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2312B1 - 난로 - Google Patents

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2312B1
KR101622312B1 KR1020140075717A KR20140075717A KR101622312B1 KR 101622312 B1 KR101622312 B1 KR 101622312B1 KR 1020140075717 A KR1020140075717 A KR 1020140075717A KR 20140075717 A KR20140075717 A KR 20140075717A KR 101622312 B1 KR101622312 B1 KR 101622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unit
combustion gas
cooking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5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5573A (ko
Inventor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이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호 filed Critical 이정호
Priority to KR1020140075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2312B1/ko
Publication of KR20150145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2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o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F24B1/189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flue-gas control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2Doors; Screens; Fuel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5Fireboxes; Frames; Hoods; Heat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08Air heaters us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7/00Stoves, ranges or flue-gas duct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F24B7/005Flue-gas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로에 관한 것으로, 연료를 연소시키는 연소부와, 상기 연소부의 후방에 마련되고 조리 대상물이 안치되는 조리부와, 상기 조리부의 저면과 배면을 형성하며 상기 연소부의 후단과 연결되어 연소부에서 발생하는 연소가스에 의해 조리부의 저면과 배면을 가열하는 메인덕트와, 상기 메인덕트로 유입된 연소가스를 상기 조리부의 측방으로 순환시켜 가열하도록 상기 메인덕트의 측방에서 병렬로 설치되는 보조덕트 및 상기 조리부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덕트로 유입된 연소가스를 배기하는 굴뚝과 연결되는 배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가 개시된다. 이에 따라 조리 대상물을 필요에 따라 직접 가열하거나 또는 폐열을 재순환시켜 조리 대상물을 가열함으로써, 열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난로{STOVE}
본 발명은 난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 대상물이 안치되는 조리부의 하부에 연소부와 연통되는 메인덕트를 형성되고, 조리부의 둘레를 감싸며 메인덕트와 병렬로 보조덕트가 형성되어 조리 대상물을 필요에 따라 직접 가열하거나 또는 폐열을 재순환시켜 조리 대상물을 가열함으로써 열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난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로는 실내를 데워주는 난방기구의 일종으로서, 농업, 축산업 등과 같은 산업용으로 대형 난로에서부터 야영 등의 실외 생활에서 사용 가능한 소형 난로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최근에는 여가활동 중 하나로 가족단위의 야영 즉, 캠핑(camping)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고, 이로 인해 캠핑용품이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캠핑용품 중 음식을 조리하거나 추위로부터 몸을 따듯하게 해주는 화로대가 있다.
이러한 화로대는 장작이나 숯 등을 태우기 위한 연소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본체 상에 안착되어 고기 등이 얹혀지는 그릴 및 장작이나 숯을 태우고 난 후 재를 처리할 수 있는 재받침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화로대는 조리 대상물에 직접 열을 가하는 직접 가열방식으로 화력이 우수하여 신속하게 조리 대상물을 가열할 수 있지만 열 손실이 크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연료를 공급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8301호가 개시되어 있다. 이를 도 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난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난로는 하방에 고체연료를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가열부(2)와, 이 연소가열부(2)의 상방에 음식물 조리를 위한 가온공간부(2a) 및 이 가온공간부(2a)를 둘러싸는 전면, 후면 및 상부연통부(4,6,8)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난로는 연소가열부(2)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전면연통부(4)의 전면연통로(4a)와 후면연통부(6)의 후면연통로(6a)를 타고 상승하여 상부연통부(8)의 상부연통로(8a)를 통해 배기연통(9)으로 배출되는 동안 가온공간부(2a) 내의 음식물을 가열시켜 조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난로는 직립되어 있는 전, 후면연통로(4a)(6a)를 타고 수직 상승한 후 수평 배치되어 있는 상부연통로(8a)를 경유한 후 곧바로 배출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폐열 재순환 등 연소가스를 수차례 순환시키는 방식에 비해 현저히 열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등의 단점을 갖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830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조리 대상물을 필요에 따라 직접 가열하거나 또는 폐열을 재순환시켜 조리 대상물을 가열함으로써 열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난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조리 대상물을 간접 가열할 때 조리 대상물에 고르게 열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난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휴대 및 운반이 간편하며 필요에 따라 테이블로 사용할 수 있는 난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연료를 연소시키는 연소부와, 상기 연소부의 후방에 마련되고 조리 대상물이 안치되는 조리부와, 상기 조리부의 저면과 배면을 형성하며 상기 연소부의 후단과 연결되어 연소부에서 발생하는 연소가스에 의해 조리부의 저면과 배면을 가열하는 메인덕트와, 상기 메인덕트로 유입된 연소가스를 상기 조리부의 측방으로 순환시켜 가열하도록 상기 메인덕트의 측방에서 병렬로 설치되는 보조덕트 및 상기 조리부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덕트로 유입된 연소가스를 배기하는 굴뚝과 연결되는 배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덕트는 상기 연소부의 일측과 연통되고, 연소부의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이 상기 배기부와 연통되어 상기 조리부의 저면을 형성하는 수평덕트 및 상기 수평덕트와 연통되며 상기 조리부의 배면을 형성하도록 수평덕트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수직덕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평덕트는 상기 배기부와 연통되는 연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 홀이 형성된 수평덕트의 내부는 연소가스를 연통 홀을 통해 배기부로 유입시키거나 상기 보조덕트로 유입시키는 단속댐퍼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단속댐퍼는 상기 수평덕트 내의 연통 홀 전방에서 회전되도록 수평덕트의 내측면에 힌지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형성되며 연소가스가 지나는 수평덕트의 유로 또는 연통 홀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단속판 및 상기 단속판과 대향하여 회전축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메인덕트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와이어와 결속되는 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고리와 결속된 와이어는 상기 연소부의 전면 하부에서 연소부의 전방을 향해 직선이동하는 슬라이딩 레버와 결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메인덕트의 상부에 마련되어 메인덕트의 연소가스를 포집하여 보조덕트로 유입시키는 유로가 형성된 상부 순환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부 순환부는 상기 연소가스가 배기되는 메인덕트의 후단과 연소가스가 유입되는 보조덕트의 선단을 일체로 연결하여 메인덕트에서 배기되는 연소가스가 상기 조리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폐하며 조리부의 상면을 형성하는 내부판과, 상기 내부판의 상부에 이격 설치되는 상판 및 상기 상판과 내부판 사이의 측면을 차폐시키는 측면차폐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판은 조리 대상물이 안치되어 상기 메인덕트의 출구로 배출된 연소가스를 조리 대상물에 직접 제공하여 가열하는 추가조리부 및 상기 추가조리부를 개폐시키는 개폐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 순환부는 상기 상판에 설치된 경첩과 연결되어 상기 조리부의 측방에서 상향 회동하여 조리부의 입구를 단속하는 개폐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직덕트와 배기부는 그 내부에 슬라이딩에 따라 연소가스가 상기 보조덕트 또는 배기부로 유입되는 것을 단속하는 슬라이딩 댐퍼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댐퍼는 일측으로 배기부를 관통하여 배기부의 외부로 인출되는 조절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덕트는 상기 상부 순환부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연소부와 연통되는 메인덕트의 측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덕트에서 배기되는 연소가스가 유입되는 직립덕트 및 상기 직립덕트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메인덕트의 수평덕트에 병렬로 설치되어 상기 배기부로 연소가스를 배기하는 평행덕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덕트는 상기 조리부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상부 순환부의 연소가스가 유입되는 다수의 유입 홀이 형성되는 상부평행덕트와, 상기 상부평행덕트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연소부와 연통되는 메인덕트의 측방으로 연장되는 전방직립덕트와, 상기 전방직립덕트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메인덕트의 수평덕트에 병렬로 설치되는 하부평행덕트 및 상기 하부평행덕트와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직립덕트에 대응하여 위치되고 상기 배기부로 연소가스를 배기하는 배기 홀이 형성되는 후방직립덕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덕트는 상기 메인덕트의 양측에 제각기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덕트는 절첩되면서 상기 보조덕트의 다리를 제공하거나 손잡이를 제공하는 절첩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절첩유닛은 상기 보조덕트의 하단 양측에 각각 힌지 체결되어 회동하는 한 쌍의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제각기 마련되되 상대편과 엇갈리게 회동하도록 지지대에 힌지 체결되는 링크 암을 포함하되, 상기 링크 암 중 어느 하나에 후크가 형성되고, 상대편 링크 암에 상기 후크에 걸림되는 걸림 봉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 봉이 후크에 결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상기 보조덕트의 하단과 힌지 체결되는 회전 플레이트와, 상기 난로의 전체 높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고 상기 회전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 빔 및 상기 지지 빔과 대향하여 회전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보조지지 빔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지지 빔은 상기 지지 빔의 자유단이 상부를 향해 회동하였을 때 상기 보조덕트의 하단보다 지면과 가깝게 돌출되는 길이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난로에 의하면, 조리부를 메인덕트와 상부 순환부 및 보조덕트가 감싼 상태에서 연소부의 연소가스가 상기 메인덕트를 경유한 후 상부 순환부를 거쳐 다시 보조덕트로 흐르도록 하는 재순환 흐름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기본적으로 폐열을 재순환 구조에 의해 활용하여 조리부 및 조리부의 주변으로 열이 전달되는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열 효율을 극대화시켜 조리 대상물을 신속하게 가열시켜 조리할 수 있다.
또한, 보조덕트를 메인덕트의 양측에 각각 배치하여 연소가스가 중앙에서 시작하여 양측으로 분기되어 흐르게 함으로써 조리부에 대한 열 분포율을 고르게 할 수 있게 되면서 그 결과 조리 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메인덕트의 단속댐퍼를 통해 필요에 따라 연소부의 연소가스를 신속하게 굴뚝으로 배출시켜 연소부에 장입된 연료가 착화될 때 발생하는 매연을 신속하게 굴뚝을 통해 배출시켜 매연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조리부는 양측에 개폐판을 마련함으로써 조리부의 노출을 차단하여 조리부의 열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리부에 조리 대상물을 안치시키는 것이 편리하다.
또한, 개폐판을 상부 순환부의 상판에 얹혀지게 회전시켜 개폐판을 테이블 대용으로 활용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도 1은 종래의 난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난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난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난로의 열기 순환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난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난로 중 개폐판의 개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난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난로의 열기 순환을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난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난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난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난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난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난로는 연료를 연소시키는 연소부(100)와, 상기 연소부(100)의 후방에 마련되고 조리 대상물이 안치되는 조리부(200)와, 상기 조리부(200)의 저면과 배면을 형성하며 연소부(100)의 후단과 연결되어 연소부(100)에서 발생하는 연소가스에 의해 조리부(200)의 저면과 배면을 가열하는 메인덕트(300)와, 메인덕트(300)로 유입된 연소가스를 상기 조리부(200)의 측방으로 순환시켜 가열하도록 메인덕트(300)의 측방에서 병렬로 설치되는 보조덕트(400) 및 조리부(200)의 후방에 설치되어 보조덕트(400)로 유입된 연소가스를 배기하는 굴뚝(510)과 연결되는 배기부(500)로 구성된다.
부연하자면, 연소부(100)는 장작, 숯, 펠릿 등과 같은 연료가 장입되어 연소되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사각 통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연소부(100)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직립벽체(110)와 직립벽체(110)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바닥벽체(120)로 구성되어 바닥벽체(120)에 연료가 적재된 후 연소하게 된다.
그리고, 연소된 재를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연소부(100)의 하부에는 재받이부(130)가 형성되고, 재받이부(130)에는 슬라이딩되는 재받이통(140)이 구비된다. 즉, 연소부(100)의 하부에 마련되는 재받이부(130)는 재받이통(140)이 연소부의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전면이 개방되며 재받이통(140)과 형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재받이통(140)이 안정적으로 연소부(100)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게 재받이부(130)의 내측면에는 가이드레일(132)이 형성되며, 가이드레일(132)과 조립되는 가이드(142)가 재받이통(140)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재받이통(140)을 재받이부(130)에서 인출 또는 인입시키게 된다. 또한, 재받이통(14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재받이통(140)을 재받이부(130)에서 용이하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게 사용자가 파지하여 견인하는 손잡이(144)가 마련된다.
그리고, 연소부(100)와 재받이부(130)를 구획하는 바닥벽체(120)에는 연소된 재가 재받이통(140)으로 유입될 수 있게 다수의 관통부(122)가 형성되어 바닥벽체(120)에 적재된 연료가 연소된 후에 발생하는 재가 관통부(122)를 통해 재받이통(140)으로 유입된다.
한편, 연소부(100)는 메인덕트(300)와 연통되어 연료의 연소에 따라 발생한 연소가스가 메인덕트(300)로 유입되어 연소부(100)의 후방에 마련된 조리부(200)에 열을 전달하여 조리부(200)에 안치되는 조리 대상물을 가열하게 된다.
즉, 조리부(200)는 연소부(100)의 후방에 마련되어 메인덕트(300)와 보조덕트(400)로 유입되는 연소가스에 의해 조리부(200)에 안치된 조리 대상물을 간접 가열하게 된다. 이러한 조리부(200)는 메인덕트(300)에 의해 저면과 배면을 형성하며, 후술되는 상부 순환부(600)에 의해 상면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조리부(200)는 조리 대상물이 안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조리 대상물이 가열될 수 있는 열을 전달하게 된다.
이렇게, 조리부(200)의 저면과 배면을 형성하게 되는 메인덕트(300)는 수평덕트(310)와 수직덕트(320)로 구성되는데, 수평덕트(310)는 연소부(100)의 일측과 연통되고 연소부(100)의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이 배기부(500)와 연통되며, 수직덕트(320)는 수평덕트(310)와 연통된 상태에서 배기부(500)와 나란하게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연소부(100)에서 발생한 연소가스가 수평덕트(310)를 통해 수직덕트(320)로 유입되어 조리부(200)의 저면과 배면을 통해 열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수평덕트(310)와 수직덕트(320)로 이루어진 메인덕트(3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오각형, 원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수직덕트(320)는 수평덕트(310)의 타측 단부와 직각을 이루도록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수평덕트(310)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수평덕트(310)는 배기부(500)와 연통되도록 연통 홀(312)이 형성되어 연소부(100)에서 유입되는 연소가스가 수직덕트(320)를 통해 보조덕트(400)로 공급할 수도 있지만 배기부(500)로 공급할 수도 있다. 이렇게, 연소가스를 수직덕트(320) 또는 배기부(5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연통 홀(312)이 형성된 수평덕트(310)에는 단속댐퍼(330)가 설치된다.
이러한 단속댐퍼(330)는 회전축(331), 단속판(332), 고리(333)로 구성되는데, 회전축(331)은 수평덕트(310) 내의 연통 홀(312) 전방에서 회전되도록 수평덕트(310)의 내측면에 힌지 결합된다.
또한, 단속판(332)은 수직덕트(320)의 유로 또는 연통 홀(312)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도록 회전축(331)과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축(331)의 회전에 따라 단속판(332)이 연통 홀(312)을 폐쇄하여 연소가스를 보조덕트(400)로 유입되게 유도하거나 또는 수직덕트(320)의 유로를 폐쇄하여 연소가스를 연통 홀(312)을 통해 배기부(500)로 유입되게 유도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축(331)에는 고리(333)가 형성되는데, 고리(333)는 단속판(332)과 대향하여 회전축(331)과 일체로 형성되며 메인덕트(300)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와이어(334)와 결속된다. 이렇게 고리(333)와 결속되는 와이어(334)는 연소부(100)의 전면 하부에서 연소부(100)의 전방을 향해 직선이동하는 슬라이딩 레버(335)와 결속된다.
이와 같이 와이어(334)에 의해 회전축(331)의 고리(333)와 연소부(100)의 전면 하부에 설치된 슬라이딩 레버(335)가 연결되면 슬라이딩 레버(335)의 작동에 따라 회전축(331)이 회전하여 연통 홀(312) 또는 수직덕트(320)의 유로를 단속판(332)이 선택적으로 폐쇄하게 된다.
이때, 고리(333)는 단속판(332)의 중량보다 가볍게 형성되어 무게 중심이 단속판(332) 측으로 작용하게 함으로써 평상 시 단속판(332)이 연통 홀(312)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단속판(332)이 수직덕트(320)의 유로를 폐쇄시키도록 하는 경우 연소부(100)의 하부 전면에 설치된 슬라이딩 레버(335)를 연소부(100)의 전방으로 견인함으로써 단속판(332)이 수직덕트(320)의 유로를 폐쇄하도록 회전축(331)이 회전하여 연소가스를 수직덕트(320) 또는 연통 홀(312)로 공급될 수 있게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메인덕트(300)의 상부에는 수직덕트(320)에서 배기된 연소가스를 포집하여 보조덕트(400)로 유입시키는 유로가 형성된 상부 순환부(600)가 형성된다. 상부 순환부(600)는 내부판(610)과 상판(620) 및 측면차폐판(630)으로 구성되는데, 내부판(610)은 연소가스가 배기되는 메인덕트(300)의 후단과 연소가스가 유입되는 보조덕트(400)의 선단을 일체로 연결하여 메인덕트(300)에서 배기되는 연소가스가 조리부(200)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폐하며 조리부(200)의 상면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판(620)은 내부판(610)의 상부와 이격 설치되고, 상판(620)과 내부판(610) 사이의 양측면은 측면차폐판(630)에 의해 차폐되어 메인덕트(300)의 수직덕트(320)를 통해 배기되는 연소가스가 보조덕트(400)로 유입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측면차폐판(630)은 상판(620)과 내부판(610) 사이의 양측면을 연결하여 상부 순환부(600)의 측방을 차폐하는 한편 측면차폐판(630)의 일측이 배기부(500)의 배면을 형성하는 배면차폐판(520)으로 연장되어 배기부(500)의 측방을 차폐하게 된다. 또한, 측면차폐판(630)의 내측면은 수직덕트(320)를 향해 연장되는 절곡판(632)이 형성되어 조리부(200)와 배기부(500) 사이가 절곡판(632)에 의해 구획된다.
그리고, 배기부(500)의 저면은 하부차폐판(550)에 의해 외부와 격리되는데, 하부차폐판(550)의 일측단은 수평덕트(310)의 하면 및 평행덕트(420)의 하면과 연결되고 하부차폐판(550)의 타측단은 배면차폐판(520)의 하단과 연결되어 수평덕트(310)의 연통 홀(312) 또는 평행덕트(420)의 출구로부터 배기되는 연소가스를 굴뚝(510)으로 안내하게 된다.
한편, 내부판(610)의 상부에 이격 설치되는 상판(620)은 조리 대상물을 안치시켜 메인덕트(300)에서 배기되는 연소가스에 의해 조리 대상물을 직접 가열시키는 추가조리부(621)가 마련된다. 이러한 추가조리부(621)는 메인덕트(300)의 수직덕트(320)의 직상방에 위치하게 되는데, 추가조리부(621)는 상부 순환부(600)와 연통되도록 홀을 형성하여 추가조리부(621)에 조리 대상물이 안치되었을 때 조리 대상물의 하부가 상부 순환부(600)에 인입된다.
이러한 추가조리부(621)는 상판(620)과 힌지 조립되는 개폐커버(622)가 설치되어 조리 대상물을 추가조리부(621)에 안치시켜 가열하고자 하는 경우 개폐커버(622)를 개방하고 조리 대상물을 추가조리부(621)에 안치시켜 메인덕트(300)에서 배기되는 연소가스에 의해 조리 대상물을 직접 가열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추가조리부(621)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개폐커버(622)를 닫아 메인덕트(300) 및 상부 순환부(600)의 연소가스가 추가조리부(621)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한편, 상판(620)은 경첩(641)에 의해 조리부(200)의 측방에서 상향 회동하여 조리부(200)의 입구를 단속하는 개폐판(640)이 설치되는데, 개폐판(640)은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판(640)과 상판(620)이 경첩(641)에 의해 연결되어 경첩(641)을 중심으로 개폐판(640)이 조리부(200)의 측방에서 상향 회동하게 된다.
이처럼 개폐판(640)이 조리부(200)의 측면에 설치되면, 조리부(200)에 조리 대상물을 안치시키고자 하는 경우 개폐판(640)을 들어올려 조리부(200)의 측방을 개방시킨 후 개방된 조리부(200)의 측면을 통해 조리 대상물을 조리부(200)에 안치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조리 대상물이 조리부(200)에 안치된 상태에서 개방되었던 개폐판(640)이 조리부(200)의 측면을 폐쇄하게 되면 조리부(200)가 차폐되어 메인덕트(300), 상부 순환부(600), 보조덕트(400)를 따라 흐르는 연소가스에서 전달되는 열에 의해 조리부(200)의 온도가 상승하여 오븐과 같은 상태로 조리 대상물을 가열할 수 있다.
이렇게, 조리부(200)의 측방에서 상하 회동하여 조리부(200)의 측방을 개폐하게 되는 개폐판(640)은 경첩(641)을 중심으로 상향 회동하였을 때 상판(620)에 절첩되어 얹혀질 수 있게 개폐판(640)의 면적은 상판(620) 면적에 준하는 길이와 너비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개폐판(640)이 경첩(641)을 중심으로 하향 회동하였을 때 조리부(200)의 측방을 폐쇄하게 되며 이와는 반대로 개폐판(640)이 상향 회동하였을 때 상판(620)의 상면에 절첩되어 테이블과 같은 용도로 개폐판(640)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보조덕트(400)는 메인덕트(300)로 유입된 연소가스를 조리부(200)의 측방으로 순환시켜 조리부(200)를 가열하도록 메인덕트(300)의 측방에 병렬로 설치된다. 이러한 보조덕트(400)는 직립덕트(410)와 평행덕트(420)로 구성되는데, 직립덕트(410)는 상부 순환부(600)와 연통된 상태로 연소부(100)와 연통되는 메인덕트(300)의 측방으로 연장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메인덕트(300)에서 상부 순환부(600)로 배기되는 연소가스가 직립덕트(410)로 유입된다.
즉, 직립덕트(410)는 메인덕트(300)의 수평덕트(310)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형성되는데, 직립덕트(410)의 입구는 상부 순환부(600)와 연통되어 메인덕트(300)의 수직덕트(320)를 통해 배기된 연소가스가 상부 순환부(600)를 거쳐 직립덕트(410)로 유입된다.
또한, 직립덕트(410)의 하단은 평행덕트(420)와 연통되는데, 평행덕트(420)는 메인덕트(300)의 수평덕트(310)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평행덕트(420)와 연결되며 평행덕트(420)의 출구는 배기부(500)와 연통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서, 보조덕트(400)의 직립덕트(410)와 평행덕트(420)가 메인덕트(300)와 병렬로 마련되어 연소부(100)에서 공급되는 연소가스는 메인덕트(300)와 상부 순환부(600)를 거쳐 보조덕트(400)의 직립덕트(410)와 평행덕트(420)로 유입되어 조리부(200)의 전면과 하면을 가열하고 배기부(500)를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이와 같이 메인덕트(300)와 병렬로 설치되는 보조덕트(4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덕트(300)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보조덕트(400)가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메인덕트(300)의 양측 중 어느 일측으로 보조덕트(400)가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수평덕트(310)를 사이에 두고 직립덕트(410)가 양측으로 마련될 때 직립덕트(410)와 직립덕트(410)를 연결하는 전면차폐판(440)이 조리부(200)의 전면에 형성되어 조리부(200)의 전면을 차폐하게 된다.
그리고, 보조덕트(400)의 하단에는 보조덕트(40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다리(430)가 형성되는데, 다리(430)는 보조덕트(400)의 하단 사방에서 지면을 향해 연장되며 보조덕트(400)와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조리부(200)의 후방에는 메인덕트, 상부 순환부(600), 보조덕트(400)를 따라 이동한 연소가스 또는 연소부(100)에서 메인덕트(300)의 수평덕트(310)로 이동한 연소가스를 배기하기 위한 배기부(500)가 형성된다.
이러한 배기부(500)는 메인덕트(300)의 수직덕트(320) 후방으로 이격 설치된 배면차폐판(520)에 의해 공간을 형성하여 메인덕트(300)의 수평덕트(310) 또는 보조덕트(400)의 평행덕트(420)를 통해 배기된 연소가스가 배면차폐판(520)에 마련된 굴뚝(510)을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이때, 배기부(500)는 앞서 설명한 수평덕트(310)의 연통 홀(312)과 연통되어 연통 홀(312)을 개폐하는 단속댐퍼(330)의 작동에 따라 수평덕트(310)에서 배기부(500)로 연소가스를 직접 배기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난로의 연소가스 순환을 도 4 및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난로의 열기 순환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난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 1 실시예에 따른 난로는 연소부(100)에 연료를 장입하고 연소시키게 되면, 연소가스가 메인덕트(300)를 따라 이동하면서 조리부(200)의 저면과 배면을 가열하게 된다.
이때, 메인덕트(300)의 수평덕트(310)에 설치된 단속댐퍼(330)의 작동에 따라 배기부(500)와 연통된 수평덕트(310)의 연통 홀(312)을 개방시켜 연료에 산소공급을 증가시킴으로써, 연소부(100)에 장입된 연료가 원활하게 착화된다.
즉, 메인덕트(300)의 전면 하부에 설치된 슬라이딩 레버(335)를 전방으로 당겨 와이어(334)를 견인하게 되면 회전축(331)이 회전하여 수평덕트(310)의 연통 홀(312)을 차폐하고 있던 단속판(332)이 보조덕트(400)의 직립덕트(410)를 향해 회전하여 개방되고, 이렇게 개방된 연통 홀(312)을 통해 산소가 연소부(100)로 유입되어 연료가 원활하게 착화된다.
이와는 반대로 연소부(100)의 연료가 착화된 후에는 슬라이딩 레버(335)의 견인을 중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수직덕트(320)의 유로를 막고 있던 단속판(332)이 자중에 의해 연통 홀(312)을 차폐하여 연소가스가 수평덕트(310)에서 수직덕트(320)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수평덕트(310)에서 수직덕트(320)로 유입되는 연소가스는 수직덕트(320)의 출구와 연통된 상부 순환부(600)로 유입되어 조리부(200)의 상부를 가열하고 보조덕트(400)의 직립덕트(410)로 유입되어 조리부(200)의 전면을 가열하게 된다. 그리고, 직립덕트(410)로 유입된 연소가스는 평행덕트(420)로 유입되어 조리부(200)의 하면을 재가열한 후에 배기부(500)의 굴뚝(510)을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이때, 필요에 따라 상부 순환부(600)에 형성된 추가조리부(621)에 조리 대상물을 안치시켜 메인덕트(300)의 수직덕트(320)에서 배기되는 연소가스를 추가조리부(621)에 안치된 조리 대상물에 직접 제공하여 조리 대상물을 가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난로는 조리부(200)를 중심으로 연소가스를 순환시켜 조리 대상물을 가열하기 때문에 우수한 열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부 순환부(600)에 형성된 추가조리부(621)에 조리 대상물을 안치시켜 연소가스를 조리 대상물에 직접 제공하여 조리 대상물을 가열하거나 메인덕트(300), 상부 순환부(600), 보조덕트(400)에 의해 형성되는 조리부(200)에 조리 대상을 안치시켜 열을 가할 수 있어 여러 형태로 조리 대상물을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조리부(200)의 측방에 설치된 개폐판(640)의 회전에 따라 조리부(200)의 측방을 개폐시켜 조리부(200)의 온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개폐판(640)을 상부 순환부(600)의 상판(620)에 절첩시켜 테이블로 사용할 수 있어 조리 대상물을 올려놓기 위한 식탁을 대용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한편, 제 1 실시예와 다르게 본 발명의 난로는 보조덕트(400)가 상부평행덕트(422), 전방직립덕트(412), 하부평행덕트(424), 후방직립덕트(414)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에서 설명한다. 이때, 연소부(100), 조리부(200), 메인덕트(300) 및 이들에 부속되는 요소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난로와 동일하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난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난로의 열기 순환을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난로는 메인덕트(300)의 수직덕트(320)에서 배기되는 연소가스가 상부 순환부(600)로 배기된 후 보조덕트(400)로 유입되는데, 이때 보조덕트(400)는 조리부(200)를 중심으로 사방에 위치하여 연소가스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조리부(200)를 가열할 수 있게 상부평행덕트(422), 전방직립덕트(412), 하부평행덕트(424), 후방직립덕트(414)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보조덕트(4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부(200)와 연통되는 중공이 형성된 사각형태로 이루어져 조리부(200)의 사방에서 열을 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부연하자면, 상부평행덕트(422)는 조리부(200)의 상부에 마련되는데, 상부 순환부(600)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되며 상부 순환부(600)와 마주하는 면에 다수의 유입 홀(422a)이 형성되어 상부 순환부(600)의 연소가스가 유입 홀(422a)을 통해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 홀(422a)을 통해 유입된 연소가스는 상부평행덕트(422)를 따라 조리부(200)의 상면 후방에서 상면 전방으로 이동하며 상부 순환부(600)와 함께 조리부(200)의 상부를 가열하게 된다.
또한, 전방직립덕트(412)는 상부평행덕트(422)와 연통된 상태로 연소부(100)와 연통되는 메인덕트(300)의 측방으로 연장되어 상부평행덕트(422)로 유입된 연소가스가 전방직립덕트(412)를 따라 조리부의 전면을 가열하게 된다.
그리고, 하부평행덕트(424)는 전방직립덕트(412)와 연통된 상태로 메인덕트(300)의 수평덕트(310)와 병렬로 설치되어 전방직립덕트(412)에서 하부평행덕트(424)로 유입된 연소가스가 하부평행덕트(424)를 따라 조리부(200)의 저면을 가열하게 된다.
또한, 후방직립덕트(414)는 하부평행덕트(424)와 연통된 상태에서 전방직립덕트(412)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하부평행덕트(424)에서 후방직립덕트(414)로 유입된 연소가스가 조리부(200)의 배면을 가열하게 된다.
이러한 후방직립덕트(414)는 배기부(5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고, 배기부(500)와 마주하는 면에 다수의 배기 홀(424a)이 형성되어 배기 홀(424a)을 통해 연소가스가 배기부(500)의 굴뚝(510)으로 배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배기부(5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 후방직립덕트(414)의 저면은 하부차폐판(550)에 의해 외부와 격리되어 수평덕트(310)의 연통 홀(312) 또는 후방직립덕트(414)의 배기 홀(424a)로부터 배기되는 연소가스를 배기부(500)의 굴뚝(510)으로 안내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보조덕트(400)가 상부평행덕트(422), 전방직립덕트(412), 하부평행덕트(424), 후방직립덕트(414)로 구성됨으로써, 조리부(200)의 사방에서 연소가스에 의한 열을 조리부(200)에 전달하는 순환구조를 갖게 되어 열 효율이 극대화되어 조리부(200)에 안치된 조리 대상물에 신속하게 열을 전달하여 가열할 수 있다.
한편, 제 1 실시예에서는 메인덕트(300)의 수평덕트(310)로 유입된 연소가스를 배기부(500)와 연통되는 연통 홀(312)로 유입시키거나 또는 수직덕트(320)로 유입될 수 있게 회전구조를 갖는 단속댐퍼(330)가 마련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배기부(500)의 후방으로 견인되는 슬라이딩 댐퍼(530)가 마련되어 연소가스를 배기부(500)를 통해 굴뚝(510)으로 배기하거나 보조덕트(400) 또는 상부 순환부(600)로 유입시킬 수 있다.
즉, 슬라이딩 댐퍼(530)는 수직덕트(320)와 배기부(500) 사이를 직선이동하는 슬라이딩 댐퍼(53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슬라이딩 댐퍼(530)는 수직덕트(320)의 유로와 배기부(500)를 가로질러 슬라이딩 댐퍼(530)의 위치에 따라 연소가스의 유입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슬라이딩 댐퍼(530)는 일측에 배기부(500)를 관통하여 배기부(500)의 외부로 연장되는 조절 손잡이(540)가 형성되어 사용자는 조절 손잡이(540)를 배기부(500)의 후방으로 견인하는 것에 따라 슬라이딩 댐퍼(530)의 위치를 조절하여 수평덕트(310)의 연소가스를 수직덕트(320) 또는 배기부(500)로 유입되도록 단속하게 된다.
이러한, 슬라이딩 댐퍼(530)는 제 2 실시예에서 설명한 난로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는 제 1 실시예에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단속댐퍼(330) 역시 제 1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 2 실시예에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난로는 보조덕트(400)를 구성하는 상부평행덕트(422), 전방직립덕트(412), 하부평행덕트(424), 후방직립덕트(414)가 순차적으로 연결된 "ㅁ"자형의 관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 1 실시예와 같은 측면차폐판(630)이 불필요하여 작업성이 용이하다.
즉, 메인덕트(300)의 양측으로 "ㅁ"자형의 관체로 이루어진 보조덕트(400)를 설치한 후 전방직립덕트(412) 사이에 전면차폐판(440)과 내부판(610)을 설치하여 메인덕트(300)의 수평덕트(310) 전면 및 상면을 차폐한 후 후방직립덕트(414) 사이에 배면차폐판(520)과 하부차폐판(550)을 설치하여 배기부(500)를 형성하기 때문에 제 1 실시예의 난로보다 조립 작업이 수월하다.
한편,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의 구조를 갖는 난로는 절첩되는 것에 따라 난로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다리를 제공하거나 휴대가 간편하도록 손잡이를 제공하는 절첩유닛(700)이 마련될 수 있다. 이를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제 3 실시예에서 설명한다. 이때, 연소부(100), 조리부(200), 메인덕트(300) 및 이들에 부속되는 요소는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에서 설명한 난로와 동일하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3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난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난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또한, 도 11 및 도 12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난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 3 실시예에 따른 난로는 보조덕트(400)에 절첩되면서 보조덕트(400)의 다리를 제공하거나 손잡이를 제공하는 절첩유닛(700)이 마련되어 필요에 따라 난로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다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휴대가 간편하도록 사용자가 파지하여 난로를 운반할 수 있는 손잡이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절첩유닛(700)은 보조덕트(400)의 하단 양측에 각각 힌지 체결되어 회동하는 한 쌍의 지지대(710)와 지지대(710)에 제각기 마련되되 상대편과 엇갈리게 회전하도록 지지대(710)에 힌지 체결되는 링크 암(720)으로 구성된다.
이때, 링크 암(720) 중 어느 하나에 후크(722)가 형성되고, 상대편 링크 암(720)에 후크(722)에 걸림되는 걸림 봉(724)이 형성되어 지지대(710)가 서로를 향해 엇갈리게 회전하였을 때 걸림 봉(724)이 상대편 링크 암(720)에 형성된 후크(722)에 결속된다.
부연하자면, 지지대(710)는 보조덕트(400)의 하단과 힌지 체결되는 회전 플레이트(712)와 회전 플레이트(712)와 일체로 형성되며 난로의 전체 높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는 지지 빔(714)과 지지 빔(714)과 대향하여 회전 플레이트(712)와 일체로 형성되는 보조지지 빔(716)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지지대(710)는 보조덕트(400)의 하단과 힌지 체결된 회전 플레이트(712)가 회전하는 것에 따라 지지대(710)가 지면을 향하거나 또는 난로의 상방을 향하게 된다. 또한, 지지대(710)는 그 단면이 직각으로 절곡된 각형으로 이루어져 지지대(710)가 지면을 향하게 위치될 때 지지대(710)가 난로의 하중을 견고하게 받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지지대(710)와 대향하여 회전 플레이트(712)와 일체로 형성되는 보조지지 빔(716)은 지지 빔(714)의 자유단이 난로의 상방을 향하게 회동하였을 때 보조덕트(400)의 하단보다 지면과 가깝게 돌출되는 길이를 형성하게 되어 보조덕트(400)가 보조지지 빔(716)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지지대(710)가 난로의 상방을 향해 위치하거나 또는 지면을 향해 위치하게 될 때 지지대(710)가 임의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링크 암(720)이 지지대(710)에 제각기 마련된다.
이러한 링크 암(720)은 상대편의 링크 암(720)과 엇갈리게 회동하도록 지지대(710)에 힌지 체결된다. 특히, 링크 암(720)이 상대편 링크 암(720)과 엇갈리게 회동하였을 때 결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어느 하나의 링크 암(720)에 후크(722)가 형성되고, 상대편 링크 암(720)의 후크(722)와 결속되는 걸림 봉(724)이 형성되어 지지대(710)가 지면을 향해 위치하거나 또는 난로의 상방을 향해 위치하게 되는 경우 링크 암(720)이 상대를 향해 엇갈리게 회동하여 후크(722)에 걸림 봉(724)이 결속되어 지지대(710)를 지탱하게 된다.
또한, 후크(722)가 형성된 링크 암(720)의 자유단에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핸들 바(726)가 형성되어 지지대(710)가 난로의 상방을 향해 위치하게 될 때 핸들 바(726)가 상부 순환부(600)의 상방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핸들 바(726)를 파지한 후 난로를 들어올려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른 난로는 조리부(200)를 메인덕트(300)와 상부 순환부(600) 및 보조덕트(400)가 감싼 상태에서 연소부(100)의 연소가스가 메인덕트(300)를 경유한 후 상부 순환부(600)를 거쳐 다시 보조덕트(400)로 흐르도록 하는 재순환 흐름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은 폐열을 재순환 구조에 의해 활용하여 조리부(200) 및 조리부(200)의 주변으로 열이 전달되는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열 효율을 극대화시켜 조리 대상물을 신속하게 가열시켜 조리할 수 있다.
또한, 보조덕트(400)를 메인덕트(300)의 양측에 각각 배치하여 연소가스가 중앙에서 시작하여 양측으로 분기되어 흐르게 함으로써, 조리부(200)에 대한 열 분포율을 고르게 할 수 있게 되면서 그 결과 조리 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메인덕트(300)의 단속댐퍼(330)를 통해 필요에 따라 연소부(100)의 연소가스를 신속하게 굴뚝(510)으로 배기시켜 연소부(100)에 장입된 연료가 착화될 때 발생하는 매연을 신속하게 굴뚝을 통해 배기시켜 매연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조리부(200)는 양측에 개폐판을 마련함으로써, 조리부(200)의 노출을 차단하여 조리부(200)의 열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리부(200)에 조리 대상물을 안치시키는 것이 편리하다.
또한, 개폐판(640)을 상부 순환부(600)의 상판에 얹혀지게 회전시켜 개폐판(640)을 테이블 대용으로 활용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보조덕트에 절첩유닛이 마련되어 난로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다리를 형성하거나 운반 및 이동이 편리하게 손잡이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 연소부 110 : 직립벽체
120 : 바닥벽체 122 : 관통부
130 : 재받이부 132 : 가이드레일
140 : 재받이통 142 : 가이드
144 : 손잡이 200 : 조리부
300 : 메인덕트 310 : 수평덕트
312 : 연통 홀 320 : 수직덕트
330 : 단속댐퍼 331 : 회전축
332 : 단속판 333 : 고리
334 : 와이어 335 : 슬라이딩 레버
400 : 보조덕트 410 : 직립덕트
412 : 전방직립덕트 414 : 후방직립덕트
420 : 평행덕트 422 : 상부평행덕트
422a : 유입 홀 424 : 하부평행덕트
424a : 배기 홀 440 : 전면차폐판
500 : 배기부 510 : 굴뚝
520 : 배면차폐판 530 : 슬라이딩 댐퍼
540 : 조절 손잡이 550 : 하부차폐판
600 : 상부 순환부 610 : 내부판
620 : 상판 621 : 추가조리부
622 : 개폐커버 630 : 측면차폐판
640 : 개폐판 641 : 경첩
700 : 절첩유닛 710 : 지지대
712 : 회전 플레이트 714 : 지지 빔
716 : 보조지지 빔 720 : 링크 암
722 : 후크 724 : 걸림 봉
726 : 핸들 바

Claims (17)

  1. 연료를 연소시키는 연소부;
    상기 연소부의 후방에 마련되고 조리 대상물이 안치되는 조리부;
    상기 조리부의 저면과 배면을 형성하며 상기 연소부의 후단과 연결되어 연소부에서 발생하는 연소가스에 의해 조리부의 저면과 배면을 가열하는 메인덕트;
    상기 메인덕트로 유입된 연소가스를 상기 조리부의 측방으로 순환시켜 가열하도록 상기 메인덕트의 측방에서 병렬로 설치되는 보조덕트; 및
    상기 조리부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덕트로 유입된 연소가스를 배기하는 굴뚝과 연결되는 배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덕트는
    상기 연소부의 일측과 연통되고, 연소부의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이 상기 배기부와 연통되어 상기 조리부의 저면을 형성하는 수평덕트; 및
    상기 수평덕트와 연통되며 상기 조리부의 배면을 형성하도록 수평덕트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수직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평덕트는 상기 배기부와 연통되는 연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 홀이 형성된 수평덕트의 내부는 연소가스를 연통 홀을 통해 배기부로 유입시키거나 상기 보조덕트로 유입시키는 단속댐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속댐퍼는
    상기 수평덕트 내의 연통 홀 전방에서 회전되도록 수평덕트의 내측면에 힌지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형성되며 연소가스가 지나는 수평덕트의 유로 또는 연통 홀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단속판; 및
    상기 단속판과 대향하여 회전축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메인덕트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와이어와 결속되는 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고리와 결속된 와이어는 상기 연소부의 전면 하부에서 연소부의 전방을 향해 직선이동하는 슬라이딩 레버와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덕트의 상부에 마련되어 메인덕트의 연소가스를 포집하여 보조덕트로 유입시키는 유로가 형성된 상부 순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부 순환부는
    상기 연소가스가 배기되는 메인덕트의 후단과 연소가스가 유입되는 보조덕트의 선단을 일체로 연결하여 메인덕트에서 배기되는 연소가스가 상기 조리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폐하며 조리부의 상면을 형성하는 내부판;
    상기 내부판의 상부에 이격 설치되는 상판; 및
    상기 상판과 내부판 사이의 측면을 차폐시키는 측면차폐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조리 대상물이 안치되어 상기 메인덕트의 출구로 배기된 연소가스를 조리 대상물에 직접 제공하여 가열하는 추가조리부; 및
    상기 추가조리부를 개폐시키는 개폐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부 순환부는
    상기 상판에 설치된 경첩과 연결되어 상기 조리부의 측방에서 상향 회동하여 조리부의 입구를 단속하는 개폐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직덕트와 배기부는 그 내부에 슬라이딩에 따라 연소가스가 상기 보조덕트 또는 배기부로 유입되는 것을 단속하는 슬라이딩 댐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댐퍼는 일측으로 배기부를 관통하여 배기부의 외부로 인출되는 조절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조덕트는
    상기 상부 순환부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연소부와 연통되는 메인덕트의 측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덕트에서 배기되는 연소가스가 유입되는 직립덕트; 및
    상기 직립덕트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메인덕트의 수평덕트에 병렬로 설치되어 상기 배기부로 연소가스를 배기하는 평행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
  12.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덕트는
    상기 조리부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상부 순환부의 연소가스가 유입되는 다수의 유입 홀이 형성되는 상부평행덕트;
    상기 상부평행덕트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연소부와 연통되는 메인덕트의 측방으로 연장되는 전방직립덕트;
    상기 전방직립덕트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메인덕트의 수평덕트에 병렬로 설치되는 하부평행덕트; 및
    상기 하부평행덕트와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직립덕트에 대응하여 위치되고 상기 배기부로 연소가스를 배기하는 배기 홀이 형성되는 후방직립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보조덕트는 상기 메인덕트의 양측에 제각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덕트는 절첩되면서 상기 보조덕트의 다리를 제공하거나 손잡이를 제공하는 절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절첩유닛은
    상기 보조덕트의 하단 양측에 각각 힌지 체결되어 회동하는 한 쌍의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제각기 마련되되 상대편과 엇갈리게 회동하도록 지지대에 힌지 체결되는 링크 암;을 포함하되,
    상기 링크 암 중 어느 하나에 후크가 형성되고, 상대편 링크 암에 상기 후크에 걸림되는 걸림 봉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 봉이 후크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보조덕트의 하단과 힌지 체결되는 회전 플레이트;
    상기 난로의 전체 높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고 상기 회전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 빔; 및
    상기 지지 빔과 대향하여 회전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보조지지 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 빔은 상기 지지 빔의 자유단이 상부를 향해 회동하였을 때 상기 보조덕트의 하단보다 지면과 가깝게 돌출되는 길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
KR1020140075717A 2014-06-20 2014-06-20 난로 KR101622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717A KR101622312B1 (ko) 2014-06-20 2014-06-20 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717A KR101622312B1 (ko) 2014-06-20 2014-06-20 난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573A KR20150145573A (ko) 2015-12-30
KR101622312B1 true KR101622312B1 (ko) 2016-05-19

Family

ID=55087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5717A KR101622312B1 (ko) 2014-06-20 2014-06-20 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231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583B1 (ko) 2016-08-11 2016-12-21 이승일 난로
KR20180002201U (ko) * 2017-01-10 2018-07-18 손태창 캠핑용 숯불난로를 위한 다기능 거치대
KR20190001578A (ko) 2017-06-27 2019-01-04 이승일 화덕 겸용 난로
KR20200049431A (ko) 2018-10-30 2020-05-08 홍 대 박 난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330B1 (ko) * 2022-06-25 2023-02-23 박승한 화목난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301Y1 (ko) 2006-12-21 2008-02-11 김정호 높은 가온효율을 지닌 고체연료용 난로
JP3175791U (ja) 2012-02-29 2012-05-31 合同会社環 加熱装置
KR200472326Y1 (ko) 2012-12-27 2014-04-16 이재만 화목 난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301Y1 (ko) 2006-12-21 2008-02-11 김정호 높은 가온효율을 지닌 고체연료용 난로
JP3175791U (ja) 2012-02-29 2012-05-31 合同会社環 加熱装置
KR200472326Y1 (ko) 2012-12-27 2014-04-16 이재만 화목 난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583B1 (ko) 2016-08-11 2016-12-21 이승일 난로
KR20180002201U (ko) * 2017-01-10 2018-07-18 손태창 캠핑용 숯불난로를 위한 다기능 거치대
KR200487966Y1 (ko) * 2017-01-10 2018-11-27 손태창 캠핑용 숯불난로를 위한 다기능 거치대
KR20190001578A (ko) 2017-06-27 2019-01-04 이승일 화덕 겸용 난로
KR20200049431A (ko) 2018-10-30 2020-05-08 홍 대 박 난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573A (ko) 201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2312B1 (ko) 난로
US4026264A (en) Portable fireplace heating unit
US4201186A (en) Solid-fuel burner
US20060225724A1 (en) Solid-fueled cooking or heating device
US10627112B2 (en) Combustion apparatus
US20140116411A1 (en) Pullout firebox drawer
KR101481295B1 (ko) 수평식 화목 난로
KR20160022688A (ko) 화목난로
US3874362A (en) Space heating device using solid fuel
KR101648100B1 (ko) 난로
JP2021004711A (ja) 調理機能付きストーブ
KR101431139B1 (ko) 무동력 펠릿 난로
KR101782594B1 (ko) 우드 펠릿 실내외 겸용 난로
CN209540948U (zh) 户外多用途帐篷取暖柴火炉
KR101380464B1 (ko) 오븐실을 겸비한 하향연소식 난로
CN102954497B (zh) 便携式生物质炊事炉
RU136537U1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теплонакопительный камин
JP2017203614A (ja) 燃焼装置
KR200419102Y1 (ko) 화목/연탄 겸용 보일러
KR101554638B1 (ko) 난로
KR102520232B1 (ko) 스토브
KR200433812Y1 (ko) 원적외선 구이기
JP7242111B1 (ja) 薪ストーブ
KR200475915Y1 (ko) 화목난로용 연소장치
KR102227907B1 (ko) 다용도 벽난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