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483B1 - 에어커튼 기능을 가진 난로 - Google Patents

에어커튼 기능을 가진 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483B1
KR101723483B1 KR1020150074625A KR20150074625A KR101723483B1 KR 101723483 B1 KR101723483 B1 KR 101723483B1 KR 1020150074625 A KR1020150074625 A KR 1020150074625A KR 20150074625 A KR20150074625 A KR 20150074625A KR 101723483 B1 KR101723483 B1 KR 101723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late
inlet
stov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4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1096A (ko
Inventor
여은석
Original Assignee
여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은석 filed Critical 여은석
Priority to KR1020150074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483B1/ko
Publication of KR20160141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1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2Doors; Screens; Fuel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5Fireboxes; Frames; Hoods; Heat refl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나무, 톱밥 또는 종이 등 다양한 탄화물을 이용한 난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난로의 도어측에 에어커튼 기능을 구비하여 난로의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에도 난로에서 외부로 갑자기 불길이 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에어커튼 기능을 가진 난로에 관한 것으로서,
탄화물을 연소시켜 열원을 얻는 난로에 있어서, 상기 난로의 투입판 전면(11)에는, 상기 난로 내부로 탄화물을 투입하기 위한 전면투입구(117); 상기 전면투입구(117)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투입판 전면(11)에 형성된 힌지(11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일측에는 도어 개폐 손잡이(112)가 마련되며, 정면에는 투명창이 형성된 도어몸체(111)로 이루어지는 도어부(110); 상기 전면투입구(117)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도어부(110) 측으로 외부공기를 투입하기 위해 좌우로 다수 형성되는 공기유입구(116); 및 상기 공기유입구(116)의 일측에 형성되는 손잡이 슬롯(115);으로 구성되고, 상기 난로 투입판 배면(11a)에는, 상기 공기유입구(116)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공기량 조절판(125)이 구비되고, 상기 공기량 조절판(125)을 통해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난로의 내부측으로 공기를 유출시킴으로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에어커튼 형성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에어커튼 기능을 가진 난로{The stove to have a function of air curtain}
본 발명은 종래의 나무, 톱밥 또는 종이 등 다양한 탄화물을 이용한 난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난로의 도어측에 에어커튼 기능을 구비하여 난로의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에도 난로에서 외부로 갑자기 불길이 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에어커튼 기능을 가진 난로에 관한 발명이다.
근래에는 화석연료가 고갈되어감에 따라 태양열에너지나 풍력에너지 및 더 나아가 신재생에너지나 목재나 톱밥 또는 폐기물 등 소각이 가능한 탄화물을 이용한 에너지원이 각광받고 있다.
종래의 소각가능한 탄화물을 이용한 난로를 살펴보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4-0006397호는 에어커튼을 이용한 이동식 소각난로에 관한 것으로서, 나무나 폐기물을 소각하는 소각장치에 있어 대기 오염물질의 발생을 감소시키고, 피소각물의 투입이 용이하도록 공기 노즐을 외벽으로부터 안으로 공급해주고, 소각난로를 이동이 편리하도록 하여 장소에 구분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으며, 구성으로는 소각난로 본체 외벽에 부착된 노즐관을 통해 분사공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압에 의한 에어커튼 기능으로 소각난로 내부에 연소실을 다층으로 형성하게 되어 배기가스의 체류시간 확보와 2차 공기와의 혼합으로 인해 폐기물을 완전히 연소시켜 미연소 가스와 소각재, 그리고 고열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피소각물의 투입이 더욱 용이하도록 투입구를 측면에 부착하였고, 또한 소각난로의 본체 바닥에는 바퀴를 부착하여 이동이 편리하도록 한 소각난로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기술은 에어커튼 기능을 이용하기는 하나, 도어 자체에 대한 에어커튼 기능은 제시하지 않고 있다.
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9-0016801호는 톱밥 난로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내부를 개폐하는 메인 도어가 형성된 난로몸체 및 상기 난로 몸체 상에 연통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에 복수의 공기 흡입홀이 형성되며, 원뿔형의 로스톨이 내장되어 상기 난로 몸체 내로부터 공급된 초기 점화원에 의하여 내부에 수용된 톱밥이 연소되는 톱밥 연소통을 포함하되, 상기 메인 도어는 상기 난로 몸체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창이 결합되되,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프레임 및 상기 개구부 측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서브 도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개구부의 개방 시, 상기 난로 몸체 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상기 투명창의 내측에 에어 커튼이 형성된다. 그에 따라, 투명창 상부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상기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투명창 내측에 에어커튼을 형성함으로써, 톱밥의 연소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투명창의 그을림을 방지할 수 있어 톱밥 난로 내부의 아름다운 화염을 외부에서 볼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기술은 도어측에 서버도어를 설치하여 에어커튼을 형성하나 서버도어를 사용자가 직접 오픈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출원 제10-2012-0158665호는 연소효율이 우수한 목재형 난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훨훨 타오르는 불꽃을 감상할 수 있는 낭만과 운치를 더해주고, 충분한 공기유량을 확보하여 연소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하면서도 연소시 실내의 탁해진 상층부 공기를 집중적으로 유입하여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목재용 난로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상측에 배치된 연소공기 유입구에서 하측에 배치된 공기 유입덕트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흐름을 만들어 연소시 발생하는 연기가 상기 공기 유입덕트의 선단에 설치된 투시창으로 침입함을 방지하는 에어커튼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연소공기 유입구의 개도를 간편하게 조작하면서 연소공기의 유입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목재형 난로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기술은 투명창의 상부에 큰 구조물인 연소공기 유입구와 유입덕트를 설치하여 구조상 및 비용상으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출원 제10-2013-0084295호는 스마트 에어 시스템을 구비한 난로에 관한 것으로서, 자연 순환식 에어커튼이 구비되어 투시창의 그을음을 방지하고, 완전연소를 구현할 수 있는 스마트 에어 시스템을 구비한 난로에 관한 것이며, 이를 위해 일측에 도어를 구비한 난로에 있어서,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어 연소실에 의해 가열된 후 도어를 향해 배출되는 에어커튼 수단; 및 흡입된 외부 공기의 일부를 연소실 하부를 통해 연소실 내부로 공급하거나 연소실 배면을 통해 연소실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유동 방향을 전환하는 조절박스;를 포함하고, 도어를 향해 배출된 공기는 조절박스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와 혼합되어 연소 및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에어 시스템을 구비한 난로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기술은 내부의 연기를 이용하여 에어커튼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도어를 오픈하는 경우 연기가 새어나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외부의 공기가 직접 도어측으로 유입되면서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를 오픈하는 경우에도 화염이나 연기가 외부로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에어커튼 기능이 구비된 난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탄화물을 연소시켜 열원을 얻는 난로에 있어서, 상기 난로의 투입판 전면(11)에는, 상기 난로 내부로 탄화물을 투입하기 위한 전면투입구(117); 상기 전면투입구(117)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투입판 전면(11)에 형성된 힌지(11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일측에는 도어 개폐 손잡이(112)가 마련되며, 정면에는 투명창이 형성된 도어몸체(111)로 이루어지는 도어부(110); 상기 전면투입구(117)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도어부(110) 측으로 외부공기를 투입하기 위해 좌우로 다수 형성되는 공기유입구(116); 및 상기 공기유입구(116)의 일측에 형성되는 손잡이 슬롯(115);으로 구성되고, 상기 난로 투입판 배면(11a)에는, 상기 공기유입구(116)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공기량 조절판(125)이 구비되고, 상기 공기량 조절판(125)을 통해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난로의 내부측으로 공기를 유출시킴으로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에어커튼 형성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공기량 조절판(125)은, 상기 손잡이 슬롯(115)과 상기 공기유입구(116)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유입구(116)에 대응되는 공기량 조절구(125a)와, 상기 공기량 조절구(125a)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손잡이 슬롯(115)으로 삽입되는 손잡이(125b)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커튼 형성부(120)는, 상기 전면투입구(117)보다 작은 홀로 형성되는 배면투입구(128)가 구비된 배면판(127); 상기 배면판의 테두리에 부착되는 외측 테두리판(121); 및 상기 배면투입구(128)의 테두리를 따라 부착되는 내측 테두리판(122);으로 구성되어, 상기 외측 테두리판(121)과 상기 내측 테두리판(122)에 의해 공기통로(123)가 형성되며, 상기 배면판(127)은 상기 전면투입구(117)와 상기 공기량 조절판(125)을 커버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내측 테두리판(122)은 상기 전면투입구(117)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내측 테두리판(122)과 상기 전면투입구(117) 사이에 틈(126)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량 조절판(125)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틈(126)을 통하여 난로 내부측으로 유출되어 에어커튼을 형성한다.
또한, 배면투입구(128)는 전면투입구(117)보다 크게 형성되고, 내측 테두리판(122)은 외측 테두리판(121)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전면투입구(117)의 배면측에서 상기 내측 테두리판(122)과 틈(126)을 형성하여, 공기량 조절판(125)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틈(126)을 통하여 난로 내부측으로 유출되어 에어커튼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외부의 공기가 직접 도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를 오픈하는 경우에도 화염이나 연기가 외부로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측으로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난로 내부의 탄화물의 완전연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측에서 난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기 때문에 화염이 투명창으로 나오지 않아 그을음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난로 내부의 화염을 깨끗하게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커튼이 형성된 난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투입판의 전면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투입판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투입판의 배면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량 조절판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커튼형성부의 정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커튼형성부의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측면도.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커튼이 형성된 난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투입판의 전면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투입판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투입판의 배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량 조절판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커튼형성부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커튼형성부의 공기 흐름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난로(1)는 박스형상의 난로본체(10)로 이루어진다. 난로본체(10)는 난로본체의 전면을 형성하는 투입판(11)과, 난로본체(10)의 상부측에 마련되는 연통(12)과, 난로본체(10)를 지지하는 받침판(13)으로 구성된다.
투입판(11)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투입판(11)은 전면 상부에 조리부(140)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도어부(110)가 형성되며, 도어부(110)의 하부에는 공기량 주입을 위한 공기유입구(116)가 형성되고, 공기유입구(116)의 하부에는 공기량 조절도어부(130)가 형성된다. 조리부(140)는 조리함(142)과, 조리함이 투입되는 조리함 투입홀(141)과, 조리함(142)이 안착되는 조리함 보관부(143)로 구성된다. 조리부(140)는 고구마나 감자 등을 조리함(142)에 넣고 구워먹을 수 있고, 데워서 먹을 수 있는 그릇이 있는 경우에는 그릇 등에 음식을 넣은 후 데워서 먹을 수 있다. 공기량 조절도어부(130)는 난로(10)로 공기량을 투입하기 위한 것이다. 난로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여 난로 내부의 탄화물이 쉽게 연소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공기량 조절도어부(130)는, 조절도어부(130)의 일측에 조절도어부(130)의 개폐를 하기 위한 조절도어락(131)과, 조절도어락(131)을 고정하기 위한 조절도어락고정장치(133)과, 난로 내부로 투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공기량 조절 핸들(132)과, 도어부(130)을 열고 닫기 위한 힌지부(134)로 구성된다. 공기량 조절 핸들(132)을 회전시킴에 따라 개폐구를 조절하여 난로 내부로 투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한다.
도어부(1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를 형성하며 전면에 강화유리로 된 투명창을 가진 도어몸체(111)와, 상기 도어몸체(111)의 일측에 마련되어 손잡이 및 도어의 잠금기능을 하는 도어락(112)과, 도어락(112)을 고정하기 위한 도어락 고정장치(114)와, 도어몸체(111)의 타측에 형성되어 도어몸체(111)가 회전되어 개폐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힌지부(113)로 구성된다.
도어부(110)의 하부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유입구(116) 및 손잡이 슬롯(115)이 형성된다. 공기는 공기유입구(116)를 통해 공기량 조절판(120)을 거쳐 난로의 내부로 유입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투입판(111)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는 조리함 투입홀(141)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전면투입구(117)가 형성되며, 전면투입구(117)의 하부에는 공기유입구(116)과 손잡이 슬롯(115)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공기량이 난로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공기량 조절도어부(130)의 재털이 배출홀(135)이 마련되고, 전면투입구(117)와 재털이 배출홀(135)의 우측에는 힌지부(113, 134)가 마련된다. 재털이 배출홀(135)은 난로 내부에 안착되는 재털이를 빼내어 청소하기 위한 것임과 동시에 공기를 투입하기 위한 홀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투입구(117)는 에어커튼형성부)(120)의 내측 테두리판(122)과 소정의 틈(126)을 형성한다. 내측 테두리판(122)의 내측에는 탄화물을 투입하기 위한 배면투입구(128)가 형성된다.
도 3은 투입판(11)의 배면(11a)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는 조리함 보관부(143)가 마련되고, 조리함 보관부(143)의 하부에는 에어커튼형성부(120)가 마련되며, 에어커튼형성부(120)의 하부에는 재털이 배출홀(135)이 마련되어 있다.
도 4는 투입판(11)의 배면(11a)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판(127)은 투입판의 배면(11a)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부착된다. 부착되는 부분은 배면판(127)의 외측 테두리를 형성하는 외측 테두리판(121)이 배면(11a)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부착된다. 배면판(127)의 하부는 넓게 형성되고, 상부는 좁게 형성되며, 중앙측에는 탄화물 투입을 위한 배면투입구(128)이 형성된다. 배면판(127)의 하부는 상부보다 넓게 형성되고, 그 전방에 공기량 조절판(120)이 장착되어, 공기유입구(116)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한다.
도 5는 공기량 조절판(120)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량 조절판(120)은 직사각형의 판으로 형성되고, 조절판(120)의 일측에는 손잡이(125b)가 마련되고, 손잡이(125b)의 타측에는 손잡이(125b)를 움직임에 따라 공기유입구(116)를 통해 유입된 공기량의 투입을 조절하기 위한 공기량 조절구(125a)가 형성된다.
도 6은 에어커튼형성부(120)의 정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커튼형성부(120)는 전면투입구(117)와 함게 에어커튼을 형성한다. 에어커튼형성부(120)는 전면투입구(117)보다 작은 홀로 형성되는 배면투입구(128)가 구비된 배면판(127)과, 배면판(127)의 테두리에 부착되는 외측 테두리판(121)과, 배면투입구(128)의 테두리를 따라 부착되는 내측 테두리판(1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측 테두리판(121)과 내측 테두리판(122)은 배면판(127)과 더불어 공기통로(123)를 형성한다. 공기통로(123)는 공기량 조절판(125)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흐른 통로이다. 따라서 배면판(127)은 하부측에 공기량 조절판(125)을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측에 공기량 조절판(125)이 위치할 수 있도록 넓게 형성된다.
도 7은 공기유입구(116)를 통해서 공기가 유입되어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공기는 공기유입구(116)를 통해서 공기통로(123)로 유입되는데, 먼저 공기량 조절판(125)를 통해서 유입량이 조절될 수 있다. 공기량 조절판(125)은 공기량 조절구(125a)를 가지며, 공기량 조절구(125a)는 손잡이(125b)로 조절구의 개폐정도를 조절한다. 즉, 공기량 조절판(125)를 손잡이(125b)를 이용하여 손잡이 슬롯(115)을 따라 움직이면서 공기량 조절구(125a)의 개폐정도를 조절하게 된다. 공기량 조절판(125)의 조절구(125a)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공기통로(123)를 통해서 흘러가게 된다. 외측판 테두리(121)와 내측판 테두리(122)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통로(123)를 통해 공기가 흘러가면서 내측테두리판(122)과 전면투입구(117)에 의해 형성된 틈(126)을 통해서 공기는 흘러들어가게 되고, 난로 내부에서 탄화물이 연소되는 경우 화염은 공기에 의해 외부측으로 나오지 않게 된다. 또한 내측 테두리판(122)을 외측 테두리판(121)보다 더 짧게 형성하는 경우(미도시)에는, 전면투입구(117)보다 배면투입구(128)가 더 크게 형성되는 경우라도 틈(126)이 형성되어 에어커튼의 작용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전면투입구(117)의 배면측에 외측 테두리판(121)과 내측테두리판(122)이 공기통로(123)를 형성하고, 내측 테두리판(122)의 길이는 외측 테두리판(121)보다 짧아, 내측 테두리판(122)과 투입판 배면(11a) 사이에 틈(126)을 형성하여, 공기가 상기 틈(126)을 통하여 유출됨으로써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하부측에 공기흐름의 가이드(124)를 형성하여 하부의 공기가 상부로 올라갈 수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청구 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 : 난로
10 : 난로 본체 11 : 투입판
11a :투입판 배면 12 : 연통
13 : 받침판
110 : 도어부 111 : 도어몸체
112 : 도어락 113 : 힌지부
114 :도어락 고정장치 115 : 손잡이 슬롯
116 : 공기유입구 117 : 전면투입구
120 : 에어커튼형성부 121 : 외측 테두리판
122 : 내측 테두리판 123 : 공기통로
124 : 가이드판 125 : 공기량 조절판
126 : 틈 127 : 배면판
128 : 배면투입구
130 : 공기량 조절도어부 131 : 조절도어락
132 : 공기량 조절 핸들 133 : 조절도어락 고정장치
134 : 힌지부 135 : 재털이 배출홀
140 : 조리부 141 : 조리함 투입홀
142 : 조리함 143 : 조리함 보관부

Claims (5)

  1. 탄화물을 연소시켜 열원을 얻는 난로에 있어서,
    상기 난로의 투입판 전면(11)에는, 상기 난로 내부로 탄화물을 투입하기 위한 전면투입구(117); 상기 전면투입구(117)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투입판 전면(11)에 형성된 힌지(11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일측에는 도어락(112)이 마련되며, 정면에는 투명창이 형성된 도어몸체(111)로 이루어지는 도어부(110); 상기 전면투입구(117)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도어부(110) 측으로 외부공기를 투입하기 위해 좌우로 다수 형성되는 공기유입구(116); 및 상기 공기유입구(116)의 일측에 형성되는 손잡이 슬롯(115);이 구성되고,
    상기 난로 투입판 배면(11a)에는, 상기 공기유입구(116)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공기량 조절판(125)이 구비되고, 상기 공기량 조절판(125)을 통해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난로의 내부측으로 공기를 유출시킴으로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에어커튼 형성부(120);가 포함되며,
    상기 에어커튼 형성부(120)는, 상기 전면투입구(117)보다 작은 홀로 형성되는 배면투입구(128)가 구비된 배면판(127); 상기 배면판의 테두리에 부착되는 외측 테두리판(121); 및 상기 배면투입구(128)의 테두리를 따라 부착되는 내측 테두리판(122);으로 구성되어, 상기 외측 테두리판(121)과 상기 내측 테두리판(122)에 의해 공기통로(123)가 형성되고,
    상기 배면판(127)은, 상기 전면투입구(117)와 상기 공기량 조절판(125)을 커버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 기능을 가진 난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량 조절판(125)은,
    상기 손잡이 슬롯(115)과 상기 공기유입구(116)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유입구(116)에 대응되는 공기량 조절구(125a)와, 상기 공기량 조절구(125a)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손잡이 슬롯(115)으로 삽입되는 손잡이(125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 기능을 가진 난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투입구(128)는 상기 전면투입구(117)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내측 테두리판(122)과 상기 전면투입구(117) 사이에 틈(126)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량 조절판(125)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틈(126)을 통하여 난로 내부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 기능을 가진 난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투입구(128)는 상기 전면투입구(117)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내측 테두리판(122)은 상기 외측 테두리판(121)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전면투입구(117)의 배면측에서 상기 내측 테두리판(122)과 틈(126)을 형성하여, 상기 공기량 조절판(125)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틈(126)을 통하여 난로 내부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 기능을 가진 난로.
KR1020150074625A 2015-05-28 2015-05-28 에어커튼 기능을 가진 난로 KR101723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625A KR101723483B1 (ko) 2015-05-28 2015-05-28 에어커튼 기능을 가진 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625A KR101723483B1 (ko) 2015-05-28 2015-05-28 에어커튼 기능을 가진 난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096A KR20160141096A (ko) 2016-12-08
KR101723483B1 true KR101723483B1 (ko) 2017-04-07

Family

ID=57577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4625A KR101723483B1 (ko) 2015-05-28 2015-05-28 에어커튼 기능을 가진 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34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15502B1 (ja) * 2021-09-13 2022-02-03 有限会社富岡工業所 薪ストーブ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061Y1 (ko) * 2002-05-08 2002-08-14 정현진 벽난로 전면유리의 그을음 방지장치
KR100675621B1 (ko) * 2005-12-29 2007-01-30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창짝의 환기구조 및 그의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061Y1 (ko) * 2002-05-08 2002-08-14 정현진 벽난로 전면유리의 그을음 방지장치
KR100675621B1 (ko) * 2005-12-29 2007-01-30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창짝의 환기구조 및 그의 설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096A (ko) 2016-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0980B1 (ko) 스마트 에어 시스템을 구비한 난로
US20100154723A1 (en) ULTRA LOW NOx WATER HEATER
KR100679316B1 (ko) 화목 보일러
KR200486674Y1 (ko) 난로
KR101382093B1 (ko) 벽난로를 겸한 화목 보일러
JP2004077060A (ja) 薪ストーブ
GB2436869A (en) Multifuel stove with combined secondary and tertiary air inlet
KR101723483B1 (ko) 에어커튼 기능을 가진 난로
KR20160141097A (ko) 고효율 연소가 가능한 난로
CN209819584U (zh) 一种炉子
CN207907286U (zh) 一种户外取暖炉
KR100787863B1 (ko) 벽난로
KR200294584Y1 (ko) 벽난로용 에어 커튼장치
KR101694694B1 (ko) 연기 없이 오래 타는 고효율 화목난로
KR102437889B1 (ko) 공기순환식 고온연소 화목난로
KR101735639B1 (ko) 야외용 연소통
KR200384941Y1 (ko) 노출형 벽난로
KR20040009080A (ko) 훈제용 바베큐장치
KR101380464B1 (ko) 오븐실을 겸비한 하향연소식 난로
KR20160118705A (ko) 벽난로
KR20140135353A (ko) 화목 벽난로
KR101918730B1 (ko) 화덕 겸용 난로
KR101748730B1 (ko) 개폐도어용 에어커튼을 구비한 벽난로
CN108180505A (zh) 一种户外取暖炉
KR20150140881A (ko) 실내에 설치하는 화목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