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232B1 - 스토브 - Google Patents

스토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232B1
KR102520232B1 KR1020210035654A KR20210035654A KR102520232B1 KR 102520232 B1 KR102520232 B1 KR 102520232B1 KR 1020210035654 A KR1020210035654 A KR 1020210035654A KR 20210035654 A KR20210035654 A KR 20210035654A KR 102520232 B1 KR102520232 B1 KR 102520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let
air
fuel
casing
outer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5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0872A (ko
Inventor
이주상
Original Assignee
이주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상 filed Critical 이주상
Priority to KR1020210035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232B1/ko
Publication of KR20220130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0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F24B1/19Supplying combustion-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15Means for removing as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2Doors; Screens; Fuel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06Arrangements for cleaning, e.g. soot removal; Ash removal
    • F24B13/008Ash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00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 F24C1/16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with special adaptation for travelling, e.g. collap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Cooker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외형을 이루며, 상부에 열기 배출홀이 형성된 외부 케이싱; 상기 외부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외부 케이싱과 이격되어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이동되는 제1 유로부를 형성하는 내부 케이싱; 및 상기 외부 케이싱의 하부에 형성된 제1 공기 유입구에 삽입되며, 연소재 받이부가 구비된 공기 유입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유입 조절부는 상기 제1 공기 유입구의 개폐 조절을 통해 상기 제1 공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상기 연소재 받이부의 안쪽 공간인 제1 공간부와, 상기 연소재 받이부의 바깥쪽 공간인 제2 공간부로 유입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인 스토브를 제공한다.
이러한 스토브는 공기 유입 조절부를 통해 제1 공기 유입구와 제2 공기 유입구를 동시에 개폐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스토브{STOVE}
본 발명은 스토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력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고체연료의 고효율 연소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스토브에 관한 것이다.
최근 캠핑이나 낚시 또는 레포츠 등의 다양한 레저 문화의 확산으로 야외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아지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 맞춰 야외 레저 활동 시, 음식을 조리하거나 낮은 기온으로 인한 체온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스토브를 이용한다.
이와 같은 캠핑용 스토브는 대개 나무, 농축산폐기물, 가축분뇨, 펠릿(pellet) 등의 고체연료를 연료원으로 사용한다. 그러나 스토브를 사용함에 있어, 고체연료의 불완전 연소가 발생될 경우, 연기 흡입으로 인한 폐질환을 유발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종래의 스토브는 화력을 조절함에 있어, 연소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공급량 제어에 어려움이 있다. 즉, 사용자가 연소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공급량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스토브에 구비되는 다양한 부품을 개별적으로 조절해야 되기에, 화력을 조절하는 과정이 복잡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고체연료의 고효율 연소가 가능하고, 화력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스토브에 대한 다양한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선행문헌 1 :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419286호(2006.06.12)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화력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고체연료의 고효율 연소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스토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외형을 이루며, 상부에 열기 배출홀이 형성된 외부 케이싱; 상기 외부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외부 케이싱과 이격되어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이동되는 제1 유로부를 형성하는 내부 케이싱; 및 상기 외부 케이싱의 하부에 형성된 제1 공기 유입구에 삽입되며, 연소재 받이부가 구비된 공기 유입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유입 조절부는 상기 제1 공기 유입구의 개폐 조절을 통해 상기 제1 공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상기 연소재 받이부의 안쪽 공간인 제1 공간부와, 상기 연소재 받이부의 바깥쪽 공간인 제2 공간부로 유입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인 스토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 유입구가 형성된 상기 외부 케이싱의 대향면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제1 유로부로 공기 유입이 이루어지는 제2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2 공기 유입구는 상기 공기 유입 조절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되, 상기 제2 공기 유입구와 제1 공기 유입구는 동일하게 개폐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싱은, 상기 연소재 받이부로 유입된 공기를 내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부로 안내하는 제1 배출홀이 형성된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수용 공간부를 형성하는 내부 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측벽부의 하부에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며, 상기 제1 유로부로 안내된 공기를 상기 수용 공간부로 공급하는 제2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측벽부의 상부에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며, 상기 제1 유로부로 안내된 공기를 상기 수용 공간부로 공급하는 제3 배출홀이 형성되되, 상기 제3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열기 배출홀로 배출되는 열기 중 불완전 연소가 이루어진 가스를 재연소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 배출홀은 다양한 층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 조절부는, 연소재 받이부; 상기 연소재 받이부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연소재 받이부와 외부 케이싱 사이에 상기 제2 공간부를 형성하는 받침 지지부; 상기 연소재 받이부의 일단부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연소재 받이부의 일단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벌려지며, 상기 제1 공간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홀이 형성된 유입량 조절부; 및 상기 연소재 받이부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공기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폐 조절부는 상기 연소재 받이부 보다 폭과 높이가 더 길게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개폐 조절부의 개방시, 외부 공기는 상기 제1 공간부와 상기 제2 공간부로 공기 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싱과 힌지 결합되며, 상기 내부 케이싱의 내부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료 공급부는, 내부에 제2 유로부가 형성되며, 상기 외부 케이싱과 힌지 결합되는 연료 케이싱; 상기 연료 케이싱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내부 케이싱으로 투입되는 연료의 이탈을 방지하는 연료 이탈 방지부; 및 상기 연료 케이싱의 외측에 결합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료 케이싱의 외측면 하부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제2 유로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제3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연료 케이싱의 내측면 상부에는 상기 제3 공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4 배출홀이 형성되되, 상기 제4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열기 배출홀로 배출되는 열기 중 불완전 연소가 이루어진 가스를 재연소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싱의 하면에 안착되며 복수개의 타공이 형성된 연료 수용부; 상기 외부 케이싱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외부 케이싱을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접이식 지지부; 및 상기 외부 케이싱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용기 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토브는 폐열을 회수하여 연소효율을 높이고, 외부 케이싱의 과열을 막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스토브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 유입 조절부의 선택적인 이동만으로도 연료 수용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공급량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스토브의 화력 조절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유로부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는 고체연료의 연소과정에서 발생한 열에 의하여 가열된 상태로 제3 배출홀로 배출된다. 이렇게 제3 배출홀로 배출되는 공기는 불완전 연소가 이루어진 가스를 재연소시키기에, 인체에 유해한 물질(가스 및 연기 등)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토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토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유입 조절부가 개방된 상태를 전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유입 조절부와 연료 공급부가 개방된 상태를 후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I-I 의 단면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II-II 의 단면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III-III 의 단면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유로부와 제2 유로부로 유입된 공기의 이동 흐름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 케이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부와 하부는 대상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반드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토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토브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유입 조절부가 개방된 상태를 전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유입 조절부와 연료 공급부가 개방된 상태를 후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I-I 의 단면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II-II 의 단면 예시도이며, 도 7은 도 3의 III-III 의 단면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유로부와 제2 유로부로 유입된 공기의 이동 흐름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여기서 도면의 명확한 설명을 위해 도 3 내지 도 8에서는 용기 받침대가 분리된 형태로 도시하였다.
도 1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토브(1000)는 외부 케이싱(100), 내부 케이싱(200) 및 공기 유입 조절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토브(1000)는 연료 수용부(300) 및 연료 공급부(4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외부 케이싱(100), 내부 케이싱(200), 연료 수용부(300), 연료 공급부(400) 및 공기 유입 조절부(500)를 포함한 스토브(1000)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외부 케이싱(100)은 스토브(1000)의 외형을 이룬다.
이러한 외부 케이싱(100)의 상부에는 열기 배출홀(101)이 형성되어, 연료 수용부(300)에 수용된 연료가 연소되며 발생되는 열기는 열기 배출홀(10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연료 수용부(300)에 수용되는 연료는 예를 들어, 나무, 농축산폐기물, 가축분뇨 및 펠릿(pellet) 등의 고체연료일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케이싱(100)의 하부에는 접이식 지지부(110)가 구비된다. 이러한 접이식 지지부(110)는 외부 케이싱(100)을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스토브(10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접이식 지지부(110)를 외부 케이싱(100) 측으로 회전시켜 스토브(1000)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이식 지지부(110)를 접은 상태에서는 스토브(1000)의 보관 및 이동이 간편하다.
그리고 외부 케이싱(100)의 상부에는 조리 용기가 안착될 수 있는 용기 받침대(120)가 구비된다. 이러한 용기 받침대(120)는 외부 케이싱(100)과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내부 케이싱(200)은 외부 케이싱(100)의 내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내부 케이싱(200)은 외부 케이싱(100)과 이격되며 외부 케이싱(100)과 내부 케이싱(200) 사이에 제1 유로부(610)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제1 유로부(610)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이동되는 공기 이동 통로이다.
이와 같은 내부 케이싱(200)은 바닥부(210)와 내부 측벽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바닥부(210)에는 연료를 수용하는 연료 수용부(300)가 안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료 수용부(300)에는 전체적으로 복수개의 타공(301)이 형성된다. 이러한 타공(301)을 통해 연료가 빠지지 않도록 타공(301)의 지름은 4 ~ 6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타공(301)의 크기는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된 크기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연료 수용부(300)는 내부 케이싱(200)과 분리되어 남은 연료나 재의 처리가 용이하고, 내부 케이싱(200) 하부가 불꽃에 직접 닿아서 발생하는 고열로 인한 변형과 노후화를 감소시킨다. 그리고 내부를 고온상태로 유지시켜서 연소효율을 높인다.
그리고 바닥부(210)에는 복수개의 제1 배출홀(21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1 배출홀(211)은 연소재 받이부(510)로 유입된 공기를 연료 수용부(300)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내부 측벽부(220)는 바닥부(210)의 테두리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부(201)를 마련한다. 이와 같은 수용 공간부(201)에는 연료 수용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내부 측벽부(220)의 하부에는 내부 측벽부(220)의 둘레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는 복수개의 제2 배출홀(22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2 배출홀(221)은 제1 유로부(610)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를 연료 수용부(300)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내부 측벽부(220)의 상부에는 내부 측벽부(220)의 둘레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는 복수개의 제3 배출홀(222)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유로부(610)를 따라 상부로 이동되는 공기는 제3 배출홀(222)을 통해 수용 공간부(201)로 공급된다. 이때, 제3 배출홀(222)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제1 유로부(610)를 따라 상부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연소중인 연료에 의해 가열된 상태로 열기 배출홀(101)이 형성된 수용 공간부(201)의 상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열기 배출홀(101)로 배출되는 열기 중 불완전 연소가 이루어진 가스는 제3 배출홀(222)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2차 연소가 이루어져 연소효율을 높인다. 이에, 스토브(1000)는 인체에 유해한 물질(가스 및 연기 등)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공기 유입 조절부(500)는 외부로부터 스토브(1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유입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공기 유입 조절부(500)는 연소재 받이부(510), 받침 지지부(520), 유입량 조절부(530) 및 개폐 조절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소재 받이부(510)는 외부 케이싱(100)과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연소재 받이부(510)는 연료 수용부(300)로부터 낙하하는 연소재를 보관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받침 지지부(520)는 연소재 받이부(510)의 하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받침 지지부(520)는 연소재 받이부(510)의 하부를 지지하되, 연소재 받이부(510)와 외부 케이싱(100) 사이에 제2 공간부(601)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제2 공간부(601)를 통해 내부 케이싱(200)의 바닥부(210)와 외부 케이싱(100) 사이의 제1 유로부(610)로 이동되는 공기는 외부 케이싱(100)의 하면으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 케이싱(100)의 하면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예를 들어 스토브(1000)의 바닥이 뜨거워서 데크나 잔디가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케이싱(200)의 바닥부(210)와 외부 케이싱(100) 사이의 제1 유로부(610)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폐열흡수가 이루어진 가열된 상태의 공기는 내부 케이싱(200)의 내부 측벽부(220)와 외부 케이싱(100) 사이에 마련된 제1 유로부(610)로 이동된 후, 제2 배출홀(221)과 제3 배출홀(222)을 통해 공기 배출이 이루어지기에, 연소 효율은 더욱 높아질 수 있다.
그리고 받침 지지부(520)는 공기 유입 조절부(500)의 이동시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받침 지지부(520)는 공기 유입 조절부(500)의 이동시 부드러운 이동이 가능하도록 외부 케이싱(100)의 바닥면에 접촉되는 받침 지지부(520)의 하단부는 라운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유입량 조절부(530)는 연소재 받이부(510)의 일단부 상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유입량 조절부(530)에는 연소재 받이부(510)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조절홀(531)이 형성된다. 여기서 조절홀(531)은 연소재 받이부(510)의 일단부로부터 멀어질수도록 벌려지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예를 들어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진 조절홀보다 연소재 받이부(510)의 일단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벌려지는 형태를 이루는 조절홀(531)은 연소재 받이부(510)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량을 더욱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벌려진 형태의 조절홀(531)이 형성된 유입량 조절부(530)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의 조절홀이 형성된 유입량 조절부에 비해 공기 유입 조절부(500)를 덜 이동시키더라도 연소재 받이부(510)의 내부 공간인 제1 공간부(501)로는 동일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기에, 외부 공기의 유입 조절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개폐 조절부(540)는 연소재 받이부(510)의 일단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개폐 조절부(540)는 외부 케이싱(100)의 하부에 형성된 제1 공기 유입구(13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공기 유입구(130)가 개방된 경우, 외부 공기는 연소재 받이부(510)를 기준으로, 연소재 받이부(510)의 안쪽 공간인 제1 공간부(501)로 공기 유입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연소재 받이부(510)의 바깥쪽 공간인 제2 공간부(601)로도 공기 유입이 함께 이루어진다. 즉, 제1 공기 유입구(130)의 개방시, 외부 공기는 연소재 받이부(510)의 내측과 외측으로 각각 유입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개폐 조절부(540)는 연소재 받이부(510) 보다 폭과 높이가 더 길게 형성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공기 유입 조절부(500)에 구비된 손잡이(550)를 당겨 개폐 조절부(540)가 제1 공기 유입구(130)로부터 개방된 상태로 조절된 경우, 외부 공기는 제1 공간부(501)와 제2 공간부(601)로 동시에 공기 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공기 유입 조절부(500)의 열린 상태는 개폐 조절부(540)가 제1 공기 유입구(130)로부터 이격되며 제1 공간부(501)와 제2 공간부(601)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고, 공기 유입 조절부(500)의 닫힌 상태는 개폐 조절부(540)가 제1 공기 유입구(130)를 차단하여 제1 공간부(501)와 제2 공간부(60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와 같이, 공기 유입 조절부(500)의 개방시, 외부 공기는 제1 공간부(501)와 제2 공간부(601)로 동시에 공기 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공간부(501)로 유입된 공기는 제1 배출홀(211)을 통해 연료 수용부(300)로 공급되어 1차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공간부(601)를 통해 제1 유로부(610)로 이동된 공기는 제2 배출홀(221)을 통해 1차 연소가 이루어지고, 제1 유로부(610)를 따라 상부로 이동된 후 제3 배출홀(222)로 배출되는 공기는 불완전 연소가 이루어진 가스를 완전히 연소시키는데 2차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공기 유입 조절부(500)가 개방된 상태에서 외부 케이싱(100)의 후부에 형성된 제2 공기 유입구(102)를 통해서도 외부 공기는 제1 유로부(610)의 내부로 공기 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2 공기 유입구(102)는 제1 공기 유입구(130)가 형성된 외부 케이싱(100)의 대향면에 마련되어 공기 유입 조절부(500)의 이동에 따라 제2 공기 유입구(102)는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즉, 연소재 받이부(510)의 타단부는 공기 유입 조절부(500)의 이동에 따라 제2 공기 유입구(10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2 공기 유입구(102)는 공기 유입 조절부(500)의 이동시, 제1 공기 유입구(130)와 동일하게 개폐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토브(1000)는 공기 유입 조절부(500)의 조절만으로도 제1 공기 유입구(130)와 제2 공기 유입구(102)를 동시에 개폐 조절할 수 있기에, 작동이 간편하며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스토브(1000) 내로 유입되는 공기 유입량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연료 공급부(400)는 외부 케이싱(100)과 힌지 결합된다. 이러한 연료 공급부(400)는 외부 케이싱(100)으로부터 회전시킨 상태에서 연료 수용부(300)로 연료를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료 공급부(400)는 연료 케이싱(410), 연료 이탈 방지부(420) 및 손잡이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료 케이싱(410)은 외부 케이싱(100)과 힌지 결합되며, 내부에는 제2 유로부(620)가 형성된다.
이러한 연료 케이싱(410)의 외측면 하부에는 외부로부터 제2 유로부(620)로 공기가 유입되는 제3 공기 유입구(4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연료 케이싱(410)의 내측면 상부에는 제4 배출홀(412)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4 배출홀(412)은 제3 공기 유입구(411)로 유입되어 제2 유로부(620)를 따라 상부로 이동되는 공기를 수용 공간부(201)로 배출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제4 배출홀(412)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제2 유로부(620)를 따라 상부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연소중인 연료에 의해 가열된 상태로 열기 배출홀(101)이 형성된 수용 공간부(201)의 상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4 배출홀(412)은 제3 배출홀(222)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연료 이탈 방지부(420)는 연료 케이싱(410)의 양측에 구비된다. 이러한 연료 이탈 방지부(420)는 연료 수용부(300)로 투입되는 연료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연료 투입 방향을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손잡이부(430)는 연료 케이싱(410)의 외측에 결합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손잡이부(430)를 통해 연료 케이싱(410)을 외부 케이싱(100)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 케이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 케이싱(200')에 구비된 내부 측벽부(220')에는 다양한 형태와 층을 이루는 복수개의 배출홀(223)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앞서 설명된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 측벽부(220)는 하부에 제2 배출홀(221)이 형성되고, 상부에 제3 배출홀(222)이 형성된 형태였으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 측벽부(220')는 다양한 형태와 층을 이루는 복수개의 배출홀(223)이 형성된 형태이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외부 케이싱
101: 열기 배출홀
102: 제2 공기 유입구
110: 접이식 지지부
120: 용기 받침대
130: 제1 공기 유입구
200, 200': 내부 케이싱
201: 수용 공간부
210: 바닥부
211: 제1 배출홀
220, 220': 내부 측벽부
221: 제2 배출홀
222: 제3 배출홀
223: 배출홀
300: 연료 수용부
301: 타공
400: 연료 공급부
410: 연료 케이싱
411: 제3 공기 유입구
412: 제4 배출홀
420: 연료 이탈 방지부
430: 손잡이부
500: 공기 유입 조절부
501: 제1 공간부
510: 연소재 받이부
520: 받침 지지부
530: 유입량 조절부
531: 조절홀
540: 개폐 조절부
550: 손잡이
601: 제2 공간부
610: 제1 유로부
620: 제2 유로부
1000: 스토브

Claims (7)

  1. 외형을 이루며, 상부에 열기 배출홀이 형성된 외부 케이싱;
    상기 외부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외부 케이싱과 이격되어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이동되는 제1 유로부를 형성하는 내부 케이싱; 및
    상기 외부 케이싱의 하부에 형성된 제1 공기 유입구에 삽입되며, 연소재 받이부가 구비된 공기 유입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유입 조절부는 상기 제1 공기 유입구의 개폐 조절을 통해 상기 제1 공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상기 연소재 받이부의 안쪽 공간인 제1 공간부와, 상기 연소재 받이부의 바깥쪽 공간인 제2 공간부로 유입시키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공기 유입구가 형성된 상기 외부 케이싱의 대향면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제1 유로부로 공기 유입이 이루어지는 제2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2 공기 유입구는 상기 공기 유입 조절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되, 상기 제2 공기 유입구와 제1 공기 유입구는 동일하게 개폐되도록 이루어진 것인 스토브.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싱은,
    상기 연소재 받이부로 유입된 공기를 내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부로 안내하는 제1 배출홀이 형성된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수용 공간부를 형성하는 내부 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측벽부의 하부에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며, 상기 제1 유로부로 안내된 공기를 상기 수용 공간부로 공급하는 제2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측벽부의 상부에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며, 상기 제1 유로부로 안내된 공기를 상기 수용 공간부로 공급하는 제3 배출홀이 형성되되, 상기 제3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열기 배출홀로 배출되는 열기 중 불완전 연소가 이루어진 가스를 재연소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 조절부는,
    연소재 받이부;
    상기 연소재 받이부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연소재 받이부와 외부 케이싱 사이에 상기 제2 공간부를 형성하는 받침 지지부;
    상기 연소재 받이부의 일단부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연소재 받이부의 일단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벌려지며, 상기 제1 공간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홀이 형성된 유입량 조절부; 및
    상기 연소재 받이부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공기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조절부는 상기 연소재 받이부 보다 폭과 높이가 더 길게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개폐 조절부의 개방시, 외부 공기는 상기 제1 공간부와 상기 제2 공간부로 공기 유입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싱과 힌지 결합되며, 상기 내부 케이싱의 내부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료 공급부는,
    내부에 제2 유로부가 형성되며, 상기 외부 케이싱과 힌지 결합되는 연료 케이싱;
    상기 연료 케이싱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내부 케이싱으로 투입되는 연료의 이탈을 방지하는 연료 이탈 방지부; 및
    상기 연료 케이싱의 외측에 결합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료 케이싱의 외측면 하부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제2 유로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제3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연료 케이싱의 내측면 상부에는 상기 제3 공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4 배출홀이 형성되되, 상기 제4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열기 배출홀로 배출되는 열기 중 불완전 연소가 이루어진 가스를 재연소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싱의 하면에 안착되며 복수개의 타공이 형성된 연료 수용부;
    상기 외부 케이싱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외부 케이싱을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접이식 지지부; 및
    상기 외부 케이싱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용기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브.
KR1020210035654A 2021-03-19 2021-03-19 스토브 KR102520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654A KR102520232B1 (ko) 2021-03-19 2021-03-19 스토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654A KR102520232B1 (ko) 2021-03-19 2021-03-19 스토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0872A KR20220130872A (ko) 2022-09-27
KR102520232B1 true KR102520232B1 (ko) 2023-04-13

Family

ID=83451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654A KR102520232B1 (ko) 2021-03-19 2021-03-19 스토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023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723B1 (ko) * 2012-10-25 2013-11-05 장하연 화목보일러용 연소실
KR102165526B1 (ko) * 2020-03-13 2020-10-14 김선정 캠핑용 화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9286Y1 (ko) 2006-04-07 2006-06-16 조용재 가스 스토브
KR101735639B1 (ko) * 2015-05-21 2017-05-29 이정우 야외용 연소통
KR20160141097A (ko) * 2015-05-28 2016-12-08 여은석 고효율 연소가 가능한 난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723B1 (ko) * 2012-10-25 2013-11-05 장하연 화목보일러용 연소실
KR102165526B1 (ko) * 2020-03-13 2020-10-14 김선정 캠핑용 화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0872A (ko) 202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40583A1 (en) Roaster with a Door on an Upper Portion
US20200008618A1 (en) Grill using flue
KR101847726B1 (ko)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
KR101849395B1 (ko) 펠렛 난로
KR101622312B1 (ko) 난로
KR102520232B1 (ko) 스토브
KR100828928B1 (ko) 장작구이용 화로
KR101648100B1 (ko) 난로
JP3175791U (ja) 加熱装置
JP2021004711A (ja) 調理機能付きストーブ
KR20170070425A (ko) 콘트라f 형식의 화목 난로
KR101782594B1 (ko) 우드 펠릿 실내외 겸용 난로
KR102052508B1 (ko) 화덕 겸용 난로
TW201701810A (zh) 可攜式焙燒裝置及使用該焙燒裝置的焙燒方法
KR102528094B1 (ko) 캠핑 난로용 연소기
KR100495670B1 (ko) 상업용 가스밥솥의 버너
KR102652988B1 (ko) 이중연소 화로
KR200400020Y1 (ko) 연탄 착화기가 부설된 연탄보일러
US20240102660A1 (en) Wood stove
KR102591827B1 (ko) 열효율을 향상시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한 쿡스토브
KR20230121426A (ko) 완전연소를 유도하는 다용도 난로
KR102441030B1 (ko) 실내용 무연 숯불구이 화로
CN108180505A (zh) 一种户外取暖炉
KR102356371B1 (ko) 보일러 겸용 고기구이장치
KR102227907B1 (ko) 다용도 벽난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