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8583B1 - 난로 - Google Patents
난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88583B1 KR101688583B1 KR1020160102484A KR20160102484A KR101688583B1 KR 101688583 B1 KR101688583 B1 KR 101688583B1 KR 1020160102484 A KR1020160102484 A KR 1020160102484A KR 20160102484 A KR20160102484 A KR 20160102484A KR 101688583 B1 KR101688583 B1 KR 1016885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bustion chamber
- combustion
- air
- main body
- hea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F24B1/189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flue-gas control damp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F24B1/19—Supplying combustion-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2—Doors; Screens; Fuel guar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5—Fireboxes; Frames; Hoods; Heat reflec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5/00—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 F24B5/02—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5/00—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 F24B5/02—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 F24B5/021—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combustion-air circulation
- F24B5/025—Supply of secondary air for completing combustion of fue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7/00—Stoves, ranges or flue-gas duct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F24B7/02—Stoves, ranges or flue-gas duct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with external ai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로에 관한 것으로, 간소화된 구조로 조립이 용이하고 연소효율이 향상되고, 간접발열을 통한 난방방식으로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연소실의 온도가 항상 고온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난로는, 내부에 피연소물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실이 형성된 본체, 내부에 상기 본체가 수용되고 상기 연소실 내의 연소열을 외부로 발산시키는 발열부, 상기 발열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밀폐시키며, 일측에 상기 연소실에 피연소물을 투입하기 위해 형성되는 투입구가 마개를 통해 개폐되는 뚜껑부, 상기 뚜껑부에 설치되고 상기 연소실에 수용되어, 상기 연소실에 가열된 외기가 공급되도록 하므로서, 피연소물의 연소작용을 증대시키는 급기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난로는, 내부에 피연소물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실이 형성된 본체, 내부에 상기 본체가 수용되고 상기 연소실 내의 연소열을 외부로 발산시키는 발열부, 상기 발열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밀폐시키며, 일측에 상기 연소실에 피연소물을 투입하기 위해 형성되는 투입구가 마개를 통해 개폐되는 뚜껑부, 상기 뚜껑부에 설치되고 상기 연소실에 수용되어, 상기 연소실에 가열된 외기가 공급되도록 하므로서, 피연소물의 연소작용을 증대시키는 급기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난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로는 실내를 데워주는 난방기구의 일종으로서, 농업, 축산업 등과 같은 산업용으로 대형 난로에서부터 야영 등의 실외 생활에서 사용 가능한 소형 난로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종래의 난로는 난방의 고효율을 이루기 위하여 화점집중과 연통의 설치는 기본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화실의 단열처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와 같은 단열처리를 위해 난로 내부에 내화벽돌 또는 단열벽돌을 설치하거나 펄라이트 등 단열재 등으로 보강함은 물론 격벽 처리와 열기 지연판 및 축열 구조를 추가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피연소물의 초기 착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난로의 제작시간, 제조비용 및 구매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내화벽돌, 단열벽돌, 단열재, 격벽, 열기 지연판 등이 추가됨으로 인해 난로의 하중이 증가되어 운반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간소화된 구조로 조립이 용이하고 연소효율이 향상되고, 간접발열을 통한 난방방식으로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연소실의 온도가 항상 고온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도록 한 난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로는, 내부에 피연소물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실이 형성된 본체, 내부에 상기 본체가 수용되고 상기 연소실 내의 연소열을 외부로 발산시키는 발열부, 상기 발열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밀폐시키며, 일측에 상기 연소실에 피연소물을 투입하기 위해 형성되는 투입구가 마개를 통해 개폐되는 뚜껑부, 상기 뚜껑부에 설치되고 상기 연소실에 수용되어, 상기 연소실에 가열된 외기가 공급되도록 하므로서, 피연소물의 연소작용을 증대시키는 급기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난로는, 내부에 피연소물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실이 형성된 본체, 내부에 상기 본체가 수용되고 상기 연소실 내의 연소열을 외부로 발산시키는 발열부, 상기 발열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밀폐시키며, 일측에 상기 연소실에 피연소물을 투입하기 위해 형성되는 투입구가 마개를 통해 개폐되는 뚜껑부, 상기 뚜껑부에 설치되고 상기 연소실에 수용되어, 상기 연소실에 가열된 외기가 공급되도록 하므로서, 피연소물의 연소작용을 증대시키는 급기관,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보조연소관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발열부의 일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제1연기배출구와 제2연기배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연기배출구와 제2연기배출구에 연결 설치되는 연통, 상기 연통 중 상기 제1연기배출구와 연결되는 부분을 개폐시켜 연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댐퍼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발열부의 바닥면과 본체의 저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발열부와 본체의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공기층형성부를 포함하는 난로.
그리고, 상기 급기관에는 급기관 내의 공기를 연소실에 공급하기 위한 다수개의 공급홀이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급기관은 상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뚜껑부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뚜껑부에는 상기 연소실과 연결되며 외기를 연소실 내부에 공급하기 위한 흡기홀이 형성되고,
상기 뚜껑부의 저면에 설치되며 상면에 상기 흡기홀과 연결되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흡기홀 및 연결홀을 통해 흡기된 공기를 저장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하면과 측면에는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공기를 연소실로 배출하기 위한 공급홀이 형성된 보조급기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발열부의 바닥면은 캐스타블 성형 처리 되거나 또는 펄라이트로 단열 처리된다.
또한, 상기 보조 연소관의 하측 둘레를 따라서는 다수개의 타공홀이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난로는, 급기관 및 보조급기부를 통해 연소실에 외기가 가열된 상태로 고루게 공급됨에 따라 탄소와 산소의 접촉이 원활해져 피연소물의 완전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갈탄이나 연탄 등도 피연소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발열부와 본체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지면서 발열부와 본체의 사이 빈 공간은 공기층 역할을 함에 따라, 별도의 단열재 없이도 난로의 단열 기능을 향상시켜 연소실의 온도가 항상 고온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기층에서 연소열이 보존되고 발열부를 통해 연소열을 간접적으로 발산함에 따라 연통으로 빠져 나가는 연소열을 최소화할 수 있고, 발열부는 본체 내의 연소열을 통한 간접 발열됨으로 본체의 단열 및 보온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연소실의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 고온 연소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난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난로에 적용된 연통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난로에 적용된 본체가 발열부에 편심된 상태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난로에 보조연소관이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난로에 보조연소관과 보조급기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난로에 보조투입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난로에 조리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난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난로에 적용된 연통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난로에 적용된 본체가 발열부에 편심된 상태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난로에 보조연소관이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난로에 보조연소관과 보조급기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난로에 보조투입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난로에 조리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난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난로에 적용된 연통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난로에 적용된 본체가 발열부에 편심된 상태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난로에 보조연소관이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난로에 보조연소관과 보조급기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난로에 보조투입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난로에 조리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난로(1)는 본체(10), 발열부(20), 뚜껑부(30), 급기관(4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일정한 면적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상기 본체(10)가 원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상기 본체(1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피연소물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실(11)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0)의 바닥면에는 재받이(160)를 분리 가능하게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재를 용이하게 처리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재받이(160)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는 다수개의 타공홀(161)이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타공홀(161)의 작용은 후술되는 보조연소관(170)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피연소물은 화목이나 펠렛 등 다양한 종류의 것들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발열부(20)는 본체(10) 내에 연소열을 외부로 발산시키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10)가 발열부(20)의 빈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열부(20)는 상기 본체(1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본체(10)보다 큰 직경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발열부(20)와 본체(10)의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발열부(20)와 본체(10)의 사이 빈 공간은 공기층 역할을 함에 따라, 별도의 단열재 없이도 난로(1)의 단열 기능을 향상시켜 연소실(11)의 온도가 항상 고온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층에서 연소열이 보존되고 발열부(20)를 통해 연소열을 간접적으로 발산함에 따라 연통(60)으로 빠져 나가는 연소열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발열부(20)는 본체(10) 내의 연소열을 통한 간접 발열로 인해 본체(10)의 단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연소실(11)의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 고온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부(20)의 바닥면은 캐스타블 성형 처리 되거나 또는 펄라이트 등으로 단열 처리되어 단열효과가 우수해짐에 따라, 별도의 받침대(미도시)를 사용하지 않고 지면에 올려 놓더라도 지면에 열기를 빼앗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난로에 적용된 본체(10)와 발열부(20)의 배치관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본체(10)는 발열부(20)의 내부에서 연통(6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편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연소물의 초기 착화가 수월하게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본체(10)는 도 4와 반대로 발열부(20)의 내부에서 연통(60)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편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연소열이 빠르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발열부(20)의 내부에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며 상이한 길이를 갖는 가이드(150)가 설치되어 상기 본체(10)를 발열부(20)의 내부에 삽입하였을 경우 상기 본체(10)가 정해진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발열부(20)의 일측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며 서로 수직선상에 위치되는 제1연기배출구(22)와 제2연기배출구(23)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연기배출구(22)와 제2연기배출구(23)에는 연통(60)이 설치되어 난로(1) 내의 연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통(60)은 상기 제1연기배출구(22)와 제2연기배출구(23)에 각각 관통설치되는 상부분기관(61)과 하부분기관(62)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분기관(61)에는 틈새(61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틈새(61a)를 통해 상부분기관(61)의 내부에 댐퍼(70)를 삽입하거나 인출하여 개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댐퍼(70)는 틈새(61a)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대략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는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며 상부분기관(61)의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분기관(62)의 내부에서 댐퍼(70)를 인출하여 밀폐시키지 않을 경우, 연소실(11)의 공기 및 연기가 제1연기배출구(22)를 통해 신속하게 배출되고 급기관(40)으로는 외기가 원활하게 흡입될 수 있다. 따라서 피연소물의 착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연소효율이 향상됨에 따라 건축물, 비닐하우스, 작업실, 공방 등과 같이 열기 대류에 의한 난방 효과를 요구하는 장소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마개(50)를 제거하고, 냄비 등의 조리용기를 올려 놓아 조리물을 용이하게 가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댐퍼(70)로 상부분기관(61)의 내부를 밀폐시킬 경우 연기 및 열기가 내부 본체(10)와 발열부(20) 사이의 공간 및 제2연기배출구(23)를 거쳐 연통(60)을 통해 배출된다. 이러한 경우 제2연기배출구(63)와 연통(60)을 통해 열기가 배출되는 것에 비해 열기의 배출 경로가 길어 짐에 따라 난방 효율이 향상된다.
이러한 댐퍼(70)는 상부분기관(61)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부분기관(61)과 마찰을 일으켜 고정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부분기관(61)의 내부를 부분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통(60)은 상부분기관(61)이 생략된 "ㄴ"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연통(60)은 열효율성을 위해 발열부(20)의 측면 중 중앙부분에서 조금 더 아랫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발열부(20)의 연기배출구는 초기착화를 더욱 용이롭게 한다.
이때, 상기 연통(60)을 "ㄴ"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제1연기배출구(22), 댐퍼(70)는 생략된다.
이상 설명한 발열부(20)의 바닥면과 본체(10)의 저면 사이에는 상기 발열부(20)의 바닥면과 본체(10)의 저면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시키는 공기층형성부(80)가 개재된다.
상기 공기층형성부(80)는 일정한 길이, 폭,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공기층형성부(80)는 도면에 사각형 형상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열부(20)와 본체(10)의 사이의 간격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사각형 형상 외에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공기층형성부(80)는 상기 본체(10)의 저면 또는 발열부(20)의 바닥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기층형성부(80)로 인해 본체(10) 내의 연소열이 발열부(20)로 직접 전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별도의 받침대(미도시) 없이 발열부(20)를 지면에 직접 올려 놓게 되더라도 본체(10)와 발열부(20) 사이의 연소열이 지면에 전도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층형성부(80)는 각관이나 파이프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층형성부(80)는 상기 발열부(20)의 바닥면을 캐스타블 성형 처리 되거나 또는 펄라이트로 단열 처리할 경우 생략된다.
상기 뚜껑부(30)는 상기 발열부(2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21)를 밀폐시켜 연소실(11)의 연소열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발열부(20)의 상면에 단순 안착되거나, 발열부(20)의 상면에 볼트 등으로 결합되어 용이하게 개폐될 수 있다.
이러한 뚜껑부(30)의 일측에는 일정한 직경을 갖는 투입구(31)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투입구(31)를 통해 상기 연소실(11)에 피연소물을 투입할 수 있다.
그리고, 연소실(11)에 피연소물을 모두 투입한 이후에는 상기 투입구(31)에 마개(50)를 덮어 연소실(11)의 연소열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부(30)에는 후술되는 급기관(40)을 설치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설치홀(미도시)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급기관(40)은 피연소물의 완전 연소를 유도하는 것으로, 상측이 상기 뚜껑부(30)의 설치홀에 설치되고 그 아랫부분은 상기 연소실(11)에 수용된다.
이때, 상기 급기관(40)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상기 급기관(40)이 원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급기관은(40)은 연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두개 이상으로 적용된다.
상기 급기관(40)은 상측의 개구된 부분이 뚜껑부(30)의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외기가 상기 급기관(40)의 내부 통로(42)를 통해 연소실(11)에 공급된다.
이때, 상기 외기는 급기관(4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피연소물이 연소됨에 따라 발생되는 연소열과 연소실(11) 내의 고온으로 가열되며, 이와 같이 가열된 상태에서 연소실(11)에 공급됨에 따라 탄소와 산소의 접촉이 원활해져 피연소물이 완전 연소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발열부(20)의 발열율이 우수해져 피연소물의 양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급기관(40)은 상기 피연소물의 완전 연소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뚜껑부(30)에 두 개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연소실(11) 전체에 가열된 공기를 고루게 공급하여 완전 연소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뚜껑부(30)의 상면에는 상기 급기관(40)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여 연소실(11)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절부(90)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절부(90)는 회동축(120)을 통해 상기 뚜껑부(30)의 상면을 따라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급기관(40)보다 넓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뚜껑부(30)의 상면에서 급기관(40)의 상단 전체를 막거나 일부분만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90)의 회동각도에 따라 상기 급기관(40)의 상단 개방 면적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연소실(11)에 공급되는 외기의 양을 선택적으로 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기관(40)에는 통로(42)와 연소실(11)을 연결하는 공급홀(4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공급홀(41)은 상기 급기관(40)의 길이 방향 및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화목이나 펠렛 이외에 볏집 등 농사 부산물 등을 피연소물로 사용할 경우 인화점이 화목보다 낮아 급기량이 부족할 수 있으며, 연소실(11)에 피연소물을 과도하게 투입하여 쌓아 올린 상태에서 점화를 할 경우 급기관(40)을 통해 연소실(11)에 공급되는 외기가 피연소물 전체에 고루게 공급되지 못해 불완전 연소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난로(1)의 경우 급기관(40)에 흡입된 공기 중 일부는 급기관(40)의 하측 개방된 부분을 통해 연소실(11)에 공급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공급홀(41)을 통해 사방으로 흘러나가 연소실(11)에 고루게 공급된다.
즉, 상기 급기관(40)과 공급홀(41)을 통해 피연소물 전체에 외기를 고루게 공급할 수 있음에 따라, 연소실(11)에 피연소물이 과도하게 쌓여 있는 상태 또는 인화점이 낮은 피연소물도 완전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급기관(40)은 뚜껑부(30)에 설치될 경우 연통(60)의 반대편에 위치하였을 경우 왕성한 연기배출력으로 인해 연소실로 급기 흡인력이 가장 커지며 연통(60)측으로 다가갈수록 흡인력이 약해져 화력이 약해지나 연소시간 증가에는 도움이 되며, 급기관(40)은 급기관을 지날 때 공기가 예열될 수 있고 연소실의 상승 기류가 연소실(11)의 하향 급기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져야 하며 통상 급기관(40) 하단이 재받이(160)로부터 이격 거리가 5cm인 경우에는 개방되어 있는 급기관(40) 하단을 막고 급기관(40) 면적만큼 미세하게 천공을 하여 연소실(11) 상승 기류가 하향되는 급기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한다.
부가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받이(160)의 상면에는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보조연소관(170)이 더 설치된다.
즉, 상기 보조연소관(170)의 내부에 갈탄이나 연탄 또는 펠렛을 투입한 다음 점화하면, 외기가 급기관(40)의 내부를 통해 연소실(11)로 전달되고, 이와 같이 전달된 외기는 보조연소관(170)의 하부에 천공된 타공홀(171)을 거쳐 보조연소관(170)의 내부에 위치한 갈탄이나 연탄 또는 펠렛에 공급되거나, 재받이(160)의 타공홀(161)을 통과한 다음 본체(10)의 바닥면에 부딪혀 상승되어 재받이(160)의 하측에서 타공홀(161)을 통과하여 보조연소관(170)의 내부에 위치한 갈탄이나 연탄 또는 펠렛에 공급되어 연소효율이 향상되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상기 보조연소관(170)이 연소실에 설치될 경우, 연소실의 면적이 축소되어 발열량을 최소로 낮춰 결과적으로 버닝 타임을 늘려줘 여름이나 간절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화덕으로 이용시에는 열기를 피가열물까지 유도하기도 하고, 보조연소관(170)을 뒤집어 투입구(31)에 꽂으면 3중 포켓스토브가 되어 매우 높은 최대 화력을 방출하여 난로 발열량 스코프를 확대할 뿐 아니라 화목 외에 갈탄 등의 연료도 용이하게 연소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또한, 보조연소관(170)의 하측 둘레면을 따라서는 다수개의 타공홀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3중 포켓스토브로 사용시 보조연소관의 내벽을 타고 올라오는 역화 미세 연기를 추가 급기와 함께 연소실로 돌려보내줘 연소효율을 향상시킨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난로(1)에 보조급기부가 더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뚜껑부(30)에 두개 이상의 보조급기부(100)를 설치하여 인화점이 낮은 피연소물도 효율적으로 연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구체적으로, 뚜껑부(30)에는 상기 연소실(11)과 연결되는 다수개의 흡기홀(32)이 서로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뚜껑부(30)의 저면에는 보조급기부(100)가 설치된다.
상기 보조급기부(100)는 양측이 개구되고 내부가 빈 직사각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급기부(100)는 상면에 상기 흡기홀(32)과 연결되는 연결홀(102)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흡기홀(32) 및 연결홀(102)을 통해 흡기된 공기를 저장하는 저장공간(S)이 형성되며, 하면과 측면에는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공기를 연소실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홀(101)이 형성된다.
상기 보조급기부(100)는 뚜껑부(30)로 발열부(20)의 개구부(21)를 밀폐시킬 경우 연소실(11)과 수직선상에 위치되어, 외기는 뚜껑부(30)의 관통홀(32)과 보조급기부(100)의 공급홀(10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연소실(11)에 공급된다.
즉, 외기가 상기 급기관(40) 및 보조급기부(100)를 통해 연소실(11)에 공급됨에 따라, 연소실(11)에 공급되는 외기의 양이 풍부해지고, 상기 저장공간(S)에 저장된 공기가 연소실(11)에 지속적으로 공급됨에 따라 인화점이 낮은 볏짚단 같은 농사 부산물, 골판지 같은 쓰레기도 용이하게 연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보조급기부(100)을 적용할 경우 상기 급기관(40)의 공급홀(41)은 생략되어야만 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난로(1)에 보조투입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발열부(20)와 본체(10)에는 보조투입부(110)가 설치된다.
상기 보조투입부(110)는 양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원통이나 사각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보조투입부(110)는 본체(10)에서 발열부(20)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는 경사각을 갖도록 설치되고 일부분이 발열부(2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상기 뚜껑부(30)의 마개(50)를 열지 않고도 상기 보조투입부(110)를 통해 피연소물을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투입부(110)의 돌출된 부분 일단 개방된 부분에는 마개(미도시)를 설치하여 피연소물을 투입하지 않을 경우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난로(1)에 조리판이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연소열을 통해 조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난로(1)는 도 2 및 3에 비해 연통(60)이 상측을 향하도록 90도 각도로 눕혀져 있으며, 상면 일부분은 조리판(140)이 수용될 수 있도록 절개되어 있다.
상기 조리판(140)은 상기 발열부(20)의 절개된 부분과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 양측 상단이 외측을 향해 수평 절곡되어 발열부(20)의 상면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조리판(140)과 내부 본체(10)가 일정간격 이격됨에 따라 그 사이에는 피연소물이 연소됨으로 인해 발생되는 연소열이 흐를 수 있다.
즉, 상기 조리판(140)은 연소실(11)을 빠져 나와 연통(60)방향으로 흐르는 연소열에 의해 가열 되어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을 익힐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발열부(20)의 내측면 중 조리판(140)이 위치된 부분과 연통(60)의 사이 구간에는 열기이동지연부(130)가 설치된다.
상기 열기이동지연부(130)는 내부 본체(10)와 발열부(20)의 사이 일부 구간을 막는 형태가 되어 연소열의 이동을 지연시킴에 따라, 상기 조리판(140)이 음식물을 익히기에 충분한 온도로 가열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1 : 난로 10 : 본체
11 : 연소실 20 : 발열부
21 : 개구부 22 : 제1연기배출구
23 : 제2연기배출구 30 : 뚜껑부
31 : 투입구 32 : 관통홀
40 : 급기관 41,101 : 공급홀
42 : 통로 50 : 마개
60 : 연통 61 : 상부분기관
62 : 하부분기관 70 : 댐퍼
80 : 공기층형성부 90 : 조절부
100 : 보조급기부 110 : 보조투입부
120 : 회동축 130 : 열기이동지연부
140 : 조리판 150 : 가이드
160 : 재받이 161,171 : 타공홀
170 : 보조연소관
11 : 연소실 20 : 발열부
21 : 개구부 22 : 제1연기배출구
23 : 제2연기배출구 30 : 뚜껑부
31 : 투입구 32 : 관통홀
40 : 급기관 41,101 : 공급홀
42 : 통로 50 : 마개
60 : 연통 61 : 상부분기관
62 : 하부분기관 70 : 댐퍼
80 : 공기층형성부 90 : 조절부
100 : 보조급기부 110 : 보조투입부
120 : 회동축 130 : 열기이동지연부
140 : 조리판 150 : 가이드
160 : 재받이 161,171 : 타공홀
170 : 보조연소관
Claims (8)
- 내부에 피연소물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실이 형성된 본체,
내부에 상기 본체가 수용되고 상기 연소실 내의 연소열을 외부로 발산시키는 발열부,
상기 발열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밀폐시키며, 일측에 상기 연소실에 피연소물을 투입하기 위해 형성되는 투입구가 마개를 통해 개폐되는 뚜껑부,
상기 뚜껑부에 설치되고 상기 연소실에 수용되어, 상기 연소실에 가열된 외기가 공급되도록 하므로서, 피연소물의 연소작용을 증대시키는 급기관,
상기 뚜껑부에는 상기 연소실과 연결되며 외기를 연소실 내부에 공급하기위한 흡기홀이 형성되고,
상기 뚜껑부의 저면에 설치되며 상면에 상기 흡기홀과 연결되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흡기홀 및 연결홀을 통해 흡기된 공기를 저장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하면과 측면에는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공기를 연소실로 배출하기 위한 공급홀이 형성된 보조급기부를 포함하는 난로.
- 내부에 피연소물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실이 형성된 본체,
내부에 상기 본체가 수용되고 상기 연소실 내의 연소열을 외부로 발산시키는 발열부,
상기 발열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밀폐시키며, 일측에 상기 연소실에 피연소물을 투입하기 위해 형성되는 투입구가 마개를 통해 개폐되는 뚜껑부,
상기 뚜껑부에 설치되고 상기 연소실에 수용되어, 상기 연소실에 가열된 외기가 공급되도록 하므로서, 피연소물의 연소작용을 증대시키는 급기관,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보조연소관,
상기 뚜껑부에는 상기 연소실과 연결되며 외기를 연소실 내부에 공급하기위한 흡기홀이 형성되고,
상기 뚜껑부의 저면에 설치되며 상면에 상기 흡기홀과 연결되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흡기홀 및 연결홀을 통해 흡기된 공기를 저장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하면과 측면에는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공기를 연소실로 배출하기 위한 공급홀이 형성된 보조급기부를 포함하는 난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의 일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제1연기배출구와 제2연기배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연기배출구와 제2연기배출구에 연결 설치되는 연통,
상기 연통 중 상기 제1연기배출구와 연결되는 부분을 개폐시켜 연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난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의 바닥면과 본체의 저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발열부와 본체의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공기층형성부를 포함하는 난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관에는 급기관 내의 공기를 연소실에 공급하기 위한 다수개의 공급홀이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급기관은 상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뚜껑부에 설치되는 난로.
- 삭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의 바닥면은 캐스타블 성형 처리 되거나 또는 펄라이트로 단열 처리된 난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연소관의 하측 둘레를 따라서는 다수개의 타공홀이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난로.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2484A KR101688583B1 (ko) | 2016-08-11 | 2016-08-11 | 난로 |
CN201610894295.0A CN107726365B (zh) | 2016-08-11 | 2016-10-13 | 火炉 |
PCT/KR2017/008060 WO2018030677A1 (ko) | 2016-08-11 | 2017-07-26 | 난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2484A KR101688583B1 (ko) | 2016-08-11 | 2016-08-11 | 난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88583B1 true KR101688583B1 (ko) | 2016-12-21 |
Family
ID=57734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02484A KR101688583B1 (ko) | 2016-08-11 | 2016-08-11 | 난로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1688583B1 (ko) |
CN (1) | CN107726365B (ko) |
WO (1) | WO2018030677A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747741A (zh) * | 2017-09-19 | 2018-03-02 | 吉林省福泰厨具有限公司 | 一种灶具及餐桌 |
KR101918730B1 (ko) * | 2017-06-27 | 2018-11-14 | 이승일 | 화덕 겸용 난로 |
KR102070884B1 (ko) * | 2018-10-02 | 2020-01-29 | 주식회사 미래화학 | 고체연료용 용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164311B (zh) * | 2023-03-03 | 2023-10-31 | 云南农业大学 | 一种提高燃烧效率的节能环保型锅炉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3866Y1 (ko) * | 2006-05-15 | 2006-08-11 | 이상훈 | 화목보일러 |
KR20120125415A (ko) * | 2011-05-07 | 2012-11-15 | 박창현 | 농업용 연탄보일러 |
KR200470513Y1 (ko) * | 2013-04-26 | 2013-12-23 | 최두일 | 난방 및 취사 모드로 전환 가능한 다목적 난로 |
KR101622312B1 (ko) | 2014-06-20 | 2016-05-19 | 이정호 | 난로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303245A1 (fr) * | 1975-03-07 | 1976-10-01 | Landreau Andre | Chaudiere destinee au chauffage de locaux |
KR890007608Y1 (ko) * | 1986-11-27 | 1989-10-30 | 황욱상 | 난로 |
CN2859277Y (zh) * | 2005-11-19 | 2007-01-17 | 赵恩宇 | 喷气节能炉 |
CN201110569Y (zh) * | 2007-10-19 | 2008-09-03 | 邓泽深 | 双烟道双炉桥柴炭两用节能炉 |
CN201137980Y (zh) * | 2007-10-26 | 2008-10-22 | 欧阳翔 | 辅助进风节能回风炉 |
KR100896017B1 (ko) * | 2009-01-23 | 2009-05-11 | 이종필 | 가연성 폐물질을 연료로 활용하는 열회수 소각 연소로 |
CN103134086B (zh) * | 2013-03-15 | 2015-09-09 | 甘肃新农生态能源环保科技有限公司 | 具有三次助燃结构的生物质炉 |
-
2016
- 2016-08-11 KR KR1020160102484A patent/KR10168858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10-13 CN CN201610894295.0A patent/CN107726365B/zh active Active
-
2017
- 2017-07-26 WO PCT/KR2017/008060 patent/WO2018030677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3866Y1 (ko) * | 2006-05-15 | 2006-08-11 | 이상훈 | 화목보일러 |
KR20120125415A (ko) * | 2011-05-07 | 2012-11-15 | 박창현 | 농업용 연탄보일러 |
KR200470513Y1 (ko) * | 2013-04-26 | 2013-12-23 | 최두일 | 난방 및 취사 모드로 전환 가능한 다목적 난로 |
KR101622312B1 (ko) | 2014-06-20 | 2016-05-19 | 이정호 | 난로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18730B1 (ko) * | 2017-06-27 | 2018-11-14 | 이승일 | 화덕 겸용 난로 |
WO2019004689A1 (ko) * | 2017-06-27 | 2019-01-03 | 이승일 | 화덕 겸용 난로 |
KR20190001578A (ko) * | 2017-06-27 | 2019-01-04 | 이승일 | 화덕 겸용 난로 |
KR102052508B1 (ko) | 2017-06-27 | 2019-12-05 | 이승일 | 화덕 겸용 난로 |
CN107747741A (zh) * | 2017-09-19 | 2018-03-02 | 吉林省福泰厨具有限公司 | 一种灶具及餐桌 |
CN107747741B (zh) * | 2017-09-19 | 2024-03-08 | 吉林省福泰厨具有限公司 | 一种灶具及餐桌 |
KR102070884B1 (ko) * | 2018-10-02 | 2020-01-29 | 주식회사 미래화학 | 고체연료용 용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8030677A1 (ko) | 2018-02-15 |
CN107726365B (zh) | 2018-08-28 |
CN107726365A (zh) | 2018-02-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88583B1 (ko) | 난로 | |
US5341794A (en) | Combustion device for stoves and fireplaces | |
RU153204U1 (ru) | Котел отопительный | |
KR101849395B1 (ko) | 펠렛 난로 | |
US9995489B2 (en) | Pellet stove | |
KR101134044B1 (ko) |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 | |
KR101243851B1 (ko) | 열 효율을 극대화시킨 고체연료용 보일러 | |
KR101622275B1 (ko) | 컨테이너 바닥에 구비되는 조립형 구들보일러 | |
KR20130047914A (ko) | 친환경 우드 펠릿 다목적 난로 | |
KR101542350B1 (ko) | 축열식 화목 난방장치 | |
KR200394920Y1 (ko) | 고체연료용 온풍기 | |
KR200384941Y1 (ko) | 노출형 벽난로 | |
RU2186299C2 (ru) | Печь-калорифер | |
KR20150002292U (ko) | 펠렛 및 화목 겸용 난로 | |
KR101918730B1 (ko) | 화덕 겸용 난로 | |
JP7231528B2 (ja) | バッチ式炭化装置 | |
US20140251299A1 (en) | Oven having an enclosed heat exchange zone | |
JP5887627B2 (ja) | 炭化装置及び炭化方法 | |
KR101207483B1 (ko) | 화목 보일러 | |
RU2426028C1 (ru) | Вертикальная топка пароводогрейного котла для переработки сыпучих видов топлива в тепловую энергию | |
KR102080993B1 (ko) | 무연 고체연료 스토브 | |
KR200294583Y1 (ko) | 벽난로용 다중 연소장치 | |
KR100405332B1 (ko) | 가스 및 액체연료 겸용 온풍기 | |
KR200397963Y1 (ko) | 난방장치 | |
CN217423307U (zh) | 一种高效生物质燃炉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2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