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5639B1 - 야외용 연소통 - Google Patents

야외용 연소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5639B1
KR101735639B1 KR1020150071189A KR20150071189A KR101735639B1 KR 101735639 B1 KR101735639 B1 KR 101735639B1 KR 1020150071189 A KR1020150071189 A KR 1020150071189A KR 20150071189 A KR20150071189 A KR 20150071189A KR 101735639 B1 KR101735639 B1 KR 101735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main body
sealing
hinge
wal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1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6930A (ko
Inventor
이정우
Original Assignee
이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우 filed Critical 이정우
Priority to KR1020150071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5639B1/ko
Publication of KR20160136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6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2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o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2Doors; Screens; Fuel guar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본 발명은 야외에서 난방 및 음식의 조리가 가능하도록 목재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야외용 연소통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양측단부에 제1힌지홈이 형성되는 외벽체가 구성되며, 다수의 외벽체의 양측단부에 형성되는 제1힌지홈을 결합한 후 제1힌지구를 인입하여 고정시켜 상, 하부가 개방되어 사각형태로 이루어지는 본체; 상기 다수의 외벽체의 하부측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본체 내부에 마주하는 외벽체 중 어느 하나의 외벽체 내측에서 힌지회동되어 열원이 안착되고, 표면으로 열원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가 유입되는 타공이 다수 형성되는 안착체; 및 상기 본체 내부에 마주하는 외벽체 중 안착체가 형성되는 타측의 외벽체에 안착체의 선단이 접지되어 고정되는 고정체; 상기 본체 하부를 밀폐하는 밀폐부와, 상기 밀폐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되는 돌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부의 각 단부로 절개홈이 형성되는 재받이판; 상기 하부판의 절개홈을 통해 가이드되어 유입부의 개방되는 부위를 조절하도록 밀폐하는 밀폐판;이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연소통을 제공한다.
따라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벽체로 하여금 본체가 구성됨과 아울러 외부공기의 유입량을 밀폐판으로 조절 가능하여 본체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와류현상이 발생되어 화력이 세짐과 동시에 연소효율을 극대화시키고 외부로부터 화력을 보호하여 열손실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야외용 연소통{Combustion tube for outdoor}
본 발명은 야외에서 난방 및 음식의 조리가 가능하도록 목재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야외용 연소통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직으로 연장되는 외벽체가 상호 결합하여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를 형성하여 본체 내부로 공기의 와류현상을 발생시켜 연소효율을 높이면서도 외벽체는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휴대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야외용 연소통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도시생활에 지친 현대인들이 낚시, 캠핑과 같은 야외에서 즐길 수 있는 취미생활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야외에서 즐기는 취미생활에 의해 취사 및 체온을 유지하기 위한 스토브, 버너 등과 같은 제품들이 우후죽순 제작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야외용 스토브와 버너와 같은 경우 비교적 고가로 이루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열원이 기름이나 가스등으로 한정되어 있어 환경오염을 유발하면서도 안전사고에 노출되며, 휴대가 불편한 단점이 있어왔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펠릿이나 목재를 열원수단으로 사용하는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1220호와 같은 기술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상기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1220호는 부피가 크고 무게가 무거워 야외에서 사용 또는 운반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외부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흐르지 않아 열원으로 사용되는 펠릿 및 장작 등이 불완전 연소를 야기시켜 열효율이 저하됨과 동시에 다량의 재가 발생되어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여전히 존재하여 왔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1220호 (2013.01.3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외벽체가 상호 결합하여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를 형성하여 본체 내부로 공기의 와류현상을 발생시켜 연소효율을 높이면서도 외벽체는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휴대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야외용 연소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직으로 연장되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양측단부에 제1힌지홈이 형성되는 외벽체가 구성되며, 다수의 외벽체의 양측단부에 형성되는 제1힌지홈을 결합한 후 제1힌지구를 인입하여 고정시켜 상, 하부가 개방되어 사각형태로 이루어지는 본체; 상기 다수의 외벽체의 하부측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본체 내부에 마주하는 외벽체 중 어느 하나의 외벽체 내측에서 힌지회동되어 열원이 안착되고, 표면으로 열원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가 유입되는 타공이 다수 형성되는 안착체; 및 상기 본체 내부에 마주하는 외벽체 중 안착체가 형성되는 타측의 외벽체에 안착체의 선단이 접지되어 고정되는 고정체; 상기 본체 하부를 밀폐하는 밀폐부와, 상기 밀폐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되는 돌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부의 각 단부로 절개홈이 형성되는 재받이판; 상기 하부판의 절개홈을 통해 가이드되어 유입부의 개방되는 부위를 조절하도록 밀폐하는 밀폐판;이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연소통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안착체 및 고정체가 형성되지 않은 외벽체는 중앙을 구획하여 구획되는 단부에 제2힌지홈이 상호 결합되게 형성함과 아울러 결합된 제2힌지홈에 제2힌지구를 인입하여 제2힌지구를 기준으로 외벽체의 절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벽체로 하여금 본체가 구성됨과 아울러 외부공기의 유입량을 밀폐판으로 조절 가능하여 본체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와류현상이 발생되어 화력이 세짐과 동시에 연소효율을 극대화시키고 외부로부터 화력을 보호하여 열손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벽체에 형성된 제2힌지홈 및 제2힌지구로 하여금 외벽체에 절첩이 이루어져 본체의 부피를 줄인 상태에서 보관이나 휴대가 가능하여 야외에서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a), (b)는 본 발명의 외벽체가 절첩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안착체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 5는 본 발명에 의한 밀폐판이 재받이판에 가이드되어 유입부를 밀폐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바림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7(a), (b)은 본 발명에 의한 밀페체의 바림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거치홈에 조리체가 안착되는 바림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끼움공의 바림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0는 본 발명에 의한 인입공의 바림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야외용 연소통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본체(10) 내부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20), 본체(10) 내부에서 열원이 안착되는 안착체(30) 및 고정체(40), 본체(10) 하부를 밀폐하는 재받이판(50), 유입부(20)의 개방되는 부위를 조절하는 밀폐판(60)으로 구성되어진다.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열원이 연소되는 통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를 위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외벽체(11)가 상호 결합되어 사각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외벽체(11)가 상호 결합되어 본체를 이루는 형태는 외벽체(11)의 양측단부에 제1힌지홈(12)이 각각 형성되며, 결합하고자 하는 다수의 외벽체(11)의 양측단부에 형성되는 제1힌지홈(12)을 결합한 후 제1힌지구(13)를 인입하여 고정시킴으로서 상, 하부가 개방되어 사각 형태로 본체(10)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1힌지홈(12)은 결합하고자 하는 외벽체(11) 간에 상호 교번되게 형성되어 외벽체(11)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외벽체(11)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대략 30㎝ 내외로 형성되고 폭은 10㎝ 내외로 형성되어 효율적으로 공기의 와류현상을 발생시키게 된다. 즉, 외벽체(11)의 길이와 본체(10)의 폭은 약 3 : 1의 길이비율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본체(10)의 폭에 대한 외부공기 유입량과 유입된 외부공기가 최적으로 와류현상이 발생되는 비율이기 때문이다.
유입부(20)는 다수의 외벽체(11)의 하부측에 연소에 필요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되며, 다수 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안착체(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 내부에 마주하는 외벽체(11) 중 어느 하나의 외벽체(11) 내측에서 힌지회동되는 판의 형태로 이루어져 열원이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열원은 화력에 의해 연소되는 것으로 목재, 펠렛, 숯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안착체(30)는 표면으로 열원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가 유입되는 타공(31)이 다수 형성된다.
고정체(40)는 본체(10) 내부에 마주하는 외벽체(11) 중 안착체(30)가 형성되는 타측의 외벽체(11)에 안착체(30)의 선단이 접지되어 안착체가 열원이 안착될 있는 형태를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재받이판(5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하부를 밀폐하는 밀폐부(51)와, 상기 밀폐부(5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되는 돌출부(53)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부(53)의 각 단부로 절개홈(55)이 형성된다.
밀폐판(6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판(50)의 절개홈(55)을 통해 가이드되어 유입부(20)의 개방되는 부위를 조절하도록 밀폐되며, 재판이판(50)의 절개홈(55)으로 밀폐판이 가이드됨으로서 유입부(20)의 개방 정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본체(10) 내부로 외부공기의 유입량 또한 조절되어 열원의 연소에 의한 화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벽체(11)로 하여금 본체(10)가 구성됨으로서 본체(10) 내부로 공기의 와류현상이 발생되어 화력이 세짐과 동시에 연소효율을 향상시키고 외부로부터 화력을 보호하여 열손실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체(30) 및 고정체(40)가 형성되지 않은 외벽체(11)는 중앙을 구획하여 구획되는 단부에 제2힌지홈(14)이 상호 결합되게 형성함과 아울러 결합된 제2힌지홈(14)에 제2힌지구(15)를 인입하여 제2힌지구(15)를 기준으로 외벽체(11)의 절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즉, 안착체(30) 및 고정체(40)가 형성되지 않은 외벽체(11)에 절첩이 이루어져 본체(10)의 부피를 줄인 상태에서 보관이나 휴대가 가능하여 야외에서 사용이 편리한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면에서 도시하진 않았지만 절첩이 이루어지는 외벽체(11)의 양측으로 자성을 가지는 자성체 및 자성체와 접지되도록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접지체를 구비하여 외벽체(11)의 절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7(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상부에는 일측이 본체(10)의 외벽판(11)에 힌지체결되어 본체(10) 상부를 선택적으로 밀폐할 수 있는 밀폐체(70)가 구비되어 화력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본체(10) 내부 상태를 수시로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밀폐체(70)는 열원의 최초 발화단계에서 밀폐판(60)과 더불어 본체(10) 내부로 외풍의 유입을 방지하며, 연소에 필요한 외부공기는 유입부(20)를 통해 공급받게 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로 이루어지는 외벽체(11)의 상측 단부로 다수의 거치홈(17)이 형성되고, 금속판이 상호 교차되게 형성되어 상기 거치홈(17)에 안착되어 조리용기를 안착시킬 수 있는 조리체(80)가 구비되어 좀 더 효과적으로 조리용기를 고정시킬 수 있으면서도 야외에서 음식의 조리를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더불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주하는 외벽체(11)의 상부에 수평선상으로 일치하는 부위에 꼬치봉을 끼움시킬 수 있는 끼움공(19)이 형성되어 꼬치 요리도 조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체(11)의 전면으로 외부에서 점화가 가능하도록 토치와 같은 점화체가 외부에서 인입되는 인입공(h)이 형성된다.
10 : 본체 11 : 외벽체
12 : 제1힌지홈 13 : 제1힌지구
14 : 제2힌지홈 15 : 제2힌지구
17 : 거치홈 19 : 끼움공
20 : 유입부 30 : 안착체
31 : 타공 40 : 고정체
50 : 재받이판 51 : 밀폐부
53 : 돌출부 55 : 절개홈
60 : 밀폐판 70 : 밀폐체
80 : 조리체

Claims (6)

  1. 수직으로 연장되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외벽체(11)의 양측단부에 상호 접지 또는 결합되어 상, 하부가 개방되는 사각형태로 이루어지는 본체(10);
    상기 다수의 외벽체(11)의 하부측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20);
    상기 본체(10) 내부에 마주하는 외벽체(11) 중 어느 하나의 외벽체(11) 내측에서 힌지회동되어 열원이 안착되고, 표면으로 열원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가 유입되는 타공(31)이 다수 형성되는 안착체(30); 및 상기 본체(10) 내부에 마주하는 외벽체(11) 중 안착체(30)가 형성되는 타측의 외벽체(11)에 안착체(30)의 선단이 접지되어 고정되는 고정체(40);
    상기 본체(10) 하부를 밀폐하는 밀폐부(51)와, 상기 밀폐부(5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되는 돌출부(53)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부(53)의 각 단부로 절개홈(55)이 형성되는 재받이판(50);
    상기 재받이판(50)의 절개홈(55)을 통해 가이드되어 유입부(20)의 개방되는 부위를 조절하도록 밀폐하는 밀폐판(60);이 포함되고,
    상기 외벽체(11)는 양측단부에 제1힌지홈(12)이 형성되며, 다수의 외벽체(11)의 양측단부에 형성되는 제1힌지홈(12)을 결합한 후 제1힌지구(13)를 인입하여 고정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안착체(30) 및 고정체(40)가 형성되지 않은 외벽체(11)는 중앙을 구획하여 구획되는 단부에 제2힌지홈(14)이 상호 결합되게 형성함과 아울러 결합된 제2힌지홈(14)에 제2힌지구(15)를 인입하여 제2힌지구(15)를 기준으로 외벽체(11)의 절첩이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10)의 상부에는 일측이 본체(10)의 외벽판(11)에 힌지체결되어 본체(10) 상부를 선택적으로 밀폐할 수 있는 밀폐체(70)가 구비되고,
    상기 다수로 이루어지는 외벽체(11)의 상측 단부로 다수의 거치홈(17)이 형성되고, 금속판이 상호 교차되게 형성되어 상기 거치홈(17)에 안착되어 조리용기를 안착시킬 수 있는 조리체(80)가 구비되고,
    상기 마주하는 외벽체(11)의 상부에 수평선상으로 일치하는 부위에 꼬치봉을 끼움시킬 수 있는 끼움공(19)이 형성되고,
    상기 외벽체(11)의 길이와 본체(10)의 폭은 3 : 1의 길이비율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연소통.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50071189A 2015-05-21 2015-05-21 야외용 연소통 KR101735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189A KR101735639B1 (ko) 2015-05-21 2015-05-21 야외용 연소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189A KR101735639B1 (ko) 2015-05-21 2015-05-21 야외용 연소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930A KR20160136930A (ko) 2016-11-30
KR101735639B1 true KR101735639B1 (ko) 2017-05-29

Family

ID=57707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1189A KR101735639B1 (ko) 2015-05-21 2015-05-21 야외용 연소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56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0232B1 (ko) * 2021-03-19 2023-04-13 이주상 스토브
KR102467940B1 (ko) * 2021-04-21 2022-11-16 김명훈 조립 화로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930A (ko) 201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63575B1 (en) Cooking grill and burner having v-shaped firebox
US11668468B2 (en) Partition wall assembly for stove
KR101486050B1 (ko) 펠렛난로
TWI599748B (zh) 燃燒爐
KR101480980B1 (ko) 스마트 에어 시스템을 구비한 난로
KR101847726B1 (ko)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
CN105180228A (zh) 便携式燃烧炉
KR101735639B1 (ko) 야외용 연소통
KR20170002517U (ko) 고체연료용 화로
KR101392216B1 (ko)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가열장치
KR20180001506U (ko) 무동력 펠릿 난로
CN110088529A (zh) 燃气燃烧器以及包括燃气燃烧器的灶具
KR101377217B1 (ko) 대류형 화목 난로
KR101786730B1 (ko) 화목난로
KR102165095B1 (ko) 가스 스토브
KR200470513Y1 (ko) 난방 및 취사 모드로 전환 가능한 다목적 난로
KR101709583B1 (ko) 다목적 화목 난로
KR101266325B1 (ko) 가스 튀김기
KR200487595Y1 (ko) 다용도 연소장치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난로, 테이블, 가습기, 보일러, 조리장치 및 온수매트
KR101723483B1 (ko) 에어커튼 기능을 가진 난로
KR200485993Y1 (ko) 가정용 숯불 직화 구이기
KR102528094B1 (ko) 캠핑 난로용 연소기
KR200475915Y1 (ko) 화목난로용 연소장치
KR101570287B1 (ko) 휴대용 화목버너
JP7242111B1 (ja) 薪ストー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