 가이드홀(314b)이 연결홈(314a)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 가공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312)은 상기 밀폐판(311)을 일괄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측 프레임(11a)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일단 측은 상측 프레임(11a)의 내측에서 베어링 등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단순 지지되고, 타단 측은 기어박스(320)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바(313)는 상기 회전축(312)의 외면에 한 쌍이 회전축(312)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연결되며, 회전축(312)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바(313)들은 회전축(3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반복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바(313)는 제 1 연결부(314)와 대응되는 단면을 갖는 빔으로 형성되되, 제 1 연결부(314)의 직경보다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만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바(313)의 직경은 제 1 연결부(314)의 연결홀(314a)에 삽입 가능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또한 회전축(312)과 연결된 연결바(313)의 일단과 대향되는 타단에는 상기 제 1 연결부(314)와 결합되게 위한 제 2 연결부(315)가 형성된다.
제 2 연결부(315)는 제 1 연결부(314)와 연결바(313)를 연결시키기 위한 구조로, 스프링 설치돌기(315a), 스프링(315b) 및 연결홈(315c)으로 형성된다.
스프링 설치돌기(315a)는 연결바(313)의 직경보다는 작고 스프링(315b)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연결바(313) 타단측의 끝단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다.
스프링(315b)은 스프링 설치돌기(315a)에 결합되어 제 1 연결부(314)와 연결바(313) 사이에 위치되어 제 1 연결부(314)를 밀어내는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연결홈(315c)은 연결바(313)의 타단측 외면에 형성되고 내측에는 나사산이 가공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연결부(314)가 연결바(313)의 타단측에 삽입 시, 제 1 연결부(314)에 형성된 가이드홀(314b)과 볼트에 의해 결합된다. 이때, 연결홈홈(315c)과 가이드홀(314b)의 결합은 볼트에 의해 견고히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제 1 연결부(314)가 연결바(313)의 타단에 결합되어 슬라이드 형태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가이드홀(314b)이 볼트를 기준으로 이동하는 형태임에 따라 제 1 연결부(314)가 연결바(313)의 타단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된다. 이에 더하여 가이드홈(315c)과 연결홀(314b)의 형성 위치가 모두 일괄적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각각의 연결바(313)에 밀폐판(312)의 연결 시, 회전축(311)의 길이방향(=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밀폐판(312)의 배치상태의 정렬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밀폐부(310)의 회전에 따른 밀폐판(312)에 의한 밀폐덕트(140) 개폐 범위(정도)가 상호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1 및 2 연결부(314, 315)에 따른 밀폐판(311)과 연결바(313)의 연결 구조는 밀폐판(311)이 연결바(313)에 결합되어 슬라이드형태로 길이변화가 가능함과 동시에, 스프링(315b)에 의해 밀폐판(311)이 밀폐덕트(140) 방향으로 밀리는 구조임에 따라 밀폐판(311)과 밀폐덕트(140)와의 접촉이 기밀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인 일 예로, 수리 또는 점검이 요구되는 경우, 상측 프레임(11a)에 형성된 커버(110)의 오픈 시, 커버(110) 측에 형성된 밀폐덕트(140)와 접해있던 밀폐판(311)이 제 1 연결부(314)의 내측에 위치된 스프링(315b)에 의해 커버(110)측 방향으로 돌출되되 연결바(313)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점검 이후 커버(110)를 닫을 시, 밀폐판(311)은 커버(110)에 형성된 밀폐덕트(140)에 눌리게 되고 스프링(315b)이 압축되면서 회전축(312) 방향으로 이동되되 밀폐덕트(140)와는 기밀하게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각각의 연결바(313), 밀폐판(311), 밀폐덕트(140)의 가공오차 또는 노후화에 따른 변형이 발생되어도 밀폐판(311)과 밀폐덕트(140)의 기밀한 접촉상태가 유지될 수 있어 전반적인 차압조절장치(300)에 따른 기밀상태 유지가 보장될 수 있으며, 차압조절장치(300)의 제조 측면에서도 수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밀폐판(311)에 형성된 제 1 연결부(314)에 있어서, 제 1 연결부(314)는 밀폐판(311)의 내측면 정중앙이 아닌 중앙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지점과 연결된다. 따라서, 회전축(312)을 중심으로 상호 대칭되는 방향에 위치된 한 쌍의 밀폐판(311)의 원주방향 상에 형성되는 공간(S1, S2: 이하 '밀폐판 사이의 공간'으로 약칭함)의 크기가 다르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밀폐판 사이의 공간(S1, S2)은 밀폐덕트(140)와 동일 선상으로 위치될 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대적으로 넓은 측 공간(S1)은 계단실측 방향(도 4 기준 우측 방향)의 밀폐덕트(140) 측에 위치되고, 좁은 측은 공간(S1)은 복도측 방향(도 4 기준 좌측 방향)의 밀폐덕트(140) 측에 위치된다.
이때, 밀폐판 사이의 공간(S1, S2)의 크기가 다르도록 하는 이유는 복도측으로 유출되는 공기의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즉, 밀폐부(310)의 회전에 의해 밀폐판(311) 사이의 공간이 밀폐덕트(140)와 동일선상이 되도록 하여 밀폐덕트(140)가 개방되도록 하면 차압에 의해 계단실에서 복도 방향으로 공기가 유동하게 된다. 이때, 상대적으로 복도측 밀폐판(311) 사이의 공간이 좁음으로써 유출 속도가 증가되어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도어(10)의 상측 지점인 상측 프레임(11a)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속도가 증가되어 마치 에어커튼과 같은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복도의 천정에 존재하는 연기 등이 방화문이 설치된 벽체를 타고 순환하여 방화문을 가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피난인이 도어(10)의 개폐시, 천정에서 벽체를 따라 순환되는 연기 또는 가스 등이 도어(10)의 상측 지점의 틈을 통해 제연구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어박스(320)는 모터(330)와 회전축(312)을 연결 시켜주는 것으로, 상측 프레임(11a)의 공간 사용 효율상 베벨 기어박스일 수 있다. 기어박스(320)는 별도의 케이스에 의해 밀폐형으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내부의 안정적인 윤활물질이 존재하도록 하고, 화재 시, 열에 의한 윤활물질의 연소(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이물질의 투입이 원천적으로 방지됨으로써 전반으로 작동성 및 내구성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방화문의 사이즈에 따른 차압조절장치(300)의 규격에 따라 다양한 규격의 기어박스가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차압조절장치(300)별 규격이 다른 경우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싼 모터의 변경 대신 기어비가 다른 기어박스(320)를 변경적용 함으로써 전반적인 방화문의 설치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상기 모터(330)는 통상적인 공지의 모터가 적용될 수 있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컨트롤 박스(340)는 상기 모터(33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모터의 가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측 프레임(11a) 내부의 기어박스(320) 주변에 배치된다. 또한, 컨트롤 박스(340)의 저면에는 구동 스위치(3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구동 스위치(341)는 상측 프레임(11a) 저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구동 스위치는 도어(10)가 닫히는 과정 중에 도어(10)의 상면과 구동 스위치가 접촉하게 되어 구동 스위치가 눌리게 되면 컨트롤 박스(340)가 모터(330)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구동 스위치(341)는 종래기술에도 개시되어 있는 구성으로 그 기능 및 목적 측면에서는 상당히 유사한 측면이 있으나, 구동 스위치(341)가 컨트롤 박스(340)에 형성되어 도어(10)의 상면과 접촉되는 점에서, 컨트롤 박스(340)와의 연결을 위한 배선작업이 불필요하고, 구동 스위치(341)의 설치를 위한 좌/우측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의 구동 스위치(341) 형성 공간과 같은 추가적인 가공이 요구되지 않는 점에서 종래기술과 차별회된 장점이 있다. 또한, 구동 스위치(341)가 상측 프레임(11a)에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중력에 의해 구동 스위치(341)가 노출되도록 돌출됨으로써 종래기술과 같이 구동 스위치(341)가 항상 돌출되도록 하기 위한 탄성부재가 반드시 적용되지 않아도 됨에 따라 구조의 단순화가 가능하고 비용적인 측면에서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차압감지센서(350)는, 제연구역인 계단실의 차압을 측정하는 것으로, 상측 프레임(11a)의 일면에 컨트롤 박스(3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차압감지센서(350)는 제연구역인 계단실의 차압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급기댐퍼에 의한 계단실의 과도한 차압 형성 시, 측정된 차압의 값을 컨트롤 박스(340)에 전달하고 컨트롤 박스(340)는 전달받은 차압값의 수치에 따라 설정된 만큼의 범위로 모터(330)를 구동시켜 밀폐부(310)에 의한 밀폐덕트(140)의 폐쇄 상태를 해제한다. 즉, 일 예로, 계단실이 밀폐되어 계단실의 차압이 급격하게 높아지게 되며, 계단실의 차입이 높아지는 경우, 차압감지센서(350)가 이를 감지하여 컨트롤 박스(340)에 전달하고, 컨트롤 박스(340)는 모터(330)를 작동시켜 밀폐덕트(140)가 완전히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급격히 계단실의 차압을 낮추게 된다. 이후 밀폐덕트(140)의 개방에 의해 차압이 낮아진 상태에서 차압 값은 지속적으로 차압감지센서(350)에 의해 모니터링 되고 있음에 따라 측정되는 차압 값에 대응하여 밀폐덕트(140)를 폐쇄하도록 모터(330)를 작동시킴으로써 차압이 설정치가 되는 시점에는 밀폐부(310)에 의해 밀폐덕트(140)가 완벽히 밀폐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의 작동 및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압조절장치(300)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압조절장치(300)가 설치되는 상측 프레임(11a)에 구동 스위치가 노출되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때, 건물의 화재는 방화문을 기준으로, 계단실에서 발생되는 경우와, 실내를 포함한 복도에서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이하에서는 화재가 실내를 포함한 복도에서 발생되는 것을 일예로 하고, 이에 비제연구역과 제연구역은 각각 복도와 계단실로 가정하기로 한다.
최초 건축물의 실내 및 복도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재감지센서 등의 감지장치(미도시)가 이를 신속하게 센싱하여 중앙 제어부(미도시)에 전달하고, 상기 중앙 제어부는 전실의 벽면에 설치된 급기댐퍼를 작동시킨다.
이때, 상기 급기댐퍼는 일반적으로 종래기술에도 개시된 공지된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계속해서, 상기 제연구역인 계단실에 설치된 급기댐퍼에 의해 송풍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급기댐퍼는 약 40Pa ~ 60Pa로 급기가압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방화문을 사이에 두고 계단실과 복도간의 압력차이(차압)로 인해 상기 방화문의 도어(10)가 약 10˚~17˚ 사이에서 멈춤으로써 완벽하게 닫히지 않아 화염, 연기, 유독가스가 계단실로 유입되어 비상통로를 통해 다른 층으로 확산됨으로써, 막대한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를 초래하는 문제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방화문의 도어(10)가 완전히 닫히기 전, 즉 도어(10)가 최초 개방된 상태에서부터 도어프레임(11)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닫힘 동작 과정에서 도어(10)의 상면이 구동 스위치(341)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접촉되어 구동 스위치(341)가 눌려지고, 이로 인해 컨트롤 박스(340)가 모터(330)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모터(330)의 작동과 동시에 회전축(312)이 약 90˚가까이 회전하게 되면 회전축(312)의 회전과 동시에 밀폐판(311)이 회전하여 밀폐덕트(140) 및 유동홀(120)을 개방하게 됨으로써 계단실의 공기가 상측 프레임(11a)을 통해 복도로 유동되어 도어(10)에 가해지는 압력을 상측 프레임(11a)으로 전가함으로써 도어(10)에 가해지는 압력이 해소되고 이에 따라 도어(10)가 완벽히 닫히도록 할 수 있다.
이후, 도어(10)가 완벽히 닫히면 도어(10)의 도어래치가 도어프레임(11) 의 걸림홈에 인입되어 설치되고 컨트롤 박스(3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폐쇄용 스위치(미도시)에 접촉된다. 이에, 도어래치가 폐쇄용 스위치에 접촉됨과 동시에 컨트롤 박스(340)를 통해 모터(330)를 다시 구동시켜 회전축을 다시 최초위치로 90˚ 회전시켜 밀폐판(311)이 밀폐덕트(140)를 폐쇄하도록 한다.
이때, 밀폐판(311)이 밀폐덕트(140)를 폐쇄하는 동작에 있어서, 밀폐판(311)은 회전에 의해 밀폐덕트(140)와 접촉하여 밀폐덕트(140)를 폐쇄하는데 이렇게 밀폐덕트(140)를 폐쇄하기 위한 밀폐판(311)의 이동 방향은 유동홀(12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과 반대되지 않음으로써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비교적 적은 힘(모터의 힘 또는 성능)으로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밀폐판(311)의 회전에 의해 밀폐덕트(140)가 폐쇄된 경우, 방화문에 의해 계단실과 복도가 완벽히 구획되면 급기댐퍼에 의해 발생되는 차압은 유동홀(120)과 밀폐덕트(140)를 통해 밀폐판(311)에 가해지게 되는데 이때, 밀폐판(311)은 상측 프레임(11a) 폭방향으로 배치된 유동홀(120)들과 수평방향으로 위치되어 있음에 따라 유출구에 해당하는 유동홀(120)의 밀폐덕트(140)에 접촉된 밀폐판(311)은 회전축이 기계적 결합구조에 따라 미세하게나마 유출구 측의 유동홀(120)방향으로 밀리는 경우 오히려 유출구에 해당하는 유동홀(120)측 과의 기밀성이 더 향상될 수 있음으로써 연기 또는 가스의 유입이 더욱더 방지되다. 즉, 일예로 도 6의 (a)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도 6의 (a) 기준 우측이 계단실이고, 좌측이 복도로 가정한 상태에서 밀폐판(311)에 의해 양측의 밀폐덕트(140)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라면, 우측 계단실측에 압력이 상승하고 이 압력에 의해 공기가 우측 유입구에 해당되는 유동홀(120a)을 통해 좌측으로 이동되려는 상태가 된다. 이에, 밀폐판(311) 전체가 압력에 의해 밀려 좌측으로 이동되더라도 유출구 측에 해당되는 유동홀(120b)의 밀폐덕트(140b)에 접한 밀폐판(311)이 더욱더 밀폐덕트(140b)에 밀착됨으로써 유출구측의 유동홀(120) 측이 더욱더 완벽히 차단되게 된다.
한편, 도어(10) 및 밀폐덕트(140)가 완벽히 폐쇄된 상태에서 계단실의 차압이 급격히 상승하는 경우, 차압감지센서(350)에 의해 측정된 차압값을 기준으로 컨트롤 박스(340)가 모터(330)를 구동시켜 밀폐부(310)를 회전시킴으로써 밀폐덕트(140)의 밀폐 정도를 조절한다. 즉, 기준치를 초과한 차압값에 따라 모터(330)의 구동에 따른 밀폐부(310)의 회전정도를 조절하여 밀폐부(310)에 의한 밀폐덕트(140)의 밀폐정도를 조절할 함으로써 계단실의 차압이 조절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계단실 내의 차압이 기준치로 유지되도록 한다.
더욱이, 도어가 닫히는 과정중에 차압 해소를 위해 계단실로부터 빠져나가는 공기가 도어의 상측 프레임을 통해 빠르게 분사되어 마치 에어커튼과 같은 효과를 불러옴에 따라 복도 천정에 정체된 연기 또는 가스가 벽체를 타고 도어와 도어프레임 사이의 틈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은 화재의 발생 시, 비제연구역과 제연구역인 복도와 계단실을 구획하는 방화문이 압력차이(차압)에 따라 완벽히 닫히지 않거나 열지지 않는 경우 방화문의 상측 프레임(11a) 내에 설치된 차압조절장치(300)에 의해 도어(10)에 가해지는 차압을 해소함으로써 도어(10)의 완벽한 닫힘 또는 개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압조절장치(300)는 차압 해소를 위해 공기가 유동되는 유동홀(120)이 폐쇄된 상태에서 급기댐퍼에 의해 계단실의 압력이 증가하는 경우, 밀폐판(311)이 형성된 회전축이 기계적 결합구조에 따라 미세하게나마 유출구 측의 유동홀(120)방향으로 밀리더라도 더욱더 유출 방향 측의 밀폐덕트(140)과의 밀폐력이 상승됨에 따라 밀폐덕트(140)와 밀폐판(311) 사이의 틈 발생 등에 의해 화염, 연기, 유독가스가 계단실로 유입되어 비상통로 또는 다른 층으로 확산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차압조절장치(300)는 방화문을 형성하는 도어프레임(11)의 상측 프레임(11a)에만 설치됨에 따라 비교적 적은 설치면적이 요구되며, 기존에 설치된 일반적인 방화문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도어프레임(11)의 상측 프레임(11a)만 교체 또는 부분 시공을 통해 적용하면 됨에 따라 전반적인 시공 비용 및 시간 또한 절감될 수 있어 그 적용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아울러, 컨트롤 박스(340)가 차압감지센서(350)에 의해 계단실 내부의 차압값을 바탕으로 밀폐부를 구동하여 계단실 내부에 과도한 차압이 형성되지 않고 항상 기준 범위에 해당하는 차압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피난인의 별도의 조작 없이도 제연구역의 차압이 항상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됨에 따라 긴급한 상황에서의 피난민에 의한 도어의 개방 및 폐쇄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10: 도어
11: 도어 프레임
11a: 상측 프레임 120: 유동홀
111: 제 1 밀폐부재 113: 센서 설치홀
140: 밀폐덕트
141~144: 상,하,좌,우측 플레이트
145: 밀폐부재 고정홈 146: 제 2 밀폐부재
300: 차압조절장치
310: 밀폐부 311: 밀폐판
312: 회전축 313: 연결바
320: 기어박스 330: 모터
340: 컨트롤 박스 341: 구동스위치
350: 차압감지센서
11: 도어 프레임
11a: 상측 프레임 120: 유동홀
111: 제 1 밀폐부재 113: 센서 설치홀
140: 밀폐덕트
141~144: 상,하,좌,우측 플레이트
145: 밀폐부재 고정홈 146: 제 2 밀폐부재
300: 차압조절장치
310: 밀폐부 311: 밀폐판
312: 회전축 313: 연결바
320: 기어박스 330: 모터
340: 컨트롤 박스 341: 구동스위치
350: 차압감지센서
Claims (5)
- 제연구역과 비제연구역을 구획하는 벽체 상에 설치되는 방화문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을 갖는 중공형의 사각프레임으로 상기 벽체에 설치되는 도어 프레임;
자동클로저 장치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도어; 및
상기 도어프레임의 상측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는 차압 조절장치;를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상측 프레임에는
제연구역을 향하는 일 측면이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 및 상기 커버와 대향되는 타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유동홀과,
상기 상측 프레임 내측의 유동홀의 테두리를 따라 수직하게 연장되는 형태의 밀폐덕트가 형성되고,
상기 차압 조절장치는,
상기 상측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밀폐덕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밀폐부와,
상기 상측 프레임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어 회전축과 연결되는 기어박스와,
상기 상측 프레임에 설치되어 기어박스와 연결되는 모터와,
상기 커버에 설치되어 계단실의 차압을 측정하는 차압감지센서, 및
상기 상측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고, 상측 프레임의 저면을 통해 노출되어 도어 폐쇄 시, 도어의 상면과 접촉되는 구동 스위치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차압감지센서 및 상기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 스위치의 눌림 및 차압감지센서에 의한 값에 의해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밀폐부에 의한 밀폐덕트의 밀폐 정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컨트롤 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밀폐부는,
상측 프레임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축과,
라운드지게 절곡 가공된 평판형의 플레이트로 상기 각 밀폐덕트와 대응되는 지점에서 밀폐덕트와 접촉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밀폐덕트를 개방 및 폐쇄하며, 내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빔 형태의 제 1 연결부가 형성된 밀폐판과,
회전축의 양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는 일단과 대향되는 타단에는 상기 제 1 연결부에 삽입되어 연결되기 위한 제 2 연결부가 형성되는 연결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측 프레임에는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각 유동홀에 형성되는 보호망과,
상기 커버가 형성되는 측면 테두리를 따라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밀폐리브, 및
상기 커버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커버의 닫힘 시, 상기 밀폐리브와 접하여 상측 프레임의 내부가 밀폐되도록 하는 제 1 밀폐부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는,
상기 제 1 연결부가 상기 밀폐판 내측면 정중앙에서 수직 방향으로 편심되게 밀폐판과 연결됨으로써 원주방향으로의 한 쌍의 밀폐판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고, 상기 공간 중 상대적으로 작은 측이 비제연구역측 방향의 밀폐덕트 측에 위치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에는,
상기 연결바의 타단이 인입되어 결합 가능하도록 끝단면으로부터 길이방향 내측으로 가공된 연결홈 및 상기 연결홈의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가공 형성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연결부에는,
상기 연결바 타단측 끝단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스프링 설치돌기와, 상기 연결바 타단측 끝단면과 상기 연결홈 사이에 위치되어 제 1 연결부를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도록 힘을 부과하는 스프링과, 연결바의 타단측 외면에 형성되고 연결바의 타단측이 제 1 연결부에 삽입 시 제 1 연결부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제 1 연결부에 형성된 가이드홀과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연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밀폐판과 접하는 밀폐덕트의 일단면에는 밀폐부재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밀폐부재 고정홈에는 상기 밀폐판과의 접촉지점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제 2 밀폐부재가 삽입 설치되되,
상기 제 2 밀폐부재는
상기 밀폐덕트 일단면의 면적과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편평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후면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밀폐부재 고정홈에 기밀하게 결합 가능한 고정리브, 및
상기 베이스의 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폭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밀폐판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접촉리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6472A KR101932622B1 (ko) | 2018-08-20 | 2018-08-20 | 방화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6472A KR101932622B1 (ko) | 2018-08-20 | 2018-08-20 | 방화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32622B1 true KR101932622B1 (ko) | 2018-12-26 |
Family
ID=65006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96472A KR101932622B1 (ko) | 2018-08-20 | 2018-08-20 | 방화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32622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43007B1 (ko) | 2019-10-14 | 2020-08-10 | 주식회사 화인엠택 | 단열 구조를 갖는 방화문 |
KR20220119878A (ko) * | 2021-02-22 | 2022-08-30 | 주식회사 에스앤에프시스템 | 제연 겸용 방화문 시스템 |
CN115434626A (zh) * | 2022-08-24 | 2022-12-06 | 重庆几维科技有限公司 | 一种建筑智能化防盗装置 |
CN116212271A (zh) * | 2023-03-07 | 2023-06-06 | 成都市兴三维玻璃制造有限公司 | 一种防火灭火罩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4242Y1 (ko) | 1999-04-01 | 2001-09-13 | 이계안 |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에어벤트 댐퍼 |
KR200413556Y1 (ko) | 2006-01-18 | 2006-04-07 | 김기현 | 도어의 환기 구조 |
KR200437361Y1 (ko) | 2006-10-31 | 2007-11-26 | 유병규 | 급기 댐퍼 |
KR101386725B1 (ko) | 2013-12-30 | 2014-04-29 | 씨원건설(주) | 크린룸용 도어 |
KR101581239B1 (ko) | 2014-12-09 | 2015-12-31 | (주)태성이엠씨 | 유로 선택형 댐퍼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공조시스템 |
-
2018
- 2018-08-20 KR KR1020180096472A patent/KR10193262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4242Y1 (ko) | 1999-04-01 | 2001-09-13 | 이계안 |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에어벤트 댐퍼 |
KR200413556Y1 (ko) | 2006-01-18 | 2006-04-07 | 김기현 | 도어의 환기 구조 |
KR200437361Y1 (ko) | 2006-10-31 | 2007-11-26 | 유병규 | 급기 댐퍼 |
KR101386725B1 (ko) | 2013-12-30 | 2014-04-29 | 씨원건설(주) | 크린룸용 도어 |
KR101581239B1 (ko) | 2014-12-09 | 2015-12-31 | (주)태성이엠씨 | 유로 선택형 댐퍼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공조시스템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43007B1 (ko) | 2019-10-14 | 2020-08-10 | 주식회사 화인엠택 | 단열 구조를 갖는 방화문 |
KR20220119878A (ko) * | 2021-02-22 | 2022-08-30 | 주식회사 에스앤에프시스템 | 제연 겸용 방화문 시스템 |
KR102507082B1 (ko) * | 2021-02-22 | 2023-03-07 | 주식회사 에스앤에프시스템 | 제연 겸용 방화문 시스템 |
CN115434626A (zh) * | 2022-08-24 | 2022-12-06 | 重庆几维科技有限公司 | 一种建筑智能化防盗装置 |
CN115434626B (zh) * | 2022-08-24 | 2023-12-29 | 重庆几维科技有限公司 | 一种建筑智能化防盗装置 |
CN116212271A (zh) * | 2023-03-07 | 2023-06-06 | 成都市兴三维玻璃制造有限公司 | 一种防火灭火罩 |
CN116212271B (zh) * | 2023-03-07 | 2023-11-21 | 成都市兴三维玻璃制造有限公司 | 一种防火灭火罩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32622B1 (ko) | 방화문 | |
KR101597891B1 (ko) |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 |
KR102167186B1 (ko) | 비상 탈출이 가능한 도어 장치 | |
KR102082664B1 (ko) | 통합 제연 시스템 | |
KR20070001065U (ko) | 에어커튼기기를 이용한 제연방법 및 그 장치 | |
KR101638406B1 (ko) | 빌딩의 화재 확산지연을 위한 제연 시스템 | |
KR101934034B1 (ko) |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 |
KR20150146294A (ko) |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급기댐퍼 및 제어방법 | |
KR102622256B1 (ko) | 자동 차압 급기 댐퍼 및 그의 시스템 | |
KR102263178B1 (ko) | 노유자 거주공간의 화재대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대피 방법 | |
KR101932620B1 (ko) | 차압조절 기능을 갖는 방화문 | |
KR101720746B1 (ko) |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매연을 제거하는 매연제거장치 | |
KR101893348B1 (ko) | 차압조절장치를 구비하는 방화문 | |
KR101893347B1 (ko) | 방화문 | |
KR101549219B1 (ko) | 측면 가이드가 구비된 방연용 에어커튼 장치 | |
KR101826906B1 (ko) | 방화용 통풍형 개폐장치 | |
KR102080793B1 (ko) | 건물 내 제연을 위한 레버형 제연 댐퍼 및 레버형 제연 댐퍼를 이용한 통합 제연 시스템 | |
KR101597890B1 (ko) |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 |
KR102394431B1 (ko) | 제연 댐퍼 | |
KR20160131512A (ko) | 엘리베이터 홀 환기 시스템 | |
KR200393246Y1 (ko) | 제연장치 | |
JP3941588B2 (ja) | アトリウムの防災システム | |
CN112459681A (zh) | 一种具备阻隔有害气体流通功能的高阻燃钢木质防火门 | |
KR200353393Y1 (ko) | 다기능 댐퍼 | |
KR102447913B1 (ko) | 누기량 성능이 개선된 자동 차압 제연급배기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