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3556Y1 - 도어의 환기 구조 - Google Patents

도어의 환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3556Y1
KR200413556Y1 KR2020060001575U KR20060001575U KR200413556Y1 KR 200413556 Y1 KR200413556 Y1 KR 200413556Y1 KR 2020060001575 U KR2020060001575 U KR 2020060001575U KR 20060001575 U KR20060001575 U KR 20060001575U KR 200413556 Y1 KR200413556 Y1 KR 2004135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ventilation
opening
side plate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15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현
Original Assignee
김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현 filed Critical 김기현
Priority to KR20200600015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35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35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35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4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with ventilation wings
    • E06B7/06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with ventilation wings with one ventilation wing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에 관련되며, 구성에 있어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상기 도어(1)의 내측판재(1a)에 개방구(12)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12)와 대응하는 외측판재(1b)상에 다수의 통공(14)이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환기유로(10); 상기 환기유로(10)의 외측판재(1b)에 인접하게 장착되고, 일단에 제1삽입홈(22)이 형성되어 압착봉(22a)에 의해 필터부재(F)가 설치되고, 내측면에 "ㄷ"자의 형태로 제2삽입홈(24)이 형성되어 패킹(P)이 개재되는 고정테(20); 및 상기 환기유로(10)에 수용되어 일단에 구비되는 힌지(H)를 축으로 개폐되고, 타단에 도어록(L)이 설치되어 잠금/해제되는 환기도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출입구에 설치되는 현관문과 같은 도어상에 실내ㆍ외부로 연통되는 환기구와 함께 환기유로를 개폐하는 환기도어를 설치하여 도어를 열지 않고서도 실내공기의 환기가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또한 단열패드가 환기도어내부에 충진된 단열재와 함께 실외측판을 구성하여 실내ㆍ외부로 열전달이 긴밀하게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도어, 환기, 창호, 필터, 패킹, 단열

Description

도어의 환기 구조{The ventilating devise of doo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환기도어가 설치된 도어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환기도어가 설치된 도어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3은 도 1의 A - A'선을 절단하여 도어의 환기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도 1의 B - B'선을 절단하여 도어의 환기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기도어의 개폐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a 내지 6b는 도 5의 도어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환기유로 12: 개방구 14: 통공
20: 고정테 22: 제1삽입홈 22a: 압착봉
24: 제2삽입홈 30: 환기도어 32: 지지프레임
34: 측판 36: 단열고정구
본 고안은 도어의 환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출입구에 설치되는 현관문과 같은 도어상에 실내ㆍ외부로 연통되는 환기구와 함께 환기유로를 개폐하는 환기도어를 설치하여 도어를 열지 않고서도 실내공기의 환기가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또한 단열패드가 환기도어내부에 충진된 단열재와 함께 실외측판을 구성하여 실내ㆍ외부로 열전달이 긴밀하게 차단되는 도어의 환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발코니 외기 또는 창틀, 출입구 등의 개구부상에는 외부로부터의 기상변화 또는 외적인 침입으로부터 실내를 외계와 차단하기 위해 창이나 문과 같은 각종의 창호가 설치되는 바, 근자에 시공되고 있는 창호는 건축기술의 고도화로 인해 실내의 기밀성이 극도로 유지됨에 따라 밀폐된 실내공간이 환기부족으로 인해 발코니의 마루와 벽체, 창유리 등에 곰팡이의 번식을 초래하여 위생환경을 위협하거나 실내에 각종 가스, 먼지, 연기, 취기, 세균 등이 항상 공존하므로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이에 대부분 아프트나 주택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수시로 베란다 문, 창문과 함께 현관문을 완전히 개방하여 실내공기를 순식간에 환기시키고 있지만, 도둑침입에 따른 불안감으로 인해 방범창살이 설치된 창문이나 베란다 문만을 개방할 뿐 대체로 현관문을 개방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그리고, 복도식 아파트는 현관문을 개방할 경우, 복도의 통행로를 침범하므로 옆집주민들의 통행에 불편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무방비상태로 개방된 출입구를 통하여 실내공기가 환기되는 동안 여름철 파리, 모기 등의 해충침입은 물론 흙, 먼지, 모래, 낙엽, 쓰레기 등과 같은 이물질이 함께 유입되어 실내환경이 도리어 오염되는 폐단이 따른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출입구에 설치되는 현관문과 같은 도어상에 실내ㆍ외부로 연통되는 환기구와 함께 환기유로를 개폐하는 환기도어를 설치하여 도어를 열지 않고서도 실내공기의 환기가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또한 단열패드가 환기도어내부에 충진된 단열재와 함께 실외측판을 구성하여 실내ㆍ외부로 열전달이 긴밀하게 차단되는 도어의 환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1)의 내측판재(1a)에 개방구(12)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12)와 대응하는 외측판재(1b)상에 다수의 통공(14)이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환기유로(10); 상기 환기유로(10)의 외측판재(1b)에 인접하게 장착되고, 일단에 제1삽입홈(22)이 형성되어 압착봉(22a)에 의해 필터부재(F)가 설치되고, 내측면에 "ㄷ"자의 형태로 제2삽입홈(24)이 형성되어 패킹(P)이 개재되는 고정테(20); 및 상기 환기유로(10)에 수용되어 일단에 구비되는 힌지(H)를 축으로 개폐되고, 타단에 도어록(L)이 설치되어 잠금/해제되는 환기도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환기도어(30)는 내부에 단열부재(A)가 수용된 상태로 실내측면이 측판(34)에 의해 마감되는 지지프레임(32)과, 지지프레임(32)과 측판(34)사이에 결속되어 실외측면으로 노출된 단열부재(A)에 테두리부분을 구속하는 단열고정구(3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환기도어(30)의 도어록(L) 또는 환기도어(30)를 개방시 도어록(L)과 면접되는 도어(1)의 실내측판(1a)상에 고정자석(38)을 설치하여 환기도어(30)가 개방된 상태로 위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상기 환기유로(10')와 환기도어(30')가 서로 대응하는 상ㆍ하단에 가이드레일(42)과 가이드롤러(44)를 구비하면서 도어(1)의 내ㆍ외측판재(1a)(1b)사이에 공간부(46)를 형성하여 환기도어(30')가 미닫이방식으로 개폐되도록 설치되고, 환기유로(10')의 실내측판(1a)과 환기도어(30')의 측판(34')이 이격된 상태로 풍서란(48)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환기도어가 설치된 도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환기도어가 설치된 도어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 - A'선을 절단하여 도어의 환기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4는 도 1의 B - B'선을 절단하여 도어의 환기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고안은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에 관련되며, 이때 도어(1)는 외형을 구성하는 프레임(1c)의 실내ㆍ외측면에 내측판재(1a)와 외측판재(1b)를 장착하되, 내ㆍ외측판재(1a)(1b)사이에 열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우레탄, 글라스울, 폴리에스테르 등과 같은 단열부재(A)가 충진된다. 도어(1)는 출입구의 문틀프레임(2)상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실내공기를 환기시키는 환기 구조를 가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환기 구조는 환기유로(10), 고정테(20), 환기도어(30)등을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환기유로(10)는 도어(1)의 내측판재(1a)에 개방구(12)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12)와 대응하는 외측판재(1b)상에 다수의 통공(14)이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환기유로(10)는 도어(1)상에 실내ㆍ외부로 연통되도록 형성된 유로로서, 도어(1)의 실내측판(1a) 중앙부에 개방구(12)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12)와 대응하는 실내측판(1b)에 다수의 통공(14)이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된다.
이때, 상기 개방구(12)와 통공(14)은 테두리부분이 도어(1)내측으로 절곡되는 바, 여기서 개방구(12)는 도 3과 같이 단면형상이 "ㄱ"자의 형태로 절곡되어 환기유로(10)의 입구를 깔끔하게 마감함은 물론 실내측판(1a)을 프레임(1c)상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통공(14)은 상기 개방구(12)와 동일하게 단면형상이 "ㄱ"자의 형태로 절곡하되, 후술하는 필터부재(F)에 근접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통공(14)을 통하여 실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분산되지 않고 필터부재(F)를 통하도록 유도함은 물론 외측판재(1b)의 중앙부분에 강도를 보강하는 힘살역활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개방구(10)가 형성된 도어(1)의 실내ㆍ외측판재(1a)(1b)는 실내ㆍ외부의 기온차에 의한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해 프레임(1c)상에 단열패드(P1)를 부착하여 실내ㆍ외측판(1a)(1b)은 물론 프레임(1c)이 서로 면접되지 않도록 체결됨과 더불어 후술하는 환기도어(30)와 환기유로(10)사이의 틈새에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환기유로(10)의 내경부에 풍서란(P2)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고정테(30)는 환기유로(10)의 외측판재(1b)에 인접하 게 장착되고, 일단에 제1삽입홈(22)이 형성되어 압착봉(22a)에 의해 필터부재(F)가 설치되고, 내측면에 "ㄷ"자의 형태로 제2삽입홈(24)이 형성되어 패킹(P)이 개재된다. 고정테(20)는 알루미늄이나 합성수지 등과 같이 가공성이 우수한 소재를 일정한 단면형상으로 길게 제작한 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된다. 고정테(20)는 일단에 제1삽입홈(22)이 형성되면서 타단이 도어(1)의 외측판재(1b)와 인접한 프레임(1c)상에 볼트등으로 체결되고, 도 3의 확대도와 같이 실내측면에 "ㄷ"자 형상으로 일단이 개방된 제2삽입홈(2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삽입홈(22)은 고정테(20)가 환기유로(10)의 내경부에 설치된 상태로 필터부재(예컨대, 그물망, 에어필터, 항균필터 등)(F)의 테두리부분이 압착봉(22a)과 함께 결속되는 바, 여기서 압착봉(22a)은 제1삽입홈(22)에 삽입은 물론 이탈이 용이하도록 합성수지, 고무 등과 같이 연질의 소재를 이용하여 환봉형태로 제작되므로 필터부재(F)의 오염으로 인한 세척 및 교체에 따른 편이성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제2삽입홈(24)은 고정테(20)의 실내측면 즉, 후술하는 환기도어(30)의 실외측면에 구비된 단열고정구(36)와 대응하는 일면에 패킹(P)이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함몰되는 홈으로서, 상기 환기유로(10)상에 설치된 후술하는 환기도어(30)를 닫을 경우 단열고정구(36)와 면접된 상태로 기밀성이 유지됨과 더불어 고정테(20)와 환기도어(30)사이에 열전도가 차단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환기도어(30)는 환기유로(10)에 수용되어 일단에 구비되는 힌지(H)를 축으로 개폐되고, 타단에 도어록(L)이 설치되어 잠금/해제된다. 환기도어(30)는 상기 환기유로(10)의 내경부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되고, 도 4 와 같이 일단에 힌지(H)를 축으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면서 타단에 도어록(L)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잠금/해제되는 바, 여기서 상기 도어록(L)의 전면 또는 환기도어(30)를 개방시 도어록(L)과 면접되는 도어(1)의 실내측판(1a)상에 고정자석(38)이 설치되어 환기도어(30)가 개방된 상태로 위치 고정된다. 고정자석(38)은 도어(1)의 실내측판(1a)이 금속판재로 제작됨에 따라 도어록(L)의 재질을 고려하여 도어록(L)상에만 국부적으로 부착하거나 도어록(L)과 실내측판(1a)이 서로 대응하는 면에 각각 부착된다.
이때, 상기 환기도어(30)는 내부에 단열부재(A)가 수용된 상태로 실내측면이 측판(34)에 의해 마감되는 지지프레임(32)과, 지지프레임(32)과 측판(34)사이에 결속되어 실외측면으로 노출된 단열부재(A)에 테두리부분을 구속하는 단열고정구(36)가 구비된다. 환기도어(30)는 도 4의 확대도와 같이 외형테두리를 구성하는 지지프레임(32)내부에 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흡음단열재 등의 단열부재(A)가 충진된 상태로 실내측면에 측판(34)을 장착하되, 여기서 측판(34)은 도어(1)의 실내ㆍ외측판(1a)(1b)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판재로서 환기도어(30)의 실내측면을 구성함은 물론 테두리부분이 "ㄱ"자 형태로 절곡되어 지지프레임(32)의 외경부를 수용한 상태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환기도어(30)의 실외측면은 단열부재(A)가 노출된 상태로 단열고정구(36)에 의해 테두리부분이 국부적으로 지지되는 바, 이때 단열고정구(36)는 단열성이 우수한 고무 또는 합성수지 등의 소재를 "ㄱ"자 형상으로 제작되고, 일단에 돌출부가 지지프레임(32)과 측판(34)사이에 결속된 상태로 타단의 돌출부가 단 열부재(A)에 맞물려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속된다.
이처럼, 상기 환기도어(30)의 실외측면이 지지프레임(32)내부에 충진되는 단열부재(A)로 구성되어 단열소재인 단열고정구(36)에 의해 구속됨에 따라 실내ㆍ외부의 기온차가 심한 여름이나 겨울철에 환기도어(30)를 닫을 경우, 환기도어(30)의 실내ㆍ외측면을 통한 열전달이 차단되어 단열성능이 향상되는 이점이 따른다.
작동상에 있어서, 실내ㆍ내외부의 기온차가 심한 여름이나 겨울철에 냉ㆍ난방에 따른 에너지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창호를 닫고 실내부의 기밀성을 유지하는 바, 이로 인해 냉ㆍ난방효율은 향상되나 환기부족으로 인한 밀폐된 실내공간의 공기가 탁해지거나 오염되면 환기도어(30)를 주기적으로 개방하여 실외공기의 유입은 물론 실내공기를 배출시키는 바, 이때 실외공기는 도어(1)의 실외측판(1b)에 통공(14)을 통하여 필터부재(F)를 거쳐 흙, 모래, 먼지, 해충 등과 같은 이물질이 제거된 맑은 공기가 실내부로 유입되므로 실내공간이 항상 쾌적하게 유지된다.
또한, 봄, 가을과 같이 실내ㆍ외부의 기온차가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자연환기를 위하여 도어(1) 즉, 현관문은 닫은 상태로 환기도어(30)만을 개방하여 실내ㆍ외공기를 순환시키므로 복도식 아파트의 경우 주민들의 통행로인 복도를 침범하지 않고서 환기가 이루어짐은 물론 실내공간을 환기시키는 동안 도둑의 침입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기도어의 개폐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6a 내지 6b는 도 5의 도어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 내지 도 6에서, 상기 환기유로(10')와 환기도어(30')가 서로 대응하는 상ㆍ하단에 가이드레일(42)과 가이드롤러(44)를 구비하면서 도어(1)의 내ㆍ외측판재(1a)(1b)사이에 공간부(46)를 형성하여 환기도어(30')가 미닫이방식으로 개폐되도록 설치되고, 환기유로(10')의 실내측판(1a)과 환기도어(30')의 측판(34')이 이격된 상태로 풍서란(48)이 구비된다. 상기 환기유로(10')는 도 6a 내지 6b와 같이 환기도어(30')의 외경부와 대응하는 내경부에 환기도어(30')의 가장자리부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ㄷ"자의 형상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단열패킹(P')을 설치하되, 이때 환기도어(30')의 양단 중 어느 일단에 대응하는 측단에 공간부(46)가 형성된다. 공간부(46)는 환기도어(30')의 가로사이즈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고, 가이드레일(42)과 가이드롤러(44)를 타고 미닫이방식으로 개방되는 환기도어(30')를 수용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레일(42)과 가이드롤러(44)는 환기유로(10')와 환기도어(30')가 대응하는 상ㆍ하단에 서로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환기도어(30')가 환기유로(10')상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송되도록 지지되는 바, 도 6a에서처럼 환기도어(30')의 상단에 가이드롤러(44)가 설치되고, 이와 대응하는 환기유로(10')의 내경부 상단에 가이드레일(42)이 장착되어 환기도어(30')가 매달린 상태로 슬라이드 이송되며, 이때 환기도어(30')의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42)이 일체로 절곡되어 환기유로(10')의 하단에 설치된 가이드롤러(44)와 맞물려 이송중에 유격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환기유로(10')의 실내측판(1a)과 환기도어(30')의 측판(34')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풍서란(48)이 구비됨에 따라 전도에 의한 열전달이 차단됨과 더불어 기밀성이 유지되어 냉ㆍ난방에 따른 열효율이 향상됨은 물론 실내ㆍ외부의 기온편차에 의한 결로현상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환기유로(10')상에서 가이드레일(42)과 가이드롤러(44)를 타고 좌우 이송되는 환기도어(30')를 개폐함에 있어 환기도어(30')가 개방되거나 닫힌 위치에서 쉽게 위치가 가변되지 않고 정지상태가 유지되도록 도 5의 확대도와 같이 환기도어(30')의 상단에 설치된 가이드롤러(44)의 측단과 이와 대응하는 환기유로(10')의 측면에 암수구조로 맞물리는 스톱부재(45)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 내지 도 6에서 미설명 부호 39는 사용자가 환기도어(30')를 개폐시 손으로 잡고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손잡이로서, 환기도어(30')의 측판(34')을 일체로 절곡하거나 손잡이부분만을 별도의 제작공정을 통하여 가공후 별도의 후공정을 통하여 측면에 부착된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며,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 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출입구에 설치되는 현관문과 같은 도어상에 실내ㆍ외부로 연통되는 환기구와 함께 환기유로를 개폐하는 환기도어를 설치하여 도어를 열지 않고서도 실내공기의 환기가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또한 단열패드가 환기도어내부에 충진된 단열재와 함께 실외측판을 구성하여 실내ㆍ외부로 열전 달이 긴밀하게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1)의 내측판재(1a)에 개방구(12)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12)와 대응하는 외측판재(1b)상에 다수의 통공(14)이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환기유로(10);
    상기 환기유로(10)의 외측판재(1b)에 인접하게 장착되고, 일단에 제1삽입홈(22)이 형성되어 압착봉(22a)에 의해 필터부재(F)가 설치되고, 내측면에 "ㄷ"자의 형태로 제2삽입홈(24)이 형성되어 패킹(P)이 개재되는 고정테(20); 및
    상기 환기유로(10)에 수용되어 일단에 구비되는 힌지(H)를 축으로 개폐되고, 타단에 도어록(L)이 설치되어 잠금/해제되는 환기도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환기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도어(30)는 내부에 단열부재(A)가 수용된 상태로 실내측면이 측판(34)에 의해 마감되는 지지프레임(32)과, 지지프레임(32)과 측판(34)사이에 결속되어 실외측면으로 노출된 단열부재(A)에 테두리부분을 구속하는 단열고정구(3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환기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도어(30)의 도어록(L) 또는 환기도어(30)를 개방시 도어록(L)과 면 접되는 도어(1)의 실내측판(1a)상에 고정자석(38)을 설치하여 환기도어(30)가 개방된 상태로 위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환기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유로(10')와 환기도어(30')가 서로 대응하는 상ㆍ하단에 가이드레일(42)과 가이드롤러(44)를 구비하면서 도어(1)의 내ㆍ외측판재(1a)(1b)사이에 공간부(46)를 형성하여 환기도어(30')가 미닫이방식으로 개폐되도록 설치되고, 환기유로(10')의 실내측판(1a)과 환기도어(30')의 측판(34')이 이격된 상태로 풍서란(48)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환기 구조.
KR2020060001575U 2006-01-18 2006-01-18 도어의 환기 구조 KR2004135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575U KR200413556Y1 (ko) 2006-01-18 2006-01-18 도어의 환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575U KR200413556Y1 (ko) 2006-01-18 2006-01-18 도어의 환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3556Y1 true KR200413556Y1 (ko) 2006-04-07

Family

ID=41763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1575U KR200413556Y1 (ko) 2006-01-18 2006-01-18 도어의 환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3556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64876A2 (ko) * 2008-12-04 2010-06-10 Jeong Aui-Bong 통풍구가 형성된 창호
KR101893348B1 (ko) 2018-05-18 2018-08-30 채희만 차압조절장치를 구비하는 방화문
KR101893347B1 (ko) 2018-05-18 2018-08-30 채희만 방화문
KR101932622B1 (ko) 2018-08-20 2018-12-26 민규식 방화문
KR101932620B1 (ko) 2018-08-20 2018-12-26 민규식 차압조절 기능을 갖는 방화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64876A2 (ko) * 2008-12-04 2010-06-10 Jeong Aui-Bong 통풍구가 형성된 창호
WO2010064876A3 (ko) * 2008-12-04 2010-09-23 Jeong Aui-Bong 통풍구가 형성된 창호
KR101893348B1 (ko) 2018-05-18 2018-08-30 채희만 차압조절장치를 구비하는 방화문
KR101893347B1 (ko) 2018-05-18 2018-08-30 채희만 방화문
KR101932622B1 (ko) 2018-08-20 2018-12-26 민규식 방화문
KR101932620B1 (ko) 2018-08-20 2018-12-26 민규식 차압조절 기능을 갖는 방화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7137B2 (en) Pet door panel storm window
US20100115877A1 (en) Sash for windows and doors with attachable and detachable rails
CA2880531C (en) Window/door system with flat track having "c"-shaped roller supports
KR200413556Y1 (ko) 도어의 환기 구조
US20150247358A1 (en) Window and door system having easily changeable structure
KR101508484B1 (ko) 기밀성이 향상된 레일 은폐형 미서기창
KR101888927B1 (ko) 잠금기능을 가지는 환기용 창틀 가이드
JP2006274537A (ja) 浴室ドア
KR20100008892A (ko) 방충 및 방범 기능을 갖는 창문의 설치구조
KR100647792B1 (ko) 환기 도어
KR200472327Y1 (ko) 슬라이딩 이중창
KR20110090557A (ko) 창틀이 없는 삼중 창호의 구조
KR20180134240A (ko) 캠핑카용 창문
KR20160120633A (ko) 창호 시스템
KR101558513B1 (ko) 2중 망사구조를 갖는 그물형 방범창 구조체
KR20080047112A (ko) 공기정화용 창호
KR200362408Y1 (ko) 환기 유니트
JP2538138Y2 (ja) ペット用出入口装置
KR20110064527A (ko) 듀얼밸류 단열 복합 문테 없는 창호 프레임 구조
KR101256407B1 (ko) 기능성 방충망 구조
CN201416373Y (zh) 建筑通用外门窗遮阳一体化结构
KR200196848Y1 (ko) 환기창이 설치된 현관문
JP7369087B2 (ja) 建具
JP7377158B2 (ja) 建具
KR100906089B1 (ko) 방한용 비닐 커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