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1526Y1 - 연탄을 연료로 하는 난방장치 - Google Patents

연탄을 연료로 하는 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1526Y1
KR200431526Y1 KR2020060022447U KR20060022447U KR200431526Y1 KR 200431526 Y1 KR200431526 Y1 KR 200431526Y1 KR 2020060022447 U KR2020060022447 U KR 2020060022447U KR 20060022447 U KR20060022447 U KR 20060022447U KR 200431526 Y1 KR200431526 Y1 KR 2004315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n
heating
heat
briquettes
wa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24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복순
Original Assignee
최복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복순 filed Critical 최복순
Priority to KR20200600224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15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15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15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2Arrangement or mountings of fire-grate assemblies; Arrangement or mountings of linings for fire-boxes, e.g. fire-b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5Fireboxes; Frames; Hoods; Heat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40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tube or tubes
    • F24H1/43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tube or tubes helically or spirally coi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4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30/00Solid fuel fired boi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덕의 표면적을 극대화하여 더욱 열효율을 향상시킨 연탄을 연료로 하는 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구성은, 공기 유입 및 잔재 배출되도록 하는 화덕 받침대(15)와, 상기 화덕 받침대(15)에 안착되어 연탄 연소공간을 제공하는 화덕(20)과, 상기 화덕(20)을 감싸며 상부에 연탄이 삽입되는 개구부(11)가 형성된 몸통(10)과, 상기 몸통(10)의 개구부(11)에 설치되는 덮개(40)로 구성된 연탄을 연료로 하는 난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덕(20)은 오목부(21)와 볼록부(22)가 반복되는 주름(23)으로 형성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난방장치는 화덕이 주름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표면적이 넓어짐과 동시에 그 주름부에 머무르는 공기의 체류시간을 높여 공기의 가열효율이 높아짐에 따라 난방효율이 대폭 향상됨은 물론이고 신속한 난방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화덕이 주철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연소열에 의해 가열되면 그 복사열이 공기를 가열함과 동시에 수관을 직접적으로 가열하므로 수관내의 물을 더욱 신속하게 가열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관 설치시 주름의 오목부에 자동적으로 자리 잡기 때문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그 간격 또한 일정하기 때문에 화덕으로부터 균등한 열을 전달받아 열전달효율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난방, 난로, 보일러, 연탄, 화덕, 주름, 수관,

Description

연탄을 연료로 하는 난방장치{Briquet Boil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난방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난방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몸통 11 - 개구부
15 - 화덕 받침대 20 - 화덕
21 - 오목부 22 - 볼록부
23 - 주름 30 - 수관
40 - 덮개
본 고안은 연탄을 연료로 하는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덕의 표면적을 극대화하여 열효율을 향상시킨 연탄을 연료로 하는 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탄을 연료로 하는 난방장치는 난로와 보일러가 있다.
난로의 구성을 살펴보면, 공기 유입 및 잔재 배출되도록 하는 화덕 받침대와, 상기 화덕 받침대에 안착되어 연탄 연소공간을 제공하는 화덕과, 상기 화덕을 감싸며 상부에 연탄이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몸통과, 상기 몸통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덮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연탄이 연소되면서 발생 되는 열이 화덕내부에서 상승하였다가 화덕 외부를 통해 연통으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몸통을 가열시켜 주위 온도를 높이게 된다.
또한 상기 보일러는 내부에 화덕이 설치되고 상기 화덕과 몸통 사이에 난방용 호스 및 생활온수 파이프와 연결되는 수관이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화덕내의 연탄이 연소되면서 발생된 연소가스가 화덕내부를 지나 역으로 하강하여 연통으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수관을 가열하여 그 내부의 물을 데워 대류현상 또는 강제순환에 의해 실내의 난방 및 생활온수로 공급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난로 및 보일러는 연탄이 연소되면서 발생된 고온의 연소가스가 화덕의 상부로 상승하여 연통으로 배출되기 위해 역으로 하강하는 과정에서 본체 및 수관을 직접적으로 가열하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즉 연소가스의 열에 의해서만 본체 또는 수관을 가열하도록 되어 있는 등 화덕은 가열을 위한 기능에서 큰 역할을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열전달 매체인 화덕의 표면적을 넓게 하여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넓히고 또 머무르는 시간을 연장시켜 공기의 가열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수관의 배열이 균등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열전달이 극대화됨에 따라 신속한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한 연탄을 연료로 하는 난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화덕을 주철로 형성하여 화덕 자체가 가열되도록 함으로써 난로의 본체 또는 수관을 가열시키는 데에 화덕의 복사열을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열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연탄 보일러는,
공기 유입 및 잔재 배출되도록 하는 화덕 받침대와, 상기 화덕 받침대에 안착되어 연탄 연소공간을 제공하는 화덕과, 상기 화덕을 감싸며 상부에 연탄이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몸통과, 상기 몸통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덮개로 구성된 연탄을 연료로 하는 난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덕은 오목부와 볼록부가 반복되는 주름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덕의 주름은 나선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은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난방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난방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난방장치는 공기 유입 및 잔 재 배출되도록 하는 화덕 받침대(15)와, 상기 화덕 받침대(15)에 안착되어 연탄 연소공간을 제공하는 화덕(20)과, 상기 화덕(20)을 감싸며 상부에 연탄이 삽입되는 개구부(11)가 형성된 몸통(10)과, 상기 몸통(10)의 개구부(11)에 설치되는 덮개(40)로 구성된 연탄을 연료로 하는 난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덕(20)은 오목부(21)와 볼록부(22)가 반복되는 주름(23)으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주름(23)은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화덕(20)에 감기는 수관(30)이 주름(23)의 오목부(21)의 경로를 따라 감기게 된다. 즉 수관(30) 설치시 자동적으로 주름(23)의 오목부(21)에 자리 잡게 됨에 따라 수관(30)이 손쉽게 설치될 뿐만 아니라 그 간격 또한 균일하게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화덕(20)은 주로 재질이 흙으로 되어 있으나, 본 고안의 화덕(20)은 금속 즉, 주철재로 형성되어 연탄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열이 더욱 고온으로 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면서 몸통(10) 내의 열이 고온으로 장시간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한 본 고안의 난방장치는 연탄 연소시 발생되는 열이 공기층을 통해 화덕(20)으로 열전달 되는데, 주름(23)의 표면적이 넓기 때문에 많은 열이 신속히 전달되어 수관(30)을 가열함으로써, 수관(30) 내에 흐르는 물 또한 단시간 내에 고온으로 변환된다. 이때, 상기 수관(30)은 같은 간격으로 설치됨에 따라 화덕(20)으로부터의 열이 균등하게 전달되어 열전달효율이 뛰어나 더욱 신속하게 수관(30) 내의 물이 가열된다. 가열된 물은 난방 호스로 유입되거나 생활온수로 사용되면서 위 과정을 반복 순환하여 고온을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난방장치는 화덕이 주름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표면적이 넓어짐과 동시에 그 주름부에 머무르는 공기의 체류시간을 높여 공기의 가열효율이 높아짐에 따라 난방효율이 대폭 향상됨은 물론이고 신속한 난방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화덕이 주철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연소열에 의해 가열되면 그 복사열이 공기를 가열함과 동시에 수관을 직접적으로 가열하므로 수관내의 물을 보다 신속하게 가열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관 설치시 주름의 오목부에 자동적으로 자리 잡기 때문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그 간격 또한 일정하기 때문에 화덕으로부터 균등한 열을 전달받아 열전달효율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공기 유입 및 잔재 배출되도록 하는 화덕 받침대(15)와, 상기 화덕 받침대(15)에 안착되어 연탄 연소공간을 제공하는 화덕(20)과, 상기 화덕(20)을 감싸며 상부에 연탄이 삽입되는 개구부(11)가 형성되고, 상기 몸통(10)의 개구부(11)에 덮개(40)를 가지며 측부에 배기구를 구비한 몸통(10)으로 이루어진 연탄을 연료로 하는 난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덕(20)은 오목부(21)와 볼록부(22)가 반복되는 주름(23)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탄을 연료로 하는 난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덕(20)의 주름(23)이 나선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탄을 연료로 하는 난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23)을 따라 외부로 수관(30)이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탄을 연료로 하는 난방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덕(20)은 주철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
KR2020060022447U 2006-08-22 2006-08-22 연탄을 연료로 하는 난방장치 KR2004315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447U KR200431526Y1 (ko) 2006-08-22 2006-08-22 연탄을 연료로 하는 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447U KR200431526Y1 (ko) 2006-08-22 2006-08-22 연탄을 연료로 하는 난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1526Y1 true KR200431526Y1 (ko) 2006-11-23

Family

ID=41779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2447U KR200431526Y1 (ko) 2006-08-22 2006-08-22 연탄을 연료로 하는 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15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097B1 (ko) * 2010-12-13 2013-02-20 주식회사 남부 노출형 벽난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097B1 (ko) * 2010-12-13 2013-02-20 주식회사 남부 노출형 벽난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3620B1 (ko) 연탄보일러의 난방수 및 온수 공급장치
KR200431526Y1 (ko) 연탄을 연료로 하는 난방장치
US20040139929A1 (en) Dual function high efficiency water heater
KR200431525Y1 (ko) 연탄을 연료로 하는 난방장치
KR101941406B1 (ko) 나선형구조의 물집이 구비된 화로형 보일러
RU2594099C1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вышения эффективности твёрдотопливного отопительного прибора
JP5858555B1 (ja) 薪ストーブ及び温水供給装置
KR100807537B1 (ko) 연탄을 연료로 하는 난방장치
KR100566480B1 (ko) 온수겸용 연탄보일러
RU218743U1 (ru) Печь проточного нагрева воды
RU2618237C2 (ru) Бытовая печь
CN208859650U (zh) 一种燃气热水灶
CN210638306U (zh) 一种热水炉防烫伤装置
KR20020093685A (ko) 온풍기용 연탄보일러
KR200431527Y1 (ko) 연탄을 연료로 하는 난방장치
CN2423508Y (zh) 生活和民用无压采暖锅炉
KR200364739Y1 (ko) 온수겸용 연탄보일러
KR100565668B1 (ko) 가스복사버너의 세라믹 글래스 구조
KR200304671Y1 (ko) 온풍기용 연탄보일러
CN1512104A (zh) 型煤热水炉
RU2621438C1 (ru) Котел наружного размещения
KR200426842Y1 (ko) 연탄 보일러
CN204717753U (zh) 蒸炒两用锅炉
KR200409457Y1 (ko) 개탄보일러의 몸체
CN2302409Y (zh) 高效家用采暖热水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