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301Y1 - 높은 가온효율을 지닌 고체연료용 난로 - Google Patents

높은 가온효율을 지닌 고체연료용 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301Y1
KR200438301Y1 KR2020060032203U KR20060032203U KR200438301Y1 KR 200438301 Y1 KR200438301 Y1 KR 200438301Y1 KR 2020060032203 U KR2020060032203 U KR 2020060032203U KR 20060032203 U KR20060032203 U KR 20060032203U KR 200438301 Y1 KR200438301 Y1 KR 2004383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communication
combustion
solid fuel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22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호
Original Assignee
김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호 filed Critical 김정호
Priority to KR20200600322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3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3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3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5/00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 F24B5/06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28Combined installations of stoves or ranges, e.g. back-to-back stoves with a common fire-bo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04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7/00Stoves, ranges or flue-gas duct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F24B7/005Flue-gas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20Ranges
    • F24B1/22Ranges in which the baking oven is arranged above the fire-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나무, 석탄, 톱밥 등의 고체연료를 사용하여 높은 가온효율을 나타내도록 되어 있는 금속재질의 고체연료용 난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체가 금속재질로 전면부에 개폐용문이 설치된 직육면체형의 가열부케이싱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열부케이싱의 내측 하부에는 받침금속망이 바닥면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소제구가 형성되어 있어 내부에 고체연료를 넣어 연소시키도록 되어 있는 연소가열부와, 내부가 빈 직사각덕트형상으로 상기 연소가열부의 후방 상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구비되어 있되 상기 연소가열부와 일체로 연통되어 있는 후면연통부와, 내부가 빈 직사각덕트형상으로 후방 하단부가 상기 후면가열부의 상단부에 맞닿은 상태로 수평방향으로 위치되어 있되 상기 후면가열부와 일체로 연통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배기연통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연통부로 구성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ㄷ"자형상을 이루면서 가운데부분에 가온공간부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가온공간부에 가온용 음식 등을 올려놓게 되면 상기 연소가열부와 후면연통부와 상부연통부에서 발산된 열이 가온공간부에 집중되어 가온효율을 높이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가온효율을 지닌 고체연료용 난로에 관한 것이다.
고체연료용 난로, 연소가열부, 후면연통부, 상부연통부, 가온공간부

Description

높은 가온효율을 지닌 고체연료용 난로{A very efficient solid fuel stov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고체연료용 난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고체연료용 난로의 종단면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체연료용 난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개략도
도 4는 종래의 고체연료를 사용한 난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 난로 2. 연소가열부
3. 개폐용문 4, 4'. 가열부케이싱
5. 금속받침망 6, 6'. 소제구
7a, 7b. 회전고리 8. 회전손잡이
9. 연결봉 10. 베어링
11. 후면연통부 12. 후면연통로
13. 상부연통부 14, 14'. 배기연통
15. 상부연통로 16a, 16b. 가온공간부
17. 전면연통부 18. 전면연통로
19. 고정돌기 20'. 뚜껑
본 고안은 나무, 석탄, 톱밥 등의 고체연료를 사용하여 높은 가온효율을 나타내도록 되어 있는 금속재질의 고체연료용 난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체가 금속재질로 전면부에 개폐용문이 설치된 직육면체형의 가열부케이싱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열부케이싱의 내측 하부에는 받침금속망이 바닥면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소제구가 형성되어 있어 내부에 고체연료를 넣어 연소시키도록 되어 있는 연소가열부와, 내부가 빈 직사각덕트형상으로 상기 연소가열부의 후방 상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구비되어 있되 상기 연소가열부와 일체로 연통되어 있는 후면연통부와, 내부가 빈 직사각덕트형상으로 후방 하단부가 상기 후면가열부의 상단부에 맞닿은 상태로 수평방향으로 위치되어 있되 상기 후면가열부와 일체로 연통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배기연통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연통부로 구성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ㄷ"자형상을 이루면서 가운데부분에 가온공간부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가온공간부에 가온용 음식 등을 올려놓게 되면 상기 연소가열부와 후면연통부와 상부연통부에서 발산된 열이 가온공간부에 집중되어 가온효율을 높이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가온효율을 지닌 고체연료용 난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로는 석탄이나 목재 또는 석유나 가스, 전기 등을 연료로 사용하여 실내외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상기 난로 중 석탄이나 목재 등의 고체연료를 이용한 난로는 고체연료의 연소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많고 연소 후의 잔여물(재)이 많이 남게 되는 단점이 있으나 연료비가 극히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어 현재까지 실내외 난방용으로 흔히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난로(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된 가열부케이싱(4')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열부케이싱(4')의 상부에는 뚜껑(20')이 구비되어 있어 가열부케이싱(4') 내부에 고체연료를 넣어 연소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가열부케이싱(4')의 상부 또는 일측에는 원통형의 배기연통(14')이 연결 설치되어 있어 고체연료의 연소시 발생되는 매연 등의 연소가스를 실외로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고 상기 가열부케이싱(4')의 하부에는 고체연료의 연소 후 발생되는 재 등의 잔여물을 처리하기 위한 소제구(6')가 구비되어 있어 실내외 난방용으로 사용할 뿐 아니라 난로(1')의 상부에 주전자나 각종 가온용 음식물 등을 올려 놓아 음식물을 가온시켜 취식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고체연료를 사용한 난로(1')는 가열부케이싱(4')이 원통형으로만 형성되어 있어 가온시키기 위해 가열부케이싱(4')의 상부에 놓여지는 주전자나 각종 가온용 음식물 등이 하부에서만 열을 받아 쉽게 가온되지 않으며 또한 가온된 후에도 난로(1') 내부의 고체연료가 소진된 경우에는 쉽게 식게 되는 문 제점이 있었고, 상기 배기연통(14')이 좁은 직경을 지닌 원통형의 파이프형상으로 되어 있어 배기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여 불완전연소되면서 연소가스가 가열부케이싱(4')의 뚜껑(20')을 통해 역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열부케이싱의 폭과 동일한 폭을 지닌 넓은 직사각덕트형으로 되어 있는 후면연통부 및 상부연통부를 통해 연소가열부 내의 연소가스가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여 연소효율을 증가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고체연료용 난로가 전체적으로 "ㄷ"자형상을 이루면서 가운데부분에 가온공간부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가온공간부에 가온용 음식 등을 올려놓게 되면 상기 연소가열부와 후면연통부와 상부연통부에서 발산된 열이 가온공간부에 집중되어 가온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면부에 개폐용문이 설치된 직육면체형의 가열부케이싱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열부케이싱의 내측 하부에는 받침금속망이 바닥면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소제구가 형성되어 있어 내부에 고체연료를 넣어 연소시키도록 되어 있는 연소가열부와, 내부가 빈 직사각덕트형상으로 상기 연소가열부의 후방 상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구비되어 있되 상기 연소가열부와 일체로 연통되어 있는 후면연통부와, 내부가 빈 직사각덕트형상으로 후방 하단부가 상기 후면가열부의 상단부에 맞닿은 상태로 수평방향으로 위치되어 있되 상기 후면가열부와 일체로 연통되어 있으며 상부 에는 배기연통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연통부로 구성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ㄷ"자형상을 이루면서 가운데부분에 가온공간부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는 것에 본 고안의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고체연료용 난로(1)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무, 석탄, 톱밥 등의 고체연료를 사용하여 그 연소열로 실내외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동가능한 금속재질의 난로로서, 하부에 위치된 직육면체형의 연소가열부(2)와 상기 연소가열부(2)의 후방 상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연통설치된 후면연통부(11)와 상기 후면연통부(11)의 상단부에 수평방향으로 연통설치된 상부연통부(13)로 구성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ㄷ"자형상을 이루면서 가운데부분에 가온공간부(16a)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소가열부(2)는 내부에 고체연료가 투입되어 연소되는 부분으로, 전면부에 개폐용문(3)이 설치된 직육면체형의 가열부케이싱(4)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열부케이싱(4)의 내측 하부에는 받침금속망(5)이 바닥면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소제구(6)가 형성되어 있어 내부에 투입된 고체연료의 연소시 발생되는 잔여물이 받침금속망(5)의 하부로 떨어지면 상기 소제 구(6)를 통해 잔여물을 제거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연소가열부(2)의 후방 상부쪽에는 후면연통부(11)가 일체로 연통 설치되어 있어 연소가열부(2)로부터 발생되는 연소가스 및 연소열이 후면연통부(11)를 통해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가열부케이싱(4)는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면 내측 상부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된 회전고리(7a)(7b)가 구비되어 있되 가열부케이싱(4)의 전면부쪽에 위치된 회전고리(7b)에는 회전손잡이(8)가 가열부케이싱(4)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회전고리(7a)(7b)사이에는 얇고 긴 봉형상의 연결봉(9)이 끼워지도록 되어 있어 상기 연결봉(9)에 각종 바베큐용 음식물 등을 끼운 상태에서 고체연료의 연소열에 의해 직접 가열되도록 되어 있고 가열시 상기 가열부케이싱(4)의 외측으로 돌출된 회전손잡이(8)를 조작하여 음식물이 고르게 익을 수 있게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손잡이(8)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부케이싱(4)을 관통하는 부분의 외주면에 통상의 베어링(10)이 개재(介在)되어 있어 더욱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봉(9)은 외주면에 다수개의 고정돌기(19)가 일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각종 바베큐용 음식물이 연결봉(9)에 끼워진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후면연통부(11)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재질로 내부가 빈 직사각덕트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연소가열부(2)의 후방 상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구비되어 있되 그 폭이 상기 가열부케이싱(4)의 폭과 동일한 폭을 지니도록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소가열부(2)와 일체로 연통되어 있어 내측에 형성된 후면연통로(12)를 통해 상기 연소가열부(2)로부터의 연소열과 연소가스가 원활히 상승 이동되면서 연소열에 의해 후면연통부(11)가 가온되어 후면연통부(11)의 전후면으로 가온된 열이 주로 발산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상부연통부(13)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재질로 내부가 빈 직사각덕트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후방 하단부가 상기 후면연통부(11)의 상단부에 맞닿은 상태로 수평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되 그 폭이 상기 후면연통부(11)의 폭과 동일한 폭을 지니도록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후면연통부(11)와 일체로 연통되어 있고 상부에는 배기연통(14)이 형성되어 있어 내측에 형성된 상부연통로(15)를 통해 상기 후면연통부(11)로부터의 연소열과 연소가스가 원활히 이동되면서 연소열에 의해 상부연통부(13)가 가온되어 상부연통부(13)의 상하면으로 가온된 열이 주로 발산되도록 되어 있고 연소가스는 상기 배기연통(1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이 연소가열부(2)와 후면연통부(11)와 상부연통부(13)가 전체적으로 "ㄷ"자형상을 이루도록 되어 있어 가운데부분에는 가온공간부(16a)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가온공간부(16a)에 주전자나 가온용 음식 등을 올려놓게 되면 상기 연소가열부(2)와 후면연통부(11)와 상부연통부(13)에서 발산된 열이 가온공간부(16a)에 집중되어 가온효율을 높여주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소 가열부(2)는 전방 상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전면연통부(17)가 구비되어 있되 상기 전면연통부(17)는 내부가 빈 직사각덕트형상으로 그 상단부가 상부연통부(13)의 전방 하단부에 맞닿은 상태로 위치되고 상기 연소가열부(2) 및 상부연통부(13)와 일체로 연통되도록 되어 있어 내측에 형성된 전면연통로(18)를 통해 상기 연소가열부(2)로부터의 연소열과 연소가스가 원활히 상승 이동되면서 연소열에 의해 전면연통부(17)가 가온되어 전면연통부(17)의 전후면으로 가온된 열이 주로 발산되도록 되어 있고, 이와 같이 연소가열부(2)와 후면연통부(11)와 상부연통부(13)와 전면연통부(17)에 의해 전체적으로 "ㅁ"자형상을 이루면서 가운데부분에 가온공간부(16b)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가온공간부(16b)에 주전자나 가온용 음식 등을 올려놓게 되면 상기 연소가열부(2)와 후면연통부(11)와 상부연통부(13)와 전면연통부(17)에서 발산된 열이 가온공간부(16b)에 집중되어 더욱 높은 가온효율을 나타내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고체연료용 난로(1)는 전체가 금속재질로 내부가 비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실내외 어느 곳에서나 가볍게 이동시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설치된 고체연료용 난로(1)의 연소가열부(2) 내부에 나무나 석탄 또는 톱밥 등의 고체연료를 넣고 연소시키면 연소열에 의해 연소가열부(2)가 가온되어 난방용으로 사용하게 되며, 상기 연소가열부(2)에서 발생된 연소열 및 연소가스는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연통설치된 후면연통부(11)의 후면연통로(12)와 상부 연통부(13)의 상부연통로(15)를 통해 연소가열부(2)의 후면 및 상부쪽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후면연통부(11)와 상부연통부(13)를 고온으로 가온시키며, 이 때 연소가열부(2)와 후면연통부(11)와 상부연통부(13)에서 발산된 열이 가운데부분에 형성된 가온공간부(16a)로 집중되어 상기 가온공간부(16a)에 올려진 주전자나 가온용 음식물은 빠르게 가온되고 연소가 종료된 후에도 쉽게 식지 않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연소가열부(2)의 내측에 설치된 회전고리(7a)(7b)에 각종 바베큐용 음식물 등이 끼워진 얇고 긴 봉형상의 연결봉(9)을 체결하고 연소가열부(2)의 외측으로 돌출 설치된 회전손잡이(8)를 회전조작하여 상기 연결봉(9)에 끼워진 음식물이 고체연료의 연소열에 의해 직접 가열되면서 고르게 익도록 하여 바베큐 요리를 직접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벽난로와 같이 고정된 것이 아니고 내부가 빈 금속케이스 구조로 되어 있어 간편하게 이동 설치가 가능하며, 가열부케이싱의 폭과 동일한 폭을 지닌 넓은 직사각덕트형으로 되어 있는 후면연통부와 상부연통부를 통해 연소가열부 내의 연소가스가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여 연소효율을 증가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고체연료용 난로가 전체적으로 "ㄷ"자 또는 "ㅁ"자형상을 이루면서 가운데부분에 가온공간부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가온공간부에 가온용 음식 등을 올려놓게 되면 상기 연소가열부와 후면연통부와 상부연통부 또는 전면연통부에서 발산된 열이 가온공간부에 집중되어 가온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내측에 설치 된 회전고리 및 연결봉에 바베큐용 음식물을 끼워 가정에서 용이하게 바베큐 요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금속재질의 난로에 있어서, 전면부에 개폐용문(3)이 설치된 직육면체형의 가열부케이싱(4)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열부케이싱(4)의 내측 하부에는 받침금속망(5)이 바닥면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소제구(6)가 형성되어 있어 내부에 고체연료를 넣어 연소시키도록 되어 있는 연소가열부(2)와, 내부가 빈 직사각덕트형상으로 상기 연소가열부(2)의 후방 상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구비되어 있되 그 폭이 상기 가열부케이싱(4)의 폭과 동일한 폭을 지니도록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소가열부(2)와 일체로 연통되어 있는 후면연통부(11)와, 내부가 빈 직사각덕트형상으로 되어 있고 후방 하단부가 상기 후면연통부(11)의 상단부에 맞닿은 상태로 수평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되 그 폭이 상기 후면연통부(11)의 폭과 동일한 폭을 지니도록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후면연통부(11)와 일체로 연통되어 있고 상부에는 배기연통(14)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연통부(13)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연소가열부(2)와 후면연통부(11)와 상부연통부(13)가 전체적으로 "ㄷ"자형상을 이루면서 가운데부분에 가온공간부(16a)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가온공간부(16a)에 가온용 음식을 올려놓게 되면 상기 연소가열부(2)와 후면연통부(11)와 상부연통부(13)에서 발산된 열이 가온공간부(16a)에 집중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가온효율을 지닌 고체연료용 난로.
  2.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금속재질의 난로에 있어서, 전면부에 개폐용문(3)이 설치된 직육면체형의 가열부케이싱(4)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열부케이싱(4)의 내측 하부에는 받침금속망(5)이 바닥면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소제구(6)가 형성되어 있어 내부에 고체연료를 넣어 연소시키도록 되어 있는 연소가열부(2)와, 내부가 빈 직사각덕트형상으로 상기 연소가열부(2)의 후방 상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구비되어 있되 그 폭이 상기 가열부케이싱(4)의 폭과 동일한 폭을 지니도록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소가열부(2)와 일체로 연통되어 있는 후면연통부(11)와, 내부가 빈 직사각덕트형상으로 되어 있고 후방 하단부가 상기 후면연통부(11)의 상단부에 맞닿은 상태로 수평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되 그 폭이 상기 후면연통부(11)의 폭과 동일한 폭을 지니도록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후면연통부(11)와 일체로 연통되어 있고 상부에는 배기연통(14)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연통부(13)와, 내부가 빈 직사각덕트형상으로 상기 연소가열부(2)의 전방 상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구비되어 있되 상단부가 상부연통부(13)의 전방 하단부에 맞닿은 상태로 위치되고 상기 연소가열부(2) 및 상부연통부(13)와 일체로 연통되어 있는 전면연통부(17)로 구성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ㅁ"자형상을 이루면서 가운데부분에 가온공간부(16b)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가온공간부(16b)에 가온용 음식을 올려놓게 되면 연소가열부(2)와 후면연통부(11)와 상부연통부(13)와 전면연통부(17)에서 발산된 열이 가온공간부(16b)에 집중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가온효율을 지닌 고체연료용 난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가열부(2)는 가열부케이싱(4)의 전후면 내측 상부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된 회전고리(7a)(7b)가 구비되어 있되 가열부케이싱(4)의 전면부쪽에 위치된 회전고리(7b)에는 회전손잡이(8)가 가열부케이싱(4)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회전고리(7a)(7b)사이에는 바베큐용 음식물이 끼워지는 얇고 긴 봉형상의 연결봉(9)이 체결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가온효율을 지닌 고체연료용 난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손잡이(8)는 가열부케이싱(4)을 관통하는 부분의 외주면에 통상의 베어링(10)이 개재(介在)되어 있어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가온효율을 지닌 고체연료용 난로.
KR2020060032203U 2006-12-21 2006-12-21 높은 가온효율을 지닌 고체연료용 난로 KR2004383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203U KR200438301Y1 (ko) 2006-12-21 2006-12-21 높은 가온효율을 지닌 고체연료용 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203U KR200438301Y1 (ko) 2006-12-21 2006-12-21 높은 가온효율을 지닌 고체연료용 난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301Y1 true KR200438301Y1 (ko) 2008-02-11

Family

ID=41339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2203U KR200438301Y1 (ko) 2006-12-21 2006-12-21 높은 가온효율을 지닌 고체연료용 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30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324B1 (ko) 2013-07-08 2015-03-19 나영채 난로
KR20150145573A (ko) 2014-06-20 2015-12-30 이정호 난로
KR20160011363A (ko) 2014-07-22 2016-02-01 이정호 난로
KR102447699B1 (ko) * 2021-04-09 2022-09-27 김주호 캠핑용 스토브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324B1 (ko) 2013-07-08 2015-03-19 나영채 난로
KR20150145573A (ko) 2014-06-20 2015-12-30 이정호 난로
KR101622312B1 (ko) 2014-06-20 2016-05-19 이정호 난로
KR20160011363A (ko) 2014-07-22 2016-02-01 이정호 난로
KR102447699B1 (ko) * 2021-04-09 2022-09-27 김주호 캠핑용 스토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9574B2 (en) Cooking grill with hood lighting
EP2850981B1 (en) Barbecue grill with multifunction
KR101184999B1 (ko) 휴대용 숯불구이 로스터그릴
KR101407213B1 (ko) 휴대용 조립식 그릴
KR200438301Y1 (ko) 높은 가온효율을 지닌 고체연료용 난로
KR200482959Y1 (ko) 화덕용 열기 및 바람 차단기구
KR100704443B1 (ko) 하향 방열식 구이 장치
US2877759A (en) Portable stove
KR20190132597A (ko) 다용도 화로
JP2004211940A (ja) グリル付き加熱調理機器
US20060225723A1 (en) Detachable stove and barbecue combination
KR100637368B1 (ko) 회전식 바베큐 장치
US20080053315A1 (en) Grilling and cooking apparatus
KR101932451B1 (ko) 복합기능을 갖는 구이기
CN216924425U (zh)
JP2021004711A (ja) 調理機能付きストーブ
JP6529103B2 (ja)
KR200264439Y1 (ko) 테이블용 구이기
KR200485993Y1 (ko) 가정용 숯불 직화 구이기
US5343851A (en) Transformer heat generating assembly
JP4176258B2 (ja) 加熱調理器
CN220675838U (zh) 一种燃烧木柴的烧烤炉
KR102648540B1 (ko) 다용도 화로대
KR20090105240A (ko) 고기 구이 조립체
JP2006230931A (ja) コンロ用加熱器及びコン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