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4324B1 - 난로 - Google Patents

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4324B1
KR101504324B1 KR1020130079918A KR20130079918A KR101504324B1 KR 101504324 B1 KR101504324 B1 KR 101504324B1 KR 1020130079918 A KR1020130079918 A KR 1020130079918A KR 20130079918 A KR20130079918 A KR 20130079918A KR 101504324 B1 KR101504324 B1 KR 101504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exhaust passage
combustion gas
flow path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9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6294A (ko
Inventor
나영채
Original Assignee
나영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영채 filed Critical 나영채
Priority to KR1020130079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4324B1/ko
Publication of KR20150006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6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28Combined installations of stoves or ranges, e.g. back-to-back stoves with a common fire-bo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80/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 F23B80/04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by means for guiding the flow of flue gases, e.g. baff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1/00Devices for conducting smoke or fumes, e.g. f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7/00Stoves, ranges or flue-gas duct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F24B7/005Flue-gas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로에 대한 것으로서, 내부에 고체연료를 연소시킬 수 있는 연소공간이 마련되며, 상부에 상기 고체연료의 연소시 발생하는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마련된 본체와,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음식물이 투입되는 가온공간부가 마련되고, 내부에 연소가스가 유입되어 상부에 설치된 배기관으로 배출되도록 배출공 및 배기관에 연통된 제1배기유로와 배출공 및 배기관에 연통되되, 연소가스의 열에 의해 가온공간부에 투입된 음식물이 가열될 수 있도록 가온공간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연장된 제2배기유로가 형성된 가열유닛과, 가열유닛에 설치되어 연소가스가 제2배기유로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1배기유로를 폐쇄하되, 고체연료의 초기 발화시에는 제1배기유로를 개방하는 개폐댐퍼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난로는 음식물이 투입된 가온공간부 둘레를 감싸도록 연장된 배기유로를 따라 연소가스가 유동하며 음식물을 가온하므로 음식물에 균일하게 열이 인가되고, 개폐댐퍼에 의해 고체연료의 초기 발화시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바로 배기관으로 배출시키므로 고체연료의 불완전 연소를 방지하여 연소효율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난로{Stove}
본 발명은 난로에 관한 것으로서, 고체연료의 연소시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온할 수 있는 난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로는 석탄이나 목재 또는 석유나 가스, 전기 등을 연료로 사용하여 실내외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8-019425호에 개시된 목재용 난로와 같이 상기 난로 중 석탄이나 목재 등의 고체연료를 이용한 난로는 고체연료의 연소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많고 연소 후의 잔여물(재)이 많이 남게 되는 단점이 있으나 연료비가 극히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어 현재까지 실내외 난방용으로 흔히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난로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가열부케이싱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열부케이싱의 상부에는 뚜껑이 구비되어 있어 가열부케이싱 내부에 고체연료를 넣어 연소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가열부케이싱의 상부 또는 일측에는 원통형의 배기연통이 연결 설치되어 있어 고체연료의 연소시 발생되는 매연 등의 연소가스를 실외로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고 상기 가열부케이싱의 하부에는 고체연료의 연소 후 발생되는 재 등의 잔여물을 처리하기 위한 소제구가 구비되어 있어 실내외 난방용으로 사용할 뿐 아니라 난로의 상부에 주전자나 각종 가온용 음식물 등을 올려 놓아 음식물을 가온시켜 취식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고체연료를 사용한 난로는 가열부케이싱이 원통형으로만 형성되어 있어 가온시키기 위해 가열부케이싱의 상부에 놓여지는 주전자나 각종 가온용 음식물 등이 하부에서만 열을 받아 쉽게 가온되지 않으며 또한 가온된 후에도 난로 내부의 고체연료가 소진된 경우에는 쉽게 식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상기 배기연통이 좁은 직경을 지닌 원통형의 파이프형상으로 되어 있어 배기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여 불완전연소되면서 연소가스가 가열부케이싱의 뚜껑을 통해 역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연소가스가 음식물이 투입되는 가온공간부 둘레를 감싸도록 유동하여 배기되므로 음식물을 고루 가열할 수 있으며, 고체연료의 초기 발화시에는 연소가를 음식물과 열교환시키기 않고 바로 배출시키는 난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난로는 내부에 고체연료를 연소시킬 수 있는 연소공간이 마련되며, 상부에 상기 고체연료의 연소시 발생하는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음식물이 투입되는 가온공간부가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연소가스가 유입되어 상부에 설치된 배기관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배출공 및 배기관에 연통된 제1배기유로와 상기 제1배기유로에 연통되되, 상기 연소가스의 열에 의해 상기 가온공간부에 투입된 상기 음식물이 가열될 수 있도록 상기 가온공간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연장된 제2배기유로가 형성된 가열유닛과, 상기 가열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연소가스가 상기 제2배기유로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배기유로를 폐쇄하되, 상기 고체연료의 초기 발화시에는 상기 제1배기유로를 개방하는 개폐댐퍼를 구비한다.
상기 가열유닛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고정되며, 내부에 상기 배출공에 연통되게 상기 제1배기유로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제1배기유로에 연통되게 상기 배기관이 설치된 메인연통부와,상기 메인연통부의 하측 외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연통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측에 상기 가온공간부가 마련되며, 내부에 상기 제1배기유로에 연통되는 제1유동로가 마련된 제1연통부재와, 상기 제1연통부재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연통부재에 대해 상방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상기 제1유동로에 연통되는 제2유동로가 마련된 제2연통부재와, 일단은 상기 제2연통부재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메인연통부의 상측 외주면에 고정되며, 내부에 제2유동로 및 제1배기유로에 연통되는 제3유동로가 형성된 제3연통부재가 마련된 서브연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배기유로는 상기 제1 내지 제3유동로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댐퍼는 상기 제1연통부재에 대해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메인연통부 내부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배기유로를 개폐하는 개폐판과,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파지하여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파지부재가 마련된 핸들을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난로는 일단이 가열공간으로 인입되도록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공으로 배출되는 고온의 상기 연소가스가 재연소될 수 있도록 상기 연소가스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배출공에 인접된 단부에 산소가 배출되는 외기배출구가 마련된 외기공급관과, 상기 외기공급관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외기공급관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난로는 상기 제2배기유로를 통과하는 상기 연소가스를 난류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소가스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의 상기 제1 내지 제3연통부재의 내벽면에 상기 제2배기유로의 중심방향을 돌출형성된 다수의 난류유도판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가열유닛은 상기 제1유동로를 통과하는 상기 연소가스의 열을 상기 가온공간부에 투입된 음식물에 전달하는 다수의 열전달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열전달부재는 상기 제1연통부재의 상측 외주면에 관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연소가스의 열을 외부로 전달하는 열전달핀과, 상기 제1유동로에 노출된 상기 열전달핀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1유동로를 통과한 상기 연소가스와의 열접촉면적을 확장할 수 있도록 다수의 방열핀이 마련된 방열부재와, 상기 가온공간부에 투입된 상기 음식물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가온공간부에 노출된 상기 열전달핀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열전달핀의 단면보다 더 큰 단면적을 갖는 접촉판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난로는 음식물이 투입된 가온공간부 둘레를 감싸도록 연장된 배기유로를 따라 연소가스가 유동하며 음식물을 가온하므로 음식물에 균일하게 열이 인가되고, 개폐댐퍼에 의해 고체연료의 초기 발화시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바로 배기관으로 배출시키므로 고체연료의 불완전 연소를 방지하여 연소효율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난로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난로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난로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난로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난로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난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난로(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난로(100)는 내부에 고체연료를 연소시킬 수 있는 연소공간(111)이 마련되며, 상부에 상기 고체연료의 연소시 발생하는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공(112)이 마련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음식물이 투입되는 가온공간부(221)가 되고, 내부에 상기 연소가스가 유입되어 상부에 설치된 배기관(212)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배출공(112) 및 배기관(212)에 연통된 제1배기유로(211)와 상기 제1배기유로(211)에 연통되되, 상기 연소가스의 열에 의해 상기 가온공간부(221)에 투입된 상기 음식물이 가열될 수 있도록 상기 가온공간부(221)의 둘레를 감싸도록 연장된 제2배기유로가 형성된 가열유닛(200)과, 상기 가열유닛(200)에 설치되어 상기 연소가스가 상기 제2배기유로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배기유로(211)를 폐쇄하되, 상기 고체연료의 초기 발화시에는 상기 제1배기유로(211)를 개방하는 개폐댐퍼(300)를 구비한다.
본체(110)는 내부에 연소공간(111)이 마련되며, 상면에는 고체연료가 연소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배출되도록 배출공(112)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110)는 하면에 고정된 다수의 지지다리(113)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길이 이격되게 지지된다. 상기 지지다리(113)의 하단부에는 본체(11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송바퀴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110)는 바닥면에 고체연료가 연소하고 남은 재가 하부로 배출되도록 다수의 관통공이 마련된 그물망(114)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본체(110) 하부에는 그물망(11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재를 수거할 수 있도록 재수거용기(115)가 설치되어 있다. 재수거용기(115)는 본체(110) 하부에 마련된 슬롯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물망(114)을 통해 배출되는 재가 내부로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부는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본체(110)는 전면에 고체연료를 연소공간(111)으로 투입할 수 있는 투입부재(11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투입부재(116)는 본체(110)의 전면 하부에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며, 내부에 연소공간(111)과 연통되는 투입로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을 개방된 투입하우징(117)과, 투입하우징(117)의 전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투입하우징(117)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개폐덮개(118)를 구비한다.
투입하우징(117)은 전단부가 상단이 하단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개폐덮개(118)는 상단이 투입하우징(117)의 전단부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개폐덮개(118)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육안으로 연소공간(111) 내에서 고체연료의 연소상태를 감시할 수 있도록 투명한 감시창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투입하우징(117)은 감시창의 내측면에 그을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양측면에 각각 환기구(1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환기구(121)를 통해 투입하우징(117)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감시창에 그을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투입하우징(117)의 양측면에는 각각 상기 환기구(121)를 개폐할 수 있도록 환기덮개(12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환기덮개(122)는 상기 환기구(121)의 단면보다 더 큰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환기구(121)에 인접된 투입하우징(117)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때, 본체(110)는 배출공(112)이 투입하우징(117)의 개방된 전면의 면적보다 1.5 내지 2배 큰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고체연료가 투입되는 투입하우징(117)의 개방된 전면보다 배출공(112)이 더 크게 형성되므로 배출공(112)을 통해 연소가스가 보다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가열유닛(200)은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고정되며, 내부에 상기 배출공(112)에 연통되게 상기 제1배기유로(211)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제1배기유로(211)에 연통되게 상기 배기관(212)이 설치된 메인연통부(210)와, 메인연통부(210)에 연통되며, 내부에 제2배기유로가 형성된 서브연통부(220)를 구비한다.
메인연통부(210)는 사각단면을 갖고, 본체(110)에 대해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된다. 메인연통부(210)는 상부에 제1배기유로(211)를 통해 유동하는 연소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기관(212)이 설치될 수 있도록 관설치부(2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설치부(213)은 메인연통부(210)의 상면에 상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중앙부분에 메인연통부(210)를 통과하는 연소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제1배기유로(211)에 연통되게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관설치부(213)는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배기관(212)의 하단부가 끼워지되도록 환형의 설치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설치홈은 관설치부(213)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깊이 인입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관설치부(213)는 설치홈에 배기관(212)이 설치시 배기관(212)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의 상단이 배기관(212) 내측의 상단보다 상측이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관설치부(213)는 설치홈에 배기관(212)의 하단이 끼워져 결합되므로 연소가스에 포함된 목초액이 배기관(212)과 관설치부(213) 사이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서브연통부(220)는 음식물이 투입되는 가온공간부(221)가 마련될 수 있도록 'ㄷ'자 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 내지 제3연통부재(222,223,224)를 구비한다.
제1연통부재(222)는 일단이 메인연통부(210)의 하측 외주면에 고정되며, 전방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된다. 제1연통부재(222)는 상부에 상기 가온공간부(221)가 마련되며, 상기 가온공간부(221)에 음식물이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상면이 평평하도록 사각단면을 갖도록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연통부재(222)는 내부에 배출공(112)을 통해 배출된 연소가스가 유입될 수 있도록 제1연소가스에 연통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유동로(225)가 형성되며, 연소가스의 열을 가온공간부(221)에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열전달율이 우수한 철, 동, 스테인레스 등과 같은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연통부재(223)는 일단이 제1연통부재(222)의 타단에 고정되며, 메인연장부와 나란하게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된다. 제2연통부재(223)는 사각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되, 내부에는 제1연통부재(222)의 제1유동로(225)가 연통되는 제2유동로(226)가 형성된다. 상기 제2유동로(226)는 제2연통부재(223)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상하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제2연통부재(223)는 가온공간부(221)에 용이하게 연소가스의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열전달율이 우수한 철, 동, 스테인레스 등과 같은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연통부재(224)는 일단이 제2연통부재(223)의 타단에 고정되며, 타단은 메인연장부의 상측 외주면에 고정된다. 제3연통부재(224)는 사각단면을 갖고, 제1연통부재(222)와 나란하게 연장형성된다. 또한, 제3연통부재(224)는 제2유동로(226)와 메인연장부의 제1배기유로(211)에 연통되는 제3유동로(227)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가온고안부에 연소가스의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열전달율이 우수한 철, 동, 스테인레스 등과 같은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배기유로는 제1 내지 제3유동로(225,226,227)로 구성된다.
본체(110)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연소가스는 배출공(112)을 통해 제1유동로(225)로 유입되고, 제1 내지 제3유동로(225,226,227)를 통과하여 배기관(21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연소가스는 가온공간부(221)에 투입된 음식물과 열교환하여 상기 음식물을 가열시킨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1 내지 제3연통부재(222,223,224)는 복사효율 및 내부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외주면에 보강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다. 보강코팅층은 실리콘, 석영 및 카본을 혼합하여 형성하며, 미세한 기공과 그물모양의 불균일한 막을 형성하여 제1 내지 제3연통부재(222,223,224)의 복사효율 및 내부식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가열유닛(200)은 제1연통부재(222)의 상측 외주면에 설치되어 음식물을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판(228)이 설치된다. 상기 안착판(228)은 가온공간부(221)에 대응되는 제1연통부재(222)의 상측의 좌우측 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면에 상기 음식물이 안착될 수 있도록 평편하게 형성되되, 제1연통부재(222)로부터 좌우측으로 각각 연장형성된다. 작업자는 상기 안착판(228)에 음식물을 안착시킨 다음 가온공간부(221)로 음식물을 밀어넣으므로 고온의 가온공간부(221)에 용이하게 음식물을 투입시킬 수 있다.
개폐댐퍼(300)는 상기 제1연통부재(222)에 대해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메인연통부(210) 내부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301)과, 상기 회전축(301)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30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배기유로(211)를 개폐하는 개폐판(302)과, 상기 회전축(301)의 단부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파지하여 상기 회전축(30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파지부재(304)가 마련된 핸들(303)을 구비한다.
개폐판(302)은 제1배기유로(211)의 단면적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사각판형으로 형성된다. 핸들(303)은 메인연통부(210) 외부로 노출된 회전축(301)의 단부에 설치되며, 작업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열전달률이 낮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소공간(111) 내에 투입된 고체연료의 초기 발화시에 작업자는 개폐판(302)을 회동시켜 제1배기유로(211)를 개방시켜 외부로 배출되는 연소가스의 배출효율을 향상시키고, 고체연료의 초기 발화 이후 소정 시간이 흐른 다음에는 제1배기유로(211)를 폐쇄하도록 개폐판(302)을 회동시킨다. 이때, 배출공(112)을 통해 유입된 연소가스는 제1 내지 제3유동로(225,226,227)로 가이드되어 가온공간부(221)에 투입된 음식물과 열교환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난로(100)는 개폐댐퍼(300)에 의해 고체연료의 초기 발화시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바로 배기관(212)으로 배출시키므로 고체연료의 불완전 연소를 방지하여 연소효율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난로(40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난로(400)는 배출공(112)을 통해 배출되는 연소가스에 외기를 공급하는 외기공급유닛을 더 구비한다. 상기 외기공급유닛은 일단이 가열공간으로 인입되도록 상기 본체(110) 내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공(112)으로 배출되는 고온의 상기 연소가스가 재연소될 수 있도록 상기 연소가스에 외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배출공(112)에 인접된 단부에 외기가 배출되는 외기배출구가 마련된 외기공급관(411)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외기공급관은 제1 내지 제3단위관(412,413,414)을 구비한다.
제1단위관(412)은 투입부재(116) 하측의 본체(110) 전면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설치되며, 내부에 외기가 유동하는 외기유동로가 마련되며, 본체(110)의 외부로 노출된 일단부에는 상기 외기유동로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외기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제2단위관(413)은 제1단위관(412)의 타단에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되, 상단이 본체(110)의 천장면에 인접하도록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단위관(414)은 제2단위관(413)의 상단에 후방으로 연장형성되되, 단부가 상기 배출공(112)에 인접되도록 소정길이 연장형성된다. 이때, 제3단위관(414)의 단부에는 상기 외기유동로를 통해 유입된 외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외기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외기공급유닛은 외기공급관(411)의 일단에 연결되어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산소공급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산소공급부는 산소가 내부에 충진된 산소탱크 또는 외기를 공급할 수 있는 콤프레셔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외기공급유닛은 배출공(112)을 통해 배기되는 고온의 연소가스가 재연소되도록 산소를 공급하므로 제1 내지 제3유동로(225,226,227)로 공급되는 연소가스의 온도를 보다 더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열유닛(45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가열유닛(450)은 상기 제2배기유로를 통과하는 상기 연소가스를 난류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소가스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의 상기 제1 내지 제3연통부재(222,223,224)의 내벽면에 상기 제2배기유로의 중심방향을 돌출형성된 다수의 난류유도판(451)을 구비한다.
상기 난류유도판(451)들은 제1 내지 제3유동로(225,226,227)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제1 내지 제3연통부재(222,223,224)의 내벽면에, 연소가스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호 교호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내지 제3유동로(225,226,227)로 유입된 연소가스는 다수의 난류유도판(451)에 의해 난류화되어 제1 내지 제3연통부재(222,223,224) 내의 체류시간이 연장되어 가온공간부(221)에 투입된 음식물에 대한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열유닛(46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가열유닛(460)은 상기 제1유동로(225)를 통과하는 상기 연소가스의 열을 상기 가온공간부(221)에 투입된 음식물에 전달하는 다수의 열전달부재(461)를 더 구비한다.
상기 열전달부재(461)는 상기 제1연통부재(222)의 상측 외주면에 관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연소가스의 열을 외부로 전달하는 열전달핀(462)과, 상기 제1유동로(225)에 노출된 상기 열전달핀(462)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1유동로(225)를 통과한 상기 연소가스와의 열접촉면적을 확장할 수 있도록 다수의 방열핀(465)이 마련된 방열부재(463)와, 상기 가온공간부(221)에 투입된 상기 음식물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가온공간부(221)에 노출된 상기 열전달핀(462)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열전달핀(462)의 단면보다 더 큰 단면적을 갖는 접촉판(464)을 구비한다.
상기 방열부재(463)의 방열핀(465)들은 하방으로 연장되며, 연소가스의 유동방향과 나란하여 연장되되, 연소가스의 유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열전달부재(461)는 알루미늄과 같이 열전달율이 우수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가열유닛(460)은 열전달부재(461)들에 의해 연소가스의 열을 직접 음식물에 전달하므로 연소가스에 대한 열전달효율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난로
110: 본체
111: 연소공간
200: 가열유닛
210: 메인연통부
211: 제1배기유로
212: 배기관
220: 서브연통부
221: 가온공간부
222: 제1연통부재
223: 제2연통부재
224: 제3연통부재
225: 제1유동로
226: 제2유동로
227: 제3유동로
300: 개폐댐퍼
301: 회전축
302: 개폐판
303: 핸들
304: 파지부재

Claims (6)

  1. 내부에 고체연료를 연소시킬 수 있는 연소공간이 마련되며, 상부에 상기 고체연료의 연소시 발생하는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음식물이 투입되는 가온공간부가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연소가스가 유입되어 상부에 설치된 배기관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배출공 및 배기관에 연통된 제1배기유로와, 상기 제1배기유로에 연통되되, 상기 연소가스의 열에 의해 상기 가온공간부에 투입된 상기 음식물이 가열될 수 있도록 상기 가온공간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연장된 제2배기유로가 형성된 가열유닛과;
    상기 가열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연소가스가 상기 제2배기유로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배기유로를 폐쇄하되, 상기 고체연료의 초기 발화시에는 상기 제1배기유로를 개방하는 개폐댐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유닛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고정되며, 내부에 상기 배출공에 연통되게 상기 제1배기유로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제1배기유로에 연통되게 상기 배기관이 설치된 메인연통부와,
    상기 메인연통부의 하측 외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연통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측에 상기 가온공간부가 마련되며, 내부에 상기 제1배기유로에 연통되는 제1유동로가 마련된 제1연통부재와, 상기 제1연통부재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연통부재에 대해 상방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상기 제1유동로에 연통되는 제2유동로가 마련된 제2연통부재와, 일단은 상기 제2연통부재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메인연통부의 상측 외주면에 고정되며, 내부에 상기 제2유동로 및 제1배기유로에 연통되는 제3유동로가 형성된 제3연통부재가 마련된 서브연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배기유로는 상기 제1 내지 제3유동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댐퍼는
    상기 제1연통부재에 대해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메인연통부 내부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배기유로를 개폐하는 개폐판과,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파지하여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파지부재가 마련된 핸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
  4. 제3항에 있어서,
    내부에 외기가 유동하는 외기유동로가 마련되고, 일단이 가열공간으로 인입되도록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되, 상기 배출공으로 배출되는 고온의 상기 연소가스가 재연소될 수 있도록 상기 연소가스에 외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배출공에 인접된 일단부에 상기 외기가 배출되는 외기배출구가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된 타단부에는 상기 외기유동로로 상기 외기가 유입되도록 외기유입구가 형성된 외기공급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기유로를 통과하는 상기 연소가스를 난류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소가스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의 상기 제1 내지 제3연통부재의 내벽면에 상기 제2배기유로의 중심방향을 돌출형성된 다수의 난류유도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유닛은
    상기 제1유동로를 통과하는 상기 연소가스의 열을 상기 가온공간부에 투입된 음식물에 전달하는 다수의 열전달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열전달부재는
    상기 제1연통부재의 상측 외주면에 관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연소가스의 열을 외부로 전달하는 열전달핀과,
    상기 제1유동로에 노출된 상기 열전달핀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1유동로를 통과한 상기 연소가스와의 열접촉면적을 확장할 수 있도록 다수의 방열핀이 마련된 방열부재와,
    상기 가온공간부에 투입된 상기 음식물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가온공간부에 노출된 상기 열전달핀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열전달핀의 단면보다 더 큰 단면적을 갖는 접촉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









KR1020130079918A 2013-07-08 2013-07-08 난로 KR101504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918A KR101504324B1 (ko) 2013-07-08 2013-07-08 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918A KR101504324B1 (ko) 2013-07-08 2013-07-08 난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294A KR20150006294A (ko) 2015-01-16
KR101504324B1 true KR101504324B1 (ko) 2015-03-19

Family

ID=52569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9918A KR101504324B1 (ko) 2013-07-08 2013-07-08 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43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04689A1 (ko) * 2017-06-27 2019-01-03 이승일 화덕 겸용 난로
KR102166144B1 (ko) * 2020-03-20 2020-10-15 박형철 야영용 가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193B1 (ko) * 2015-01-30 2015-06-29 최윤곤 기능성 조리 장치
KR200484340Y1 (ko) * 2015-11-09 2017-08-25 배기중 펠릿 난로
CN105674334B (zh) * 2016-02-29 2018-04-03 沈继锋 一种无尘封闭自吸式环保节能炉
CN111322638B (zh) * 2020-02-27 2022-04-19 池州市贤启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烟气余热再利用环保野营炉
KR102398662B1 (ko) * 2020-09-15 2022-05-13 최창석 다기능 화목 난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7598A (ja) * 1993-03-05 1996-08-13 グリーンノール,ジョナサン 固体燃料加熱装置
KR200438301Y1 (ko) 2006-12-21 2008-02-11 김정호 높은 가온효율을 지닌 고체연료용 난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7598A (ja) * 1993-03-05 1996-08-13 グリーンノール,ジョナサン 固体燃料加熱装置
KR200438301Y1 (ko) 2006-12-21 2008-02-11 김정호 높은 가온효율을 지닌 고체연료용 난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04689A1 (ko) * 2017-06-27 2019-01-03 이승일 화덕 겸용 난로
KR102166144B1 (ko) * 2020-03-20 2020-10-15 박형철 야영용 가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294A (ko) 2015-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4324B1 (ko) 난로
KR101080198B1 (ko) 펠렛 난로
WO2015113361A1 (zh) 余热回收利用炒炉
JP6249834B2 (ja) 加熱調理設備
KR101480122B1 (ko) 폐열 회수구조를 갖는 화덕 및 그를 포함하는 조리기구
CN213599422U (zh) 一种二次供风采暖炉
KR20110080431A (ko) 펠렛 보일러
JP2010223539A (ja) 薪ストーブ装置及び薪ストーブ暖房システム
KR100757857B1 (ko) 조리용 가스랜지의 폐열을 이용한 난방시스템
CN211119536U (zh) 一种灶用余热回收系统
KR100903520B1 (ko) 에너지 절약형 급속 난방 열풍기
KR101554638B1 (ko) 난로
KR20030061169A (ko) 다층 보일러
CN219318657U (zh) 一种便于维护的全预混冷凝式热交换器
CN211822544U (zh) 一种燃油燃气灶的余热利用装置
KR200377057Y1 (ko) 조리용 가스랜지의 폐열을 이용한 난방시스템
KR200431526Y1 (ko) 연탄을 연료로 하는 난방장치
CN201083415Y (zh) 转换烟道可调风采暖地灶
KR101713217B1 (ko) 연탄보일러
KR101795989B1 (ko) 열 공급용 열교환기
KR100566480B1 (ko) 온수겸용 연탄보일러
JP3175506U (ja) 薪ストーブ及び薪ストーブ暖房装置
CN103868228B (zh) 容积式燃气热水器
KR100807537B1 (ko) 연탄을 연료로 하는 난방장치
KR200426842Y1 (ko) 연탄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