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5621B1 - 창짝의 환기구조 및 그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창짝의 환기구조 및 그의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5621B1
KR100675621B1 KR1020050132891A KR20050132891A KR100675621B1 KR 100675621 B1 KR100675621 B1 KR 100675621B1 KR 1020050132891 A KR1020050132891 A KR 1020050132891A KR 20050132891 A KR20050132891 A KR 20050132891A KR 100675621 B1 KR100675621 B1 KR 100675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insertion hole
window
hole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2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헌
양진영
Original Assignee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2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56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5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5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4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with ventilation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의 환기를 위하여 사용되는, 창짝의 환기구조 및 그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 사용하고 있는 창짝(100')의 구조 등을 변경하여, 본 발명 구성의 창짝(100)을 통하여 자연대류 방식으로, 외기와 내기의 압력 차이에 의하여 외부공기가 실내로 유입 및 실내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어, 자연적으로 환기가 될수 있도록 구성된 창짝의 환기구조 및 그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 기술의 실내의 환기를 위하여, 환기 휀 등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환기 장치의 문제점인 환기에 따른 소음이 발생 되지 않으며, 전력비 추가 발생 및 상기 환기장치의 부착으로 인한 미관이 저하되며, 유지보수가 곤란하며, 제작시의 제작공수가 증가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가 있는 동시에,
특히 청결한 외부 공기를 실내로 유입 할수가 있으며, 특별한 유지 보수가 필요 없고, 상기 환기 성능 외에 3중 차음 구성으로 탁월한 방음성능 및 현재 사용되고 있는 모든 창에 접목하여 사용 할수가 있으며, 그의 설치 및 사용이 용이한 등의 창짝의 환기구조 및 그의 설치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창짝, 고정구, 개폐조절판, 흡음재, 에어필터, 환기공, 비스홀, 창틀

Description

창짝의 환기구조 및 그의 설치방법 {ventilation equipment of pvc window}
도 1은 본 발명의 창짝을 분해 도시한 분해사시도 및 부분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의 창짝이 결합되어, 환기공이 개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확대 도시한 참고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창짝이 결합되어, 환기공이 폐쇄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확대 도시한 참고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고정구에 개폐조절판 및 에어필터,흡음재,지지구가 설치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참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환기공이 개방된 상태의 A-A'선의 참고 확대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환기공이 폐쇄된 상태의 A-A'선의 참고 확대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상의 고정구 내부에 지지구가 설치되어 사용되는 상태의 참고 단면도,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상의 고정구의 내부에 지지구가 설치되어 사용되는 상태의 참고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창짝의 설치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9는 종래의 환기장치가 부착된 창짝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참고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창짝
10 : 몸체
11 : 전면부 12 : 후면부
13,14 : 환기공 15 : 하부
16 : 상부 17,17' : 상,하부 비스홀
20 : 고정구
20a : 하부용 고정구 20b : 상부용 고정구
21,21' : 제1 삽입홀 22,22' : 제2 삽입홀
23,23' : 제3 삽입홀 24,24' : 제4 삽입홀
25,25' : 제5 삽입홀 26,26' : 제6 삽입홀
27,27' : 방음벽 28,28' : 측면
30 : 개폐조절판
31 : 본체 32 : 환기공
33 : 조절구체결홀 34 : 조절구
40,40' : 흡음재
50 : 에어필터
60,60': 지지구
61,61' : 본체 62,62' : 돌출테
63 : 공간
70,70' ; 창틀
80 : 실외 90 : 실내
100' : 창짝
101' : 환기장치 102',103' : 연결구
104',105' : 연결턱 106' : 유리
본 발명은 실내의 환기를 위한 창짝의 환기구조 및 그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아파트등의 고층건물의 증가추세에 따라 고층에 위치한 세대의 풍압의 중요성과 함께 실내 환기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따라서 건물설계시 중앙 공조 시스템으로 설계하여 건물의 전체적인 환기를 하고 있으나, 이로 인하여 각 세대에 제공되는 공기의 질에 대한 의구심이 발생 하고 있으며;
또한, 각 세대에 설치되어 있는 창짝의 소정부위를 개공하여 일부 사용하고 있으나, 외부공기에 유입되어 있는 먼지 및 소음이 그대로 실내로 유입되거나, 외 부공기의 유입을 제어 할수가 없어, 별도의 개폐장치를 창짝 외부에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바, 개폐장치의 구성상의 문제점으로 외부공기의 유입 및 차단을 정확히 제어 하기가 곤란 하였으며, 특히 상기 개폐장치가 외부로 노출됨으로 인하여 시야가 제한되어 조망권 침해 및 미관이 저하 되었으며, 그의 설치 및 사용이 용이하지 않은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는 별도로, 창짝 또는 상기 창짝 내에 설치되어 있는 유리를 일정면적 절단하여, 환기 휀 등의 전기를 이용한 환기 장치를 부착 사용하고 있으나, 환기에 따른 소음 발생 및 전력비가 추가 발생 되며, 이 또한 상기 환기 장치의 부착으로 인한 조망권 침해 및 미관이 저하되며, 유지보수 작업이 곤란하였으며, 제작시의 제작공수 및 설비비용이 증가되는 요인이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코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창짝(100')내의 유리(106')의 상,하부 외부면에 별도의 연결구(102',103')등을 설치하여, 상기 연결구(102',103')에 환기장치(101')를 부착,사용 하고 있으나, 이 또한 소비자가 사용시 환기장치(101')가 부착, 사용되는 면적 만큼의 조망권이 침해되고, 설치후 그의 유지보수 작업이 곤란 하였으며, 별도의 연결구(102',103')를 유리(106')의 상부 및 창짝의 하부면에 부착한 후, 환기장치(101')를 상기 연결구(102',103') 측면의 연결턱(104',105')에 설치하여야 함으로, 그의 설치가 번잡하였으며;
특히, 설치 후 사용시 상기 환기장치(101')가 외부로 이탈 되는 사용상의 문제점 및 상기 환기장치(101')를 유리(106')와 창짝(100')의 사이에 설치 사용 함으 로, 환기장치(101')가 차지하는 면적으로 인하여, 창짝(100')의 내풍압성 등의 물성이 저하 되었으며, 외부 공기에 함유되어 있는 먼지 및 소음이 그대로 실내로 전달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 하는 동시에 그의 설치 및 사용이 용이한 구조로 구성된 창호용 환기구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저 안출된 발명으로서, 종래 환기장치의 문제점인 조망권 침해 및 외부공기 유입시의 소음과 먼지의 실내 유입, 제어 곤란, 환기장치의 소음발생, 설비 비용 증가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가 있으며;
특히, 그의 설치 및 사용이 용이하며, 특별한 유지 보수를 할 필요가 없으며 바람 및 외압 등에 의한 내풍압성 등의 창짝의 물성이 저하 되는 것을 방지 할수가 있는 동시에, 탁월한 소음방지 효과를 가져올수 있는 구조로 구성 되어 있는 창짝의 환기구조 및 그의 설치방법을 제공 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 및 본 발명이 이루고저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 구성의 창짝은;
1) 몸체
2) 고정구
3) 개폐조절판
4) 흡음재
5) 에어 필터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키로 하며,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것은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본 발명이 이에 의하여 국한 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창짝을 분해 도시한 분해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창짝이 결합되어, 환기공이 개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확대 도시한 참고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창짝이 결합되어, 환기공이 폐쇄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확대 도시한 참고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본발명의 고정구에 개폐조절판 및 에어필터,흡음재가 설치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참고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환기공이 개방된 상태의 A-A'선의 참고 확대단면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환기공이 폐쇄된 상태의 A-A'선의 참고 확대단면도이며,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상의 고정구 내부에 지지구가 설치되어 사용되는 상태의 참고 단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상의 고정구의 내부에 지지구가 설치되어 사용되는 상태의 참고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 창짝의 설치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한바와 같이, 본 발명 구성의 창짝(100)은,
다수개의 환기공(13,14)이 전면부(11) 및 후면부(12)에 형성 되어 있는 몸체(10) 및;
상기 몸체(10) 내부의 상,하부(15,16)에 위치되어, 개폐조절판(30) 및 흡음재(40,40'), 에어필터(50)가 다수개의 삽입홀에 삽입, 고정되는 상,하부용고정구(20a,20b)로 형성된 고정구(20);
상기 고정구(20)의 삽입홀에 삽입, 좌우로 수평 이동이 됨으로서,상기 몸체전면부의 다수개의 환기공(13)과 일치 또는 불일치가 되는 다수개의 환기공(32)이 형성되어 있는 개폐조절판(30);
상기 고정구(20)의 삽입홀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전달되는 소음이 그 내부로 흡음되어 소음전달이 방지되는 흡음재(40,40');
상기 고정구(20)의 삽입홀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먼지가 실내로 전달 되는 것을 방지 하는 에어필터(50); 로 구성되어,
상부창짝 또는 측부창짝의 몸체(10)내부의 하부(15)에, 하부용 고정구(20a)를 삽입하여 그 측면(28)이 하부비스홀(17)의 외면에 거치되며, 상기 하부용 고정구(20a)와 동일한 구성의 고정구인, 상부용 고정구(20b)를 역배열로, 상기 몸체(10) 내부의 상부(16)에 삽입하여 그 측면(28')이 상부비스홀(17')의 외면에 거치가 되는 구조 및;
상기 상부용 고정구(20b)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홀과 하부용 고정구(20a)에 형성되어 있는 외측의 삽입홀에 에어필터(50)를 삽입,결합을 하여, 몸체(10)내부에서 상,하부용 고정구(20a,20b)가 위치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용 고정구(20b)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홀과 하부용 고정구(20a)에 형성되어 있는 내측 삽입홀에 개폐조절판(30)이 삽입되어 좌,우로 수평이동을 하여 사용하도록 구성 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 한바와 같이, 개폐조절판(30)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의 조절구(34)를 좌,우로 수평이동을 시킴으로서, 개폐조절판(30)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환기공(32)과 몸체(10)전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환기공(13)이 일치 됨으로서 환기가 되며, 평상시 미사용시에는 상기 개폐조절판(30)의 환기공(32)과 몸체(10)의 환기공(13)이 불일치 됨으로서, 외부공기의 유입 및 실내공기의 배출이 폐쇄가 되는 구조로, 창짝(100)을 통하여 직접 환기가 가능한 구조 및 그의 설치, 사용이 용이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10)는 전면부(11)의 상단 및 후면부(12)의 하단에, 장공형 홀 형태의 환기공(13,14)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 되어 있어, 외부공기가 상기 후면부(12)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환기공(14)을 통하여 몸체(10) 내부로 유입되어, 전면부(11)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환기공(13)을 통하여 실내로 유입 및 실내공기가 역 순서로 외부로 배출이 되는, 외부공기와 실내공기의 압력차이에 의한 자연 환기가 되는 구조로 구성 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10) 내부의 상,하부(15,16)에 측부 창짝과의 비스 결합을 위한 상,하부 비스홀(17,17')이 형성 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구(20)는, 동일 구성의 하부용 고정구(20a) 및 상부용 고정구(20b)를 몸체(10)의 내부에 역 배열로 설치 사용하는 구조로, 상기 몸체(10)내부의 하부(15)에 하부용 고정구(20a)를 삽입하여 그 측면(28)이 하부비스홀(17)의 외면에 거치 및 상부용 고정구(20b)를 상기 하부용 고정구(20a)와 역 배열로, 상기 몸체(10) 내부의 상부(16)에 삽입하여 그 측면(28')이 상부비스홀(17')의 외면에 거치되어 사용 하는 구조로,
도 4에 도시 한바와 같이, 상기 상,하부용 고정구(20a,20b)의 상부에
Figure 112005077575101-pat00001
형태의 제 1,2삽입홀(21,21',22,22')이 형성되어 있고, 그 측면에
Figure 112005077575101-pat00002
형태의 제 3삽입홀(23,23')이 형성 되어 있으며, 그 외부에 45도 각도로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일자형 돌출테인 방음벽(27,27')이 형성 되어 있고, 그 하부에
Figure 112005077575101-pat00003
형태의 제 4삽입홀(24,24')이 형성 되어 있으며, 그 저면에
Figure 112005077575101-pat00004
형태의 제 5삽입홀(25,25')및
Figure 112005077575101-pat00005
형태의 제 6삽입홀(26,26')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하부용 고정구(20a)의 제 1삽입홀(21) 및 상부용 고정구(20b)의 제 6 삽입홀(26')에 개폐조절판(30)을 삽입하여, 개폐조절판(30)이 그 내부에서 좌,우로 수평 이동이 가능한 구조 및,
상기 하부용 고정구(20a)의 제 6삽입홀(26) 및 상부용 고정구(20b)의 제 1삽입홀(21')에 에어필터(50)가 삽입되어, 외부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의 유입이 방지되는 구조로 구성 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부용 고정구(20a,20b)의 제 2삽입홀(22,22') 및 제 4삽입홀(24,24')에 외부에서 전달되는 소음이 그 내부로 흡음되어 소음 전달이 1차로 방지되는, 흡음재(40,40')가 삽입, 결합되어 있는 구조 및,
상기 상,하부용 고정구(20a,20b)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일자 형태의 돌출테인 방음벽(27,27')이 서로 대응되어 설치,사용 됨으로서, 외부에서 전달되는 소음이 2차로 차단 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바와 같이, 상기 개폐조절판(30)은 직육면체 판형태의 본체(31) 및 본체(31)에 상기 몸체(10)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형 홀 형태의 다수개의 환기공(13)과 동일한 환기공(32)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 되어 있으며,
그 중앙부위에 암나사형의 조절구체결홀(33)이 형성되어 있어, 숫나사형의 조절구(34)를 상기 조절구체결홀(33)에 체결하여, 조절구(34)를 좌,우로 수평이동을 시킴으로서,
상기 개폐조절판(30)이 상, 하부용 고정구(20a,20b)의 상기 삽입홀 내에서 좌,우로 수평 이동이 되어, 개폐조절판(30)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환기공(32)이 몸체 전면부(11)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환기공(13)과 일치 또는 불일치 되어,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환기 또는 외부공기의 유입 및 실내공기의 배출이 폐쇄가 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음재(40,40')는 오픈 셀 구조의 스펀지로서, 상기 고정구(20)인 상,하부용 고정구(20a,20b)의 상기 삽입홀에 각기 삽입, 결합되어 외부에서 전달되는 소음을 그 내부로 흡음하여 소음전달을 방지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상기 에어필터(50)는 고정구(20)인 상,하부용 고정구(20a,20b)의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먼지가 실내로 전달 되는 것을 방지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상기 삽입홀 내에서 좌,우로 수평 이동이 가능하여, 교환할 필요가 있을 경우는 분리 교환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80)의 공기가 몸체 (10)의 후면부(12)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환기공(14)을 통하여 몸체(10)내부로 유입되며, 유입시 에어필터(50)에 의하여 먼지가 제거된 상태로 유입 되어;
그 상,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흡음재(40,40')에 의하여 소음이 그 내부로 흡음되어 1차로 제거 및 상,하부의 서로 대응되는 방음벽(27,27')에 의하여 2차로 제거된 상태로;
개폐조절판(30)의 조절구(34)를 좌우로 수평 이동시켜, 개폐조절판(30)의 환기공(32)과 몸체(10)의 전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환기공(13)을 일치 시킴으로서, 상기 환기공을 통하여 실내로 외부공기가 유입 및 실내로 유입된 외부공기와 실내공기의 압력차에 의하여 실내공기가 역순서로 실외로 배출되는 자연대류방식을 이용하여, 창짝을 통하여 직접 환기를 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기가 필요치 않은 평상시에는 상기 개폐조절판(30)의 조절구(34)를 좌우로 수평 이동시켜, 개폐조절판(30)의 환기공(32)과 몸체(10)의 전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환기공(13)을 불일치 시킴으로서, 외부공기의 유입 및 실내공기의 배출이 폐쇄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7a 및 도 7b에 도시 한바와 같이, 상기 하부용 고정구(20a)의 제 5삽입홀(25) 및 상부용 고정구(20b)의 제 3삽입홀(23')과, 상기 하부용 고정구(20a)의 제 3삽입홀(23) 및 상부용 고정구(20b)의 제 5삽입홀(25')에,
알루미늄 재질의 "Ⅰ"자형의 본체(61,61') 및 상기 본체의 일 측면에 돌출테(62,6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지지구(60,60')를 상기 삽입홀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를 설치하는 구조로 구성하여;
상기 상,하부용 고정구(20a,20b))가 몸체(10) 내부의 상,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비스홀(17,17')에 그 측면(28,28')이 각기 거치 된 상태로, 그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다수개의 지지구(60,60')의 본체(61,61') 및 그 측면에 형성된 돌출테(62,62')가 흡음재(40,40')에 맞닿아 몸체(10)의 내부에서 견고히 지지가 되며,
지지구(60,60')가 상기 삽입홀 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 됨으로 인하여, 각 지지구와 지지구 사이의 공간(63)을 통하여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구조로 구성 할수도 있으며;
본원 발명에 적용되는 몸체(10)를 상부창짝 또는 측부창짝 몸체 만이 아닌, 하부창짝의 몸체에도 동일한 기술구성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 창짝의 설치 방법에 대하여 설명키로 한다.
도 8에 도시한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S1 단계 내지 S5 단계의 설치방법을 거쳐 설치가 완료 되게 된다.
1) 창짝의 해당 몸체(10)의 전면부(11) 상단 및 후면부(12) 하단을 개공기로 개공하여 다수개의 장공형의 환기공(13,14)을 형성한다 ; ( S1 단계 / 창짝의 환기공 형성단계)
2) 다수개의 삽입홀(21,22,23,24,25,26) 및 일자 형태의 돌출테인 방음벽(27)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구(20a)의 제 2삽입홀(22) 및 제 4삽입홀(24)에 소음방지재인 오픈셀 구조의 스펀지인 흡음재(40)를 삽입,결합한다 ; ( S2 단계 / 고정구에 흡음재 결합단계)
3) 상기 몸체(10) 내부의 하부(15)에, 상기 고정구(20a)를 삽입하여 그 측면(28)이 상기 몸체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비스홀(17)의 외면에 거치되게 하며, 상기 고정구(20a)와 동일한 구성의 고정구를, 상부용 고정구(20b)로 사용하여 상기 몸체 내부의 상부(16)에 삽입, 상기 고정구(20a)와 역 배열로 위치 및 그 측면(28')이 상기 몸체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비스홀(17')의 외면에 거치 되도록 한다 ; ( S3 단계 / 고정구의 몸체 내부 역 배열 위치 및 거치 단계)
4) 상기 고정구(20a)와 상부용 고정구(20b)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홀 중, 외측에 해당하는 제 6삽입홀(26) 및 제 1삽입홀(21')에 에어필터(50)를 삽입,결합을 하여, 외부공기의 먼지를 제거 및 상기 고정구(20a) 및 상부용 고정구(20b)가 몸체(10) 내부에 위치되게 한다 ; ( S4 단계 / 삽입홀에 에어필터 결합 및 고정구의 몸체 내부 지지 형성단계)
5) 상기 고정구(20a)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홀 중, 내측에 해당하는 제 1삽입홀(21)과 상부용 고정구(20b)에 형성되어 있는 제 6삽입홀(26')에, 상기 몸체 전면부(11)에 형성되어 있는 환기공(13)과 동일한 환기공(32)이 형성되어 있는 개폐조절판(30)을 삽입 및, 상기 개폐조절판(30)의 암나사형 조절구체결홀(33)에 숫나사형 조절구(34)를 체결, 사용 함으로서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 ( S5 단계 / 개폐조절판의 몸체내부 삽입 및 조절구 체결, 설치완료 단계)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은 그의 설치 및 사용이 용이하며, 사용시 특별한 유지 보수를 할 필요가 없으며, 외부공기 유입시 전달되는 소음을 1,2차로 반지 및 먼지를 제거하여, 소음 및 먼지가 실내로 전달 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 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창짝 및 유리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환기장치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방식이 아닌, 창짝 자체를 통하여 직접 환기를 함으로서, 바람 및 외압 등에 의한 창짝의 내풍압성 등의 물성이 저하 되는 것을 방지 할 수가 있으며, 외부공기의 유입 을 정확히 제어 할수 있는 구조로 구성 되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구성에 의한 창짝은;
종래기술의 유리가 설치되어 있는 창짝(40) 또는 유리의 상,하부에 설치 사용되는 환기장치 등의 문제점인, 조망권 침해 및 외부공기 유입시의 소음과 먼지의 실내 유입, 제어 곤란, 환기장치의 소음발생, 설비 비용 증가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가 있으며;
특히, 그의 설치 및 사용이 용이하며, 설치 후 특별한 유지 보수를 할 필요가 없으며, 바람 및 외압 등에 의한 창짝의 내풍압성 등의 물성이 저하 되는 것을 방지 할 수가 있는 동시에, 외부공기 유입시 전달되는 소음을 1,2차로 방지하여 탁월한 소음방지 효과를 가져올수가 있으며, 청결한 외부공기를 실내로 제공하여, 인체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등의 효과를 가져올수 있는 매우 유익한 발명이다.

Claims (8)

  1. 실내 환기를 위한 창짝용 환기구조에 있어서,
    환기를 위한 다수개의 환기공(13,14)이 전,후면부(11,12)에 형성 되어 있는 몸체(10) 및;
    상기 몸체(10)내의 상,하부(15,16)에, 동일 구성의 하부용 고정구(20a) 및 상부용 고정구(20b)가 역 배열로 각기 위치 됨으로서, 다수개의 삽입홀(21,21',
    22,22',23,23',24,24',25,25',26,26')을 형성, 상기 삽입홀에 개폐조절판(30),흡음재(40,40'),에어필터(50)가 삽입되어 결합 또는 수평 이동 되는 고정구(20);
    상기 몸체(10)의 전면부(11)에 형성된 다수개의 환기공(13)과 동일한 다수개의 환기공(32)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구(20)의 삽입홀에 삽입, 좌우로 수평 이동이 됨으로서, 몸체 전면부의 환기공(13)과 환기공(32)이 일치 또는 불일치가 되는 개폐조절판(30); 으로 구성되어,
    상기 개폐조절판(30)이, 고정구(20)의 삽입홀(21,26')내에서 좌,우로 수평이동 됨으로서, 공기의 유입 또는 차단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 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100)의 환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용 고정구(20a,20b)가 그 상부에
    Figure 112007000972391-pat00006
    형태의 제 1,2 삽입홀(21,21',22,22')이 형성되어 있고, 그 측면에
    Figure 112007000972391-pat00007
    형태의 제 3삽입홀(23,23')이 형성 되어 있으며, 그 외부에 45도 각도로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일자형 돌출테인 방음벽(27,27')이 형성 되어 있고, 그 하부에
    Figure 112007000972391-pat00008
    형태의 제 4삽입홀(24,24')이 형성 되어 있으며, 그 저면에
    Figure 112007000972391-pat00009
    형태의 제 5삽입홀(25,25')및
    Figure 112007000972391-pat00010
    형태의 제 6삽입홀(26,26')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홀에 개폐조절판(30),흡음재(40,40'),에어필터(50)를 설치 및;
    몸체(10) 내부의 상,하부 비스홀(17,17')에 그 측면(28,28')이 각기 거치되는 구조로 구성 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의 환기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조절판(30)이 그 중앙부위에 암나사형 조절구체결홀(33)이 형성되어, 숫나사형 조절구(34)가 상기 조절구체결홀(33)에 체결되어, 상기 조절구(34)가 좌,우로 수평이동이 되어, 개폐조절판(30)이 동시에 수평 이동이 되는 구조로 구성 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의 환기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용 고정구(20a,20b)의 제 2삽입홀(22,22') 및 제 4삽입홀(24,24')에 흡음재(40,40')가 각기 삽입,결합되어 외부에서 전달되는 소음이 그 내부로 흡음되어, 소음 전달이 방지되는 구조로 구성 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의 환기구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용 고정구(20a)의 제 5삽입홀(25) 및 상부용 고정구(20b)의 제 3삽입홀(23')과,
    상기 하부용 고정구(20a)의 제 3삽입홀(23) 및 상부용 고정구(20b)의 제 5삽입홀(25')에;
    "Ⅰ"자형의 본체(61,61') 및, 상기 본체의 일 측면에 돌출테(62,62')가 일체로 형성된 지지구(60,60')가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어,
    상기 본체(61,61') 및, 그 측면에 형성된 상기 돌출테(62,62')가 흡음재
    (40,40')에 맞닿아 고정구(20a,20b)가 몸체(10)의 내부에서 지지가 되며, 상기 지지구와 지지구 사이의 공간(63)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구조로 구성 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의 환기구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용 고정구(20a)의 제 6삽입홀(26) 및 상부용 고정구(20b)의 제1 삽입홀(21')에 에어필터(50)가 삽입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먼지가 실내로 전달 되는 것을 방지 함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의 환기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가 상부 또는 측부, 하부 창짝인 몸체 임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의 환기구조.
  8. 다음과 같은 S1 내지 S5의 단계로 설치 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를 위한 창짝의 설치방법;
    1) 창짝의 해당 몸체(10)의 전면부(11) 상단 및 후면부(12) 하단을 개공기로 개공하여 다수개의 장공형의 환기공(13,14)을 형성한다 ; ( S1 단계 / 창짝의 환기공 형성단계)
    2) 다수개의 삽입홀(21,22,23,24,25,26) 및 일자 형태의 돌출테인 방음벽(27)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구(20a)의 제 2삽입홀(22) 및 제 4삽입홀(24)에 소음방 지재인 오픈셀 구조의 스펀지인 흡음재(40)를 삽입,결합한다 ; ( S2 단계 / 고정구에 흡음재 결합단계)
    3) 상기 몸체(10) 내부의 하부(15)에, 상기 고정구(20a)를 삽입하여 그 측면(28)이 상기 몸체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비스홀(17)의 외면에 거치되게 하며, 상기 고정구(20a)와 동일한 구성의 고정구를, 상부용 고정구(20b)로 사용하여 상기 몸체 내부의 상부(16)에 삽입, 상기 고정구(20a)와 역 배열로 위치 및 그 측면(28')이 상기 몸체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비스홀(17')의 외면에 거치 되도록 한다 ; ( S3 단계 / 고정구의 몸체 내부 역 배열 위치 및 거치 단계)
    4) 상기 고정구(20a)와 상부용 고정구(20b)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홀 중, 외측에 해당하는 제 6삽입홀(26) 및 제 1삽입홀(21')에 에어필터(50)를 삽입,결합을 하여, 외부공기의 먼지를 제거 및 상기 고정구(20a) 및 상부용 고정구(20b)가 몸체(10) 내부에 위치되게 한다 ; ( S4 단계 / 삽입홀에 에어필터 결합 및 고정구의 몸체 내부 지지 형성단계)
    5) 상기 고정구(20a)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홀 중, 내측에 해당하는 제 1삽입홀(21)과 상부용 고정구(20b)에 형성되어 있는 제 6삽입홀(26')에, 상기 몸체 전면부(11)에 형성되어 있는 환기공(13)과 동일한 환기공(32)이 형성되어 있는 개폐조절판(30)을 삽입 및, 상기 개폐조절판(30)의 암나사형 조절구체결홀(33)에 숫나사형 조절구(34)를 체결, 사용 함으로서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 ( S5 단계 / 개폐조절판의 몸체내부 삽입 및 조절구 체결, 설치완료 단계)
KR1020050132891A 2005-12-29 2005-12-29 창짝의 환기구조 및 그의 설치방법 KR100675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2891A KR100675621B1 (ko) 2005-12-29 2005-12-29 창짝의 환기구조 및 그의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2891A KR100675621B1 (ko) 2005-12-29 2005-12-29 창짝의 환기구조 및 그의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5621B1 true KR100675621B1 (ko) 2007-01-30

Family

ID=38015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2891A KR100675621B1 (ko) 2005-12-29 2005-12-29 창짝의 환기구조 및 그의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56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52056A (zh) * 2010-06-28 2010-10-06 四川正升声学科技有限公司 一种有源通风隔声窗
KR101347806B1 (ko) * 2012-03-16 2014-01-03 노홍제 문에 구비된 환기장치
KR20160141096A (ko) * 2015-05-28 2016-12-08 여은석 에어커튼 기능을 가진 난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기재불비로 의견제출통지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52056A (zh) * 2010-06-28 2010-10-06 四川正升声学科技有限公司 一种有源通风隔声窗
KR101347806B1 (ko) * 2012-03-16 2014-01-03 노홍제 문에 구비된 환기장치
KR20160141096A (ko) * 2015-05-28 2016-12-08 여은석 에어커튼 기능을 가진 난로
KR101723483B1 (ko) * 2015-05-28 2017-04-07 여은석 에어커튼 기능을 가진 난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4449B1 (ko) 창호용 자연 환기장치
KR20130017658A (ko) 환기장치
KR100675621B1 (ko) 창짝의 환기구조 및 그의 설치방법
KR20090007577U (ko) 다중 기밀 방식의 창틀
KR20070024108A (ko) 슬라이드창호의 방음구조
KR101058417B1 (ko) 자동환기 가능한 창문틀
KR100980199B1 (ko) 창호용 환기장치의 장착연결구조
KR101354665B1 (ko) 방충 및 방범 기능이 동시에 부여되고, 물성성능이 강화된 창호 시스템
KR101112684B1 (ko) 창틀이 없는 삼중 창호의 구조
JP4460887B2 (ja) 自然換気装置
KR101758171B1 (ko) 행거식 미서기창이 구비된 커튼월
KR200387062Y1 (ko) 창짝의 환기구조
KR100648476B1 (ko) 창호용 환기장치
KR100536464B1 (ko) 건축용 밀폐 창틀 구조
KR101286260B1 (ko) 창호용 환기장치의 구조
KR200399109Y1 (ko) 창문틀 빗물 유입 방지판
RU120691U1 (ru) Вентиля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0586194B1 (ko) 건축물 출입문 구조
CN110847456A (zh) 建筑立面框架及建筑立面系统
JP4866024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構造
JP2011132719A (ja) カーテンウォール構造
KR20210055531A (ko) 창문형 공기청정기의 파티션 어셈블리
KR102586808B1 (ko) 공기청정기 겸용 환기시스템 프레임 구조
KR20120011487A (ko) 조립식 통풍 창호
KR102538734B1 (ko) 커튼월 구조를 갖는 환기 시스템의 창틀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