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4583Y1 - 벽난로용 다중 연소장치 - Google Patents

벽난로용 다중 연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4583Y1
KR200294583Y1 KR2020020023517U KR20020023517U KR200294583Y1 KR 200294583 Y1 KR200294583 Y1 KR 200294583Y1 KR 2020020023517 U KR2020020023517 U KR 2020020023517U KR 20020023517 U KR20020023517 U KR 20020023517U KR 200294583 Y1 KR200294583 Y1 KR 2002945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ombustion chamber
air
wall
air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35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태
Original Assignee
김한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태 filed Critical 김한태
Priority to KR20200200235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45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45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4583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소정 크기의 화구가 형성되며 바닥면에 외부의 공기가 선택적으로 유입 가능한 그릴이 설치되고 상단에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연도가 관통 형성된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의 외측벽을 따라 형성된 소정 공기 통로를 갖도록 그 외측벽을 둘러싼 본체부를 구비하는 벽난로에 적용 가능한 다중 연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연소실의 그릴 위에서 소정 연소재가 연소될 때,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 통로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에 각각 관통 형성된 공기 흡입구; 및 상기 연소실에서 발생되는 연소열이 연도를 통해 직접 방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연소실의 상부에서 연소재의 발화 영역에 대해 외부의 공기를 평면적으로 분사하여 상기 연소재를 다중으로 연소시키기 위해, 상기 연소실의 횡방향측 내벽에 대응되는 공기 통로와 서로 연통 가능한 소정 내부공간을 가지고 그 공기 통로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연소재 측으로 분사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소실의 내벽에 소정 각도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연소재와 대응되는 평면 상에 다수의 분사구가 형성된 하우징을 가진 디플렉트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벽난로용 다중 연소장치 {Multiple combustion apparatus for fireplace}
본 고안은 벽난로용 다중 연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연소재의 1차화염 전체에 대해 연소실의 상부에서 평면적으로 공기를 분사시킴은 물론 연소실 내벽에서도 공기를 분사하여 그 분사 공기를 1차화염에 의해 발화시킴으로써 연소재를 입체적으로 다중 연소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벽난로용 다중 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난로는 건물이나 가옥의 실내 분위기를 한층 돋보이게 하는 인테리어의 목적 외에 장작이나 기타 연료를 연소시켜 그 연소열에 의해 실내를 따뜻하게 하는 난방장치로서 이용된다. 이러한 벽난로는 실내의 벽면에 연소실을 설치하고 벽 속으로 연도를 통하게 한 구조를 가지며, 벽면에 직접 벽돌을 쌓아 설치하던 형태에서 일반 난로와 같이 벽면과 분리시킨 형태로 변모되면서 벽면을 통한 열손실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일예에 따른 종래의 벽난로는 기본적으로 화구를 가진 일정 용적의 연소실이 구비된 본체와, 장작 등의 고체연료를 연소시킬 수 있도록 연소실의 바닥면에 설치된 그릴과, 연소실과 관통되도록 본체의 천정면에 설치된 연도를 구비한다. 아울러, 종래의 벽난로는 작은량의 장작으로 더 넓은 공간의 난방이 가능함은 물론 고체연료의 연소시 발생되는 유해 배기가스를 줄이기 위해, 장작이 연소할 때의 화염 즉, 1차화염의 상부에서 2차화염을 재차 방출시킬 수 있도록 연소실의 상측에 배치된 다중 연소장치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벽난로의 다중 연소장치는 연소실의 외측벽과 본체의 내주면 사이의 소정 공기 통로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연소실의 상부에서 1차화염 측으로 분사시켜 고체연료의 연소로 인해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연소실 상부에서 재차 연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종래에 따른 다중 연소장치는 연소실의 외측벽과 본체의 내주면 사이의 소정 공기 통로와 연통되며 연소실의 바닥을 향해 다수의 급기공이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급기관과, 연소실에서 발생되는 연소열이 연도를 통해 급격히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화벽돌과 같이 축열기능이 뛰어난 재질로 이루어진 평판 형태의 축열판이 급기관의 상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급기관를 통해 분사되는 외부의 공기가 고체연료의 1차화염으로 인해 발화되면서 1차화염에 의해 발생된 연소가스를 연소시킴으로써, 연도를 통해 방출되는 배기가스의 오염도를 낮출 수 있으며, 연소효율이 높아져 벽난로의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 따른 벽난로의 다중 연소장치는 급기관이 소정 길이의 파이프체로 이루어지고 그 파이프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급기공이 연속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파이프체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고체연료의 1차화염 전체에 대해 급기관을 통한 공기의 분사영역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급기관의 길이 방향에 한정되므로 고체연료의 연소로 인해 발생되는 연소가스의 연소가 불규칙하게 이루어져 결과적으로 1차화염에 의해 발생된 연소가스의 연소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연소실의 상부에 대해서만 이중연소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1차화염에 의해 발생된 연소가스의 연소효율이 저하된다. 또한, 불필요한 연소열의 방출을 방지하기 위한 축열판이 급기관의 상면에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는 바, 내화벽돌과 같은 재질의 축열판을 금속이나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급기관에 설치하는데 따른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어려우며, 별도로 제조된 급기관과 축열판을 채용함에 따라 제조 원가의 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아울러, 축열판이 연도의 입구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구조를 가지므로, 연도의 입구에 부압이 발생하여 연소가스가 연도를 통해 완전하게 배출되지 못하고, 연소실의 화구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착상된 것으로, 1차화염에 의해 발생된 연소가스의 연소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연소재의 1차화염 전체에 대해 연소실의 상부에서 평면적으로 공기를 분사시킴은 물론 연소실 내벽에서도 공기를 분사하여 그 분사 공기를 1차화염에 의해 발화시킴으로써 연소재를 입체적으로 다중 연소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벽난로용 다중 연소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난로용 다중 연소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단면 구성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난로용 다중 연소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연소실 10a,10b... 연소실의 내벽
11... 화구 13... 그릴
13a... 슬롯
15... 연도 17... 내화벽돌
20... 본체부 21... 공기 통로
23... 재받이부 25... 개폐도어
27... 공기 공급부 30... 공기 흡입구
40... 디플렉트부재 41... 하우징
42... 내부공간 43... 분사구
50... 보조 분사구 M... 연소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소정 크기의 화구가 형성되며 바닥면에 외부의 공기가 선택적으로 유입 가능한 그릴이 설치되고 상단에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연도가 관통 형성된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의 외측벽을 따라 형성된 소정 공기 통로를 갖도록 그 외측벽을 둘러싼 본체부를 구비하는 벽난로에있어서, 상기 연소실의 그릴 위에서 소정 연소재가 연소될 때,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 통로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에 각각 관통 형성된 공기 흡입구; 및 상기 연소실에서 발생되는 연소열이 연도를 통해 직접 방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연소실의 상부에서 연소재의 발화 영역에 대해 외부의 공기를 평면적으로 분사하여 상기 연소재를 다중으로 연소시키기 위해, 상기 연소실의 횡방향측 내벽에 대응되는 공기 통로와 서로 연통 가능한 소정 내부공간을 가지고 그 공기 통로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연소재 측으로 분사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소실의 내벽에 소정 각도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연소재와 대응되는 평면 상에 다수의 분사구가 형성된 하우징을 가진 디플렉트부재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벽난로용 다중 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화구와 대향되는 연소실의 내측벽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본 고안에 따른 벽난로용 다중 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금속소재 또는 세라믹 소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벽난로용 다중 연소장치는, 상기 공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공기 통로를 경유하면서 상기 연소실의 횡방향측 내벽 및 화구와 대향되는 연소실의 내벽을 통해 연소재 측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내벽과 공기 통로가 연통 가능한 보조 분사구를 더 구비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연소실의 상부에 대해서만 이중 연소가 가능하고 고체연료의 1차화염 전체에 대해 공기의 분사영역이 불규칙한 종래와 달리, 연소재의 1차화염 전체에 대해 연소실의 상부에서 평면적으로 공기를 분사시킴은 물론 연소실내벽에서도 공기를 분사하여 그 분사 공기를 1차화염에 의해 발화시킴으로써 연소재를 입체적으로 다중 연소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1차화염에 의해 발생된 연소가스의 연소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단일 소재로 이루어진 디플렉트부재를 구비하므로, 서로 다른 재질의 구성요소가 결합된 종래와 달리, 제조 공정이 단순화 되고, 이로 인해 제조 원가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어 상대적으로 한층 더 높은 경쟁적 우위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플렉트부재가 경사지게 설치된 구조를 가지므로, 연소실의 연소열이 연도를 통해 급격히 빠져 나가는 것을 억제시켜 열효율이 향상되고, 연도의 입구에서 부압이 발생되지 않아 연소가스가 연도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난로용 다중 연소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난로용 다중 연소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벽난로용 다중 연소장치(100)는 연소재의 1차화염 전체에 대해 연소실(10)의 상부에서 평면적으로 공기를 분사시킴은 물론 연소실의 내벽에서도 공기를 분사하여 그 분사 공기를 1차화염에 의해 발화시킴으로써 연소재를 입체적으로 다중 연소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를 위한 상기 벽난로용 다중 연소장치(100)는, 기본적으로 화구(11), 그릴(13), 연도(15)를 가진 연소실(10)과, 연소실(10)의 외벽을 따라 형성된 소정공기 통로(21)를 갖도록 그 외벽을 둘러싼 본체부(20)를 가진 벽난로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연소실(10)의 그릴(13) 위에서 소정 연소재가 연소될 때 외부의 공기가 공기 통로(21)로 유입될 수 있게 본체부(20)의 양측면에 각각 관통 형성된 공기 흡입구(30)와, 연소실(10)에서 발생되는 연소열이 연도(15)를 통해 직접 방출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연소실(10)의 상부에서 연소재의 발화 영역에 대해 외부의 공기를 평면적으로 분사하여 연소재를 다중으로 연소시키기 위한 디플렉트부재(40)와, 연소실(10)의 횡방향측 내벽(10a) 및 화구(11)와 대향되는 연소실(10)의 내벽(10b)과 공기 통로(21)가 연통 가능한 다수의 보조 분사구(50)를 구비한다.
상기 연소실(10)은 장작과 같은 연소재를 투입 가능한 내부 공간과 전면이 개방된 화구(11)를 가진 사각 함체의 구조로서, 그 내부 공간에 외부의 공기가 바닥면을 통해 선택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슬롯(13a)이 형성된 그릴(13)이 바닥면에 설치되고, 연소재의 연소시 연소가스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키기 위한 연도(15)가 천정 부분에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소실(10)에는 화구(11), 바닥면 및 천정면을 제외한 3면의 내벽(10a,10b)에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직립되게 설치된 내화벽돌(17)이 마련된다. 상기 내화벽돌(17)은 연소실(10)에서 연소재가 연소될 때 발생되는 연소열을 실질적으로 축열시켜 후술할 본체부(20)를 통한 열손실을 감소시킴은 물론 연소가 종료되더라도 그 연소열을 실내로 서서히 방출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본체부(20)는 소정 내부 공간을 가진 일반적인 사각 함체의 구조로, 연소실(10)의 화구(11)가 노출된 상태로 그 내부 공간에 상기 연소실(10)이 내재되며, 그 내측벽이 연소실(10)의 전면 및 바닥면을 제외한 외벽과 소정 간격 이격되면서 연소실(10)의 외벽을 따라 전술한 바 있는 공기 통로(21)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본체부(20)에는 연소재가 연소될 때 그릴(13)의 슬롯(13a)을 통해 하방으로 떨어지는 연소재의 재를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그릴(13)의 슬롯(13a)과 상호 연통 가능한 재받이부(23)가 연소실(10)의 하측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연소실(10)의 화구(1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그 전면에 힌지 결합된 개폐도어(25)를 구비한다. 상기 개폐도어(25)는 테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연소열과 빛을 투과하는 내열성을 가진 투명한 재질 예컨대, 세라믹 소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개폐도어(25)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연소재가 연소되는 모습을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고, 실질적으로 연소실 내의 연소열이 실내로 방출된다. 아울러, 상기 본체부(20)에는 연소재의 발화시 외부의 공기를 그릴(13)의 슬롯(13a)을 통해 연소실(10)의 내부 공간으로 선택적으로 유입시켜 연소재의 발화를 촉진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의해 외부와 재받이부(23)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는 공기 공급부(27)를 구비한다. 상기 공기 공급부(27)는 그 회전 위치에 따라 외부와 재받이부(23)의 연통 경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킴으로써 재받이부(23)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고, 공기 유입량의 조절에 의해 화염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는 통상적인 공기 조절노브의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 공급부(27)는 외부와 재받이부(23)의 연통 경로에 나사식으로 체결된 나사체로서, 그 나사체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나사체가 풀리면서 외부와 재받이부(23)의 연통 경로를 개방시키게 되고, 나사체를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나사체가 조여지면서 외부와 재받이부(23)의 연통 경로를 폐쇄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공기 흡입구(30)는 연소실(10)의 횡방향측 외벽에 대해 공기 통로(21)를 형성시킨 본체부(20)의 양측면에 소정 크기로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연소재의 연소시 그릴(13)의 슬롯(13a)을 통해 공급되는 연소실(10) 내부의 산소 공급량에 대비하여 외부의 공기는 공기 흡입구(30)를 통해 흡입되어 공기 통로(21)로 유입된다. 즉, 공기 흡입구(30)는 그 직경이 외부와 재받이부(23)의 연통 경로 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고 후술할 디플렉트부재(40)와 보조 분사구(50)에 의해 연소실(10)의 내부 공간과 상보적으로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연소재의 발화시 외부와 재받이부(23)의 연통 경로를 통해 그릴(13)의 슬롯(13a)으로 일정하게 공급되는 산소량을 더욱 보충하기 위해 외부의 공기를 공기 통로(21)로 흡입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디플렉트부재(40)는 연소실(10)의 횡방향측 내벽(10a)에 각각 대응되는 공기 통로(21)에 대해 서로 관통된 소정 내부공간(42)을 가지고, 그 연소실(10)의 내벽(10a)에 소정 각도 경사지게 설치되며, 공기 통로(21)를 통해 그 내부공간(42)으로 유입된 공기를 연소재 측으로 분사시키기 위해 연소재와 대응되는 평면 상에 다수의 분사구(43)가 형성된 하우징(41)을 구비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우징(41)은 최초 양단이 개방된 소정 길이의 사각 평면 관체로서, 그 개방단이 연소실(10)의 횡방향측의 양쪽 내벽(10a)에 각각 고정되고 그 개방단과 공기 통로(21)가 서로 연통된 내부공간(42)을 가진다. 즉,공기 흡입구(30)를 통해 흡입된 외부의 공기는 하우징(41)의 내부공간(42)이 공기 통로(21)와 상호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그 공기 통로(21)를 경유하여 상기 내부공간(4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1)은 화구(11)와 대향되는 연소실(10)의 내벽(10b)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우징(41)을 화구(11)와 대향되는 연소실(10)의 내벽(10b)과 소정 간격 이격시킨 이유는, 연소재가 연소될 때 발생되는 재가 연소열과 함께 연소실(10)의 내부 공간을 순환하다가 연도(15)를 통해 실질적으로 배출되는데, 재의 일부를 하우징(41)과 연소실(10) 내벽(10b) 사이의 공간으로 유도하여 그릴(13)의 슬롯(13a)를 통해 재받이부(23)로 수거시킴으로써 그 재가 순환되는 도중 개폐도어(25)의 도어면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연소재의 연소시 공기 흡입구(30)를 통해 공기 통로(21)로 유입된 공기는 하우징(41)의 내부 공간(42)으로 유입되면서 다수의 분사구(43)를 통해 연소실(10)의 상부에서 연소재 측으로 분사되고, 그 분사 공기는 연소재의 1차화염에 의해 발화되어 연소재의 1차화염에 대해 2차화염을 평면적으로 방출시키게 된다. 또한, 연소실(10)에서 발생되는 연소열은 연도(15)를 통해 직접 배출되지 않고 경사지게 설치된 하우징(41)에 부딪히면서 분산됨과 동시에 연소실(10)의 내부 공간에 대해 체류시간이 지연됨으로써 그 연소열이 연도(15)를 통해 급격이 빠져 나가는 것을 억제시키게 된다. 즉, 하우징(41)이 연도(15)의 입구 쪽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연도(15)의 입구에서 부압이 형성되지 않아 연소가스가 연도(15)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된다.
상기 보조 분사구(50)는 디플렉트부재(40)에 의해 연소재의 발화 영역에 외부의 공기가 평면적으로 분사됨과 아울러, 연소실(10)의 횡방향측 내벽(10a) 및 화구(11)와 대향되는 연소실(10)의 내벽(10b)을 통해서도 외부의 공기를 분사하여 연소재를 다중 연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공기 흡입구(30)로 유입되는 공기는 공기 통로(21)를 경유하면서 하우징(41)의 내부 공간(42)으로 공급됨과 동시에, 보조 분사구(50)를 통해 연소실(10)의 내부 공간으로 분사되어 그 분사 공기가 연소재의 1차화염에 의해 발화됨으로써 연소재의 1차화염에 대해 3차화염을 방출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난로용 다중 연소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난로용 다중 연소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개폐도어(25)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화구(11)를 통해 장작과 같은 연소재(M)를 연소실(10)의 내부 공간으로 투입시켜 그릴(13) 위에 올려 놓는다.
이어서, 연소재(M)를 발화시킨 다음, 개폐도어(25)를 닫고, 공기 공급부(27)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외부와 재받이부(23)의 연통 경로를 최대한 개방시킨다. 그러면, 다량의 외기가 외부와 재받이부(23)의 연통 경로를 통해 유입되고, 그릴(13)의 슬롯(13a)을 통해 연소실(1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됨에 따라 연소재(M)가 활발하게 발화된다. 이 때, 연소재(M)의 화염의 세기는 공기 공급부(27)를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외부와 재받이부(23)의 연통 경로를 통한 공기의 유입량을 제어함으로써 조절된다.
이러한 과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외부의 공기는 본체부(20)의 공기 흡입구(30)를 통해 연소실(10)의 외벽과 본체부(20) 내벽 사이의 공기 통로(21)로 유입되고, 그 공기 통로(21)를 경유하여 하우징(41)의 내부 공간(42)으로 공급된다. 즉, 공기 흡입구(30)의 직경이 외부와 재받이부(23)의 연통 경로 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기 때문에, 그릴(13)의 슬롯(13a)을 통해 일정하게 공급되는 산소량을 더욱 보충하기 위해 연소실(10)과 상보적으로 연통된 공기 흡입구(30)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것이다.
다음, 하우징(41)의 내부 공간(42)으로 유입된 공기는 다수의 분사구(43)를 통해 빠른 속도로 분사된다. 이 때, 분사구(43)를 통해 분사되는 공기는 그 분사구(43)가 연소재(M)와 대향되는 하우징(41)의 평면 전체에 걸쳐 넓게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연소재의 1차화염 전체에 대해 평면적으로 분사된다.
이어서, 분사구(43)를 통해 분사된 공기 중의 산소가 연소재(M)의 1차화염에 의해 발화되어 연소재(M) 측을 향해 2차화염을 방출시키게 된다. 따라서, 연소재(M)의 1차화염에 대해 연소실(10)의 상부에서 2차화염이 재차 방출됨에 따라 연소재(M)를 다중으로 연소시킴으로써 연소가스 중의 유해 가스나 분진 등이 다시 한번 연소된다.
한편, 본체부(20)의 공기 흡입구(30)를 통해 공기 통로(21)로 유입되고, 공기 통로(21)를 경유하는 외부의 공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41)의 내부 공간(42)으로 공급됨과 아울러, 연소실(10)의 횡방향측 내벽(10a) 및 화구(11)와대향되는 연소실(10)의 내벽(10b)에 각각 형성된 다수의 보조 분사구(50)를 통해 연소실(10)의 내부 공간으로 분사된다. 따라서, 보조 분사구(50)를 통해 분사된 공기 중의 산소가 연소재(M)의 1차화염에 의해 발화되면서 연소실(10)의 3면의 내벽(10a,10b)에서 3차화염이 방출됨에 따라 연소재(M)를 입체적으로 다중 연소시키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하우징(41)의 분사구(43) 및 연소실(10)의 보조 분사구(50)에서 발생되는 화염에 의해 다중으로 연소된 연소가스는 연소실(10)의 내부 공간을 순환하다가 연도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연소재(M)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재는 실질적으로 연도(1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데, 하우징(41)이 연소실(10)의 내벽(10b)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재의 일부는 연소실(10)의 내부 공간을 순환하다가 연소실(10)의 내벽(10b)과 하우징(41) 사이의 공간을 따라 유동되어 그릴(13)의 슬롯(13a)를 통해 재받이부(23)로 수거된다. 또한, 연소실(10)에서 발생되는 연소열은 대류 현상에 의해 연소실(10)의 내부 공간을 순환하게 되고, 경사지게 설치된 하우징(41)에 부딪히면서 분산된다. 따라서, 연소실(10)의 내부 공간에 대한 연소열의 체류시간이 지연됨에 따라 연도(15)를 통한 연소열의 방출을 최대한 억제시켜 열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아울러, 하우징(41)이 연도(15)의 입구측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연도(15)의 입구측에서 부압이 형성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연소가스는 하우징(41)의 표면을 따라 유동되면서 연도(15)로 자연스럽게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난로용 다중 연소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연소실의 상부에 대해서만 이중 연소가 가능하고 고체연료의 1차화염 전체에 대해 공기의 분사영역이 불규칙한 종래와 달리, 연소재의 1차화염 전체에 대해 연소실의 상부에서 평면적으로 공기를 분사시킴은 물론 연소실 내벽에서도 공기를 분사하여 그 분사 공기를 1차화염에 의해 발화시킴으로써 연소재를 입체적으로 다중 연소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1차화염에 의해 발생된 연소가스의 연소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둘째, 단일 소재로 이루어진 디플렉트부재를 구비하므로, 서로 다른 재질의 구성요소가 결합된 종래와 달리, 제조 공정이 단순화 되고, 이로 인해 제조 원가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어 상대적으로 한층 더 높은 경쟁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
셋째, 디플렉트부재가 경사지게 설치된 구조를 가지므로, 연소실의 연소열이 연도를 통해 급격히 빠져 나가는 것을 억제시켜 열효율이 향상되고, 연도의 입구에서 부압이 발생되지 않아 연소가스가 연도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된다.

Claims (4)

  1. 소정 크기의 화구가 형성되며 바닥면에 외부의 공기가 선택적으로 유입 가능한 그릴이 설치되고 상단에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연도가 관통 형성된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의 외측벽을 따라 형성된 소정 공기 통로를 갖도록 그 외측벽을 둘러싼 본체부를 구비하는 벽난로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의 그릴 위에서 소정 연소재가 연소될 때,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 통로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에 각각 관통 형성된 공기 흡입구; 및
    상기 연소실에서 발생되는 연소열이 연도를 통해 직접 방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연소실의 상부에서 연소재의 발화 영역에 대해 외부의 공기를 평면적으로 분사하여 상기 연소재를 다중으로 연소시키기 위해, 상기 연소실의 횡방향측 내벽에 대응되는 공기 통로와 서로 연통 가능한 소정 내부공간을 가지고 그 공기 통로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연소재 측으로 분사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소실의 내벽에 소정 각도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연소재와 대응되는 평면 상에 다수의 분사구가 형성된 하우징을 가진 디플렉트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난로용 다중 연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화구와 대향되는 연소실의 내측벽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난로용 다중 연소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금속소재 또는 세라믹 소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난로용 다중 연소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공기 통로를 경유하면서 상기 연소실의 횡방향측 내벽 및 화구와 대향되는 연소실의 내벽을 통해 연소재 측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내벽과 공기 통로가 연통 가능한 다수의 보조 분사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난로용 다중 연소장치.
KR2020020023517U 2002-08-06 2002-08-06 벽난로용 다중 연소장치 KR2002945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517U KR200294583Y1 (ko) 2002-08-06 2002-08-06 벽난로용 다중 연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517U KR200294583Y1 (ko) 2002-08-06 2002-08-06 벽난로용 다중 연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4583Y1 true KR200294583Y1 (ko) 2002-11-13

Family

ID=73078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517U KR200294583Y1 (ko) 2002-08-06 2002-08-06 벽난로용 다중 연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458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363A (ko) * 2014-07-22 2016-02-01 이정호 난로
KR101959138B1 (ko) * 2017-09-20 2019-03-15 김태경 이중 연소하우징 구조를 갖는 화목난로
KR20200005194A (ko) * 2018-07-06 2020-01-15 이주상 무연 고체연료 스토브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363A (ko) * 2014-07-22 2016-02-01 이정호 난로
KR101648100B1 (ko) 2014-07-22 2016-08-12 이정호 난로
KR101959138B1 (ko) * 2017-09-20 2019-03-15 김태경 이중 연소하우징 구조를 갖는 화목난로
KR20200005194A (ko) * 2018-07-06 2020-01-15 이주상 무연 고체연료 스토브
KR102080993B1 (ko) * 2018-07-06 2020-04-23 이주상 무연 고체연료 스토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2765A (en) Pellet fuel burner
KR100917787B1 (ko) 고체연료용 열풍기
US4856491A (en) High efficiency solid fuel burning stove
KR20100137897A (ko) 연기 발생이 없는 화목 연소장치
US20080035137A1 (en) Combustion apparatus
US20150292746A1 (en) Wood fuelled heating stove
KR200294583Y1 (ko) 벽난로용 다중 연소장치
US4827852A (en) Catalytic wood stove
RU2661516C2 (ru) Твердотопливный газогенераторный котёл
KR200294584Y1 (ko) 벽난로용 에어 커튼장치
KR101577813B1 (ko) 벽난로와 구들난방을 겸하는 난방장치
US5333601A (en) Masonry heater
KR102011676B1 (ko) 벽난로
KR200294585Y1 (ko) 벽난로용 완전 연소장치
TWI649517B (zh) Burner structure
KR100582735B1 (ko) 점화장치가 부착된 실외공기 연소식 실내공기 강제 순환 벽난로
KR20140005597U (ko) 펠릿난로
FI129332B (fi) Palamisilmakasetti, tulisija palamisilmakasetilla, menetelmä palamisilman syöttämiseksi ja palamisilmakasetin jälkiasennussarja
KR102412513B1 (ko) 자동 반복 연소 난로
KR20140135353A (ko) 화목 벽난로
RU2788511C1 (ru) Камин длительного горения
WO2018004024A1 (ko) 보일러 일체형 하이브리드 난로
KR20140099149A (ko) 무동력 펠릿 난로
US4883044A (en) Fireplace assembly
KR101325663B1 (ko) 화목보일러용 연소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