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578A - 화덕 겸용 난로 - Google Patents

화덕 겸용 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578A
KR20190001578A KR1020180111628A KR20180111628A KR20190001578A KR 20190001578 A KR20190001578 A KR 20190001578A KR 1020180111628 A KR1020180111628 A KR 1020180111628A KR 20180111628 A KR20180111628 A KR 20180111628A KR 20190001578 A KR20190001578 A KR 20190001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main body
tube
combustion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1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2508B1 (ko
Inventor
이승일
Original Assignee
이승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일 filed Critical 이승일
Publication of KR20190001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02Closed stoves
    • F24B1/028Closed stoves with means for regulating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02Closed stoves
    • F24B1/024Closed stoves for pulverulent fu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28Combined installations of stoves or ranges, e.g. back-to-back stoves with a common fire-bo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2Arrangement or mountings of fire-grate assemblies; Arrangement or mountings of linings for fire-boxes, e.g. fire-b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5/00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 F24B5/02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 F24B5/021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combustion-air circulation
    • F24B5/023Supply of primary air for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7/00Stoves, ranges or flue-gas duct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F24B7/005Flue-gas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단과 하단이 막힌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개구가 형성되고 측면 하방에 도어로 개폐되고 외부에서 피연소물 투입을 위한 본체투입구가 형성되는 본체, 하방이 개구되고 상단이 막힌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단에는 마개로 개폐하는 제2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 상면에 배치되는 발열부, 및 상단과 하단이 개구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단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경이 상기 본체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측면 하부에 상기 본체 투입구에 상응하는 위치가 절개되어 피연소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투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 상단에 상기 플랜지가 걸쳐져 상기 본체 내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피연소물이 연소되는 보조연소관을 포함하는 화덕 겸용 난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화덕 겸용 난로{STOVE}
본 발명은 간소화된 구조로 조립이 용이하고 연소효율이 향상되며, 간접발열을 통한 난방 방식으로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화덕 겸용 난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로는 실내를 데워주는 난방기구의 일종으로서, 농업, 축산업 등과 같은 산업용으로 대형 난로에서부터 야영 등의 실외 생활에서 사용 가능한 소형 난로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종래의 난로는 난방의 고효율을 이루기 위하여 화점집중과 연통의 설치는 기본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화실의 단열처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와 같은 단열처리를 위해 난로 내부에 내화벽돌 또는 단열벽돌을 설치하거나 펄라이트 등 단열재 등으로 보강함은 물론 격벽 처리와 열기 지연판 및 축열 구조를 추가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피연소물의 초기 착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난로의 제작시간, 제조비용 및 구매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내화벽돌, 단열벽돌, 단열재, 격벽, 열기 지연판 등이 추가됨으로 인해 난로의 하중이 증가되어 운반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난로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면서 무게를 줄일 수 있고 제조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난로를 얇은 철판으로 제작하였으나, 이러한 경우 난로가 쉽게 부식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요리를 하기 위해 냄비나 프라이팬 등의 용기를 난로의 상부에 직접 올려 놓거나 난로의 상단에 구비된 화구 뚜껑을 개방하여 난로 내부의 열기가 외부로 새어나오게 함으로써 조리물을 익혔으나. 이와 같은 경우 난로의 내부에서 배출되는 화염이 용기에 충분히 전달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음식의 조리 과정 또는 재료에 맞는 화력 조절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22312호(2016.05.12.)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간소화된 구조로 조립이 용이하고 연소효율이 향상되고, 간접발열을 통한 난방방식으로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연소실의 온도가 항상 고온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도록 한 난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성을 간소화하고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제조비용이 크게 증가되지 않으면서도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연소실의 보온 효과를 더욱 높여 연소의 고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는 난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도 연소실의 화염이 직접 조리 용기와 접촉하게 하여 열효율을 제고하고 화력을 조절할 수 있는 난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단과 하단이 막힌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개구가 형성되고 측면 하방에 도어로 개폐되고 외부에서 피연소물 투입을 위한 본체투입구가 형성되는 본체;
하방이 개구되고 상단이 막힌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단에는 마개로 개폐하는 제2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 상면에 배치되는 발열부;
상단과 하단이 개구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단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경이 상기 본체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측면 하부에 상기 본체 투입구에 상응하는 위치가 절개되어 피연소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투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 상단에 상기 플랜지가 걸쳐져 상기 본체 내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피연소물이 연소되는 보조연소관;을 포함하는 화덕 겸용 난로를 제공한다.
상단과 하단이 모두 개방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면에 복수의 급기홀이 형성되어 상기 발열부 내측의 상기 본체 개구 상에 배치되는 열기집중관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 도어에는 설정 개수의 급기를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고,
발열부 측면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배기홀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보조연소관의 측면에는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난로는, 본체, 내열관, 발열부의 3중 구조로 인해 저렴한 비용으로도 본체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소실의 단열 및 보온 효과를 제고하여 더욱 향상된 연소 효율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그리고, 본체 내의 내열관에 거치된 재받이 위에 보조연소관을 설치하고 투입구에 오덕(삼발이)를 얹어 연통의 내부를 제1댐퍼로 폐쇄할 경우 화염이나 열기가 연통으로 배출되지 않고 뚜껑부의 투입구를 통해 직접 배출되도록 할 수 있어 조리용기의 가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1댐퍼가 제1틈새에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연통 내부의 개폐 또는 개방 면적이 조절됨에 따라 화염과 열기가 투입구 또는 연도를 통해 배출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조리용기에 집중되는 화력을 조절하여 음식을 조리하는데 있어 효용성을 늘릴 수 있고, 뚜껑부의 상면에 열기집중관을 안착할 경우에는 더욱 강력한 화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급기관을 통해 연소실에 외기가 가열된 상태로 고루게 공급됨에 따라 탄소와 산소의 접촉이 활발해져 피연소물의 완전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갈탄이나 연탄 등도 피연소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발열부와 본체 사이의 공간으로 열기가 통과함에 따라 연소열이 보존되고 발열부를 통해 연소열을 간접적으로 발산함에 따라 연통으로 빠져 나가는 연소열을 최소화할 수 있고, 발열부는 본체 내의 연소열을 통한 간접 발열됨으로 본체의 단열 및 보온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연소실의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 고온 연소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우드가스 스토브와 로켓 스토브의 단점을 제거하고 장점을 결합한 난로 겸 화덕을 제공할 수 있다. 우드가스 스토브는 매우 효율적이나 화목 적재가 Batch Type이어서 화목 추가가 여의치 않고 장시간 연소 시 숯의 증가로 화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로는 화목 추가 투입이 가능하고 본체 도어에 의한 급기 조절로 화력 조절이 가능하게 되며 우수한 열효율성에 비해 가는 장작만을 투입하여야 하는 문제를 가진 로켓 스토브의 단점을 극복함은 물론 수평의 화목 투입부를 없애 더욱 간단한 구조로 인해 제작 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난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난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난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난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난로의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난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난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난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난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난로(1)는 본체(10), 내열관(100), 발열부(20), 뚜껑부(30), 급기관(40)을 포함한다.
본체(1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피연소물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실(11) 공간을 구비한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상기 본체(10)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피연소물은 화목이나 갈탄 등의 연료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내열관(100)은 상기 본체(10)의 연소실(11)에 수용되는 것으로, 상,하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내열관(100)은 본체(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의 연소실(11)에 수용되며, 급기관(40)을 감싸는 구조로 본체(10)의 바닥에 안착되어 열기, 화염 등으로부터 상기 본체(10)를 보호한다. 상기 내열관(100)은 철강이나 스텐레스강 재질로 제작되며, 본체(10)의 연소실(11) 중에서 온도가 가장 높은 부분인 급기관(40) 하단 주변에 배치되어 피연소물이 연소됨으로 인해 발생되는 열기나 화염이 상기 본체(10)로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본체(10)의 부식을 방지하고 내구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한다. 내열관(100)은 본체(10)의 바닥에 단순 안착되는 구조로 적용되는 바, 지속적인 사용에 의해 내열관(100)이 마모될 경우, 새로운 내열관(100)으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열관(100)은 두께가 얇은 철판으로도 제작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비딩 처리하여 강성을 우수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실시예에서 내열관(100)은 본체(10)의 높이보다 약 1/2 정도 짧게 제작될 수 있다. 내열관(100)이 본체 높이의 1/2보다 길 경우 본체(10)의 내구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으나 그만큼 연소실(11)의 공간이 줄어들어 피연소물 적재량 감소에 따른 버닝 타임(BURNING TIME) 감소와 상대적인 비용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으며, 내열관(100)이 본체 높이의 1/2보다 짧을 경우 본체의 내구성이 크게 증대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난로(1)는 본체(10), 내열관(100) 및 후술되는 발열부(20)에 의해 3중 구조가 되어 연소실(11)에 대한 단열 및 보온 효과가 더욱 증대됨에 따라 고온 연소로 인한 연소의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체(10)에 부식이 발생될 경우, 연소실(11)의 열기가 부식이 발생된 부분을 통과하여 곧 바로 연통(60)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난로(1)는 상기와 같이 본체(10)의 부식을 방지하여 열기가 연소실(11) 상부를 거쳐 발열부 내에서 오래 머물도록 하여, 발열부(20)의 발열 효과가 감소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뚜껑부(30)는 상기 발열부(2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21)를 밀폐시켜 연소실(11)의 연소열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발열부(20)의 상면에 단순 안착되거나, 발열부(20)의 상면에 볼트나 매미고리 등으로 결합되어 용이하게 개폐될 수 있다. 뚜껑부(30)의 일측에는 일정한 직경을 갖는 투입구(31)가 상면을 관통 형성된다. 투입구(31)를 통해 상기 연소실(11)에 연료를 투입할 수 있다. 연소실(11)에 연료를 모두 투입한 이후에는 상기 투입구(31)에 마개(50)를 덮어 연소실(11)의 연소열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뚜껑부(30)에는 후술되는 급기관(40)을 설치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설치홀(32)이 상면을 관통 형성된다.
급기관(40)은 공기 예열 기능 및 피연소물의 완전 연소를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상측이 상기 뚜껑부(30)의 설치홀(32)에 설치되고 그 아랫부분은 상기 연소실(11)에 수용된다. 급기관은(40)은 연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두개 이상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급기관(40)은 상측의 개구된 부분이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외기가 급기관(40)의 내부 통로(42)를 통해 연소실(11)로 공급된다. 외기는 급기관(4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피연소물이 연소됨에 따라 발생되는 연소열과 연소실(11) 내의 고온으로 가열되며, 이와 같이 가열된 상태에서 연소실(11)에 공급됨에 따라 탄소와 산소의 접촉이 원활해져 피연소물이 완전 연소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발열부(20)의 발열율이 우수해져 피연소물의 양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급기관(40)은 상기 피연소물의 완전 연소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뚜껑부(30)에 두 개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연소실(11) 전체에 가열된 공기를 고루게 공급하여 완전 연소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급기관(40)에는 통로(42)와 연소실(11)을 연결하는 공급홀(41)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급홀(41)은 상기 급기관(40)의 길이 방향 및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뚜껑부(30)의 상면에는 급기관(40)의 개구에 근접하여 급기관(40)의 개방 면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부(90)가 설치된다. 조절부(90)는 급기관(40)을 통해 연소실(11)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조절부(90)는 회동축(120)을 통해 상기 뚜껑부(30)의 상면을 따라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급기관(40)보다 넓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뚜껑부(30)의 상면에서 급기관(40)의 상단 전체를 막거나 일부분만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조절부(90)의 회동각도에 따라 상기 급기관(40)의 상단 개방 면적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연소실(11)에 공급되는 외기의 양을 선택적으로 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급기관(40)은 뚜껑부(30)에 설치될 경우 연통(60)의 반대편에 위치하였을 경우 왕성한 연기배출력으로 인해 연소실(11)로 급기 흡인력이 가장 커지며 연통(60)측으로 다가갈수록 흡인력이 약해져 화력이 약해지나 연소시간 증가에는 도움이 된다. 급기관(40)은 공기가 급기관(40)을 통과하면서 예열될 수 있고 연소실(11)의 상승 기류가 연소실(11)의 하향 급기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상응하는 길이로 설정된다. 급기관(40)의 하단이 재받이(130)로부터 이격 거리가 5cm 이상인 경우에는 개방되어 있는 급기관(40) 하단을 막고 급기관(40) 면적만큼 미세하게 천공을 하여 연소실(11) 상승 기류가 하향되는 급기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한다.
한편, 피연소물의 연소에 따라 발생되는 재와 숯을 처리하기 위해 상기 내열관(100)의 중단에 외부로 돌출되는 비딩을 넣어 이 비딩 사이로 재받이(130)를 분리 가능하게 설치하여 더욱 강력한 화력을 얻을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열관(100)의 하부 일측에 내측면을 비딩 공정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하여 홈부(101)를 형성하고, 홈부(101)에 재받이(130)의 단부를 끼워 내열관(100) 내에 재받이(130)를 설치할 수 있다. 재받이(130)가 설치되면 중력에 의해 재와 숯이 재받이(130) 아래로 분리되므로 피연소물의 외기 접촉 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연소활동이 활발해지므로써 더욱 강력한 화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후술하는 보조연소관(140)을 사용할 경우에는 보조연소관(140)의 거치대로서 재받이(130)가 필요하다.
또한 재받이(130)가 없는 경우에는 피연소물이 재나 숯에 묻혀짐으로써 외부 급기와의 접촉 면적이 작아져 연소활동이 더디게 진행되는 반면에 버닝 타임이 증가되므로 꾸준한 화력이 필요한 경우에는 유용할 수 있다.
이 재받이(130)는 온도가 가장 높은 급기관(40) 하단을 피해 설치되어 재받이(130)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후술하는 2개의 급기관(40)의 거리 및 보조연소관(140)의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가진 장방형의 그릴 형태로서 변형 방지 및 내구성 증대를 위해 스텐레스 각관으로 제작되며 그릴 간격도 재와 숯이 쉽게 분리되어 강렬한 화력을 얻을 수 있고 보조연소관(140)을 이용해 화덕으로 사용 시에도 외부급기가 원활해지도록 5~7cm 정도로 다소 성기게 구성하고 내열관(100)의 중간 비딩 부분에 걸쳐서 설치되므로 본체(10)의 바닥에 설치할 때에 비해 재과 숯의 저장 공간 확보를 위한 재받이의 받침대 구성이 필요 없어져 보다 가벼워지고 제작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재받이(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지 않고 장방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재받이를 타원이나 직사각형과 같이 장방형으로 형성할 경우, 가장 온도가 높은 급기관 하단에 근접하는 위치에 재받이가 위치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재받이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장방형으로 형성하여도 숯과 재로부터 피연소물을 격리시키는 효과는 충분하다.
보조연소관(1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과 하방이 개방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의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142)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142) 저면에서 돌출되도록 손잡이(143)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143)는 90도 각도로 4군데 부착하여 보조연소관(140)의 설치나 회수시 조작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재받이(130) 상에 거치될 때, 재받(130)의 관통공 또는 재받이가 없는 위치에 손잡이(143)를 위치시키거나, 재받이(130) 상면에 접촉하도록 손잡이(143)를 위치시켜 재받이(130) 높이 만큼 보조연소관(1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보조연소관(140) 내부에서 피연소물이 연소된다.
상기 발열부(20)는 본체(10) 내의 연소열을 외부로 발산시키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10)가 발열부(20)의 빈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열부(20)는 상기 본체(1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본체(10)보다 큰 직경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발열부(20)와 본체(10)의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발열부(20)와 본체(10)의 사이 빈 공간은 공기층 역할을 함에 따라, 별도의 보온 및 단열재 없이도 난로(1)의 보온 및 단열 기능을 향상시켜 연소실(11)의 온도가 항상 고온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층에서 연소열이 보존되고 발열부(20)를 통해 연소열을 간접적으로 발산함에 따라 연통(60)으로 빠져 나가는 연소열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발열부(20)는 본체(10) 내의 연소열을 통한 간접 발열로 인해 본체(10)의 보온 및 단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연소실(11)의 온도가 높아져 완전 연소 조건에 가깝게 충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부(20)의 바닥면은 캐스타블 성형 처리 되거나 또는 펄라이트 등으로 단열 처리하여 단열효과가 우수해짐에 따라, 받침대(미도시) 없이 지면에 올려 놓더라도 연소실(11) 내의 열기를 지면에 빼앗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발열부(20)의 일측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며 서로 수직선상에 위치되는 제1연기배출구(22)와 제2연기배출구(23)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연기배출구(22)와 제2연기배출구(23)에는 연통(60)이 설치되어, 발열부(20)와 본체(10) 내의 연기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연통(60)은 대략 중앙부분과 하측이 상기 발열부(20) 방향으로 수평 절곡되어 상기 제1연기배출구(22)와 제2연기배출구(23)에 각각 관통설치되는 상부분기관(61)과 하부분기관(62)을 포함한다. 상기 연통(60)의 상측 부분에는 제1틈새(60b)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분기관(61)에는 제2틈새(60a)가 형성된다. 제1틈새(60b) 및 제2틈새(60a)를 통해 연통(60)의 내부에 제1댐퍼(70b) 및 제2댐퍼(70a)를 선택적으로 삽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다. 제1댐퍼(70b) 및 제2댐퍼(70a)는 제1틈새(60b) 및 제2틈새(60a)에 각각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대략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는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고 연통(60)의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가 형성된다. 연통(60)의 제1틈새(60b)에서 제1댐퍼(70b)를 인출하고, 제2틈새(60a)에서 제2댐퍼(70a)를 인출하여 연통(60)의 내부를 개방시킬 경우, 연소실(11)의 공기 및 연기가 경로가 길고 배연 부하가 걸리는 제2연기배출구(23) 대신에 자연적으로 제1연기배출구(22)를 통해 신속하게 배출되고 급기관(40)으로는 외기가 원활하게 흡입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피연소물의 착화가 보다 용이해지며 원활한 연소로 강력한 화력에 의해 뚜껑부(30)를 통해 열이 방출되나 난로(1)의 측면으로는 상대적으로 뜨겁지 않아 실내 공간 활용 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실내나 비닐하우스, 작업실, 공방 등과 같이 열기 대류에 의한 난방 효과를 요구하는 장소 및 하절기에 화덕으로 사용할 경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후술되는 뚜껑부(30)에서 마개(50)를 제거한 다음 투입구(31)의 상부에, 냄비 등의 조리용기를 올려 놓아 조리물을 용이하게 가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댐퍼(70a)를 제2틈새(60a)에 삽입하여 연통(60)의 내부를 밀폐시킬 경우 연기 및 열기가 내부 본체(10)와 발열부(20) 사이의 공간 및 제2연기배출구(23)를 거쳐 연통(60)을 통해 배출된다. 이러한 경우 제2연기배출구(23)와 연통(60)을 통해 열기가 배출되는 것에 비해 열기의 배출 경로가 길어짐에 따라 난방 효율이 향상되어 실외 사용 시에 보다 넓은 면적을 따뜻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제2댐퍼(70a)는 상부분기관(61)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부분기관(61)과 마찰을 일으켜 고정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부분기관(61)의 내부를 부분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댐퍼(70b)는 상기 제1틈새(60b)에 삽입 또는 인출되어 연통(60)의 전체를 개방 또는 폐쇄시킴에 따라 연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이며 선택적으로 발열부(20) 측면 상단에 제1연기배출구(22) 또는 발열부(20)의 중하부에 형성된 제2연기배출구(23)만으로도 별도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틈새(60a)와 제2댐퍼(70a)는 생략할 수 있다.
한편, 본체(10)는 발열부(20)의 저면에 배치될 때 공기층형성부(80)를 개재하여 안착될 수 있다. 공기층형성부(80)는 블록 또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10)를 발열부(20) 저면에서 설정 간격 이격되도록 한다. 공기층형성부(80)는 발열부(2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본체(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층형성부(80)로 인해 본체(10) 내의 연소열이 발열부(20)로 직접 전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별도의 받침대(미도시) 없이 발열부(20)를 지면에 직접 올려 놓게 되더라도 본체(10)와 발열부(20) 사이의 연소열이 지면에 전도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공기층형성부(80)는 발열부(20)의 바닥면이 캐스타블 성형 처리 되거나 또는 펄라이트로 단열 처리될 경우 생략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난로를 나타낸 사시도로, 제1 실시예에 따른 난로에 열기집중관(110)이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4는 제1댐퍼(70b) 및 열기집중관(110)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뚜껑부(30)에서 마개(50)를 제거하고, 제1댐퍼(70b)를 제1틈새(60b)에 완전하게 삽입하여 연통(60) 전체를 폐쇄함과 아울러, 상,하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열기집중관(110)을 뚜껑부(30)의 상면에 안착하고, 동시에 본체(10)의 바닥에 안착된 내열관(100)에 걸쳐진 재받이(130) 위에 보조연소관(140)을 추가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기집중관(110)은 상기 뚜껑부(30)의 상면 중 투입구(31)의 가장자리면에 안착되고, 연소실(11)과 투입구(31) 및 열기집중관(110)의 내부는 연결된 구조를 이루고, 보조연소관(140)의 연통 효과 및 화점집중으로 인해 더욱 강력해진 상승기류는 상기 제1댐퍼(70b)로 인해 상기 연통(60)의 내부가 폐쇄됨에 따라 연소실(11) 내의 열기나 화염이 연통(60)을 통해 배출되지 않고 투입구(31) 및 열기집중관(110)을 통해 강력하게 배출되며, 이 열기집중관(110)의 하부 및 중부에는 설정 간격을 두고 급기홀(미도시)이 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난로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받이(130) 상에 상단과 하단이 개방되는 파이프 형상의 보조연소관(140)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연소관(140)의 내부에 화목이나 갈탄을 투입한 다음 점화하면, 외기가 급기관(40)의 내부를 통해 연소실(11)로 전달되고, 이와 같이 전달된 외기는 보조연소관(140)의 측면에 상하 및 좌우로 설정 간격을 두고 천공된 타공홀(141)을 거쳐 보조연소관(140)의 내부에 위치한 화목이나 갈탄에 공급되거나, 재받이(130)의 타공홀(131)을 통과한 다음 본체(10)의 바닥면에 부딪혀 상승되어 재받이(130)의 하측에서 재받이(130)의 타공홀(131)을 통과하여 보조연소관(140)의 내부에 위치한 화목이나 갈탄에 공급되어 연소효율이 향상되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상기 보조연소관(140)이 연소실(11)에 설치될 경우, 연소실(11)의 공간이 축소되어 적은 화목 량으로도 연통 효과 및 화점 집중, 보온효과에 따른 완전 연소 조건에 가까워지고 발열 공간이 더욱 커짐으로써 열효율이 제고되고 결과적으로 연료량에 비해 버닝 타임을 늘려줘 여름 장마철이나 간절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화덕으로 이용 시에는 열기를 피가열물까지 유도하기도 하고, 보조연소관(140)을 뒤집어 투입구(31)에 꽂으면 3중 포켓스토브가 되어 화목 소모량은 비교적 높지만 최대 화력을 방출하여 난로 발열량 스코프를 확대할 뿐 아니라 화목 외에 갈탄 등의 연료도 용이하게 연소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한편, 3중 포켓스토브 사용시 보조연소관(140)의 상단에 뚜껑(50)을 덮을 경우, 간헐적으로 역류하는 연기를 방지할 수 있고 설치홀(32)의 조절부(90)의 개폐와 함께 화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며 뚜껑(50)에 회동축(120)에 의해 고정된 급기조절부(90)를 설치할 경우 설치홀(32)의 조절부(90)와 함께 더욱 미세한 화력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보조연소관(140)의 하부 둘레를 따라서 설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타공홀(141)이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3중 포켓스토브로 사용시 보조연소관(140)의 내벽을 타고 올라오는 역화 미세 연기를 추가 급기와 함께 연소실로 돌려보내 연소토록 함으로써 연소효율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화덕으로 사용시 보조연소관(140) 하단에 누적된 숯으로 인해 하부 급기가 제한적일 때도 보조연소관(140) 안으로 원활하게 공기가 공급될 수 있게 되고 연소실(11)의 나머지 공간은 에어 탱크가 되어 예열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재받이(130)에 안착된 보조연소관(140)으로 인해 투입구(31) 바로 아래까지 유도된 열기는 마개(50)을 개방하여 냄비 등 피조리물을 가열하게 된다. 보조연소관(140)은 투입구(31)로부터 약 5cm 이격되도록 높이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입구(31)와 보조연소관(140) 상단 사이가 5cm 이상 이격되어야 연통으로 원활히 배출되므로 이에 따라 보조연소관 높이와 내열관의 비딩 위치가 결정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연소관(140)은 하단에 외측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플랜지(142)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142) 저면에서 돌출되도록 손잡이(도 3의 143)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도 3의 143)는 90도 각도로 4군데 부착하여 보조연소관(140)의 설치나 회수시 조작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손잡이는 재받이(130) 상에 배치 시 재받이(130)의 관통공에 삽입되게 설치하거나, 재받이(130) 상에 걸쳐지도록 설치하여 보조연소관(14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화덕으로 사용 시 손잡이 높이만큼 보조연소관(140)을 투입구(31)에 가깝게 설치하면, 열기가 투입구(31)를 통해 외부로 직접 배출됨으로써 더욱 강력한 화력을 얻을 수 있다. 이는 보조연소관(140)이 내열관(100)에 걸쳐진 재받이(130)에 설치되어 초기 착화 시처럼 화점이 아래에 있을 때에는 3중 포켓스토브와 같이 거꾸로 타는 방식으로 연소하다가 화점이 점점 상부로 옮겨감에 따라 상향 연소하게 된다. 이때, 제1댐퍼(70b) 폐쇄와 함께 투입구(31)를 개방하게 되면 차가운 외기와 연소실의 뜨거운 상승 기류의 접촉 면적이 넓어져 서로 밀고 당기는 간섭 현상이 있게 된다. 이때, 손잡이를 재받이(130) 상면에 위치시킴으로써 손잡이의 높이만큼 접촉 면적이 좁아지고 투입구(31)에 더욱 가까워진 상승 기류 세력이 강해져 화염이 투입구(31) 중앙으로 쉽게 뻗쳐 나가는 한편, 투입구(31) 외곽으로는 차가운 외기가 연소실로 공급되어 외기와 상승기류의 통로가 서로 분리되었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투입구(31)로부터 5cm 정도 하방에 보조연소관(140)의 상단이 위치해 있었다면 손잡이 높이는 3cm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적으로, 제1연기배출구(22)에 설치된 제2댐퍼(70a) 외에 연통(60)의 내부 전체를 개폐를 할 수 있는 제1댐퍼(70b)를 이용하여 연통(60)의 내부를 폐쇄하게 되면 연소실(11) 내의 보조연소관(140)을 통해 뚜껑부(30)의 저면 가까이까지 상승하였다가 본체(10)를 지나 연통(60)로 배출되던 화염과 열기가 투입구(31)를 거쳐 외부로 그대로 유출된다.
이러한 원리를 통해 뚜껑부(30) 위에 오덕(삼발이)를 올려놓고, 상기 오덕(삼발이) 위에 조리 용기를 올려 놓게 되면 화염과 열기가 직접 전달됨으로 조리에 필요한 최고의 화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댐퍼(70b)의 개폐를 절반 정도로 할 경우 중불, 완전 개방할 경우에는 약불 등으로 화목 투입 및 급기량 조절과 함께 화력을 미세 조절할 수 있으며 이외에 투입구(31)를 마개(50)로 막고 그 상부에 조리 용기를 얹으면 미약불, 오덕(미도시) 위에 얹어 놓으면 보온 모드로 화덕으로서의 이상적인 화력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보조연소관(140)의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142)는 내경은 상기 보조연소관(140)의 외경과 동일하고 외경은 상기 재받이(130)보다 작게 재단된 링형 철판을 상기 보조연소관(140)의 하단에 용접하여 형성할 수 있다. 플랜지(142)는 피연소물의 고온 연소로 인한 보조연소관(140)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재받이(130)와의 접촉 면적이 넓어져 보다 안정감이 있게 재받이(30)에 안착되고 3중 포켓스토브 사용시에는 투입구(31)에 보조연소관(140)이 뚜껑부(30)에 쉽게 걸쳐질 수 있도록 한다. 보조 연소관(140) 상단 또한 내부 둘레를 따라 별도의 보강재를 둥글게 말아서 용접하여 변형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난로는 상기와 같이 화력과 화염의 진행 방향 조절이 가능한 제1댐퍼(70b)를 이용하여 smoking과 cooking을 단계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즉, 보조연소관(140)에 피연소물과 함께, 볏짚, 참나무 등 훈연 칩을 투입하여 착화한 후, 제1댐퍼(70b)로 연통(60)의 내부를 폐쇄하면 적셔둔 훈연칩에서 발생된 연기가 투입구(31)를 통해 유출되어 피조리물에 훈연향을 입힐 수 있고, 필요한 만큼 훈연향을 입힌 후에는 제1댐퍼(70b)를 개방하여 연기를 연통으로 배출시키면, 연기가 나지 않고 불쑈가 없는 매우 쾌적한 조리환경으로 전환할 수 있게 된다.
보조연소관(140) 없이 제1댐퍼를 폐쇄하게 되면 투입구(31)를 개방하지 않은 경우 연기가 여러 틈새로 빠져 나오다가 점점 화력이 상실될 수 있고, 투입구(31)를 개방한 경우에도 차가운 공기의 압력으로 화염과 열기가 외부로 유출 저항이 생겨 서서히 화력이 상실될 수 있으므로 화덕이나 장작구이용으로 사용 시에는 가능한 보조연소관(140)을 연소실 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부(30)에는 보조급기공(32) 및 보조급기부(33)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급기공은 본체(10)의 상단의 연소실(11) 측에 상응하는 위치의 뚜껑부(3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보조급기공(32)은 연소실(11)로부터 발열부(20)로 열기가 넘어 가는 길목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급기부(33)는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보다 안정된 화력과 조절을 할 수 있게 되며 보조연소관(140)을 사용할 경우에도 같다. 보조급기부(33)는 2개 이상 설치하여 인화점이 낮은 피연소물도 효율적으로 연소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뚜껑부(30)에는 상기 연소실(11)과 연결되는 다수개의 보조급기공(32)이 서로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고, 보조급기공(32)의 하단에는 보조급기부(33)가 설치된다. 보조급기부(33)는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보조급기공(32) 하단에 측면이 결합하고, 결합되는 위치에 보조급기공(32)과 동일한 크기의 연결공(33a)이 형성되고 타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공(33b)이 급기를 위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급기부(33)는 뚜껑부(30)로 발열부(20)의 개구부(21)를 밀폐시킬 경우 연소실(11)과 수직선상에 위치되어, 외기는 뚜껑부(30)의 관통홀(32)과 보조급기부(100)의 공급홀(10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연소실(11)에 공급된다. 외기가 상기 급기관(40) 및 보조급기부(33)를 통해 연소실(11)에 공급됨에 따라, 연소실(11)에 공급되는 외기의 양이 풍부해지고, 파이프 형상의 보조급기부(33)를 통해 연소실(11)에 지속적으로 공급됨에 따라 인화점이 낮은 볏짚과 같은 농사 부산물, 골판지 같은 폐기물도 용이하게 연소시킬 수 있다. 보조급기부(33)를 적용할 경우 급기관(40)의 공급홀(41)은 생략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난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4 실시예에 따른 난로는 본체(1100), 발열부(1200), 보조연소관(1400), 열기집중관(1600)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3 실시예와 달리 제4 실시예에 따른 난로는 발열부(1200)가 본체(1100) 상부에 배치된다.
본체(1100)는 상단과 하단이 막힌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체(1100)의 상면(1120)에는 제1개구(1121)가 형성된다. 본체(1100)의 측면 하방에 본체투입구(1110)가 절개되어 형성되고 본체투입구(1110)는 본체 도어(1111)에 의해 개폐된다. 도어(1111)의 개폐 정도에 따라 본체(1100)로의 급기량을 조절할 수 있고, 도어(1111)의 닫힘 상태에서도 소정의 급기가 가능하도록 관통공(1111a)을 천공한다. 연소된 재와 숯을 연소중인 피연소물과 분리하기 위해 다수의 관통공(1310)이 형성된 재받이(1300)를 본체(1100) 내측 저면에 설치하여 보다 강력한 화력을 얻을 수 있다. 필요시 피연소물을 재받이(1300)에 거치할 수 있다.
보조연소관(1400)을 제외한 본체(1100) 여분의 공간이 공기 예열 뿐 아니라 적절한 장치 부착으로 바비큐나 제빵, 제과의 오븐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의 상면(1120) 일측에 바비큐용 고리(1710)을 다수 결합하여 바비큐 대상물을 걸어둠으로써 보조연소관의 연소열에 의한 훈연 간접구이를 할 수 있으며 바비큐 대상물에서 떨어진 기름 등은 본체(1100)의 바닥으로 떨어져 재받이(1300)에서 걸러진 숯에 의해 타더라도 보조연소관(14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바비큐 대상물에 직접 접촉되지 않아 위생에 유해하지 않다. 한편, 본체 내측 하단의 도어(1111) 좌.우 양측에 오븐 받침대(1720)를 부착하여 고구마 구이나 제빵, 제과의 오븐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체(1100) 상면에 배치되는 발열부(1200)는 하방이 개구되고 상단이 막힌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발열부(1200)의 하방 개구가 본체(1100) 상면에 결합된다. 발열부(1200) 상면(1230)에는 제2개구(1231)가 형성되고 제2개구(1231)는 마개(1500)에 의해 개폐되며 개방시에는 화덕으로 이용이 가능하게 되며 폐쇄시에는 난로로 활용된다. 발열부(1200) 측면에는 다수의 배기홀(1210)이 형성되어 연소된 열기를 외부로 배출토록 하되 배기홀(1210)은 발열부(1200) 측면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하여 연통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음으로 인한 배연 부하를 방지하는 슬롯 역할을 하여 배연력을 높이고 발열의 효율을 높일 뿐 아니라 최하단의 직경이 큰 배기홀은 후술하는 열기집중관(1600)의 2차급기홀(1610)로 2차 연소를 위한 공기를 공급도 겸하게 된다.
본체(1100) 내측에는 피연소물이 연소하는 연소실로서의 보조연소관(1400)이 배치된다. 보조연소관(1400)은 파이프 형상으로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고, 상단 외측으로 플랜지(1440)가 형성되며 보조연소관(1400)의 외경은 본체(1100)의 제1개구(1121)에 삽입 결합할 수 있도록 상응하는 사이즈로 형성되고, 보조연소관(1400)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1440)는 제1개구(1121)의 직경보다 외경이 크게 형성되어 플랜지(1440)에 의해 보조연소관(1400)이 본체(1100) 상면(1120)에 걸쳐져 결합할 수 있다. 보조연소관(1400)의 측면에는 복수개의 급기홀(1430)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예열된 공기가 보조연소관으로 급기된다. 보조연소관(1400)의 측면 하부의 본체투입구(1110)에 상응하는 위치가 관통하여 투입구(1410)가 형성되어 피연소물이 보조연소관(1400) 안에 세워져 투입되거나 보조연소관(1400) 하단과 재받이(1300) 위에 걸쳐져 연소된다. 투입구(1410)는 도어(1420)에 의해 개폐되며 폐쇄시 바비큐, 제과, 제빵 시 오븐 공간의 열편차를 줄일 수 있다.
보조연소관(1400)의 플랜지(1440)가 걸쳐 결합되는 본체 상면(1200)에는 상단과 하단 모두 개방되는 파이프 형상의 열기집중관(1600)이 배치된다. 열기집중관(1600)은 측면에 복수개의 2차 급기홀(1610)이 형성되어 보조연소관(1400)에서 미연소된 가스의 2차 연소를 위한 2차 급기를 하여 추가적인 연소 공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보조연소관(1400)에서 연소된 열기와 화염을 흡인하여 발열부로 넘겨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열기집중관(1600)은 발열부(1200) 안에 수용되어야 하고 발열 공간 확보를 위해 발열부(1200)의 직경 및 높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보조연소관(1400)으로부터 열기와 화염의 흡인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아야 하므로 제1개구(1121) 정도의 직경일 경우에는 발열부(1200)의 높이의 1/2 정도로 설정하고 이보다 작은 직경일 경우 높이를 더 높이는 것이 효율적이며 제1 개구(1121)보다 작은 직경일 경우에는 제1 개구보다 더 큰 직경의 플랜지(미도시)를 부착하여 상면(1120) 위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본체(1100)에는 보조연소관(1400) 하부 면적보다 큰 재받이(1300)를 본체(1100) 저면에서 설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피연소물이 재받이(1300)에 거치될 수 있다. 재받이(1300)는 보조연소관(1400) 하단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연소관 하단 면적으로 작아지고 재와 숯의 저장 공간을 확보키 위한 재받이 받침대가 불필요하게 되어 무게와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화목과 같은 피연소물은 본체투입구(1110)과 보조연소관 투입구(1410)를 통해 보조연소관(1400) 내측에 투입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화목은 보조연소관(1400) 내측에 세워지게 놓여 연소되며 열기와 화염은 보조연소관(1400)과 열기집중관(1600)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며 발열부(1200)에서 발열하며 발열부(1600)의 측면 둘레에 따라서 상하 일정 거리와 좌우 일정 간격에 천공된 배기홀(1210)을 통해 연통없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초기에 연기가 다소 발생될 수 있지만 발열부(1600)가 달궈진 이후에는 연기 발생은 없으며 본체(1100) 측면에 투입구(1110)를 통해 착화와 화목 추가 및 공기 조절을 하게 된다. 투입구(1110)는 힌지 결합하는 도어(1111)에 의해 개폐되고, 도어(1111)에는 별도의 보조급기홀이 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1111)를 닫은 후에도 일정량의 급기를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보조연소관(1400)의 측면 하부에 본체투입구(1110) 상응하는 위치에 투입구(1410)를 형성하여 투입구(1410)를 통해 보조연소관(1400) 안으로 화목을 세워 놓을 수 있어 연통 효과 및 화점 집중의 효과로 연소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체(1100)와 보조연소관(1400) 사이의 공간은 찬 외기를 따뜻하게 예열하는 에어 탱크가 된다. 또한, 보조연소관(1400) 측면에 설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급기홀(1430)을 관통 형성하여 급기홀(1430)을 통해 예열된 공기가 공급되어 더욱 연소 효율을 높이게 된다.
따라서, 제4 실시예에 따른 난로는 우드가스 스토브와 로켓 스토브의 단점을 제거하고 장점을 결합한 난로 겸 화덕이 된다. 우드가스 스토브는 매우 효율적이나 화목 적재가 Batch Type이어서 화목 추가가 여의치 않고 장시간 연소 시 숯의 증가로 화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로는 화목 추가 투입이 가능하고 본체 도어(1111)에 의한 급기 조절로 화력 조절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우수한 열효율성에 비해 가는 장작만을 투입하여야 하는 문제를 가진 로켓 스토브의 단점을 극복함은 물론 수평의 화목 투입부를 없애 더욱 간단한 구조로 인해 제작 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발열부(1200) 상면(1230) 개구(1231)에 뚜껑(1500)으로 열기 배출을 차단하되 개구(1231)를 이용하여 화덕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발열부(1200)는 하부로 내려갈수록 배기홀의 직경을 크게 하여 열기의 외부 배출을 원활히 할 수 있다. 발열부(1200) 및 열기집중관(1600) 없이 화덕으로도 쓸 수 있으며 열기집중관(1600)과 발열부(1200) 설치 시 연통 없는 난로가 되는 것이다. 도면에는 연통이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1 내지 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발열부(1200) 측면 하부에 연통이 결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발열부의 배기홀은 생략될 수 있다.
한편, 본체(1100), 발열부(1200), 열기집중관(1600), 보조연소관(1400), 뚜껑(1500) 순으로 직경을 달리하고 높이를 본체보다 짧게해 전 부품을 본체에 수납이 가능하고 부피가 작아지고 보다 얇은 재질로 가볍게 제작할 수 있어 이동 및 캠핑용으로 적합하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1 : 난로 10, 1100 : 본체
11 : 연소실 20, 1200 : 발열부
21 : 개구부 22 : 제1연기배출구
23 : 제2연기배출구 30 : 뚜껑부
31 : 투입구 32 : 설치홀
40 : 급기관 41 : 공급홀
42 : 통로 50, 1500 : 마개
60 : 연통 60a : 제2틈새
60b : 제1틈새 61 : 상부분기관
62 : 하부분기관 70a : 제2댐퍼
70b : 제1댐퍼 80 : 공기층형성부
90 : 조절부 100 : 내열관
110, 1600 : 열기집중관 120 : 회동축
130 : 재받이 140, 1400 : 보조연소관
141 : 타공홀

Claims (3)

  1. 상단과 하단이 막힌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개구가 형성되고 측면 하방에 도어로 개폐되고 외부에서 피연소물 투입을 위한 본체투입구가 형성되는 본체;
    하방이 개구되고 상단이 막힌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단에는 마개로 개폐하는 제2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 상면에 배치되는 발열부; 및
    상단과 하단이 개구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단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경이 상기 본체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측면 하부에 상기 본체 투입구에 상응하는 위치가 절개되어 피연소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투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 상단에 상기 플랜지가 걸쳐져 상기 본체 내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피연소물이 연소되는 보조연소관;을 포함하는 화덕 겸용 난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단과 하단이 모두 개방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면에 복수의 급기홀이 형성되어 상기 발열부 내측의 상기 본체 개구 상에 배치되는 열기집중관을 추가로 포함하는 화덕 겸용 난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도어에는 설정 개수의 급기를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고,
    발열부 측면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배기홀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보조연소관의 측면에는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덕 겸용 난로.
KR1020180111628A 2017-06-27 2018-09-18 화덕 겸용 난로 KR1020525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088 2017-06-27
KR20170081088 2017-06-2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195A Division KR101918730B1 (ko) 2017-06-27 2018-05-03 화덕 겸용 난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578A true KR20190001578A (ko) 2019-01-04
KR102052508B1 KR102052508B1 (ko) 2019-12-05

Family

ID=6432826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195A KR101918730B1 (ko) 2017-06-27 2018-05-03 화덕 겸용 난로
KR1020180111628A KR102052508B1 (ko) 2017-06-27 2018-09-18 화덕 겸용 난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195A KR101918730B1 (ko) 2017-06-27 2018-05-03 화덕 겸용 난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1918730B1 (ko)
WO (1) WO201900468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7880B1 (ko) * 2021-11-03 2022-02-24 박상춘 수직 연소방식 화목 투입구 설치용 착탈식 펠릿 연소장치를 갖는 펠릿 겸용 화목난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1435U (ko) * 2008-07-30 2010-02-09 김철수 옥수수를 연료로 하는 구이용 화덕장치
JP5299802B1 (ja) * 2012-11-30 2013-09-25 矩義所建築有限会社 蓄熱暖房装置
KR200470513Y1 (ko) * 2013-04-26 2013-12-23 최두일 난방 및 취사 모드로 전환 가능한 다목적 난로
KR101372399B1 (ko) * 2013-09-09 2014-03-10 유상범 공기 흐름이 개선된 난로
KR101622312B1 (ko) 2014-06-20 2016-05-19 이정호 난로
KR101688583B1 (ko) * 2016-08-11 2016-12-21 이승일 난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7Y1 (ko) * 2005-08-04 2005-11-04 삼양보일러 주식회사 소각 가능한 쓰레기와 연탄 겸용 보일러
KR101504324B1 (ko) * 2013-07-08 2015-03-19 나영채 난로
KR101432472B1 (ko) * 2014-03-28 2014-08-21 이순기 화목난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1435U (ko) * 2008-07-30 2010-02-09 김철수 옥수수를 연료로 하는 구이용 화덕장치
JP5299802B1 (ja) * 2012-11-30 2013-09-25 矩義所建築有限会社 蓄熱暖房装置
KR200470513Y1 (ko) * 2013-04-26 2013-12-23 최두일 난방 및 취사 모드로 전환 가능한 다목적 난로
KR101372399B1 (ko) * 2013-09-09 2014-03-10 유상범 공기 흐름이 개선된 난로
KR101622312B1 (ko) 2014-06-20 2016-05-19 이정호 난로
KR101688583B1 (ko) * 2016-08-11 2016-12-21 이승일 난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7880B1 (ko) * 2021-11-03 2022-02-24 박상춘 수직 연소방식 화목 투입구 설치용 착탈식 펠릿 연소장치를 갖는 펠릿 겸용 화목난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2508B1 (ko) 2019-12-05
KR101918730B1 (ko) 2018-11-14
WO2019004689A1 (ko) 2019-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9222B2 (en) Cook stove assembly
RU2436015C2 (ru) Печка, работающая на твердом топливе, с улучшенным сгоранием
US8893703B2 (en) Combustion chamber for charcoal stove
AU739705B2 (en) Electric cooking oven with infrared gas broiler
US20060225724A1 (en) Solid-fueled cooking or heating device
KR101847726B1 (ko)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
US20130029024A1 (en) Barbeque stove
CA3136970C (en) Longitudinal burn pot assembly and improved air flow system
KR101650239B1 (ko) 화목난로
KR20160050105A (ko) 하향 연소식 펠렛난로
KR101918730B1 (ko) 화덕 겸용 난로
KR102437889B1 (ko) 공기순환식 고온연소 화목난로
US20140251299A1 (en) Oven having an enclosed heat exchange zone
CN109579056B (zh) 一种组合式全封闭祛烟尘节能柴火灶
JP3219419U (ja) 調理用無煙薪ストーブ
CN102954497B (zh) 便携式生物质炊事炉
JP3242406U (ja) ストーブ
KR200475915Y1 (ko) 화목난로용 연소장치
CN108180505A (zh) 一种户外取暖炉
CN216591805U (zh) 一种双层燃烧室的火炉
JP2819813B2 (ja) 焼成調理器
KR20190048426A (ko) 가스 점화유닛을 가지는 숯불 로스터
KR200454115Y1 (ko) 오븐 겸용 직화 바비큐 구이기
KR20160050104A (ko) 상하향 연소식 고형난로
JP3218233B2 (ja) ガスグリ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