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7112A - 공기정화용 창호 - Google Patents

공기정화용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7112A
KR20080047112A KR1020060117046A KR20060117046A KR20080047112A KR 20080047112 A KR20080047112 A KR 20080047112A KR 1020060117046 A KR1020060117046 A KR 1020060117046A KR 20060117046 A KR20060117046 A KR 20060117046A KR 20080047112 A KR20080047112 A KR 20080047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air
filter
external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7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권
Original Assignee
김상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권 filed Critical 김상권
Priority to KR1020060117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7112A/ko
Publication of KR20080047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71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3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introduction of outside air to the ro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2007/023Air flow induced by fa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정화용 창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실이나 사무실 또는 주거용 공간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창 구조를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하부에 레일을 갖는 창틀 프레임 상에 외부창(100)과 내부창(200), 필터모듈(410) 및 전동팬(500)으로 구성된 공기정화용 이중창에 있어서, 상기 외부창(100)은 고정형의 외부고정창(120)과 그 외부고정창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미닫거나 여닫는 것이 가능한 미닫이창이나 여닫이창으로 형성되는 외부이동창(110)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창(200)은 고정형의 내부고정창(220)과 그 좌측 또는 우측으로 여닫거나 미닫는 것이 가능한 여닫이창이나 미닫이창으로 구성되는 내부이동창(210)으로 구성되되, 상기 외부이동창(110)에는 소통공(601)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용 창호을 제공한다.
공기정화, 필터, 격벽, 창호, 환기

Description

공기정화용 창호{WINDOW SYSTEM FOR AIR CLEAN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용 창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용 창호의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용 창호의 필터모듈에 대한 개념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외부창 200 : 내부창
310 : 공기유입실 320 : 중앙공기실
410 : 필터모듈 500 : 전동팬모듈
본 발명은 공기정화용 창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창의 개방없이 또한 외기를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여 내부로 공급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교 실이나 사무실 또는 주거용 공간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창 구조를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물에는 건물 내부의 공기순환과 적절한 조명을 위하여 창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창의 재질로 초기 목재창의 경우는 단순히 바람막이용으로만 사용되었으며 목재의 제작 단조로움으로 방음이나 보온기능에는 별다른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이후, 내구성과 강도가 우수하고 창호의 색상 및 형태를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 알루미늄창과, 열전도율이 낮고 내열기능이 우수하며 조립시 누수발생이 적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PVC창 등이 보급되고 있다.
또한, 상기 사용되는 창의 형태상으로는 미닫이, 여닫이 또는 복합형으로 구분되고 창은 창틀과 닫힘 일원형 창문으로 구성되어 하나의 창틀에 두개 또는 네개의 닫힘 일원형 창문이 장착돼 좌.우로 열고 닫는 미닫이창과 하나의 창틀에 막힘 일체형 창문이 장착돼 좌·우로 열고 닫는 여닫이창 및 상기 두 형식이 적당히 결합된 복합창이 사용되고 있으며 재료로는 목재, 금속재 또는 피브이씨 등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주택에서 많이 사용되는 미세기창의 경우는 방범상 가장 큰 문제를 야기하고 있어 창문을 잠그는데 신경을 써야하고 방범 창틀이 외부에 버젓이 자리를 잡고 있어 외관상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생활의 질이 높아 감에 따라 여름과 겨울철 냉·난방이 보편화되어 직접적인 환기 방식인 기존의 창들은 공기 조절 효율이 낯은 실정으로서 냉·난방 가동시에는 간접적인 방식의 환기로 공 기 조절 효율을 높이는 것 또한 창이 지녀야 할 사항이고 외부로 노출된 방범창틀들 또한 도시 미관상 좋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또한, 동절기에 창호의 외부창을 전면적으로 개방한 상태에서 외기를 정화하여 실내로 유입시 실내난방을 저해하는 점도 문제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창의 개폐없이 소통공을 통해 외기를 유입시킴은 물론 필요에 따라 외기를 가열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수단을 구비한 공기정화용 창호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외부창과 내부창간의 간격을 좁게하여도 중앙공기실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모듈에 정압실을 형성하여 필터의 전체면적을 통한 공기정화를 가능케 할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에 레일을 갖는 창틀 프레임 상에 외부창과 내부창을 갖는 공기정화용 창호에 있어서, 상기 외부창과 내부창 사이에는 일정간격을 갖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는 격벽형 에어필터인 필터모듈에 의해 공기유입실 및 중앙공기실으로 분획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외부창의 외부이동창에 소통공을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 외기를 가열하여 실내에 공급할 수 있는 가열수단을 구비한 전동 팬을 구비한 창호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공기정화용 창호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용 창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용 창호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부에 레일을 갖는 창틀 프레임 상에 외부창(100)과 내부창(200), 필터모듈(410) 및 전동팬모듈(5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창(100)과 내부창(200) 사이에는 일정간격을 갖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는 격벽형 에어필터인 상기 필터모듈(410)에 의해 공기유입실(310)과 중앙공 기실(320)으로 분획되어진다.
한편, 상기 외부창(100)은 개폐가 되지않는 고정형의 외부고정창(120)과 그 외부고정창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미닫거나 여닫는 것이 가능한 미닫이창이나 여닫이창으로 형성되는 외부이동창(11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내부창(200)은 개폐가 되지않는 고정형의 내부고정창(220)과 그 좌측이나 우측으로 여닫거나 미닫는 것이 가능한 여닫이창이나 미닫이창으로 구성되는 내부이동창(210)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내부고정창(220)의 상단면에는 상기 중앙공기실(320)로부터 정화된 공기를 저면으로부터 흡입하여 내부로 토출하여 유입시키는 전동팬모듈(500)이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 전동팬모듈의 작동상태 및 실내공기 오염도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및 조작반이 구비된 패널(510)이 부가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외부이동창(110)의 하단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외부이동창(110)의 개방없이도 외기가 상기 공기유입실로 유입될 수 있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 가능한 외기소통공(601)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모듈(410)은 상기 공기유입실(310)로부터 상기 중앙공기 실(320)로 유입되는 외기를 정화한다.
또한, 상기 필터모듈(410)은 상기 외부이동창(110) 및 상기 내부이동창(210)의 개페에도 불구하고 상기 공기유입실(310)과 중앙공기실(320)간의 분획을 유지하도록 외부고정창 프레임(121)과 내부고정창 프레임(321)에 상기 필터프레임의 돌출부(412)가 고정결합되고 창틀프레임에 상기 필터프레임의 상면 및 하면이 고정결합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용 창호의 필터모듈의 개략적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필터들이 층을 이루어 결합한 필터부(413)를 금속제 또는 프라스틱이나 목재 등의 재질로 된 필터프레임이(411)이 직사각형의 틀 모양으로 둘러싸는 형태로 구성되되, 그 필터프레임(411)의 양쪽으로 개방된 일단은 상기 필터부의 종단면과 그 면을 일치시키고, 다른 일단면은 돌출부(412)를 형성하여 상기 필터부의 다른 종단면보다 테두리 부분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프레임(411)의 돌출부(412)와 상기 필터부의 종단면 사이에는 직육면체의 공간인 필터정압실(414)을 형성하게된다. 상기 필터정압실은 필터의 전체적인 면을 이용해 공기가 정화될 수 있도록 유입되는 정화되는 공기의 압력이 필터의 일정영역에만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상기 필터정압실(414)은 상기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공기유입실로부터 중앙공기실로 외기를 정화하여 유입시킬때 유입되는 외기가 필터부의 전체적인 면을 이용하여 정화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즉, 상기한 필터부(413)를 상기한 외부고정창 프레임과 내부고정창 프레임 및 창틀 프레임 상에 밀착시켜 고정결합시키는 경우 상기한 중앙공기실의 간격(d)가 넓을 경우에는 외기 정화 과정에서 필터의 전체적인 면적을 이용한 정화가 가능할 것이나 상기한 중앙공기실의 간격(d)이 대략 15mm 내외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한 필터부의 전체적인 면적의 활용이 불가능하고 상기 중앙공기실의 간격(d)의 부분에서만 정화가 이루어져 정화효율이 떨어짐은 물론 필터부의 수명이 단축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필터정압실을 형성한 필터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외부고정창(120)과 내부고정창(220)의 간격을 좁게 형성한 창호시스템에서도 바람직한 정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부는 다수의 필터를 채택하여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지 등을 집진하는 망필터(414)와 카본필터(416)와 인체에 유해한 세균등을 정균하는 헤파필터(417)를 결합하고, 동절기에 외기가 실내 에 유입될 때 실내온도와의 차이가 큰 경우에 대비하여 미세중공을 갖는 단열부재(418)를 결합하여 채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열부재(418)는 필요에 따라 다수의 공기소통공을 형성한 면상발열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보다 효과적으로 유입되는 외기를 실내온도와 유사한 온도로 끌어 올릴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한 필터부의 구성은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할 것이며, 본 발명의 적용상황에 따라 다수의 필터를 그 용도에 맞게 적절히 결합하여 채택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즉, 통상적으로 공기 정화에 채택되는 필터로서 일반 망 필터, 프리필터(prefilter), 미디움필터, 헤파필터, 카본필터, 자외선필터등을 결합하여 채택하거나, 특히 부유세균을 정화할 목적이라면 항균필터, 헤파필터, 자외선필터, 오존발생장치가 포함된 필터 등을 채댁하여 결합해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전동팬모듈(500)은 내장된 적어도 1 이상의 팬(530)을 가동시켜 상기 전동팬모듈 케이스의 전면에 다수 형성된 토출공(520a,520b,520c)을 통해 그 케이스의 저면에 다수 형성된 유입공(미도시)을 통해 상기 중앙공기실로부터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유입한다. 또한, 상기 전동팬모듈에 내장된 적어도 1 이상의 팬 전단에는 필요에 따라 유입된 외기의 온도가 실내온도보다 지나치게 낮아 실내의 적정온도를 떨어뜨릴 수 있음에 대비하여 코일형태의 발열수단 또는 다수의 통 공을 형성한 면상발열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작동원리 내지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외기를 정화하여 실내로 유입하는 경우를 고찰하면, 사용자는 외부이동창을 개방한 상태에서 전동팬모듈을 가동시키면 외기가 공기유입실로 유입되어 필터모듈 에 의해 정화된 후 중앙공기실로 유입된다. 그 유입된 정화된 공기는 전동팬모듈의 저면을 통해 유입되어 팬의 구동에 따라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유입된다.
한편, 필요에 따라 상기 필터모듈의 종단이나 전동팬모듈의 전단에 부가되는 면상발열체 등에 의해 외기온도를 실내온도 수준으로 가열해 실내로 유입시킬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외부이동창의 개방없이 상기 외부이동창의 하단에 구비된 외기소통공(610)을 개방함으로써 외기를 상기 공기유입실로 유입시킬 수도 있다.
다음으로 실내공기를 정화하여 재공급하는 경우를 고찰하면, 사용자는 외부이동창을 폐쇄한 상태에서 내부이동창을 개방한 상태에서 전동팬모듈을 가동시키면 실내공기가 공기유입실로 유입되어 필터모듈에 의해 정화된 후 중앙공기실로 유입된다. 그 유입된 정화된 공기는 전동팬모듈의 저면을 통해 유입되어 팬의 구동에 따라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재유입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정화용 창호은 하부에 레일을 갖는 창틀 프레임 상에 외부창과 내부창을 갖는 공기정화용 창호로서, 상기 외부창과 내부창 사이에는 일정간격을 갖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는 격벽형 에어필터인 필터모듈에 의해 공기유입실 및 중앙공기실으로 분획됨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다양한 실내 정화 또는 환기 모드를 실현함은 물론, 공기정화 등을 위한 에어필터를 벽이나 창에 별도의 설치없이 창내에 설치함으로써 경제성 및 미관성으로 뛰어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창호은 창의 개폐에 따라 에어필터 등을 포함한 공기정화장치를 가동하거나 아니면 통상의 창의 자연통풍에 의한 간접환기시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창호 내의 에어필터는 외부 공기 오염원으로부터 오염물질을 차단하고 손쉽게 장탈착이 가능하므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필터모듈에 정압실을 형성하여 창호 사이의 간격을 좁게하여 시공하는 경우에도 필터의 전체면을 이용한 효율적인 공기정화를 실현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Claims (3)

  1. 하부에 레일을 갖는 창틀 프레임 상에 외부창(100)과 내부창(200), 필터모듈(410) 및 전동팬(500)으로 구성된 공기정화용 창호에 있어서,
    상기 외부창(100)은 개폐가 되지않는 고정형의 외부고정창(120)과 그 외부고정창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미닫거나 여닫는 것이 가능한 미닫이창이나 여닫이창으로 형성되는 외부이동창(110)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창(200)은 개폐가 되지않는 고정형의 내부고정창(220)과 그 좌측 또는 우측으로 여닫거나 미닫는 것이 가능한 여닫이창이나 미닫이창으로 구성되는 내부이동창(210)으로 구성되되,
    상기 외부이동창(110)에는 소통공(601)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용 창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통공(601)은 외부이동창(110)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이동창(110)의 개방없이도 외기가 공기유입실로 유입될 수 있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용 창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동팬(500)은 내장된 적어도 1 이상의 팬(530)을 가동시켜 상기 전동팬 케이스의 전면에 다수 형성된 토출공(520a,520b,520c)을 통해 그 케이스의 저면에 다수 형성된 유입공(미도시)을 통해 상기 중앙공기실로부터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유입하되,
    상기 전동팬에 내장된 적어도 1 이상의 팬 전단에는 코일형태의 발열수단 또는 다수의 통공을 형성한 면상발열체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용 창호.
KR1020060117046A 2006-11-24 2006-11-24 공기정화용 창호 KR200800471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7046A KR20080047112A (ko) 2006-11-24 2006-11-24 공기정화용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7046A KR20080047112A (ko) 2006-11-24 2006-11-24 공기정화용 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7112A true KR20080047112A (ko) 2008-05-28

Family

ID=39663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7046A KR20080047112A (ko) 2006-11-24 2006-11-24 공기정화용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711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860B1 (ko) * 2008-11-11 2012-06-12 (주)엘지하우시스 공기압 조절 이중 창호
KR101302744B1 (ko) * 2008-12-05 2013-08-30 (주) 에이에이치씨 시스템창 디벨류 커튼월 창
CN103353153A (zh) * 2013-06-15 2013-10-16 朱幕松 转换式空气净化器
CN106761201B (zh) * 2017-01-17 2018-05-01 泉州施米德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可净化空气的智能上悬窗及其控制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860B1 (ko) * 2008-11-11 2012-06-12 (주)엘지하우시스 공기압 조절 이중 창호
KR101302744B1 (ko) * 2008-12-05 2013-08-30 (주) 에이에이치씨 시스템창 디벨류 커튼월 창
CN103353153A (zh) * 2013-06-15 2013-10-16 朱幕松 转换式空气净化器
CN103353153B (zh) * 2013-06-15 2015-12-02 朱幕松 转换式空气净化器
CN106761201B (zh) * 2017-01-17 2018-05-01 泉州施米德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可净化空气的智能上悬窗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9544B1 (ko) 공기 자동정화 창문
KR102188972B1 (ko)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
KR20080047103A (ko) 정압실을 형성한 격벽형 에어필터를 이용한 공기정화용창호
KR20130017658A (ko) 환기장치
CN107036223A (zh) 多功能室内新风空调设备
KR20080047112A (ko) 공기정화용 창호
KR20080047121A (ko) 공기정화용 이중창
KR100837499B1 (ko) 사계절용 실내공기 환기와 정화 및 자동 시스템의 이중복합창
KR100980199B1 (ko) 창호용 환기장치의 장착연결구조
KR20080047119A (ko) 정압실을 형성한 격벽형 에어필터를 이용한 공기정화용이중창
CN105444281A (zh) 一种安装于门窗洞上口的新风与空气净化系统
KR20110004319A (ko) 시스템 창호
KR20200113529A (ko) 실내 환기 및 공기정화 창문
CN205000868U (zh) 具有空气净化功能的窗框
CN205156170U (zh) 安装于门窗洞上口的新风与空气净化系统
KR100675621B1 (ko) 창짝의 환기구조 및 그의 설치방법
CN104453648B (zh) 一种从建筑门窗引入新风和空气净化的系统
CN209978202U (zh) 一种用在建筑物构件上的多功能空气净化装置
KR102005985B1 (ko) 창문의 먼지 유입 방지장치
CN205536133U (zh) 呼吸式防雾霾空气净化窗单元模块
KR101877723B1 (ko) 공기정화순환 기능을 갖는 금속창호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순환 방법
KR102586808B1 (ko) 공기청정기 겸용 환기시스템 프레임 구조
CN111379511A (zh) 新风换气的空气净化装置节能舒适门窗系统及解决方案
CN206683170U (zh) 防盗门、推拉窗专用空气净化新风机
CN1995678B (zh) 翼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